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과 컴퓨터교육전공의 교육목표 비교 연구

        이화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교육부 지원 하에 2020년 AI융합교육전공이 전국의 38개교에 개설되었다. 이제는 산업 분야를 넘어 교육 분야에도 AI를 접목시켜 교육의 혁신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AI융합교육전공에서 AI(Artificial Intelligence)와 융합교육의 의미를 제외하고 말할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2011년 이후 등장한 ‘융합교육’은 ‘융합인재교육(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이라는 이름에 영재교육의 일환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융합교육에 인공지능(AI)을 결합하여 ‘AI융합교육’이 실천된다면 이는 영재교육뿐 아니라 일반교육 등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획기적인 발전이 될 것이다. 이에 발맞추어 2019년 “AI교사 5천명 육성”이라는 교육부의 발표 이후 2020년 국내 교육대학원에서 AI융합교육전공을 개설하였다. 교육대학원의 AI융합교육전공을 지원하는 현직 교사에게 정부에서 교육비를 지원하고 교육대학원을 졸업 후에는 AI를 활용한 범(汎)교과수업을 담당하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미 학교현장에 SW교육 즉 정보교과를 가르치고 있는 컴퓨터교육전공자가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등장할 AI교사가 AI융합교육전공을 이수하였다고 하여 과연 진정한 AI교사라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이 있다. 더구나 현재 국내에서는 ‘AI융합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없이 ‘AI교사’처럼 AI라는 키워드만을 강조한 여러 용어들이 혼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AI’와 ‘융합교육’결합의 의미를 고찰하여 ‘AI융합교육’에 대해 올바르게 정의하고 AI융합교사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개설되어 있는 38개교 AI융합교육전공의 교육목표와 초중등 정보교과 교육목표(2015 교육과정에 근거)간에 교육의 흐름이 맥락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이 부분에 대한 일치를 주장하였다. AI융합교사가 뭘 배우느냐는 정보교과에서 그들이 학생에게 뭘 가르치느냐와 같기 때문에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하다. 셋째 다양한 전공의 현직 교사들이 진학하는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자들과 학부에서부터 컴퓨터과학을 전공한 후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전자계산교육전공)에 진학한 두 집단의 교육과정, 교수진을 분석하여 같은 교육현장에서 만나는 두 전공자가 선생으로서 갖춰야 할 교수역량과 연구역량을 예측 분석해보았다. 또한 외국의 AI융합교육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우리 미래 세대를 위해 바람직한 AI융합교육에 대한 구상 및 플랫폼의 필요성과 발전 방향을 후속연구로 제시하였다. AI교육은 SW교육의 맥락에서 나온 개념이며 AI활용교육과 AI전문가 양성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신설된 AI융합교육전공은 AI를 활용한 교육방법을 현직 교사들에게 알려주는 것이고 AI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은 AI대학원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우리가 지금 핸드폰을 만든 전문가들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는 것처럼 미래 사회에서는 누구나 AI를 활용할 것이다.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s were opened in 38 schools nationwide in 2020. Now, it is planning to innovate education by incorporating AI into education beyond the industrial field. Therefore, in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 we cannot say except the meaning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which has appeared since 2011 in Korea, has spread as part of gifted education under the name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In addition, if“AI convergence education”is practiced by comb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with convergence education, it will be a breakthrough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such as general education as well as gifted education. In line with this,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 was opened in 2020 at the domestic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Training 5,000 AI teachers”in 2019. The government plans to provide educational expenses to incumbent teachers who support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fter graduating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will be in charge of curricular classes using AI. However, with a computer education major already present,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whether AI teachers who will appear in the future will be able to call them tru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ers by completing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s. Moreover, in Korea, there are several terms that emphasize only the keyword AI, such as“AI teacher,”without a clear definition of“AI convergenc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consider the combined meaning of AI and convergence education, correctly define AI convergence education and study the role of AI convergence teache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 of education was not connected in context between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s in 38 schools and the educational goal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information subject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and insisted on this. This part is very important because what AI convergence teachers learn is the same as what they teach students in information curriculum. Third, AI convergence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re current teachers from various majors attend, majored in computer science at the undergraduate department, and analyzed two groups of curriculum and faculty members. We predicted and analyzed the professors and research skills that two major conferences should have as teachers. In addition, while looking at case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abroad, the concept of AI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desirable for our future generations, the necessity of a platform,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ere suggested as follow-up studies. AI education is a concept originating from the context of SW education and can be classified into AI application education and AI expert training. The newly established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 teaches incumbent teachers about teaching methods using AI, and the education to cultivate AI experts is conducted through the AI ​​Graduate School. Just as we are not only using the experts who made mobile phones, but everyone will use AI in the future society.

