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고 하' 융합형에 나타나는 증거 양태 연구

        손유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various modalities in the "-dago," "-dani," "-damyeonseo," and "-danikka" groups as Fused final endings in Korean and also the semantic category of each subtype of the modalities. The study also set out to examine the meanings of modalities based on discourse analysis. Based on corpora found in TV drama scripts and movie scenarios, the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of the "-dago," "-dani," "-damyeonseo," and "-danikka" forms used for the meanings as non-restorative and fused final endings and also the frequency of a modality's semantic area as a subtypes of evidential modality. The drama scripts and movie scenarios used as corpora materials for the quasi-spoken language were converted into text files and underwent tagging works to be searched based on Lee Gyu-ho(2016). The materials were put through the Hanmaru 2.0 program, which is the corpus search engine for Korean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o analyze discourses in which the "-dago," "-dani," "-damyeonseo," and "-danikka" forms were found. Also analyzed were different forms of "-dago" including "-(i)rago," suggestive "-jago," interrogative "-nyago," and imperative "-rago." The analysis scope of "-dani" included "-(i)rani," "-jani," "-nyani," and "-rani" forms. That of "-damyeonseo" included the "-damyeo" form often omitted in a discourse situation and the abbreviated forms often used in spoken language such as "-damae" as well as "-(i)ramyeonseo," "-jamyeonseo," "-nyamyeonseo" and "-ramyeonseo" forms. The analysis scope of "-danikka" included "-(i)ranikka," "-janikka," "-nyanikka" and "-ranikka." The study analyzed corpus materials including approximately 15,500,722 syllables in 210 TV drama scripts for 15 years from 2001 to 2015 and 415,739 syllables in 30 movie scripts. In this study introduced concepts related to modalitie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iscussions in the present study. It discussed the concept of modality introduced in Korean, its subtypes, and its implementation categories and examined the semantic areas of modalities expressed in the subtypes of each modality. Epistemic Modality and Evidential Modality is often claimed that evidential belongs to epistemic modality. There are different views on their relation. Based on differences in their definition, basic concepts, and relation to tense, the paper claims that epistemic modality and evidential are separate categories. First, in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s of evidential modality in the group of fused final endings form of "-go ha-." In order to analyze the type of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speaker must be analyzed. If the content delivered by the speaker is analyzed, the acquisition path of the information and the type of evidence delivered by the speaker can be identified.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what the speaker wants to convey are as follows. The speaker's message included "delivery of speech" to deliver "speech by the speaker," "speech by the listener," and "speech by a third party" as evidential meanings, as well as "delivery of a situation," "thoughts by the speaker," experiences by the speaker," and "common sense." Second, subtypes of evidential modality were analyzed. After classifying the type of information that the speaker delivers, it can be analyzed whether it is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by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analysis, w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peaker, such as what the speaker's direct speech or experience, can be analyzed in the direct of the evidential modality. But The patterns of indirect evidence appeared when delivering from a third party, or from another person, such as common sense, that unrelated to the speaker. This is mainly shown in the meaning of reports and hearsay.