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사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지도방안 모색 : 제7차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국어’를 중심으로

        김효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Korea has witnessed 6 amendm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introduction of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in 1955 until its 6th amendment in 2005.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6th amendment) presents 'fostering of creative Koreans'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its basic directions, and accordingly,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aims to enhance learners' creative use of language and provide for opportunities to experience learner-centered meaningful Korean language learning. However, our current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does seem to respond little to such historical requests. Teacher-centered interpretive instruction deprive students of the opportunities for creative and autonomous appreciation of literature, and as a result, many students are bored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not being aware of its brilliant values. With such a critical view of the school education, this study sampled the genre 'Gasa' literature out of our classical literature and thereby, addressed the problems of the 'Gasa' literature education and found their solution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he background of study is described, and in the second chapte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asa' literature are overviewed. 'Gasa' literature could be established as a branch of literary education because it has some educational value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review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nd literature subject only to reconfirm the position of 'Gasa' literature in our national literature. In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er reviewed the classical literary works shown in the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edit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literary content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Furthermore,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ard-to-learn Chinese letters despite their long uses in our modern linguistic life and the classical literary texts, and as a consequence, the researcher could identify some problems of 'Gasa' literature education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lassical literary works shown in the textbooks, it was judged that their units were well organized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that learners might feel more difficult for the classical literature because the area of literature was limited to reading activities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subject 'Korean Language'. Second, despite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instrumental in learning the classical literary works, the basic Chinese letters are not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first-graders' (10th graders') curriculum, which must be a problem. Third, the education in the classrooms were aimed at memory and understanding of fragmented knowledge or superficial activities of literary appreciation far from a genuine emot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a total approach to works. Such a problem of 'Gasa' literature education was deemed attributable to college entrance system, shortage of curriculum hours, knowledge-oriented learning with emotion excluded, memory testing assessment, etc. In the fourth chapter, the researcher explored the ways to teach students on 'Gasa' literature by finding out its educational functions based on the problems addressed. After all, the researcher reorganized 'Kwandongbyolgok' text for students' easier* understanding and suggested a pedagogics using media and group writing about the results of discussion and debate. As it was, this study analyzed the texts of 'Gasa' literature and explored the way for correct guides to establish an identity of 'Gasa'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towards solutions of such problems as teachers' heavy workload due to overcrowded classroom, assessment system dictated by the mechanic objectivity, shorter curriculum hours for reading experiences, etc.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analyze the 'Gasa' literature education thoroughly to enrich our human life with a meaningful literary education. 우리나라는 1955년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5년 현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일곱 차례에 걸친 교육과정의 변화를 겪어왔다. 제7차 교육과정은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과 학습자 중심교육을 기본방향으로 삼았으며, 이에 따라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도 학습자의 창의적인 언어 사용 능력 증진과 학습자 중심의 의미 있는 국어학습 경험의 제공을 그 목표로 한다. 그러나 우리의 고전문학 교수·학습 상황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중심의 해석식 수업은 학생들에게서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감상의 기회를 빼앗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고전문학의 빛나는 가치를 느껴보지 못한 채 고전을 따분한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 논문은 학교현장 교육에 의문점을 가지고 ‘문학’ 교육 중 고전문학의 ‘가사문학’ 교육에 그 대상을 국한시켜 문제점과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 Ⅰ장의 연구사 검토와 함께 가사문학이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제 Ⅱ장에서 살폈다. 문학 교육의 개별 갈래로서 가사문학 교육이 성립할 수 있었던 것은 가사문학이 가진 교육적 가치성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어 교과와 문학 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를 살펴 가사문학의 위상을 확인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고전문학 제재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학 관련 내용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대의 언어생활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으면서도 오히려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한자와 고전문학 텍스트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그 결과 가사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문학의 교과서 작품 현황을 살펴본 결과, 7차 교육과정의 취지대로 단원 구성시 통합성의 원칙을 살린 것은 좋았으나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국어’에서 문학 영역을 독서활동으로 성격을 제한한 것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고전문학 교육을 더욱 어렵게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한자교육은 고전작품 수학능력에 도구적 성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에서 학습하기로 되어 있는 교육용 기초 한자가 현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교육과정 상에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셋째,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은 작품의 총체적인 접근보다는 단편적인 지식만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참된 정서 유발과는 거리가 먼 피상적인 감상활동만이 이루어졌다. 이것의 원인인 대학 입시제도와 부족한 교과 시수, 정서가 배제된 지식위주의 수업, 암기위주의 평가문항 등 현실적인 장애가 가사문학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제 Ⅳ장에서는 앞서 진단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가사문학의 교육적 가능성을 찾아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관동별곡> 텍스트를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고, 매체활용을 통한 교수-학습과 모둠별 토의·토론보고서 쓰기를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가사문학 텍스트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가사문학 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올바른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과밀한 학급 인원수에 따르는 업무 과중, 현재와 같은 기계적인 객관성에 사로잡힌 평가 체제, 독서 체험을 확충할 수 있는 수업 시수의 확보 등이 선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를 계기로 가사문학 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실체 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져 삶을 풍부하게 하는 의미 있는 문학 교육이 되기를 기대한다.