      • 소프트웨어융합교육과정의 학습전이와 효과성 연구 : SCSC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보람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59

        본 연구의 목적은 SCSC 교육과정의 학습전이와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S대학교 컴퓨터과학부의 삼성전자 S/W 융합과정인 SCSC 교육과정을 통해 제1전공을 가지고 있으면서 컴퓨터과학을 부/복수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 계열별 SCSC 교육과정의 효과성과 제1전공으로 학습전이 정도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S/W 교육방향 및 SCSC 프로그램 운영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商業系 高等學校 電子計算敎育 實態에 關한 硏究 : 江原地域을 中心으로

        강희찬 江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9759

        In order to adapt students to the future society, we should educate them to obtain the ability to use a computer by developing computer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s. So that, this paper aim to be basic findings on the computer education status and to suggest some ways of developing computer education of the commercial high schools in Kangwon area. This present computer educational system of the commercial high school in Kangwon area still remains unsatisfying the demand of our industrial society. Therefore, the improvement can be suggested as followings 1.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2. To educate good teachers, computer education depart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teacher's colleges, and present computer teachers should be retrained. 3. The equipment of computer should be secured sufficiently and good software should be developed. 4. The positive support of government authorities is necessary.

      •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정보과 프로그래밍 팀 프로젝트 수업 개발

        시하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today's knowledge-information based society, the demand for individuals capable of solving complex, real-world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is imperative. This necessitates competencies such as effective communication and teamwork.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aligns with this need by defining an ideal human profile that emphasizes interpersonal skills, particularl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underscore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s a key competency in information education, while the 2022 revision continues to emphasize active participation in software projects and the embodiment of collaboration and sharing valu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education classes that center on collaboration. Through a thorough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the essential elements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a rubric evaluation criterion was formulated. Additionally,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eam projects, encompassing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was proposed. The intention is to create practical classes for secondary school information education. The group project classes suggested in this study for enhanc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re anticipated to be implemented in school settings,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related educational research. 현대의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는 복잡하고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인과 협력할 줄 아는 역량을 갖춘 사람이다.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에서도 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 등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갖춘 인간상을 설정하고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있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정보 교과에서 추구하는 교과 역량 중 하나로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제시하고 있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협업과 공유의 가치를 실천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할 필요성에 주목하여 협력에 초점을 맞춘 정보 교과의 수업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루브릭 평가기준표를 도출하였고, 협력적 문제해결과정을 포함한 팀 프로젝트 교수학습 모델을 제안하여 중등학교 정보 교과 수업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팀 프로젝트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며 관련 수업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웹 기반 학습지원시스템 구현 및 효과분석 : 프로그래밍 교육을 중심으로

