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사문학의 교육적 가치와 지도 방안 연구 :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장정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가사문학의 대표적 작품인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하여 학습자가 한국 문학의 전통과 흐름을 이해하고, 우리의 고전문학을 창의적으로 수용하며,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올바른 고전문학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가사문학을 왜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민족어문학으로서 가사문학이 가지는 양식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하여 가사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가사문학은 우리 문자로 창작된 민족어문학으로 높은 구조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사문학을 가르치는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민족어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작가의 의도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내용 구성 방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고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그러나 현재 교육과정에서 시행되고 있는 가사문학 교육은 이러한 가사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고 있다. 학생들은 가사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없이 작품을 수용하게 되고, 작품에 담긴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교사가 해석해주는 단어 풀이에 급급한 수준의 학습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고전문학을 자신의 삶과는 동떨어진, 지루하고 어렵기만 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올바른 고전문학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작품을 통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지 살펴보고 현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이를 재해석하여 자신의 삶과 연관지어 내면화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가사문학 가운데 <관동별곡>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사문학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5단계로 나누어 모색하였다. 선행학습 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본 수업에 앞서 작품을 미리 감상하고 화자의 여정과 정서를 추측해보도록 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외재적 접근 단계에서는 작품의 갈래적 특성과 작품의 창작 배경 등을 파악하도록 하여 보다 폭넓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내재적 접근 단계에서는 작품의 운율 구조와 여정에 따라 나타난 화자의 정서, 작품에 나타난 표현상 특징 등을 확인하도록 하여 본격적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창의적 접근을 통해 학생 스스로 작품에 대한 주제를 파악하고, 화자의 여정을 새롭게 바라보도록 함으로써 주체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내면화 학습 단계에서는 작품에 나타난 여행의 의미를 생각하고 자신의 여행 경험을 떠올려 직접 기행가사를 창작해보는 활동을 통해 작품을 자신의 삶과 연관지어 생각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관동별곡> 지도 방안을 통해 학생들이 가사문학을 친숙하게 받아들이고, 나아가 고전문학을 재미있고 흥미롭게 배울 수 있게 된다면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실제 문학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y focuses on <GwanDongByeolGok>, a representative Gasa Literature (a 4 beat based prose type literature) work, so that the observing student can understand the tradition and the flow of Korean literature, and by creatively accepting our classical literature, this research study examines the proper method to instruct and learn classical literature so that active contributions can b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the community. First of all, to examine why Gasa Literature must be taught, this research studied on the features of Gasa Literature, the Literature of a National Mother Language. Secondly, based on studied features, the educational value of Gasa Literature us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2009 rev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was examined. As National Mother Language Literature, Gasa Literature possesses strong structural autonomy. Therefore teaching Gasa Literature enables students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tra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of our National Mother Language and also enables the understanding on the composition methods of the various content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author.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from these literatures, students can have a rich opportunity to reflect upon themselves and also to grow. However Gasa Literature educ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is not able to properly reflect these educational values of Gasa Literature. Students are exposed to Gasa Literature without proper basic knowledge on Gasa Literature, and without a proper understanding on the contents in the works, they are preoccupied with the word definitions provided by the their teachers. Therefore students dismiss classical literature as the study of something they cannot relate to and as a boring and difficult subject. For proper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o occur, the works must be examined for their education message and value, and it must be possible enough for students to reinterpret these works so that they can internally reflect upon these works and relate them to their own lives.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study selected <GwanDongByeolGok> out of the Gasa Literature works and divided the method to instruct and learn Gasa Literature into 5 steps for use in actual classroom settings. The students were exposed to the works in the pre-education step, and by having them guess the flow and emotions of the author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k was heightened, and in the extrinsic approach step, by having the students understand the se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and the creation backgrounds of the works etc. they were enabled to have a broader exposure to appreciating works. In the intrinsic approach step, according to the cadence structure and the flow apparent from the emotion of the author,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 made to be appreciated so that the students could start to understand the work in earnest, and through a creative approach, the students were made to understand the theme of the works on their own, and by having the students gain a new perspective on the flow of the works, they were enabled to independently lead their own appreciation of the works. Finally through the internalization learning method, the meaning of travel manifested in the works were made to be pondered upon, and by conjuring up thoughts of their own travel experiences, through the activity of creating their own travel Gasa work, they are made to relate the works with their own lives, so that they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maximize the value of the literature. Through such education proposals for <GwanDongByeolGok>,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possibility for students to be able to approach Gasa Literature with a familiarity, and as an extension to be able to learn classical literature with a genuine interest and enthusiasm. In future research there must be development of instruc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actual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s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new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s.

