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영어 학습자를 위한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수업 방안 모색

        정유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초등 학습자들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내는 활동 중심의 영어 수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수업 모델을 개발․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초기 영어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적합하며 흥미로운 패턴이 있는 텍스트를 활용해 아동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 영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영어 수업에서 활동 중심의 스토리텔링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개발될 수 있는가? 둘째,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수업을 통한 외국어로서의 영어 사용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실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양적 분석 방법을 통해 학습자의 영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학생들의 학습지, 사전․사후 설문지, 자기평가지 및 소감문, 교사 관찰 일지, 면담과 수업 녹화 및 전사 자료와 같은 질적인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말하기의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평가 자료를 수집하여 양적인 분석 방법도 채택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크게 두 가지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의 실행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모델을 개발하였다. 첫째, 활동 성향이 강한 초등학생을 위한 교수학습법을 탐색하여 수업 모델을 설계하고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수업 모델은 ‘사전활동’, ‘스토리텔링’, ‘후속활동’의 3단계이며 패턴 유형에 따라 텍스트를 ‘기초 패턴 텍스트’, ‘대화식 패턴 텍스트’, ‘확장된 반복 패턴 텍스트’의 세 가지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둘째, 텍스트 유형에 따라 아동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하였다. 즉 텍스트의 유형별로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이 개발되었다. 셋째,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모델을 적용한 후 수업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통하여 수업 모델 개발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해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수업 모델에 대한 아동의 흥미와 참여도, 영어 학습 효과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을 통하여 아동들의 영어 사용 발달 과정을 탐구할 수 있었다. 첫째, 구두 언어의 발달 양상을 관찰한 결과, 학습자의 구두 언어 발달에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의 구두 언어 개발과 함께 문자 언어에의 인식도 자연스럽게 일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실제 수업 과정에서도 2가지 이상의 언어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였으며 설문 조사 결과, 아동 스스로도 읽기와 어휘력 등 다양한 언어 사용 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여 언어 4기능의 통합 수업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이 초등 학습자의 영어 교육에 갖는 의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수업 모형에서는 아동의 인지 수준과 언어 수준에 부합하는 반복적 패턴이 있는 텍스트 선정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다시 말해, 적절한 텍스트를 선정한다면 초등 학습자에게도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맥락 속에서 반복되는 패턴이 학습자에게는 의미 있는 입력을 제공했기 때문으로 보이며 앞으로 양질의 아동문학 텍스트를 교육과정에서도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은 역할극과 율동, TPR과 같이 신체 활동 및 감각을 이용한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본 수업 모형은 자신감이 낮거나 소극적인 성격의 학생들도 수업에 부담 없이 참여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하여 수업에서 소외된 하위권 학생들의 영어 교육 방법에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자연스러운 문자 언어 인식을 의도하여 문자 해독에 대한 지도를 별도로 하지 않았지만, 문자 해독 지도를 함께 해주는 것이 학습자의 언어 습득에 보다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은 텍스트의 선정이 매우 중요한데 교과서를 교재로 하지 않기에 적합한 텍스트 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에서 제시했듯이 노래와 챈트로 재현이 되는 ‘유아라임’ 형식이면서 드라마나 TPR, 게임 등의 활동이 가능한 내용의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활동 중심 스토리텔링은 목표 자체가 듣기와 말하기 활동이 많은 비중을 차지 하지만, 이는 결코 인위적으로 문자 언어와 구분된 것은 아니며 스토리북을 이용해 얼마든지 읽기와 쓰기까지 통합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과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정규 교육과정과 동떨어지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ctivity-based storytelling for beginning learners, and then apply the program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The activity-based storytelling is proposed herein as it is believed that the use of pattern books that match the learners' language levels and interests will effectively promote language learning amongst beginning learners. To attain the aforementioned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1) In what ways can the activity-based storytelling program be developed? 2) What aspects of children's language use as a foreign language are explored through the act of the program developed? In an attempt to answer those questions, diverse forms of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activity-based storytelling. Children's worksheets, questionnaires, children's self-checklists and comments on the lesson, interviews, diaries, teachers' field notes, the videos and transcriptions of lessons were used as sources of qualitative data. Quantitative data were also collected such as speaking fluency tests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The data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A model of an activity-based storytelling class was developed using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 teaching method was explor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lesson model and text selection. Three steps were planned in the lesson models, named 'pre-activity,' 'storytelling,' and 'post-activity.' Also, texts were selected by the styles of patterns. Secondly, activities that bring out the learners' active involvement were planned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texts, which were 'basic pattern texts,' 'dialogue-style pattern texts' and 'extended pattern texts.' Third, the children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s the activity-based storytelling class. It implies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Through the activity-based storytelling class, the aspects and possibility of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could be detected. More specifically, the successful effects of the models on oral language development were ascertained.