        고윤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정보사회에 적합한 사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학교 교육의 다양화?전문화?특성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기조와 더불어 온라인 교육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학습자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과정, 학습자원을 결정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자기주도성은 온라인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온라인학습 환경은 개별 학습자가 필요에 따라 자신의 학습 과정을 선택하고 학습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교육은 다른 교육 분야와는 달리 지식의 이해정도 뿐만 아니라 사고력, 판단력, 문제해결 능력 등이 강조되기 때문에 실천적인 태도와 기술적인 활동의 체험이 중요시 된다. 그러므로 컴퓨터 교육의 교과과정 및 평가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한다면, 이론적 학습내용과 함께 기술적 학습내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실습과제의 수행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학습지원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교과를 처음 접하는 대학교 1학년 교과과정의 학생들이 이론학습 후 실제 실습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실습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1:1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 개개인에게 필요한 학습지도 및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학습지원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본 학습지원시스템은 실습한 내용을 웹상에서 일목요연하게 체계적으로 정리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확장시켜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school education has been aimed at its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to educate students in originality and diversity of thought which are essential 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long with the aforementioned change in the education field, as online education has been expanding,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is emphasized in that learners can set a goal, a learning curriculum, and learning resources and evaluate the result of the learning they achieved by themselves. Self-directedness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concept in online learning since individual learners play the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selection of a learning curriculum as needed. In computer edu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fields of teaching, not only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he knowledge is emphasized, but also thinking power, judg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s critical; thus, the practical behavior and the technical activity are significant in computer education. Therefore, learning support system is required in order to carry out practical assignments to evaluate the contents of learning both theoretically and technically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computer education are considered. In this thesis, I tried to support one to one communication between an instructor and a learner in order for a freshman in a university curriculum to achieve practical assignments through actual practice after learning theorie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learning support system is materialized whereby individual learners can receive the real time feedback with the necessary learning direction and support. In addition, I tried to demonstrate how this system enables learners to systematically arrange the contents practiced at a glance on the Web; therefore, they can improve and expan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out the system.

      • 디지털 시민성 강화를 위한 중학교 정보과 교육과정 분석 및 교육전략 제안: 2022 개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배나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인해 디지털 시민성은 핵심역량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디지털 시대에 따른 디지털 시민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중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본 논문은 2022 개정 교육과정 내 중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부분인 <공통 교육과정 정보>에서 디지털 시민성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진단하고, 앞으로 개정된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 적용될 때를 고려하여 교육전략을 제안한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재, 디지털 시민성은 미래 세대의 핵심역량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 교과는 디지털 시민성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 수단 중 하나로 역할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시대의 도전에 대비하여 디지털 시민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며, 디지털 사회에서 미래를 준비하는 핵심 기반을 제공한다. As the digital age has emerged, digital citizenship has become a crucial competency. Consequently, the revised 2022 curriculum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digital citizenship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how digital citizenship is integrated with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specifically in the section pertaining to "Common Curriculum Informatics". Moreover, it explores strategies for education in anticipation of the future applic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educational settings. In the current context of rapid digitalization, driven by the impa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digital citizenship has become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for future generations. In this context, the informatics curriculum with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plays a pivotal role in reinforcing digital citizenship. This research endeavors to propose approaches for enhancing digital citizenship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the digital age, aiming to provide an essential foundation for preparing the future generation in a digital society.

      • 초·중·고 컴퓨터 교육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김미영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21세기 지식사회를 대비한 정보화 교육은 다양한 정보 기술을 활용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교육시키는 것이며, 정보 사회의 바람직한 가치관과 컴퓨터를 도구로 하여 정보의 부가 가치를 높이기 위한 창조적인 정보 관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정보 기술 능력은 컴퓨터 조작이나 사용 능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정보 소양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지금 현재의 컴퓨터 교육은 전문 지식의 교과 내용도 미흡하지만 어떻게 가르쳐야 효과적인지에 대한 교육도 부족하다고 지적받고 있다. 컴퓨터 교육이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양호한 시설과 잘 짜여진 교육과정도 필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유능한 교사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환경의 변화와 프로그램의 발전 및 다양화를 고려할 때 전자계산 전공, 비전공을 떠나 컴퓨터 담당교사 전원이 자신의 수준에 알맞은 연수과정을 선택하여 내실 있는 연수교육이 되어야 하며, 실습위주의 교육을 위해서는 컴퓨터 시설을 확보하는 것이다. 유능한 교사와 우수한 성능의 컴퓨터 시설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잘 짜여진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의 내용은 급변하는 컴퓨터 환경과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교육과정으로는 학교 교육이 사회의 변화에 뒤쳐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세계화·정보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교육과정이 시대에 늦지 않도록 항상 수정, 검토, 변화되어야 한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병행되어 보다 나은 교육과정이 현실성 있고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Information education that compare 21th century knowledge society is educated so that it is no incommodiousness taking advantage of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teach so that can foster creative information capacity of management to heighten added value of information by desirable values and computer of information society as a tool.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that information society requires retains meaning such as information grounding in meaning that is wide not that is limited computer manufacturing or use ability. And yet computer-aided education is insufficient subject contents of expert knowledge at present, but is indicated that is lacking education about whether is effective though teach how. Computer-aided education will need good facilities and well-set curricula to get result,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secure capable teacher. Also, considering the change of computer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program regardless of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or not, all of teachers charged with computer education should become substantial in-service training after choosing study and training course suitable at their own level, and we have to secure computer equipment for the education based on practical training. Important thing is well-set curricula such as capable teacher and computer equipment of superior performance. But,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are the actual circumstances that book lore is being turned over in social change by computer surrounding that changes rapidly and the curriculum that prepares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o be adapted to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at change every moment, the computer curriculum needs modification, examination and variety not to be late in period. For front, by much researches are gone side by side, better curricula may have to be composed as there is actuality and well-organization.

