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식세포의 식균 작용에 미치는 Ginsenoside Rb1의 효과

        신재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한 식균 작용은 선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Ginsenoside Rb1은 Panax ginseng의 뿌리에서 추출되는데 강력한 항염증, 항암,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저자는 Rb1이 macrophage의 phagocytosis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 여부와 그와 관련된 기전을 알아보았다. 방법 : 대식세포의 식균 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위하여 FITC접합 E. coli를 쥐의 복강내 macrophage와 RAW264.7 세포에 첨가하였다. 식균 지수는 유세포 분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결과 : Rb1은 용량 의존적으로 대식세포의 식균 작용을 증가시켰다. 또한 Rb1은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의 인산화를 용량,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하지만 p38 MAPK 억제제인 SB203580에 의해 대식세포에서 p38 MAPK 활동성이 억제될 경우 Rb1은 대식세포의 식균 작용을 증가시키지 못했다. 형질전환 성장인자-β-활성화 키나제 1(Transforming growth factor-β-activated kinase 1, TAK 1) 억제제인 (5Z)-7-oxozeaenol (OXO)은 Rb1에 의해 유도되는 MAPK kinase 3/6 (MKK 3/6)와 p38 MAP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그리고 OXO는 Rb1에 의한 대식세포의 식균 작용 증가 역시 차단하였다. 복강 내로 주입한 Rb1은 기관지폐포세척(Bronchoalveolar lavage)을 통해 얻은 폐 세포에서 p38 MAPK의 인산화 및 대식세포의 식균 작용을 증강시켰다. 결론 : 이러한 결과들은 ginsenoside Rb1이 p38 MAPK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대식세포의 박테리아 식균 작용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Rb1은 세균감염의 치료를 위한 약리학적 보조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Background: Phagocytosis by macrophag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Ginsenoside Rb1 is extracted from the Panax ginseng root and has potent anti-carcinogenic,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Rb1 can enhance phagocytic ability of macrophages to bacteria as well as the related mechanisms. Methods: Macrophage phagocytosis was measured by flow cytometry. For these experiments, FITC-conjugated E.Coli was added to peritoneal macrophages or RAW 264.7 cells. The phagocytic index was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Results: Rb1 enhanced macrophage phagocytosis to bacteria in a dose-dependent manner. Rb1 also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 a dose-,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when the p38 MAPK activity was inhibited by SB203580, a p38 MAPK inhibitor, in macrophage, Rb1 did not increased the phagocytic ability of macrophages.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activated kinase 1 inhibitor (5Z)-7-oxozeaenol (OXO)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MKK 3/6 and p38 MAPK induced by Rb1. And OXO also inhibited Rb1-induced increase in macrophage phagocytosis.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Rb1 enhanced phosphorylation of p38 MAPK and macrophage phagocytosis in lung cells obtained by bronchoalveolar lavag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oside Rb1 enhances the phagocytic capacity of macrophages for bacteria via activation of the p38/Akt pathway. Rb1 may be a useful pharmacological adjuvant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in clinically relevant conditions.