      • 가사문학의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수록작품을 중심으로

        정정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전문학을 가르치는 목적은 단순히 과거 문학의 모습을 알게 하는 것이 전부가 아닐 것이다. 고전문학 작품을 통하여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중요한 교육의 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고전문학 지도의 한 영역인 ‘가사’ 장르를 중심으로 장르상의 특징 및 가사문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교수-학습 지도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가사의 양식적 특성을 아는 것은 제재 선정의 기초가 된다.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은 문학의 일반적인 갈래 개념을 배우게 되는데 대체로 가사를 단순히 교술 문학으로 지도하기에는 그 형식과 내용상 충분한 설명이 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가사의 양식 및 형식상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관련하여 가사문학 교육의 의의를 논하여 고전문학이 현재적 삶에 대한 총체적 이해의 산물임을 파악함으로써 고전문학 교육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고전문학을 현대적 의의에 맞게 되살릴 수 있는 보편적이면서도 적합한 지도 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개발하는 문제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교수학습 지도의 원리, 교수-학습 지도와 학습 모형을 탐색하여 고전문학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해명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면서 가사 교수-학습 지도 방안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전문학 교육을 위해 가사작품을 왜 가르쳐야 하며, 무엇을 가르칠 것이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둔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사는 장르 특성상 체험에 대한 문학적 표현 방식면에서 작가층, 사회층, 주제별, 내용별로 당시의 언어적 습관이나 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의미를 가진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이러한 다양한 특징을 가진 가사문학을 통해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인간의 총체적인 삶의 방식을 이해하고 올바른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사문학 교육을 위해서는 양식적, 형식적 특성상 여러 영역의 내용 범주를 포괄해야 된다는 점에서 교수-학습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효과적인 가사교육 지도를 위해 선행되어야 한다. 그 동안 고전문학교육에 심도있는 연구성과를 이루지 못한 것은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적절히 살리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생들 개개인의 다양한 행동 특성을 포괄하는 방향에서 교수-학습 목표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지도단계에서는 교과서와 관련된 작품을 예로 교수-학습 모형의 5단계 즉, 준비, 도입, 전개, 정착, 발전 단계로 구성하여 학습자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도평가에 대한 것은 수업 전, 수업 진행 중, 수업 후의 평가로 나누어 보았다. 이것은 학교 현장에서 관심을 보이는 평가 방법이기에 여러 교육적 제반 조건이 허용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방법이 구안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is not simply to let students know how the past literature looks. Its meaning lies more in providing an educational ground that links the past to the present through the classics. Considering that education is a planned change of human behaviors, both Glaser's model that standardize the process of education into four steps of goal setting diagnosing teaching assessing and the model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at divided it into five steps of planning diagnosing teaching developing assessing attach importance to the aspect of planned change and take goal setting for the ultimat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To systematize the basic step of educational goal sett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at least three questions: first, why should classic literature be taught; second, what should be taught in classic literature classes; and third, how should classic literature be taugh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Gasa', a genre included in classic literature education, and to find methods of classic literature teaching learning. First of all, in schools students learn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literature because understanding the stylistic feature of Gasa must precede the selection of a theme, but it is true that the classification does not explain fully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Gasa as didactic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planned to examine the stylistic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asa. Next, it tried to answer the question why classic literature education is necessary through discuss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Gasa in connection to the goals of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d proving that classic literature is the outcomes of writer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ife in their time. Fi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a teaching method that is universal as well as optimal for presenting the contemporary implications of the classics. For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principles and models of teaching learning and propose Gasa teaching learning methods, focused on explaining what should be taught in classic literature classes.