      •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위한 정규 및 방과 후 수업에 대한 협동학습 방법론 적용에 관한 연구

        김지은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에는 협동적인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 새롭게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통적인 소집단 학습의 단점을 해결하고 학습자간에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집단보상과 협동기술을 강조한 협동학습은 교육현장에서 공동체적 삶을 위한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협동학습은 개별 학습이나 기존의 소집단 학습 방법이 제공하지 못했던 다양한 학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또 다른 연구들에 의하면 협동학습은 개별학습이나 질의 응답식 학습보다 훨씬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경쟁학습이 일부 학습자만이 성공경험을 갖는 데 반해, 협동학습에서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성공경험을 갖게 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자아상을 지니게 되었고, 학습과제에 대하여 긍정적인 감정을 지니게 되어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유발에 기여한다는 점도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 교육과 방과 후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찾고자 한다. 따라서 학습지도 방법 개선을 위해 교수?학습 방법 중 협동학습 방법(Jigsaw II)을 이용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사전 및 사후에 검사를 실시하여 협동학습 방법이 기존 전통학습 방법에 비해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 Education methodology focused on collaboration has become a main issue recently. This type of learning method, which puts emphasis on interaction and compensation in group, not individual, plays a essent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learners' socialization. Collaborative learning also has the potential of providing various good effects that individual or small group learning have not given to learners. According to other studies, collaborative learning shows a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an individual one. This is because not only a few but most learners could experience successes together in the group activity, which gave them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asks and increased motivation for learning.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computer learning and after school activities of elementary students. So, to improv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mong learning methodologies,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JigsawⅡ)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has more meaningful result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 컴퓨터 교육에서의 효율적 컴퓨터 수업을 위한 학습만족도 조사