      • 경북 지역 계녀가사의 구성과 서술 양상

        남기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계녀가사는 내방가사의 한 갈래로서, 어머니가 시집가는 딸에게, 혹은 어머니와 비슷한 위치의 사람이 딸이나 결혼 전의 여성들에게 시가에 들어가 행해야 하는 규범을 교훈할 목적으로 지어진 가사를 말한다. 본 연구는 경북지역 계녀가사를 대상으로 작품의 구성과 서술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그 향유 양상에 대해서도 검토해 봄으로써, 계녀가사가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녀가사의 구성이 주로 서사-본사-결사로 이루어지기에 항목별로 나누어서 논의했다. 서사에서는 교화의 대상이 되는 청자를 호명하여 글을 쓰는 목적을 전달하는 방식을 취한다. 본사에서는 시가로 들어가 행해야 되는 행실과 도리에 대해 교화적 관점에서 항목별로 구체화하고 있다. 결사의 경우, 본사에 담긴 교훈을 잊지말고 잘 익힐 것을 당부하는 형식을 통해 계녀가사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전형 계녀가사는 신행 전의 딸에게 주는 것으로 시가에서의 일상에 필요한 교훈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변형 계녀가사의 등장으로 청자의 호명과 교훈의 내용, 전달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변형 계녀가사에서는 작가 자신의 개인사와 관련된 사실들이 중심을 이루기에, 화자와 청자의 관계 설정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고, 여기에 맞는 서술 방식을 취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작품 내적 변화가 일어났다. 계녀가사는 주로 딸에게만 전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불특정의 여성뿐만 아니라 아이들, 남성까지도 청자로 설정하여 그에 맞는 내용과 구성의 변이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녀가사는 남성의 전유물로만 생각했던 문학의 영역을 여성으로 확대 · 재생산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내방가사의 창작과 경창대회 등의 행사가 경북 지역 사회에서 다채롭게 시행되고 있는 현재의 관점에서 계녀가사의 문학사적 의의는 재점검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Gyenyeogasa is a branch of Naebanggasa, and refers to gasa created for mothers or the persons with similar position to educate the lessons that women should perform in their husband’s home to their daughters or women before marri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Gyenyeogasa by researching the formation of work and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targeting Gyenyeogasa in Gyungbuk region and reviewing the enjoyment aspect. Each item is divided for discussion because Gyenyeogasa consists of introduction - main text – conclusion. The introduction adopts the format of delivering the purpose of writing by naming the listener who is the target of edification. The main text itemizes the behavior and morals that must be performed in husband’s home from a doctrinal perspective. The conclusion evident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Gyenyeogasa through the format asking not to forget and learn the disciplines of the main text. The typical gyenyeogasa refers to the one delivered to daughter before going to husband’s home right after the marriage, and it consists of disciplines needed in daily life at husband’s home, but the advent of modified Gyenyeogasa has brought the change in the type of calling listener, the contents of edification and the method of delivery. The modified Gyenyeogasa is mainly composed of the personal history and the related facts of author, so set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got diverse, and taking the descriptive method which is suitable to this has brought the internal change of various forms. Gyenyeogasa is known to be something delivered to daughter mainly but through this study, not only unspecified women, but also children and men were set as listen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and composition were changed accordingly. Gyenyeogasa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women's literature, which was considered only for men. From the current point of view, where Naebanggasa related events such as the creation and singing competitions are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it seems necessary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Gyenyeogasa in literary history.

      • 송강가사의 학습 방안연구 :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임순강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존 문학교육에서 고전시가는 작품들이 지닌 객관적 사실(창작 상황, 작가의 전기와 역사적 배경 등)에 얽매여 단선적 전형으로 이해되어 왔다. 즉 사대부의 강호가사나 연군가사의 주제를 유학자의 강호한정이나 군주에 대한 충성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유학자의 훈민적 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다른 현대문학 작품처럼 작품 자체에 대한 즐거운 감상이 이루어지기가 어려우며, 따분하고 암기 위주의 수업으로 끝날 우려가 있다. 요즈음의 고전문학 교육은 지식구조의 학문중심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존중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옮겨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송강 정철의 작품을 통해 고전의 가치를 이해하고 습득하여 인생을 이해하고, 인격을 도야하며, 미의식을 함양하는 고차원적 인간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송강 정철의 가사 작품-「관동별곡」, 「성산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을 토대로 송강가사의 한자어휘와 고사성어를 이해하고 주제와 미학을 파악하여 다양한 수행평가 지도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위해 제 Ⅱ장에서는 송강 정철의 가사 작품을 개관하고, 수행평가에의 적용을 위해 가사 작품에 제시된 한자 어휘와 고사성어를 그 특성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그 시대적 배경과 상황을 통해 가사작품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고전작품 이해를 용이하게 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송강가사에 나타난 유교사상을 중심으로 연군애민사상을 살펴보고 그 외에도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도교 사상과 자연미학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사상 체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수행평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고등학교 학습지도에 적용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상)에 제시된「관동별곡」을 기초로 실제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앞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고전문학의 이해를 위한 다양한 수업이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본고가 그를 위한 작은 발판의 역할을 하길 바란다. In existing education of literature, it has been considered for classical poetry to be the simple pattern restricted within objective facts such as situation of creation, author's historical records, and so on. In other words, that means to understand the title in Yeongun Gasa(戀君歌辭) or Gangho Gasa(江湖歌辭) of the gentry as the aspect of adoration in nature or faith toward a monarch and interpret it with the object of encouraging people. Therefore, it is hard to have joyful appreciation in the work itself like the other modern literary works, and also easy to end up with memorization centered classes. Recent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s transferred to education of learner centered which respects creativity from that of knowledge centered. So that we need to have various learner centered education plan. This report is to contribute to establish a high dimensional human being cultivating an aesthetic sense, training humanity, and understanding the life as well. I would like to suggest lesson plan of achievement evaluation for understanding chinese words and ancient phrases in Songang Gasa based on Jungchul's(鄭澈) works : 'Guandongbyulgok'(關東別曲), 'Sungsanbyulgok'(星山別曲), 'Samiingok'(思美人曲), 'Sokmiingok'(續美人曲). In chapter Ⅱ, it is conducted with Songang Jungchul's Gasa, and classified chinese words and ancient phrases by each specificity. Likewise, it is described and analyzed as to the background and situation of that period , so that we can easily comprehend works of Gasa. In chapter Ⅲ, focused on confucian ideas, I would like to examine idea of Yeongunaemin, taoism, and an aesthetic of nature. Through this, we would understand ideology of the gentry. In chapter Ⅳ, I would like to suggest an application in highschool lesson plan and achievement evaluation. At last, there comes practical lesson plan for 'Guandongbyulgok' presented in Korean text book of highschool. In Chapter Ⅴ, summarization and arrangement of contents are suggested. I would like to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be the fundamental step for diverse classes of understanding classical literature.

