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신지원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이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진단을 받고 대구에 위치한 K아동 발달센터에 내원하는아동 중 본 실험조건에 충족하는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조군 8명, 실험군 8명으로 나누어 기본운동 30분을 공통으로 포함하여 실험군은 가상현실 프로그램훈련을, 대조군은 팔뻗어 잡기 훈련을 각각 45분씩 주2회 총8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뇌성마비 아동 중 경직성 양하지 마비 아동으로 대동작기능분류체계(GMFCS) 1~3등급의 기능을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상지의 기능이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사용가능하며,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아동이었다. 눈-손 협응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를 사전, 사후 검사로 실시하여 눈-손 협응, 시각-운동 속도, 눈-손 협응 연령, 시각-운동 속도 연령을 측정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실험군 에서는 눈-손 협응, 시각-운동 속도, 눈-손 협응 연령, 시각-운동 속도 연령 항목에서 훈련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눈-손 협응, 시각-운동 속도, 시각-운동 속도 연령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눈-손 협응, 시각-운동 속도, 눈-손 협응 연령, 시각-운동 속도 연령 항목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팔 뻗어 잡기 훈련과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훈련 모두 뇌성마비 아동의 눈-손 협응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학령기 아동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치료실과 연계된 홈 프로그램으로의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 회계부정에 대한 법적 분석

        신지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mpany plays a crucial role socially and financially in economy, therefore its duty to provide the financial status and business achievement should be based on a true and fair view. A company's financial status and business achievement are provided in the forms of which entitled "financial statement" and "auditor's report“ presenting the auditor's formal opinion on the financial statement. These formal statements are means of delivering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company using Accounting. In September, 2013, Korea was poorly appreciated for its transparency of financial information by two different international institutions committed to assess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overall. They reported that Korea was ranked 91st out of 148 countries by the World Economic Forum(WEF) and 58th out of 60 countries by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IMD). The assessment results are unfortunate, nevertheless the Korean Government has adopted the independent board system, the class-action system and the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K-IFRS). Transparent financial information i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of a company since it affects the decision makings of local investors, businesses, shareholders, creditors, employees, auditing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s and even the counterparts in the globe, and it eventually leads the country to securing glob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focuses on clarifying what accounting fraud is legally with the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mind. Accounting fraud is perceived as a subset of fraud, hence it looks at how the Common Law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Civil Law of Korea identifies fraud. While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ommon Law include a material false misrepresentation, an intent to defraud thereby, and reasonable reliance on the representation, and causing damage to the plaintiff, that of Civil Law of Korea includes negligence or gross negligence instead of the intent to defraud. Accounting fraud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the malpractice audit and financial statement fraud. In Accounting, financial statement fraud is often seen within or without the accounting standards depending on which accounting policy the management choose between conservative accounting, neutral accounting, aggressive accounting, overly aggressive accounting, and fraudulent accounting. Earning management such as earnings smoothing seems to be a 'good' thing since it helps forecast its future earnings. In other words, exercising the flexibility of the accounting standards is not fraud. However if the management choose to use overly aggressive accounting or fraudulent accounting, the possibility of fraud gets