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letters were observed along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hievement, and finally, during the class, more than two language skills were used together. Additionally, the children involved in the study also remarked that the class helped diversify their language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on activity-based storytelling classes for lower grades are offered: First, it is found that the text selection is important in this model. In other words, the children's literature can be used for lower grades if the text fits the children's language levels and interests. Secondly, activity-based storytelling classes lead to a learner-centered classroom through physical and sensuous activities like TPR and role-play. In addition, it can offer the chance for slower learners to involve and express themselves in a non-threatening manner.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are provided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letter decoding skills were not offered to the children intending natural recognition of the letters, but it is expected that teaching decoding skills after storytelling can be more effective. Second, there should be a diversity of texts, especially rhymed songs and chants which can offer drama and TPR, as well as game activities. Third, although storytelling is more focused o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it is suggested to integrate language skill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through storytelling. In conclusion,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done on activity-based storytelling which can be connected to written language skills and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Keywords : children's literature, storytelling, activity-based learning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죽음 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정유경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죽음 인식, 죽음 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위치한 1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 간호사 123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하였다. 죽음 인식은 Yoshiyuk(2002)가 개발하고 차영례(200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죽음 불안은 Templer(1990)가 개발하고 고효진, 최지욱, 이홍표(2006)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이연옥(200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임종간호 수행은 박순주, 최순희(1996)가 개발하고 김성은(2011)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과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죽음 인식은 2.98±.26점, 죽음 불안은 3.23±.41점,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2.96±.40점, 임종간호 수행은 2.71±.32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연령(F=81.744, p<.001), 결혼상태(t=-13.831, p<.001), 학력(t=14.322, p<.001), 종교(t=4.408, p<.001), 임상경력(F=92.014, p<.001), 지난 1년간 임종환자 간호수행 제공 횟수(F=61.583, p<.001), 호스피스 및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 경험(t=15.752, p<.001)으로 나타났다. 3. 임종간호 수행의 죽음 인식(r=.677,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죽음 불안(r=-.033, p=.716)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임종간호 스트레스(r=-.400,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회귀분석 결과,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모형 1에서는 죽음 인식(β=.838, p<.001), 죽음 불안(β=-.417,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0.0%였다. 모형 2에서는 죽음 인식(β=.575, p<.001), 죽음 불안(β=-.254, p<.001), 임상경력(β=.450,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7.0%로 모형 1보다 7%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죽음 인식, 죽음 불안, 임상경력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해 긍정적인 죽음 인식 교육과 생명존중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문화와 정서에 맞는 죽음불안 완화교육을 통해 간호사의 죽음 불안을 낮추어야 하며, 심리적 지지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두려움을 낮추어야 한다. 임종환자가 많은 부서 배치에 임상간호사의 경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호스피스 교육 및 임종간호 교육을 통해 임종간호 수행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고대 메두사 도상 연구 : 기원전 7~4세기 도기화를 중심으로

        정유경 성신여자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reconstructing the genealogy of the 1conography of Gorgon Medusa between the periods of the archaic and the classical inGreece, and considering the meanings of the transformation on the aspectof the contrasting types of the representation. The archaic image of Medusa is preyed to have been either as anapotropaic talisman or as Mother god, the mistress of animals, ruling thenature before greek human gods. But it was driven to the border of theolympian cosmos, when the classical era has been arrived accompanying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the greek culture. In this context, thereare two opposing features coexisted, in the archaic Medusa: an olddaimon gradually forgotten and alienated by the new ideology of the dayin seeking for the political stability of the community; a terrifying deitystill equipped with the divine power from the ancient time. As it had reachod the classical period, however, a sleeping beauty and a pretty faced head substituted for the awestruck Image of Medusa. Thischange in the iconography of Medusa is, in fact a part of a greaterchange that is observed in the greek culture in general around the 5thcentury, In this period, when the class of the citizen with suffrageappeared in Athens, the role that the literature and art took inconstructing the model of a common identity, namely the citifen, andeducating it in various ways was docisive. Then the basic change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soch as painting orsculpture lies on the way those images engage the viewer in the scone.That is, an archaic image is less a representation of a certain obiect thana real thing or being with its own magical power, which affects thereality of people. But what appeared in the classical art is the closedtime where the elements of the scone communicate each other withoutregard fir the efistence of the viewer. In short, while an archaic imagegazes at the viewer, the classical one alienates him so as to be a voyeurThe voyeurism induces not the reflection but the empathy and theidentification, in that sense takes a role to infuse a new political modelinto the viewer.

