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학위관련 교과과정 연구

        손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미국의 교과과정과 비교해봄으로써 각 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특수한 기능과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의 개선 및 편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의 대학원 체제와 음악교육전공 석사과정이 개설된 교육대학원의 설립배경을 일반대학원과 비교하여 기능상의 차이점과 미국의 음악교육의 발전과정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음악교과과정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음악교육 석사과정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미국의 음악교육 석사과정의 체제와 교과과정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음악교육 석사교과과정의 편성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지에서 조사한 사범대학원(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순위에 나와 있는 10개의 우수학교들 중 음악교육전공을 설치한 3개(Teachers College in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University of Oregon)의 대학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의 교육대학원은 2000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10개의 우수교육대학원 중 음악교육전공이 설치된 6개(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북대학교, 우석대학교, 영남대학교, 공주대학교)의 대학과 일반대학원 음악교육이 설치된 2개(서울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의 대학을 중심으로 학위취득 요건과 학사운영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설정교과목은 임의대로 영역별, 학교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 모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과정과 이미 취득한 교사들을 위한 과정이 통합하여 개설됨으로 현직교사들에게 알맞은 교과목이 부족하여 교사재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학위취득을 위한 요건이 대학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대학의 기능에 부합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의 대학간 과목 수 ,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과목의 비율이 학교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한국의 교육대학원의 설정교과목은 교과내용학 영역에서 가장 많은 과목이 설정되어 있으며 음악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다. 다섯째, 세계화 시대에 부합하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설정과목이 부족하다. 여섯째, 각 대학별 교과 영역에 대한 필수학점 설정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사재교육과 교원양성교육을 담당하는 교육대학원과 연구기능을 가진 일반대학원 모두 국악과목에 대한 설정이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의 음악교육 석사과정이 설치된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은 기능상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음악교육의 발전과 음악교육의 전문화를 위해 교원재교육 프로그램, 교원양성 프로그램 그리고 음악교육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특성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of bot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s within South Korea as well as that of the USA. By close examination of the specific function and educational objective of each institution, this study will ultimately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nd reorganize the current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aim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 program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 are also analyzed and compared. Furthermore, the functional differences in different institutions in South Korea is compared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program in the USA.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reorganize the concept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can eventually lead us to the "right"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USA this study investigates 3 schools (the Teachers College in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Michigan and University of Oregon) which have music education programs that are ranked amongst the top 10 in the U. S. media.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it is to find a curriculum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by comparing analyses of curriculums in the music education major from 6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Woosuk University, Yeungnam Universi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that are ranked in the top 10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year 2000 and 2 general graduate schools(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paper study concludes as follows; 1. Certificate programs and degree courses for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courses and programs for non-teachers. 2. The criterion for the certification of teachers must be more strictly standardized because currently most korean universities have very different standards. 3. The number of subjects offered, pedagogy of courses and music in each university is unbalanced. 4. There is a shortage of core music pedagogy subjects. 5. In preparation for South Korea as a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an increased focus on international music subject is necessary. 6. The required credits for the completion of the music major needs to be standardized for all of the university. 7. Korean Universities have a duty to pay homage to traditional korean music, Unfortunately, they are not meeting these duti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is no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eneral graduate school that offer music education program. Therefore, we need teacher retraining program, specialization and variety in research programs on music education to develop and professionalize our education program.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고찰과 현황

        강진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95