      • 가사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지도방안 모색 : 제7차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국어’를 중심으로

        김효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 has witnessed 6 amendm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introduction of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in 1955 until its 6th amendment in 2005.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6th amendment) presents 'fostering of creative Koreans'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its basic directions, and accordingly,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aims to enhance learners' creative use of language and provide for opportunities to experience learner-centered meaningful Korean language learning. However, our current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does seem to respond little to such historical requests. Teacher-centered interpretive instruction deprive students of the opportunities for creative and autonomous appreciation of literature, and as a result, many students are bored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not being aware of its brilliant values. With such a critical view of the school education, this study sampled the genre 'Gasa' literature out of our classical literature and thereby, addressed the problems of the 'Gasa' literature education and found their solution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he background of study is described, and in the second chapte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asa' literature are overviewed. 'Gasa' literature could be established as a branch of literary education because it has some educational value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review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nd literature subject only to reconfirm the position of 'Gasa' literature in our national literature. In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er reviewed the classical literary works shown in the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edit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literary content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Furthermore,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ard-to-learn Chinese letters despite their long uses in our modern linguistic life and the classical literary texts, and as a consequence, the researcher could identify some problems of 'Gasa' literature education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lassical literary works shown in the textbooks, it was judged that their units were well organized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that learners might feel more difficult for the classical literature because the area of literature was limited to reading activities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subject 'Korean Language'. Second, despite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instrumental in learning the classical literary works, the basic Chinese letters are not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first-graders' (10th graders') curriculum, which must be a problem. Third, the education in the classrooms were aimed at memory and understanding of fragmented knowledge or superficial activities of literary appreciation far from a genuine emot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a total approach to works. Such a problem of 'Gasa' literature education was deemed attributable to college entrance system, shortage of curriculum hours, knowledge-oriented learning with emotion excluded, memory testing assessment, etc. In the fourth chapter, the researcher explored the ways to teach students on 'Gasa' literature by finding out its educational functions based on the problems addressed. After all, the researcher reorganized 'Kwandongbyolgok' text for students' easier* understanding and suggested a pedagogics using media and group writing about the results of discussion and debate. As it was, this study analyzed the texts of 'Gasa' literature and explored the way for correct guides to establish an identity of 'Gasa'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towards solutions of such problems as teachers' heavy workload due to overcrowded classroom, assessment system dictated by the mechanic objectivity, shorter curriculum hours for reading experiences, etc.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analyze the 'Gasa' literature education thoroughly to enrich our human life with a meaningful literary education. 우리나라는 1955년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5년 현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일곱 차례에 걸친 교육과정의 변화를 겪어왔다. 제7차 교육과정은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과 학습자 중심교육을 기본방향으로 삼았으며, 이에 따라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도 학습자의 창의적인 언어 사용 능력 증진과 학습자 중심의 의미 있는 국어학습 경험의 제공을 그 목표로 한다. 그러나 우리의 고전문학 교수·학습 상황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중심의 해석식 수업은 학생들에게서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감상의 기회를 빼앗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고전문학의 빛나는 가치를 느껴보지 못한 채 고전을 따분한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 논문은 학교현장 교육에 의문점을 가지고 ‘문학’ 교육 중 고전문학의 ‘가사문학’ 교육에 그 대상을 국한시켜 문제점과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 Ⅰ장의 연구사 검토와 함께 가사문학이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제 Ⅱ장에서 살폈다. 문학 교육의 개별 갈래로서 가사문학 교육이 성립할 수 있었던 것은 가사문학이 가진 교육적 가치성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어 교과와 문학 교과의 목표와 내용체계를 살펴 가사문학의 위상을 확인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고전문학 제재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학 관련 내용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대의 언어생활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으면서도 오히려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한자와 고전문학 텍스트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그 결과 가사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문학의 교과서 작품 현황을 살펴본 결과, 7차 교육과정의 취지대로 단원 구성시 통합성의 원칙을 살린 것은 좋았으나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국어’에서 문학 영역을 독서활동으로 성격을 제한한 것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고전문학 교육을 더욱 어렵게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한자교육은 고전작품 수학능력에 도구적 성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에서 학습하기로 되어 있는 교육용 기초 한자가 현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교육과정 상에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셋째,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은 작품의 총체적인 접근보다는 단편적인 지식만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참된 정서 유발과는 거리가 먼 피상적인 감상활동만이 이루어졌다. 이것의 원인인 대학 입시제도와 부족한 교과 시수, 정서가 배제된 지식위주의 수업, 암기위주의 평가문항 등 현실적인 장애가 가사문학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제 Ⅳ장에서는 앞서 진단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가사문학의 교육적 가능성을 찾아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관동별곡> 텍스트를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고, 매체활용을 통한 교수-학습과 모둠별 토의·토론보고서 쓰기를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가사문학 텍스트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가사문학 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올바른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과밀한 학급 인원수에 따르는 업무 과중, 현재와 같은 기계적인 객관성에 사로잡힌 평가 체제, 독서 체험을 확충할 수 있는 수업 시수의 확보 등이 선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를 계기로 가사문학 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실체 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져 삶을 풍부하게 하는 의미 있는 문학 교육이 되기를 기대한다.