      • 아동의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향상을 위한 미술수업 방안 연구 : 광고의 비평적 읽기를 중심으로

        신재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media develops, we can have a variety of options and diverse visual experiences. Still, the visual substances make the world of false images look real by manipulating images, and they can lead to wrong judgement and choice since they are applied as if they are real. Therefore, the education for visual literacy is essential for children who have immature cognitive judgement as they are susceptible to be blinded by visual phenomenon. In this study, TV advertisements and print advertisements, which are the most common types of media for children, are used to make children’s visual interpretation active. Beyond providing information, advertisements play the role as documentary for the present period which contain social, cultural, economical facts. Advertisement has high value as method for social communication. That’s why multiple researchers warn that we could be ‘visual illiterate’ if we do not find out intention and purpose of advertisements. Therefore, this study will attempt to properly interpret and analyze its hidden messages and meaning of advertisements by applying the methods of advertising criticism. This study will be conducted by letting children creating their own advertisements with visual signs and components of advertisements. These produced advertisements will allow children to make the most of their aesthetic experience, enhance creative composition ability, and richen their sensibility. After the study, children can deeply understand advertisements’ roles and meanings by interpreting visual symbols (signs) produced. After the study is completed, the children's use of symbol and signs on their advertisements will be analyzed using the definition of semiotics by Roland Barthes and by Peirc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nd to November 9th, for 7 weeks, against children of 7-10 years old who attended 1:1 visiting art class in K-gu, Seoul. The result for clas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had difficulty in interpreting fast-passed advertising videos and implicitly expressed print advertisement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critical thinking got developed with reading and questioning advertisements thoroughly. Secondly, with advertising criticism based on the definition of semiotics, I could observe that students interpreted symbols expressed on TV advertisements and print advertisements closely to the producers’ intentions. Also, from the survey, more than 70% of the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that they can read intention and purpose of visual phenomenon approaching to them. From this result, we can find out that advertisement criticism using semiotics is effective. The study shows that students could interpret visual part of advertisements, and then analyze the hidden intention from the advertisements, and have critical thinking, observe visual phenomenon, improve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by using visual symbols. Thirdly, with producing advertisements, learners expanded their visual thought by using CVT system and mind map , and could produce the work reflecting their own purposes by symbolizing the drawn terms. Learners analyzed TV advertisement prior to print advertisement after listening how to read advertisement according to advertisement criticism. Though the students had short, visual cognition against fast-passed screen, they could find out the implicit meaning in the advertisements by using advertisement criticism. Also, after class, self-evaluation about developing visual culture understanding and visual literacy shows the same result. We can conclude that visual literacy class with advertisement criticism is significant since more than 70% of the students gave positive response that they could interpret intention from visual phenomenon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sort out the information which they actually needed. Nowadays, the period to be exposed to visual media is quickly extending to childhood. Now, visual culture education becomes essential. It is dangerous for children who have incomplete ego if they are exposed to this environment without any caution. We need to continue image literacy class for visual image to recognize these issues, let children look social phenomenon with critical thought. 미디어 발달은 우리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시하고, 다채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시각물들은 이미지 조작을 통해 허구로 이루어져 있어 이미지 속의 세상이 마치 실제처럼 작용하여 우리는 잘못된 사고와 선택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인지적 판단이 성숙하지 못한 아동들은 시각적 현상에 더욱 현혹되기 쉽기 때문에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은 필수 불가결하다. 아동의 시각적 해석을 능동적으로 하기 위해 본 연구는 아동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접하고 있는 TV 광고와 인쇄 광고를 활용할 것이다. 광고는 이제 정보전달의 기능을 넘어서 사회·문화·경제적 측면을 내포하고 있는 현 사회의 기록물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광고는 사회적 의사소통 수단으로써 높은 가치를 두고 있어, 광고의 의도와 목적을 읽어내지 못한다면 ‘시각적 문맹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아동들이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시각적 현상을 올바르게 읽어낼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학습자들은 연구자의 광고 비평방법에 따른 광고 읽기 활동지를 통해 광고에 표현된 여러 시각적 기호들을 해석하고 광고 속에 숨은 메시지를 분석한다. 또한 아동은 광고의 구성요소인 비주얼, 비주얼 사인 등을 활용해 광고 이미지를 제작함으로써 심미적 경험을 하고 창의적인 구성능력을 발휘할 것 이다. 광고 제작 활동 후, 학습자는 자신이 제작한 광고에 표현된 시각적 상징(기호)을 해석해보며 광고의 역할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한다.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광고 속에 어떤 기호와 의미를 담아 제작하였는지 바르트(Roland Barthes)의 기호학 정의를 살펴보고, 퍼스(Peirce)의 기호학 정의를 통해 작품을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K구 일대일로 이루어지는 방문 미술 수업을 하는 7-10세 아동을 대상으로 10월 2일부터 11월 9일까지 7주 동안 진행되었다. 수업에 대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빠르게 지나가는 광고영상과 함축적으로 표현한 인쇄 광고를 해석하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광고 읽기 및 발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비평적 사고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호학 정의를 바탕으로 광고 비평하는 방법을 통하여 TV 광고와 인쇄 광고에 표현된 기호들을 광고 제작자의 의도에 근접하게 해석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뿐 아니라, 학생들은 설문지를 통해 다가오는 시각적 현상의 의도와 목적을 읽을 수 있다고 70% 이상이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이를 통해 기호학을 활용한 광고 비평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일차적으로 광고의 가시적인 부분을 해석하고, 이차적으로 광고에 내포된 숨은 의도를 분석해보며 시각적 현상에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능동적인 시각을 가지며 광고 표현 활동을 통해 시각적 기호를 활용해 자기표현능력까지도 향상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광고 제작을 통해 자신이 광고하고자 하는 주제를 CVT시스템과 마인드맵을 활용해 시각적 사고를 확장했으며, 도출된 단어를 기호화하며 자신의 목적이 반영된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광고 비평 방법에 따른 광고 읽기를 들은 후, 인쇄 광고보다 TV 광고를 먼저 시청 후에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빠르게 지나가는 화면에 시각적 인지력이 부족했지만, 광고에 나타난 표현들을 광고 비평 방법에 따라 작품에 내재한 의미를 찾아낼 수 있었다. 또한 수업 후, 설문지를 통한 시각 문화이해 및 시각적 문해력 향상에 대한 자기평가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광고 비평적 읽기 수업을 통해 시각적 현상에 대한 의도를 해석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 향상에 70% 이상의 긍정적인 응답률로 나타나 광고 비평적 읽기 수업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 수업이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시각 미디어매체에 노출되는 시기가 점차 빠르게 아동기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시각문화교육은 필수 불가결하게 된 실정이다. 아동들은 불완전한 자아로서 무방비한 미디어 노출 환경은 위험성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아동들이 비평적인 안목을 갖추고 사회 현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시각적 이미지 읽기 수업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 연구

