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물질 이동 현상의 분석을 적용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의 운전 특성 예측

        신희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수소 에너지 저장 시스템(Hydrogen Energy Storage System, HESS)은 전기 에너지를 수소에너지로 변환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저장된 수소에너지를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HESS는 on-site type hydrogen station에 적용할 수 있다. HESS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고분자전해질 수전해(Polymer Electrolyte Membrane Electrolyser, PEME)는 소재와 실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고분자전해질 수전해의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서 조건에 따른 운전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의 과전압, 물 수송 현상 그리고 가스 침투 현상을 분석하였다. 특성 실험 결과를 적용한 수학적 모델링을 이용하여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의 운전 특성을 예측하였다. 과전압은 전기화학반응에서 촉매의 활성과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생되며 전기적 손실로 나타난다. 전류 밀도, 온도 그리고 수소 생산 압력과 같은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의 운전 조건이 과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과전압은 전류 밀도에 비례하고 운전 온도에 반비례한다. 또한 수소 생산 압력의 영향은 1 MPa 이하에서 관측되지 않았다. 과전압에 대한 실험 결과로부터 수학적 모델링을 위한 변수를 경험적으로 도출하고 적용하였다. 이 수학적 모델링을 이용하여 고분자전해질 수전해의 운전 조건에 따른 과전압의 영향성과 전기적 효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활성화 과전압은 0.3 A/㎠ 미만에서 저항 과전압은 1.0 A/㎠ 이상에서 높은 영향성이 나타났다. 물의 수송 현상은 확산, hydraulic permeation 그리고 electro-osmotic drag에 의해 발생하며, 수소와 함께 배출되는 물로 나타난다. 물의 수송 현상은 electro-osmotic drag의 영향이 지배적이며, 확산과 hydraulic permeation의영향은 최대 1.42 %로 무시할 수 있다.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DI water 손실은 물의 수송 현상에 의해 발생하며, cathode에서 anode로 재순환을 통해서 최소화 할 수 있다. Water feeding에 대한 안전 계수가 5에서 DI water의 손실률은 348 K일 때 16.5 %이고 기액분리와 재순환을 통해서 0.13 % 이 하로 감소된다. 수소 침투 현상은 전류 밀도와 관계없이 발생되며 온도, DI water와 수소 생산의 압력 그리고 고분자전해질 막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고분자전해질 막의 수소 침투 계수는 공급되는 DI water에 의한 압력과 온도에 비례한다. DI water의 압력이 수소 침투 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와 고분자해질 막의 두께의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온도가 328 K에서 308 K와 318 K로 감소할 경우, N117의 수소 침투 계수는 각각 61.3 %, 84.3 %로 감소되었다. 동일한 equilibrium weight으로 고분자전해질 막의 두께가 178 ㎛에서 128㎛로 28.1 %이 감소되면 수소 침투 계수는 2.84 ~ 3.02 배로 증가하고 수소 투과 유량은 4.0 ~ 4.2 배로 증가하였다.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의 운전 특성을 각 특성 실험 결과를 적용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서 예측하였다. DI water의 손실률을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의 수소 후처리 공정과 운전 조건에 따라 여측하었다. 가스 침투 현상에 의해 고분자전해질 막을 투과한 수소 유량을 산소에 포함된 부피 분율로 도출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의 온도와 압력에 따른 제한되는 운전 조건을 전류 밀도 범위로 제시하였다. 과전압에 의한 전기적 효율과 가스 침투 현상에 의한 수소 손실률을 적용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의 수소 생산 효율을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서 예측하였다. 이 결과를 실험과 비교하여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Hydrogen Energy Storage System (HESS)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hydrogen energy and makes it stored. This system utilizes stored hydrogen energy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HESS can be applied to on-site type hydrogen station. There has been research effort on materials and substantiat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electrolyser (PEME) that produce hydrogen in HES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various parameters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of PEME. To achieve our goal, we analyzed overvoltage, water transport phenomena, and gas penetration. We were able to predict 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ME system by applying the experimental results to construct a mathematical model. Overvoltage is caused by activation of the catalyst and electrical resistance from electrochemical reaction, resulting in electrical loss. We analyzed the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EME, such as current density, temperature, and hydrogen production pressure, on overvoltage. Overvoltage is proportional to current density and inversely correlated to operating temperature. The effects of hydrogen production pressure were not observed below 1 MPa. From our experimental results for overvoltage, we were able to derive and apply variables empirically for mathematical modelling. Using our mathematical model, we analyzed the effects of overvoltage and electrical efficiency based 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PEME. As a result,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at activation overvoltage below 0.3 A/ cm2, and at resistance overvoltage higher than 1.0 A/cm2. Water transport is caused by diffusion, hydraulic permeation, and electro-osmotic drag. It appears as water discharged with hydrogen. Water transport phenomenon is predominantly caused from the electro-osmotic drag, while the effects of diffusion and hydraulic permeation are negligible at a portion of 1.42%. In the PEME system, loss of deionized (DI) water is caused by water transport phenomenon, which can be minimized through recirculation from cathode to anode. When the safety factor for water feeding is 5, the loss rate of DI water is 16.5% at 348K, which can be reduced to less than 0.13% through gas-liquid separation and recirculation. Hydrogen penetration phenomenon occurs regardless of current density, but instead varies depending on temperature, pressure from DI water and hydrogen production, and thicknes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e hydrogen permeation coefficient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supplied DI water. The effect of DI water pressure on the hydrogen permeation coeffici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thicknes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d from 328K to either 308K or 318K, the hydrogen penetration coefficients of N117 decreased to 61.3% and 84.3%, respectiv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decreased by 28.1% from 178µm to 128µm at the same equilibrium weight, the hydrogen permeation coefficient increased 2.84 to 3.02 times, while the hydrogen permeation flow rate increased 4.0 to 4.2 times. We estimate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PEME system by constructing mathematical model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s from each parameter. The loss rate of DI water was estimated based on the parameters of post-treatment of hydrogen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EME system. The flow rate of hydrogen the penetrated through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y gas permeation was derived from the volume fraction contained in oxygen. In application, we presente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EME system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s a limited range of current density. We estimated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hydrogen of the PEME by applying electrical efficiency caused by overvoltage and the rate of hydrogen loss due to gas infiltration in our mathematical model. We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mathematical model by comparing its prediction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高句麗 古墳의 造營과 祭儀

        정호섭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on tombs of Koguryo, especially stone-filed tombs and mural painting tombs, and Sacrificial Rites. Chapter Ⅱ is a basic step for a synthetic examination of existing reports on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in the region of Jian and then to understand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by the forms and chronology of the royal tombs. This is basic study for burial site and master of the Koguryo stone-filed tombs Stone-filed tombs of Koguryo is consisted of four exterior forms (non-stylobate, fence, stylobate, stairway) and four interior forms (stone outer coffin, stone burial hole , burial hole and chamber, stone burial chamber). Thus the stone-filed tombs of Koguryo has developed by mixing of these forms. Comparing to these patterns of development in forms, we can find out that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which is over 30 meters tall, has only two exterior forms(fence style and stairway style). This means that development to stairway style stone-filed tombs, the mixture of fence style and stylobate style, had been rapid and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had been built in the form of fence style and stylobate style to be as tall as agreeable to the kingship.