      • 고등학교 전쟁가사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박인로의「선상탄」을 중심으로

        조경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대 사회의 청소년은 급속도로 변하는 정보화 시대를 살고 있다. 그래서 시대의 고민과 인간의 문제를 다룬 인문학이나 한국 문화의 전통과 당대의 사회상을 담고 있는 역사에 대한 관심이 과거에 비해 크지 않다. 따라서 국어교육적 측면에서 볼 때, 문학과 역사를 아울러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작품으로 청소년들의 문학에 대한 관심과 역사의식의 고취가 필요한 실정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고전문학 가사장르의 전쟁가사갈래를 제재로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고등학교 전쟁가사 교수·학습의 목표와 내용을 새롭게 마련하고,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내면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가사문학과 전쟁가사가 지닌 의의와 가치를 밝히고, 지금까지 선행되어 온 가사문학 교육에 관한 연구와 노계의 전쟁가사에 관한 일반적 연구를 대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계 박인로의 전쟁가사를 제재로 교수·학습한 연구 방안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또 2015년부터 적용되는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전쟁가사가 언급되지 않은 현실을 반영하여 노계 박인로의「선상탄」을 연구대상으로 지정하고 교수·학습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Ⅱ장에서는 조선조 전쟁가사 작품의 통시적 흐름을 통하여 이 갈래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노계 박인로 전쟁가사의 작품 분석과 학습 교육 내용의 마련을 위하여 임진왜란기의 국내·외 정세와 박인로의 생애와 업적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고등학교 11종『문학』교과서의 가사유형 수록 실태와 작품을 조사하여 전쟁가사가 차지하는 비중을 점검하였다. 더불어 2011 개정『문학』의 목표와 내용 체계, 성취 기준을 기반으로 전쟁가사 학습 내용의 구성 요소를 마련하였다. Ⅳ장에서는 문학 일반 모형을 토대로 비상교육(한철우 외)의『문학』교과서를 채택하여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의 대단원에「선상탄」을 소단원으로 적용한 고등학교 전쟁가사 교수·학습안을 제시하였다. 총 2차시의「선상탄」교수·학습안은 고어와 한자어가 많은 고전시가 작품임을 감안하여 현대어 풀이를 제공하고 텍스트의 내용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사진, 영상, 그림, 지도 등을 첨부하였다. 1차시는 텍스트 내용을 통해 학습자가 당대 작가의 정서와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고, 2차시는 앞 차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개별 학습과 친구들 간의 협동 학습을 고려한 수행 활동 시간으로 구상하여 배정하였다. 더불어 전쟁가사 단원의 교수·학습으로 학습자가 얻을 수 있는 효과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안으로 청소년들은 문학과 역사에 대한 의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과거의 일을 성찰하여 현재의 소중함과 미래의 교훈을 얻을 수 있다. Adolescents in modern society ar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age. They are not concerned about the humanities treating anguish of the age and issues regarding human beings, or the history containing the tradition of Korean culture and the contemporary social realities than in the past. From a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spect,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arouse adolescents' interest in literature as well as historical consciousness with works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appreciate.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tended, with a material of war gasa (war lyric or verse) in the lyrics genre of classical literature, to prepare newly the goal and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war gasa for high school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1, and present its educational plan so as to help learners be internalized. Chapter Ⅰ revealed the significance and value implied in lyrics literature and war gasa, and separately examined the research on lyrics literature education that has been preceded so far, and the general research on war gasa of Nogye Park In-ro.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research plans for teaching and lessening using a material of war gasa of Nogye Park In-ro could not be found rarely. Futhermore, reflecting the reality that war gasa was not mentioned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11 aiming at application from 2015, 「Seonsangtan」of Nogye Park In-ro was designated as a subject of the stud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hapter Ⅱ, through surveying the diachronic flow of war gasa in the Joseon Dynasty, features of this branch were found. And, were looked at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situation during Imjin wa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Nogye Park In-ro in order to analyze his war gasa and to prepare the contents for education. In Chapter Ⅲ, were investigated the situation and types of lyrics contained in 11 kinds of『literature』textbooks for high school to check the importance of war gasa. In addition, the constituents of educational contents of war gasa were arranged based on the goal, contents system and achievement criteria of『literature』revised in 2011. In Chapter Ⅳ, a『literature』textbook of Bisang Education (Han Cheol-Woo et al.) was adopted based on a general literature model to suggest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war gasa for high school which applied「Seonsangtan」as a small unit in the large unit 'scope and history of Korea Literatur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Seonsangtan」with two programs in total, considering that this work is a classic lyric with a lot of archaic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provides solutions to modern language, and includes photos, video, pictures, maps and others as attachments which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text. The 1st program was provided so that learners could understand the emotions and situations of the writer in his age through studying the contents of text, and the 2nd program,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program, was arranged under the concept to allow learners' individual learning as well as collaborative learning with friends, i.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the effect that learners can achieve from teaching and learning of war gasa was presented with its direction in future. In this way, adolescents will be able to cultivate consciousness of the literature and history as well as obtain the importance of present and lessons for future through considering the things of past.