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of the speaker, modality meaning of in the group of fused final endings form of "-go ha-." It could see the speaker's various emotional attitudes expressed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the speaker deliver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peaker's various emotional attitudes were expressed, with emphasis on what the speaker conveys, ask, refuting, sarcastic, surprised, irritated, ask back, admired, questioned, disappointed and disappro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evidence and modality meanings of propositions delivered when the form the group of fused final endings of "-go ha-." Such as "-dago," "-dani," "-damyeonseo," and "-danikka". These final endings are fused with the Quotation Construction in Korean. It was examined that the abbreviation and fusion of "-go ha-" used in the quotation is the same in form but has different meaning functions. 본 연구는 한국어 ‘-고 하-’ 융합형 종결 어미를 통해서 전달되는 명제의 증거 유형과 양태적 의미를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 하-’ 융합형 종결 어미인 ‘-다고’류, ‘-다니’류, ‘-다면서’류, ‘-다니까’류의 형태에서 표현되는 증거 양태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고, -다니, -다면서, -다니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들의 평서형, 청유형, 의문형, 명령형의 형태도 포함시켰다. 담화 상에서 증거 양태의 유형과 의미를 밝히기 위해 TV드라마 대본인 준구어 말뭉치 자료를 사용하여 담화 분석을 하였다. 본고에서 사용한 말뭉치 자료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약 15년 간의 TV 드라마 대본 210편의 약15,500,722어절과 30편의 영화 시나리오 415, 739어절이다. 문법 범주로서의 양태는 ‘명제 내용이나 사태에 대해 화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관적인 태도’로 정의된다. 양태의 하위 범주로는 인식 양태, 증거 양태, 의무 양태, 동적 양태 등이 논의되어 왔다. 감정 양태는 최근에서야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증거 양태는 기존의 양태 연구에서 인식 양태의 범주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증거 양태는 인식 양태의 하위 범주에 속하지 않고 인식 양태와 같은 위계에서 의미 범주와 체계를 가지는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 증거 양태는 더 이상 인식 양태 범주의 하위 의미가 아닌 인식 양태와 같은 층위에 놓고 독립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증거 양태의 주된 의미는 화자에 의해 전달되는 명제의 출처인 증거를 찾는 것이다. 첫째, 본고에서는 담화 상황에서 증거 양태의 의미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전달되는 증거의 내용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화자가 전달하려고 하는 명제의 증거 유형에는 ‘화자의 발화’, ‘청자의 발화’, ‘제3자의 발화’, ‘상황’, ‘생각’, ‘경험’, ‘일반 상식’ 등이 나타났다. 둘째, ‘-고 하-’ 융합형 종결 어미에 나타나는 증거 양태의 증거 유형을 분석한다. 전달되는 명제 내용이 화자의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화자의 발화’, ‘화자의 경험’ 등은 직접 증거 양태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전달되는 명제 내용이 화자의 것과 관련이 없는 경우인 누군가로부터 들어서 알게 되었거나 보편적인 지식과 같은 ‘일반 상식’ 등은 간접 증거 양태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고 하-’ 융합형 종결 어미에 나타나는 양태의 의미적 특징을 살펴본다. 양태 의미는 화자가 전달한 명제 내용이 화자에게 이미 내면화된 정보도 있고 내면화 정도가 낮은 정보도 있으며 전혀 내면화되지 않은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런 정보의 성격에 따라 화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양태 의미가 나타났다. 화자는 전달하는 명제를 강조하고, 확인하여 되묻고, 반박하고, 비꼬고, 놀라고, 짜증을 내고, 감탄하고, 실망하고, 못마땅하게 여기는 것과 같은 화자의 감정적인 태도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용 구문에서 ‘-go ha-’가 융합된 종결 어미들을 통해 전달되는 명제에서 증거의 내용 유형과 증거 양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융합되기 전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의미와 기능이 융합된 후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의미와 기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go ha-’가 융합된 종결 어미를 양태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화자가 표출하고자 하는 다양한 양태의 의미를 밝혔다.