        기독교학교의 역사는 개화와 함께 개신교 선교사의 내주로부터 시작된다.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국선교를 위해 취한 중요한 방법의 하나는 바로 교육사업이었다. 이는 개화기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근대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자 개신교 선교사들이 교육 사업을 통하여 선교를 실천하고자 한국에 내주하여 많은 기독교학교를 설립한 것이다. 그러나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기독교학교는 오늘날 학문의 수월성(academic excellence)을 추구하면서 그 근본기능인 선교의 목적을 상실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의 기독교학교 중에서도 여성교육을 주도한 이화여자대학교의 기독교교육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현재 이화여대 기독교교육의 현실을 파악해봄으로써 앞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서론인 제1장에서는 기독교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의 설립이념을 밝히고 현재 기독교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밝힐 것이다. 또한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도 함께 기술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한국의 기독교학교가 설립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대표적으로 배재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정신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이념을 간단히 기술할 것이다. 제3장에서는 대표적 기독교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의 변천과정을 채플과 기독교 절기행사, 기독교 교양과목의 세 측면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제4장에서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실시되는 기독교교육에 대해 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할 것이다. 제5장에서는 기독교대학인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을 다시금 밝히고 선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기독교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채플과 기독교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화여자대학교의 보다 나은 기독교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할 것이다. The history of mission school begins with the missionaries moving into the Korea in the age of civilization. As peoples' interest about the Occident civilization was increased, the modern education was required in Korea. So the Protestant missionaries practiced the education business as one of the important method for missionary work and established many mission schools. However, orientating academic excellence, the mission school is now losing the basic purpose as missionary work. For this reason, I researched the historical changes in religious education at Ewha which could be appreciated as the leader of the education of women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of Ewha University,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through the present diagnosis. The study is consist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One reviews the ideology of Ewha's establishment and the necessity of present condition of religious education,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The way of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suggested. Chapter Two explores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mission school. I choose nest four mission schools and shortly described the ideology of educational establishment ; Paichai Haktang, Ewha Haktang, Jungshin girl's school. Chapter Three exams the historical changes of religious education in Ewha. I classified this as the three aspects; chapel, christian subdivisions of the seasons the ideology of education and christian. Chapter Four examines the present religious education practised in Ewha analyzing the result of making up questions. Chapter Five explained the ideology of education of Ewha agai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to reach the goal of missionary. And content of this treatise is summarized and a number of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more religious educ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 합창활동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1999-2011)

        서경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교육대학원 및 일반대학원을 대상으로 합창활동 관련 석사학위 논문 324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합창활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합창활동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학생이나 전공자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여러 가지 합창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TV를 포함한 각종 매체에서도 합창활동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이에 따라 합창활동과 관련된 연구 결과들도 제법 풍부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그 동안 합창활동이 어떤 주제를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어 왔는지 그 경향성과 성과를 점검하여, 향후 합창활동 관련 연구를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과거에도 각각 1992년과 1999년에 합창활동 관련 논문들의 경향성을 분석한 연구가 있었으나, 교육대학원생이 연구한 논문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학교 내에서 행해지는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의 경향성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시기적으로 1999년 이후 현재까지 13년간 발표된 합창활동에 대한 모든 석사학위 논문들을 분석하여, 학교 및 우리 사회 전반에서 실시되는 합창활동의 최근 연구 경향성을 파악하고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연구자 및 교사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합창의 정의, 기원, 기능 그리고 의의를 살펴보고, 음악 교육에서 연구 동향 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한 뒤, 전국 모든 대학원의 합창활동 관련 석사학위논문을 분석 및 정리하였다. 국회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합창활동 관련 논문 324편을 수집하고 연도별, 합창연구의 대상별, 전공별, 주제별, 연구방법별 분류를 통해 그간의 연구경향을 분류·분석하였다. 나아가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합창활동 관련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합창활동 관련 학위논문을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별 연구경향을 살펴보면, 본 연구의 조사기간 중 첫해인 1999년에는 14편의 합창활동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3년도부터는 2006년 한 해를 제외하고 매년 25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2011년도는 10월 기준으로 18편이 제출되어 있어서, 하반기 발표되는 논문까지 포함하면 최근의 논문 수의 증가세는 충분히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합창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연구의 수도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창연구의 대상별 연구경향에서는 학교 내에서의 합창활동의 대상이 학교 외 기관에서의 합창활동의 대상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우리 사회의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가 학교 내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적인 목적을 위해 실시되는 경우가 가장 많음을 의미하며, 합창활동에 관한 연구의 다양화를 위해 학교 외 기관에서의 합창활동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높아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연구자의 전공별 연구경향을 살피면, 교육대학원생의 논문이 비교육대학원의 논문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 중에서도 음악교육전공자가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교육대학원에서는 합창지도에 관한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하였고, 음악대학원과 일반대학원에서는 합창활동 관련 실태조사 및 활성화에 관한 논문을 주로 발표하였다. 세부 분석을 통해 전공에 따른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주제별 연구경향에서는 합창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실태조사 및 활성화, 기타 주제, 합창활동이 미치는 영향, 합창제재곡의 분석 및 재구성의 순으로 많은 수의 연구가 실시되었다. 대부분의 연구가 합창지도방안과 실태조사 및 활성화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다보니 중복되는 내용의 논문이 많았다. 연구방법별 연구경향에서는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시도되었고, 그 다음으로 조사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실험연구, 준실험연구, 관찰연구, 역사연구는 사용 빈도가 낮았다. 