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참나무 겨우살이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재생 소재 연구

        홍주희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부 재생과 관련하여 겨우살이 추출물과 다른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한 피부재생 연구는 되어있지만 참나무겨우살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참나무겨우살이의 3가지 기주(까마귀쪽나무, 동백나무, 조롱나무)와 3가지 용매(열수, 50% 에탄올, 100% 에탄올) 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피부재생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에선 50% 에탄올 추출물의 까마귀쪽나무 기주 참나무겨우살이가 104.28 ± 1.06 mg GAE/g으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많았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에탄올 추출물의 까마귀쪽나무 기주 참나무겨우살이가 65.02 ± 10.93 mg QE/g으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5 mg/mL 농도에서 조롱나무 기주 참나무겨우살이 잎의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76.54%,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52.98% 로 소거능이 가장 좋았고, Ferrious ion chelating 활성은 까마귀쪽나무 기주 참나무겨우살이 잎의 50% 에탄올 추출물이 80.45%로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각 추출물을 이용하여 각질형성세포에서 독성평가를 진행한 결과 까마귀쪽 기주 와 동백나무 기주 열수추출물에서 독성이 확인되었다. 50% 에탄올 추출물의 최고농도인 800 ㎍/mL 농도에서 100% 이상의 생존율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Wound healing assay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조롱나무 기주 추출물에서 세포 이동능력이 가장 좋았으며, 48시간 경과시 800 ㎍/mL에서 89.45%의 이동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상처치료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상처치료 기전과 관련하여 단백질 발현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Regarding skin regeneration, there have been studies on skin regeneration using a mixture of mistletoe extract and other natural extracts, but research on oak mistletoe is incomplete.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regeneration effects of three solvents extracts (Hydrothermal, 50% Ethanol, 100% Ethanol) from Taxillus yadoriki leaves parasitic to Litsea japonica (LJ-TY), Camellia japonica (CJ-TY) and Distylium racemosum (DR-TY).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LJ-TY in 50% ethanol extract ha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at 104.28 ± 1.06 mg GAE/g, and LJ-TY in 100% ethanol extract ha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at 65.02 ± 10.93 mg QE/g. The scavenging activity of DPPH and ABTS radicals were the best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76.54% in 100% ethanol extract and 52.98% in 50% ethanol extract from DR-TY. The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50% ethanol extract LJ-TY at a concentration 5 mg/mL, it was confirmed 80.45% activity. As a result of toxicity evaluation on keratinocytes using each extract, toxicity was confirmed of LJ-TY and CJ-TY using the hydrothermal extracts. A survival rate of 100% or more was confirmed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800 ㎍/mL of the 50% ethanol extract, and wound healing assay was conducted using this. As a result, the cell migratory ability was the best in the extract DR-TY, and 89.45% of the cell migration ability was confirmed at 800 ㎍/mL after 48 hours. With these results,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wound healing was confirmed, and a protein expression test related to the mechanism of wound healing is planned.

      • 영미문학을 통한 독해 교육

        홍주희 全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usability of English and American literature in teaching reading skills in the English class. Many students study hard to strengthen their English reading abilities, but they still feel it is not easy to acquire the skill.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y emphasize the analysis of sentences and memorization of words, neglecting a lot of reading materials. Using the textbooks as their only reading materials is insufficient. In fact, the students need to read various materials to improve their abilities of understanding the contents quickly and correctly. Literature has many advantages in the English class, including the fact that it is among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teach culture, which is indispensible to completing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both English literature and language should be taught at the same time. In Chapter Ⅱ, it is shown that English literature is closely bound up with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hapter Ⅲ explains about 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Also, it discusses some effective teaching techniques that are to read and comprehend 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In the conclusion, using literature in the English reading classroom increases students ' interest in English reading. Besides, it increases student's literary minds through the chance for literary experiences. All these results correspond with the 7th curriculum which values communicative ability, real information, real world knowledge, and authentic context in the class.

      • 전동기의 효율 개선을 위한 전자기적 변속 기능을 갖는 권선 구조 설계

        홍주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의 속도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분할 권선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 하였다. 일반적인 BLDC전동기에서는 고정자의 권선 및 회전자의 영구자석량에 의해하나의 역기전력 상수 및 토크 상수가 존재하게 된다. 고정자의 각 치에 권선되는 코일을 1차 권선 및 2차 권선으로 분할하여 저속 고토크 영역에서는 1차 및 2차 권선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전동기의 토크 특성을 우수하게 하며, 고속 저토크 영역에서는 2차 권선만을 이용함으로써 역기전력을 낮춰 더 넓은 영역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또한 이러한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일반적인 BLDC 제어기에 3개의 스위칭 소자(릴레이 등)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분할 권선의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기 자전거에 적용되는 인 휠 타입 전동기의 성능을 목표로 하여 설계된 전동기를 제작함으로써 전동기의 동작영역을 넓게 사용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상기의 권선법을 이용하면 별도의 변속 시스템이나 약계자 제어 등의 복잡한 알고리즘 없이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동작영역을 각 단별 턴 수를 조절함으로써 속도 비를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게 하였고, 이러한 속도비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함으로써 분할 권선이 적용된 전동기 설계가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영미시 운율지도를 위한 고등학교 CBI 교재개발

