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대 경험 청소년의 비행 요인에 관한 연구

        강진아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학대경험이 없는 비행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청소년의 비행문제는 최근 무엇보다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이 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청소년들의 비행은 과거의 단순히 무시를 하거나 따돌림을 하는 수준이 아니라 심각한 폭행, 질 나쁜 집단 따돌림, 절도, 성폭행 수준으로 성인 못지않은 심각한 문제를 보여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들의 행동적 특성으로 거짓말, 반항, 가출, 약물과 흡연, 음주, 학교 부적응 등 비행을 유발할 수 있는 부정적인 행동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한다. 학대의 경험이 직접적으로 비행에 이어지지 않는다고 해도 학대로 인해 반사회적인 행동을 보일 위험이 크다고 보고 하여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이 비행 참여에 취약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기 위해 이론적 토대를 만들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에 포함된 요인들은 주로 개인적 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들이었다. 그러나 청소년들은 주변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시기인 만큼 거주지역이나 학교주변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러한 환경적 요인을 함께 포함한 연구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 가족요인인 부모애착과 부모감독, 학교요인인 교사애착, 친구애착과 함께 지역사회 애착 및 감독, 학교 무질서, 동네 무질서, 동네 무질서를 나타내는 지역사회요인을 포함하여 분석하였을 때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들은 학대경험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연구원에서 기준 전국(제주도 제외)중학교 2학년 청소년들 중 표본으로 뽑힌 3,697명의 청소년들 및 부모를 대상으로 2003년도부터 실시한 패널데이터 중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4.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사항을 분석하고 학대 경험 유무에 따라 청소년이 비행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비행청소년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각각의 요인들이 학대 경험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각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는 전체청소년, 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의 비행행동,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 지역사회 요인인 학교 무질서, 동네 무질서, 지역사회 애착 요인이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집단을 비교한 결과 세 집단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약간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발견할 수 있었는데, 공통적으로 나타난 영향요인은 친구애착과 학교 무질서로 세 집단 모두에서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경험이 있는 비행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애착, 친구애착, 학교 무질서로 나타나 교사애착이 낮을수록, 친구애착이 높을수록, 학교가 무질서 할수록 비행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 요인인 친구애착과 지역사회 요인인 학교 무질서 요인이 나타나 학교와 관련하여 고려된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이 다른 집단에 비해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일하게 교사애착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의 모든 환경이 중요함을 나타내었다. 즉, 기존의 주로 고려된 요인들과 함께 지역사회환경 요인을 고려한 결과 학대를 경험한 집단에서 학교와 관련된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들은 다른 어떠한 장소에서 보다 학교에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학교에서 체계적인 개입을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juvenile delinquency having experience in abuse through comparing with juvenile delinquents having no experience in abuse. Juvenile delinquency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more than anything else in Korea. Juvenile delinquency covered by media has become growingly serious, including violence, theft, and sexual abuse as adults do, not simply despising or bullying as before,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for fundamental solution. In additi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th experiencing abuse include lie, defiance, leaving home, drug addiction and smoking, and school mal-adjustment, and they have been reported to show neg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likely to cause wrong doings. Although experiences in abuse do not always lead directly to delinquency, they make adolescents having an experience in abuse vulnerable to delinquency, along with aftereffect of ab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ay foundation for prevention and healing of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abuse. Previous studies so far have dealt with mainly 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However, as adolescents tend to be easily affect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environments of the community and their school to a larger degree, it is needed to take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Nevertheless, sufficient studies have not been made on variables covering environmental factors of this kin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hat factors affecte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having an experience in abuse, by analyzing person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family factors such as parent attachment and supervision, school factors such as teacher attachment, friend attachment, and community attachment, and community factors such as supervision, school disorder, and neighborhood disorder. To this end, the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factors will affect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 Second, does each factor which affects juvenile delinquency hav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buse experience? To resolve these questions, the study employed the 4th year data of panel data on the 2nd graders of the middle school in Korea releas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PSS 1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general issues of the participant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any difference in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buse experience. In addition,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delinquents, while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into whether each factor affects depending on abuse experience.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of adolescents as a whole, of adolescents with no abuse experience, and of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and community factors such as school disorder, neighborhood disorder, and community attachment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of with abuse experience.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three groups revealed some difference in factors affecting these three groups; common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se groups included friend attachment and school disorder, that is, the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in all of the three groups. Factors affecting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 included teacher attachment, friend attachment, and school disorder, which indicated that lower teacher attachment, higher friend attachment, and more serious level of school disorder resulted in the rise of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In particular, factors affecting juvenile delinquent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 in this study included school factors such as friend attachment and community factors such as school disorder, which implies that all factors considered in relation to school had an effect. Overall, although a small number of factor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 compared to other groups, teacher attachment was the only factor to have an effect. In other words, the analysis of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and major factors considered previously showed that all of the school related factors had an effect on the abuse group, and schools had a stronger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 than any other place,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for a school to get involved more systematically.

