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멸종위기동물에 관한 그림책 「나를 지켜주세요」 의 창작연구

        정지혜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he document which shows the creating process of informative picture book about endangered animals, 「Save Me」. There are still indiscriminat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now, for industrial development or people's benefit. Various reasons like poaching, pasturing, global warming, bushmeating, and all that sort of things made many animals endangered or extinct. I wanted to let it be known that those problems were caused by people's selfishness and greed through the medium 'picture book'. Right now, the whole world makes people aware through endangered-animal-related commercials, information pamphlets, movies, documentaries, donations, etc. and especially in foreign, informative picture books in reference to endangered animals also embody formative trials and diverse contents. Those tendency is also tried domestically, but domestic existing informative picture books have not been made various trials because of giving undue value on information delivery and containing educational contents. 「Save Me」 is an informative picture book about endangered animals, which intends to talk about how and why animals became endangered. Also, it is made up with various compositions and new presentations for interest and fun. By this thesis, I wish this informative picture book makes progress as the visual media, which is not for information delivery or educational contents only, but by the way of feeling the same empathy together for broad generations. 본 논문은 멸종위기 동물에 관한 정보 그림책「나를 지켜주세요」창작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기록이다. 산업의 발전을 위해 또는 인간의 이익을 위해 지금 이 순간에도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 파괴가 이루어지고 있다. 밀렵, 방목, 지구온난화, 부시미트 등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지구상에 많은 동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해있으며 이미 멸종된 동물들도 많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야기한 것이 결국 인간의 이기심과 욕심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그림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알리고 싶었다. 현재 국내 외에서는 멸종위기 동물에 관련한 광고, 정보책자, 영화, 다큐멘터리, 기부금 모금 등을 통해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멸종위기 동물에 관련한 정보 그림책도 새로운 조형적인 시도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같은 경향은 국내에서도 시도되고 있으나 국내의 기존의 정보 그림책은 정보전달과 교육적인 내용을 담는데 치중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림책「나를 지켜주세요」는 멸종위기 동물에 관한 정보 그림책으로 멸종위기 동물들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며, 다양한 구성과 새로운 연출을 통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정보 그림책이 정보 전달과 교육적인 내용만을 위한 매체가 아닌 넓은 세대가 함께 공감하는 시각매체로써의 발전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구개열 환자 성문 파열음의 음향학적 특징

        정지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Glottal stop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left palate speech and is similar to the glottalized stop sound of the Korean language. Glottal stop is defined as a plosive produced when the glottis is completely stopped, exhalation is interrupted, subglottal air pressure is heightened, and vocal folds are abducted. It is sometimes called reinforcing glottal stop. When glottal stop is produced, the laryngeal type is divided into Type 1 and Type 2. Type 1 is a plosive noise produced when the true vocal fold is adducted prior to voice onset (VO) and begins to vibrate and only the ventricular fold is abducted. Type 2 is a plosive produced when the true vocal fold and ventricular fold are adducted prior to voice onset and immediately abducte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glottal stop in individual with cleft palate. 10 individuals with cleft palate and 16 controls participated, and the individuals with cleft palate were divided into those substituted glottal stop and those not substitut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CSL 4500, Nasometer Ⅱ 6200. The assessment sample included bilabial sound, alveolar sound, velar sound from each lenis sound, aspirated sound, and glottalized stop sound. The assessment sample analyzed included the slope of energy prior to voice onset, VOT, VD, TD, and Hold on the spectrogram and nasalance slope such as closing phase (slope 1), closed phase (slope 2), and opening phase (slope 3) on the nasalance graph. The findings are listed in the following: First, VOT of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is the shortes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VOT of the group with no substituted glottal stop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for all the stop sounds, the slope of energy of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is big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closing phase, the nasalance slope of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and the group with no substituted glottal stop is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has a higher nasalance slope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substituted glottal stop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veolar sound /t^(h)i/ and velar sound /k^(h)i/. Third, at all phases including the closing phase, closed phase, and opening phase,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and the one without substituted glottal stop have higher nasala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when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is compared to the group with no substituted glottal stop,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at the opening phase of /p^(h)a/ and /t^(h)i/. Finally, when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of the energy slope on the spectrogram and nasalance slope at the closing phase (slope 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found to be 0.766, which implies a very strong correlation.