연구방법의 다양화 및 검증을 위해 관찰연구나 실험연구등의 확대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합창활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합창에 참여하는 다양한 대상에 대한 균형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합창활동 연구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교육대학원생은 교육적 목적의 연구에 집중하고, 그 외 대학원에서는 각자의 전공분야의 관점을 적용하여 전문성이 높은 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검증과 평가결과가 포함된 객관적인 합창지도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연구논문의 제목과 실제 연구 내용을 일치시켜서 연구의 경향성 분석이나 자료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복된 주제를 피하고 창의적이고 특색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study on chorus by analyzing the trend of 324 master's to the researchers who study chorus. Many people including chorus are joining chorus in our society, also the broadcast media including TV deal with chorus significantly. For this reason, we can see lots of research related with chorus. At this point, it is needed to analyze trend and result of study about chorus, to attempt chorus study to proceed to organized and progressive direction. Similar studies to investigate trend of chorus were tried in 1992 and 1999, however they just dealt with studi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it is possible to see the trend of chorus only in school. In this study, all theses about chorus would be included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9. By this, I would like to supply data to teachers and researchers for future study. For this purpose, first I have identified the meaning, origin, function and value of chorus, and then seen the necessities of trend analysis in music education, lastly I arranged all the master's theses about chorus. Collected 324 master's theses from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Korea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Servi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ritten years, objects, majors, subjects,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trend of study about years, just 14 theses were presented in 1999, more than 25 theses have been being published except 2006 since 2003. In 2011, just 18 theses have been published until now, current increasing trend would be not changed. It means that interest is increased about chorus, also increase the number of study. Regarding objects, the studies on students are much more than them on ordinary people. It means the studies about chorus is focused on the purpose of education. In the terms of majo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much more than non-graduate schoo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education was most. Chorus education was the most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act finding survey and vitalization was the most in the non-graduate school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subjects in the theses was chorus education, fact finding survey and vitalization, the effects of chorus, analysis and arrangement of chorus songs in order of percentage. Because most of studies were focused on only chorus education and fact finding and vitalization, many of them tend to be overlapped. As for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next was survey. Experimental research, quasi-experimental research, observation research, historic research were used very little. To diversify research method and prove the result, observation research or experimental research should be tried more. The suggestions for study of chorus are stated as below. Research objects should be diversified. Researchers need to study many chorus conducted out of school. Study should be specialized based on the major. It is required Chorus education to includ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result. The title of study should be matched with subjects. It is necessary to be presented creative and unique research.

      •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교과과정 및 교육수요자 연구

        김주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5

        本论文的研究目的是对作为汉语教师培训机关的教育研究生院汉语教育专业学科加以分析,考察现有的专业学科是否符合学习者的需求。通过这项研究,阐明现在汉语教育硕士专业学科中存在的问题,以此为基础探索方案,为今后应如何设置相关课程,建立培养模式指明方向。 这项研究按照分析方法可分为三大部分。第一,以首尔‧京畿道的10所教育研究生院为对象,对专业学科进行分析研究。主要分析的是每个学期汉语教育专业所开设的课程数目、汉语教学类课与语言类课的开设比率、新设课程等。第二,以首尔‧京畿道的3所教育研究生院为对象,采取问卷调查的方式进行学习者分析研究。第三,为了确保内容的准确性,采取焦点采访的方式进行学习者深层分析。 研究表明汉语教育专业课程体系中存在着以下几个问题: 第一,与中国语言文学专业学科相比,汉语教育专业学科在课程设置和所学内容上没有区别。 第二,汉语教育专业开设的课程数目及类型非常有限,重复开设的课程很多。 第三,没有与中学的汉语教学内容紧密联系起来。 第四,汉语教学类课程与语言类课程的设置比率不均衡。 通过以上研究得出的主要结论如下: 第一,汉语教育硕士专业必须特色化和专业化,为培养汉语教学人才设置相应的高质量的课程。 第二,必须确保师资,聘用专业对口的专任教授和有能力专门教汉语教学类课程的教师。 第三,聘用中学汉语教学经验丰富的讲师,使得现在的教学内容与实际的中学汉语教学情况相挂钩。 第四,汉语教学与汉语语言学应该更加紧密地结合起来,使汉语教育学发展成一门实践性强的学科,在中文学界占据一席之地。 본 연구는 국내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교육수요자의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교과과정 상의 문제를 짚어보고 그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크게 둘로 나뉘는데, 하나는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의 교육수요자이다. 교과과정 및 교육수요자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를 통해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이 중국어 교원 양성 기관에 적합한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중국어교과교육학 연구 기관으로 자리 잡는 데 필요한 토대적 논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중국어교육전공의 실제 개설 교과목 분석. 둘째, 설문조사를 통한 중국어교육전공 교육수요자 인식 분석. 셋째, 포커스 인터뷰를 통한 중국어교육전공 교육수요자 심층 분석이다.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부분은 제Ⅲ장과 제Ⅳ장이다. 제Ⅲ장에서는 국내 10개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연구하였다. 우선 각 대학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본 교과과정표를 참고하여 중국어교육전공의 기본 교과과정을 살펴본 후, 제Ⅲ장 2절에서는 각 대학원마다 매 학기 실제로 개설되고 있는 교과과목을 조사하여 그것을 근거로 개설교과목 수 및 중복 개설교과목 수, 중국어교육학 및 중국어내용 학 개설 비율, 신설 교과목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의 다양한 교육수요자를 대상으로 인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Ⅲ장 교과과정 연구 결과 개설교과목 수 및 개설 비율 등의 측면에서 보다 의미 있는 연구대상이라 여겨진 3개 대학원을 선정하여 3개 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교과과정 전반에 대한 만족도,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중국어교육전공 재학생의 자기 평가 등 5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설문 결과는 기술 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 분석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제Ⅲ장과 Ⅳ장의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 문제 몇 가지를 선정하여 포커스 인터뷰를 통해 교육수요자들의 교육적 요구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관한 연구