      • 가다머의 해석학을 적용한 해석학적 부부 상담 모델 연구

        강진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itiated from questioning ‘how we should understand the married couple’ instead of ‘what married couple is’ in Korea, where the divorce rate is extremely high. It is hermeneutically significant for married couples to understand each other rather than simply realizing the essence of married couples in family counseling. After Korean War(1950-1953), Korea achieved extremely rapid economic growth but on the other hand, it left a negative mark of shadow of family groups dissolving and scattering all over. This shadow ultimately caused critical situations such as domestic violence or child abuse. Therefore, this study prposes to focus on forming marital identity in family counseling not performing the roles or communication improvement of the married coup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shows the meaning of marital identity in family counseling by applying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approaches. And this study aims to explicate the improvement of weak marital identity by using active and voluntary playing. In addition, Winnicott’s playing theory is used to understand married couples’ transitional space relationship. These two hermeneutics theories contain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couples’ lives. Gadamer claims about an existing method of pure self-expression, transformed into the formation, and continuity of meaning shows playing conceptions. Also, Winnicott talks about use of transitional object in transitional phenomena, creativity, and ability to use in object relation by showing characteristics of playing therapy. Therefore, theory of playing conceptions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recreating marital identity in the inherent influence of conflict and crisis. As a result, Gadamer’s directing point of ‘open posture’, ‘remaining’, and ‘reframing’ leads to building stronger marital identity. In order to help married couples in strengthening marital identity, counselor should know that he or she cannot fully understand and sympathize all the married couples and must stay outside of standardized family stereotype. And counselor should help married couples to communicate like they are interpreting to each other.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human reflections are more important than improving the techniques of counseling and removing the symptoms. And also, this study suggests for counselors to use Gadamer`s hermeneutical marriage counseling model in order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marital identity in Korean society.

      • 비자발적 휴먼, 디지털 기술로 유도되는 인간 활동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아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진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본질은 능동성에 있지만 인간성을 거시적으로 바라보면 인간의 진화는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최근 인간은 디지털 기술이 지배적인 환경에서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 아트 예술가들은 본인의 작품을 통해, 디지털 기술은 인간의 자발적 활동을 보다 더 뚜렷하게 이끌어내는 질료라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들의 주장은 디지털 기술이 가진 특성인 ‘이전 기술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용이한 데이터 복제․삭제․편집․저장․전송’이라는 데이터 접근성으로 인해 인간이 기존보다 양․질적으로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인간과 디지털 기술의 관계에 대한 표면적인 해석에 불과하다. 오히려 현상적으로 관찰해보면 디지털 기술의 알고리즘으로 인하여 디지털 환경은 자연환경에 비해 제약적이게 되며 따라서 여기서의 인간의 활동은 디지털 정보처리 방식의 근간이 되는 기계적 인과관계에 얽매이게 된다. 디지털 환경에서 인간의 신체는 디지털 장치 근방에 국한되어 한정된 활동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디지털 환경에서의 규칙과 디지털 환경이 가진 목적성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는 인간의 활동을 유도한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 디지털 기술로 유도되는 인간 활동을 논구하기 위하여 인간과 디지털 기술의 불가분한 관계를 ‘디지털 의존’으로 설명하고 현상적 분석을 통해 디지털 환경 안에서 인간의 신체적 활동이 한정되는 양상을 논의함으로써 ‘비자발적 휴먼’이라는 디지털 패러다임 안에서의 인간상을 도출하여 제시한다. 이는 디지털 기술이라는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점차 비자발적 매체가 되어가는 인간에 대한 논구이자 인간과 디지털 기술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향에서의 해석이라 할 수 있다. The human nature is activeness. However, looking at the human nature at the macro side, human evolution is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Recently human has a large change in digital paradigm. Accordingly Digital artists asserted that digital technology is eliciting human’s activeness through their artworks. They told on that digital technology makes a variety of human experiences. But it is only a superficial interpretation on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the human. Although the digital technology has high data transfer rates and data copy, deletion, editing, storage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human activity area was extended, it could hardly say that the digital technology’s effect, because the human expanded a new area of activity through digital technology. On the contrary, the human body is limit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addition, rather the state change of the human activity demonstrates that digital technology induces humans physical activity. Today the human is inseparably linked with digital technology in digital paradigm, and consequently the human experiences conditions that depend upon digital technology. In the digital environment, human should propose a new activity patterns by the rules and the data that are provided. The human activity followed demand of digital environment is induced humans physical activity, and consequently the human physical activity has been done with unconsciously. In this thesis, I explore transformation aspects of the human physical activity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en discuss the human as involuntary medium seriously affected by digital technology.