      • 국내 창작 그림책과 국외 번역 그림책의 특성 비교 연구 : 유아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정지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림책은 글을 모르는 유아들에게 쉽게 문자화된 책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개체가 된다. 유아에게 문자를 대신하는 그림은 시각적인 즐거움뿐만 아니라 사물의 관계구조를 파악하게 해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유아는 다양한 문화를 가진 여러 세계를 경험하게 되고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그림책은 시각적인 이미지들이 언어와 만나 유아에게 미지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림책 시장은 우리나라에서 교육의 수요와 맞물려 양적인 팽창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국내 창작 그림책은 국외 번역 그림책에 밀려 선호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외국 서적의 범람은 유아들에게 우리나라의 정서와 가치관을 담고 있는 국내 작품을 접해볼 수 있는 기회를 상대적으로 박탈해 가고 있다. 따라서 사물과 사회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유아들에게 우리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심어 주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에서 출판되고 있는 유아 그림책을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국내 창작 그림책과 국외 번역 그림책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창작 그림책의 발전가능성과 함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국내 창작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 나아가 국내 창작 그림책의 활성화를 위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질적 발전을 모색하였다. 분석 대상은 현재 국내 서점에서 출판되고 있는 유아 그림책 중 국내 창작 그림책 20권과 국외 번역 그림책 20권으로 각각 판매량 순으로 선별해 분석하였다. 사실 국내에서 출간된 유아 그림책의 전부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가장 정확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하지만, 지면과 연구의 한계성 때문에 각각의 베스트셀러 서적들로 논의의 범위를 좁혔다. 서론에 이어 제 2장에서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을 정리하고 유아의 인지 발달과 시지각 특성을 서술하였으며 유아의 발달 단계에 따른 그림책의 조건들을 논술하였다. 그리고 유아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필요성을 미적 감각, 지적, 정서적, 상상력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국내 창작 그림책과 국외 번역 그림책을 일러스트레이션의 유형별로 분류해 각각의 특성들을 비교 분석했다. 일러스트레이션의 유형은 조형 요소에 따른 특성과 표현 기법에 따른 특성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조형 요소에 따른 특성은 선, 색, 형태로 나누어 파악하였고 표현 기법에 따른 특성은 채색 기법, 콜라주 기법, 사진 기법으로 세부항목을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창작 그림책과 국외 번역 그림책은 유아 그림책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유사점들과 함께 조형 요소와 표현 기법상의 유의미한 차이점들이 발견되었다. 제4장에서는 국내 창작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의 문제점으로 조형 요소의 문제, 표현 기법의 문제, 현재성의 문제를 지적하였고 더불어 출판 환경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발전 방안으로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의 체계화, 전문적 비평가의 육성, 어린이 전문기관의 확충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앞서 살펴 본 내용을 토대로 국내 창작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창작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성들을 국외 번역 그림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발전 가능성과 함께 문제점을 발견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여 국내 창작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Picture books allow children to have easy access to books with texts. Pictures, which replace texts for children, not only give them visual pleasure but also help them understand the world and its mechanism. This allows children to experience different world with diverse cultures and to stretch their imagination. In other words, by combining visual images with texts, picture books give children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whole new world. Thanks to the strong demand for education in Korea, the picture book market has significantly grown in size. However, the creative picture books written and illustrated by Korean authors and illustrators lag behind the translated picture books by foreign authors. The dominance of foreign picture books deprives Korean children of opportunities to read and enjoy Korean pictures books. This raises the concerns that children may not establish identity as Koreans, as they start to learn social valu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the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Korean market, comparing and analyzing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and foreign translated ones with its focus on illustrations. The study identifies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foreign picture books and looks into the problems of Korean ones as well as its potential for further growth.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e measures to make progress in the illustration of Korean picture books and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illustration to promote Korean picture books. The study selected 20 Korean picture books and 20 translated ones published in the Korean market by their respective sales volume. In fact, conducting a study on all of the picture books in the market would be the best way to come up with the most accurate analysis, but, due to some constraints, the study narrowed its subjects down to best sellers in the market. In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examines the concepts of illustrations in picture books,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ir visu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picture books for children in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The study also looks into the need of illustration for children’s picture books in artistic, intellectual, emotional and imaginative terms. The third chapter classified Korean picture books and foreign ones by different types of illustration and compared their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illustration was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by both figurative elements and expression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s by figurative element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lines, colors and forms while the ones by expression techniques were classified into coloring, collage and photograph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gurative elements and expression techniques as well as similar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and foreign picture books. The fourth chapter points out the problems in the Korean picture book illustrations and suggests the way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raises the problems of figurative elements, expression techniques, and nowness in illustration expression. It also points out the issues in the publishing market in Korea. As 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e study suggests improving education for picture book illustrators, fostering professional reviewer, and expanding institutions dedicated for children. In conclusion, the study builds on the discussions above and makes suggestions on the way forward for Korean picture book illustrations. The author inten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ture book illustrations by comparing them with foreign translated ones, identify the problems and potentials of Korean illustrations and suggest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so that the study can help the Korean picture book illustration market further grow and make progress.