      • 과업기반 수업이 초등영어학습자의 요청화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손유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업기반 수업이 초등영어학습자의 요청화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요청화행 능력 함양을 위해 15차시의 과업기반 수업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2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해 주2회 8주에 거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요청화행 지도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토대로 요청표현을 선정하였으며 난이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였다. 목표 표현 지도를 위해 3가지 목표 과업을 설정하였으며, 사회적 지위, 거리감, 요청의 부담과 같은 사회적 변인을 다르게 구성하였다. 각 과업은 협력적으로 수행하며 낮은 난이도의 과업부터 높은 난이도의 과업 순으로 수행하도록 배치하였다. 학습자의 화용언어적 능력과 사회화용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담화 완성형 평가지를 개발하여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메타화용 인지 능력 평가를 위해 적절성 판단 평가지를 개발해 평가하였다. 화용언어적 능력과 사회화용적 능력의 경우 평가 기준표를 개발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2명의 평가자가 채점하였다. 평가 자료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기반 수업은 초등영어학습자의 화용언어적 능력 향상에 기여하였다. 특히 중위수준 학습자의 화용언어적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과업기반 수업은 초등영어학습자의 사회화용적 능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평가 결과를 학습자 수준별로 비교하였을 때 상·중·하위 수준 학습자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과업기반 수업은 초등영어학습자의 메타화용 인지 능력에 효과가 있다. 특정 상황에서 사용되는 요청 표현의 적절성 판단의 이유를 설명하고 바르게 적절성을 판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요청화행 능력 향상에 과업기반 수업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 영어 수업에서도 다양한 화행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진다면 학습자들이 대화의 맥락에 어울리는 표현을 구사하는 균형 있는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task-based language teaching(TBLT)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the pragmatic competence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focusing on request. A series of 15 task-based lessons was developed to help 6th grade English learners learn pragmatic competence in requesting. 20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of Kore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completed the lessons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Various learning elements of request were first extracted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step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Three target tasks that require request expressions were designed using pragmatic social variables such as power, distance, and imposition. These tasks were cooperative and each task differed in terms of difficulty. Students’ pragmalinguistic competence and sociopragmatic competence were evaluated using a discourse competion test(DCT) as pre- and post-tests. Also, meta-pragmatic awareness were evaluated using appropriateness judgment test. Rating criteria that asses pragmalinguistic and sociopragmatic competence were also developed and two raters evaluated learners’ pragmatic production to ensure reliabilit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BLT approach was effective in teach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quest competence in terms of pragmalinguistic, sociopragmatic, meta-pragmatic awareness components. We discuss potential challenges and directions in teaching pragmatic competen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 임상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손유정 고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Stress, and Resilience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Son, Yu Jung Department of Nursing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rected by Professor Park, Jeong Suk, RN. Ph.D. Abstract Helping terminally-ill patients face the last moment of life peacefully by maintaining the dignity as a human and the high quality of life is an important element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nurses with positive perception of death and high resilience provide more active and high-quality terminal care performance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stress, and resilience are related to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enhancement program for clinical nurses who take care of terminally-ill patients,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terminal care stress, and resilience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As a descriptiv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otal 189 nurses working for six months or more at K