higher due to the lack of reasonable evidence for the earnings made. Then it becomes subject to the accounting fraud. When accounting fraud is detected by whistle-blowers or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n Korea, administrative measures will be imposed on the company, directors, internal auditors, etc depending on the level of motivation of the illegal act(negligence, gross negligence or intention) and the materiality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In order to put in a claim for damages there must be the reliance causation and loss causation. For the criminal measures, there must be an intent of doing accounting fraud. It is true that determining accounting fraud is difficult.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a company, accounting fraud should be eradicated. Hence, the way that the laws of Korea with the strong requirements for legal sanctions against accounting fraud seem to be operating properly. 기업은 우리 경제에서 사회적·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기업은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를 공정한 판단(true and fair view)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제공할 의무도 함께 지는데, 기업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는 ‘재무제표’와 그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의 형식으로 우리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것들은 기업의 회계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이며 회계라는 도구를 통하여 나타난다. 2013년 9월 우리나라는 국가경쟁력 평가기관인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과 국제경영개발원(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에서 실시한 회계투명성 평가에서 각각 148개국 중 91위와 60개국 중 58위를 차지하며 낮은 회계투명성 국가의 이미지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정부가 회계부정을 근절하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마련한 사외이사제도 및 집단소송제도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도입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는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회계정보에 대한 투명성 및 신인도에 대한 문제가 국내외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기업의 회계정보가 국내 투자자, 기업, 주주, 채권자, 종업원, 감시기관, 정부뿐만 아니라 국외의 투자자, 기업 등에 까지도 그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국가경쟁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회계정보의 투명성 및 신인도 제고를 염두에 두고 무엇이 법적으로 회계부정인가를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회계부정이 부정의 하위개념임을 인식하여 부정의 의미를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사전적 의미를 포함한 부정의 의미와 미국의 판례법 및 증권거래법(Securities Exchange Act, SEA) §10(b) 및 Rule 10b-5에서의 부정은 우리 민법상 불법행위로써 부정거래행위를 금지하는 경우의 부정과는 차이점을 보였다. 미국에서의 부정은 주관적 요건으로 ‘고의(intent, scienter)’를 요하는 반면 우리 법은 ‘과실, 중과실 또는 고의’를 요함으로써 가해자에 대하여 규제를 더 엄격히 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 회계부정은 분식회계와 부실감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았다. 그 중 분식회계의 개념에 대하여 회계학에서는 기업회계기준 내에서의 분식회계와 기업회계기준을 이탈한 분식회계로 나누어 보기도 한다. 기업마다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기업들이 처해진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기업이 같은 회계정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 따라서 경영자들의 판단에 따라 기업회계기준의 모호성(ambiguity)을 활용하는 것을 용인하고 있다. 일단 기업이 기업회계기준을 보수적 회계, 중립적 회계, 공격적 회계, 과도한 공격적 회계, 또는 사기적 회계 중에서 어떠한 회계정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가가 중요하다. ‘실적을 조정한다(altering results)'라는 뜻인 이익조정에 대한 위 회계정책들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회계처리가 기업회계기준의 범위를 이탈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익유연화와 같이 기업회계기준 내에서 그 융통성(flexibility)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미래예상이익을 더 예측 가능하도록 하여 재무적 위험을 모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부정이 아니다. 반면 기업회계기준을 벗어난 과도한 공격적 회계 및 사기적 회계를 선택할 경우에는 부정이 되는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의 회계정책은 해당 회계처리에 대한 합리적 근거가 없을 뿐더러 주로 경영자 자신의 이익만을 위하여 회계처리하기 때문이다. 회계부정이 부정행위 신고자 및 금융감독원의 감리절차에 의하여 적발되면 회계정보의 중요성과 회계부정행위의 고의 또는 과실 및 중과실 정도에 따라 경고에서부터 검찰고발에 까지 이르는 행정적 처분이 내려진다.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회계부정과 손해발생 간의 인과관계가 존재하여야 한다. 형사상 책임으로는 과실 또는 중과실만으로는 부족하고 고의성이 반드시 존재하여야 한다. 이는 회계부정행위의 성격에 따라 형법상 사기죄, 횡령죄, 배임죄와도 연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분식회계와 부실감사를 포괄하는 개념인 회계부정의 법적 의미는 첫째, 회계처리기준 및 회계감사기준 위반하였어야 하며, 둘째, 위반행위가 과실, 중과실 또는 고의적이었어야 하며, 셋째, 중요한 사항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 넷째, 회계정보에 대한 허위표시 또는 누락이 존재하여야 하며, 다섯째, 허위표시 또는 누락된 회계정보를 피해자가 신뢰하였어야 한다. 그리고 여섯째, 그 신뢰로 손해액이 발생하였어야 한다.