      •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및 학습활동책의 표현기능 분석

        강진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roductive skills in the randomly chosen eight current 1st grad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evaluate how well distributed and constructed the productive skills. So,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1st grad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focused on productive skill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find the better way of future textbook. For the analysis, this study researched theoretical background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necessity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Then, analyzed 1st grad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focused on productive skill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speaking activities are related 5 of all the achievement standards except 1 and writing activities are related all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re is a small difference but both of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are focused on the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some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are consist of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including all achievement standards while others are consist of only 2~3 achievement standards. Thir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percentage between textbook and activity book. That is, some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are not presented in activity book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irst, for future English textbooks, productive skill activiti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should be related. Second,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evenly based on each item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future English textbooks Third, there is a need to think about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suitability and revised for future English textbooks. Finally, with more interest, further research and analysis on English textbooks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needed to be made.

      • 대상관계 이론에 기초한 Good Enough Mother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강진아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emotional insights of mother’s role in children. But this parent education programs are different from original program because they are more emotionally in insightful rather than being intellectually insightful. The Object Relation theory is when people were young, their relationship patterns up with their future relationship of mother and children. The relationship repeats itself like a scenario between every relationship in different generation. Donald Winnicot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of good enough mother. Therefore, I summoned up and showed my opinion of the Object Relation Theory. I helped Korean cultural people to understand this theory. And I developed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which allows Good Enough Mother to give motherly caring environment to children. The first result is that Winnicott said, Good Enough Mother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gives children holding, handling, providing object, mirroring, surviving, playing, and living real self. These factors were taught to the mothers and saw their true attitude of how they were cared and parented, and finally, realized their shamed and then regretted their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The mother’s recognized their self-awareness in the point of view of being motherly parents. In the second result, the unconscious feelings that the mothers had were realized after going through the program. With that, they also realize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had. Because of this, the mothers became an object of having an internal healthy and saf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this program made a feed backed data that has an atmospheric important to the mothers that were involved. This research involved only housewives. But to make this research more general among women, we should establish a new research that involves working women.

