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황윤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 사회화와 지식화, 정보화와 다양화를 향하여 발전하는 사회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이 이에 대응한 고급 인력 양성과 새로운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 추세에서 낙후되지 않고 선도적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인력양성과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질이 사회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육성에 있어서 특수대학원의 일종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은 실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을 설치한 6개 교육 대학원을 중심으로 설립의 기준이 되는 목적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교육 대학원의 기능과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의 교과과정에 있어서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각 교육대학원별 학사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설정 교과목을 분석하여 건설교육의 일반적 흐름과 과정의 특성, 그리고 교과목과 학점의 비교·분석 및 중등 공업계 전문교과과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보다 미래지향적인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목적 및 성격규정에 대한 별도의 법적 조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학원 교육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교과과목 편제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전문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복잡해 보였으며, 많은 교과목을 편제하고서도 학기당 학점을 초과해서 이수 할 수 없는 법규 때문에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이라 지적할 수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교과교육학 과목의 개발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건설교사 내지는 건설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교육현장의 문제점 발견 및 해결방안 제시, 새로운 지도방법 개발, 교사의 기능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교과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넷째, 중등공업계의 현장교육 위주의 실제문제 해결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 개설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교육의 전공과목에 있어서 실험·실습분야도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편성·운영되도록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특성에 맞는 건설교육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이룩할 수 있듯이 교육대학원별 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건설교육 교과과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owards a highly advanced industrial and knowledge based society, as well as information society and diversification. In order to keep the competitive leading status of Korean education for high quality human power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ultivating human forces an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a society. The special purpose of graduate schools doe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se high-class educations. In this aspect, the basis of establishing graduate school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ocusing on 6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hich have constructional education curriculums. The functio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surveyed,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se curriculums were studi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us of each educational school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subjects were compa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eneral tendency and curriculum feature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al edu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legal basis wa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inefficiency and the purpose, and character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not supported by legal basis. Secondly, the curriculum was too detailed to focus on any specialty. The legal regulation, which did not permit additional subjects exceeding a fixed number of credit hours for each semester induced a standardized and closed operation. Thirdly, it was necessary to do a variety of research to develop curriculum for pedagogies. As a special organization to cultivate educational experts in construction, there should be open and continuous efforts to make and operate curriculum to discover deficiencies and their solutions, to develop new tutor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functionality of teachers. Fourthly, there was no subject to elevate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focusing on field education in middle class industrial fields. Therefore, th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had better try to establish and operate to develop experiments and exercises as major subject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s more efficient education was possible via constructional education proper to the feature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urriculums for construct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ach educational school.

      • 예비체육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개정 방안 탐색 : 현직 체육교사의 인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조영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교육과정 개정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등 체육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현장 경험을 토대로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교원자격증을 취득한 후 체육교사가 되기 위한 목적으로 체육교육전공을 입학했으며, 수업 계획 및 실천 능력을 가장 중요한 교사 전문성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수업 측면에서 임용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는 강의를 가장 인상 깊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장 적응 측면으로 실연 수업과 실기 수업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더불어 실제 현장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실무교육의 필요성도 나타났다. 교육과정 외적인 부분으로는 효과적인 임용 준비를 위해 다양한 스터디 구성을 강조했으며 스터디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재정적·환경적·도구적 지원을 강조했다. 연구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한 개정방안 모색의 필요가 있다. 둘째, 임용시험에 초점을 맞춘 수업 운영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업 실연 및 실기지도 능력 함양을 위한 강의가 추가되는 형태의 교육과정 개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졸업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포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변화하는 교육대학원 학위제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개정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의 효과에 관한 참여자의 지각