      • 가사근로자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오진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가사근로자는 근로기준법 제정 당시부터 법적용이 제외되어 노동관계법 상 노동권이나 사회보장권도 보호받지 못했다. 가사서비스 또는 가사노동을 가정 내 사적 활동이라는 이유로 법과 제도적 보호영역에서 제외하고 차별 적으로 가사근로자의 노동권을 외면한 것은 문제이다. 국가는 일하는 사람에 게 당연하게 보장해야할 노동권과 일을 통한 사회보장권 실현에서 가사근로 자도 동등하게 보장하고, 특히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가사근로자 를 구체적으로 보호할 책임이 있다. 가사근로자의 법적 지위나 보호에 대한 관심은 2011년 ILO가 가사노동 협약(2011)을 채택하면서부터다. ILO는 가사근로자를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가사근로조건에 관한 국제기준을 명시한 협약을 채택하여 가사서비스를 공식노동으로 인정하였다. 그동안 ILO는 산업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세 탁기, 청소기 등 기계가 가사노동을 대체할 것으로 생각하여 가사노동을 담당하는 가사근로자의 법적 지위나 보호에 대한 관심을 갖지 못했다. 그러나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달로 없어질 것이라 생각하던 가사근로자의 수요가 오히려 증가한 반면, 모든 나라에서 가사근로자는 가장 취약한 노동자로 남 아 있었다. 이에 주목하여 ILO는 가사근로에 관한 협약을 채택하기에 이른 것이다. 가사노동협약(2011)은 가사노동과 가사근로자의 정의, 가사근로자에 대한 법적 보호 범위,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 등 노동기본권, 근로계약서, 근로조건, 모성보호와 사회보장 등을 규정하고 있다. 가사노동협약(2011)의 기본취지는 가사서비스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도 가사근로자에게도 일체의 노동권 및 사회보장을 차별 없이 적용하는 것에 있다. ILO의 가사노동협약(2011) 채택에 따라 외국에서는 가사근로자를 위한 보호 법제를 정비하거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ILO 회원국 중 일부는 가사근로자를 위한 개별법령을 제정하거나 일반 노동법령을 가사근로자에게 적용하여 보호하는 국가도 있다. 한편 우리나라처럼 가사근로자를 공식노동에서 제외하여 민법상의 노무이용관계로 취급하는 국가들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외국입법례와 관련하여 싱가포르, 홍콩, 일본의 가사근로 자 현황 및 노동관계법과 현실 적합성 있는 제도를 검토하였다. 싱가포르는 고용법에서 가사근로자 적용을 원칙적으로 제외하고 있으며, 특별법인 외국인력고용법을 통해 외국인 가사근로자의 노동권을 일부나마 보장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정책적 특징은 결혼한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기 위하여 외국인 가사근로자를 고용한 경우 세제혜택을 통해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부족한 노동력을 확보하는 데에 있다. 반면, 홍콩은 가사근로자도 노동법을 적용하지만 입주가사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을 제외하고, 외국인 가사근로자에게는 입주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다만 홍콩은 내국인 가사근로자가 매우 적고 입주가사근로자는 외국인이 대부분이어서 노동법의 적용이 없다. 결국 홍콩은 내⋅외국인으로 이원화하여 노동법을 적용하는 것으로서 인권과 평등에서 의문이 제기된다. 일본은 체류자격이 있고 인증기관을 통해 고용한 외국인 가사근로자에 대하여는 노동법 적용하고, 임금도 차별을 두지 않고 있다. 그러나 내국인 가사근로자는 노동법상의 근로자에서 적용 제외되는 역차별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원칙적으로 가사사용인의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않으며, ILO 의 가사노동협약(2011) 채택과 외국의 보호법제 정비를 기점으로 가사근로 자 보호에 관한 입법 정책적 논의가 본격화 되었다. 즉 가사노동에 관한 국제적 논의에 맞추어 정부는 󰡔가사근로자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을 마련하였으며 현재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상태이다. 정부안은 정부의 인증을 받은 가사서비스 제공기관이 가사근로자를 고용하고, 가사서비스 이용자와 직접 거래를 하는 3자 관계에 의한 공식화를 통해 가사근로자를 법적으로 보호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정부안은 근로기준법상가사사용인 적용 제외 조항을 유지한 채, 특별법에 의한 가사근로자를 정의하는 것으로 가사근로자 보호라는 목적에 부합하지 못한다. 또한 정부안은 근로조건에 있어서 근로기준법 특례규정을 두어 가사근로자의 권리보호에도 미흡하다. 그리고 정부안은 정부안에 따른 가사서비스 제공기관과 직접 고용계약을 전제로 하고 있어서, 개인적으로 개별 이용자와 가사서비스 계약을 맺은 가사근로자는 법적 보호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25만 명 내지 50만 명에 이르는 미등록 가사근로자는 여전히 사회적 안전망도 없이 취약한 노동환경에 놓이게 되어 이들을 보호할 입법적 정책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과 문제의식에서 우리나라의 가사근로자의 실태와 현황을 분석한 후 정부가 마련한 법률안을 검토하여 가사근로자의 근로조건 및 법적 보호가 충분한지 살펴보았다. 가사노동을 둘러싼 쟁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비교 가능한 국가의 법제와 현황 분석을 통하여 현재 논의 중인 법률안의 문제점을 명확히 한 다음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등록 가사근로자와 미등록 가사근로자를 구분하고, 논의 중인 법률안이 간과하고 있는 미등록 가사근로자 보호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연구한 점이 다른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정부가 제출한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은 가사근로자의 노동권과 사회보장을 통해 가사근로자를 사회적으로 보호하고 가사서비스 제공기관을 육성하여 가사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고용을 개선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근로기준법상 가사사용인으로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던 가사근로자를 제도적으로 보호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정부안은 가사서비스 제공기관을 사용자로 하여 가사근로자를 직접 고용하는 방식을 통해 등록 가사근로자를 보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부안의 입법취지 및 목적은 동의하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법률안의 가사서비스 제공기관과 고용계약을 맺지 않고 개인적으로 활동하는 가사근로자는 여전히 가사사용인으로 남는 점, 정부안에 의한 등록 가사근로자에 대하여도 근로기준법의 일부 적용에 그친다는 점 등이 문제로 남는다. 생각건대 ILO 가사근로자협약(2011)에 따른 가사근로자 보호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보완이 필요하다. 우선 정부안에 포섭되는 가사근로자에 대하여 ‘근로자’임을 선언하여야 한다. 등록 가사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부분 적용은 현실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근로기준법의 적용 범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부안에 포섭되지 못하는 미등록 가사근로자에 대하여는 사회적 안전망을 통한 사회적 보호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등록 가사근로자의 경우 이용자와 표준가사서비스이용계약서 작성 의무화를 제안하였다. 그 이유는 미등록 가사근로자가 표준가사서비스이용계약서로 근로사실을 증명하는 자료로 활용하여 재난지원금 등 사회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이용자에게는 가사서비스 이용요금을 증명하여 세제혜택의 근거자료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 정책적으로 미등록 가사근로자의 질병이나 실업에 따른 소득손실로부터 일부 소득보장을 위한 상병수당제도를 마련하는 사회안전망 구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으로 새로운 형태의 가사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전체 현상을 담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이는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주요어 : 가사사용인, 가사서비스, 등록 가사근로자, 미등록 가사근로자, 노동권, 사회보장권, 상병수당, 표준가사서비스이용계약서, ILO 가사노동협약(2011) Abstract A Study on Legal Protection of Domestic Workers Oh, Jin Hee Department of Law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Domestic workers we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at the time of enactment, and so they were not provided social security such as labor rights under labor relations act or social insurance. It is a problem that domestic services or domestic labor are excluded from the area of legal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because they are private activities in the home. A state is responsible for guaranteeing domestic workers in the blind spot of the social security net the labor rights and the social security rights the same as the working people should be guaranteed. The interest in legal status and protection of domestic workers began in 2011 when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adopted the Domestic Workers Convention, 2011. To legally protect domestic workers, the ILO has adopted an agreement specify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omestic working conditions and recognized domestic services as official labor. Until then, the ILO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legal status or protection of domestic workers based on their speculation that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civilization would lead to the replacement of domestic workers with machines such as washing machines and vacuum cleaners. The number of domestic workers in fact increased while they remained to be the most vulnerable type of workers in most countries. Taking note of this, the ILO adopted a convention stat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working conditions to protect domestic workers, officially recognized domestic labor as a type of labor and formalized domestic workers as workers. The basic purpose of the Domestic Workers Convention of 2011 is to consider the specificity of domestic services and stipulates the definition of domestic labor and domestic workers, the scope of legal protection for domestic workers, basic labor rights such as freedom of association and the right of collective bargaining, employment contracts, working conditions, maternity care and social security. That is, the key point of the Domestic Workers Convention is to apply all labor rights and social security to domestic workers without discrim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domestic services. With the adoption of the ILO's Domestic Workers Convention, foreign countries have either reorganized or discussed the reorganization of the laws for the protection