        홍주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실시되었다. 첫째, 내용의 학습을 통하여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취지에서 내용중심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운율지도 교재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교재 모델 제시를 통하여 보다 많은 문학작품들이 효율적이고도 유의미하게 영어 교육 현장에 도입되게 하는 것이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주제, 방법, 내용 등의 방향을 설정했다. 둘째, 2007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수집 및 분석하고 내용중심에 근거한 운율 교재 개발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했다. 셋째, 운율지도 교재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넷째, 교재 파일럿팅 및 실험수업을 통하여 교재의 적용가능성을 점검한다. 다섯째, 교재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하여 본 연구를 완결짓는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일련의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2007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분석함으로써 내용이해를 통한 언어습득으로의 교재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7차 및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문학작품 수록 여부 및 활용 방법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문학작품이 보다 중심내용이 된 교과서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운율지도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행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내용중심 교수법의 유용성, 영미시 및 운율지도의 필요성, 이를 위한 교재개발의 방향성 등을 파악하게 되었다. 넷째, 개발교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개발 교재의 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이해를 통해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생의 요구 및 흥미가 반영된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영미시 및 운율 지도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인식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지도해야 한다. 넷째,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영미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학텍스트가 교실 현장에 적용 되어야 한다.

      • 임산부의 혈중 비타민과 산화스트레스 수준이 출생 후 3년간 영유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홍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적정수준의 모체 내 영양 상태는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을 줄여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모체 내 영양과 출생시 신체크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왔으나, 이러한 영향이 출생 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영유아의 신체성장에 변화가 있는지를 추적 관찰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임산부나 이미 태어난 영유아에게 특정 주 영양소 및 미량 영양소 보충제나 식이중재를 섭취하게 한 뒤 분만시 태아의 크기와 출생시 발달 성숙도를 알아본 연구들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기 모체 내 혈액 및 소변의 항산화 비타민과 산화스트레스 수치를 직접 측정하여, 이를 3년간 추적 관찰한 영유아 신체성장과 비교하였다. 이화여대 부속 목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산부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의 산모를 대상으로 혈액내 비타민 A(레티놀), C, E(토코페롤) 농도와 산화스트레스 지표인 뇨중 8-히드록시구아노신 (8-hydroxyguanosine, 8-OHdG)과 말론디알데히드 (Malondialdehyde, MDA)를 측정하였고,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3년간 체중, 신장, 두위를 측정하여 두 측정치 간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모체 내 항산화비타민 수준과 산화스트레스 수준을 2개의 농도군으로 그룹화하여 성장 시기에 따라 각 농도군별로 영유아의 평균 체중, 신장, 두위를 영유아의 성과 임신주수만을 보정한 경우와 아기의 성, 임신주수를 포함한 여러 혼란변수를 보정한 경우로 구분하여 PROC MIXED를 이용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영유아 신체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혼란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비타민 C는 출생 직후를 비롯한 3세까지의 체중과 지속적인 양의 연관성을 보였으며, 비타민 C가 높은 산모에서 태어난 영유아의 36개월 체중은 낮은 산모에서 태어난 영유아보다 207 g 더 높았다 (P=0.02). 비타민 A는 출생 후 3세까지의 두위와 지속적인 연관성이 있어, 비타민 A 수치가 낮은 산모의 36개월 영유아 두위는 낮은 산모보다 0.3 cm 더 작았다 (P=0.03). 8-OHdG 는 영유아의 신장 백분위수와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 (P=0.01), 높은 8-OHdG 수치를 가진 엄마에게서 태어난 영유아의 신장 백분위수는 작았다. 임신주수와 영유아의 성별만을 보정하였을 경우에는 항산화 비타민인 비타민 A, C, E 뿐만 아니라 산화스트레스를 나타내는 MDA 도 영유아의 신체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임신 중 모체의 비타민 C는 영유아의 체중에, 비타민 A는 영유아의 두위에, 산화스트레스인 8-OHdG는 영유아의 신장에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임신 중 비타민 C나 A가 함유된 항산화 식이섭취 및 보충제와 더불어,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항산화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중재가 요구된다고도 할 수 있다. 더불어, 태아성장을 결정짓는 요인들은 대개 임신 전, 즉 수태되는 시기 또는 모체의 생애주기에 걸쳐 정해질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임신하기 이전부터의 영양수준을 측정하여 연관성을 밝혀낸다면 훨씬 더 효과적으로 모체의 영양수준과 태아의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Numerous literatures relates the impacts of maternal nutritional status on subsequent birth outcome, but much less is known about the long-term impacts on infant growth after birth. Therefore, a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maternal micronutrients status and oxidative stress status in pregnancy with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Ewha cohort for pregnant women and Ewha cohort for Infant Growth were constructed. follow-up live newborns of all the recruited pregnant women. Maternal serum vitamin and urinary oxidative stress levels were measured and infant weight, height and head circumference were measured at birth and at 6, 12, 18, 24, 36 months. Maternal vitamin A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fant's head circumference and C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fant weight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High 8-OHdG was related to lower height for 3 years. Since the effects of maternal vitamin and oxidative stress on subsequent infant growth for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were demonstrated, interventions to supplement antioxidative vitamin and reduce oxidative stress during pregnancy are required.