        김은정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의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양성제도의 합리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배경변인을 알아보고, 참여자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교육효과는 어떠한지, 생활지도 영역별 효과에 대한 지각이 참여자의 배경변인과 그 상호작용의 효과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초등전문상담교사교육을 받은 교사 101명이 참여했고, 검사도구는 생활지도 활동 영역의 효과를 학생조사활동, 정보제공활동, 진로지도활동, 상담활동으로 분류하여 참여자의 지각 정도를 likert 5단계 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10.1 version을 사용하여 분산분석(ANOVA),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를 교육과정의 유형별로 분류해 보았을 때 일반대학교 연수과정, 교육대학교 연수과정, 대학원과정에 따라 성별, 교육동기, 경력의 분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연수과정과 교육대학교 연수과정은 남 교사와 25년 이상의 고 경력자가 대학원에 비해 휠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동기의 경우 일반대학교와 교육대학교의 경우 승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가 가장 많은 반면, 대학원의 경우는 아동교육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대체로 초등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의 효과를 평균 4.01로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특히 상담활동의 효과에 대해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셋째, 교육과정의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학생조사활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는 생활지도 각 영역에 미치는 배경변인과 상호작용에 의한 효과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초등전문 상담교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유형에 따라 집단의 분포에는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인 효과에 있어서 교육과정, 성별, 교육경력의 변인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이러한 변인의 차이와 상관없이 교육과정의 효과를 높게 지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초등전문 상담교사 교육과정이 초등학교의 특성상 담임교사가 아동과 항상 함께 생활하면서 생활지도를 하고 상담을 겸임하는 지금의 실정에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improving counselling in elementary schools by observing perception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the curriculum of professional counselling, on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of professional counselling at elementary schools and by providing basic data to develop the training system for professional counsellors of elementary schools. In another word, the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and it also researched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on the general effects of the educa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guidance according background variables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101 teacher who took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participated. To use as a tool of the study, the researcher composed and used a questionnaire that can measure the perception level of participants by dividing the fields of guidance activity into student investigation activity, information providing activity, course guidance activity, and counselling activity with likert 5 scale.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OVA and Post-Hoc were executed using SPSS/WIN 10.1 version.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the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curriculum,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nge of experience, motivation, and gender according to the training course of ordinary university, university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 There were more 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more than 25 years experience from the training course of ordinary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education compared to graduate school. As for the motivation, most answered "for promotion" in case of ordinary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education, when most from graduate school said "for children education." Second, most of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ink high of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with average of 4.01 and they think higher on the effects of the counselling activity. Third, there was no sufficie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and interaction on each field of guidance except the sufficient difference in effects of interaction of types of curriculum and gender on student investigation ac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shows some difference in the range of groups according to the types of curriculum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neral effects according to curriculum, gender, and experience. However, they think high of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without concern about these differences of variables. This suggests that the curriculum of counselling can help the current system of the elementary schools where the teachers guide and counsel the students at the same time.

      • 特技·適性敎育活動에 관한 中學校 敎師의 認識

        하명자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on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activit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rmulated. Problem 1 :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management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by teachers' career, status, and participation for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Problem 2 :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problems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by teachers' career, status, and participation for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Problem 3 :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activated proposals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by teachers' career, status, and participation for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2.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0 teachers from 12 middle schools randomly selected among 93 middle schools in Inchon.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24 items (the management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11 items ; the problems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7 items ; the activated proposals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6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x2(chi-square) test. And the significant level is p<.05. 3. Finding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concern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between the major teacher and the teacher. The major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than the teacher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between the participant and the non-participant. The participa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than the non-participant.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n the problem of instructor for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between the teachers who have lo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teachers who have short educational experience. Teachers who have educational experience more than ten year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instructor of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than teachers who have educational experience less than ten years.