      • 내적 정서와 표현 정서의 관계 : 독서 감상문을 활용하여

        정지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독서 감상문 작성 시점에서의 작성자가 가진 정서가 감상문 작성 시 단어와 맥락을 통해 표현된다고 가정하면 사용 단어의 종류를 통해 작성자의 내적 정서를 유추할 수 있다고 본다. 작성자 자신이 의도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작품의 인물이나 상황, 주제 등에 대해 느끼는 감상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비슷한 감상을 하더라도 텍스트를 통해 표현하는 감상은 동일하지 않다. 독서 감상문 작성 시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이 개인마다 다른 이유가 개별적인 내적 정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 없어 내적 정서와 표현 정서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중학생의 경우 수업 시간에 불편한 감정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사회적 압력으로 인해 감정에 대한 억압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작성한 독서 감상문에 사용된 표현을 통해 중학생의 내적 정서를 알아차리고, 이를 참고자료로 하여 학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ssuming that the author's emotion at the time of writing the reading appreciation is expressed through words and contexts when writing the appreciation, it is possible to infer the author's inner emotion through the type of used words.,The author may or may not intend to do so, but the impression of the person, situation, and theme of the work may vary from person to person, and even if similar appreciation is made, the appreciation expressed through text is not the same.,The reason why the linguistic expression used in writing reading appreciation texts differs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is because the individual inner emotions are different.,There is no precedent study related to thi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emotion and expressive emotion. Especially, middle school students do not express uncomfortable feelings directly in class, and social pressure that expressing emotions is not appropriate can cause oppression of emotions.,Therefore, the researcher tries to recognize the inner emo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expression used in the written reading appreciation text an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t by using it as reference material.

      • 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난 '공원'의 장소성 연구 : 김사과, 천명관, 김숨의 소설을 중심으로

        정지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 현대 소설에서 드러나는 소설적 공간의 발견 및 장소성의 형성 과정에 주목한다. 소설의 사건은 자아의 소외되고 망각된 본질을 발견하는 계기이자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을 변화시킨다. 본래 공간은 사회적 규범에 의해 기능과 의미가 정의되었으나, 소설적 공간은 자아에 의해 특정한 의미를 지닌 장소가 된다. 이는 자아에게 주체가 될 수 있는 권리를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한다. 테오도르.W.아도르노에 의하면 계몽은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벗어나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한 시도였다. 그러나 자연의 지배 방식을 답습하면서 문명은 제2의 자연을 생산하는 모순된 결과를 맞는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은 노동력을 가진 상품이 되며,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경쟁해야 한다. 이로 인해 자아는 본질을 형성하는 거주 기반을 유지할 수 없으며, 사회와 대등한 관계를 맺는 독립적인 주체가 될 수 없다. 사회는 사회가 부여한 역할에 동일시하기를 강요한다. 이로 인해 자아의 정체성과 소외된 본질 사이에는 괴리가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김사과, 천명관, 김숨의 단편 소설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인 ‘공원’의 장소성을 분석한다. ‘공원’은 자연을 자본주의의 논리로 해석하고 기능화한 결과물로, 인간이 자연을 정복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전리품이다. 소설의 사건을 통해 ‘공원’은 자아의 본질을 발견하는 장소가 된다. 2장에서는 현대 사회와 ‘공원’의 관계 및 형성 과정을 분석한다. ‘공원’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복지 유토피아를 뒷받침하는 근거이자 생산과 교환 과정에서 생기는 잉여 가치의 수탈을 무마하는 수단이다. ‘공원’은 도시에서 접할 수 없는 녹색 자연을 재현하고 입장료를 내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의 질서가 미치지 않는 예외 공간으로 정의되나, 실제로는 주변의 아파트 시세를 올리는 간접 자본이다. ‘공원’은 노동자들을 노동 현장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잠깐 동안의 휴식을 보장하는 공간이자 경쟁에서 밀려난 인간들이 머무를 수 있는 유일한 무자본의 공간이다. 자본주의의 논리를 정당화하고 강화하는 수단인 셈이다. 3장과 4장, 5장에서는 김사과의 「정오의 산책」, 천명관의 「숟가락아, 구부러져라」, 김숨의 「노인」을 차례대로 분석한다. 각 장은 2절로 구성된다. 1절에서는 소설 속 ‘공원’이 제시되는 묘사 방식에 대하여, 2절에서는 ‘공원’에서 벌어지는 사건에 대한 인물의 반응-응답의 기반이 되는 인물의 개별적 서사와 본질을 분석한다. 6장은 본 논문의 결론으로, 각 장에서 연구하고 분석한 내용을 정리하고 소설적 공간과 장소의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문학적 정치 참여의 가능성을 열어 두고자 한다. ‘공원’은 현 자본주의 계몽의 실패와 야만적인 제2의 자연을 보여주는 거울로, 소설의 인물들이 자본주의 사회의 폭력을 직시하고 소외된 자신의 본질을 발견하게 한다. 