university hospital and P university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For the data collection, the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rom August 20th to September 15th 2020,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 university, and then getting permission from the nursing department of K university hospital and P university hospital in B metropolitan city. In the research tools, this study used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Park, Sun-Ju(1996), the death perception tool developed by Kim, Bun-Han, Kim, Hong-Gyu, & Tak, Yeong-Ran(1997), and then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Cho, Yeong-Ja(2011), the terminal care stress tool developed by Lee, Yeon-Ok(2004), and the Korean-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K-CD-RISC) developed by Connor & Davidson(2003), and then adapted by Lee, Kyeong-Wook & Baek, Hyeon-Sook(2010). In the data analysis method, using the IBM S.P.S.S. WIN 25.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real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showe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death as mean 84.47±7.89(tool range: 23∼115) and mean score 3.67±0.35(scale range: 1∼5), the degree of terminal care stress as mean 152.61±18.42(tool range: 40∼200) and mean score 3.82±0.46(scale range: 1∼5), the degree of resilience as mean 82.76±11.71(tool range: 25∼125) and mean score 3.31±0.47(scale range: 1∼5), and the degre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as mean 53.33±7.52(tool range: 22∼88) and mean score 2.42±0.34(scale range: 1∼4). 2. In the degre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nursing job satisfaction(F=7.04, p=.001) and experience of terminal care education(t=3.11, p=.002). 3.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subjects had weak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perception of death(r=.28, p<.001), terminal care stress(r=.16, p=.033), and resilience(r=.39, p<.001). The perception of death of subjects had weak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erminal care stress(r=.17, p=.020) and resilience(r=.25 p=.001). The terminal care stress of subjects had weak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r=.16, p=.027). 4.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subjects were resilience(β=.33, p<.001), perception of death(β=.15, p=.031), and the experience of terminal care education(β=.16, p=.026).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ose variables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19.3%. Such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would be resilience, perception of death, and the experience of terminal care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terminal care educational programs that could increase the positive perception of death and resilience, and also include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necessary for terminal care. Moreover, the efficiency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should be increased through regular terminal care education. Keywords: Nurse, Perception, Stress, Resilience, Terminal Care 임종환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마지막 순간을 평온하게 맞이하도록 돕는 것은 임종간호수행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죽음인식이 긍정적이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들에게 더욱 적극적이고 질 높은 임종간호를 수행한다. 임상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수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종환자를 돌보는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교병원과 P대학교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08월 20일부터 동년 09월 15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교병원과 P대학교병원 간호부의 허가를 받아, 구조화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임종간호수행 측정 도구는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죽음인식 도구는 김분한, 김홍규와 탁영란(1997)이 개발한 후 조영자(2011)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이연옥(2004)이 개발한 임종간호스트레스 도구를, 회복탄력성 도구는 Connor와 Davidson (2003)이 개발하고 이경욱과 백현숙(2010)이 번안한 한국형 회복탄력성도구(K-CD-RISC)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IBM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평점, 표준편자, 최솟값, 최댓값,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죽음인식 정도는 평균 84.47±7.89(도구범위: 23∼115), 평균평점 3.67±0.35(척도범위: 1∼5),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152.61±18.42(도구범위: 40∼200), 평균평점 3.82±0.46(척도범위: 