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in the region of Jian, in the aspect of form categorization, we can suppose that it had developed from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hole o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outer coffin to the stairway style tome with burial hole and chamber and finally to the stairway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chambe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hole o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outer coffin seemed to have existed from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third century and stairway style tome with burial hole and chamber seemed to have existed from the middle of thir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forth century. Among these, stairway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chamber had mainly existed from the middle of four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fifth century and shows the most elaborated form of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Thus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which appeared after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and have their every side over 30 meters are related to the advent of a powerful kingship: this shows that the Koguryo already established the system of a powerful kingship in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In the middle of third century when the stairway style stone-filed tombs appeared, the Koguryo began to grow to claim its own cosmological conception in the forth century. With this development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symbolically shows the transition of kingship. And the buried of Koguryo great stone-filled tomb were examined. Many of researches about buried people in Koguryo stone-filed tombs and locating of Koguryo kings' tombs have been preceded without general analysis on written records. The location of the Koguryo king’s tombs is recently discussed energetically. It is considered better to work based on historical records for the moment. Also, making a chronicle according to the location, size, excavated remains and style of the tomb to figure out approximat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and tomb’s original location is crucial. I will point out few problems in other theories and verify historical facts precisely from Samguksagi, Samgukyusa, Japanese historical material, and inscriptions engraved into stones or metal to scrutinize the location of the Koguryo king’s tomb. Becaus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o king’s tomb is kept on record in Samguk Sagi, if the location of tombs in other studies differ to a great extent from that of Samguk Sagi, that location might be wrong. Gukyang, Gogukwon and Gukgansang are found out to be indicating the same region, a certain plain area around Guknae Castle. Thus, instead of the original theories on river in Ji’an, Gukcheon can be located as Amnok River, Seocheon as Tongu river, Dongcheon as a small river in front of Taewanghyang, Jungcheon as a small river from Woo Mountain to south of Guknae Castle and Micheon as Maseonguha. This implies a number of tombs of Koguryo kings since King Shindae had existed at Woo Mountain tomb or near the Chilsung Mountain tomb group.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Koguryo stone-filed Tomb closely, these kings’ tombs could be located at following places: under mountain castle No. 36(late 2C) as the tomb of King Sindae ; Chilsung Mountain tomb No. 871(early 3C); Woo Mountain tomb No.2110(late 3C) as the tomb of King Jungcheon; Chilsung Mountain tomb No.0211 (late 3C) as the tomb of King Seocheon; Imgang Tomb (late 3C-mid 4C) as the tomb of King Bonsang; Seodae Tomb (early 4C) as the original burial site of King Micheon and Masungu tomb No.2100 (mid 4C) as the second burial site; Woo Mountain tomb No.0540 (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won; Cheonchu Tomb (late 4C) as the tomb of King Sosurim; Taewang Tomb (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yang; Jangun Tomb (early 5C) as the tomb of Gwanggaeto the Great. But now I can't guess tombs of king Gogugchun and King Dongchun. Meanwhil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o nobility is found out to be located based on the land territory of family or one’s hometown. From now on,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investigations on this subject, locating the Koguryo king’s tomb, with great care and from various views. Particularly the way of selecting archaeological features which is regarded as the utmost reliable should be examined divided into two periods: when the tomb is originally established, and when it was restored. Chapter Ⅲ is study on Koguryo mural painting. Until now the remaining number of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was believed to be one hundred and seven. However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the total remaining number of mural painting tombs in China is thirty-eight : thirty-six in Jian area, one in Huanren area and another one in Musoon area. The number of mural painting tombs remaining in North Korea was believed to be seventy-six. And four more can be added to this number: K대msandong tomb in Sunchon area, double room tomb of Jinpari old mound in Pyongyang, Jinpari tomb number 7 and Dankun royal tomb. Accordingly currently confirmable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amount to one hundred and eighteen including thirty eight remaining in China and eighty found in North Korea. Especially mural painting tombs with external formation as a stone-filed tomb and internal construction as a stone chamber are being found : under mountain castle Julchun tomb, under Woo-moutain number 1041 tomb, under Woo-moutain number 3319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1405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1408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725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798 tomb. The fact that wall paintings are discovered in stone-filed tombs gives important suggestion related to the reception of mural painting tombs. I intends to clarify the types of Koguryo mural tombs, which have been excavated up to date, by form of their structures and contents. The form of Koguryo mural tombs can be categorized into 'Da-sil-boon(a burial site which is consisted of more than three rooms; I)', 'Yi-sil-boon(a burial site which is consisted of two rooms; Ⅱ)', 'Dan-sil-boon(a burial site consisted of one room; Ⅲ)' and 'Teuk-soo-boon(a burial site which has a particular structure or shape, thus cannot be defined as being consisted of rooms ; Ⅳ)' in terms of structure. And the form of Koguryo mural tomb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Ⅱ),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decorative patterns(Ⅳ)', 'decorative patterns and Sa-shin-do(Ⅴ), Sa-shin-do(a painting depicting four gods who control four directions Ⅵ) in terms of the contents of mural painting. By these terms, the structure and contents, we can also categorize them into several types: the typeⅠ-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Ⅰ-Ⅱ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Ⅱ), the typeⅠ-Ⅲ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Ⅱ-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 Ⅱ-Ⅱ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Ⅱ), the type Ⅱ-Ⅲ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Ⅲ-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 Ⅲ-Ⅲ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Ⅲ-Ⅳ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ecorative patterns(Ⅳ), the type Ⅲ-Ⅴ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ecorative patterns and Sa-shin-do(Ⅴ), the type Ⅲ-Ⅵ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 Sa-shin-do(Ⅴ). And a particular type which is a combined form of Teuk-soo-boon and portraits and customs(Ⅳ-Ⅰ), Teuk-soo-boon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Ⅳ-Ⅱ) Meanwhile, seeing the structure of the burial chamber of Seoksil-bongto-bun(A kind of a tomb that is portioned with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we can find that seven Jeok-seok-chong(stone-filed tomb) are the type Ⅲ-A, Ⅲ-B and Ⅱ-B. The under mountain castle(San-seong-ha) No.725, under mountain castle No.798, under Woo mountain (Woo-san-ha) No.3319 are the Ⅲ-A types. Th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0.1041, San-seong-ha No.1405 are the Ⅲ-B types. The San-seong-ha N.1408 is the Ⅱ-B type. Among these, th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and Woo-san-ha No.3319 are identified having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as their mural painting. This fact led us to suppose that other three tombs may have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as their mural painting. As a result, we can conclude that these stone-filed tombs can exist in both the type Ⅱ-Ⅰ and the type Ⅲ-Ⅲ. These tombs can be arrayed in this order in time order: (Ⅰ-Ⅰ) · (Ⅲ-Ⅰ) ->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 (Ⅰ-Ⅵ) · (Ⅱ-Ⅱ) -> (Ⅲ-Ⅲ) · (Ⅲ-Ⅳ) -> (Ⅲ-Ⅴ) · (Ⅲ-Ⅵ). With this transition and development proven by formal categorization the chronicle can be defined: The type of (Ⅰ-Ⅰ) is a Da-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Anak N. 3 built in 357 can be the standard for the chronicle. It was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5th century. The type (Ⅲ-Ⅰ), a Dan-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seems to had been built in the near age. The Deokheungri tomb which was built in 408 can be the standard of the type of (Ⅰ-Ⅱ), (Ⅰ-Ⅲ), (Ⅱ-Ⅰ) and (Ⅱ-Ⅲ). They are Da-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and Yi-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and they had been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first half to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type of (Ⅰ-Ⅵ) and (Ⅱ-Ⅱ) are Da-sil-boon with Sa-shin-do or Yi-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or portraits,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These seem to be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nd the late 5th century. The type of (Ⅲ-Ⅲ) and (Ⅲ-Ⅳ) are Dan-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or rooms of regressive form and decorative patterns. These are supposed to be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 type of (Ⅲ-Ⅴ) and (Ⅲ-Ⅵ) are Dan-sil-boon with decorative patterns, Sa-shin-do or Dan-sil-boon with Sa-shin-do. These are supposed to be built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Meanwhile, among the stone-filed tombs seven wall-painted tombs can be divided into three forms: type Ⅲ-A, type Ⅲ-B and type Ⅱ-B by the structure of Seoksil bongto-bun. The type Ⅲ-A are San-seong-ha No.725, San-seong-ha No.798, Woo-san-ha No.3319. The type Ⅲ-B