비록 소설이 가상에 불과하다는 편견이 있다 한들, 소설 언어의 본질은 감성과 이성 사이의 긴장을 유지하며 표현할 수 없는 불가능에 접근하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소설적 공간과 장소는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와 논리에 저항하고 주체의 권리를 박탈당한 자아의 복권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가상으로 폄하되는 소설은 현실의 새로운 전복을 야기하는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환기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overy of fictional place and a process of placeness formation. Fictional action is an opportunity to identify the essential ego, which is not only alienated but also buried in oblivion, and changes the space where it takes place. Wherea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the general sense of space may be outlined by social norms, fictional space can be a place tinged with a specific meaning generated by the ego. It alludes to the possibility for the ego to recover its rights of being a subject. According to Theodore W. Adorno, enlightenment was a attempt for mankind to live a human life outside nature. However, they imitated the ways in which nature rules, and, as the result, the civilization of mankind ironically became another form of nature. In the capitalistic society, human beings are goods providing labor, and compete with one another to survive. Hence, the ego cannot maintain their habitable base that forms its essence and maintain its status as an independent subject equivalent to society. The community forces the ego to identify itself with roles assigned to it. Thus, there exists a chasm between the identity and the alienated essence of the ego.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placeness’ of parks, where fictional actions arise in short stories written by Sagwa Kim, Myonggwan Cheon, and Soom Kim. The park is a product of interpreting and functionalizing nature with capitalism, and also symbolic of the fact that humans have conquered nature. The park is a place where the ego retrieves its essence through fictional actions. In the second chapter, I scrutinize the relations between modern society and the park and its process of formation. The park is a rationale behind welfare utopia extensively pervaded in modern capital society, and is an expedient way to nullify a plunder of surplus valu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exchange. The park represents a green nature that city dwellers seldom come in contact with and is open to all for free. In these regards, the park may be defined as space unswayed by capitalism. In truth, it is a space of indirect capital, insofar as it tends to boost the market price of apartments that surround it. The park is a space where workers repose themselves for a while, before returning to their respective workplace, and where those who were ousted from competition can linger. In other words, the park is a means to not only justify the capitalism, but also reinforce it. In the third, fourth, and fifth chapter, I analyze Sagwa Kim’s Walk at Noon, Myonggwan Cheon’s Spoon, Be Crooking, and Soom Kim’s Old Man in turn. Each chapter is comprised of two sections. I examine the description of the park in the first section, also the personal narrative and the essence of the character whose reaction and response to the actions in the park form the basis for the second section. In the sixth chapter, the conclusion section, I summarize the considerations discussed in each chapter, and leave the door open for new political participation of literatur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ctional space and place. The park is a reflecting mirror that echoes the failure of enlightenment of current capitalism and violent nature represented by humans. It lets fictional characters face the violence of the capitalism and recognize their marginalized selves. Although there is a stereotype that the novel is a fabrication, the kernel of the fictional language maintains the tension between emotion and reason, and tries to approach ineffable impossibilities. The fictional space resist against the capitalistic system and its logic, and attempts to regain the divested ego. Through this struggle, the novel, albeit a fictional product, may provide new possibilities for the cure of social ills in the real world.

