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담관암에서 MUC1, MUC2, MUC5AC와 MUC6의 발현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

        박신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점액소(mucin)는 위장관계의 상피세포에서 분비되어 상피의 방어와 윤활작용을 하는 고분자량의 당단백이다. 점액소의 발현은 암세포와 암의 진행과정에서 변화하게 되며, 여러 종양에서 특정 점액소의 발현이 예후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담관암 환자에서 MUC1, MUC2, MUC5AC 와 MUC6의 발현을 알아보고,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연관성 및 예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점액소의 발현차이에 따라 해부학적으로 인접한 췌장선암과 담낭선암으로부터 담관암을 구분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수술적으로 절제된 85예의 담관암, 14예의 췌장선암과 11예의 담낭암 조직에 MUC1, MUC2, MUC5AC와 MUC6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85예의 담관암중 34예는 간내담관암, 51예는 간외담관암이었다. 결과: 담관암에서 MUC1, MUC2, MUC5AC, MUC6의 양성발현율은 각각 68.2%, 23.5%, 61.1%, 14.1%였다. MUC1의 발현은 담관암의 낮은 분화도 (p=0.002), 높은 T병기 (p=0.003), 육안적 분류 (간내 담관암 p=0.005, 간외담관암 p=0.006) 및 환자의 나쁜 예후 (p=0.015) 와 관련이 있었다. MUC5AC는 진행성 담관암종 (p=0.013)에서 더 많은 발현을 보였고, MUC6는 고분화 담관암 (p=0.006)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담관암, 췌장선암과 담관선암 사이의 점액소의 발현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결과는 담관암에서 MUC1의 발현이 역분화, 침윤성 성장과 환자의 예후에 관련되어 있음을 보였고, MUC1이 담관암의 진행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한말 조선의 법률문화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 : 헐버트와 무스를 중심으로

        박신영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eigners' awareness of Korean legal cultures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Legal cultures refer to regular patterns of behavior shared by the members of society in relation to law. It is a concept encompassing the legal system, legal procedure, legal custom, and the legal perception. So understanding the legal cultures helps clarify the actual legal situation in a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foreigners' perceptions of the actual legal situation of the time by focusing on the records of Homer Hulbert and Robert Moose who resided in Chosŏn for a long time and learned Chosŏn society by experience. It also tries to grasp the context behind their perceptions in order to conduct a multifaceted analysis. Korean legal cultures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assume transitional aspects because the traditional law and the modern western law were mixed and adopted at the same time. Foreigners who experienced the legal cultures mainly paid attention to the execution of trials and punishments. Most of them considered them negatively. Their perceptions were expressed by pointing out the premodern features and corruption of Korean legal cultures. As Hulbert stayed in the capital and Moose stayed in regions, there were different evaluations on trial procedures between the areas in terms of the advancement of modernity.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though. Whether in the capital or regions, the negative awareness of trial procedures was found. There was no foreigners' positive awareness of legal cultures. It is clear that their perceptions were based on the negative aspects of the actual legal situation. There are two reasons why foreigners' perceptions were so biased. First of all, most of the foreigners recognized the wrongful interaction between law and politics such as the law abused as a tool for political corruption. Second, they did not consider the formation of the unstable legal cultures resulting from the heteronomous and radical introduction of the modern western law at an early stage.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foreigners' perception, meanwhile, the actual state of Chosŏn legal cultures was revealed as well. The detailed information on specific applications of law, its enactment, and the members of society under it is found, which is missing in Korean materials. The foreigners' awareness, as a third view which differs from ours, provides us with the new factual information and enables us to recognize the parts which we could not grasp before. Although their awareness highlights mostly the negative aspects, it can be accepted as a part of understanding Korean legal cultures once it is verified by being cross-examined with Korean materials. 이 논문은 한말 조선의 법률문화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법률문화는 법과 관련해서 사회 구성원들 간에 공유되어 일정하게 나타나는 행동 양식을 의미하며 제도·절차·관습·감정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므로, 이에 대한 파악은 한 사회의 법 실상을 규명하게 한다. 이 논문은 당시 조선에 장기간 머무르며 조선사회를 체득했던 헐버트와 무스를 중심으로 하여 법 실상에 대한 외국인들의 기록과 인식을 검토하고, 보다 입체적인 분석을 위해 인식의 배경을 파악하였다. 한말의 법률문화는 전통법과 근대법이 혼효되어 쓰임에 따라 과도기적 양상을 보였다. 외국인들은 이러한 법률문화를 경험하였는데, 주로 재판과 형벌의 집행에 주목하였으며 대다수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인식은 크게 전근대성과 부정부패에 대한 지적으로 나타난다. 이 가운데, 헐버트와 무스가 각각 수도와 지방에 체류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재판 운영상 근대성의 정도에서도 지역 차가 드러났다. 그러나 문자 그대로 미세한 차이일 뿐, 부정적인 인식은 한성과 지방을 막론하고 전반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법률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거의 찾아볼 수 없으므로 외국인이 실상의 부정적인 측면에만 집중하여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그들의 인식이 경도되어 나타난 데에는 두 가지 배경 및 특징이 있다. 첫째, 다수의 외국인은 법이 정치적 부정부패에 있어 도구로 전락하는 등 법과 정치가 부정하게 상호작용하는 실태를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근대법의 도입이 초기 단계에서 타율적이고 급진적으로 이루어졌기에 불안정한 법률문화가 형성된 측면을 고려하지 않았다. 한편, 외국인의 인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조선 법률문화의 실상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드러난 법 실상은 우리 자료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었던 법의 구체적인 운용 양상, 법을 집행하거나 적용받는 사회 구성원의 모습 등과 같은 미시적인 측면이다. 타자(他者)인 외국인의 인식은 우리와 다른 제3의 관점으로써, 새로운 사실을 제시해 주고 포착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자각하게 한다. 비록 그들의 인식이 부정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엄격한 기준에 따른 자료 선정, 우리 자료와의 교차검토 등 신뢰성 검증이 전제된다면 조선사회에 나타났던 법 실상의 단면으로 수용가능하며, 이는 조선의 법률문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될 것이다.