ar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San-seong-ha No.1405. The type Ⅱ-B is San-seong-ha No.1408. Among these stone-filed tombs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Woo-san-ha No.3319 have wall paintings which depict portraits and customs and the rest four tombs are also supposed to have wall paintings depicting portraits and customs. Thus these stone-filled tomb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Yi-Sil-Boon and has wall paintings of portrait and customs, the other is Dan-sil-boon and has wall paintings of portrait and customs. And It was already mentioned that Woo-san-ha No. 3319 is supposed to be built in 357, so this tomb can be the standard of chronicles of ancient Koguryo tombs. Woo-san-ha No. 3319 is a special type of tomb(Gyedan-jeonsil stone-filled tomb; Stairway stone-filled tomb with blocked room) However, this tombs has some traits which provide that it was built relatively earlier than other tombs: It contains celadon porcelains of East Qin. This means it was influenced by the ancient Chinese culture. San-seong-ha No. 798 and 725 have rooms on the route. In other word, this was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considering that Kyedan-seoksil-jeokseok-chong(Stairway stone-filled tomb with stoned room) did not appear until the late 4th century. Woo-san-ha No. 1041 and San-seong-ha No. 1405 and San-seong-ha No. 1408 are stairway-shaped and having one room. They are supposed to be built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is chronicle of ancient Koguryo tomb is provided by the form of table in the text. This chronicle i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tombs whose blueprint could be extracted from the wall painting of them and the content of wall painting could be concretely perceived. Approaching the burier of mural painting tomb is a difficult problem. This paper has tried to verify the burier of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by looking through the records of ‘Samguksagi’, ‘Samgukyusa’ and historical records from Japan. Since the names of burial ground of Koguryo king s are recorded in Samguksagi, not able differences can be ascribed to maladministration of the royal tomb. Anak number 3 tomb had a lot of controversies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burier of the tomb. In the perspective of Dongsu’s tomb, it tried to illustrate the historical estrangement between ink-written writings of the burial ground and ‘Seong-sang-beon(聖上幡)’. Accordingly with the belief that government official position found in ink-written writings of Anak number 3 tomb is false, painting of parade and 聖上幡’s ink writings can also be considered a falsehood. painting of parade and 聖上幡’s ink writings are not drawn to show current livings to be extended again in future life but to show after death would be better than the present. Besides mural painting tombs which express the Gaesae idea (A thought of desiring wealth and prosperity of a lifetime may prolong after death) there are also other mural painting tombs which show hope for better life after-death. Those wishing for better life after-death can be found in ‘王(king)’ portrait designed mural painting tombs and yellow dragon drawn mural painting tombs. After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eongyang,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names of Koguryo kings followed the names of the burial site starting from the Jangsu King. This paper has look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with a perspective that big-sized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in Pyeongyang area are mostly royal tomb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Jangsu royal tomb has a high possibility of existing in Pyeongyang area. And to be more specific, it may be Dongmyung royal tomb. Jinpari old mound in the area of Dongmyung royal tomb ha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in the construction area of Koguryo royal tomb. Therefore Jinpari number 1, 4 and 7 can be understood as the possession of Anjang king, Munjamyung king and Joda. Samguksagi confirms that several names of the kings originated from their burial site names starting from Anwon king. From Anwon king, royal tomb construction areas were divided to different individual areas. Therefore big-sized Seoksil bongto-bun(A kind of a tomb that is portioned with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found in Pyeongyang area has high possibility of being a mural painting royal tomb which was built after sixth century. Currently confirmed mural painting tombs built after sixth century are Gaema tomb, Naeri number 1, Jinpari number 1, Jinpari number 4, Jinpari number 7, Honamri sasin tomb, Gangseo big tomb, Gangseo middle tomb and so forth. Among these some may be built into royal tomb. This paper has assumed Honamri sasin tomb as the Anwon king. Moreover it is hard to discuss both Gangseo big tomb and Gangseo middle tomb as a royal tomb. Only Gangseo big tomb can be said as a king Pyongwon's tomb. Hereafter, Koguryo royal tomb location problem should be conducted with a more diversified examination. Chapter Ⅳ is study on Sacrificial Rites of Koguryo tombs. This study observes the construction of Koguryo stone-filed tombs and the act of ancestral rit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 of Koguryo people’s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Archaeological data and documentary record about Myo-sang architecture(Build and architecture above a tomb), altar, Bae-chong(small tomb situated next to the main tomb), arbor, tomb furnishing, mural painting, Sumyo(ancient custom of guarding a tomb) that can be seen on Koguryo stone-filed tombs history or the boundaries of a grave are examined. Generally funeral rit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Bin-ryeong rites’ held right after a person’s death until main funeral, ‘Jang-song rites’ held from the grave, ‘Myo-jeon rites(ceremony held in front of tombs)’ after the burial and ‘Chu-seon rites’ which can be added as an option. Myo-sang architecture of the stone-filed tomb may have functioned as a symbolic meaning of a king’s bedchamber or at least as a place which holds a ceremony or an ancestral rite. Stone-filed tombs with myo-sang architectures are mainly those built in huge sizes. Namely the owner of a tomb with a bedchamber may be a king, a person from a royal family or a noble class. Currently the remains of an altar are in an ambiguous state. However it can be considered as a temporarily built ceremonial facility related to Myo-jeon rites. Likewise the case of ‘Bae-chong’ also has some controversy but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a notable facility concerning after-death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Documentary records of Koguryo stone-filed tomb confirm that arbores found inside the boundaries of a grave are related to tree-cult religion and can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hu-jang. Sumyo custom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documentary records is not directly related to ‘Simyosali’(offsprings taking care of their parents grave by living next to it for few years.). However it can be thought as a kind of ‘Chu-seon rites’ in the aspect of protecting and managing royal tomb. Grave goods found in Koguryo stone-filed tombs are an important outcome concerning ancestral rites. Especially a large amount of roof tiles, inscriptive end pieces of roof tiles, bells, bricks reflect ancestral rites and after-death related religions. Intentional demolition of grave goods also took place in Koguryo. Mural painting which gained attention as a funeral art of ‘Seoksil-Bongto-bun(kind of tomb that is portioned with a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is found in six wall-painted tombs of stone-filed ones. Therefore it should not be neglected. Wall paintings of stone-filed tombs are mostly those showing living customs which can be connected to ‘Gaesae idea’(thought of desiring wealth and prosperity of a lifetime may prolong after death). Hence Koguryo people’s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are confirmable through Myo-sang architecture, altar, Bae-chong, excavated relic, mural painting and documentary record. Since stone-filed tombs were constructed with a focus on their external form, ancestral rites were mainly expressed to the outer part. Big-sized stone-filed tombs with Myo-sang architecture, altar, Bae-chong, Sumyo-in(Person who guards a tomb)are generally huge-sized ones that belong to the royal family. And this study is on the religious mind and the relevant matters by wall paintings and the facilities in the Seoksil-bongto-bun. Seoksil-bongto-bun have a big size, but express the religious mind or ceremony in interior of tomb. Especially the interior structure and the facilities or traces depicted on the wall paintings contain the religious mind and ceremony form of the period of Seoksil-bongto-bun of Koguryo. Thus this seems to be the reason why a Seoksil-bongto-bun seldom contains exterior facilities. Furthermore, the ancient Koguryo tombs had developed in two different ways in the level of stone-filled tomb and Seoksil-bongto-bun. Of course, these stream had accompanied the transition of tomb form and the religious mind or mind of the people of Koguryo. It means that understanding the tombs or wall paintings can lea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mind or ideas of that period. Diversified examination on the religious mind and the form of ceremony of Koguryo will be needed. In addition, research on Korean own religion or religious mind expressed on the wall paintings should be carried out. The above research shows that the form of ancient Koguryo