      • 몬트리올 인지평가를 통한 기억성 경도인지장애의 탐지

        정유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의 탐지에 있어서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상 23명,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27명, 초기 알츠하이머병 23명이며, 세 집단에게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를 함께 시행하였다.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의 점수비교를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시행했고, 그 결과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모두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변별하는데 있어서는 유의한 검사임을 검증할 수 있었으나 기억성 경도인지장애를 변별하는데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세 집단에서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를 시행한 결과를 가지고 ‘ROC 곡선분석’을 시행 하였고, 결과는 위와 동일했다. 즉, 기억성 경도인지장애를 변별하는데 있어서는 두 검사 모두 적합하지 않았지만, 초기 알츠하이머병의 탐지에 있어서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모두 우수한 검사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tility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n version(MoCA-K), for detection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We administered the MoCA-K and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to 23 normal subjects, 27 subjects diagnosed as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23 subjects diagnosed as Alzheimer's disease. Direct comparison of MoCA-K and K-MMSE scores was made with analysis of one way ANOVA. The MoCA-K and K-MMSE is useful tools for the detection of Alzheimer's disease but Both tools were useless for the detection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Nex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MoCA-K and K-MMSE were analysed through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 The result was the same above. In other words, Both tools were useless for the detection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 훼손 산지습지의 수문학적 복원에 따른 생태환경 변화 특성

        정유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is to understand how hydrologic restoration maintain affects the wetland ecosystem by understanding relationships between hydrology, vegetation, and soil in a mountain wetland and restoration to improvement of hydrologic function.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ffe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particular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mountain wetland to preserve and maintain the mountain wetland. Hydrologic changes as a restoration, groundwater level was increased and discharge was decreased in wet season. In dry season groundwater level was increased and discharge was increased. It could cause rainfall was flowing in the wet season was blocked by the construction and was impounded around of structure. Impound water had been absorbed into the soil layer and affected the base flow increase. In the change of vegetation environment, there is no clea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hydrologic restoration. Vegetation distributions by survey sites are different. The invasion of land plants deepens in the entry and the down site adjacent to a slope of a Milbat bog , and it is divided by cover area and geographical position of Molinia arundinacea. It is affected by sediment from the slope and the resulting change of soil moisture. The vegetation layer is clearly divided b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olinia arundinacea because vegetation is influenced by topographic characteristics, geographical position, or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the soil environment change, soil moisture content increases after restoration, but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show a clearer difference not by the restoration but by surve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was lower and EC was higher at down site of Milbat bog. The chang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s influenced by a component ratio of stream-bed structure and a physical environment of a mountain stream, and when the ratios of gravel, sand, and clay are similar to each other, there is the good ecological environment. Slow water flow is preferred, and it is by a habitat characteristic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that mostly live on the bottom of the stream without spines. As the affect of hydrologic restoration, benthic macroinvertebrate was appeared highest community index and resilience caused by reduction water velocity, blocking of gravel and sand movement. In the change of the wetland ecosystem by an improvement of hydrologic function, a hydrologic environment and benthic invertebrate show the positive chang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by the hydrologic restoration. A vegetation environment and a soil environment do not show a clear change tendency, and are more influenced by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each survey site. In the vegetation environment and soil environment, the chang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by the increase of hydrologic functio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long-term monitoring. Results of the study can offer inform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mountain wetland,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ar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preserve and maintain the mountain wetlan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산지습지에서 수문, 식생, 토양 간의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고, 수문학적 기능 증진이 습지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습지생태계의 보전 및 유지를 위해 산지습지의 생태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밀밭늪의 수문환경을 분석한 결과, 습윤기에는 복원 전에 비해 복원 후 지하수위가 증가하고, 유출량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밭늪에 설치된 공종들은 물의 이동을 저지시켜 유출수량을 저감시킨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저류된 물이 토양층 내부로 침투되어 지하수위가 상승한 것으로 사료된다. 건조기에는 복원 후 지하수위가 상승한 반면, 유출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조기의 지하수량의 증가는 토양층이 건조되었을 때, 저류된 물이 우선적으로 토층 내부로 침투되어 지하수량을 유지시켰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건조기에는 무강우기간으로 길며, 유입되는 수원이 없는 상태에서 유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으로 유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밀밭늪의 장기적인 유출특성을 비교한 결과, 과거에 비해 현재 유출특성은 일유량의 편차가 커졌으며, 일유량의 발생 일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변화는 밀밭늪의 유량의 감소를 의미하며, 장기적인 밀밭늪의 육화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종의 설치를 통해 일시적으로 물을 저류시켜 지하수위의 증가 및 유출수량의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근본적인 밀밭늪의 육화 방지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수문학적 복원은 우기 시 밀밭늪의 지하수를 유지시켰으며, 이러한 경향이 장기적으로 지속 되게 되면, 밀밭늪의 육화를 늦추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밀밭늪의 식생은 진퍼리새와 억새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오리나무, 산철쭉과 같은 육상식물의 침입이 나타났다. 