      • 학교문화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조사

        민영란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새로운 학교문화를 창조하고 바람직한 교육문화발전을 위해서는 우리자신의 문화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를 상대적으로 보는 안목을 가질 필요에 의해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문화를 문화의 네 차원에 근거하여 조사 비교하여 교사와 학생의 문화인식 정도를 진단하고 새로운 학교문화를 형성시켜나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3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학교문화 분석을 위한 설문지를 지도교수의 자문을 구해 작성하고, 안산과 안양지역 소재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와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배포하였고회수된578부를대상으로통계처리하였다.자료의처리는SPSS/Win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신뢰도검증과 유의수준을 함께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반응결과를 교사의 성별, 학교규모별, 경력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학생의 경우 학생의 성별, 학년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통계처리에 의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교사라는 동질문화를 인식하고 있으며, 규모가 작은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과 경력이 5년미만의 교사집단에서 더 여성적 문화를 인식하고 있으며, 불확실성 수용 문화를 갖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덜 경쟁적이고, 교사상호간에 친밀감이 높으며,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안양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더 남성적인 문화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집합주의문화에 높게 반응하였으며, 남학생이 더 남성적 문화를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5학년 학생들이 권력거리를 더 크게 느끼고 불확실성회피의 경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년이 낮을수록 의존성이 높은 현상으로 해석되며, 학생이 다니고 있는 학교 지역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는 안산지역의 학생들이 안양지역의 학생들보다 권력거리를 크게 인식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셋째, 교사와 학생의 학교 문화인식의 차이는 학교문화 진단의 목적을 위한 인식비교로서 교사가 학생들보다 더 여성적이며, 불확실성회피경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교사와 학생이라는 위치에서 얻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문화의 차원별 교사 학생의 학교문화 인식의 분석에서는 차원별로 독특한 반응을 보인 항목을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의 문화인식을 분석하였다. 권력거리에서는 교사의 신뢰와 순종 면에서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집합주의 문화와 개인주의 문화에서는 배경이 비슷한 사람끼리 친밀감을 갖고 있고 남성적 문화와 여성적 문화에서는 역할분담의 순번제와 공동책임을 묻는 항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시각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불확실성회피경향에 대한 반응으로는 문제의 정답이 하나여야 한다는 점에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교사의 학교문화인식조사를 통해 경력별, 학교 규모별, 지역별로 문화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교사들이 학교문화를 만들어간다 생각을 가지고 성공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교문화인식조사로 학년과 지역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문화적응은 사회 경제적인 영향을 많이 받아 빠르게 변화한다면 교사들도 변화에 적응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둘째, 교사와 학생의 학교문화 인식에서 나타난 바로 문화인식의 공통점이 있었으며 이는 한국인의 문화전통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화의 네 차원별 인식 비교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학교문화 인식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학교, 학급에서 문화차이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문화인식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요구와 기대를 알아볼 수 있었는데 이것은 중요한 교육활동의 하나가 될 것으로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교육정책 입안자는 새로운 정책을 세울 때 먼저 학교문화의 진단을 위한 학교구성원 전체에 대한 문화인식 연구가 필요함과 학교문화인식의 연구에서 각 차원별 문화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연구가 있어야함을 제언하였다. To create new school culture and boost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education culture, it's needed to reflect upon our own culture and to have a relative view o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ways to create new school culture,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what teacher and student thought about it in terms of four cultural dimensions. For the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nd an experimental analysis was made. The school cultur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advice from my advisor, and then distributed among teachers, fifth graders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Anshan and Anyang. The collected 57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WIN program, and reliability and level of significance were tested. The responses from the teachers were analyzed by gender, school size, career and geographic region, and the responses from the students were analyzed by gender, grade and geographic region. And t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was examine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teachers investigated recognized they had a homogeneous culture as a teacher. The groups who worked in smaller school or had less than 5-year career perceived school culture to be more feminine, and owned more uncertain, acceptable culture. This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teachers in smaller school were less competitive, had higher intimacy with one another, and felt less anxiety. Those who worked in Anyang considered school culture more masculine. Second, more boy students regarded school culture as collective one than the girls, and thought school culture was more masculine. The fifth graders felt more power gap and had stronger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This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lower graders had higher dependence. By school location, the students in Anshan felt more power gap than those in Anyang.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views of teacher and student on school culture to diagnose school culture, it's found that the teachers found it more feminine and had less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This result might be caused by their position as a teacher and as a student. Fourth, the awareness of teacher and student about school culture was analyzed by cultural dimension, and higher attention was paid to the items to which they showed a unique response. Concerning power gap, teacher confidence and obedience drew more frequent response. For collective and individual culture, those who had similar background felt more intimacy with one another. In masculine and feminine culture, the teachers and students were of a different opinion about role division rotation, and joint responsibility. Regarding uncertainty avoidance, many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agreed that there should be one correct answer to a question. The following conclusion might be reached fro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First, as the cultural awareness of the teac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career, school size and geographic region, teachers need to think of themselves as the co-creator of school culture and to generate successful school. The students also had a different view on school culture according to grade and geographic region. If students could adjust themselves to culture swiftly under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influence, teachers also need to make efforts for more successful, prompt adjustment to the given change. Second, there wa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groups' awareness of school culture, which might stem from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Third, there also was a gap between the two groups' cognition of school culture, as a result of making a comparison in terms of four cultural dimensions, and it's needed to lower cultural gap in school and classroom. In addition, the survey of the cultural awareness of the students showed what they asked of and expected from school, and this information might serve to make education activity more successful. To normalize school education, policy makers have to turn their eyes first to school culture. How school culture is viewed by every school organization member should be ident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our cultural dimensions also should be explored.