        신재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를 비교 분석하고,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를 살펴보는데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에 차이가 있는가, 두 번째 연구문제는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라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어휘 지식, 심성어휘집, 단어 연상과 의미 관계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단어 연상에서의 단어의 선택과 결합은 어휘 지식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단어 관계를 통해 우리는 학습자의 심성어휘집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어 연상과 다양한 의미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단어 연상 실험을 위해 20개의 제시어를 선정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한국어 모어 화자 60명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 결과를 해석하였다.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에는 차이가 있었다. 두 집단 모두 의미-기반 연상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의미-기반 연상, 위치-기반 연상, 불규칙 연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범주별로 살펴 본 결과, 동의어/유의어 연상, 개념적 연상, 주어-서술어 결합 연상, 목적어-서술어 결합 연상, 부사어-서술어 결합 연상, 합성 관계 결합 연상과 무관계 연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반응어의 종류는 모어 화자들이 더 많았으며, 반응어들은 대체적으로 두 집단 간의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에 차이가 있었다. 구체 명사에 따른 단어 연상의 경우 의미-기반 연상과 위치-기반 연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소범주별로 살펴보면 개념적 연상, 주어-서술어 결합 연상, 목적어-서술어 결합 연상, 합성 관계 결합 연상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상 명사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의 경우 구체 명사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을 때 개념적 연상의 반응이 더 많았으며, 두 집단의 구체 명사의 유의미한 의미 구조를 포함하여 부사-서술어 결합 연상과 무관계 연상에서 추가적으로 통계적 유의미했다. 이를 통해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과 상관없이 두 집단 간에는 단어 연상 의미 구조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의 차이는 사회·문화적 차이와 심성어휘집의 발달 정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가 어떻게 단어를 구성하고, 어떻게 습득해 가는지에 대한 단어 연상 의미 구조 연구가 없다는 점과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단어 연상 의미 구조의 양상을 다룬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직관을 신장시키기 위해 의미망을 활용한 다양한 어휘 교육이 필요하며, 더 다양한 제2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단어 연상 의미 구조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emantic organization in word association in Korean and Japanese. Chapter Ⅰ explain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established the issues by exploring preliminary studies. The first issue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associated semantic organization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second issue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associated semantic organization of two groups according to semantic features of stimulus words. Chapter Ⅱ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did literature review regarding 'word knowledge', 'mental lexicon' and 'word association'. word selection and word combination is related to word knowledge and their semantic relation provides us to grasp how to organize the mental lexicon of Korean learners. In addition, this chapter explained the word association test and diverse semantic relations in word associations. Chapter Ⅲ described the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experiment. This experiment was administered to 60 native Korean speakers and 60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y word association test. Chapter Ⅳ presen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ests. First, there was the difference in semantic organization in word association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most frequent response type of both groups was meaning-based association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ing-based associations and position-based associations, and erratic associations. In subcategor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ynonym association, conceptual association, subject+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object+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adverial+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and compound association. Native Korean speakers provided more various responses compared to Japanese learners bu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 among their reponses of two groups. Second, the difference in terms of word association in the two groups was found according to semantic features of stimulus words. In associations of concrete noun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ing-based associations and position-based associations. In subcategor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hown in conceptual association, subject+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object+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and compound association. In associations of abstract nouns, there were more conceptual association responses compared to association of concrete nouns. The association results were similar to that of concrete nouns and the differences were added in adverial+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and no link association. Thes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emantic organization in association between two groups regardless of the semantic features of stimulus words. Thess differences seems to come from their social and cultural discrepancy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mental lexicon. Regarding this, the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Lastly, Chapter Ⅴ summarized the results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This is meaningful work in light of there are no study on semantic organization in word association to examine their mental lexicon organization and vocabulary acquisition. And its results can be useful for vocabulary learning for Korean learners. Moreover, lots of vocabulary learning methods utilizing semantic field are needed for Korean learners to foster their language intuition and I expect further studies on the word association studies of various Korean learners would be made.