밀밭늪의 장기적인 식생환경 변화를 비교한 결과, 진퍼리새의 점유비율이 감소하였고, 건조성 초본식물인 억새와 목본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밀밭늪이 서서히 산림군락으로의 천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밀밭늪의 육화과정의 하나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공종의 설치를 통해 지하수량을 증가시켰으나, 이것이 밀밭늪의 식생환경 변화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는 습지식생은 다양한 생태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또한, 밀밭늪에 풍부한 지하수량이 유지되었을 때, 점차적으로 식생환경 변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밀밭늪의 토양환경은 복원 후 토양수분 함량이 상승하였으나, 토양의 물리 화학성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밀밭늪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유기물 함량 및 총질소가 감소하였으며, 일반 산림토양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밭늪의 토양환경은 식생환경과의 상호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밀밭늪의 수문학적 복원으로 수문학적 기능을 증진 시키게 되면, 양호한 습지 토양환경이 나타나고, 습지식생에까지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밀밭늪의 보존을 위해서는 지하수량 유지와 더불어 양호한 토양환경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밀밭늪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변화는 수문학적 복원 후 시간이 경과될수록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복원력과 회복력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문학적 복원을 위해 설치된 횡구조물이 계류수의 흐름을 저지시키고, 정수역과 소 등의 다양한 서식환경을 조성하여 수서생태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밀밭늪의 장기적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변화는 EPT의 종수 및 점유비율이 감소하는 등 종구성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부터 장기적인 계상환경의 변화로 밀밭늪 내 계류의 유출수량의 증가와 계상 침식으로 인해 물리적 서식처가 불안정해졌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수문학적 복원 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점차 안정된 수서생태환경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밀밭늪의 습지 생태환경 특성을 이해하고, 수문학적 기능 증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였다. 수문학적 복원은 지하수량 증가와 같은 밀밭늪의 수원유지에 영향을 주었으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수서생태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생환경이나 토양환경과의 관련성은 적었으며, 이러한 생태환경은 수문학적 기능의 증진이 지속되었을 때, 습지생태계에 서서히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밀밭늪은 지하수량 저하와 산림식생으로의 천이가 진행되는 등 육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수문학적 복원을 통해 연유출수량의 저감이나 진퍼리새의 점유면적 증가 등의 직접적인 밀밭늪의 훼손 방지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지하수량의 증가를 통한 밀밭늪의 수문학적 기능을 증진시킴으로서 밀밭늪의 육화를 늦추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산지습지로서의 식생환경과 토양환경을 유지시켜 양질의 산지습지생태계를 이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산지습지의 생태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산지습지의 보전과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도입국 학생과 일반 학생의 ‘한글 문해력 개별화 교육’ 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정유경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Literacy Individualization Program' for middle-income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apply it to reveal the experiences and reflections of researchers in the course of guiding students in the form of a self-cultural technology journal. It aims to present researchers' experience in guiding Korean literacy programs to students entering the middle and ordinary students, strategies to make the most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meaningful changes that occur to students, and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Korean literacy as a self-cultural technology. The "Korean Literacy Individualization Education" was operated twice a week from April to July 2019 (1st) and September to December 2nd (2nd), and the first six-year student who entered Russia and became a year old was selected as a guide for first-year stud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not learned Korean in the second round. After fully learning the sound value of consonants and vowels, they repeated the activities of learning the sound value again by checking various errors caused by reading picture books, reading the letters correctly, understanding the meaning, practicing writing correct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etters, and writing their thoughts simply in sentences. The "Hangeul Plus" program was operated as a big flow of understanding principles by learning the sound value, understanding the meaning by reading picture books, and organizing thoughts by writing. Chapter IV analyzes and interprets the experiences experienced during the 'Individualization Map of Korean Literacy' and records the teacher's reflections. Using in-bibo coding by collecting interview data with students, interview data with homeroom teachers, and teaching logbooks, the first was analyzed as the subject language, and the second was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idance process between the two student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Map of Korean Literacy' was presented in order, and the sequence is as follows. First, the step of diagnosing a student's starting point. Second, the process of creating a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ir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t was composed of steps to find the learning method. At each stage, it was suggested that students improve the problem of Korean literacy by looking at the meaningful characteristics, actions, and changes shown in the section that solves the problem of Korean literacy, and by finding appropriate guidance measur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ent. The self-culture technology paper, which contains the experience of these researchers, will be a good reference for middle-aged students and teachers who guide ordinary students who have poor literacy skills in Korean. By describing the concerns related to the various issues arising i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guidance, we were able to get the implications that teachers should consider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xpertise and teacher's ability in guiding Hangeul,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and ordinary students, are needed. Second, for the lowest-ranked students who cannot read and write Hangeul, a personalization program should be set up to mediate early. Third, a variety of diagnostic tools and supporting materials for Hangul maps are needed for systematic Hangeul guidance.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 학생과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글 문해력 개별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학생 지도 과정에서 연구자가 실제로 겪은 경험과 성찰 내용을 자문화기술지 형식으로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입국 학생과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한글 문해력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차이와 학생의 특성과 경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전략, 학생에게 일어나는 의미 있는 변화, 한글 문해력 발달 정도 등에 관한 연구자의 지도 경험을 밝히고자 한다. ‘한글 문해력 개별화 교육’은 2019년 4월~7월(1차)와 9월~12월(2차)로 매주 2회, 30~40분씩 운영되었고, 1차는 러시아에서 입국해서 일 년이 된 6학년 학생을 2차에는 일반 학생 중에 한글 미해득으로 진단된 1학년 학생을 지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음과 모음의 소릿값을 익히고 나서 그림책을 읽으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류를 확인하여 다시 소릿값 익히기 활동을 반복하였고 글자 정확하게 읽기와 의미 이해하기, 글자 모양에 따라 정확하게 쓰는 연습과 나아가 자신의 생각을 간단하게 문장으로 써보는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소릿값으로 글자 익히기, 그림책 읽기로 의미 이해하기, 쓰기로 생각 정리하기의 큰 흐름으로 운영되었다. Ⅳ장에서는 ‘한글 문해력 개별화 지도’를 진행하면서 겪었던 경험들을 분석하고 해석하였으며, 교사의 성찰과 내용을 기록하였다. 