      • 한국어 교재의 인사 표현 연구 : 인사 상황맥락을 중심으로

        신지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greeting expression and situation in Korean textbooks. To this end, first, analyzed the aspects of greeting expressions by situational context. Second, analyzed the aspects of greeting expressions by proficiency. Third, analyzed the aspects of greeting expressions by textbook. In Chapter 1, emphasized the necessity of greeting research that considers the importance of contexts that affect speech in various forms in the communication in order to teach and learn appropriate greeting expre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commonly used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 trends of previous studies on greeting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research, theme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In Chapter 2,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greeting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redefined greeting and greeting express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context and situational context, 'formality, intimacy, and hierarchical relations' are set as factors of situational context. In Chapter 3, 49 textbooks used in the formal course of the university's affiliated institution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2 proposed the criteria for greeting analysis by situational context factors and research procedure. In Chapter 4, analyzed the greeting expressions collected from the textbooks and examined by factors of situational context, proficiency, and textbooks. The results show that formality affects the use of typical expressions, the degree of intimacy affects the use of content-oriented greeting expressions, and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vertical relationship, the name of the other party is often uttered. As the level of proficiency increased from beginner to advanced, the greeting situation was presented more concretely, the contents-oriented greeting expression increased. As a result of analysis by textbooks, the greeting situation appearing frequently in all textbooks was the same. Analysis of factors of situational context showed that the ratio of greeting expressions was high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ormality was 'private', the intimacy was 'none' and 'normal', and the difference in vertical relationship was 'no'. Lastly, in the analysis of proficiency, the expression of greetings was high in the elementary textbook. In Chapter 5,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greeting research considering contextual factors. Also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content-oriented greeting expressions is suggested.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인사 표현과 인사 상황의 양상을 상황맥락에 초점을 두고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상황맥락별 인사 표현의 양상을 분석하고, 인사 표현의 숙달도별 양상과 교재별 양상을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통용되는 규칙에 맞는 적절한 인사 표현 교수·학습을 위하여 의사소통 상황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의 중요성을 고려한 인사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인사에 관한 선행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인사 선행 연구를 연구 목적 및 주제와 자료수집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인사의 개념을 종합하여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언어 공동체의 사회 문화적 특징을 반영하며, 상대에게 예의를 지키는 차원에서 사용’된다는 세 가지 인사의 특징에 따라 인사와 인사 표현을 정의하였다. 또한 맥락과 상황맥락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인사 상황맥락 요인으로 ‘공식성, 친밀도, 상하관계’를 설정하여 공식성을 ‘공적, 사적’, 친밀도를 ‘높음, 보통, 낮음’, 상하관계 차이를 ‘유, 무’로 구분하였다. 3장에서는 연간 학생 수와 역사성에 따라 대학 부속 기관의 정규 과정에서 사용되는 교재 총 49권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 절차와 상황맥락 요인별 인사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교재에서 수집한 인사 표현을 분석하여 상황맥락별, 숙달도별, 교재별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식성이 전형적 표현의 사용에 영향을 주고, 친밀함의 정도가 내용 중심의 인사 표현 사용 여부에 영향을 주며, 상하관계 차이가 있을 경우 인사와 함께 상대방의 호칭이 발화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도가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인사 상황이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내용 중심의 인사 표현이 증가하며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대상이 대화 상대자로 등장하였다. 교재별 인사 표현의 분석 결과 모든 교재에서 상위 비중을 차지한 인사 상황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상황맥락 요인별 분석에서는 공식성이 ‘사적’, 친밀도가 ‘없음’과 ‘보통’, 상하관계 차이가 ‘무’인 조건에서 인사 표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숙달도별 분석에서는 초급 교재에서 인사 표현이 높게 나타났다. 5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교재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언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세 가지 외의 상황맥락 요인을 고려한 인사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 중심 인사의 연구 필요성을 제안한다.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환경교육 학습활동 내용 변화 분석