1∼5),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정도는 평균 82.76±11.71(도구범위: 25∼125), 평균평점 3.31±0.47(척도범위: 1∼5),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 정도는 평균 53.33±7.52 (도구범위: 22∼88), 평균평점 2.42±0.34(척도범위: 1∼4)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수행 정도는 간호직 만족도(F=7.04, p=.001), 임종관련 간호교육 경험(t=3.11,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은 죽음인식(r=.28, p<.001), 임종간호스트레스(r=.16, p=.033), 회복탄력성(r=.39, p<.001)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죽음인식은 임종간호스트레스(r=.17, p=.020), 회복탄력성(r=.25 p=.001)과 약한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약한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r=.16, p=.027)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33, p<.001), 죽음인식(β=.15, p=.031), 임종관련 간호교육 경험(β=.16, p=.026) 이었다. 이들 변수의 임종간호수행에 대한 총 설명력은 19.3%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회복탄력성, 죽음인식, 임종관련 간호교육 경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종간호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회복탄력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종간호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이 포함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주기적인 임종관련 간호교육을 통하여 임종간호수행의 효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 어린이의 공간능력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 : ‘위치 인지’를 중심으로

        손유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위치는 어떤 사물이 지표상에 차지하고 있는 자리를 말하며, 그것은 다른 위치와의 관련 속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므로 위치를 인지한다는 것은 거리, 방향, 근접성과 같은 공간적 개념들을 통하여 그 위치와 다른 위치와의 관련을 이해한다는 것을 뜻한다. 위치 학습은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하고, 공간적 행동의 기반이 되며, 모든 지리적 연구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공간능력으로서 어린이들의 위치 인지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뇌과학적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자신의 감각을 이용하여 지각할 수 있는 지각적 공간 내에서 새로운 위치를 어떻게 인지해 나가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공간 경험을 통한 어린이의 위치 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교육과정의 위치 관련 성취기준과 공간 인지 및 뇌과학에 관한 선행 연구, 그리고 사전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지각적 공간 규모에서의 위치 인지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만들었다. 초등학교 5학년 남자 3명, 여자 2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아차산 생태공원, 올림픽공원, 세종대학교 등 3개의 공간에서 각각 3차례씩 총 9차례에 걸쳐 새로운 공간에 대한 위치 파악 활동을 하였다. 활동 후 어린이들이 그린 멘탈 맵과 위치 인지에 관한 질문지를 기반으로 반표준적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다. 멘탈 맵 작성 동영상 자료는 위치 전략을 파악하는 데 사용하였고 면담 내용은 분석틀에 근거하여 정리하여, 이를 기반으로 어린이 위치 인지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구안된 위치 인지 분석틀에 따라서 위치 전략, 위치 요소, 위치 서술, 정서와 위치라는 관점에서 어린이 위치 인지 양상을 분석하였다. 위치 전략은 공간에 있는 랜드마크, 통로, 결절점 등을 인지하는 데 사용하는 전략을 말한다. 위치 인지 구조의 형태는 산재형, 모자이크형, 통로우세형, 연결형, 패턴형으로 구분되는데, 어린이들은 주로 모자이크형과 연결형을 사용한다. 위치 인지 과정 전략은 멘탈 맵을 그리는 순서나 방식으로서 랜드마크 전략, 통로 전략, 경로 전략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어린이들은 주로 랜드마크 전략과 경로 전략을 사용하였다. 위치 요소는 방위와 방향, 거리, 근접성, 대지의 높낮이, 중앙과 외곽, 전체 형태, 파악이 쉬운 위치, 파악이 어려운 위치로 구분하였다. 어린이들은 절대적 방위에 대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거리에 대한 감각이 부족하였다. 특히 비개관적으로 공간을 인지하는 성향을 가진 어린이들의 경우는 공간거리보다 시간거리 사용을 선호하였다. 어린이들은 랜드마크의 외형이 독특하거나 현저한 경우, 출입구에 근접해 있는 경우에 위치를 쉽게 파악하였다. 위치 서술은 장소 설명 방식, 위치 설명 방식, 길안내 방식으로 나누고 그에 대한 경향성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어린이들은 장소를 설명할 때는 주로 ‘있음’ 요소를 사용하고, 위치를 설명할 때에는 길안내 방식과 근접성 요인을 사용하는데, ‘있음’ 요소와 길안내 방식, 근접성 요인은 모두 공간에 대한 개관적 지식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랜드마크 중심의 설명 방식이다. 정서와 위치 분석에서는 인상 깊게 생각하는 위치들의 종류 및 깊은 인상을 받게 한 원인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어린이들이 특정 위치에서 정서적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랜드마크의 외형적 요인, 위치적 요인, 내러티브적 요인 중에서 위치에 대한 인상과 정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러티브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 나타난 어린이들의 위치 인지 특성은 첫째, 비패턴적 사고방식이다. 인간의 뇌에서 고차원적인 사고를 담당하는 전두엽은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신경세포의 수초화 및 가지치기를 진행하고, 충동 억제를 통한 주의 집중도를 높여 종합적ㆍ체계적 사고를 위한 발달을 완성해 나간다. 그러므로 아직 전두엽의 발달이 미숙한 어린이들은 종합적ㆍ체계적 방식으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리하여 어린이들은 랜드마크 중심의 위치 인지 성향을 보이고, 비형식적으로 사고하며, 공간의 지엽적 특질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어린이들의 위치 인지에서 보이는 두 번째 특성은 자기중심적 성향이다. 청소년기 동안 발달하는 전두엽이나 두정엽은 개념, 정서에 있어서의 관점 수용 능력과 관련된다. 상대방의 관점을 수용한다는 것은 자기중심성 탈피와 관련이 있는데, 어린이들의 길안내에서 나타나는 자기중심적 준거의 사용이나 상대방의 이해를 배려하지 않는 설명 방식은 관점의 전환을 지원할 수 있는 신경회로의 미성숙 때문으로 보인다. 어린이 위치 인지의 세 번째 특성은 내러티브적 위치 인지 성향이다. 