tomb has changed from the stone-filled tomb to the Seoksil-bongto-bun. From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stone-filled tombs of big size, more that 30 meters per side, began to appear and became the tomb for royal family or upper class. From the 4th century the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became abundant by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and after 5th century it became the tomb for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instead of the stone-filled tomb. Thus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in which the tomb for the highest ranks appeared, is an important key to figure out the feature of Koguryo dynasty's kingship and the 4th century, in which the change from stone-filled tomb to the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is apparent,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the transition of ancient Koguryo tomb style. This changes are contemporary wit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from Guknae castle to Pyeongyang. From that time the Stone-filled tombs began to be equipped with the big stoned room and Seoksil-bongto-bun and stone-filed tomb are combined to some degree to become the Bangdan-seoksil-bongto-bun and after this Seoksil-bongto-bun become the royal tomb. Meanwhile the concept of the future life and the funeral ceremony of the rulers of Koguryo was concretely revealed by the whole examination of the tombs. At least, the facilities of royal tombs and the burial system of royal family was revealed to a certain extent and in the level of wall-painted tomb the interior facilities shows the status of the buried. The stone-filled tomb and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reflects the true character of Koguryo. The Koguryo wall-painted tomb with the essential elements of stone-filled tomb, Sa-shin-do and decorative patterns is one of ancient Koguryo tomb's original character distinguished from ancient China tomb's.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도 대형 적석총과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하여 고구려 왕릉급 혹은 지배층의 무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집안일대 대형 적석총에 대하여 기존 보고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고구려 왕릉급 대형 적석총의 형식과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구려 왕릉 비정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인 측면이 강하다. 고구려 적석총은 전반적으로 무기단, 계장, 기단, 계단의 4가지 외형과 매장부가 석곽, 석광, 광실, 석실의 4가지 매장부 형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고구려 적석총은 이들 형식의 조합에 의해 변화·발전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발전의 양상을 감안하고서 집안 일대의 대형 적석총을 살펴보면, 30미터 이상의 왕릉급 대형적석총의 외부형식은 계장과 계단의 2가지 형태만 나타난다. 이것은 계장식과 기단식이 혼합된 계단적석총으로의 이행이 비교적 급속도로 이루어졌고, 대형 적석총은 왕릉급의 위상에 맞는 높이를 고려하여 계장식이나 계단식으로만 축조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집안 일대 왕릉급의 대형 적석총은 형식 분류와 함께 생각해보면 계장석광 혹은 계장석곽적석총에서 계단광실적석총으로 발전해서 최종적으로는 계단석실적석총으로 가장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집안일대 대형적석총의 편년은 대체로 계장석광 혹은 계장석곽적석총이 2세기 중반 - 3세기 전반, 계단광실적석총이 3세기 중반 - 4세기 전반까지 존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가운데 횡혈식의 계단석실적석총은 4세기 중반 - 5세기 전반에 주로 존재하며, 고구려 적석총 가운데 가장 완성된 형식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세기 중반 이후에 등장하는 각변 30미터 이상의 대형 적석총들은 국왕 중심의 강력한 왕권의 등장이라는 측면과 연결되는데, 이미 고구려에서는 적어도 2세기 중반경에 국왕 중심의 강력한 지배체제가 확립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계단적석총이 등장하는 3세기 중반에 고구려는 더욱 성장하여 4세기 이후 독자적인 천하관을 표방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과 함께 고구려의 대형 적석총도 고구려 왕권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 대형 적석총의 축조에 있어 壽陵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아울러 고구려 왕릉에 대한 위치비정 문제를 논의를 『三國史記』,『三國遺事』, 일본측 사료, 금석문 등의 기록에서 먼저 검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고구려 왕의 장지명이 『三國史記』 등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의 기록과 큰 차이가 있는 경우는 왕릉 비정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록을 통해 검토한 결과 고구려의 國壤, 故國原, 國岡上 지역은 같은 지역을 이르는 명칭이며, 이곳은 국내성 일대의 한정된 평야지대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관점에서 고구려 집안지역의 하천에 관해서 기존설을 비판하고 國川을 압록강으로, 西川을 통구하로, 東川은 태왕향 앞을 흐르는 소하천으로, 中川을 우산하에서 국내성 남벽을 따라 흘러가는 하천으로, 美川을 마선구하로 비정하였다. 따라서 고구려 신대왕 이후 많은 왕들의 무덤은 대부분 國壤, 故國原, 國岡上 등으로 표현된 국내성일대의 평야지대 즉 대체로 우산하 고분군이나 칠성산 고분군, 산성하 고분군 인근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로선 고구려 대형 적석총의 발전단계와 왕의 장지를 연결시켜 보면 다음과 같이 비정이 가능할 듯하다. 즉 신대왕릉은 산성하전창 36호분 혹은 전창 145호분(2세기 후반), 고국천왕릉은 우산하 2111호묘(2세기말), 산상왕릉은 칠성산 871호분(3세기 전반), 동천왕릉은 현재로선 비정이 어렵다. 중천왕릉은 우산하 2110호분(3세기 후반), 서천왕릉으로 칠성산 0211호분(3세기말), 봉상왕릉으로 임강묘(3세기말-4세기 전반경), 미천왕의 초장릉은 서대묘(4세기 전반)로, 개장릉은 마선구 2100호분(4세기 중반), 고국원왕릉으로 우산하 0540호분(4세기 후반), 소수림왕릉으로 천추총(4세기 후반), 고국양왕릉으로 태왕릉(4세기 후반), 광개토왕릉으로 장군총(5세기 전반)으로 비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고구려 벽화고분은 국내에서는 107기로 정리되어 왔는데, 연구사적 검토를 통해 살펴본 결과 집안지역 36기, 환인지역 1기, 무순지역 1기로 중국지역내에 존재하는 벽화고분의 수는 38기로 파악된다. 그리고 북한지역의 벽화고분의 수는 그동안 76기로 정리되어 왔는데, 4기의 벽화고분을 더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순천지역의 검산동 고분, 평양의 진파리 고분군내의 쌍실무덤(16호분), 진파리 7호분, 傳단군릉이 이에 해당된다. 이렇게 보면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은 중국지역 38기, 북한지역 80기 등 총 118기에 이른다. 고구려 석실봉토벽화고분 가운데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묘실구조에 따라 형식 분류를 시도하였고, 미술사적 측면에서 벽화내용을 통해 형식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두 가지의 형식 분류를 종합하여 보면 고구려 벽화고분은 크게는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Ⅰ-Ⅰ),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Ⅰ-Ⅱ),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Ⅰ-Ⅲ), 다실분이면서 사신도(Ⅰ-Ⅵ),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Ⅱ-Ⅰ),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Ⅱ-Ⅱ),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Ⅱ-Ⅲ),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Ⅲ-Ⅰ),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Ⅲ-Ⅲ),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Ⅲ-Ⅳ),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와 사신도(Ⅲ-Ⅴ), 단실분이면서 사신도(Ⅲ-Ⅵ), 특수형의 동혈다실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Ⅳ-Ⅰ), 이혈 석실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Ⅳ-Ⅱ)의 유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선후관계는 큰 흐름상에서 보면 (Ⅰ-Ⅰ) · (Ⅲ-Ⅰ) ->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 (Ⅰ-Ⅵ) · (Ⅱ-Ⅱ) -> (Ⅲ-Ⅲ) · (Ⅲ-Ⅳ) -> (Ⅲ-Ⅴ) · (Ⅲ-Ⅵ) 순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형식 분류를 통해 본 벽화고분의 변화와 발전을 감안하면 벽화고분은 편년은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겠다. (Ⅰ-Ⅰ) 유형은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고분으로 안악 3호분이 절대연대인 357년경의 고분을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시기인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후반경까지 주로 유행한 고분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Ⅲ-Ⅰ)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고분도 비슷한 시기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유형은 408년경으로 절대연대가 확보되는 덕흥리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같이 그려진 고분과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가 주로 그려지는 고분들이다. 대체로 5세기 전반에서 중반 경까지에 해당된다. (Ⅰ-Ⅵ) · (Ⅱ-Ⅱ) 유형은 다실분이면서 사신도,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이나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벽화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중반경에서 후반경의 고분으로 보인다. (Ⅲ-Ⅲ) · (Ⅲ-Ⅳ) 유형은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같이 그려진 고분과 퇴형형 감실을 가진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가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중반에서 6세기 전반경의 고분으로 이해된다. (Ⅲ-Ⅴ) · (Ⅲ-Ⅵ) 유형의 고분은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와 사신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과 단실분이면서 사신도가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경까지의 고분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적석총 가운데에 벽화가 있는 7기의 고분에서도 석실봉토분의 묘실구조를 통해 볼 때 Ⅲ-A식과 Ⅲ-B식, 그리고 Ⅱ-B식 3가지 형식이 나타난다. Ⅲ-A식은 산성하 725호묘, 산성하 798호분, 우산하 3319호묘 Ⅲ-B식은 산성하 절천정묘, 우산하 1041호묘, 산성하 1405호묘, Ⅱ-B식은 산성하 1408호묘이다. 이들 적석총의 벽화는 산성하 절천정묘, 우산하 1041호묘, 우산하 3319호묘는 벽화가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머지 4기의 고분 역시 인물 및 생활풍속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 적석총은 전체적으로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유형과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우산하 3319호분이 357년경에 축조된 것으로 짐작되기 때문에 편년의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우산하 3319호분은 계단전실적석총이라는 특이한 형태의 고분이다. 그러나, 이 고분은 동진계 청자의 출토 등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국 문화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산성하 798호분이나 산성하 725호분은 연도부에 일종의 감실을 갖춘 계단석실적석총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의 고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계단석실적석총의 등장이 4세기 후반에나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5세기 전반경으로 적석총으로 볼 수 있다. 우산하 1041호분과 산성하 1405호분, 산성하 1408호분은 계단형으로 단실을 갖춘 형태로 모두 5세기 중반경에 축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 벽화고분에서 도면의 확보가 가능하고 벽화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분을 대상으로 본문에서 표로 제시한 바와 같이 고구려 벽화고분에 대한 필자의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벽화고분의 피장자 비정을 위하여 우선 묘지명이 남아있는 안악 3호분, 덕흥리고분을 실견하여 판독문을 제시하였고, 모두루총에 대한 기존 판독문을 정리하였다. 그동안 피장자 문제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던 안악 3호분은 동수묘라는 입장에서 묘지로 파악되는 묵서와 ‘聖上幡’ 사이의 역사적 괴리를 설명해 보고자하였다. 이에 따라 안악 3호분의 묘지묵서에 나타난 관직이 허구적이다는 견해를 따라 대행렬도와 성상번의 묵서도 허구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대행렬도와 ‘聖上幡’이라는 묵서는 생전 생활이 내세에 그대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점에서 그려진 것이 아니고 내세에서 생전보다 더 나은 삶은 바라는 염원이 담겨져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고구려 벽화고분 가운데 계세사상을 표현한 것 이외에도 내세에서의 보다 나은 삶에 대한 소망을 담은 벽화고분들은 王자도안이 새겨진 벽화고분이나 황룡이 그려진 벽화고분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고구려 벽화고분도 왕릉에 해당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三國遺事』, 일본측 사료 등의 기록에서 먼저 검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고구려 왕의 장지명이 『三國史記』 등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의 기록과 큰 차이가 있는 경우는 왕릉 비정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양천도 이후인 장수왕부터 시작되는 고구려 왕호도 대체로 葬地名 왕호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양일대에 산재한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는 위계적으로 볼 때 대형 벽화고분이 왕릉일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하여 문헌기록을 살펴보았는데, 장수왕릉은 평양지역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고 구체적으로는 傳동명왕릉이 아닐까 생각된다. 