of domestic workers. Some ILO member states have legislated special laws or have been discussing domestic workers to the scope of application of general labor law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untries like Korea that exclude domestic workers from official labor and treat them as labor use relations under civil law. In the study, the author has reviewed the status of domestic workers, related to labor laws and applicable institutions of foreign countries including Singapore, Hong Kong and Japan. Singapore’s Employment Act does not include domestic workers in its scope of application, but guarantees part of labor rights of foreign domestic workers through the Employment of Foreign Manpower Act, a special law. Singapore's policy feature is to prevent career breaks in married women and resolve lack of workforce by providing tax benefits to those employing foreign domestic workers. In Hong Kong’s case, its Employment Ordinance also applies to domestic workers, but domestic workers residing in host household are excluded, and it is mandatory for foreign domestic workers to reside in host household. Given that there are very few local domestic workers in Hong Kong and most of the domestic workers reside in host household, As a result, the Hong Kong government’s double standard remains a matter for debate on equality of human rights. In Japan, foreign domestic workers, who are eligible to stay and employed through special agencies, are subject to the labor law, and there is no wage discrimination. However, local domestic workers encounter reverse discrimination, as the labor law does not apply for their case. The above mentioned three countries recognize the domestic workers’ working rights, or partially recognize the rights through separate regulations. Meanwhile, in Japan, the debate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domestic workers is under way through a lawsuit demanding judgment on the ‘worker’ status of domestic worke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Korea, in principle, does not recognize the worker ‘status’ of domestic workers, but the discussion on the concept and scope of housekeepers reflecting various types of domestic services of domestic workers in the future is much needed. In Korea, the adoption of the ILO's Domestic Workers Convention and the improvement of foreign legislation have initiated the discussion on the legislation of laws for the protection of domestic workers. In line with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domestic labor, the Korean government prepared the 󰡔Draft of the Act on Improving Employment of Domestic Workers, etc.󰡕, which i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draft, the government proposes to provide legal protection for domestic workers by formulating a tripartite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certified domestic services provider employs domestic workers and does business with domestic service users. However, based on the government’s proposal the domestic workers are still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Labor Standards Act and defines the status of domestic workers through legislation of a special law, which does not meet the purpose of protecting domestic workers. In addition, the government proposal is insufficient to protect the rights of domestic workers, as it seeks to introduce special provisions on working condition to the Labor Standards Act. Moreover, since the government proposal presupposes direct employment contract between domestic workers and the domestic services provider, those who enter into domestic service contract with individual households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legal protection. That is, 250,000 to 500,000 unregistered domestic workers would still remain in a vulnerable working environment without social safety net, and so the legislative solution to protect them should also be sough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bove mentioned backgrounds and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current status of domestic workers in Korea based on the background and the awareness described above, and then reviewed the legislation prepared by the government to examine whether the working conditions and legal protections were sufficient for domestic workers. In order to derive the issues surrounding domestic work, this study examined the legal systems and current status of comparable countries to clarify the problems of the legislation currently under discussion and suggested solu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other previous studies in that it proposed a policy alternative to protect undocumented domestic workers. The 「Act on Improving Employment of Household Workers」, submitted by the government, protects domestic workers socially through labor rights and social security of domestic workers, and improves employment by improving the quality of household services by fostering domestic service providers. It aimed at creating quality jobs.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systematically protecting domestic workers who were not properly protected as domestic worke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n addition, the government proposal sought to protect registered domestic workers through direct employment of domestic workers with domestic service providers as users. Although the author agrees with the government proposal, regarding the cause and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s legislation,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is bill that domestic workers who do not enter into an employment contract with a domestic service provider still remain as domestic servant, and that the government proposal protects only the minimum rights of domestic workers by applying part of the Labor Standards Act. In order to protect domestic workers under the ILO Domestic Workers Convention(2011), the following supplements are required. First, it must be declared that the domestic workers covered by the government proposal are workers. It is reasonable from the practical side to partially applying the Labor Standards Act to registered domestic workers. Despite this fac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artial applicat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to registered domestic workers, and to prepare a policy for social protection through a social safety net for undocumented domestic workers, who are not under the government proposal. In addition, policies for social protection through social safety nets should be prepared for undocumented domestic workers who cannot be covered by the government. The reason is that undocumented domestic workers prove their work with standard domestic service contracts. As a result, it can be a way for undocumented domestic workers to use the standard housework service contract as proof of their work and receive social protection such as government subsidies. Household service users can also prove the fee for using home cleaning services and use it as a basis for tax incentives.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injuries and sickness allowances to establish a minimum social safety net from income loss from illness or unemployment of unregistered domestic workers.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to cover the whole phenomenon that new types of housekeeping services are provided due to the emergence of various platforms. This is expected to be sup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Key words: domestic servant, domestic services, registered domestic workers, unregistered domestic workers, labor rights, social security rights, injury and sickness allowance, standard domestic service contract, Domestic Workers Convention, 2011 (No. 189)