        윤정희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컴퓨터 교육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컴퓨터 교육에서의 효율적 컴퓨터 수업을 위한 학습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흔히 21세기를 정보화 사회, 지식 기반의 사회라 일컫는다. 이것은 정보와 지식이 함께 공존하여 사회의 중심이 되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가 일상 생활에 크게 자리잡고 있으나, 그 발달 역사가 짧고 변화의 속도가 빨라서 컴퓨터 교육의 분야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든 실정이다. 수업방식의 문제, 시설의 미흡, 교육 내용의 부적합, 교사의 부족등 많은 이유들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다. 이 연구는 교육 정보화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현재 컴퓨터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설문 결과 현재 학생들의 컴퓨터 능력에 대한 만족도는 대부분 보통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나, 약 10% 정도는 자신의 컴퓨터 능력을 불만족하는 것으로 보아 학교 교육에 있어서 컴퓨터 활용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스프레드 시트, 웹에디터, 그래픽등 전문적인 지식 전달에 있어서 불만족하는 것으로 보아 전문적인 지식 전달을 요구하는 과목에 대하여 부족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업 방식에 따른 실습형태의 수업방식에서의 이해정도가 이론형태의 수업 방식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실습형태의 수업 방식이 이론형태의 수업 방식보다 이해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수업시간 중 배우고 싶은 과정에 있어서도 컴퓨터를 실제로 다루며 전문지식의 학습을 요구하는 과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좀 더 다양하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현재 학생들이 원하는 컴퓨터 학습 내용은 지식 전달이 목적이 아닌 게임과 같은 부담 없는 학습 내용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 교과목이 국민공통과목이 아닌 재량활동시간으로 편제되어 대학 진학에 관련하여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컴퓨터 교육 전공 교사의 수가 매우 적다고 한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 교육은 대단히 중요하고, 공교육에서도 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하지만 정보화 교육의 핵심은 교사의 전문성인 것인 반면에 이처럼 비전공자들이 컴퓨터 과목을 가르칠 경우 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위와 같이 좀 더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좀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환경을 통하여 학생들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Interest in computer education has recently been reaching the peak. This study is aimed at surveying learning satisfactions to determine a more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in the education sector. The 21st century is generally called the "informational" or "knowledge-based" society. This means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s coming together as the center of society. Although computers occupy a huge space in our daily lives, there are problems being suggested in developing an organized, effective educational system because of their short history and their fast changes. There are many other reasons such as inefficient teaching styles, insufficiency of facilities, unsuitable teaching contexts, and shortage of faculties, however, in this study, we only focus on the best ways to provide a more efficient education. This study has been formed upon a survey that targeted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o determine the reality of computer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has shown that most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computer skills but the fact that 10% of the students have shown dissatisfaction about their computer skills shows that a bett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make a use of computers is crucial. Seeing as students have shown dissatisfaction about professional skill education such as spread sheets, the web editor, and graphics, the computer education system can be said to be lacking technical education. Also, the fact that students have shown a higher understanding in actual practices than that in theories proves that practical lessons work better for students. Moreover, since students have said they prefer actually handling computers and learning professional contexts, we can feel the necessity of more efficient and diverse educational systems. The research has also shown that what most students want for their computer education is not the one aimed for knowledge but a flexible one including games. This is mainly because the "computer education"as a subject is not counted as a mandatory subject but an elective that does not affect students when going to a university. As well, it has been said that the number of computer education teachers is very insufficient. Computer Education is extensively important in the 21st century'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he public education has to provide it with a better support. Yet, some have shown their worries about the decreasing efficiency of education non-computer education-majored teachers would bring,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of faculties. Computer Education has to seek a more organized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to develop a more efficient learning system.

      •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배현진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세계는 과학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으며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고 있다. 현재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수업에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10% 이상 활용하도록 하고, 초등학교 1,2학년부터 년 간 34시간 컴퓨터 교육을 하도록 하고 있으나 교육정책과 현장과의 견해차이로 인하여 정책이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에 관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올바른 교육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각종 관계 문헌, 연구 보고서, 논문 등의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한 문헌 연구방법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서울의 초등학생 300명과 교사 8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자료 처리는 문장별로 구분하여 응답 빈도(N)와 백분율(%)로 환산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실의 교육환경 요소인 대형화면과 빠른 인터넷 접속 환경을 지원하고, 컴퓨터실의 각종 주변기기들과 시설들이 시대에 맞게 변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컴퓨터 교육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도구로써 각 교과에 활용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편성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셋째,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보유 편수 확충과 질적 개선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넷째, 컴퓨터 교육의 성패는 교원의 필요성 인식과 능력에 따라서 좌우된다고 볼 때, 교사의 수준별 연수가 필요하며, 컴퓨터를 전공한 전담교사를 활성화하여 학생들의 컴퓨터 수업의 질적 향상과, 교사연수가 학교에서 매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교육부에서 발표한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의 추진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직면한 우리는 교육개혁이 필연적이고 교육정보화가 그 중심에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래서 정보통신기술교육의 실시에 앞서 충분한 인프라 구축과 교사들의 사전 교육이 필요하며,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 초등학교도 컴퓨터를 전공한 전공자가 교과를 전담하여야 한다. 특히 초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이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우리의 기본적인 과제이며, 고도의 정보 사회를 앞당기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다. 이를 위해서 끊임없는 노력과, 과감한 투자로 교육의 혁신을 가져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