        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우리나라 사회는 2000년 이후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사회과는 사회와 국가의 요구를 민감하게 다루기 때문에 다문화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사회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데, 다문화가정 학생의 수치로 미루어 현 예비 사회과 중등교사들이 교사가 될 시기에는 다문화 교육은 필수적인 주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 의미에서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예비교사 중에서도 학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육 인식수준이 높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다양한 배경 변인을 갖춘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문화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가정 학생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을 바라보는 일반학생의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다문화적 효능감은 교사가 다문화적 환경에서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하며, 이러한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교적응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다문화 교육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도권에 소재하는 14개 대학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 162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해 연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e 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의 다문화 태도는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다. 전체 평균이 4.08점으로 그렇다 수준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하위영역을 보면, 교사교육태도 4.26점,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 4.15점,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4.04점, 교사의 일반적 태도 3.92점 순으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 태도를 살펴보면, 교육대학원 학기는 다문화 태도 중 일반적 태도와 교사역할태도에서 3,4학기 학생이 1,2학기나 5,6학기 학생보다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직업은 교사의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태도,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정에서도 기타직군이 가장 높고 학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외체류여부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와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1년 이상 체류 집단이 세 집단보다 좀 더 긍정적 태도로 나타났다. 해외체류목적은 일반태도, 교사교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해외에 거주하거나 봉사 등의 기타 목적으로 체류한 집단이 어학연수, 유학, 여행 보다 긍정적 태도로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험은 교사의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태도, 교육과정태도에서 다문화 관련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도는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다문화 보도자료에 관심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 보다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가정 자녀 접촉여부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에서만 접촉이 있었던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다문화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로, 종교유무, 중·고등학교 성장도시, 연령, 전공, 교육대학원 입학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적 효능감의 전체 평균은 다문화 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3.67점이었고 인간관계증진측면 3.87점, 일반기능측면 3.79점, 다문화가정 배려측면 3.69점, 수업기능측면 3.39점 순으로 긍정적 효능감을 나타내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적 효능감을 살펴보면, 교육대학원 학기에서는 다문화가정배려측면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사후검정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은 일반기능과 인간관계증진측면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종교유무는 일반기능과 수업기능에서 종교가 없는 집단이 종교가 있는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수업 수강경로는 인간관계증진 측면에서 학교 외 특강, 대학원수업, 학부수업, 기타경로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고등학교 성장도시는 일반기능, 인간관계증진, 다문화가정배려영역의 효능감 모두 특별시·광역시에서 자란 집단보다 읍·면, 중·소도시에서 자란 집단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수업 수강 경험,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도, 다문화가정 자녀 접촉여부에서는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외체류여부, 해외체류목적, 연령, 전공, 교육대학원 입학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다문화 태도 전체와 다문화적 효능감 전체의 상관관계는 상관계수 r=.563(p<.001)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과 다문화적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상관계수 r=.591(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교육과정태도가 r=.266(p<.01)으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태도의 하위영역과 다문화적 효능감의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일반기능 측면의 효능감에서는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r=.539(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역할, 교사교육, 교육과정태도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다음 수업기능측면에서도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r=.507(p<.00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교사역할, 교사교육의 순으로 정적인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 외 인간관계증진과 다문화배려측면의 효능감에서도 교사의 일반적 태도가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태도, 교육과정태도 순의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사회전공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다문화적 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수업기능측면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므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는 학습자료 개발 및 수업지도 과정이 포함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 수업 수강경험, 다문화가정 접촉, 다문화 보도자료 관심이 교육대학원생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태도 및 효능감을 형성하는 만큼,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는 직접 다문화 관련 경험을 해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country is expanding 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outburst of multicultural family, thus, a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 significant before everything else. Since social studies education, particularly, handles the demand of society and state sensitively, it is germane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s. Moreover, as judging from the figure of multicultural student, the chances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ecoming an essential issue are pretty excellent by the time when the current social studies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become the actual one. In that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o are qualified with some diverse background factors among the preservice teachers. We carried out survey targeting o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1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 in metropolitan area. We have