학생과의 면담자료, 담임교사와의 면담자료, 수업 참여 일지 등을 수집하여 인 비보 코딩을 활용해 1차는 주제어로 분석하고 2차는 주제어를 범주화하여 두 학생 간의 지도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해석을 토대로 ‘한글 문해력 개별화 지도’ 과정을 순서대로 제시하였으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출발점을 진단하는 단계. 둘째, 학생 특성을 고려하여 관계를 만들어 가는 단계. 셋째, 학생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법을 찾아가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각 단계에서는 학생의 한글 문해력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의미 있는 특징과 행동, 변화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각각의 학생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한글 문해력 문제를 개선해 나가는 모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자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는 중도입국 학생과 한글 문해력이 부진한 일반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개별화 지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이슈들과 관련된 고민들을 기술하다보니, 교사가 고려해야 할 사항과 차별화된 지도 방법을 찾을 수 있었으며 중도입국 학생과 일반 학생의 차별화된 지도 방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입국 학생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정확하게 한국어를 발음할 수 없었으므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어색하거나 힘들 때가 있었으며, 글쓰기에도 잘못된 발음을 그대로 쓰는 오류를 만들었다. 둘째, 중도입국 학생은 글자를 읽고 쓸 수 있게 되었지만 어휘력이 상당히 부족하였기 때문에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말을 하여 오해를 받거나, 글을 읽어도 낱말 이해와 글의 내용 파악이 어려웠다. 셋째, 중도입국 학생들은 모국어를 배웠던 경험 때문에 영어 파닉스를 활용하여 스스로 글자와 소리를 대응시키면서 한글의 원리를 쉽게 이해하였다. 반면에 한글 문해력 부진을 보이는 일반 학생의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글자와 소리 대응을 이해하는데 자주 잊어버리고, 흥미를 잃어버릴 때가 많았다. 둘째, 평상시에는 굉장히 적극적이어서 친구들과 관계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지만, 학습 중에는 의기소침하고 다른 사람을 의식하면서 눈치를 살폈다. 지속적인 칭찬과 격려, 스스로 한글 문해력의 향상도를 기록하고 점검하는 경험으로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면, 교수 이론과 교수 방법을 보여주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중도입국 학생과 일반 학생에게서 드러나는 특성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에 적절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생과 교사가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해가는지에 대한 내적 과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 현대공예 전시 특성에 관한 연구 : 예술공예와 산업공예의 전시 실무 비교를 중심으로

        정유경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활 속의 예술’로부터 ‘예술을 위한 예술’을 향해 방향을 전환해온 것이 현대공예의 큰 흐름이다. 이러한 흐름은 사회적인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닌, 일제 강점기를 통해 유입된 이 굴절된 공예관에서 부터 비롯되었고, 해방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우리 현대 공예계에 대세를 이루며 이어져오고 있다. 공예의 예술화는, 공예계 내부적으로는 공예의 표현 영역을 넓히는 순기능을 하였고, 사회적으로는 전통적인 공예관과 대립하면서 미술공예 외의 나머지 가능성을 크게 위축시키는 역기능을 가져왔다. 본 논문은 예술적 가치 정립을 위해 새로운 개념이나 정의를 만들어 온 현대공예의 연구 주제와 각도를 달리하여, 현존하고 있는 여러 유형의 공예가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전시 특성이 무엇인지 연구했다. II장에서는 미술 전시와 비교하여 예술적인 요소와 산업적인 요소를 모두 지닌 공예의 전시가 차별화 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유럽과 일본 그리고 우리 나라의 공예 변천사를 살펴, 본 논문에서 공예의 개념을 예술공예와 산업공예로 나누는 근거로 삼았다. III장에서는 예술공예와 산업공예가 지닌 각각의 특성이 사회적 가치를 지니는 활동으로 드러나게 하기 위해서, 전시 방법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디스플레이, 홍보물과 홍보, 가격과 유통측면을 비교하면서 설명하였다. 작업의 결과물이 예술공예 분야에 속하는 경우, 개별성이 중시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왜곡이 없는 홍보물의 제작, 일간지를 통한 홍보, 일품으로 거래되는 유통구조 등 기존의 미술품과 유사한 전시 방법이 적용되었다. 반면 결과물이 산업공예 분야에 속하는 경우, 견본품 전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전시 방법을 세우거나, 신제품을 홍보하는 프로모션의 한 방법으로서의 전시가 되어야 했다. 그리고 전시 방법을 선택하는 것에 앞서, 작가 스스로 예술적 가치가 있는 작업을 할 것인지, 산업적 가치가 있는 작업인지에 대한 작업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일이 선행되는 것이 중요했다. 지금은 공예의 흐름이 어느 방향으로 기울고 있는가를 주시하면서 작업의 방향을 바꾸거나 바꿀 준비를 할 때가 아니다. 한때 다원론의 편리한 개념에 편승하여 무엇이든 다 공예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논리 아래 무력화되었던 공예의 시대정신과 사회적 의미를 찾을 시점이다. 작가 스스로 자신의 작업이 사회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그 결과가 사회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도록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간다면, 공예의 가치와 역할을 사회적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A changeover of the object from "Art in Life" to "Art for Art's sake" could be said as a big trend of contemporary craft. This kind of trend was originated by a distorted view flowed in and accepted during the era of oppressive Japanese colonial rule, not by socially demanded basis, and since the nation's liberation at the end of world War II, such a general tendency has not been changed yet. As a result, it largely prevails still in contemporary craft field of this country. The enhancement of craft to the arts contributed to a functional role in widening an expression field of craft inwardly while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n inverted function blighting other feasibilities, excluding Art-Craft, confronting a traditional view on craft. This thesis made study viewing from a different angle on the study subject that formed a new conception and definition as a means that leads he existing various types of crafts to a communication with society for better understanding each other. Chapter II gave an explanation of why craft exhibition that retains all of artistic as industrial art elements should undergo a change, by making comparison with art in Europe, Japan and our nation. This comparison, in this thesis, is adopted as a basis for a classification of craft conception separating into an "Art-Craft" and 'Industrial-Craft". In chapter III, the explanation is made for how a display method should be differentiated cross-deferring to display, publicity pamphlets and PR, Price and distribution Systems. In the case that the products belong to an "Art-Craft" field, a similar methods such as an individuality-stressed display, production of distortion-free PR publicity, advertisement in newspapers and distribution systems that deals art works as a unique product are appli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 products belong to an "Industrial-Craft" field, a new method of exhibition is required or used to be a functional one for promoting such a new products. Before choosing a method of exhibition, it is important for an artist to be mindful that a decision on an identity of art work produced or any such art work project should have an industrial value. It is not the time to change or prepare for a change of direction of work closely watching in which direction the trend of craft is inclining to. An artist should make it clear by oneself whether one's own works could play a social role. And if they could remind a social significance and make a method to communicate with society, then value and role of craft could be established of itself in the society.

      • 긍정적 정신건강과 아동-교사가 지각하는 아동의 공감능력과의 관계