동명왕릉 지구내 진파리 고분군도 고구려 왕릉의 축조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진파리 1호분, 4호분 안장왕, 문자명왕의 무덤으로 이해하였다. 『삼국사기』를 통해 볼 때 안원왕대부터 몇 왕은 장지명 왕호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안원왕대부터 왕릉 조영지가 각기 다른 개별지역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평양 일대의 대형 석실봉토분 가운데 6세기 이후로 편년되는 벽화고분이 왕릉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현재까지 확인되는 평양일대 6세기 이후의 벽화고분으로는 개마총, 내리 1호분, 진파리 1호분, 진파리 4호분, 진파리 7호분, 호남리 사신총, 강서대묘, 강서중묘 등이 확인된다. 아마 이들 가운데에서 일부가 왕릉으로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호남리 사신총을 안원왕의 무덤으로 추정하였고, 그동안 왕릉으로 거론되어 온 강서대묘, 강서중묘 등 모두를 왕릉으로 비정하는 것은 어려울 듯 하며, 강서대묘만을 평원왕릉으로 비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고구려 왕릉 축조에 있어 수릉과 귀장은 현재로선 인정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고구려 고분의 축조와 제의 행위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고구려 적석총 단계의 능역 혹은 묘역 내에서 파악되는 墓上建築, 祭臺, 陪冢과 함께 樹木, 副葬品, 壁畵, 守墓 등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기록의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상장의례는 사람이 죽은 직후부터 本葬까지의 殯斂儀禮, 묘소에서의 葬送儀禮, 매장이 끝난 이후의 墓前儀禮라는 3단계로 나누거나 여기에 追善儀禮가 추가되기도 한다. 적석총 묘상건축은 영혼이 머무르는 상징적인 寢殿으로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祭臺는 현재로선 유구의 성격이 불명확하긴 하지만 墓前儀禮와 관련하여 임시적으로 축조한 제의관련 시설물 정도로 생각된다. 陪冢의 경우도 그 성격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고구려인의 사후 신앙과 제의와 관련하여 주목할 수 있는 시설물임은 부정할 수 없을 듯하다. 한편 고구려 적석총 단계의 문헌에서 확인되는 묘역내의 樹木은 神木신앙과 관련되고 厚葬의 한 요소로 파악된다. 아울러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되는 守墓制도 후손에 의한 직접적인 시묘살이는 아니겠으나, 능묘를 보호하고 관리한다는 측면에서는 追善儀禮의 일종으로 생각해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의 적석총에서 확인되는 부장품도 제의와 관련한 중요한 산물이다. 특히 다량의 기와나 명문와당, 방울, 전돌 등에도 제의나 사후세계와 관련된 신앙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고구려에서도 부장품의 의도적인 훼기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아울러 그동안 석실봉토분의 장의미술로 주목을 받아왔던 벽화도 적석총에서 7기의 벽화고분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소홀히 할 수 없을 듯하다. 적석총의 벽화도 주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계열의 벽화로 繼世思想과 연결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구려 적석총에서는 주로 외형적인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축조한 묘제였던 만큼 그 제의의 일면도 대체로 외부에 주로 표현되었다고 생각된다. 대형 적석총 가운데 묘상건축, 제대, 배총, 수목, 수묘인 등을 모두 갖춘 무덤은 대체로 대형 적석총으로 왕릉급 무덤에 해당될 것이다. 석실봉토분 단계에서의 신앙과 제의 양상을 묘지명, 벽화와 함께 특히 고분 내부 구조에 나타나는 시설물을 주목해보았다. 이를 통해 석실봉토분도 물론 대형 분구의 축조라는 외형적인 측면과 함께 주로 내부에 고구려인의 신앙이나 제의의 일면이 표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덤의 내부 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감실, 석상, 관대, 석주, 휘장 구멍, 迎門石 등의 내부 시설물과 명문이나 벽화에 나타난 여러 정황들은 고구려 석실봉토분 단계의 신앙과 제의를 담아내고 있다. 따라서 석실봉토분에서 외부 시설물이 잘 확인되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점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이처럼 고구려 고분에는 적석총과 석실봉토분 단계에서 위와 같이 각각 다른 양상으로 제의 양상이 발견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양상은 무덤의 형식의 변화와 고구려의 신앙이나 정신세계의 변화와 함께 수반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분이나 벽화를 통해 이러한 고구려인의 신앙과 관념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보면 고구려의 고분 양식은 적석총에서 봉토분으로의 변화되었다. 2세기 중반부터 각변 30미터 이상의 큰 규모의 적석총이 등장하여 5세기 전반경까지 고구려의 왕릉 혹은 상위 신분층의 무덤이 되었다. 중국의 영향으로 4세기경부터 점차 많이 등장하는 석실봉토벽화분은 5세기 이후가 되면 적석총을 대신하여 고구려 왕릉 혹은 상위 신분층의 무덤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고구려 최상위 신분의 무덤이 출현하는 2세기 중반은 고구려 왕권의 성격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적석총에서 석실봉토벽화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은 4세기이므로, 4세기를 고구려 고분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흐름이 특히 평양천도를 전후한 시점에서 왕릉이 대형 적석총에서 석실봉토벽화분으로 채택된다. 이것은 적석총에서도 대형 석실을 갖춘 무덤들이 발전하면서 평양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재래의 석실봉토분과 적석총이 어느 정도 결합되는 양상이 방단봉토석실분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으며, 이후 적석총을 대신하여 왕릉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한편 고구려 고분에 나타난 제의 양상을 통해서 고구려 지배층이 가지고 있던 내세관이나 상장의례의 구체적 모습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적어도 왕릉에서 확인되는 묘역시설이나 능원제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고, 벽화고분 단계에서 주로 내부적인 시설들을 통해 피장자의 위상이 드러나고 있음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고구려를 대표하는 적석총과 석실봉토벽화분에는 고구려의 정체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 돌로 무덤을 만든 적석총이나, 사신이나 장식도안이 중심이 되는 벽화분은 중국과는 구별되는 고구려 고분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 5~6세기 경주지역 고분의 위계구조 연구

        이동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新羅古墳에 대한 硏究는 그 분포상과 묘제의 변천상을 통해 당시 신라사회의 문화 전반을 이해하고 인식하는데 있어서 자료가 부족한 古代 新羅地域에 존재한 政治體의 실체를 밝히는데 많은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신라지배층의 묘제인 積石木槨墓의 연구에만 너무 편중되어 신라고분을 통한 사회계층 연구나 문화상 등은 신라지배층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국한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古墳資料는 그 수가 다른 어떤 자료보다 많다는 점과 고분이 당시 사람들이 살던 곳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조성되었고, 한 집단은 한 곳에 계속 고분을 조성한다는 점이 당시의 사회상을 파악하는 자료로서 고분의 적합성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분자료를 기본으로 하고, 관계되는 문헌사료도 인용하여 考古學方法論에 문헌사료를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경주지역에 대한 권역설정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자연지리적 환경을 기준으로 권역을 설정한 연구가 다수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권역설정의 문제를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수계와 지형을 고려한 자연지리적 환경과 문헌자료를 기준으로 고분의 분포권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경주지역을 자연지리적으로 구분하면 경주 분지는 세 강의 支流로 둘러싸이는 저지대 분지로 이루어졌지만, 그 중심지 바깥으로는 하천변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산간계곡의 대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경주지역은 月城과 大陵苑을 중심으로 한 경주분지 일원과 울산방면으로 연결되는 조양동과 구정동을 중심으로 한 동남부권, 언양방면으로 연결되는 내남면을 중심으로 한 남부권, 영천방면으로 연결되는 건천읍을 중심으로 한 서부권, 그리고 포항방면으로 연결되는 강동면과 천북면을 중심으로 하는 북부권, 마지막으로 토함산 동쪽에 위치한 감포읍와 양북면, 양남면 일대를 중심으로 한 동부권으로 지리적 공간을 규정할 수 있다. 동부권의 감포지역은 경주지역과는 토함산을 기점으로 지리적인 단절을 보이는 곳으로 경주주변권역으로 포함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감포지역은 사로국 초기 탈해의 이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기 때문에 경주주변권역으로 포함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 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는 묘제는 적석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가 확인되며, 그 시기는 5~6세기대에 조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고분 분포권별 고분자료를 바탕으로 규모와 부장 유물에 대한 조합상 등을 구분하여 기준으로 설정하여 검토한 결과 모두 9단계의 위계가 확인되었다. 이를 기준으로 고분에 대한 위계화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위계화를 기준으로 각 고분의 분포권에 적용하자 모두 6단계의 고분군간 위계가 확인되었다. 그 결과 고분 분포권간에는 상위위계와 하위위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분포권간의 위계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가’지역을 비롯한 ‘다’지역과 ‘라’지역에 비해 ‘바’지역의 고분이 하위의 묘제와 부장유물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위계차이의 원인을 당시 六部의 위치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종합해 보면, 경주분지 일원인 ‘가’지역은 喙部(梁部)의 범위로 비정되고, 동남부권의 조양동과 구정동 일원인 ‘나’지역은 本彼部로, 남부권의 내남면 일원인 ‘다’지역은 沙喙部(沙梁部)로, 서부권의 건천읍과 서면 일원인 ‘라’지역은 牟梁部(岑喙部), 북부권의 천북면과 강동면 일원의 ‘마’지역은 習比部로, 동부권의 감포읍과 양북면, 양남면 일원인 ‘바’지역은 漢岐部로 각각 비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동향에 관련하여 문헌자료를 검토한 결과 당시 정치적 동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지역과 ‘나’지역인 喙部와 沙喙部는 이 시기 이들 部의 정치적인 영향력이 다른 여타의 部들을 능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분 역시 최상급의 적석목곽묘를 비롯하여 상위에 속하는 고분이 확인된다. ‘라’지역(서부권)은 6部 가운데 牟梁部로 박씨 집단의 근거지로 보인다. 이들은 김씨 집단과 지속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이 후 왕비를 배출할 정도로 자신들의 세력을 유지하였으며, 이로 인해서 이 지역에서는 ‘가’지역에 분포하는 고분들과 동일한 묘제인 적석목곽묘가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적석목곽묘는 규모나 부장품의 수준이 ‘가’지역의 적석목곽묘보다는 하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 김씨 집단보다는 하위의 고분을 축조하는 집단으로 생각된다. 반면 ‘바’지역(동부권)은 6部 가운데 漢岐部로 실성과 눌지의 권력싸움에서 실성을 지원하였지만 폐하고 말았다. 이로 인해서 漢岐部 세력은 큰 타격을 받았고, 그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바’지역의 고분에서도 확인이 된다. 타 지역에서 보이는 적석목곽묘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으며, 수혈식석곽묘 역시 중형이나 소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부장유물 역시 상당히 빈약한 편이었다. ‘나’지역인 本彼部와 ‘마’지역인 習比部는 금석문의 내용으로 보아 喙部와 沙喙部, 牟梁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漢岐部와 같이 국정운영에 배제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지역의 고분은 하위에 속하는 적석목곽묘와 상위의 수혈식석곽묘가 확인되고 있으며, ‘가’·‘다’·‘라’지역에 비해서는 하위에 속하고, ‘바’지역보다는 상위에 속하는 고분이 확인되었다. 이로 보아 고분자료에 나타나는 각 분포권의 위계구조 차이는 단순히 지형적 단절이나 해당지역에서만 나타나는 지역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당시 정치체의 위상과도 일정부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고분자료만으로 당시 정치체의 존재와 내부구조의 복원, 문헌자료와의 비교·검토는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니다. 