      • 비만클리닉을 내원한 성인의 이상섭식행동 영향요인

        정지혜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만클리닉에 내원하는 성인의 감정표현불능, 우울과 이상섭식행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2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D시에 소재한 K대학병원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성인남녀 2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이상섭식행동은 한국판 섭식태도 척도(K-EAT 26: 이민규 등, 1988), 감정표현불능은 감정표현불능척도(TAS-20K: 이양현 등 1996), 우울은 우울척도(CES-D: 전겸구 등, 2001)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이상섭식행동의 평균점수는 9.86±10.37, 감정표현불능 평균점수는 52.62±9.58점, 우울 평균점수는 15.24±9.12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체중 조절 특성에 따른 이상섭식행동은 체질량지수, 주관적 체형인식, 체형만족도, 체중조절에 대한 걱정, 체중감량 시도경험, 체중감량 시도방법, 체중감량 기간, 체중 감량하게 된 계기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상섭식행동은 감정표현불능, 우울,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상섭식행동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우울, 체질량지수, 감정표현불능 하위요인 중 ‘감정자각곤란’, 지각한 경제상태, 주관적 체형인식 성별이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28.3%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만클리닉에 내원하는 성인의 이상섭식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실생활에서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섭식행동에 대한 건강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왜곡되지 않은 올바른 체형인식을 바탕으로 건강한 체중조절방법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우울에 대한 예방, 관리와 함께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히 표현하도록 돕는 중재를 바탕으로 이상섭식행동 예방을 위한 간호프로그램 개발 시 성별이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주요 개념어: 성인, 감정표현불능, 우울, 이상섭식행동

      •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중년층과 노년층 집단간 분석

        정지혜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 시대에 인터넷은 노인의 주요한 건강정보 수단이다. 인터넷은 건강정보를 얻는 혁신적인 채널(channel)로 여겨지며,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는 개인 맞춤형 치료, 질병예방과 같은 건강서비스의 측면에서 노인에게 유용하다.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인터넷을 통해 건강정보를 얻는 활동으로 정의된다.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정보에 대한 쉬운 접근, 효율적인 자기건강관리, 환자와 의료진과의 관계 재조정, 환자의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행위는 건강정보의 격차를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건강불평등을 해소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층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대한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실시한 『2015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자료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실태조사는 ICT 기기, 정보 통신 기술의 사용에 대한 트렌트 파악과 한국인의 온라인 환경 인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5년 가구 방문 면접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조사대상자는 63,218명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중년층 9,146명, 노년층 6,630명이다. 이론적 모델로 Pender의 건강증진모형(Health Promotion Behavior Model)을 활용하였으며, 이론적 모델을 기반으로 독립변수를 행위의 인지와 정서 요인(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지각된 자기효능감, 행동과 관련된 정서, 상황적 영향)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중년층에서 높은 수준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여성(β=-.038, p>.01), 높은 교육수준(β=.050, p>.001), 직업을 가진 사람(β=.037, p>.001), 높은 가구소득(β=.022, p>.05), 많은 인터넷 이용시간(β=.063, p>.001), 높은 수준의 지각된 장애성(β=.108, p>.001), 지각된 자기효능감(β=.295, p>.001), 행동과 관련된 정서(β=.061,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노년층에서는 높은 수준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높은 교육수준(β=.049, p>.001),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β=.021, p>.05), 높은 가구 소득(β=.050, p>.001), 많은 인터넷 이용 시간(β=.086, p>.001), 높은 수준의 지각된 유익성(β=.080, p>.001), 지각된 장애성(β=.072, p>.001), 지각된 자기효능감(β=.396, p>.001), 행동과 관련된 정서(β=.038, p>.01), 상황적 영향(β=.052,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중년층과 노년층의 예측요인을 비교해본 결과 상황적 영향이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다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에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디지털 기기의 개수는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의 예측요인으로 밝혀졌지만, 중년층에서는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를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 집단에 따라 인터넷 정보에 대한 접근 격차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한국 노년층은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해 인터넷 건강정보를 얻는 과정에 어려움을 경험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중․노년층에 대한 인터넷 기반 건강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또한 노년층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대한 중․노년층의 정보활용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령에 따른 정보 격차 해소정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지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들의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증가와 간호중재적 개입 방안에 대한 교육과 실무를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3월2일부터 4월24일까지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13개의 2, 3차 상급병원에 근무하는 연구참여를 수락한 205명의 응급실 간호사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노인학대 인식 16문항, 법적·제도적 지식 7문항,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태도 14문항,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주관적 규범 9문항,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자기효능감 8문항, 노인학대 개입의도 16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est, F-test, S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1)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인식정도는 평점 4점 만점에 평균(표준편차) 2.61(±0.44)점이고, 유형별로 살펴보면 성적학대가 3.08(±0.73)으로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으며, 방임은 2.14(±0.59)로 인식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노인학대에 대한 법적, 제도적 지식을 측정하는 7개 문항을 제시하고 전체 응답 가운데 정답에만 점수를 주어 노인학대에 대한 법적·제도적지식 정도를 측정하였고 4.03±2.01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노인학대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은 각각 평균 평점은 2.69±0.32, 2.65±0.54, 2.59±0.47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제 변인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노인학대 인식은 성별(t=3.034, p<.01), 연령(t=3.059, p<.05)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법적·제도적 지식은 연령(F=2.846, p<.05), 최종학력(F=5.386 p<.01), 응급실 형태(F=6.192, p<.01), 병원근무경력(F=4.219, p<.01), 노인학대 교육경험 (t=3.014, p<.01)에 따라 차이를 나타났다.