      • 내방가사연구 : 자탄류를 중심으로

        한정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內房歌辭란 嶺南地方 一帶에 걸쳐 兩班 婦女子들이 그들의 生活을 그려낸 女流文學으로서 즉 封建主義 家族制度下에서의 文學을 意味한다. 內房歌辭의 時代的 背景은 儒敎를 國是로 한 朝鮮社會다. 朝鮮 儒敎 倫理의 三從七去는 朝鮮 女性生活을 拘束하여 女性들의 生活을 지배했던 封建的 觀念이었다. 朝鮮朝 女性들이 社會的 活動이 制限된 生活속에서 順從과 그들이 生命처럼 간수했던 貞節의 婦德만을 생활신조로 삼아 生活했던 환경에서 創作된 것이 內房歌辭다. 絶對的 地位의 男性專制化에서 女性을 男性의 종속물로 만들었고 女性의 基本權 마저 剝奪하여 이로 인해 女性은 儒敎倫理의 엄격한 戒律과 貧困한 生活苦에 얽매인 呻今아래 그들의 嘆息은 自身의 運命을 설워하는 "恨"으로 얼룩져 있다. 朝鮮朝 女性에게 숙명적으로 따르던 男尊女卑의 <位>論은 女性들에게 온갖 허울좋은 規範의 諸相으로 나타났고 女性들은 이러한 諸相을 체념적으로 받아들여 그녀들의 生活은 더없는 苦痛으로 한숨과 눈물과 反抗이 없을 수 없었다. 그러나 그녀들은 이러한 <位>와 <相>에서 脫出 克服 否定등을 志向하여 反抗精神을 涵養하였고, 다시 이를 止揚하여 마침내 身邊嘆息類의 歌辭를 創作했고 傳寫享有하는 境地까지 이를 昇華시켰던 것이다. 本稿에서는 上述한바에 對한 문제에 중점을 두고 內房歌辭의 名稱과 槪念, 時代的인 背景을 考察하고 內房歌辭에 投影된 朝鮮朝 女人의 생활상을 社會的 制度에서 오는 갈등과 家庭의 倫理, 經濟的인 貧困의 갈등으로 생기는 "嘆"의 樣相을 考察했다. 다만 이 內房歌辭의 自嘆類의 作品이 徹底한 反抗文學이 될 수 없었던 것은 때로는 强硬하기도 했지만 朝鮮朝 女人들이 그들의 位相을 숙명적으로 받아들여 어느정도 肯定的으로 읊은 가냘픈 反抗文學이었다는 것이 玉에 티라고나 할 수 있겠다. Naebangkasa is a woman literature that the women of noble class in the Youngnam areas expressed their life and so it means the literature under the family system of feudalism.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Naebangkasa is the society of Yi-Dynasty that has Confucianism, national policy. Three rules to keep and seven grounds for divorce of Confucian theories in Yi-Dynasty are the feudalistic ideas that restrict and rule out the life of the women in Yi-Dynasty. The women of Yi-Dynasty carry through with their life belief of obeidence and female virtues of chastity that they kept at the risk of their life under the conditions that they are restricted in their social activities and Naebangkasa was created under these conditions. Absolutism of man that man has an absolute position made woman subordinate subject for man and deprived of the fundamental right of woman. So the lamentation of woman was filled with resentment that grieved at their fates under the strict rules of confucian ethics and poor life difficulties. The "Position"theory of predominance fo man over woman the women in Yi-Dynasty observed fatally suggested the various aspects fo only superficial rules for woman and they accepted these aspects fatally, and so they couldn't help sighing, tearing and resisting. However, they developed the spirit of insubordination by aiming the escape, overcome and refusal from this "position" and "aspect" and finally created the kasa of the style of personal lamentation and sublimate it to the stage of record and preservation up to dat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name, concept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Naebangkasa centering around the above mentioned statements and researched the life style of woman in Yi-Dynasty reflected in Naebangkasa from two aspects : one is the trouble from the social system and the other is the lamentation from the trouble fo family ethics and economic poverty. The reason that the work of the style of grieving to oneself in Naebangkasa couldn't be a complete resistance literature was that the women in Yi-Dynasty were sometimes strong but finally they accepted their position fatally and so they created poor resistance literature expressed positively by themselves.