      • Conformation change of prion protein and its membrane interaction

        신재윤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including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and human Creutzfeldt-Jakob disease, are fatal neurodegenerative disease. The protein-only hypothesis1holds that prion proteins are the infectious agents of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Two molecular forms of the prion protein, the infectious form (PrPSc) and the normal cellular form (PrPC), are believed to differ only by their conformation. PrPSc has been found to differ from PrPC by infectivity, an increased β-sheet content, an increased resistance to proteinase K and an oligomeric state rather than a monomeric state. In the prion protein, there is only one intramolecular disulfide bond that is believed to play crucial role in the conversion of cellular form of prion protein (PrPC) into scrapie form (PrPSc). Fluorescence quenching, circular dichroism and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ssay show that α-helical structure of PrPC becomes unstructured when disulfide bond is reduced. This state was aggregation-prone in water phase but becomes stabilized in the presence of membrane due to its membrane binding ability. Finally, the deposition of prion protein in the membrane destabilized membrane integrity.

      • Application of nascent discoidal high density lipoprotein-like structure for nanoparticulation, solubilization and delivery of water-insoluble drugs

        신재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아포리포단백질 A-1는 732개의 염기 서열로 243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단백질로써 인지질과 결합할 수 있는 α-helical 도메인을 갖고 세포막을 통하여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콜레스테롤을 받아들여 결합함으로써 HDL(High Density Lipoprotein)을 형성하여 체내 콜레스테롤의 역전달 기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포리포단백질 A-1의 인지질과의 결합능력대한 활용가치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기본 구성단위인 인지질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막을 투과하지 못하는 물질의 세포막 투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약물 전달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연구 기반으로 삼을 수도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험관내에서 인지질로 구성된 고밀도단백질형태와 같은 나노구조체를 제조하였고 이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와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제조된 나노구조체 시료의 분리가 가능하였으며, 나노구조체를 구성하는 인지질을 생체 유용하지만 불용성 약물로 대체하여 약물의 가용화 및 표적세포까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불용성 항산화 물질인 Coenzyme Q10 (Co Q10)을 이용하여 coenzyme Q10으로 구성된 나노구조체 제조는 인지질로 구성된 나노구조체를 제조하는 기술을 응용하여 제조하여 그 구조체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세 가지의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아포리포단백질 A-1과 POPC 그리고 sodium cholate가 첨가된 혼합액A(NP-PL- Q10)과 POPC가 없는 혼합액B(NP- Q10)를 제조하고 각각의 혼합액에 CoQ10을 첨가하여 투석, 흡착제첨가 그리고 희석을 통해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 시료를 15000rpm 3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모든 침전물을 제거하고 FPLC와 HPLC분석을 통해 CoQ10을 정량한 후 나노구조체에서 나타나는 구조적인 형태를 DLS 및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 하였을 때 희석법을 통해 실험을 수행한 샘플에 대해서는 FPLC 및 HPLC로 분획 또는 정량을 통해 CoQ10 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구조적 형태를 DLS와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 나노구조체와 동일한 양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구성된 CoQ10 나노구조체의 물리, 화학적 안정성을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가용화 방법인 리포좀과 비교하여 다양한 온도와 pH조건으로 시료를 처리하여 리포폼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밀도단백질 형태의 나노구조체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항암체인 파클리탁셀 나노구조체를 조립하였다. 실험 진행 중 전처리 과정에 있어 POPC 그리고 sodium cholate가 첨가된 혼합액A(PTX-PL-NP)와 POPC가 없는 혼합액B(PTX-NP)를 제조하고 각각의 혼합액을 초음파, 가열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혼합액 내에 있는 sodium cholate의 미셀구조에 먼저 가용화를 시킴으로서 강력한 불용성인 파클리탁셀의 결정을 분산된 형태로 제조하고 그 혼합액에 50~100mM sodium cholate농도가 되도록 아포리포단백질 A-I을 첨가한 후 안정화하여 상기 방법으로 나노수용체를 제조하였다. 