전두엽을 중심으로 한 뇌의 위계화가 완성되지 않은 어린이들은,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전두엽의 관여가 적고 변연계의 영향이 강하다. 그 결과 어린이들은 랜드마크의 외형적 요인이나 위치적 요인보다 위치에서의 경험이나 들은 이야기, 랜드마크의 이름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는 내러티브적 위치 인지의 성향이 강하다. 어린이들의 위치 인지 양상을 인정하면서 어린이들의 위치 인지를 돕기 위해서는 첫째, 어린이들의 뇌 발달 양상을 고려하여 추상적인 방위와 같은 개념은 더 상위 학년에서 학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둘째, 어린이들이 위치와 자신을 관련시킬 수 있는 내러티브적 요인이 풍부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체험을 통한 위치 교육이 확대되어야 하며, 넷째, 체계적 위치 인지 방식 이외의 비체계적 인지 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 학습이 되어야 한다. 끝으로 추상적 개념을 제시함에 있어 표준적 사례 이외의 비표준적 사례 제시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어린이들의 발달에 근거한 인지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위치 인지를 도와주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 필라테스 짐볼 운동이 정신장애인의 뇌파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손유정 西南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lates gymball exercise on EEG, cognitive function persons with mentally disabled. This study was progressed from July 14 to September 1 2016. We selected the mentally disabled who can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municate and interview for 3 months from S vocational rehabilitation social welfare center in B city. Thirty-eight subjects who agreed with the experiment was randomly distributed; 19 to Pilates gymball exercise group and 19 to control group. The data was taken from 11 subjects in Pilates gymball exercise group and 10 in control one, except 8 subjects in each group who failed due to personal affairs. K-MMSE and EEG were taken as a pretest. EEG measured relative alpha power and relative beta power. The four areas (Prefrontal lobe, Frontal lobe, Parietal lobe, and Occipital lobe) of the EEG were measur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each area. Each group was applied to the exercise program for 50 minutes (warming up for 10 minutes, main exercise for 30 minutes, cool down exercise for 1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and posttest was taken in the same way as pretest.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relative alpha power in Fp1, Fp2, and F3(p<0.05). 2.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elative beta power in Fp1(p<0.05). 3. The K-MMSE score of the cognitive function test was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6 weeks of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s of EEG and cognitive function of Pilates gymball exercise group. Pilates gymball exercise affected brain cognitive function and EEG changes in the frontal lobe a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application of Pilates gymball exercise to people with low activation of brain function seems to be a method of exercise that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for improving brain activation and cognitive function. 본 연구는 필라테스 짐볼 운동이 정신 장애인의 뇌파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기간은 2016년 7월 14일부터 2016년 9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3개월 동안 B시에 소재한 S직업재활 복지관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면담에 응할 수 있는 정신장애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의 동의한 대상자 38명을 각각 필라테스 짐볼 운동군 19명, 뻗침 운동군 19명 무작위로 나누어 배정하였다. 각 군에서 개인적인 사정으로 탈락한 각 군 8명을 제외한 필라테스 짐볼 운동군 11명, 뻗침 운동군 1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전 측정으로 인지기능을 알아보고자 K-MMSE를 이용하였으며, 뇌파를 알아보기 위해 상대알파파워, 상대베타파워를 측정하였다. 뇌파의 부위는 4개 영역(앞이마엽, 이마엽, 마루엽, 뒤통수엽)이었으며, 각 부위의 왼쪽과 오른쪽에서 측정하였다. 각 군에 주 3회, 50분씩(준비 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마무리 운동 10분)동안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6주 후 사후 검사도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두 군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공분산분석(ANCOVA)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파 중 Fp1, Fp2, F3 영역의 상대알파파워는 필라테스 짐볼 운동군이 뻗침 운동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2. 뇌파 중 Fp1 영역의 상대베타파워는 필라테스 짐볼 운동군이 뻗침 운동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3. 인지기능검사인 K-MMSE 점수는 두 군 모두 운동 전에 비해 운동 6주후에 모두 증가하였지만,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필라테스 짐볼 운동군의 뇌파와 인지기능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필라테스 짐볼 운동은 이마엽 부위의 뇌파 변화와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뇌의 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에게 필라테스 짐볼 운동은 뇌 활성화를 유발하면서 인지기능 향상할 목적으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운동방법이라 생각된다.