      • 한국 동요에 관한 연구 : 국민학교 4.5.6학년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홍주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린이가 노래를 부른다는 것은 가장 자연스럽고 보편적인 표현방법이며, 동요를 부르게 하는 것은 미성숙한 단계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선율과 가사를 통해 예술성을 경험시키고 어린이들의 정신세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이러한 공통점은 세계 여러 나라의 동요에서도 확연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세계각국은 그 나라만이 갖고 있는 문화적 전통과 시대적 변화과정의 차이로 인해 동요는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인다. 특히 우리 나라의 동요는 여러 가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동요는 어려운 현실속에서 민족의 한을 달래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어린이들에게는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노래로 존재해 왔다. 따라서 우리 나라 동요는 꾸밈없고 순수한 것이어야 하며 상업성과 오락성을 가져서는 안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 동요의 발달과정을 연구해 보고 현재 국민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4, 5, 6학년의 음악교과서내의 한국동요와 최근 애창되고 있는 KBS, MBC 창작동요곡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동요의 변화, 동요교육의 방향과 창작방향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192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창작동요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우선 동요의 조성이 다양해졌고, 박자도 2/4박자와 4/4박자 위주의 동요에서 3/4, 6/8, 12/8, 9/8박자 등으로 다양해 졌다. 곡의 형식면에서는 7.5조 운율의 동요가 주를 이루던 것에 비해 현재는 다양한 형식의 곡들이 많이 생겼으며, 6도 이상 도약음과 syncopation의 사용도 보편화되고 음역 또한 넓어졌다. 가상의 내용 역시 자연을 소재로 한 곡이 많았던 것에 비해 이제는 생활속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것들이 동요 가사의 소재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대적, 문화적 변화에 따라 동요는 변화해왔고, 이에 맞추어 어린이들에 대한 동요지도와 교육도 변화해야 한다.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교과서내의 동요곡은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해야 하며 어린이들에게 동요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동요창작자나 동요교육자 모두의 노력이 요구된다. 작사, 작곡, 교육의 방법을 한마디로 이야기할 수는 없으나 다양한 형태의 창작과 지도방법이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린이들에게 동요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갖게 하는 것이며 생활 속의 동요로서 온 가족이 함께 하는 동요가 되어야 한다. 사회적인 면에서는 방송이 동요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방송관계자와 동요지도자들의 세심한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 The first aim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with children's songs of textbooks and creative children's songs and to study characteristics, influence, necessity, educational value, process of change of the Korean children's song. Secondly, through this study I'm trying to seek for the standard way of teaching, education and composing of Korean children's s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xplained as following. 1. Children's song represents their society's own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children's sang provides pleasant life, development of socialization, and opportunity of self-expression to children and it becomes a conerstone of every education. 2. To compare with tonality of children's songs in textbooks and creative children's songs, tonality of creative children's songs are more varied than children's songs in textbooks. It's more educational for children to teach various kinds of tonality, especially folk key songs. 3. Meter and rhythm of children's songs in textbooks still mainly composed by rhythmed verse such as seven-five key, four-three key and four-four key. Therefore composers of children's song should make effort to open out rhythm of modern sense. 4. According to disparity of age, every range of voice is very different. Therefore individual ability and grade should be considered. 5. Sixth chard added-note chord and syncopation should be used properly oat to make children regared children's song as something bore and not interesting. 6. Main materials of words of children's songs are still natural objects. But as society progresses, words of children's sang should be changed iota modern sense, moreover we have to select every material that can express children's sense, feeling and mind. To compose and educate children's song, at first, we have to make effort to understand children's mind and recognize which is the right way to teach. Especailly, people in mass-media should keep puritism, artistism of children's song oat commercai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