      • 『호밀밭의 파수꾼』과 사이버 상담 사례 분석을 통한 부적응 청소년의 도피형 생활양식 탐구 :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적용과 치유

        박신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Maladjusting teenagers have difficulties and issues covering school and general life. If we cannot understand the mental psychological dynamics of a teenager, it is impossible to cut the link of the lifestyle that is repeated whenever such issues arise. Based on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treatment and counseling theory of Adler,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issues that maladjusting teenagers experience and analyze the lifestyle that can react to stress situations and find a way to cut the link of the vicious cycle they are going through and present a policy to prevent such issues.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yzed novels and studied the lifestyle that are shown during the process of maladjusting teenagers overcoming inferiority and pursuing superiority. Also, through cyber counseling case analysis, we analyzed the evading style life style that is shown from the lives of teenagers.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The catcher in the Rye』, Holden Colfield is a rebellious teenager who stops studying continuously. Holden who has intellectual inferiority to his siblings takes on a evading lifestyle that evades the life issues to dodge the stress from inferiority. This brings isolation from the community and brings impulsive style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Upon the cyber counseling case analysis, the conduct type of the Korean teenagers that claim maladjusting can be categorized into passive aggression type, addiction type, lethargy type, ideal pursuit type. The external conduct that these teenagers show are all different but in stress situation, it can be seen as a different type of avoiding lifestyle that ignores the essence of the issue. In individual psychology, the reason why such various issues arise in life is that during the process of compensating the inferiority, it forms a misguided pathological phenomenon of inferiority and false lifestyle from the lack of community mind for the maladjusting teenager. Therefore, in order to help the major issues of maladjusting teenagers, we can offer to adjust the errors of inferiority complex and improve the community mind and modify the false life style as a healing method. 부적응 청소년들은 학교 및 일반 생활 전반에 걸쳐 어려움과 문제를 지니고 있다. 청소년의 내면적 심리역동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이들이 문제 상황마다 반복하고 있는 생활양식의 고리를 차단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심리치료 및 상담이론을 바탕으로 부적응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문제의 근원을 이해하고,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생활양식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경험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설을 분석하여 부적응 청소년이 열등감을 극복하고 우월을 추구하게 되는 과정에서 보이는 생활양식을 탐구하였다. 또 사이버 상담 사례 분석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삶에 드러나는 도피형 생활양식을 분석하였다.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의 주인공, 홀든 콜필드는 반복적으로 학업을 중단하는 반항적인 청소년이다. 형제관계에서 지적 열등감을 갖고 있는 홀든은 열등감이 주는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삶의 과제를 회피하는 도피형 생활양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공동체로부터의 소외의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우울과 불안과 같은 신경증적 양상을 가져왔다. 사이버 상담 사례를 분석한 결과 부적응을 호소하는 한국 청소년들의 행동 유형을 소극적 공격형, 중독형, 무기력형, 이상향 추구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들 청소년이 보이는 표면적인 행동은 모두 다르지만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의 본질을 외면하고자 하는 도피형 생활양식의 다른 양태임을 알 수 있었다. 개인심리학에서는 부적응 청소년이 생활전반에서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지니게 된 것이 열등감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잘못 빚어진 열등감의 병리적 현상과 공동체감 결여의 결과로 인한 잘못된 생활양식의 형성 때문인 것으로 파악한다. 그러므로 부적응 청소년들을 제반 문제를 돕기 위해서 열등 콤플렉스의 오류를 교정하고, 공동체감을 향상시켜 잘못된 생활양식을 수정하는 것을 치유책으로 제시할 수 있다.