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연령(F=3.079, p<.05)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노인학대 개입의도는 성별(t=2.946, p<01)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노인학대 개입의도와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에서 독립변수인 노인학대 인식, 제도적, 법적 지식, 개입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이 종속변수인 노인학대 개입 의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중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난 성별을 통제변수로 회귀 모형안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학대 인식의 베타 값이 0.705로 종속변수인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주관적 규범이 .170, 태도가 .116, 법적·제도적 지식이 .086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변인들이 개입의도 총 변량의 68.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본 연구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개입의도는 노인학대 인식이 높을수록, 노인학대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법적·제도적 지식이 높을수록 개입의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에 대한 노인학대 대상자의 개입과 중재를 위해서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는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며 병원조직 차원의 학대개입과 중재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계획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such as nurses’ awareness of elder abuse and attitude towards, subjective norm of, and self-efficacy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Method: This study is a correlational descriptive study and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March 2, 2017 to April 24, 2017.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16 items of perceptions of elder abuse, 7 ite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14 items of attitude of elder abuse intervention, 9 items of subjective norm of intervention of elder abuse, 8 items of self-efficacy of elder abuse intervention, 16 items of intervention intentions on elder abu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gression, the Standard and the Standard Deviation, the t Test, the coefficient Test, the Sheffe Test, the Pearson correl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1) Mean value of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by emergency room nurses was 2.61 (± 0.44) out of 4 points, and the mean value of sexual abuse was 3.08 (± 0.73) which shows the highest recognition rate. The mean value of negligence was 2.14 (± 0.59) which shows the lowest recognition rate.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gender, ag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working hospital, type of emergency room, hospital work experience, career experience in emergency room, educational experience, perception of elder abuse according to educational location, intervention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t = 3.034, p <.01) and the intervention intention (t = 2.946, p <.01) by the gender. Perception (T = 3.059, p <.05),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F = 2.846, p <.05) and subjective norm (F = 3.079, p <.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F = 5.386 p <.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 level.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F = 6.192, p <.01)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ing emergency roo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depending on the career experience (F = 4.219, p <.01)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t = 3.014, p <.01). 3)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lder abuse awareness, institutional, legal nowledge, interven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self - 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lder abuse intervention intention.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the variables influence the intention to intervene in elder abus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gender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elder abuse was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as the control variable As a result, the beta value of the elder abuse awareness was 0.705, which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tention to intervene in elder abuse, with a subjective norm of .170, attitude of .116, and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of .086 (F = 73.447, p <.001).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68.2% of the total variance of intervention inten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elder abuse, the higher the subjective norm, the highe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intervent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emergency room nurse intervene and mediate the elder abus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emergency room nurse to improve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elder abuse, and concrete plan for the intervention and mediation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should be planned.