      • 초등영어교육에서 과제중심 역할극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이강선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교육에 과제중심 역할극 학습을 적용하여 기초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영어 학습에 대한 아동들의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과제수행 학습과 역할극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과제수행 학습과 역할극 학습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여 각 단원의 목표에 맞는 과제중심 역할극 프로그램을 구안한 후, 과제중심 역할극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일반적인 역할극 학습을 실시한 집단은 영어 능력(듣기,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영어 학습 동기 및 태도, 영어 학습 불안감, 영어 학습에 대한 자아존중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중심 역할극 학습을 실시한 집단은 듣기 성취도 평가와 수행평가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했으나 평균 점수가 더 높았고, 말하기 성취도 평가와 수행평가 결과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둘째, 과제중심 역할극 학습을 실시한 집단은 영어 학습 동기 및 태도를 높이고 영어 학습 불안감을 낮추는데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고, 영어 학습에 대한 자아존중심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제중심 역할극 학습은 아동의 실세계를 보다 많이 반영하며 직접적, 체험적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되므로 아동들이 흥미 있게 참여할 뿐 만 아니라, 협동학습 훈련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성지도 측면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제중심 역할극 학습의 여러 가지 활동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활동은 자신들의 실세계와 관련 있는 활동인 반면, 사실 확인에 한정된 활동은 아동들의 흥미를 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 학습 초기에 나타난 관심과 흥미를 지속시키고 아동의 실세계를 보다 많이 반영하여 영어 사용 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과제중심 역할극 학습은 다른 단원, 다른 학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과제 중심 역할극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준별 수업이 학습 집단내 상위집단, 중위집단, 하위집단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해 본다면 7차 교육과정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의 적용에 있어 이미 정해진 대화문 대신 아동들 스스로 상황과 대화를 구성하여 연습하는 가운데,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으나 아동들의 실세계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어휘나 표현에 대해 흥미와 도전감이 생기고 영어의 생활화에 관한 적극성이 향상 되어감을 느낄 수 있었다. 현재 중등학교에서 활용되고 있는 원어민 교사 순환 근무제가 초등 영어 교육 현장까지 확대 실시되어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at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on developing basic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and on improving children's affective domain.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search trends concerning the Task-Based Learning and the Role-Play of English educat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Then the integration of the Task-Based Learning and Role-Play Programs was followed by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s with the teaching objectives of each unit. The program was conducted to two groups of the fifth 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was applied to one group and the normal Role-Play Program was applied to the other group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two groups will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glish competency (listening and speaking) as well as affective domain(motivation and attitude, anxiety and self-esteem in learning Englis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group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normal Role-Play Program group in both the achievement test and the performance test of listening, but the average scores of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its counterpart.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group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hievement test and the performance test of speaking. 2. The students in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significantly developed their motivation and attitudes and reduced anxiety in learning English.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elf-esteem towards English learning increased to reach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students were engaged in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with interest since it was conducted with direct and experimental activities mainly based on the children's real world. Furthermore, in the development of humanity,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by providing th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be cooperative in learning. 4.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children's real world drew more attentions from the students than those based on fac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1.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can be applied to other units and grades as the method proved to make students keep their early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nd to expand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by reflecting students' real world better. In this context, some further study about this program should follow up. 2. The study on the effects which the Task-Based Role-Play Program had on high, middle and low levels respectively would make great contribution to applying the 7th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s. 3. Throughout the study, the students themselves made scenes and conversations on their own rather than using fixed conversations. They got interested in and challenged about vocabularies and expressions which were not handled in textbooks but were used a lot in students' real world, and made improvement in using English on the daily basis. Also, the native speakers' rotation working system which has already been used to teach English at middle schools should be expanded to elementary schools, which, therefore, will help children learn English.