그 자체가 상당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며, 자료의 분석과 해석의 결과인 이러한 인식은 재고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본 고분자료를 통한 당시 정치체의 존재와 위계구조의 복원, 문헌자료와의 비교·검토는 당시 경주지역에 존재했던 각 정치체의 실체를 밝히는데 유효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Researches on Silla Ancient Tombs have provided a lot of resources to figure out the political systems of ancient Silla area about which there is no enough resource to understand and to recognize the culture of Silla society through its ranges and changes of tombs. The researches so far, however, have focused only on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the tombs of Silla ruling class. Thus, the researches or understanding of culture has been limited only to recognize the ruling class' culture. Nevertheless, the amount of data regarding to the tombs is a lot more than any other, the range of tombs is not far from where general citizens had lived, and a group tended to build tombs on the similar locations. These facts meant the suitability that tombs can role as important resources to find out then social atmosphere. Therefore, this research is mostly based on the data of tombs and referred to the related documentary records so that archeological methodology and documentary records are combined. Regarding to the area settlemen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which set the area according to natural circumstances. In this research, however, we recognized the problem of area settlement and set the area of tombs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and natural circumstances including water system and geographical features. Thus, Gyeongju is formed of lowland basin that is surrounded by branch streams of three rivers. However, a long mountain of valleys is formed through the outside of the central area. Based on this, Gyeongju has five districts; South-East District which is centered around Joyang-dong and Gujeong-dong connected to the Ulsan and Gyeongju basin area around Wolseng and Daereungwon, South District around Naenam-myeon which is connected to Unyang, West District around Geonchen-eup which is connected to Yeongcheon, North District around cheonbuk-myeon and Gangdong-myeon which is connected to Pohang, and East District around Yangbuk-myeon, Yangnam-myeon, and Gampo-eup located at the east side of Toham mountain. Gampo area of East District which is somehow geographically unconnected starting from Toham mountain may not be involved in Gyeongju. But it seems resonable to keep this area within Gyeongju considering historical fact that Gampo area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move of Talhae in early Saroguk era. Also, it was confirmed that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nd Stone-Lined Tombs have found frequently and the era also was confirmed as 5th and 6th centuries. Based on the range data of tombs, the total 9 levels of rank has been confirmed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size and association of remains within the tombs. Based on this, we ranked the tombs and the rank of total six levels of tombs was confirmed based on this rank system. As a result, there was a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class tombs and between the range of tombs as well. We could see that ‘Ba’area had more tombs of low class and more tombs with remains compared to ‘Ga’·‘Da’·‘Ra’areas. To integrate the reasons for this difference between the ranks through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location of Six tribes , a part of Gyeongju basin‘Ga’area can be assumed as Hue tribe(Ryang tribe), a part of Joyang-dong and Gujeong-dong in South East District ‘Na’area can be assumed as Bonpi tribe, a part of Naenam-myeon in South District ‘Da’area as Sahue tribe(Saryang tribe), a part of Geonchen-eup and Seomyeon in West District ‘Ra’ as Moryang tribe(Jamhue tribe), a part of cheonbuk-myeon and Gangdong-myeon in North of Bookcheon ‘Ma’ as Seupbi tribe, and a part of Gampo-eup , Yangbuk-myeon, Yangnam-myeon in East District ‘Ba’ can be assumed as Hangi tribe. We also could find out that this tendency was related to then political situation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records. It seems that Hue tribe and Sahue tribe area, ‘Ga’ and ‘Na’area, had more political power over other areas. Tombs in these two areas are high rank tombs lik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Ra’area seems to be the base of Moryang tribe Park family among Six tribes. They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Kim family, maintained their power so that they had a queen from their family, thus there ar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just like ‘Ga’ area has many of them. But, as long as the tombs here are smaller in size and have lower quality remains within them, it is assumed that Park family's social rank was not as high as Kim family's. On the other side, ‘Ba’area supported Silseong in the power struggle between Hangi tribe and Silseong of Six tribes but Silseong failed. Accordingly, Hangi tribe had a serious damage and lost its power. Tombs of ‘Ba’area has this aspect as well.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in other areas was not confirmed at all, there are more middle or small size Stone-Lined Tombs, and the remains were in poor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epigraph, Bonpi tribe in ‘Na’area and Seupbi tribe in ‘Ma’area were not excluded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with Hangi tribe but didn't have as much power as Hue tribe, Sahue tribe, and Moryang tribe. There are low ranked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nd high ranked Stone-Lined Tombs in this are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area was lower ranked than ‘Ga’·‘Da’·‘Ra’ and higher ranked than ‘Ba’area. It is not a simple work to compare and investigate political parties, restoration of internal structure and based only on documentary records. We have to admit that this work itself may have significant danger and it is possible that the recognization as a result of record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might be fixed.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an be acknowledged that we could approach toward the political parties of Gyeongju through this restoration work as one of the ways to get closer to the historical facts. Thus, I would like to say this is meaningful by itself as another way to get to know the political parties in Gyeongju through documentary records.

      • 전통 고분의 축조형식에 따른 구조해석 및 안전성 평가

        이하나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1. 서론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고분구조물은 자연재해와 야생동물들로부터 시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구조물 전체가 봉토로 둘러싸여 있으며, 현존하는 고분구조물은 시대별, 지역별, 축조형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고분의 구조형식 및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충청지역의 고려시대 무덤 연구(양미옥, 2005),7) 신라왕릉의 기원과 변천(임근직, 2006),8) 한성기 백제 횡혈식 석실분 연구(김문옥, 2010)10) 등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반면, 고분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고분구조물은 실 내부에 존재하는 유물을 통하여 과거시대 및 문화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는 고분구조물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많은 수의 고분구조물이 존재하지만 구조물의 특성상 내부 실측 및 조사가 쉽지 않아 공학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고분구조물에 발생하는 손상사례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고분구조물의 보존 및 복원에 따른 해체 및 재축조시 공학적 기초자료가 매우 부족하며, 보수이후의 구조적 거동특징을 검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구조 공학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엔지니어들에게 중요한 도전과제로 남아있다. 조적식구조물인 고분은 불연속체구조물로서 연속체구조물과는 다른 역학적 거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거동특성 파악을 위해서는 불연속면에 대한 모델링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고분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해 석재 사이의 미끄러짐, 대변위 및 회전, 균열에 의한 벌어짐, 석재의 완전한 분리, 새로운 접촉면의 탐색이 가능한 개별요소법을 사용하고자하며, 석재의 접촉면을 분석하여 접촉면 알고리즘을 적용한 유한요소해석기법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고분구조물의 천장형식에 따라 대표모델을 선정하여 구조모형화 및 구조해석을 수행하고자한다. 고분구조물은 자중뿐만 아니라 상부의 봉토하중과 측면의 토압이 횡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이에 따라 고분구조물의 역학적 거동특성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장형식에 따라 고분구조물을 구분하여 대표모델을 선정하고, 고분구조물의 축조형식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거동특성을 평가하고자한다. 또한, 고분구조물에 나타나는 손상사례를 반영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1.2 연구내용 및 방법 고분구조물은 천장형식에 따라 평천장과 궁륭식 천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평천장의 경우 5~6개의 큰 부재로 구성되어 상부하중을 전달하며, 비교적 잘 다듬어진 부재로 축조되었다. 궁륭식 천장은 주로 자연석으로 축조되며, 폭과 너비의 비율에 따라 상부 방석의 축조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고분구조물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시신을 보호하기 위해 봉토로 둘러싸여 있어 상부에서 적용하는 봉토하중과 측면 토압 및 자중을 고려해야한다. 또한, 수직으로만 상부하중을 고려하는 평천장과 봉토와 상부부재의 접촉면에 대한 각도를 고려한 궁륭식 천장의 구조거동이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궁륭식 천장의 경우 라이즈비에 따라 상부 방석의 다양하게 축조되어 구조물의 거동이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측조사를 통해 국내 고분구조물의 축조형식 및 구성부재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형화 및 구조모형화를 수행하며, 개별요소해석기법 및 유한요소해석기법을 적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고분구조물의 거동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구조해석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응력 및 변위형상을 분석하고, 고분구조물에 나타나는 손상유형을 분석하여 대표손상사례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德興里古墳 壁畵硏究