      • 크루즈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 만족과 재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손유정 계명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Cruise travel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all that time they moving is the process of travel. Environments of the cruise ship determine the travel experiences, as they enjoy traveling in a limited space. For this reason, the servicescape of cruise ships is worth stud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servicescape in cruise ship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servicescap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is result is a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nd non-visual conditions such as noise, indoor temperature or lighting, view, music, and scent that attract attention only in unpleasant cases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human servicescap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With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fforts of cruise crews is important element for satisfaction. Third, program servicescap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program environments in cruse ship,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ruise travelers. Fourth,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revious studies on cruise servicescape, cruise servicescape was divided into physical servicescape and social servicescape, but in this study, the program servicescape was added and shows that it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 of cruse servicescape. Second,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ruise have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ut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in that behavioral intention was further subdivided into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Third,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measured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individual cruise ship company by verifying customer's intention to repurchase a specific cruise brand. Fourth, with further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short-term and long-term customers affected by servicescape differentl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memory of the respondents may not be accurate,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program servicescape and found that the elements of servicescape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the cruise. 크루즈 여행은 이동하는 모든 순간들이 여행의 과정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승객들은 크루즈선이라는 이 제한된 공간에서 여행을 즐기기 때문에, 크루즈 선내의 환경적 요소들은 승객들의 여행 경험을 결정한다. 이러한 이유로 크루즈선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연구할 가치가 있다. 크루즈선에서의 서비스스케이프에 관한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로 나타났으며, 불쾌한 경우에만 주의를 끄는 소음, 실내온도나 조명, 전망, 음악, 향기 등과 같은 비시각적인 조건은 고객의 만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인적 서비스스케이프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크루즈 여행 만족을 위해서는 크루즈 승무원들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서비스스케이프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양한 프로그램 환경의 퀄리티가 높을수록 크루즈 여행객들의 만족도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만족은 재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크루즈 서비스스케이프와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는 크루즈 서비스스케이프를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와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로 구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서비스스케이프라는 개념을 새롭게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크루즈 관련한 기존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만족과 행동의도간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행동의도의 개념을 보다 세분화하여 재구매의도와 구전의도로 나누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특정 크루즈 선사에 대한 재구매의향을 검증함으로써 개별 크루즈 선사의 마케팅 성과를 명확히 측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추가분석 결과 단기 고객과 장기 고객은 서비스스케이프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별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크루즈 여행 경험이 3년 이상 된 일부 응답자의 기억 한계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나, 프로그램 서비스스케이프라는 개념을 도입했다는 점과 크루즈 여행 기간에 따라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소들이 차별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건강한 자원자에서 펠루비프로펜과 펠루비프로펜 트로메타민의 약동학 및 약력학 특성

        손유정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배경: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억제는 downstream 단계로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합성을 감소시킨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중 하나인 pelubiprofen은 COX-2의 선택적 억제를 통해 진통 및 해열에 효과가 있다. Pelubiprofen tromethamine은 pelubiprofen에 비해 용해도 및 흡수가 개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elubiprofen tromethamine 제제를 새로이 개발하기 위해서, pelubiprofen 30 mg 대비 동일한 체내 노출을 구현할 수 있는 pelubiprofen tromethamine 용량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자원자에서 pelubiprofen과 pelubiprofen tromethamine의 약동학 및 약력학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건강한 남성 자원자를 대상으로 2개의 독립적인 임상시험이 무작위배정, 공개, 경구, 2-순서군, 4기, 교차 시험 형태의 동일한 설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1과 2은 목표 자원자 수로 각각 36명이 설정되었으며, 자원자들은 연구 1과 2에서 각각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과 30 mg을 투여받거나 대조약으로 pelubiprofen 30 mg을 투여받았다. 