      • 반성적 장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황선진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재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반성적 장학을 Costa와 Garmston, Zeichner와 Liston의 반성적 장학에 목적을 맞추고 반성장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 현황 및 기대를 배경변인별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거기에 따른 적용 가능성을 찾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범위를 인천지역 동부교육청 관할 8개교, 북부교육청 관할 12개교, 총 20개교를 학교 규모별로 하였다. 배포된 450부의 설문지 중 427부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용한 질문지는 2부로 되어있다. 1부는 반성적 장학의 인식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반성적 장학 행동에 대한 15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 2부는 장학체제의 개선방안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장학담당자는 누구인가, 연간 장학횟수, 수업 기록 보존 형태, 수업참관기 중점 사항, 지도 조언 방식, 수업참관 시간을 묻는 6가지로 구성되었다. 통계처리는 통계패키지인 SPSS /PC+를 이용하여 F값 산출, scheffe검증 및 X^2검증을 실시하여 변인별로 실태와 기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사, 비교,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반성적 장학의 협의 단계별 인식 첫째, 교내 반성적 장학 단계별 인식에 있어 그 일반적 경향은 교내 반성적 장학 담당자의 장학활동에 대하여 인식수준이 전반적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수업참관 후 협의 단계가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참관 전 협의 단계에서는 소규모 학교에서, 교직경력에서는 교직경력 21년 이상인 고경력 교사가 상대적으로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수업참관 단계에서는 학교규모에서는 40학급이상 학교가 24학급이하, 25~40학급 학교보다, 교직경력 21년 이상인 교사가 교직경력 20년 이하인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업참관 후 협의 단계에서는 학교규모별로는 40학급이상 학교가 교직경력별로는 교직경력 10년 이하인 젊은 교사가 높은 평균치를 나타냈다. 나. 현행 반성적 장학의 일반적 현황 및 기대 첫째, 교내 장학 담당자에 관한 현황과 교사들의 기대를 비교해 본 결과 각 변인별로 현재는 반성적 장학 담당자가 교장, 교감 위주이나 교사들은 동료교사를 반성적 장학 담당자로 가장 선호하고 있다. 둘째 연간 반성적 장학 실시횟수에 있어서 학교규모별, 교직경력별 실태를 보면 규모의 대소나 교직경력의 장단을 막론하고 1회를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수업의 기록 보존 형태에 있어서는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가 대부분 수업관찰 기록표를 이용하고 있었고, 24학급이하는 수업관찰 기록표를 25~40학급은 녹화를, 대규모는 병용을 희망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직경력별로도 교직경력 20년 이하인 경우는 녹화테이프를, 교직경력 21년 이상에서는 수업관찰 기록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학담당자가 수업참관시 중점을 두기를 희망하는 측면은 모두 교수-학습 기술의 측면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지도조언 방식에 있어서는 각 변인을 통틀어, 현행 집단적 모임에서의 협의를 탈피하여 수업 후에 동료적 관계에서 상호 의견교환 하는 방식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업참관 시간에 있어서는 각 변인을 통틀어 30분 이상 전체수업과정 동안에 걸쳐 참관해 주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반성적 장학의 적용가능성 첫째, 반성적 장학의 단계별 초등교사들의 인식경향이 평균 3.05로 중간 이상이었다. 둘째, 수업참관의 중점을 교수-학습기술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교수-학습개선에 장학적 노력이 있어야겠다는 반성적장학에 대하여 눈을 돌리게 된다. 셋째, 장학지도시 지도조언 방식으로 의견교환방식을 기대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는 것은 교육의 인간화물결에 따라 장학담당자와 교사의 면대면 관계를 강조하게 되고, 교사가 장학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지도 받아야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교사의 전문성이 높아짐에 따라 전문적 성장의욕이 차차 높아질 것이고 외적 불만에서 내적 성취와 내적 만족으로 관심으로 돌리고 있다. 다섯째, 최소한 현재 각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업연구시에는 반성적장학 방법이 가능하다고 본다. 여섯째, 각종 기자재 발달로 객관적인 자료 수집이 가능해지고 반복관찰이 가능하다. 장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교수학습 개선에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 제고라는 요청에 의하여 현 우리나라 여건에서도 장학담당자의 연수를 통하여 최소한 교내장학에서는 반성적 장학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된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 수업장학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된 반성적 장학은 현재의 학교여건으로 보아 그 조건과 절차면에서 본래의 의미를 충실하게 수행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하고 체계적이고 계속적인 교육연수를 통하여 학교현장에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하겠다. 둘째 반성적 장학에 대한 현장연구가보다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적용 가능성 탐색이나 효과 검증의 단계를 넘어 이를 현장에 적용해 보고 실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교내 반성적 장학을 실질적으로 현장에 정착시키려면 동료교사를 전문요원으로 발탁 활용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교사들이 그들 본연의 업무인 수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현재의 잡무를 없애고 주당 수업시수를 감축하는 등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넷째, 반성적 장학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의 자질향상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즉 교사는 수업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교육내용과 자신의 행동에 교육적 정당성, 그리고 도덕적 윤리적인 면에도 관심을 갖는 도덕적 기능인이 되도록 스스로 연찬하여야 한다. 