        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高句麗 古墳壁畵 가운데 人物風俗系에 속하는 초기고분으로 408년이라는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德興里古墳의 묘실구성에서 적용되는 규칙을 前室 天井의 도상들과 墓主像, 行列圖의 분석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이후 전개되는 고분벽화의 변화양상의 기준점으로 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덕흥리고분의 벽화는 羨道와 通路의 천정을 제외한 모든 벽면에 그려져 있는데 前·後室의 천정에는 주로 天上世界와 관련된 것을, 벽면에는 墓主像을 중심으로 생전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덕흥리고분의 구조는 三國·魏·晋시기 중국의 네 개의 고분조성 지역에서 前·後室의 二室墓 구조와 남북을 중심으로 한 軸구조, 우주관념에 따라 벽면을 位階的으로 그린 점에서 西北지방의 酒泉 丁家閘5號墓(386-441년)와 친연성을 보인다. 덕흥리고분에서만 볼 수 있는 前室 天井의 牽牛·織女像은 견우는 한 손은 소를 끌고 한 손은 올린 모습으로, 직녀는 손을 모으고 있는 모습에서 중국의 견우·직녀 도상과 같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음력 7월 북반구의 남쪽하늘에서 볼 수 있는 견우·직녀를 남쪽 천정에 그린 것은 고구려의 발달한 천문지식을 반영한다. 고구려의 仙人은 중국의 선인이 羽毛를 강조하는 데 비해 옷자락과 乘鳥를 타고 飛行의 자세로 그려진다. 전실 천정벽화에 있는 怪禽·怪獸들은 북벽의 地軸, 天馬, 北斗七星 남벽의 견우·직녀, 猩猩, 南斗六星 동벽은 靑陽, 東雙三星 서벽은 西雙三星과 같이 방위와 관련된 도상들을 고분내에서 위치에 맞게 그려 방위개념을 중요시 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17개의 괴금·괴수 중 11개가 새의 형태로 가장 많은데, 東夷계의 神鳥토템의 종교관념을 반영한 것이다. 천정의 23개의 도상들은 아래에서 윗쪽으로 올라가면서 세 단계의 位階的 세계로 나누어 그런 것으로 파악되는데 천정의 가장 아래쪽에는 『山海經』 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들과 없는 것들이 혼재되어 있다. 이 圖像郡 위쪽에는 남벽의 견우·직녀, 富貴·吉利, 仙人 1인, 서벽의 仙人 1인과 玉女 2인, 千秋·萬歲 북벽의 地軸을 중심으로 天雀과 天馬가 있다. 이 도상군들은 존귀한 천상의 존재들로 어휘에서 명백히 복락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선인과 옥녀와 같은 仙界의 존재들은 묘주인이 사후세계에서 安寧하기를 비는 의미로 배치한 것이다. 좀더 위쪽에는 북벽에 北斗七星 남벽에는 南斗六星 동벽에는 안에 새가 그려진 日과 동방삼성, 서벽에는 두꺼비가 그려진 月과 서쌍삼성이 있다. 중국에서는 古來로부터 天上에는 上帝가 있어 현실세상에 대한 의사전달은 해·달·별의 변동을 통해 나타낸다고 믿었다. 천정석에는 연꽃이 그려져 있는데 연꽃은 불교 전래 이전에 중국에서는 上帝의 상징이었다. 이와 같이 덕흥리의 전실 천정은 당시의 우주관에 따라서 사는 세계가 다른 존재들을 위계적으로 그리고 있다. 전실 천정의 괴금괴수들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데 윤곽만을 그려 圖式的이고 개별 도상이 모여 이루어졌고, 배경을 그리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특징은 어떤 그림본을 활용한 것으로 본다. 묘주상은 후한시대 고분조성에서 중심을 이루었던 제재로 고구려고분 초기부터 묘실내 중심제재로 채택되었다. 안악·평양지역과 집안지역은 표현형식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덕흥리와 安岳3號墳은 遼陽 上王家村에서 보이는 묘주 정면도상을 도입해 神像的인 성격을 강조하고, 집안지역의 角抵塚과 舞踊塚은 요양지역의 古式的인 표현인 묘주와 부인을 측면으로 해서 생활도의 형식으로 그리고 있다. 덕흥리의 행렬도는 묘주의 생전 업적을 기리는 내용임을 묵서명을 통해 알려 준다. 그러나 행렬의 구성에서 上下·左右로 묘주인을 호위하는 장면은 상왕가촌의 행렬도를, 마차의 구성은 봉태자2호묘의 형식을 따랐다. 그리고 서왕모를 향해 가는 仙界로의 魂의 여행이 일반적으로 墓門을 향하는 것처럼 덕흥리의 행렬도는 묘문을 향하고 있다. 이것은 벽화의 구성에서 후실을 중요하게 여긴 고대 고분조성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으로 그만큼 행렬도의 방향은 선계로 향하는 행렬의 의미를 담고 있다. 덕흥리의 후실은 묘주인의 개인적인 공간으로 전실은 공적인 공간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牛轎車와 마차를 타고 어딘가를 향해 떠날 채비를 하고 있는 것에서 덕흥리고분은 昇仙의 의미가 강하다. 칠보행사도는 중국의 장례과정에서 후손에게 조문객들이 위로품을 주는 장면이 화상석묘에서 발견되는데, 덕흥리고분의 조성자들이 이러한 중국고분의 도상을 칠보행사와 관련해서 그린 것으로 추론해 본다. 三角形火焰文은 내몽고의 노인 울라묘에서 발견된 관을 감쌌던 천에서 보이는 장식문양과 유사성을 보이기에 불교사상을 받기보다는 중국 前漢時代부터 이미 있었던 고분을 장식한 문양중의 하나로 보았다. 덕흥리고분은 안악3호분 보다도 도상들의 상호 관련된 배치와 의미에서 충실히 중국 고분조성의 원칙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icons, tomb owner's figures(墓主像),and procession paintings (行列圖) on the ceiling of the antechamber(前室 天井) in the Deokheungni Ancient Tomb (德興里古墳) dating back to 408 AD- the early tumulus which is in the category of the portrait & genre line among wall paintings of the Goguryeo tumulus (高句麗 古墳壁畵). Among the murals in the Deokheungni Ancient Tomb, those on the ceilings of the front chamber and rear chamber are portraying the heavenly place, and those on it's the walls depict tomb owner's lifetime figure. The structure of the Deokheungni Ancient Tomb indicates kinship to Chiuch-uan Jeonggagap Tomb No.5(酒泉 丁家閘 5號墓) (386-441) within four ancient tomb sites in China dated from the eras of Three Kingdoms, Wei, and Ch'in. The images of Gyeonu(牽牛) and Jiknyoe(織女) on the ceiling of the front chamber are found to be only in the Deokheungni Ancient Tomb; Gyeonu's one hand is pulling a cow by the bridle and the other hand is lifted. And Jingnyeo is clasping her hands. Such figures of them are same as the ones of Gyeonu and Jingnyeo icons of China. While plumage are emphasized in Chinese shen hsien (an immortal)(仙人), Goguryeo's one is portrayed with emphasis on hems and a posture of flying on a bird (乘鳥飛行). Not to mention of Monstrous birds and beasts (怪□·怪獸) on mural paintings on the ceiling of the front chamber, the earth's axis (地軸), flying horse (Pegasus - 天馬), and the Big Dipper (北斗七星) are painted on the southern wall; the Altair & the Vega, Seongseong (猩猩), and Namduyukseong (the Sagittarius - 北斗七星) on the southern wall; the Cheongyang (靑陽) and Dongssamsamseong (東雙三星) on the eastern wall; and the Seossangsamseong (西雙三星) on the western wallshow how much the concept of compass directions was emphasized when icons related to directions were painted in their appropriate. And 11 among the 17 monstrous beasts and birds take the forms of birds, which reflects the religious concept of the Dong-I (Eastern barbarian - 東夷) - sacred bird totems (神鳥)). Twenty-three icons on the ceiling are believed to be construed to portray the world into hierarchical 3 stages from bottom to top. The tomb owner's figure was a central theme of ancient tomb formation during the Later Han dynasty era, and has been adopted as the major theme of the images inside a tomb chamber since the early stage of Goguryeo tumulus. Deokheungni and Anak Tumulus No. 3 (安岳3號墳) in the region of Anak and Pyeongyang introduced the front-view icons of tomb owners alone so as to emphasize the nature of an image of god. In contrast, paintings of Gakjeockong (角抵塚) and Muyongchong (tomb) (舞踊塚) in Chi-an area take the traditional from of a life painting, by means of the side views of tomb owners and their wives, which is same as the ones found in Liaoyang. The calligraphic record tells us that the procession paintings in the Deokheungni Tumulus are drawn to pay a tribute to the memory of the owner of the tomb. In addition, the pictures face toward the entrance of the tomb as if the soul (魂) journeys to Hsi wang mu (Immortal Queen in Taoism) begins with going through the entrance of the tomb towards the fairyland (仙界). The rear chamber of the Deokheungni Tumulus is a tomb owner's private space, while the front chamber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official space; and on the whole, the Deokheungni Tumulus has the strong concept of Seungseon (becoming immortals - 昇주). In Chilbohaengsado (七寶行事圖), We can find a scene where condolence callers give articles for consolation to descendants during a Chinese funeral procedure. The Samgakhyeong-hwayeommun (triangular flame design - 三角形火焰文) is similar to decorative patterns shown in cloth in which a coffin was wrapped which was discovered in the Noin Ula tomb of Inner Mongolia. The Deokheungni Tumulus complies with the principle of Chinese tomb formation more faithfully than Anak Tumulus No.3, with respect to the mutually related arrangement and meaning of icons.

      •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구 축조과정

        홍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고분 분구의 축조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최근 발굴조사된 고분에서 확인되는 몇 가지 사례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구 축조는 우선, 바닥면을 정지한 후 계획된 의도에 따라 평면기획이 진행된다. 주구를 통해 분구의 형태와 규모가 결정되고, 주구 채굴토를 이용해 분구를 성토한다는 기획단계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주구를 통한 평면기획은 대형고분이 소멸하는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며 중소형분으로 규모가 적어지는 쇠퇴기에는 주구를 돌려 평면기획하기 보다는 석재를 이용해 호석을 돌리는 방식으로 변화되기도 한다. 목관고분은 평면기획과 수평성토를 통해 단순한 성토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고분구로 변화해가는 옹관고분단계의 성토양상은 평면기획을 통해 분구의 형태와 규모를 설정하고 이를 수평성토와 더불어 서로 다른 성토층을 결합하는 성토방식이 확인된다. 이와 함께 분구의 수평확장 또는 수직확장이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 고분의 분구성토양상은 수평성토, 분할성토, 구획성토와 같은 다양한 성토방식이 나타난다. 석실분의 등장과 고총고분의 소멸이 진행되면서 점차 분구의 소형화가 진행되어지고 이에 따른 고분의 분구성토과정도 저분구에서 확인되는 수평성토와 같은 단순한 성토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시기별로 고분을 조성할 수 있는 정치체들은 이 전 시기의 토광(목관)묘, 옹관묘 등에서 발전한 형태의 고분을 지속적으로 유지발전 시킨다. 여기에는 다장이라는 영산강유역의 고분 전통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형과 매장주체부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변화를 받아들이고 이를 수용하면서 독특한 장제로 발전시켜 나간다. 영산강유역 고분은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분구성토의 변화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기존의 매장주체부를 가지고 있는 분구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이를 되파기하여 매장시설이 추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분구를 먼저 생성하고 나서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선분구 후매장주체부 설치’라는 분구묘의 특징이나 전통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설사 지상에 매장주체부를 시설한다고 하더라도 완전하게 성토를 한 후 이를 되파기하는 방식이 아니라 정지층 위에 일정한 높이로 분구의 기저부를 만들고 매장주체부를 설치하였다. 다만 여기에 다시 추가장하면서 분구를 되파기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영산강유역 고분에서 보이는 다양한 특징을 분구묘 전통으로 논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some of the excavated cases about the constructive process of the ancient tomb. First of all, the construction of the ancient tomb in Yeongsan river basin progresses from the plane planning from the bottom. The shape and the dimensions of the mound are determined through the Jugu (ditch around the tomb). Use of the soil from Jugu is something in common as a strategic approach. Jugu is steadily continued until its extinction of the large sized tombs and when it was reduced to the small to medium-sizes, instead of turning the Jugu in plane planning, they used the stones in order to turn the round stone. Jar-coffin tombs changing process determines the dimensions. This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ongto (heaping up soil) method being used in the Seongto layer. With this either horizontal expansion or perpendicular expansion is performed. During this time, the conditions of the tombs are depicted as horizontality Seongto, division Seongto, and section Seongto. With the appearance of the chamber and as the old tombs became extinct, gradually the division size became reduced and this resulted in the process of mound Seongto. This shows the simple filling patterns as the horizontal Seongto found in the lower districts. Political entities that can be distinguished through the different periods continued to maintain the development of the previous wooden coffin and jar coffin tombs. In this manner, the tomb's traditions in Yeongsan river basin called 'many burials' was maintained. The form of mound and main burials in Yeongsan river basin developed to the unique tomb's pattern accepting the various change from outside. The tombs in Yeongsan river basin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various changes of mound Seongto. Also, the burial facilities are added by the usage of the mound which has the previous main burial. These characteristics is called 'Bungumyo', which means that mound is first, and the burial is next. But even if the main burial buried on the level over the ground, it is not to install the main burial after completely heaping up soil, but to make the base of the mound and then to install the main burial. Only in case of the addition burial, the mound was digged agai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iscuss 'Bungumyo' is the tradition of the ancient tombs in Yeongsan river basin.