      • 부부의 가족공유시간 결정요인과 가족공유 유형별 특성 : 가사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을 중심으로

        노영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14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를 이용하여 한 가구에 함께 거주하는 만 20~60세 미만의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가사노동과 여가에 대한 가족공유시간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가족공유시간은 가정관리, 가족돌봄, 여가로 구분하여 가족공 유실태에 대한 기초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족공유시간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가족공유시간을 행위자 중심으 로 유형화하고, 각 집단유형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부부의 가족공유시간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족공유시간은 ‘공간을 함께 하면서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주된 행동을 함께한 사람’으로 정의하였으며, 배 우자, 자녀, 부모와 함께한 경우에만 가족공유시간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께 사는 부부의 가족공유시간은 하루 평균 가정관리 14분, 가족돌봄 4분, 여가시간은 49분으로 매우 적었다. 더욱 이 전체 가족공유시간의 73% 이상은 여가공유시간으로 나타났다. 부부별로 아내의 가족공유시간은 23분으로, 남편의 가족공 유시간(14분)에 비해 많았지만, 하루 평균 4시간 32분의 가사노동을 대부분 혼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10분 이상 가 사노동을 가족과 함께하는 행위자 비율은 평일 19.5%, 토요일 39.2%, 일요일 43.1%로, 토요일과 일요일이 2배 이상 높았다. 가사노동의 가족공유의 경우 남편은 가정관리시간에 10분, 가족돌봄시간에 4분을 가족과 함께 공유하였고, 아내는 가정관리 시간에 18분, 가족돌봄시간에 5분을 가족과 함께 공유하였다. 요일별로 보면 가사노동의 가족공유시간은 평일 13분으로 일 요일 36분과 비교하여 23분 적었다. 한편 가사노동의 가족공유시간은 요일과 관계없이 배우자, (손)자녀, 부모 순으로 많이 했다. 부부의 여가시간 가족공유 시간은 50분이었고, 함께한 가족은 배우자가 46분이고 자녀가 21분으로 나타났다. 여가를 10분 이상 가족과 함께한 비율은 평일 47.5%, 토요일 65.8%, 일요일 75.2%로 나타났고, 아내가 남편에 비해 요일과 관계없 이 가족공유행위자 비율이 약간 높았다. 하지만 여가의 가족공유시간은 대부분 미디어를 함께 본 시간이었고, 스포츠, 문화 활동 등의 가족공유시간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공유 결정요인으로 개인적요인, 가족적요인, 경제적요인, 젠더인식, 구조적제약 요인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먼저 가사시간의 가족공유시간 결정모형의 결과를 보면, 아내에 비해 남편에게서, 20대에 비해 40대와 50대에서, 부부비벌이에 비해 부부맞벌이 혹은 외벌이에서,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 노동시간이 긴 집단에서, 피곤하 지 않은 집단에서 가사노동의 가족공유시간이 유의미하게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졸이하보다 전문대졸이상에서, 미취학자녀가 있는 집단에서, 가구원수가 많은 집단일수록, 소득이 없는 집단보다 100만원이상 소득이 있는 집단에서, 성역 할에 대해 근대적 태도를 가진 집단에서, 가사분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에서 가사 시간의 가족공유시간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가의 가족공유시간 결정요인 분석 결과를 보면, 여가의 가족공유시간은 개인적 요인을 비롯하여 가족, 경제, 젠더, 구조적 제약요인 전반에 걸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연령(20대 기준), 교육수준(중졸이하 기준), 미취학자녀, 맞벌이여부(부부비벌이 기준), 노동시간, 피곤정도(피곤 기준) 등은 기준 집 단과 비교하여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아내 기준), 소득수준(소득 없음 기준), 성역할태도(전통적 기준 ), 가사분담만족도, 시간적 제약(시간부족 기준), 주관적 건강상태 등은 여가의 가족공유시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적 요인 중 가구원수는 여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셋째, 가정관리, 가족돌봄, 여가시간의 가족공유시간의 참여패턴에 따라 집단 분석은 잠재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집단유형은 자료의 성격과 집단유형의 요일별 크기와 특성을 비교하여 군집분석 방법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 군집분석 방법을 통해 분류된 집단유형은 5개로, 가족공유취약형, 가사공유취약형, 가정관리위주공유형, 가족돌봄위주공 유형, 여가위주공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부부의 가족공유시간 유형은 대부분 가족공유취약형이 거나 가사공유취약형으로 분류되었다. 가족공유취약형의 비중은 평일 59.8%, 토요일 59.3%, 일요일 51.0%로 나타났고, 가사 공유취약형은 평일 27.1%, 토요일 23.4%, 일요일 27.0%로 나타났다. 가족공유취약형의 평일 가족공유시간은 가정관리 3.1분 , 가족돌봄 1.5분, 여가 5.6분이었고, 가사공유취약형은 가정관리 4.5분, 가족돌봄 2.0분, 여가 78.8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가사노동과 여가의 가족공유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족친화 정책의 적극적 추진과 성평등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 가족공유시간은 가족 간의 정서적 교류뿐 아니라 건강한 가족문화를 가져오는 시간임에도 우리나라의 가족공유시간은 절대 적으로 적다. 이에 부부의 가족공유시간 유형의 80% 이상이 가족공유취약형과 가사공유취약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다양한 요인이 가족공유시간에 영향을 주었지만, 요일별, 성별의 특성과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준 요인은 노동시간과 젠더인 식이었다. 둘째, 가족공유시간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생활시간조사」의 자료 가공과 제공 방법의 변경이 필요하다. 가족 공유시간은 가사노동 혹은 여가시간에서 혼자한 시간과 가족이외 시간을 제외해야 파악이 가능하지만, 현재 제공되는 데이 터는 함께한 사람의 중복응답으로 인해 가족과 가족이외의 사람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향후 함께한 사람에 대한 분석이 다양하게 연구될 수 있도록 중복응답에서 배우자, 자녀, 부모 등의 가족만의 공유시간과 가족과 가족 이외가 함께한 시간, 가족 이외 사람과만 함께한 시간을 구분할 수 있는 코드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부부만을 대상으로 가족공유의 결정요인과 개인의 공유특성을 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향후 부부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족공유 특성에 대해 비교하는 연구가 추진되길 바란다.