collected 177 papers overall, and selected 162 out of them as the object of research except for 15 papers which were answered faithless or by current or short-term teachers. For this study, we have used SPSS win 18.0 program to analyze, and the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educa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corded each 4.08 and 3.67 points that are quite high by and large. On the other hand, the lesson function aspect was answered low relatively. Second,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are a correlation coefficient, r=.563(p<.001), and it showed high normal correlation. As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all those subordinate scopes turned up as static correlation. But in the aspect of lesson function, all showed the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 except the attitude towards the education procedure. Third, as we look up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variabl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students in graduate school, the semester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instructor’s role attitude among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 students in the third and fourth semester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s from each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r in the fifth and sixth. Though the multicultural efficacy also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aspects of the consideration to multicultural family, it didn’t turned up meaningful in the post-hoc comparison. The occupation, the status of living abroad, and the object of living abroad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only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First of all, the occupation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the teacher’s role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status of living abroad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object of living abroad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attitude and the teacher education attitude. The gender, religion status, the route of registering the multicultural lesson, and the senior secondary school growing c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First, the gender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the general function and the improvement in personal relationship as the male appeared higher than the female. For the religion status, the group with no religion showed statistically mor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eneral function and the lesson function than of the group with religion. The route of registering the multicultural lesso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s it appeared as the special lecture off the campus, the graduate course, the undergraduate study, and some other routes in the aspect of the improvement in personal relations. In the senior secondary school growing city, the group grew up in the small towns and the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showed higher multicultural efficacy for the domains of the general function, the improvement in the personal relations, and the consideration to multi-cultural family than of the group grew up in the metropolitan cities. The experience of registering lessons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and the contact condition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high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thus there has shown very clear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since the group has experiences of taking lessons related to the multicultur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group with no such experience in the teacher’s general attitude, teacher’s role attitude, and the education procedure attitud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as all the subordinate scopes appeared higher. Fo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group with higher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and efficacy in both subordinate scopes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roup with no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For the contact condition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group which has only experience in contact in the general attitude among the multicultural attitudes showed higher multicultural attitude than of the group with no contact. On the other h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efficacy, because the group which has experience in contact wit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higher efficacy than of the group with no contact. The gender, the major, and the purpose of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all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oth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Namely, although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relatively higher than of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preservice teacher, the aspect of the lesson function in the subordinate scope of the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relatively lower. As a consequence, further expansion of the curriculum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 and the lesson instruction process i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experience in registering the lesson related to the multiculture, the contact with the multiculture,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press release related to the multiculture has formed positive attitude and efficacy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f social studies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 implies that more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the multiculture in person should be provided in aspect of the teach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교과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 한국과 미국의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최은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대사회의 문화는 점점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엄청난 지식과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런 시대의 국가의 대외경쟁력은 얼마나 많은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적용 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고 그러한 인력을 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이다. 