        신지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환경교육 학습활동 내용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균형 있고 체계적인 환경교육을 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여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근간인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 학년, 전 교과 지도서 총 13개 교과 영역을 국가 수준 환경교육 내용 영역 체계 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환경교육 학습활동 내용은 특정 교과에서의 제한적 범주의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환경교육 학습활동 내용 중 사회, 과학, 실과 3개 교과가 전체 내용의 70% 비율로 특정 교과의 빈도가 편중되어 있으며, 국어, 수학, 음악, 영어 교과는 환경교육 학습활동 내용이 전혀 다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환경교육 학습활동 내용은 교육과정 개정과 관계없이 교과별 특성에 따라 반영 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환경교육 내용 영역은 환경교육 9개 내용 영역 중 ‘환경의 구성’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공통적으로 ’환경의 구성‘ 영역이 평균 6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환경문제 해결’, ‘지속가능발전’, ‘환경관과 환경윤리’ 영역의 인성적 ·실천적 측면은 다루어지지 않거나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환경교육 학습활동 내용은 학년 간·교과 간 연계성을 갖춘 환경교육 체계가 제시되지 않았다. 이는 환경교육이 개별 교과로 편성되지 않은 교과 특성의 한계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범교과 성격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며, 교과 간의 연계나 통합을 추구하는 실제적 교육으로의 방향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환경교육은 사회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학습자의 역량을 키우는 실천적 교과로서의 교육적 가치가 있다.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환경교육 학습활동 내용의 변화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는 환경교육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가능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차기 개정 교육과정에는 생태전환교육과 지속가능발전목표 등을 바탕으로 한 환경교육 내용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미래 지향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현장의 여건과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일반위내시경과 수면위내시경 환자의 불안과 신체 경험에 관한 연구

        신지원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nursing service is to make the patients comfortable, relieving them of stress, anxiety or pain. When a patient is subject to such physical check-ups inserting a tool into the abdominal cavity as gastroscopy, he or she may suffer from anxiety frequently. Such an anxiety causes tension, worsening patient's sense of distress and anxiety during the physical check-up.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atively reviewing the anxiety and distress suffered by the patients subject to the sleep gastroscopy using the sedative and the ordinary gastroscopy, and there by, suggesting the ways to relieve them of anxiety, unpleasant physical experiences and inconveniences. To this end, 79 patients who had undergone the gastroscopy and 66 patients who had undergone the sleep gastroscopy at the endoscopy room of a general hospital in Seongnam-si from March 1 to April 20, 2002 were sampl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In order to measure patient's anxiety level, the self-reporting scal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developed by Spielberger and translated by Kim Jeong-Taek and Shin Dong-Kyun (1978)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for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male patients accounted for 51%, while female patients accounted for 49%. 28.3% of the patients were in their 30's, and 42.8% of them graduated from high schools. 34.5% of the patients were office or professional workers, and 24.8% of them were housewives. 55% of the patients had religions. 45.5% of the patients had not undergone the gastroscopy before, and 22.8% had once undergone the gastroscopy, and 31.7% of them had twice or more undergone the gastroscopy. 2)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of trait anxiety between gastroscopic and sleep gastroscopic patients, it was found that the latter group's trait anxiety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ormer group's; the sleep gastroscopic patients' trait anxiety scored more than 45 points, which was very high. 3)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ate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check-up between both groups, but there was fou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of state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check-up in either group. 