      • 『세계력사』에 나타난 북한의 역사인식

        강진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주체사관의 원리를 검토하고 그 내용이 『세계력사』의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북한의 역사인식을 올바로 이해하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체사관의 주요원리는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 민족혁명 중심의 역사인식, 수령과 후계자의 역할 강조로 나누어진다. 그 중 주체사관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이다. 이로부터 출발하여 주체사관은 역사의 본질은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이며, 인류역사의 성격을 인민대중의 창조적 역사라고 본다. 또한 인민대중의 자주성과 창조성을 일깨우기 위한 역사의 추동력을 자주적 사상의식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인민대중이 역사발전의 자주적 주체가 되려면 반드시 수령의 지도를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여 실질적인 역사발전의 주체를 수령으로 귀결시킨다. 이와 같은 주체사관의 원리는 북한 세계사 교육의 목표와 교과편제, 『세계력사』의 서술에도 반영된다. 그 결과 『세계력사』에서도 역사발전의 주체는 인민대중이며 이들의 자주적 요구와 창조적 활동으로 사회가 개조되고 역사가 발전한다고 설명된다. 특히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투쟁으로 보기 때문에 노예폭동, 농민봉기, 반제민족투쟁과 해방운동은 역사발전의 합법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사건으로 중시한다. 이에 반해 인민대중과 대립되는 왕이나 노예주와 같은 지배계급의 착취, 종교, 수정주의, 제국주의 침략전쟁에 대해서는 철저한 비판과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하지만 사회역사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혁명운동은 고도의 의식적인 운동이며 심각한 계급투쟁을 동반하기 때문에 반드시 수령과 후계자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본래 주체사관에서 수령은 김일성을, 후계자는 김정일을 뜻하지만 『세계력사』에서는 해당 사회의 혁명을 지도하는 대표자를 의미하며 이들의 지위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그려진다. 그러나 이보다 더 강조되는 것은 세계 각국의 반제민족해방투쟁에 기여한 김일성의 지도력과 혁명업적이다. 『세계력사』에서 김일성은 앞서 나타난 지도자들 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영향력 강한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어 북한 사회주의의 우수성을 정당화한다. 이처럼 주체사관은 『세계력사』에 반영되어 세계사 학습을 통해 주체사상을 고양하며 민족자주사상과 애국주의 함양을 지향한다. 이를 통해 『세계력사』는 주체사상의 이론을 정교화하고, 대중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정치사상교육의 일환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North Korea on the basis of examining the main elements of juche(self-determination) ideology reflected in Segyeryoksa. The main elements of juche ideology include: a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a historical consciousness centering on popular revolutions; and the central roles of the suryong(revolution leader) and his successor. The essential of element of theses is the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This historical view is the bedrock of juche ideology, which argues that the essence of human history is in the endless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for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The ideology claims that the historical impetus that awakens the popular masses to their creativity and capacity to determine their own lives is a voluntary or self-determination centered ideology. But asserts that the popular masses must obey a suryong in order to becom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there by transferring the role of leading historical evolution to one single leader. The elements of juche ideology form the foundation of the objective of the North Korea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Segyeryoksa. Segyeryoksa asserts that th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are the popular masses, whose voluntary demand and creative activities reform the society and lead the progress of history. Because juche ideology locates the impetus of historical evolution in the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to gain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such historical events as slave riot, peasant uprising, and anti-imperial nationalist movement and independence fight are treated as the evidence supporting such view on history. But renders scathing criticisms and negative judgments on the exploitation of ruler(such as king and slaveholder), religion, revisionism, and imperialist invasion and colonialism. The book goes on to assert that, since revolutionary struggles for the sake of social and historical evolution required a highly sophisticated consciousness and accompany serious class conflicts, such struggles require the strong leadership of the suryong and his successor. In juche ideology, these positions are personalized: the suryong refers to Kim il-sung, while his successor refers to Kim Jong-il. Segyeryoksa, however, includes all leaders of revolutions in a given society under the category of suryong, whose roles and positions in the history of society could not be emphasized more. Even more emphasized, however, are the leadership and accomplishments of Kim il-sung who is depicted as having made crucial contributions to the liberation of peoples of various nations from oppressive and exploitative forces. Kim il-sung is described in Segyeryoksa as incomparably superior to all the previous leaders of world revolutions, and his power and influence justify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 version of socialism. Segyeryoksa seeks to inculcate students in juche ideology by teaching them a highly selective version of world histor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book is to instill strong ideologies of self-determination and patriotism in students. Segyeryoksa, in other words, is an elaboration of juche ideology and is an political tool used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ideology.