파클리탁셀 나노구조체의 경우 전처리 과정을 통해 파클리탁셀의 분산방법이 나노구조체 제조 방법에 있어 중요 사안으로 확인되었고 최종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해 전처리과정을 거친 시료의 경우에서 FPLC, HPLC를 이용한 정량 및 구조적 형태를 DLS와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이적으로 나노구조체와는 다르게 그 크기가 약 9nm로 확인이 되었고 형태 또한 거의 구형에 가까운 양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구성된 파클리탁셀 나노구조체를 다양한 pH와 온도에서 안정성을 500nm에서 광산란도를 측정하여 샘플의 동역학을 확인한 결과 다양한 온도별 조건에서 실시한 샘플의 경우 실험 시작 48시간 전 후로 하여 리포좀은 광산란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나노구조체의 경우 120시간까지도 안정한 양상을 보였으며 다양한 pH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단순 상온방치 임에도 불구하고 liposome의 경우 그 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특이적으로 파클리탁셀나노수용체의 경우 산성인 조건에서는 그 안정성이 감소하는 양상이보여 그 시료를 FPLC 및 CD로 분석한 결과 아포리포단백질 A-I이 파클리탁셀을 감싸는 형태가 아닌 코팅되어 있는 형태임을 예상하였고 낮은 pH에서 약물의 방출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현상을 적용한 소위 antibody-drug conjugate (ADC)라 불리는 항체와 약물의 결합체를 형성함으로서 약물의 효능 및 표적세포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특이적 항원에 대한 항체와 그 항원에 효과를 갖는 약물의 결합체를 제조하여 그 효능을 극대화하고 여타 다른 항체에도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항체에 결합되는 그 약물의 수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 그 수를 조절하여 안정성 및 특정 세포만을 사멸시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항체에만 국한되지 않고 RNA형태 항체인 압타머에도 적용하여 결합체를 제조하였다. 우선 단일항체로 구성된 ADC를 제조하기 위해 아포리포단백질A-I의 하나 혹은 두개의 친수성 아미노산을 설프히드릴기로 치환하고 항체와 나노수용체간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위해 maleimide와 succinimide로 구성된 링커를 이용함으로써 항체의 아민기와 나노수용체의 설프히드릴기를 연결하였고 FPLC, SDS-PAGE 및 DLS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항체와 나노수용체 그리고 ADC간의 크기변화를 이용하여 결합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번째로는 RNA형태 항체로 불리는 압타머와 결합된 ADC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압타머는 SELEX를 통해 생화학적으로 합성된 뉴클레오티드 단일가닥으로 필요에 따라 3’영역을 다양하게 변이가능하기 때문에 이황화결합을 통해 쉽게 ADC를 제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설프히드릴기가 부착된 압타머를 이용하여 결합하였고, 이때 이온교환수지와 260, 280nm파장에서 압타머의 결합유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체합성 단백질을 이용하여 유용한 불용성물질의 가용화 기술을 제시하며 또한 구성된 가용화 나노수용체를 이용하여 표적약물로써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경력전환 과정 연구

        신재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평생교육 교강사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를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와 강사를 아울러 이르는 용어이다. 평생교육 교강사는 평생교육사와 함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평생교육 교강사에 대한 연구는 학교 교사와 평생교육사에 대한 연구에 이어 최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교강사로 경력을 전환하게 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활동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경력전환 맥락은 어떠한가? 둘째,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경력전환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가? 셋째,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경력전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활동은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가? 연구자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전 경력에서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고, 직전 경력과는 상이한 분야의 평생교육 교강사로 경력을 전환한 평생교육 교강사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경력전환의 맥락’, ‘전문분야 학습’, ‘강의법 학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들이 평생교육 교강사로 경력을 전환하는 맥락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우선 연구참여자들은 사회적 장애, 사회적 지지와 같은 환경의 영향 안에서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경력전환을 고려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의 만족감, 자율성, 경제적인 보상과 같이 경력전환 이후에 얻게 되는 결과에 대한 기대 또한 경력 전환을 고려하게 되는 맥락이었다. 마지막으로 흥미와 자기효능감은 평생교육 교강사로 경력전환을 고려하게 되는 중요한 맥락으로 작용하였다. 자신이 진정으로 좋아하고 잘하는 것에 대한 탐색과 가르치고 배우는 일 자체에 대한 흥미와 자기효능감은 연구참여자들이 평생교육 교강사라는 새로운 경력으로 경력전환을 시도하게 하였다.