그렇기에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교육에 투자하고 교육을 개혁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그러한 교육개혁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질적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고 더 나아가 교육학자, 교육행정관, 정책입안자들의 자질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위한 교육대학원의 기능을 분석하고 실제적인 전문가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과 학사운영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미술교육전공의 설정교과목을 분석하고 미국의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를 위한 교직과목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더 나아가 자격증 취득과정과 교사들을 위한 학위 과정이 따로 있었으면 한다. 둘째, 전공과 교직과목이 한 학기당 설정과목의 개설수의 부족과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한 강좌 당 학생수가 많다. 설정과목을 각각 다른 시간대에 개설하고, 한 학기당 설정교과목의 개설 수를 늘리면 과목당 학생 수가 줄어들게 되고 대학원 수준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미술교육전공의 설정교과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교육대학원의 경우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 31%, 미술관련 이론 영역 46%, 연구 및 세미나 영역이 10%, 미술실기 영역 11%, 기타 영역 2%로 나타났다. 미국의 교육대학원의 경우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 53%, 미술관련 이론영역 4%, 미술실기 영역이 5%, 연구 및 세미나 영역이 16%, 실습 영역이 13%, 기타 영역이 9%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교육대학원의 설정교과목은 미술관련 이론 영역에 많은 과목이 설정되어 있어 미술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다. 교과과정에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에 보다 비중을 둔 미술교과 교육학 과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한국과는 반대로 미술교과 교육학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어 미술관련 이론 영역의 과목이 부족하다. 넷째, 대학원으로써의 학문적 연구 기능을 살리려면 연구 및 세미나 영역에 대한 과목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분야의 실습과목이 필요하다. 꼭 교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학교에서의 실습과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술교육영역에서의 실습이 필요하다. 미술교육은 더 이상 학교 안에서만 필요한 영역이 아니다. 미술관에서의 미술교육과 정규 학교과정 이외의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대한 실습과목이 필요하다. 오늘날의 교과 교육학 학문은 하루아침에 탄생한 것이 아니고 많은 세월을 거치면서 학문자체가 교과로 그대로 통용되었기 때문에 교과 교육학의 정립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교육 연령이 다양해짐에 따라 학문을 그대로 전달하는 수준으로는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교과 교육학의 정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교과교육을 연구할 전문 인력이 많이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도 교육대학원에 박사과정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최근 급속히 논의 되고 있다. 이 연구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미국의 학위제도와 설정 교과목을 소개함으로 우리나라에도 교육학박사 전문과정이 개발되어 좀 더 발전된 교과과정과 교과목이 개발되었으면 하고, 더 나아가 미술교과 교육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학문적 정립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culture in the current society is quickly changing and the world is full of various kind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Korea's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is age is dependent on how suitabl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we have are applied and how much manpower increased through education. Therefore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investing in education and doing research to reform it. It is by enhancing the ability of current teachers that we can obtain the most excellent results in educational reform. Education reform sh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current teachers, but also to educational scholars, administrators, and policy maker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function,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re educational professionals are tra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weak points and to improve a curriculum of Korean art education by comparing analyses of curriculums in the art education major with ones from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train art professionals in curriculum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subjects for current teachers in service is needed and even more certificate program and degree course for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from programs for non-teachers. Secon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classes and the unskilled management, many students enroll in a class, various kinds of classes should be available throughout the day so that more smaller numbers of students are enrolled in a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classes are enhanced as a result. Third, there is a shortage of art educational subjects which are most important for the curriculum education. In reality, because the courses of art and art practice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unbalanced in Korea, other courses are not offered. Fourth, in order to activate the function of doing research and seminars in a graduate school, the study of the subjects about the research field is needed. Fifth, we need to take practice courses in more diverse areas. Practice courses not only in the school to be certified as a teacher, but also in other art educational fields are required because art education is needed outside the school. Especially the practice courses of an art education in the art museum and of a lifelong education are needed. We did not know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urriculum because it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long term with general academy as it is. Student are diverse in their ages, it is very difficult to just transfer academic knowledge. That's why the systematic design of the art curriculum education is getting more crucial in these days. Also because there is no manpower to research curriculum education in the profession, the movement to set up the Ph.D. degree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ctively being discussed in recent times. Various degree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created curriculums that are not in our educational system will be introduced to assist in developing diverse degree systems and professional courses for an educational doctoral degree.