      • 景閑의 生涯와 禪思想 硏究

        강진아 中央僧伽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한은 고려말의 선승으로 법호는 백운(白雲景閑, 1298-1374)이다. 어린시절 10세 이전에 출가하여 경론을 배우고 선법을 익히며 수도한다. 54세에 입원 유력하여 석옥청공을 참문하고 직지를 전해 받은 후 지공선현에게도 사법한다. 강남강 북을 유력하다가 다시 스승 청공에게 머물며 무심진종을 전수받아 귀국한다. 불각사에서 무심무위의 면밀한 정진 중 영가현각의 『증도가』어구를 통해 대오하였고 이어 청공의 제자 법안으로부터 사세게를 전해 받고 정법안장을 확인한다. 이후 조계 대선사로서 국정이나 산문의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나 주로 은둔적인 삶을 산 선사로서 정법전수와 사자상승의 조사선 수행가풍을 전개한다. 비슷한 시기에 두드러지게 활약한 나옹혜근과 태고보우와 함께‘여말삼사’라 불리며 75세 에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수서하고 77세에 示寂한다. 어록과 직지에 나타나는 경한의 선사상은 돈오무심, 회광반조, 평상심, 사자상승, 조사선의 정통적 특징을 갖춘다. 특히 경한의 선법은 조계혜능선법과 임제종풍에서 비롯한 돈오무념무심 ․ 회광반조 ․ 활구화두의 최상승 남종선법을 전승하고 연하여 돈오무심 ․ 향상일로 ․ 무상정등각의 정법안장의 조사선풍을 전개한다. 경한은 그 시기 성행하던 살활자재하고 활발발한 격외적인 임제간화선풍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선교율을 아우르는 진정견해의 정통교법에 초점을 둔 임제종풍을제기한다. 또한 정법안장의 최상승선을 전승하며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의 조계종지를 생애와 선사상을 통해 회통한다. 실제로 어록의 序에서 이색은“高麗曺溪大禪師景閑 號白雲”이라 칭하며 이를 증명한다. 경한의 조사선풍은 본래부처의 청정성 ․ 중도불이의 평등성 ․ 당처불행의 평상성이라 말할 수 있어서 여러 종파와 더불어 탈 종파적이고 종파 초월적인 소통과 행법의 교감이 가능하다. 선문화 중 선사상은 보편적 덕스러움인 불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시류 속에서 정신문화와 사상에 이롭게 작용할 수 있다. 즉 선사상과 선문화는 개인과 사회의 심신건강과 안녕, 평화와 화합, 상생과 번영을 도모하여 지혜 와 자비의 덕성으로 충만하게 성장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먼저 각 자 지닌 있는그대로의 고귀함을 인정한다면 고귀하고 거룩한 보편성이 온전히 꽃필 것이다.

      • 국내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복지기술 연구의 동향 분석(1990〜2022) :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강진아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22년 6월 현재까지 대략 32년 동안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과 정부용역사업의 결과물인 연구보고서에 담겨있는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복지기술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통합적 문헌고찰방법을 사용하였고 문제규명, 문헌검색, 자료평가, 자료분석, 자료제시의 절차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과정에서는 시기, 대상, 기술 분야, 목적 및 기능별로 분류하고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실행한 결과물과 각각의 내용에 따른 주요한 특성을 인용글과 그림 등을 첨부하며 설명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드러난 시기별 주요 동향으로 1990년부터 2001년까지는 강력한 오디즘에 의한 재활의 도구로서의 복지기술 개발 시기, 2002년부터 2015년까지는 언어로서의 한국수어와 농인에 대한 인간학적 이해에 기반한 복지기술의 개발과 적용의 시기, 2016년부터 2022년까지는 청각장애의 다양성이 공존하는 청각재활과 한국수어 적용의 고도화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논의 사항과 실질적인 함의들을 통합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사용했던 연구방법의 독특성이다. 둘째, 연구동향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시기별 특성을 고찰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항목 중 ‘연구 대상’과 관련하여 청각장애인이 ‘농인’과 ‘청각언어재활에 기초한 청각장애인’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채, 단지 소리를 듣지 못하는 존재로 전제되어 일방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농인과 청각장애인에게 적용되기 위해 개발된 복지기술들이 실제 이들의 삶에 즉각적인 활용이 되도록 빅데이터로 구축되고 이는 다시 원활하게 이용되도록 플랫폼과 매뉴얼로 마련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고찰한 결과들을 살펴볼 때, 이제 청각장애인이 법적이며 제도적인 차원에서도 ‘농인’과 ‘청각장애인’으로 구분되어 접근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복지기술의 대상을 청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청각장애인복지의 종사자들까지 포함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welfare technology research for the Deaf and Hard-of-Hearing in domest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and research reports as the result of government service projects for about 32 years from 1990 to June 2022.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and the procedures for problem identification, literature search, data evaluation, data analysis, and data presentation were carried out. In the data analysis process, it is classified by timing, target, technical field, purpose, and function. results of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using a statistical program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content were explained by attaching quotes and pictures. The main trends revealed by period through this research and analysis process are First, from 1990 to 2001, the period of development of welfare technology as a tool for rehabilitation by strong audism. Second, from 2002 to 2015, the period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lfare technology based on Korean sign language as a language and Humanistic Understanding of Deaf. Third, from 2016 to 2022,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hearing rehabilitation and Korean sign language, in which the diversity of hearing impairment coexisted, was advanced. The discuss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express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uniqueness of the research method used while conducting this study. Second, research trends were classified by the tim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 hearing-impaired person were not divided into 'Deaf' and 'Hard-of-Hearing', so the study was not conducted considering each characteristic, and It was found that it has been the subject of unilateral research on the premise of being unable to hear sound. Fourth, welfare technologies developed to be applied to Deaf and Hard-of-Hearing need to be built as big data so that they can be used immediately in their lives, and it needs to be prepared as a platform and manual so that they can be used smoothly again.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results considered through this study, it is now necessary for the hearing-impaired to be divided into 'the Deaf' and 'Hard-of-Hearing' 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Second, the subject of welfare technology needs to be studied, including not only the Deaf but also the workers of the Deaf welfare.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고찰과 현황