        정유경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 교사가 평정하는 아동의 공감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 교사가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의 일반적 경향과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아동 평정 공감능력,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 교사가 평정한 아동의 공감 능력에 대해 살펴보고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과 교사가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의 차이 값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으로 총 316명(남자 143명, 여자 173명)이었다. 긍정적 정신건강을 측정하는 도구는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2010)의 척도를 바탕으로 표준화한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고영건, 2013)를 초등학생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용 공감능력의 척도는 Auyeung 등(2009)이 개발한 척도를 차화정(2010)이 타당화한 ‘한국어판 자기 보고형 아동용 공감지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용 공감 능력 척도는 김혜리 등(2010)이 번안하고 수정한 공감척도를 교사용으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은 차이가 없었고, 학년에 따른 차이는 정신장애 수준에서 나타났는데 6학년이 5학년보다 더 높았다. 성별에 따른 아동 평정 공감능력의 차이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정서적 공감, 사회적 공감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교사 평정 공감 능력에서는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 사회적 공감 모두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아동 평정 공감 능력의 차이에서는 5학년이 6학년보다 인지적 공감능력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학년에 따른 교사 평정 공감능력에서는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 사회적 공감 모두 5학년이 6학년보다 더 높은 공감 능력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긍정적 정신건강의 하위요인과 아동,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긍정적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인 정신적 웰빙과 아동 평정 공감능력 하위요인들은 정적 상관, 정신장애와 아동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긍정적 정신건강의 정신적 웰빙과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 요인들은 정적 상관, 정신장애와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 요인들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아동 평정 공감능력과 교사 평정 공감능력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 평정 공감 능력의 하위요인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적 공감은 번영과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이 부적응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인지적 공감은 번영, 분투와 쇠약,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부적응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 공감에서는 번영과 쇠약, 분투와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과 쇠약이 분투와 부적응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 공감능력에서는 번영, 분투와 쇠약,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번영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부적응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적 공감은 번영과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이 부적응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인지적 공감은 번영과 분투 그리고 쇠약,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과 분투 그리고 쇠약은 부적응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 공감에서는 번영과 쇠약, 분투와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과 쇠약이 분투와 부적응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 공감 능력에서는 번영과 쇠약, 분투와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과 쇠약이 분투와 부적응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섯째,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과 교사의 공감 평정 간 편차 값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편차 값은 부적응이 번영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정신장애의 유무로만 살펴본 정신장애 판단 기준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번영, 분투, 쇠약, 부적응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분면 모양의 타당성을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을 살펴본 연구들은 아직 부족하기 때문에 아동들이 나타내는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별 분포에 대해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연구대상과의 비교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 평정 공감능력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번영 유형의 아동들은 자신의 공감능력을 높게 평정하는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정신건강 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고안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고영건, 김

      •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텍스트 개발 방안 연구

        정유경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the elucidation of the proposal of a Korean Text Reading development which would offer potential contribution to marriage migrant women who are raising school-age children in regards to parental responsibilities. Marriage migrant women residing in South Korea encounter significant pressure as their children reach the age range for school attendance. This is the result of the apparent necessity to take on a basic schooling and educational roles as a part of their parental ones. Specifically, it is evident that severe difficulties occur due to the challenge of understanding common facets of education such as parental notices, homework, school documents as well as textbooks, which are usually absent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hus, a supply of suitable text resources is vital for the alleviation of the issues faci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ssues,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study aims to investigate appropriate solu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ext-reading development that could possibly assist marriage migrant women raising school-age children to effectively fulfil their parental roles. In chapter I, the focal objective of the analysis and its necessity have been clarified, and as a preliminary research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roles of migrant women, a study on Korean comprehension and perusal of resources as well as text-reading have been further evaluated. In chapter II, the background of Korean reading-related theories is reviewed, the meaning of texts and various theoretical categories have been organized. In chapter III, the focus is o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Furthermore, through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content and type of text-reading that is present in the Korean textbooks used in said curriculum for marriage migrant women with school-age children, the present status and issue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targeting migrant women have been reviewed. In chapter IV,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demand for text-reading for marriage migrant women raising school-age children and its results, the fundamental text-reading has been researched in order to identify what would actually fulfil their parental roles. In chapter V,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demands analysis as well as Korean text-reading education analysis for marriage migrant women with school-age children, previously demonstrated in chapters III and IV, a specific Korean text-reading development plan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m to fulfil their significant roles as parents has been detailly formulated. In the