      • 무용전공자에서 예비체육교사로 성장하기

        송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dance majors taking P.E. course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he choice of their departments and the teaching profession, their knowledge of courses in teach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vision. It's basically meant to grasp the reality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at. Clandinin & Connelly(2000)'s five-stage narrative inquiry process was adopted to serve the purpo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selected graduate students who were taking courses in physical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come P.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motivation of their choice of major,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chose their major due to their own talent and interest in P.E. an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is subject.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learning P.E. teaching methods and hoped to get a stable occupation. The two motivations were evenly common. Taking courses in teach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m to look back on themselves, to understand not only themselves but learners and to foster their own qualifications and competencies as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content area of P.E. courses, they viewed P.E. as a scientific and systematic discipline, as an integrative discipline link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hilosophy, epidemiology, psychology, physiology and pedagogy, and as part of living culture and amusement. Concerning knowledge of P.E. teaching, they acquired the knowledge by taking courses in education, from the teaching methods of their professors, and by observing P.E. instruc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cquired knowledge in an integrated manner by taking both courses in teaching and major courses, and they seemed to have mapped out their vision in detail. But thei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mselves in association with their major choice.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eservice P.E. teachers who took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ot to understand the teaching profession and found it interesting to learn about major courses, but they becam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practical P.E. education because of their negative experience during student teaching. According to the objects of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ot only practical education but the preparation of actual P.E. skills are mandatory becausa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ubject. As the students received no practical education, they faced difficulties during four-week student teaching. Although student teaching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dance majors to confirm their own possibility as preservice P.E. teachers, it rather resulted in demotivating the students and making them have fear for the teaching profession. Diverse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dance majors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as P.E. teachers, which is actually required at school, so that they could gain significant experience in student teaching. Seco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current curriculum is designed to educate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offer quality education for either of them, and the curriculum didn't comply with the intent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graduate school. The dance majors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to have the teaching profession, but the curriculum ended up demotivating them. The kind of curriculum that can nurture full-fledged, qualifie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prepared.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efforts: First, more diverse groups of subjects should be selected. In this study, preservice P.E.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future, not only dance majors but those who majored in similar departments such as industrial sports, health guidance or special physical education and have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to look in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 elite athletes who have been retired or who have dropped out due to injuries are likely to decide to go on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at the experience of receiving preservice P.E. teacher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eans for athletes who receive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ethe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foster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hould carefully be studied.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진학한 무용전공자들의 교과 및 교직 선택 동기, 교직과목 지식, 교과교육학 지식, 내적비전을 알아보고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중등 예비교사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Clandinin&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 절차를 따랐으며, 연구목적에 부합하여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체육교육전공 대학원생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들의 전공 선택 동기는 무용영역에서 체육영역으로의 저변 확대와 체육활동에 대한 소질과 흥미, 체육의 측정 및 평가의 명확성에 대한 신뢰로 나타났고, 교직 선택 동기는 체육교수법에 대한 학습 필요성 인식과 안정적인 직업에 대한 선망이었다. 또한, 교육대학원 교직과목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이를 학습자에 대한 이해로 확대하며 예비교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성장시켰다. 체육교과내용 영역에 대한 지식은 첫째,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으로서의 체육, 둘째, 체육을 중심으로 철학, 역학, 심리학, 생리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으로 연결되어있는 통합적인 학문, 셋째, 일상적인 생활문화 및 놀이로서의 체육으로 이해하며 지식을 형성하였다. 체육교과교수 영역의 지식은 첫째, 교육학을 통해 형성한 지식과 시사점의 활용 둘째, 교수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체육현장관찰 수업 및 담당교수의 교수방법을 통해 형성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직과목과 전공과목의 지식을 통합적인 차원으로 형성해 나갔고, 내적비전 형성이 구체적으로 완성되어가는 듯 보였으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하여 전공 선택 동기가 저하되고 정체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직에 대한 이해와 전공과목을 알아가는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나 교육실습의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해 체육실기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목적에 따른 예비체육교사교육을 목표로 한다면, 체육교육은 과목의 특성이 이론과 더불어 실기능력에 대한 준비도 필수가 되어야 한다. 실기교육의 부재는 4주간의 교육실습현장을 경험하며 실기에 대한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무용전공자들이 예비체육교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의 장으로 교육실습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교직동기가 저하되며 교사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유의미한 교육실습경험이 될 수 있도록 체육실기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여 무용전공자들이 실제 학교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의 현직교사교육과 예비교사교육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교육하기 위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기에 양자 모두에게 질 높은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 진학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교직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에 입학한 무용전공자들에게 교직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예비교사에게는 교사로서 준비되어야할 자질과 실제학습현장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비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을 세분화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의 교육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로 그 대상을 한정지었으나, 무용전공자와 같이 산업스포츠학과, 건강지도학과, 특수체육학과 등의 유사관련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이들의 교육경험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엘리트 운동선수로 은퇴를 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중도 탈락을 경험한 선수들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들에게 교육대학원의 예비체육교사교육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예비체육교사 교육과정을 통해 교사로의 전문성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의 진학동기 및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 교육대학원 경험을 중심으로