      • 家事勞動의 社會化 및 關聯變因 考察 : 就業主婦와 非就業主婦를 中心으로

        이은주 淑明女子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특정적인 현상 중의 하나인 기혼여성의 취업의 증가는 가정생활 전반에 걸쳐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과 직장에서의 이중역할 수행으로 인한 시간부족은 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수행양식에 변화를 가져온다. 이에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취업률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의 경향을 알아보고 또한 이들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 분석함과 동시에 그와 관련된 제 변인과의 관계를 밝혀봄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가사노동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며 나아가 가정생활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는 가정관리연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개념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것을 실증적으로 실험하는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며,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일반적 배경 변인(연령, 학력, 결혼지속년수, 가족형태, 가족수, 주거형태, 가계소득, 가사조력자 유무, 여가활동 참여도)에 따라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사노동 관련 변인(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 가사수행능력, 가사노동에 대한 시간제약 지각정도)에 따라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넷째, 심리적 변인(성역할태도)에 따라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어느정도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사노동의 사회화,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 가사수행능력, 가사노동에 대한 시간제약 지각정도, 성역할태도,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로서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취업주부 247부, 비취업주부 240부로 총 487부이다. 표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을 구하였으며,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하여 유의도를 검증하고 끝으로,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취업주부의 경우 평균이 중간점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식생활, 주생활영역의 사회화 수준은 평균이 중간점에 못미치는 수준인데 반해 의생활영역의 사회화 수준은 중간점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평균이 중간점보다 훨씬 낮았으며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중간점에 못미치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1) 하위영역별로는 식생활영역(P<.01), 의생활영역(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취업주부의 경우 가계소득(P<.05), 가사조력자 유무(P<.001), 여가활동 참여도(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비취업주부의 경우는 학력(P<.001), 결혼지속년수(P<.01), 가계소득(P<.001), 주거형태(P<.01), 가사조력자 유무(P<.001), 여가활동 참여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가사노동 관련 변인에 따른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취업주부의 경우 가사수행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P<.01)를 보였으나, 비취업주부의 경우는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P<.001), 가사수행능력(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사노동의 사회화 수준은 심리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제 변인들이 가사노동의 사회화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취업주부의 경우 가사수행능력(β=-0.364)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고 다음이 여가활동 참여도(β=0.270), 가계소득(β=0.156), 성역할태도(β=-0.154), 학력(β=0.14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약 35%였다. 비취업주부는 가계소득(β=0.230)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이 학력(β=0.209), 가사수행능력(β=-0.196), 여가활동 참여도(β=0.19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약 35%였다. In the condition of the percentage of employment's soaring of married women, and of being no study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employed wives, it's urgently needed to inverstigated the general trend of socialization of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the unterielationship between them and respective influencial power of the background variables. From the point of this view,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of the employed and unemployed housewives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provide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rational and effective performation of the household task. The research questions are described as follows : (1) Which direction is to be shown of the general trend of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socialization level? (2) Is there any distinction between the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taken by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according as the fluctuation of backgrounds variables? (3) According as variables related to household work,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made by employed end unemployed wives? (4) In proportion to such psychological variables as sex-role attitude, is there any dissimiliarity between the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taken by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5) How is the respective influential power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ousehold work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socialization level of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For the purpose of the above research question, the samples were distributes to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who lived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investigation above, this study acqures following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of the employed wives was a little below medium point. When the household work was devided into there subdomains, in the domain of food and shelter, the socialization level was far below medium point.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of the unemployed wives far below average. When the household work was devided into three subdomains, in the domain of food clothes, and shelter, the socialization level was far below, too. (2)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family income, household work helper, and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mployed wives. Duration of marriage, housewife's education level and house income have a important effect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unemployed wives background. (3)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household work, performing competence of household work is powerful effect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the employed wives. And as for the unemployed wives, performing competence of household task and recognition of the velue of household work are significant variables. (4) The psychological variable such as sex-role attitude gave no noticeable influence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employed and unemployed wives. (5) In conclusion, classifing the variances influencing on the socialization level of household work in a measure of respective effect, it apperars to be performing competence of household task,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house income, sex-role attitued and scholarstic ability in the arder of their influences for the employed wives. And as for the unemployed wives, it seems to be house income, performing competence of household work and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To the two sides, the rate of explanation is shown at 35%.