final chapter VI, the entire content of the study has been briefly summarized and described the significance as well as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the specific suggestion of a Korean text-reading development plan,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structure of the reading class, all of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marriage migrant women with school-age children. Through various studies of Korean text-reading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t is expected that the resources will be continuously provided and utilized alongside necessary Korean comprehension and a text-reading program. Key words: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school-age children, Korean text-reading, Korean comprehension education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학부모로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한국어 읽기 텍스트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그들의 자녀가 성장하여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학교생활 지도나 학습 지도 등과 같은 학부모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필요성과 부담을 느끼게 된다. 특히 이들이 학부모로서 접하게 되는 가정통신문 등의 학교문서나 교과서, 숙제 등은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충분히 배우지 못한 생소한 내용이 대부분이므로, 이를 읽고 이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적절한 읽기 자료나 텍스트의 제공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필요에 근거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부모로서의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읽기 텍스트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로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학부모 역할 관련 연구와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읽기 자료 및 읽기 텍스트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육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들을 살펴보고, 텍스트의 개념과 유형 분류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먼저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내에 수록된 읽기 텍스트의 내용과 유형 분석을 통해,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텍스트에 대한 요구조사와 그에 따른 결과 분석을 통해, 이들이 학부모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읽기 텍스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Ⅲ장과 Ⅳ장에서 살펴본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현황 분석과 요구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부모로서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개발 방안과 구체적인 읽기 텍스트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Ⅵ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학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개발 방안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읽기 텍스트 및 읽기 수업 구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도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텍스트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그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한국어 읽기 교육과 읽기 텍스트가 제공되고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여성결혼이민자, 학령기 자녀, 한국어 읽기 텍스트, 한국어 읽기 교육

      • 고등학생의 Big 5요인과 Holland 직업흥미검사의 상관관계 연구

        정유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Discussion on mechanization of occupations have been significantly precipitated due to COVID-19. According to 'The Future of Jobs' of World Economy Forum 2020, most jobs well-known to the public are going to disappear within 20 years. In this context,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counseling for adolescents is being further magnified(Savickas et al., 2009). However, schools are giving more weight to educational guidance for students' entrance into college rather than the career counseling(Kim, 2000). Nonetheless, universities might not guarantee occupations nor development of careers. In fact, many graduates have failed to connect university to jobs (Lee, 2011). According to the survey from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17, adolescents between 13~19 responded that the primary factor of their future occupation was ‘aptitude, interest’(36.3%). Lots of empirical studies have already shown that interest is one of most influential variables for students in a career choice(Kim, 2000). In particular, the response rate for ‘aptitude, interest’(36.3%)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two times more than that in other age groups.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for counselors not only to get information on occupations but also to understand their vocational interest to provide a proper career counseling to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Paisley & Hubbard, 1994). The Holland Interest Location, known as Holland or RIASEC theory, is considered 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influential theory in career development(Kim et al., 2010). Holland(1987) pointed out that an individual’s interest can be a precursor to personality, and accordingly, the Holland Interest Location has the advantage in its independent practicability. Nonetheless, there has not been any definite conclusion regarding the argument that the job preference and personality are the same concepts(Kim et al., 2010). Gottfredson(1993) suggested the use of both personality and the job preference inventory in the career counseling. Park et al.(1999) also claimed that personality tests and job preference should be used altogether because an individual’s interest type and personality do not reflect the entire factors. This research tri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cational preference and person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NEO personality test and Holland Interest Location were conducted with 210 high school student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factors. The standard for the significance of all statistic results was p<.05. The research result by Gottfredson, Jones and Holland(1993) revealed that the social and enterprising types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roversion, and the investigative and artistic type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to experience. Plus, the conventional type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scientiousness. Accordingly, this research tried to analyze the former correlation by formulating hypotheses. First, the hypothesis that postulate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type and the extraversion has been dismissed in this research. The sociable type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to experience, and it especiall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imaginative’ and ‘warm’ among sub-factors while it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uroticism's sub-factor, ‘envious’.