두 연구는 약물 투여 후 최대 8시간까지 혈액을 채취하였다. 약동학 평가를 위해 Cmax와 AUC에 대한 GMR 및 90% 신뢰 구간(CI)을 확인하였다. 약력학 평가를 위해서 24시간 동안 LPS 반응 후 연구1의 1, 2기의 혈장 PGE2 농도는 ELISA를 통해 각 약동학 시점에서 도출되었다. COX-2 억제율은 각 자원자의 기저치 대비 PGE2 농도의 감소로 도출되었으며, COX-2 억제율에 대한 GMR 및 90% CI를 통해 약력학 평가가 진행되었다. 또한 약력학 데이터에서 잠재적 이상치를 확인하기 위해 정규성 검정과 Grubb’s 검정이 진행되었다. 결과: 두 연구에서, 혈장농도-시간 그래프 양상은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 30 mg 및 대조약에서 유사하였다. Pelubiprofen 30 mg의 Cmax가 개체내 변동계수가 50% 이상으로서, Cmax와 AUC0-t의 GMR에 대한 90% CI를 각각 log 0.6984~log 1.4319, log 0.8~log 1.25으로 확장된 생물학적 동등성 기준을 적용하였다. 연구 1에서 대조약 대비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의 Cmax와 AUC0-t의 GMR(90% CI)는 각각 1.1558(1.0197-1.3101)과 1.0674(1.0187-1.1184)로서, 확장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범위에 드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연구 2에서 대조약 대비 pelubiprofen tromethamine 30 mg의 Cmax의 CI 상한치는 허용 범위를 벗어남이 확인되었다.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의 최대 기저치 보정 COX-2 억제는 이상치가 있거나 없는 경우에서 대조약보다 약 0.98배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Pelubiprofen 용량을 25 mg으로 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tromethamine 접합 시 pelubiprofen 30 mg 정도의 노출이 확인되었다.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의 단일 투여 후 COX-2 억제 정도는 pelubiprofen 30 mg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은 pelubiprofen 30 mg 대비 진통 및 해열 효과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트로메타민 염, 약동학, 약력학, COX-2 억제 효과 Background: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COX-2) results in diminished synthesis of prostaglandin E2 (PGE2) as a part of the downstream process. Pelubiprofen,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exerts its analgesic and antipyretic effect via the selective inhibition of COX-2. Pelubiprofen tromethamine is known to have improved solubility and absorption relative to pelubiprofen. To develop new pelubiprofen tromethamine formulations, an appropriate pelubiprofen tromethamine dose to implement the same exposure in the body as pelubiprofen 30 mg must be determined. To this end, the pharmacokinetic (PK) and pharmacokinetic (PD) characteristics of pelubiprofen tromethamine and pelubiprofen were evaluated in healthy subject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two independent clinical trials in healthy male subjects were conducted with the same design in the form of randomized, open-label, oral-dose, 2-sequence, four-period, full-replicated crossover studies. The target number of subjects in Study 1 and Study 2 was 36 each, and subjects received either pelubiprofen 30 mg (reference) or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 and 30 mg in studies 1 and 2, respectively. In both studies, up to 8 hours of serial PK samples were collected after the study drug administration. The geometric mean ratios (GMR) and 90%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Cmax and AUC were used for PK evaluation. For PD evaluation, plasma PGE2 concentrations after 24 hour LPS stimulation in Phases 1 and 2 of Study 1 were derived at each PK point through ELISA. The COX-2 inhibition was derived from the decrease in the PGE2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baseline of each subject, and PD evaluation was performed through GMR and 90% CI for the COX-2 inhibition ratio. In addition, normality and Grubb's test were performed to identify potential outliers in PD data. Results: In both studies, the pattern of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was similar across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 30 mg and reference. As the Cmax of the pelubiprofen 30 mg had intra-subject variability exceeding 50%, the expanded bioequivalence (BE) acceptance criteria extended to log 0.6984~log 1.4319 and log 0.8~log 1.25 was applied to the 90% CI for GMR of Cmax and AUC0-t, respectively. In Study 1, the GMR(90% CI) of Cmax and AUC0-t of pelubiprofen 25 mg compared to reference were 1.1558(1.0197-1.3101) and 1.0674(1.0187-1.1184), respectively, confirming that they were within the expanded BE test range. However, The upper CI of Cmax of pelubiprofen tromethamine 30 mg compared to reference in study 2 was outside the acceptance range. The maximum baseline-corrected COX-2 inhibition of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 was approximately 0.98-fold smaller than the reference formulation, with or without the otliers. Conclusion: Although the pelubiprofen dosage was adjusted to 25 mg, exposure of about pelubiprofen 30 mg was confirmed with tromethamine conjugation. After a single administration of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 the degree of COX-2 inhibition was similar to that of pelubiprofen 30 mg. Therefore, pelubiprofen tromethamine 25 mg is not considered to have a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algesic and antipyretic effects compared to pelubiprofen 30 mg. Keywords: tromethamine salt, pharmacokinetic, pharmacodynamic, COX-2 inhibitory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