다섯째, 우리 교육현장에서 반성적 장학이 뿌리 내려 보다 나은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복합적인 상황을 나름대로 이해하고 파악하며 주체적으로 다루어 나갈 수 있는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eacher's cognitions on reflective supervision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also analyses the present state and expectations of reflective supervision in school, and try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eflective supervis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s, this study describes the supervision process and the teacher's cognitions on that process. This study also try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state and expectation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variable. 20 elementary schools selected in Inchon and 450 teachers in those schools were sampl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made by researcher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studies was administered. and the obtained data was processed by SPSS/PC+,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major finding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phase of pre-observation conference, 1) reflective supervision are more prefered in small sized schools, 2) the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21 years think that reflective supervision is more valuable and positive, compared to the teachers who have shorter. (2) In the phase of class observation, 1) reflective supervision are considered as more valuable and positive in large sized schools, 2) the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21 years preferred reflective supervision. (3) In the phase of post-observation conference, 1) teachers in large sized schools think reflective supervision as more positive, 2) the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s under 10 years give more positive answer to the reflective supervision. (4) For the successful administration of reflective supervision, many teachers expect 1) their colleagues to supervise their class, 2) video tape recording method, 3) one time reflective supervision, 4) reflective supervision focused on instructional skill, 5) period of class observation as entire class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suggested. (1) Through systemic and continued study, the difficulty situation should be overcome.. (2) To increase the use of reflective supervision, teachers need to utilize the colleagues as coaches. (3) More autonomy needs to be allowed to the teachers.

      • 게임 텍스트의 서사경험 연구

        이지영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서사는 인간과 함께 보편적으로 존재해 왔으나 서사의 공유 매체는 시대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의 서사는 구술 서사, 문자 서사, 영상 서사가 공존하고 있으며, 디지털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디지털 서사의 보편적인 예로 게임텍스트를 들 수 있다. 게임텍스트는 정교화된 서사구조를 취하고 게임자가 다양한 서사경험을 형성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임텍스트의 서사성과 게임자의 서사경험 양상을 고찰하고 문학교육적 수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서사경험은 '서사의 조건과 구조를 지닌 텍스트의 소통과정에 수용자가 텍스트 내적, 텍스트 상호적, 소통맥락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수용자의 내면에 형성되는 인지적·정의적·태도 변화의 과정 또는 결과'로 정의할 수 있다. 서사경험은 간접 경험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인간과 세계에 대한 앎을 축적해 나가는 방식으로 문학 개념과 문학 경험의 개념을 확장시켜줄 수 있다. 게임텍스트의 서사경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일상 생활에서 나타나는 게임텍스트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게임텍스트 현상은 내적 현상과 사회·문화적 현상이 있다. 내적 현상으로는 욕구 충족 현상, 서사화 현상, 技術化 현상이 있다. 게임텍스트와 관련된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취향 문화 현상, 여가 문화 현상, 소비 문화 현상이 있다. 게임텍스트의 소통 주체로는 생산 주체, 매개 주체, 수용 주체가 있으며, 이들은 사회·문화적 소통 배경에 놓이게 된다. 특히 수용의 소통 작용은 게임자와 게임텍스트가 상호작용하는 게임 행위 작용과 게임자와 사회·문화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는 게임 문화 작용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이를 중심으로 한 게임텍스트의 서사경험 양상은 다음과 같다. 게임자는 실제 게임을 진행하면서 게임 세계 속에 몰입하여 가상 현실을 경험하기도 하고, 서사 주체가 되어 게임텍스트의 이야기를 형성해 나가기도 한다. 게임텍스트의 에디팅 과정에서 서사를 해체하기도 한다. 또한 게임자는 게임텍스트와 관련된 게임 문화를 형성하고, 다시 이 게임 문화는 게임자에게 새로운 문화 경험을 가져다 준다. 즉, 게임텍스트를 둘러싼 공동체를 형성하여 게임 문화를 향유하는 것이다. 게임텍스트의 서사경험을 문학교육에서 수용하기 위해서는 영상문화 시대이며 넷 문화가 보편화되는 시대를 고려하고, 학생들의 삶의 경험과 제도 교육의 학습 경험이 유리되지 않도록 문학 경험을 학생들의 실제 삶의 경험과 연계 짓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미래형 문학교육과정 구상의 토대 위에서 게임텍스트 서사경험의 전략화가 가능할 것이다. 게임텍스트 서사경험의 전략은 다음과 같이 구상할 수 있다. 