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dismissed. Second, the hypothesis that postulate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nterprising type and the extraversion has been dismissed in this research. However, enterprising type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such as ‘cooperative’ and ‘courageous’ approximately as much as 0.2. Hence, this hypothesis was dismissed. Third, the hypothesis that postulate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vestigative type and openness to experience has been validated in this research. The investigative type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y more than 0.2 with openness to experience and agreeableness. It also showed th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such as ‘courageous’, ‘intelligible’, ‘philosophical’, ‘systematical’ and ‘warm’. Fourth, the hypothesis that postulate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rtistic type and openness to experience has been dismissed in this research. The artistic type did not show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any other factors among 5. Lastly, the hypothesis that postulate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ventional type and conscientiousness has been validated in this research. The conventional type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adopted. As shown in this research, in terms of difference between genders, many of male students were identified as the realistic type, and the scores for neuroticism of a senio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tudent groups. The relation between Holland Interest Location and NEO personality test is clarifi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realistic type and conscientiousness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investigative typ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to experience and agreeableness. Third, the social type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to experience. Fourth, the enterprising type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Fifth, the conventional type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Seligman(2006) demonstrated that 'openness to experience' of adolescents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nd it can affect the other featur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nducted to high school students, openness to experience and Holland Interest Location test types showed the evident correlation between them unlike the result of the precedent studies. As forementioned, this study tried to put forward the reference data in the highschool setting to keep pace with the increased need for the career counsel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sought to provide useful data by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highschool students' occupational interest and personality. 코로나에 의한 직업의 기계화에 관한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 2020년 세계경제포럼의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s)는 급변하는 사회 속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직업 대부분이 향후 20년 안에 사라진다고 예측한다. 일생 동안 하나의 직업을 가지는 것이 드물어지는 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진로상담의 필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Savickas et al., 2013).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진로상담보다 대학 진학을 위한 ‘진학지도’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게 현실이다(김봉환, 2000). 하지만 상급학교 진학이 꼭 직업 및 진로와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많은 대학생들은 학과에서 배운 특성을 직업 세계에서 살리지 못하고 있다(이대용, 2011). 2017년 통계청이 13~19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적성, 흥미’(36.3%)로 나타났다. 진로 선택에 있어 흥미가 직업을 선택하게 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 중 하나라는 사실은 이미 수많은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김영빈, 2000). 특히 중고등학생의 ’적성, 흥미’(36.3%) 요인의 선택률은 기타 연령대 응답률의 2배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중고등학생들의 적절한 진로상담을 위해서는 직업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직업흥미 등 개인적인 특성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Paisley & Hubbard, 1994). ‘Holland’ 이론 혹은 ‘RIASEC이론’이라고 알려진 직업흥미검사는 진로상담분야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이론으로 손꼽힌다(김봉환 외, 2010). Holland(1987)는 흥미는 성격을 예측하기에 직업흥미검사는 가치와 동기, 성격 또한 반영하고 있어 기타 검사 없이도 독자적으로 진로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직업흥미검사와 성격이 동일한 개념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김봉환 외, 2010). Gottfredson(1993)은 진로상담 시 성격과 흥미검사를 둘 다 사용하는 것에 대한 유의미성을 제안하였다. 박동건 외(1999) 또한 흥미유형과 성격유형은 모든 요소를 상호 반영하지 않기에 직업 상담 시 성격검사와 함께 흥미검사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직업흥미와 성격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10명의 고등학생에게 NEO 성격검사와 Holland 검사를 실시하여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통해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결과의 유의도는 p<.05를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Gottfredson, Jones 및 Holland(1993)의 연구 결과, 사회형과 기업형은 외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었고, 탐구형과 예술형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관습형은 성실성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에 따라 가설을 설정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사회형은 외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본 연구에서 기각되었다. 사회형은 외향성이 아닌 개방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위 요소 중 ‘상상력이 풍부한’, ‘따듯한’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신경성 하위 요소인 ‘부러워하는’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 가설은 기각된다. 둘째, 기업형은 외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본 연구에서 기각되었다. 그러나 하위 요소인 ‘협력적인’, ‘용감한’과는 .2 정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업형은 외향성이 아닌 개방성, 성실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 가설은 기각된다. 셋째, 탐구형은 개방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본 연구결과 검증되었다. 탐구형은 개방성, 우호성과 .2 이상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위 요소인 ‘용감한’, ‘지적인’, ‘철학적인’, ‘체계적인’, ‘따듯한’ 과도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예술형은 개방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본 연구 결과 기각되었다. 예술형은 성격 5요인 중 어떤 요인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관습형은 성실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본 연구결과 검증되었다. 관습형은 개방성, 성실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 가설은 채택된다. 본 연구 결과 Holland 검사와 NEO 성격검사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형은 성실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탐구형은 개방성, 우호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회형은 개방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기업형은 개방성, 성실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관습형은 개방성, 성실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Seligman(2006)의 연구에서 청소년들은 국적에 상관없이 개방성이 높으며, 이는 기타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 성인을 상대로 진행한 선행 연구와 달리 개방성과 Holland 검사 유형의 상관성이 뚜렷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의 경우 실제형이 많았고, 고3 학생들의 신경성 점수가 기타 학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늘어나는 고등학교 현장의 진로상담 수요에 발맞춰 상담 장면에서 검사 실시 시 필요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등학생 고유의 직업흥미와 성격 특성을 알아보아 청소년 진로상담에 도움이 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