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경력전환 과정은 경력전환의 목표 선택, 목표 선택 이후 스스로에 대한 인식,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경력전환을 위한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졌다. 평생교육 교강사로 경력전환의 목표를 선택한 후 연구참여자들은 평생교육 교강사로 평생교육 현장에서 종사하기 위하여 스스로 보충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 고려하게 되었다. 강의에 대한 두려움과 전문 분야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은 이들이 평생교육 교강사로 경력전환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주로 문제로 인식하는 부분이었다. 경력전환 준비 과정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연구참여자들은 경력전환을 위한 학습활동을 선택하였다. 경력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활동은 ‘전문분야 학습’과 ‘강의법 학습’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기회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적절한 학습을 선택하였다. 전문분야에 대한 학습을 위하여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관심 분야에 대한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 방법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자기주도적으로 해당 분야에 대하여 학습하거나 자율적 학습동아리를 구성함으로써 학습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담당하는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관심분야를 넓혀나가기도 하였다. 강의법을 학습하기 위하여 연구참여자들은 교육과 관련된 강의를 수강하거나 스스로 강의와 관련된 학습을 하였다. 또 인턴강사로 활동하거나, 조직 내 학습활동 참여하는 모습도 보였다. 이와 더불어 강의 경력을 통한 강의법 학습과 성인학습자에 대한 학습은 이후 평생교육 교강사 경력에 대한 강의 전문성을 심화하는 것으로도 연결되었다. 본 연구에서 평생교육 교강사 경력전환 과정을 해석하기 위해 제시한 모형에서는 학습활동의 선택을 ‘강의법 학습’과 ‘전문 분야 학습’으로 나누어서 제시한다. 이 모형은 경력전환 이전에 이루어지는 학습뿐만이 아니라 경력전환 이후에 이루어지는 학습의 보충을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 모형을 활용하여 경력전환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이 중점을 둔 학습활동에 따라 경력전환의 유형을 5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성인교육자로의 경력전환을 위한 학습에 중점을 둔 연구참여자들은 성인교육 관련 학습량에 따라 “1” 유형과 “2”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새로운 분야의 전문가로의 경력전환을 위한 학습에 중점을 둔 연구참여자들 또한 새로운 분야 관련 학습량에 따라 “1”과 “2”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인교육자로의 경력전환과 새로운 분야의 전문가로의 경력전환 모두에 중점을 두고 학습활동을 선택한 연구참여자들은 각 “1”유형의 중첩지점에 위치한 “0”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경력전환 유형의 구분을 통해 연구자는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균형적인 경력전환 방향으로 “0” 유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전환 과정에서 성인교육자로 거듭나기 위한 학습과 새로운 분야의 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한 학습을 하는 평생교육 교강사를 평생학습자로 바라본다. 평생교육 교강사는 경력전환 과정에서 성인교육자와 새로운 분야의 전문가에 대한 학습을 통해 두 역할을 균형 있게 수행하고자 노력한다. 그러한 노력에 대해 살펴보는 본 연구는 이후 평생교육 교강사의 양성과정과 자격제도의 방향을 안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거점국립대학 캠퍼스 도서관 휴식공간 유형 분류 및 사용특성 분석

        신재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대학 캠퍼스들은 학습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많은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캠퍼스 내 도서관은 다른 시설물 보다 학생들 및 지역 주민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에 속하고 이용자들 간에 의사소통의 장이 될 수 있으며 상호접촉의 기회가 보다 많은 시설물 이다. 대학 캠퍼스 도서관의 휴식공간은 보행, 휴식, 만남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휴식의 효율을 증가시키게 되는 휴식공간을 계획 하게 되면 학습효과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는 휴식공간과 이용자들을 분석하여 이용하기 쉽고 쾌적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 university campus, the library's rest room, and an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to: First, the resting place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study and relax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major types. And the rest of the space elements include floors, walls, ceilings, pillars, air, color, sound and lighting was limited. Second, each university libraries around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that examined the practice of relaxation. Third, as a survey among users of the behavior and preferences were identified. Fourth, a survey of the elements of relaxation with a preference for a comfortable and easy to use comprehensive analysis to plan the space to give reasons.