      • 歌辭文學의 歷史的 硏究

        유연석 朝鮮大學校 1990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literature of Kasa has been developed as a national literature for six hundred years since the end of Korea dynasty. As that is different from the forms and contents of other poetry, it is easily accepted and enjoyed by the common people, women as well as high ranking officials. Accordingly Kasa which steered the poetic literature with Sijo was molded into real national literature as two main suppots. And it must be the brilliant heritage not only quality and quantity of works but also the periods of enjoyment. So far, however, the studies of it have been confined to the partial ones of exploitation, theory and writers of works. Even to this time as the historic study of Kasa literature has not been earnestle studied, the general history of literature of Kasa literature is to be asked to study as one of the genre of Kasa literature. The followings are the objects studied in order to settle such problems; At first I obseved the characteristics of Kasa as the basic study of Kasa literature. And next according to the division into periods of the Kasa literature I tried to find out the periodic background, writers, works and the meaning of history of literature which are related with each period. 1. The name of Kasa has been even called as Chang in the earliest stage but it must be more appropriate to be called as Kasa because it is general tendency of our poetry as a matter of fact the pure works of literature and it contains the prosaic characters sung naturally with agreat interest by people. 2. The concept of Kasa in the form is to have been related with 3.4 tune or 4.4 tune as the basic syllable rhythm and with the 4-sound-foot as one line, however, in contents is to have been related with long forms in the various sources but is 'poetic literature' which formed strictly the poet that was arranged well with words of poem by itself. 3. In the form of Kasa the 3·4 tune or the 4·4 tune is the basic syllable rhythm, and the form of Kasa which consists of the 3·4 tune or 4 ·4 tune as the basic syllable rhythm with which is connected as the main rhythm with four syllable tunes. And the closing form has the regular form of 3·5 ·4·3 and irregular one of 4 ·4·4·4. 4. The contents of Kasa is divided into 14 kinds with 300 works debated in this manuscript and materals of the Kasa works more than 700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m. 5. The division into periods of the history of Kasa literature is made as followings ; * Beginning stage(the end of Korea dynasty-l48l) * Growing stage(1482-1591) * Prospering stage(1592-1724) * Turning stage(1725-1894) * Declining stage(1895- up to now) 6. An era of literature of Kasa in the beginning stage was formed by the influence of Hansi in the process of disappearing of Hyangka, Korea fables and Kyunggicheka etc. And in the earliest stage the beginning period and beginning works were "Suwangka"written by Naongwhasang in the end of Koryu. Around end of Koryu the orign of Kasaappeared in the Kasa of Buddhism. It made it more meaningful for high ranking officials to complete the forms poem of Kasa. 7. In the growing stage of Kasa, Lee Su, Song Soon, Park kwanghong and Jung Chul etc. many other writers appeared. Especially Jung Chul has been evaluated as a top one of Kasa literature. In the contents of works there were Ganghohanjung, Morality, trvel descriptions etc. of which writers were mainly from Honam. In this period works or Kasa were greatly developed so that the two big poetries including Shijo were to accelerate the growth of national literature. 