        김하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what caused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music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study this field and what they want to do after graduation as well as what kinds of experienc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ffected their career choice.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10 students studying at 3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for th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depending on the study issues. Among the free descriptive questions and the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e topics by summarizing the responses in the words or sentences.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ponding to the question of the motive for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answered the most with “to become teachers”. They also answered that the persons who affected them the most in terms of “my personality and interest” were themselves. In addition, in the in-depth interview, external motives such as 'recommendations of others' and 'job stability', as well as 'one's aptitude and interest' at the time of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music education graduate students are the most interested in internal motivation such as their own aptitude and interest when they ente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external motivation also influences decision to go t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as the future career, most students majoring in the music education want to become music teachers after they graduate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ven the students who did not hope to become music teachers when they applied fo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wed high hopes of becoming music teachers after their graduation. That shows that their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a big effect on their selection of music teachers as their future job.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education experience of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which had the most influence on career choice of graduate students was the major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 class'.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who had an influence on career choice,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than on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It was shown that with peers, they are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s with the same major', and with professors, they are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within the class'.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graduat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wanted counseling with professors and practical help for their career choice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found out to be prerequisite to encourage career counseling and counseling outside class for students' career choices. Fourth,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music education wanted more support related to the information on recruitment of teacher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want more practical experiences which would be good for their being teachers such as ‘more practical experience’, and ‘lecture made by actual teachers’.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curriculum appropriate to the purpose of the graduate school with practical educational experience opportunities to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at the graduate school.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e that the various experienc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ke a big effect on the future career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This found out that most of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wanted more experienc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ould be more helpful for their becoming music teachers, which was found to be their favorite career after gradu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making of the environment where the students can get more practical experience in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well as on their favorite future career.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생들의 교육대학원 진학동기와 졸업 후 희망진로를 알아보고,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 교육대학원 경험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세 곳의 교육대학원의 재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하여 연구의 내용을 보완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자유기술형 문항과 심층면담 자료는 응답을 나타나는 단어나 문장으로 정리하여 주제별로 범주화 하였다. 다음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첫째,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의 교육대학원 진학동기로는 ‘교사가 되기 위하여’진학하였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에 진학할 당시‘나의 적성 및 흥미’를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타인의 영향보다 ‘본인’의 의지로 진학하였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면담에서는 교육대학원 진학 당시 ‘자신의 적성 및 흥미’ 뿐만 아니라 ‘주변의 권유’, ‘직업의 안정성’과 같은 외적동기도 교육대학원에 진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이 교육대학원에 진학할 때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와 같은 내적동기를 가장 많이 고려하지만 외적동기 또한 교육대학원 진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 졸업 후 희망진로로 ‘음악교사’를 희망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교육대학원 진학당시 음악교사를 희망하지 않았던 재학생들 중 상당수가 교육대학원 진학 이후 음악교사를 희망하게 되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음악교사’라는 직업을 선택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셋째,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의 진로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교육대학원의 교육경험은 전공과목인 ‘교수법 및 지도법 수업’으로 나타났다.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 교수 및 동료와의 관계에서는 동료와의 관계가 교수와의 관계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와는 ‘같은 전공 동료와의 관계’, 교수와는 ‘수업 내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면담을 통해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은 진로선택을 위해 교수와의 상담과 실질적인 도움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재학생들의 진로선택을 위하여 교수와의 진로상담이나 수업 외의 면담이 장려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대학원에서 ‘임용’과 관련된 보다 많은 지원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뿐만 아니라 ‘더 많은 실습 경험’, ‘현장교사 특강’ 과 같은 음악교사가 되는 데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경험들을 더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대학원에서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교육대학원의 목적에 맞는 커리큘럼과 실질적인 교육경험 기회에 균형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서의 다양한 경험이 음악교육대학원생들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 음악교육대학원생 대부분이 교육대학원 졸업 후 희망하는‘음악교사’가 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을 더 원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육대학원에서 재학생들이 보다 실질적인 교육경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그들이 희망하는 미래를 준비하는데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