      • 동대구 가로의 식재유형별 시각적 특성 및 선호도 분석

        신재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Street is a space where major urban activities occur, and is formed as visually-perceptually sequent experiences by walking. In addition, it shows various respons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actors such as the arrangement and types of street components and non-physical factors such as lifestyle and cultural patterns of urban resid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ubjective response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components should be led to objective and quantitative data in order to provide comfort and satisfactory streets that everyone can sympathize with. Thus, this study assessed the factors having an effect on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based on the planting types of street tree that is a typical natural object among street components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dynamic simulation, which is the most objectified method among currently developed media, and enables visual experiences associated with walking. The study method selected planting types in order to use them for a basic data of street tree planting design by applying them to Dong-Daegu Streetscape, where is the typical gateway road to Daegu Metropolitan City. As the available types for the object area, single row roadside planting, single row central sidewalk planting, double row parallel planting, and double alternative planting were selected.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imulation was constructed by using CAD drawings and photographs of the object area in order to ensure the simulation with high objectivity and reality. A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perceive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by extracting walking simulation video of each street planting type. As a result, the single row roadside planting is a type that is seen in common streets, has less view blocking factors on sidewalk and street trees are simply arranged as single row. Therefore, it clearly showed a tendency of 'wide,' 'regular,' and 'simple' images. Street trees are planted in the center of sidewalk in the single central sidewalk planting. Therefore, it showed a sharp contrast with other planting types in the images of 'unstable,' 'disordered,' and 'unfamiliar.' The double row parallel and alternative planting as double row planting types for increasing green volume of street tree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of 'simple' and 'stereotypical' images compared with the single row planting. It was considered that users had an interest in green by street trees and their arrangement form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double row alternative planting provided the best comfort, and that double row planting increased the tendency of comfort, continuity and beauty images with an increase in number of street trees and greenness. As the results of preference analysis of physical items, the street planting types and number of street tree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double row alternative planting, 5.01 and 4.94 respectively. Moreover, the green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double row parallel planting, 4.87. However, it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double row alternative and parallel planting. It was considered that the double planting types that had many more opportunities to provide green were preferred to the single row planting. In the overall landscape rank of street, the double row planting, double parallel planting and single row roadside planting were preferred in that order. As a result of gap analysis of each preference, it showed that preference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street planting types, which were the single row and double row planting. The common image characteristics that had an effect on this preference showed 'comfort,' 'beautiful' images, and it was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and essential factor in street improving through the use of street tree planting. Observing the direction of planting design for the object region by synthesizing effects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the double row alternative planting wa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planting type when taking into account only the visual preference except for economic and ecological perspective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double row parallel planting, this is because it was possible to increase interest in street other than the comfort and beauty through securing sufficient green by showing relatively high image trends such as interest and diversity that users feel showed relatively high. The single row roadside planting is deficient in number of trees and green compared with the double row planting, and lacks of visual diversity. However, it was considered an appropriate type when taking into account users' traffic, orderly and regular images because of the clear view. It seems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the preference of this planting type by methods such as installation of flowerpot or planted in a container. This study applied not two-dimensional static simulation used in previous studies but three-dimensional dynamic simulation to the actual object region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effectively perceive the changes of stree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lanting direction from the visual aspects by lead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to quantitative data associated with walking.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objective and quantified standard reflecting users' opinions when planning or designing streetscape by sustainable research through the use of dynamic evaluation tool that has remained as an experimental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