8. In the prospering stage of Kasa since the Imjinran the foundation of modern literature which was reflected in the disillusion, senses and feeling of the common people. Accordingly the area of writers was so wide that many works of Kasa of the common people were created. Especially Park Inro's works were directly related with the lives of common people and so the new change of contents and forms of Kasa appeared. And then with the appearence of Shilhak, "Kogongka" which satirized the real lives and "Myungwolum" which contained the stories of war appeared. 9. Kasa In the turning stage since Yungjo was so influnced by Suhak and Shilhak that the contents and forms were greatly changed. So a number of Kasa related with real lives and human dignities appeared, and in forms exceptional rhythm and long Kasa of a prose poem appeared. Especially Kasa of God, Kasa of Donghak, Kasa of common people and Nebang-Kasa etc. which succeeded to the priogeneration were considerably created with Kasa of exile, Kasa of excursion, Kasa of moral teaching and Kasa of retrospection. 10. Kasa in the declining stage since Kabokyungjang began through Kasa of patriotic enlightenment mentioned in Doknipshinmun and Daihanmeilshinbo and then Changeu Kasa related with the spirit of resistance to Japan of Gobyungjung-Kasa and Holshlmka etc.. And Kasa for propagation of religion, Kasa for excursion and Kasa for retrospection epics etc. appeared. Like this for a long time, even if a lot of works were left Kasa couldn't help being confronted with the period of decline. Because of enlightened contents as well as development of modern poems, Kasa couldn't keep maintaning its function. It was for almost six hundred years that Kasa had been loved as national literature. In those days the creation of national langage form the unique Chineese letters was able to give a new method of inscription so that it could give an animation to the creating acytivities of literature as well. And as the literature of Kasa has produced a great number of writers and then they were able to find out the beauty of expression, nowadays the brilliant achievements of national literature could be left to us as a big heritage with the free expression of people's emotion throuth works.

      • 枕肱의 歌辭文學 硏究

        정혜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6

        枕肱縣辯은 조선 중기의 승려로 <□山曲> <太平曲> <靑鶴洞歌> 등 3편의 가사를 남겼다. 뿐만 아니라 그는 漢詩 113수와 文 27편 등 많은 문학 작품을 남겼다. 枕肱은 1616년(광해군 8년) 6월 12일에 전남 나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집이 가난하여 13세의 어린 나이에 승려가 되었다. 그는 仙岩寺 毘盧庵에서 悟道했고 생애의 대부분을 毘盧庵에서 보냈지만, 주로 호남 지방의 여려 사찰을 돌면서 참선에 열중하였다. 枕肱의 스승은 서산대사의 가장 특출한 제자였던 逍遙 太能이었다. 枕肱은 충실한 수행자의 길을 걸었던 스승 逍遙처림 진정한 참선을 실행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속세를 떠나 자연에서 유유자적하면서 평생을 혼자 암자에서 지내다 홀로 열반에 들면서 '내가 죽으면 내 시신을 산수간에 그대로 버려 짐승들이 먹게 하라' 는 유서를 남겼다. 그는 일생을 참선과 염불, 그리고 권불에 힘쓰다 마감하였다. 현재까지 정리되어 전해지는 불교 가사가 모두 70여 편에 불과한데, 그 중 3편이 그의 작품이고 보면 그가 저술한 가사 3편이 불교 가사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불교 가사를 논하는 저서는 거의 枕肱에 대하여 크고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허나 지금까지의 枕肱歌辭에 대한 연구는 작품소개나 주해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그 주해에도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고는 불교 가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枕肱歌辭의 내용을 분석하여, 문학성과 불교 사상, 다른 불교 가사와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枕肱歌辭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枕肱이 남긴 가사작품은 <□山曲> <太平曲> <靑鶴洞歌>등 3편이다. <□山曲>은 그의 대표적인 가사 작품으로 인생의 무상과 부귀 공명에 대한 깊은 허무를 느껴 자연으로 돌아가 淸貧을 즐기겠다는 내용이고, <太平曲> 은 사이비 승려에 대한 훈계와 중생 제도의 염원을 읊은 내용이며, <靑鶴洞歌> 는 枕肱이 빼어난 산수에 청학이 산다는 지리산 청학동을 유람하면서 그곳의 勝景과 心德을 읊은 내용이다. 枕肱歌辭 3편의 공통점은, 수행을 위한 공간으로서 자연이 강조되었다는 점이다. 그는 불교적 자연 공간이라는 '태평세계'를 만들어 그 속에서 불도를 닦는 수행 생활의 즐거움을 최대한 드러냈다. 이로써 승려들에게 참선의 즐거움을 알리고 수행을 권유하여 불교를 널리 전파시킬 수 있기를 바란 것이다. 또한 枕肱歌辭는 3편 모두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고, 불교 혹은 승려로서의 생활 감정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작품의 내용이 형식적인 찬불이나 교리를 관념적으로 해설하지 않고, 오히려 문학적인 흥취를 살렸다는 점이 내세울 만하다. 