      • 서울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카페인 함유 식품에 대한 인식 및 섭취 실태

        정지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urvey of 443 male and female first-year and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about caffeine-containing foods and the status of their consumption of caffeine-containing foods, and the results thereof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BMI, while 58.8% was ‘normal’ and 16.8% was ‘obesity’ among male students, 59.9% was ‘normal’ and 23.5% was ‘underweight’ among female student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As for the cost of purchasing caffeine-containing favorite foods out of weekly allowances, it was found that while 70.4% of the male students spent ‘less than KRW 5,000,’ 50.7% and 32.3% of the female students spent ‘less than KRW 5,000’ and ‘KRW5,000 – less than KRW 10,000,’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awareness for caffeine-containing foods, it was found that 25.2% of the students are well aware of them, while 74.8% of the students do not have high awareness for caffeine. It was found that 13.8% of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caffeine ingredient in food a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s for perceptions about the intake of caffeine-containing foods, it was found that generally the students (38.4%) perceived that they ate them moderat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42.2% of the subjects thought that the intake of caffeine-containing foods did not help them very much in improving concentration or relieving fatigu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As for the scores of cognizance about whether favorite foods contain caffeine or not, they scored average 6.98 points out of 11, and the female students (7.27 points) showed relatively higher cognizance than the male students (6.69 points) (p<0.01). It was found that the ratios of correct answers about all favorite foods such as ‘coffee, green tea, black tea, and fruit juice’ were higher among the female students than the male students female (p<0.05),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Favorite foods of the lowest ratios of correct answers by gender were ‘black tea’ among the male students and ‘chocolate-flavored confections’ among the fe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262 students (59.1%) regarded the intake of caffeine-containing foods as harmfu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The reason why they regarded it as harmful was found to be mostly ‘insomnia (50.0%).’ As for experiences of side effects, there were differences by gender in ‘Hands and feet shake (p<0.01),’ ‘Get a headache or dizziness (p<0.001),’ ‘Get heartburn (p<0.001),’ and ‘Feel irregular heartbeat (p<0.05)’; it was found that the female students experienced relatively more tremors in hands and feet, headache or dizziness, heartburn, and irregular heartbeat than the male students. The primary location to purchase caffeine-containing foods was ‘convenient store (62.1%).’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purchasing caffeine-containing foods was ‘taste (72.2%),’ and it was found that the male students (77.4%)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aste than the female students (66.8%) (p<0.05). As for food labels, it was foun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71.8%) did not check them properly.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ack coffee and coffeehouse coffee among ‘coffees,’ green tea bag among ‘teas,’ Mountain Dew and black iced tea among ‘beverages,’ Monster Energy among ‘energy drinks,’ coffee milk and chocolate milk among ‘processed milk,’ and chocolate and chocolate bar among ‘confections’ (p<0.05, p<0.01, p<0.001). As for foods consumed once or twice a week by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cola in the ‘beverages’ category showed 46.9% and 46.1%; chocolate milk in the ‘processed milk’ 38.9% and 50.2%; chocolate in the ‘confections’ 44.7% and 51.2%; chocolate ice cream in the ‘ice cream’ 41.2% and 49.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chocolate milk (p<0.01) and chocolate (p<0.001).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intakes for beverages, chocolate or chocolate products. As for reasons for consuming caffeine-containing food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plied that they consumed them, except ‘energy drinks,’ ‘because they taste good.’ As for ‘coffees’ and ‘beverages,’ th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ios of drinking them ‘because of good taste’ than the female students, while as for ‘teas,’ ‘processed milk,’ ‘confections,’ and ‘ice cream,’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ios of consuming them ‘because of good taste.’ As for ‘energy drinks,’ it was foun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drank them mostly because they felt ‘sleepy.’ As a result of surveying foods eaten with caffeine-containing foods, it was found that mostly they ate all of the caffeine-containing foods except ‘beverages (cola, Mountain Dew, iced tea, etc.)’ ‘without any other accompanying food.’ As for ‘beverages,’ it was found that mostly they were drunk with fast foo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From the above findings, it can be seen that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how the low cognizance of and attention to caffeine, and also have a very low level of knowledge considering the low ratios of correct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cognizance of caffeine content in favorite foods. Although a number of students experienced side effects after consuming caffeine and felt that caffeine is harmful, their first consideration in the actual purchase of foods was taste, which shows the possibility for the indiscreet consumption of caffeine without regard for health.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tect students’ health by prohibiting the sale of highly caffeine-containing foods in schools and outstanding food sales stor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such attempts is limited because students buy them mostly at convenience stores outside school. And students' checking food labels on packages is also unsatisfactory. A wide variety of favorite foods often wanted by adolescents contain caffeine. Particularly, adolescents show high preferences for carbonate drinks, chocolate, and processed chocolate products, and so it is presumed that the recommended maximum daily intake of caffeine may be easily exceeded due to the overconsumption of the foods. It is necessary to conduct nutritional education about caffeine at school and home to prevent caffeine dependence caused by excessive caffeine intake, and it is required to make educational efforts to enable students to choose right foods for themselves. In addition, the current standard for marking caffeine levels applies only to liquid foods containing caffeine of 0.15mg/mL or more, and thus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favorite food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uch as chocolate products and confections, should be obligatorily marked with the caffeine content.