4) As a result of testing the anxiety level depending on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anxiety level differed significant only depending on their sexes and academic backgrounds, but i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other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marital status, job, religion, experience of endoscopy and hospitalization. The status anxiety before check-up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exes, age and marital status but not depending on job,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experience of endoscopy and hospitalization. 5) There were found difference of the physical distresses between two groups: sense of foreign substance and pain in the throat, respiration, abdominal pain and vomiting sign. In other words, gastroscopic patients suffered more than sleep gastroscopic patients in all physical distresses, while sleep gastroscopic patients could feel comfortable for the check-up. In terms of physical inconveniences, gastroscopic patients felt more inconvenient than sleep gastroscopic patients. The sleep gastroscopy was prescribed for the patients group who had a higher level of trait anxiety.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status anxiety before check-up between sleep gastroscopic and ordinary gastroscopic patients, but the former group's physical distresses were reduced remarkably more than the latter group's. Nevertheless, since the ordinary gastroscopy has such advantages as safer, less expensive and shorter check-up time and quicker recovery, every patient should not be subject to sleep gastroscopy. Thus, if patients should be briefed on the two check-ups to decide on either of them, they would be more satisfied with the gastroscopy. 간호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환자에게 안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스트레스, 불안, 고통을 감소시켜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위내시경 검사와 같이 신체의 체강 내에 기구를 삽입하는 검사시에는 흔히 불안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러한 불안은 긴장을 유발시켜 검사시에 불편감과 불안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진정제를 사용하여 위내시경을 시행하는 수면위내시경 검사와 일반위내시경 검사를 비교하여 환자의 불안, 신체경험과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밝혀 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은 2002년 3월 1일부터 4월 20일 까지 성남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 소화기내시경실에서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 중 일반위내시경 환자 79명, 수면위내시경 환자 66명으로 총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안측정은 spielberger의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을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자가보고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test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 51%, 여자 49%로 비슷했으며 연령은 30~39세가 28.3%로 가장 많았고, 교육 정도는 고졸이 42.8%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사무․전문직 34.5%, 주부 24.8% 순이었으며, 종교는 55%가 가지고 있었다. 과거 내시경 경험 횟수를 살펴보면, 없는 경우가 45.5%로 가장 많았으며, 1회가 22.8% , 2회 이상이 31.7%를 나타냈다. 2) 일반위내시경과 수면위내시경 환자의 기질불안 차이를 검정한 결과 일반위내시경 환자의 기질불안 점수 보다 수면위내시경 환자의 기질불안 점수가 높게 나타나 두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면위내시경 환자의 기질불안은 45점이상의 고기질불안군에 속하였다. 3) 일반위내시경과 수면위내시경 환자의 검사전 상태불안 정도와 검사후 상태불안 정도의 비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위내시경 전․후와 수면위내시경 전․후의 상태불안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정도를 검정한 결과 기질불안의 차이검정에서 성별, 교육수준에 따라서 기질불안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으나 연령, 결혼상태, 직업, 종교, 과거내시경 경험 횟수, 입원유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없었다. 검사전 상태불안의 정도에서 보면 성별, 연령, 결혼상태에 따라서 상태불안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외 직업, 교육수준, 종교, 과거내시경 경험 횟수, 입원유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5) 일반위내시경과 수면위내시경 환자의 신체 경험정도의 차이검정은 목의 이물감 및 통증, 숨쉬기, 배가 부풀어오르는 느낌, 배의 통증, 구토증상등 모든 경험에서 일반위내시경 환자가 신체적 증상호소가 심함을 알 수 있었고, 수면위내시경 환자는 편안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신체 불편감에서도 또한 일반위내시경 환자가 수면위내시경 환자보다 불편감이 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수면위내시경 검사는 기질불안이 높은 군에서 주로 선택하고 검사 전에 느끼는 상태불안은 일반위내시경 환자와 차이가 없었으나, 검사하는 동안의 신체 불편감은 일반위내시경 보다 확연히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위내시경 환자의 경우 안전하고, 수가가 저렴하며,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회복이 빨라서 일상생활에 빨리 복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가지 방법을 권장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두 가지 검사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선행되어야 하고 검사방법의 선택은 검사를 받는 대상자가 직접 할 수 있도록 한다면 검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일반성인의 영적 안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 건강상태.