대부분의 불교 가사가 부처의 덕을 기리고 수행에 힘쓰도록 권면하는 종교적인 교훈을 읊은 것이어서 거의 내용이 비슷하고 개성적인 작품이 드물지만 枕肱의 가사 작품은 다른 불교 가사와는 달리 일반 가사와 마찬가지로 淸貧 樂道와 勝景에 대한 감회를 노래하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枕肱歌辭는 다른 불교 가사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창성과 문학성을 지니고 있어 그의 가사는 굳이 불교가사로 분류할 필요가 없이 일반가사 쪽으로 내놓아도 아무 손색이 없을 정도로 문체가 뛰어나고 내용이 훌륭하다. 특히, 그의 '靑鶴洞歌' 는 불과 35句에 불과한 짧은 글이지만, 청학동의 승경을 한폭의 그림으로 그린 듯 하다. 枕肱은 그의 漢詩를 차치하더라도 가사 3편만으로도 훌륭한 문장가없음에 틀림없다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枕肱의 가사 3편은 그의 한시와 더불어 불교 문학은 물론 우리 문학사에 끼친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This study is on Chimgweng, who lived in the 17th century, and his works. Chimgweng was a Buddhist priest. He wrote 3 lyrics, 113 chinese poems and 27 writings. This study aims to make a study of the Chimgweng's life and his 3 lyric literatures(Gasa). Chimgweng was born in Naju, Cheolanamdo, in 1616. He had to become a Buddhist monk when he was only 13 because of the poverty. He was spiritually enlightened in Sunamsa Biroam temple, and spent the most of his lifetime there. He was so intent on practices in Zen meditation that wouldn't think anything else. Chimgweng was taught by Taeneung who was one of the great apprentices of the Buddhist Saint Seosan. Chimgweng made every effort to practice Zen meditation like his teather, Taeneung. He lived alone free from worldly cares standing aloof from the world. In his life, he used to take nature for a friend. At most 70 pieces copy-edited Buddhist Gasa are handed down till now, and these three of which are Chimgweng's works. So his 3 Gasa are very important in Buddhist Gasa. But most of the studies on Chimgweng's Gasa were unsatisfactory and imperfect. Therefore I hope to more completely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himgweng's 3 Gasa. Chimgweng's 3 Gasa are <Gyisangok>, a song of returning to nature <Taepyunggok>, a song of peace <Cheonghagdongga>, a song of beautiful sight of Cheonghagdong. The Gyisangok is typical to Chimgweng's Gasa. Chimgweng realized the vanity of life. He sang that life is nothing but an empty dream, and wealth, prosperity, honor are worthless. He encouraged people to live peaceful lives as friends of nature. The Taepyunggok is the longest song of the Chimgweng's Gasa. He deplored that Buddhism was on the decline. He admonished a pretended Buddhist monk never to violate. He desired to save the world. The Cheonghagdngga is the shortest song of the Chimgweng's Gasa. He sang the beautiful sight of Cheonghagdong. In that village, the legend has come down to us that long time ago a blue crane lived. Chimgweng's 3 Gasa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that is, the nature is the space for ascetic practices. He supposed a peaceful world in the natural space and enjoyed himself by meditating in Zen Buddhism. As this he taught Buddhist priest that a meditation in Zen Buddhism is joyful, and want them to preach Buddhism. Even if Chimgweng didn't overcome a feeling as a Buddhist priest, his works weren't wholly Buddhistical. Most of the Buddhist Gasa praise Buddha and his teachings. But Chimgweng's Gasa are different from other Buddhist Gasa. Chimgweng didn't praise Buddha and his teachings. Chimgweng's Gasa are very artistic. They have some specific characters. Chimgweng expressed his feelings in these Gasa., He put a heavy stress on Living with nature. Honest poverty and Deep emotion in beautiful sight. This style is similar to common Gasa, different from Buddhist Gasa. Chimgweng's Gasa are very beautiful, artistic,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Especially <Cheonghagdongga> is very short, only 35 phrases, but it is excellent. It is very beautiful like an oriental painting. I think Chimgweng was an outstanding writer and his 3 Gasa with his Chinese poems, and his other writings had a direct influenced up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