      • 5∼6世紀 加耶古墳의 構造를 통해 본 地域性 硏究

        조재윤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종래 가야의 지역성과 관련한 연구는 주로 토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물론 토기는 가야 각국의 정치적 동향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가야 문화의 복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토기라는 하나의 유물에 대한 연구가 너무나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왔던 까닭에 정작 고분의 지역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고는 제가야 지역별로 뚜렷하고 독자적인 고분문화가 형성되는 5세기 이후의 가야고분 중에서 지역별 고분의 구조적 특징을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고분을 추출하여 그 구조를 통한 다양한 분석을 진행하고, 나아가서 가야고분의 구조를 통해 본 지역군의 설정과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문헌사료와 가야토기의 제양식을 참고해 가면서 종합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먼저 가야고분의 지역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가야의 유적과 유물이 출토되고 있는 고령, 합천, 거창, 함양, 남원, 임실, 장수, 산청, 함안, 의령, 김해, 부산, 고성, 진주, 성주, 창녕, 대구, 양산 등 모두 18곳의 지역에서 총 68기의 가야고분을 대상으로 호석의 유무, 묘곽의 축조재료, 묘곽의 장폭비, 지역별 묘제의 형식 등과 같은 고분의 구조와 관련된 다양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령지역군, 함안지역군, 김해지역군, 고성지역군, 창녕지역군 등 모두 5개의 지역군과 합천 쌍책지역, 성주지역 등 2개의 독자적인 지역에서 서로 다른 고분문화를 형성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령지역군은 고령, 합천봉산, 거창, 함양, 남원, 임실, 장수, 산청지역이 해당하며 다곽식석곽묘와 단곽식석곽묘를 특징적인 묘제형식으로 사용하고, 묘곽은 대개 평균 장폭비 5 : 1이 넘는 매우 세장한 장방형의 형태로 축조하며, 중심지역에서는 정연한 판석형 할석을 그 밖의 지역에서는 천석이나 부정형 할석을 묘곽의 축조재료로 사용하고, 중심지역의 고총 고분에서는 호석을 설치하는 특징을 보인다. 함안지역군은 함안, 의령지역이 해당하며 묘곽의 측벽에 다수의 감실이 설치되어 있는 단독곽식 구조의 단곽식석곽묘를 특징적인 묘제형식으로 사용하고, 묘곽은 대개 평균 장폭비 5 : 1이 넘는 매우 세장한 장방형의 형태로 축조하며, 중심지역에서는 정연한 판석형 할석을 그 밖의 지역에서는 중심지역보다는 덜 정연한 판석형 할석과 부정형 할석을 묘곽의 축조재료로 사용하고, 봉분의 가장자리에 호석을 설치하지 않고 고대한 봉분만을 쌓아올리는 특징을 보인다. 김해지역군은 김해와 부산지역이 해당하며 주곽과 부곽이 一列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一列형 단곽식목곽묘 또는 석곽묘를 특징적인 묘제형식으로 사용하고, 묘곽은 평균 장폭비 2.5 : 1로 비교적 덜 세장한 장방형의 형태로 축조하며, 부산지역에서는 목재와 석재를 김해지역에서는 오직 목재만을 묘곽의 축조재료로 사용하고, 높지 않은 봉분과 호석을 설치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고성지역군은 고성, 진주지역이 해당하며 이 지역 특유의 고분 축조수법 소위 추가장에 의해서 완성되는 단독곽식 구조의 다곽식석곽묘를 특징적인 묘제형식으로 사용하고, 정연한 판석형 할석이나 얇은 판석을 묘곽의 축조재료로 사용하며, 높은 봉분을 쌓고 봉분의 가장자리에 호석이 없는 대신 원형이나 육교형의 주구를 설치하는 특징이 있다. 창녕지역군은 창녕, 대구, 양산지역이 해당하며 횡구식석실묘를 특징적인 묘제형식으로 사용하는데 특히 교동1호분 · 3호분 · 31호분, 양산 부부총, 대구 내당동55호분 등과 같은 횡구식석실묘가 중심이 된다. 대개의 고분은 높은 봉분을 쌓고 봉분의 가장자리에 호석을 설치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묘실의 장폭비나 축조재료에 있어서는 어떠한 일관된 정형이 없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합천 쌍책지역은 日자형 단곽식석곽묘를 특징적인 묘제형식으로 사용하고, 묘곽의 장폭비는 평균 4 : 1로 고령지역군의 그것에 비해 덜 세장한 모습을 보이며, 축조재료 역시 고령지역에 비해 덜 정연한 판석형 할석을 사용하고, 고대한 봉분과 봉분의 가장자리에 호석을 설치하는 특징이 있다. 성주지역은 주부곽식 구조의 다곽식석곽묘와 昌자형 단곽식석곽묘를 특징적인 묘제형식으로 사용하고, 묘곽은 평균 장폭비 2.5 : 1로 비교적 덜 세장한 장방형의 형태로 축조하며, 널따란 장판석과 부정형 할석을 묘곽의 축조재료로 사용하고, 대개의 고분은 높은 봉분을 쌓고, 봉분의 가장자리에 호석을 설치하기도 하고, 설치하지 않기도 하는 특징을 보인다. 주제어 : 가야, 고분, 묘제, 구조, 지역성, 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 금관가야, 비화가야, 성산가야, 다라국 【Abstract】 A study on the regionality viewed from the structures of 5~6th century kaya tomb. Name : Cho Jae-Yoon Department : Historical Archaeology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Thesis Advisor : Prof. Choi Jong-Taik To look into the regionality of Kaya’s ancient tombs in the 5th to 6th century, this study conducted various analyses on the structure (e.g. hosuk護石: stones placed surrounding of ancient tombs, construction material of tomb walls, LW ratio of tomb walls and form of ancient tombs in each region) of 68 Kaya’s ancient tombs in total from 18 regions(Goryeong, Hapcheon, Geochang, Hamyang, Namwon, Imsil, Jangsoo, Sancheong, Haman, Uiryeong, Gimhae, Busan, Goseong, Jinju, Seongju, Changnyung, Daegu and Yangsan). From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5 regional groups of Goryeong, Haman, Gimhae, Goseong and Changnyeong form different type of ancient tomb related culture from two independent regions such as Ssangchaek and Seongju regions. As mentioned above, Kaya was divided into 5 large and small regional groups and 2 independent small regions after the 5th century and each region formed different ancient tomb related cultures with distinct regionality. Although it is not completely consistent, in some sense, it can be considered in the same context with that rest of regional groups except 2 small independent regions have their own unique earthenware styles. On the other hand, unlikely the Ssangchaek region in Hapcheon showed unique culture of ancient tombs in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however, later Ssangchaek region was merged to Goryeong regional group thus finally Kaya composed of 5 regional groups and 1 small independent region. As for the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 data for Kaya, there are 『Sanguozhi』, 『Nihongi』and『Samkukyusa』, and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 5 regional groups and 1 small independent region discussed in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nominations of 6 Kaya countries described in 『Samkukyusa』. The 1:1 match between the name of region today and in Kaya’s era are as follows: Goryeong regional group = Daekaya, Haman regional group = Arakaya, Goseong regional group = Sokaya, Gimhae regional group = Keumgwankaya, Changnyeong regional group = Bihwakaya and Seongju region = Seongsankaya. In addition, Ssangchaek region in Hapcheon which was merged to Goryeong regional group was recorded as Darakuk in 『Nihongi』. While Darakuk was clearly recorded in 『Nihongi』, the record of the region was not observed in 『Samkukyusa』. From the fact that Darakuk was not recorded in 『Samkukyusa』, we can assume that Ssangchaek region in Hapcheon was already merged to Goryeong regional group at that time. In other words, since 『Samkukyusa』 recorded the 6 Kaya countries remained at the end of Kaya’s era before they merged to Shilla while 『Sanguozhi』and 『Nihongi』 recorded Kaya’s small countries, there can be differences between historical recordings. Likely, the ancient tomb related culture of Kaya countries with distinct differences after the 5th centur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shows consistency with not only the regionalities of earthenwares in Kaya countries but also the name of 6 regions of Kaya recorded in 『Samkukyusa』. Keywords : Kaya, Ancient Tomb, Form of ancient tombs, Structure, Regionality, Daekaya, Sokaya, Arakaya, Keumgwankaya, Bihwakaya, Seongsankaya, Daraku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