        신지원 경북대학교 간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t only how average adults perceive and cope with spiritual wellbeing and stress, but also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randomly sampled 200 average adults from 20 to 60 years old who resided in Daegu, Korea. Tools us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 spiritual wellbeing tool developed by Palautzian and Ellison, revised by Choi Sang-sun (1990) and changed and improved by Gang Jeong-ho (1996), a stress-perceiving tool developed by Linn (1985) and revised by Go Gyeong-bong (1988), a stress-coping tool developed by Lazarus and Folkman (1985) and changed and improved by Park Ju-yeong (1995), and a tool to measure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as analysed using SPSS 12.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shown that those adults' average spiritual wellbeing level was 53.77 points (SD=8.06), that their average religious wellbeing level as a composite factor of spiritual wellbeing was 23.76 points (SD=6.02), and that their average secular wellbeing level was 30.01 points (SD=4.15). When the stress-perceiving and coping levels of the average adults were measured, it appeared that their stress-perceiving level was 28.26 points (SD=12.28), and that their stress-coping level was 55.91 points (SD=9.57). Their perceiving level of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hown to be 3.26 points (SD=0.80). When correlations between the average adults' spiritual wellbeing, stress-perceiving and coping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examined, the findings showed that correlations were r=.27 (.001)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stress-coping, r=-2.5 (.001) between secular wellbeing and stress-perceiving, r=.33 (.001) between secular wellbeing and stress-coping, and r=.22 (.001) between secular wellbeing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respectively. When correlation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stress-coping's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the problem-oriented coping, social support, emotional coping and desiring coping, were analysed, it was shown that correlations were r=.87 (.001) between spiritual wellbeing level and problem-oriented coping, r=.69 (.001) between spiritual wellbeing level and social support, r=.57 (.001) between spiritual wellbeing level and emotional coping, and r=.78 (.001) between spiritual wellbeing level and desiring coping, respectively. Also, it appeared that correlations were r=.28 (.001) between religious wellbeing and problem-oriented coping, r=.89 (.001) between religious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r=.93 (.001) between religious wellbeing and desiring coping, respectively, while being r=.90 (.001) between secular wellbeing and problem-oriented coping, r=.27 (.001) between secular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and r=.90 (.001) between secular wellbeing and emotional coping. I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piritual wellbeing level of average adult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heir using stress-coping, and that the higher their secular wellbeing level, the lower their stress-perceiving level while using more stress-coping, in addition to more excellent subjective health status.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 it is required firstly to continuously perform further studies on spiritual aspects with a variety of subjects to promote healthy social environments, and secondly to deeply and comprehensively study spiritual concepts that are still limited to a religious field.

      • 近代期 釜山과 馬山의 舊都心 變遷過程에 관한 考察

        신지원 東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近代期 釜山과 馬山의 舊都心 變遷過程에 관한 考察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Old Downtown in Modern Busan and Masan 建 築 學 科 慎 志 元 指 導 敎 授 金 基 守 본 연구는 근대도시가 형성되면서 새롭게 형성되어지는 도시기반 시설과 건축물들에 의해 도시가 변화되어가는 과정에 착안하여 부산과 마산이 개항 이후 근대도시로 변화하는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시공간의 변화에서 보여지는 구성요소는 단순히 오래되고 물리적인 도시 인프라의 전승이 아니라 그 지역이 현재까지 쌓아온 정체성으로서 보존되어야할 가치를 지니는 것에 착안하여, 일본전관거류지가 근대도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던 구성요소들을 파악하고 도시공간의 변화과정을 조사·분석하여 도시가 갖고 역사문화적 자료로서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과 마산의 개항(1886년) 이후 일본전관거류지 일대의 도시공간 변화를 초래한 주요 매립공사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여 일본전관거류지의 물리적 도시공간 및 필지, 가로, 지명을 주요대상으로 도시공간 변화를 고찰하며, 이를 위하여 각종 문헌 및 시기별로 발행된 지도 및 지적원도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산·마산은 오랜 세월 지방의 도시로 존재하고 있었던 지역으로 외세에 의해 개항을 하게 된 항구도시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부산과 마산의 도시형성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는 초량왜관과 마산항은 일본과 근거리라는 지정학적 위치에서부터 시작하였다. 