첫째, 문화적 실천 주체로서 '게임 경험'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게임텍스트가 다루는 경험 내용이나 텍스트 경험 통로간의 상호성을 살려 정전과 대중문학과의 괴리를 극복할 수 있다. 셋째, 게임텍스트 서사경험이 가지는 문학교육적 가치를 확장하는 전략을 구안할 수 있다. 최근 문학교육에서 '서사'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서사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서사교육'이 문학교육에서 제대로 자리 매김하기 위해서는 서사교육에 관한 원론뿐만 아니라 '서사경험 연구'가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Narratives have existed with human beings at all times, but the media of sharing narratives has been largely changed and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ages. Recently there coexist oral, literal, and image narratives, and they tend to be digitalized. A game-text is a good example of digital narratives. Even though a game-text has an elaborate narrative and a gamer is able to have various narrative experiences, we can hardly find any educational study on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ts narrative qualities together with the gamer's aspect of narrative experiences and thus to seek for the adoptable plan of the game-text in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The narrative experience is defined as following: the process or result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hanges made in an acceptant's inside when an acceptant takes part in the narrative communication in the context of text itsel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 narrative experience is made in an indirect way and can enlarge the conception of litera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by accumulating the knowledges of human being and the world. In order to approach the narrative experience of the game-text, we need to notice a game-text situation observed in our daily life. It has the inside situation and the socio-cultural situation. In the former, there are the desire-satisfied situation, narrative making situation, and technic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one related to the game-text includes the taste culture, leisure culture, and consumption culture. The communication subjects of the game-text consist of the production subject, medium subject, and acceptance subject, and they are based on socio-cultural communication. Especially, the acceptance communication can be approached in two ways; the behavioral operation interacting between a gamer and the game-text, and the socio-cultural operation occurring to a gamer in the context of socio-culture. According to these approaches, aspects of the narrative experience in the game-text are as following. In playing games, a gamer experiences virtual realities by immersing in the game world, makes the game story by himself as the subject of narratives and deconstructs narratives in the process of editing the game-text. In other words, a gamer constructs the game culture and joins the game community surrounding the text. The gamer enjoys the game culture and obtains the new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In order to accept the narrative experience of the game-text in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we should fully take into account that now is the time of flourishing images and universal net cultures. We also need to associate the institutional learning experiences of the students -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literary experience - with their real-life experiences. Incorporating and strategizing the new narrative experiences of the game-text is necessary and possible on the basis of the forward-looking literature curriculum. It can be organized as follows; First, we can analyze and criticize the game experience as the subject of cultural practices.Second, we can cope with the separation between the canon and mass culture, through the contents of experiences in the game-text and the intertextuality of communication. Third, we can find our the strategy in which the narrative experience of the game-text enlarges the value of literature education. Currently, literature education begins to address the 'narrative' issue and raise the need of the 'narrative education'. In order to properly place the narrative education in the literature education, we should focus on the study of the narrative experience as well as the theory about narrativ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