      • 해외명품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 및 구매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정지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화장품은 중요한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해외명품화장품의 경우 단순한 화장품이기보다는 하나의 패션명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세분화되고 있는 화장품 시장에서 소비자들을 만족시키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령과 사회계층에 따른 백화점 해외명품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과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구매행동 변인으로는 연령과, 결혼여부, 학력, 직업, 소득이 사용되었고, 구매결정요인으로는 가격, 외장과 디자인, 상표이미지, DM, 사은품, 광고매체가 사용되었다. 연구는 명품화장품 구매행동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백화점에서 명품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372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연령은 40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결혼 여부에서는 기혼자가 대부분이었으며 학력은 대학졸업자가 가장 많았다. 직업은 주부가 가장 많았으며 회사원, 서비스직, 전문직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400만원 이상 ~ 6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나 각 소득계층이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의 해외명품화장품 구매행동을 분석한 결과 화장품을 구입 시에 영향을 받는 사람으로 본인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한 달 평균 기초화장품 구입비로는 대부분의 여성이 1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하였으나 미혼의 30대여성들은 한 달에 2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하여 기초 화장품 지출액이 2배정도 차이가 있었다. 색조 화장품 구입비는 연령, 결혼 여부, 학력, 직업, 소득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기초 화장품 구입비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빈도는 연령, 결혼 여부, 직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해외명품화장품 구매결정 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상표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 여성에게는 사은품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30대 이후에는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있어서는 미혼여성의 경우 가격과 디자인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기혼여성은 상표이미지와 DM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가격, 광고매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문대학이나 대학 졸업자의 경우 다른 학력의 소비자에 비해 구매결정시 가격과 광고매체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항목에서 학생은 해외명품화장품을 구매 할 때 가격, 사은품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직업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소득에 따른 구매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소득이 낮은 소비자 집단은 가격과 외장 디자인을, 소득이 높은 소비자 집단은 상표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해외명품화장품을 소비자들의 구매행동과 구매결정요인은 연령과 사회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cosmetics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necessary goods. Especially, foreign luxury cosmetics are considered as a luxury fashion item, not simply as cosmetic goods, and they have satisfied consumers, so having continually grown in Korea cosmetics market. Aiming to identify foreign luxury cosmetics-consumers’ purcha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department stores depending on age and social classes,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sumers’ purcha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tials on their purchase behaviors. As the purchase behavioral variables, the age, the marital statue, the highest educational level, the job type and the income level were used. And as the purchase determinants, the goods’ price, its appearance and design, its brand image, its DM, free gift, and ad media were used. This study was composed of a theoretical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through a survey about consumers’ luxury cosmetics-purchasing behaviors, and targeted some women living in downtown of Seoul. For this purpose, 400 copies of questionnaire from April 1st to April 20th, 2015 were distributed and 372 copies were used as the data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vestigating the targets’ demographic features, the age class of most respondents was over 40 years old, and most respondents were married and completed the college/university course. Concerning the job type, the most respondents were wives, and followed the office employees, service employees and professionals in order. For the income levels, the most respondents were fallen into the level of over 4 millions to less 600 millions won, but all levels of incomes were flatly distributed. Second,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targets’ foreign luxury cosmetics-purchasing behavior, the highest rate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the purchaser herself who was influenced at the time of purchasing cosmetics. Being asked how much money was spent on purchasing basic skin cosmetics by month in average, most female respondents that they spent less 100 thousand won for purchasing basic skin cosmetics. However for unmarried female respondents in their 30s, they responded that they spent less 200 thousand won a month, so showing twice difference from other age classes in terms of expenditures for basic skin cosmetics. Concerning the purchases cost for makeup cosmetics,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ppeared in all variables of age, marital statue, highest educational level, job type, income levels, and its cost was lower than the cost for purchasing basic skin cosmetics. For the cosmetics purchase frequency,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ge, martial statue and job type. Third, from the investigation about the factors making the respondents determine to purchase foreign luxury-cosmetics, it was found that as the purchaser’s age is older, she/he considers a brand’s image importantly.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free gift was an important factor for women in their 20s, but the variable was not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 women in their 30s and over. Concerning the marital statue, it was appeared that the unmarried women thought a cosmetic goods’ price and design importantly, but married women considered the brand’s image and its DM more importantly. Concerning the highest educational level,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rice and ad media. For the women graduating a college or a university, they were more influenced by a goods’ price and its ad media at determining to purchase the goods than other consumers who had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In the variable of job type, it was appeared that a student was much influenced by a goods’ price and its free gift at purchasing a foreign luxury cosmetic, but there were not fou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job-types respondents.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purchase determinants depending on income levels, it was found that the lower-income level of consumer group considered a goods’ price and its appearance and design importantly, but the higher-income level of consumer group considered the brand’s image importantly.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consumers show differences in their purchasing behaviors and the purchase determinants depending on age and social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