두 지역 모두 일본의 침입과 위협이라는 동일한 상황이었으나 부산의 경우, 초량왜관이라는 교역시설을 통하여 일본과의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마산의 경우 합포성 및 조창을 중심으로 방어의 속성이 강한 읍성의 공간구조와 형태를 취하게 됨으로 현재까지의 도시 형태에서 그 영향을 찾을 수 있다. 두 지역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부산 일본전관거류지 일대는 초량왜관 당시의 서관인 삼대청과 육행랑의 필지형태가 현재까지 유지되어 왔으며, 마산 조창지 일대 또한 과거와 현재의 지적 원도를 대조한 결과 필지 및 가로에서 그 원형이 되는 형태가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지역 모두 매립을 통한 물리적 도시공간의 확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일본전관거류지의 경우 해관부지공사를 시작으로 차츰 북으로 도시공간을 확장하여 쌍산착평 후 초량지역까지 확장함으로써 부산일대까지 일본의 이권을 확대하는 개기가 되었으며, 남빈해안을 미축함으로써 현재 남포동 일대까지의 도시공간확장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마산의 경우에도 수차례의 매립을 통하여 조창지 이남으로 구마산의 영역을 확장하여 근대도시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 도로와 주요교통시설의 변화를 살펴 도시영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의 경우 매립공사와 시가지계획과 동시에 주요 도로들이 개통되었으며, 주요간선도로 및 전차의 개설로 업무 및 관공서 시설이 현재의 부민동까지 확산된 것을 확인하였다. 마산의 경우, 철도의 개설을 통해 구마산지역에 역사가 설치되어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이후 선로의 복선화작업으로 인해 구마산역과 선로의 폐지로 마산의 중심공간이 신마산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각 지역에 설치되는 주요교통시설과 도로들의 개설로 인하여 도시공간의 확장 또는 도심의 이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본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어 : 근대기, 부산, 마산, 구도심, 개항, 매립, 근대기반시설, 필지

      • 집합주거 내 공유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사성(私性)과 공성(公性)의 경계를 中心으로

        신지원 建國大學校 建築專門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합주거 내에서 공유공간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관점에서 비롯되었다. 현대 도시에서 도시형 집합주거는 고밀도를 위한 중요한 건물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대 사회가 갖고 있는 경계의 모호한 특성들은 건축에서 다루어져 왔던 기존의 이분법적인 고정된 관계를 바꾸고 있다. 특히 '도시화 및 네트워트화'라는 현대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부정할 수 없는 제반현상은 유동적 흐름에 의한 불확정적인 영역들을 형성하며 아울러, 흐름의 중첩에 의한 다층적이며, 다중심적인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생활방식은 이동과 매체에 근거하고 있으며, 도시와 주변간의 존재하던 위계도 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도시는 연결과 소통이 용이한 환경을 요구한다. 그로 인해 기존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환 및 새로운 환경을 요구하며 이러한 양상은 이전과는 다른 관계에 대한 재고를 유도하고 있는데. 특히 관심을 두는 주요한 쟁점중의 하나가 주거에 있어서 사성(私性)과 공성(公性)의 관계의 변화이다. 이런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서 도시구조와 집중화 되고 거대해지는 현대 도시에서 집합주거공간 구성요소인 사성(私性)과 공성(公性)에 대한 새로운 관계의 정의 및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과 전망의 제시를 하고자 하였다. 먼저 분석에 앞서 공유공간을 영역적 관점과 경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영역적 관점에서 공유공간은 '건물 내 전유공간이외의 공간'으로 공(公)과 사(私)적 영역사이에 연속적으로 전개되며 심리적으로 부드럽게 연결시켜 주는 완충적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보아 왔다면 경계적 관점에서의 공유공간은 외부의 세계와 내부의 세계가 만나는 장소이고 이것은 주관적이고 인식적인 것에 의해 소통되는 중간영역이다. 또한 지질적이고 물리적영역이기보다 관찰자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이며 소통되는 공간으로 정의 내려 질 수 있며, 이러한 경계사이 공유공간의 유형으로 전이공간, 경계공간, 매개공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사성(私性)이 비밀스럽고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며 공공에게 노출되어서는 안 되는 영역이며 다른 사람들의 간섭이나 감시 없이 개인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나 환경으로 규정하여 외부에서 침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개인적인 권리정도로 생각하여 왔다면, 공성(公性)은 그러한 것의 잔여 또는 그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私)를 둘러싼 높은 위계를 가진 영역으로 보아 공공의 행위가 일어나도록 모두를 위한 공공의 장소를 위해 제공된 것으로 보았다. 이런 사고에 따라 사(私)와 공(公)의 경계에 대한 관념도 물리적인 수단에 기반을 둔 1차원적이고 이분법적 분할로 보아왔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확대됨에 따라 밀집되어 있고 복합적이며, 다중심적이며 네크워크 구조를 가지게 되어 다양한 형태의 영역들이 복합성 속에서 연결됨에 따라 물리적 경계에 바탕을 둔 사성(私性)과 공성(公性)의 개념이 변화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경계의 재규정이 필요하다. 즉 사(私)와 공(公)이라 이름 지어진 경계를 만들기 보다는, 존재하는 공간에 인간이 자신의 행위에 맞추어 영역을 형성해 나가며, 그 행위가 개인적인 것이면 그곳이 사적 영역이 되고, 공과 접촉하는 행위를 하고 있으면 그곳이 공(公)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성(私性)과 공성(公性)의 경계의 변화를 대립되는 개념이 아닌 경계조절의 과정으로 보아야 하며, 이러한 경계 조절과정으로 공간을 상관적으로 형성시키는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의 접근방법으로 변화해야 한다. 또한 거주공간의 인터페이스로 공간의 상관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사성(私性)과 공성(公性)이 접힘과 펼쳐짐이라는 양방향의 힘의 관계로 내·외부를 파악함으로써 내부와 외부 및 사성(私性)과 공성(公性)의 형성이 타자와의 보다 적극적인 접촉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음을 여리 가지 사례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었다. 