      • 12가사의 애정가사 연구

        김정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the actualstate of transmitted affectionate Gasas based on the research of features of genre in twelve Gasas, and to examine how the affectionate Gasas from the 19th to the 20th Centuries were understood, through the research of their refinement. The affectionate Gasas for this research are Chunmyeongok, Sangsabyeolgok,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The reason why these five Gasas were chosenis that their theme is about affection, such as the sadness of a breakup, longing for the loved one, and so on. Also there is a reference of tone of Gasas fixed by the criteria of Sadaebu (Literati Class) in the old records, so that this can be a basis of comparison between these affectionate Gasas and other Gasas. Gachang Gasa naturally spread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led by the Pungnyu Culture. Later it was expanded to the Yeohang-Sijeong Culture due to the change of the times, so that main class for the Gachang Gasa was shifted to the Jungin and Seomin classes. Later, the frames of the twelve Gasas were formed at the time (early 20th Century) when Jeongagyujihoe was founded and operating to hand down the musical culture of Pungnyu. These twelve Gasas have been transmitted until now,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ones among the pieces of Gasa,although their grade was recognized as Jeongag by Sadaebu. The causes of the differences in tones of Chunmyeongok, Sangsabyeolgok,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can be found in the period of their existence, the texts in terms of literary aspects, and the musical structure in terms of musical aspects. In the literary aspect,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exts of five Gasas were identified as having insufficient contextual relationship. Therefore, different tones herein mean the different existences and musical difference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texts. At the point of existence, Chunmyeongok and Sangsabyeolgok have been sung longer than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Also they were sung by Yangban (the nobility) class, and their Gasas became lyrics after being sung. In the musical aspect, Chunmyeongok and Sangsabyeolgokwere affected by the fast rhythm of Sijo on the basis of traditionally transmitted musical pieces.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have different tones by having the rhythm of Minyo (folk songs) and vocalism of Japga.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of tone in transmitted affectionate Gasas were not because of the structures of literary texts, but because of the musical penetration of Japga at that times. Hwanggyesa, Gilgunak, and Maehwaga were influenced by Japga more than Chunmyeongok and Sangsabyeolgok. Due to that reason, the former were considered as less refined pieces. In the record of the 20th Century, only Maehwaga was recognized as a less refined piece. However, at the current point where the 12 Gasas are recognized and transmitted Jeongag,it is ambiguous to discuss the differences of refine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ason. Whether affectionate Gasas are influenced by sung Gasa or Japga, all of them are transmitted refined Gasas called Jeongag. Also they were sung and transmitted in the sense of the preservation of Jeongag, by keeping the refinement of the upper class while they transmitted musical pieces of Jeongag. In the point of view of Sadaebu, affectionate Gasas were sung to exercise their exclusive authorities. Therefore the affectionate Gasas havebeen sung and granted to have relatively high value, separate from Japga ofthe Seomin Class in Sijeong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12가사의 장르적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전창 애정가사의 실상을 파악하고, 이들의 품격 연구를 통해 19-20세기 애정가사의 소통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애정가사’는 <춘면곡>, <상사별곡>,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이다. 이 다섯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정한 것은 이들이 ‘이별의 슬픔, 임에 대한 그리움’ 등의 ‘애정’을 주제로 했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옛 기록에는 사대부들의 비평기준에 따라 정해진 격조에 대한 언급이 남아있어 다른 작품군과 비교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창 가사는 18세기-19세기에 연행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확산 진행되었는데, 사대부의 풍류방문화권에서 주도되다가, 시대의 변화로 여항-시정문화권으로 확대되며, 가창 가사의 주도권 역시 중인층, 서민층으로 넘어간다. 이 후, 풍류방의 음악문화를 전승하려고 설립된 ‘정악유지회’가 활동하는 시기(20세기 초)에 12곡의 틀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전창 12가사이다. 이들 작품은 사대부들에 의해 ‘정악’으로 품격이 인정되었지만, 작품 내에서는 격조의 차이가 있었다. 격조 차이가 나는 원인은 <춘면곡>, <상사별곡>,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의 존재양상과 문학적인 면에서 살펴본 사설의 양상, 음악적인 면에서 본 악곡구조의 양상에서 찾을 수 있다. 문학적인 면에서 살펴본 사설의 내용과 짜임에서는 다섯 곡 모두 사설의 문맥적 유기성이 미약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말하는 격조란 사설의 내용보다는 존재 양상의 차이, 음악적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 존재 양상 면에서 살펴보면 <춘면곡>, <상사별곡>은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보다 오랫동안 존재하여 가창되어 왔으며, 양반층에서부터 가창되어 온 가사라는 점, 그리고 歌辭가 가창화 되어 歌詞로 불린다는 점에서 다르며, 음악적인 면에서는 <춘면곡>, <상사별곡>은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악곡에 時調의 빠른 리듬이 흡수된 곡이고,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는 민요적 리듬, 잡가 창법이 많이 흡수된 가사라는 점에서 격조의 차이를 둔 것이다. 즉, 전창 애정가사의 격조의 차이는 문학적 사설의 짜임에서 오는 것이라기보다 시대의 잡가적 음악의 침투로 인한 것으로, <춘면곡>, <상사별곡>에 비해, <황계사>, <길군악>, <매화사>의 작품이 잡가의 음악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래서 19세기 기록에는 후자의 작품을 격이 낮은 것으로 보며, 20세기의 기록에서는 <매화사>만을 격이 낮은 작품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는 12가사가 ‘정악’으로 인정되어 전해지는 현 시점에서 위와 같은 이유로 품격의 차를 논하는 것은 불분명한 점이 있다. 애정가사는 歌辭의 영향으로 형성된 작품이든 잡가적 영향을 받은 작품이든 간에 모두 ‘정악’으로 전해오는 품격이 높은 가사로, 정악의 성악곡을 전수하면서 상층의 격조를 보전하려는 정악 보존 의식에서 가창 전수된 것이며, 사대부층의 입장에서 볼 때는 독점적 권위의 발휘로 인해 가창된 것이다. 그래서 19-20세기 전창 애정가사는 향유층에 의해 시정문화권의 서민층 문화인 잡가와 구분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부여받아 가창되었다.

      • 愛情歌辭 話者의 認識 指向과 作品世界

        여형옥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이별과 사별 상황에서의 화자의 인식 지향을 비롯한 몇 가지 준거를 중심으로 애정가사를 바라봄으로써 그 작품세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화자의 성별과 흔히 ‘님’으로 표현되어 온 상대방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성과를 재평가하는 한편, 애정가사의 작품성과 문학적 의의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특히 본고는 시적 화자와 더불어 ‘님’을 비롯한 주변 인물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인식지향 등의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애정가사의 작품세계를 좀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단독형과 화답형의 범주를 따로 설정하되 보다 큰 구도에서 이들을 조화시킴으로써 애정가사 나아가 가사의 장르적 성격을 모색할 단서를 마련코자 했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시적 화자의 ‘상황’을 분석하는 준거로서 화자 단독의 목소리인지, 상대방과의 소통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지 여부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단독형’과 ‘화답형’을 설정하고 각 작품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화자의 상황과 그에 따른 화자의 인식 지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이별한 여성화자는 애정가사의 대다수를 이루기 때문에 이들의 특성은 애정가사 일반의 경우와 상통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여기서는 ‘꿈’의 성격과 열거의 활용, 환각의 기능과 주변 인물과의 관계 등을 주요 요소로 거론하였다. 둘째, 이별한 여성화자의 작품군이 관습적 항목들을 취택하여 자신의 그리움을 심화시키고 몇 가지 정형화된 정서의 유형을 드러냈다면, 남성화자는 애정관계 자체에 대한 집념이 더욱 강하게 드러났다. 따라서 남성화자의 경우 내면적 갈등보다는 자신감의 유무가 화자의 태도에 더욱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별한 여성화자의 경우에 주목할 점은 ‘거리감’이었다. 이를 전제로 화자의 죽음 인식, 가문에 대한 책임감, 그리고 인식의 전환 등과 더불어 거리감이 지닌 제 국면을 살펴보았다. 넷째, 사별한 남성화자는 이별한 남성화자와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실제 상황을 반영하고 있었다. 그만큼 구체성을 띠고 있었으며, 관용어구를 활용하더라도 자신의 정서와 좀더 긴밀하게 연관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별한 남성화자의 경우처럼 들뜬 마음을 격렬하게 표현하기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되 현실을 수용하고 달관하려는 마음의 자세를 보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죽음’이라는 상황이 마련해준 인식지향의 진지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애정가사 화자의 내면과 외면의 고찰을 통한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부분은 가능성에 대한 試考인 만큼 보완해야 할 점이 많지만, 여기서 제시한 문제의식의 심화와 천착을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