        강진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독교학교의 역사는 개화와 함께 개신교 선교사의 내주로부터 시작된다.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국선교를 위해 취한 중요한 방법의 하나는 바로 교육사업이었다. 이는 개화기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근대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자 개신교 선교사들이 교육 사업을 통하여 선교를 실천하고자 한국에 내주하여 많은 기독교학교를 설립한 것이다. 그러나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기독교학교는 오늘날 학문의 수월성(academic excellence)을 추구하면서 그 근본기능인 선교의 목적을 상실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의 기독교학교 중에서도 여성교육을 주도한 이화여자대학교의 기독교교육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현재 이화여대 기독교교육의 현실을 파악해봄으로써 앞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서론인 제1장에서는 기독교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의 설립이념을 밝히고 현재 기독교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밝힐 것이다. 또한 연구의 방법과 제한점도 함께 기술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한국의 기독교학교가 설립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대표적으로 배재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정신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이념을 간단히 기술할 것이다. 제3장에서는 대표적 기독교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의 변천과정을 채플과 기독교 절기행사, 기독교 교양과목의 세 측면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제4장에서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실시되는 기독교교육에 대해 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할 것이다. 제5장에서는 기독교대학인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육이념을 다시금 밝히고 선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기독교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채플과 기독교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화여자대학교의 보다 나은 기독교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할 것이다. The history of mission school begins with the missionaries moving into the Korea in the age of civilization. As peoples' interest about the Occident civilization was increased, the modern education was required in Korea. So the Protestant missionaries practiced the education business as one of the important method for missionary work and established many mission schools. However, orientating academic excellence, the mission school is now losing the basic purpose as missionary work. For this reason, I researched the historical changes in religious education at Ewha which could be appreciated as the leader of the education of women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of Ewha University,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through the present diagnosis. The study is consist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One reviews the ideology of Ewha's establishment and the necessity of present condition of religious education,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The way of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suggested. Chapter Two explores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mission school. I choose nest four mission schools and shortly described the ideology of educational establishment ; Paichai Haktang, Ewha Haktang, Jungshin girl's school. Chapter Three exams the historical changes of religious education in Ewha. I classified this as the three aspects; chapel, christian subdivisions of the seasons the ideology of education and christian. Chapter Four examines the present religious education practised in Ewha analyzing the result of making up questions. Chapter Five explained the ideology of education of Ewha agai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to reach the goal of missionary. And content of this treatise is summarized and a number of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more religious educ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