즉, 타자가 의식되고 교환됨으로써 기존의 폐쇄적인 주거세대의 적층이 아니라 다양한 개성화와 이웃이 표현되는 거주공간을 확보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거의 평면적인 경계조절 과정에서 벗어나 거주공간의 인터페이스로 공간의 상관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단면형상을 건축 입면에 적용한 사례를 통해 보다 확대된 차원으로서의 공간적 적용에 간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 perspective of the method to construct the space of common ownership within the multiple dwelling. The urban-type multiple dwelling in contemporary cities has taken root as an important type of building for high density. The awkward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y inherent in contemporary society change the existing dichotomous fixed relationship that have been dealt with in architecture. All the incontestable phenomena of 'urbanization and networking' occurring in contemporary society not only form the uncertain domains by its fluid stream but the multi-layered and multi-centered relationship network by the overlapping of stream. The way of life of people living in this situation is based on movement and media, and the hierarchy existing between the city and the periphery comes to disappear and accordingly cities require the environment facilitating connection and intercourse. This phenomenon requires a shift in thinking of the existing physical space and the new environment. This aspect induces the relationship different from the past to be reconsidered, and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s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cy and Publicity of dwelling. In this social-cultural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definition of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cy and Publicity,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multiple dwelling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and the specific alternative to and prospect for it. First of all,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pace of common ownership from a perspective of the domain and the boundary. From a perspective of the domain, the space of common ownership has been viewed as the space performing a buffering role that continually unfolds and softly connec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s as the 'space other than the space of exclusive ownership within the building'. From a perspective of the boundary, the space of common ownership is the place where the internal world and the external world meet and the middle domain in which people move by what is subjective and perceptual. And the domain of existing Privacy is defined as the domain that is covert and extremely private and should not be exposed to others or the space or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 engages in private action without interruption or monitoring from others and thought of as the private right for persons to be able to behave themselves freely without violation from others. The domain of Publicity is seen as the domain having the high hierarchy surrounding the private domain the concept of its residual or opposed to it and viewed as the one provided as the public place for all people so that public conduct may occur. According to this thinking, the ideology of the private and public boundary was viewed as the one-dimensional and dichotomous partition that is founded on the physical means. With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society, the concepts of the Privacy and Publicity natures of common ownership based on the physical boundary are changing as diverse forms of domains, concentrated, complex, multi-centered and network structu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boundary. When human beings form the domain by tailoring their behavior to the existing space rather than make the boundary named that of private and public natures, the domain becomes the private one if they engage in private behavior and it becomes the public one. The change in the boundary of the Privacy and Publicity is not seen as the conflicting concepts but as the adjustive process of the boundary, and the approach should be changed into the interface correlatively forming the space through the adjustive process of the boundary. To construct the correlation of the space as the interface of dwelling spac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capture the inside and the outside as the relationship of the bi-directional forces of folding and unfolding. It could be found from the analysis of several cases that the formation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the Privacy and Publicity could be obtained through a more active contact with others. It would be possible to secure the dwelling space in which the existing closed dwelling household does not remain but the diversity of personification and neighborhood are expressed as others are made conscious and exchanged. There was a case that the shape of the section was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elevation to break away from the process of the past one-dimensional boundary and construct the correlation of the space as the interface of the dwelling space effectively. This illustrates the possibility of spatial application as the more expanded dim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