      • 항공서비스 회복공정성이 회복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좌석등급 조절효과

        박신영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항공서비스 회복공정성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회복공정성의 구조관계에 대한 좌석등급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항공사 고객충성도 강화를 위하여 상위석 고객가치의 중요성 인식을 기반으로 항공서비스 좌석등급 고객집단 간의 지각차이와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효과적인 항공서비스 회복공정성 수립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항공서비스 고객의 일반적 특성과 고객집단 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항공서비스 고객의 회복공정성과 회복만족, 고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 structure equation model)을 실시하였으며 좌석등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결과, 항공서비스 회복공정성 측정변수인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분배 공정성은 회복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회복만족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3개 차원의 회복공정성이 고객충성도를 강화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좌석등급 고객집단 간의 지각차이를 분석한 결과, 항공서비스 상위석 고객집단의 항공서비스 회복공정성, 회복만족, 고객충성도 지각은 일반석 고객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하여 상위석 고객이 일반석 고객에 비해 항공서비스 전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고객충성 도가 높은 집단이라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좌석등급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일반석 고객은 상호작용 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높고, 상위석 고객은 분배 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높다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여 좌석등급이 고객의 지각차이를 조절하는 변수임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회복공정성 구조관계에 대한 좌석등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

        박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의 전반적인 양상과 교사의 개인 및 기관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은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특히 긍정적 대인관계가 높고 환경 통제력과 자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변인 중 연령, 결혼여부, 교육정도가 심리적 안녕감과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자율성과 삶의 목적이 높고, 기혼 교사가 미혼 교사보다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자율성, 환경 통제력, 자기수용이 높으며, 교육정도가 대학원재 이상인 교사가 4년제대졸인 교사보다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은 기관변인 중 기관규모, 근무시간, 월급여에 영향을 받았다. 즉, 4학급 이상 6학급 이하 규모의 기관 교사는 7학급 이상 기관의 교사보다 환경 통제력이 높고, 3학급 이하 기관의 교사보다는 긍정적 대인관계가 높았다.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환경 통제력, 자기수용이 높았으며, 월급여가 많은 교사가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협동적 조직문화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며, 특히 동료적 지원이 높고, 교사 협동과 협동적 지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인 연령, 결혼여부, 교직경력, 교육정도는 모두 협동적 조직문화와 하위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35세 이상일수록, 기혼일수록, 교직경력이 6년 이상일수록 동료적 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고,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협동적 조직문화 전체와 모든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모든 기관변인, 즉 기관유형, 기관규모, 근무시간, 월급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무하는 기관의 규모가 작을수록,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협동적 조직문화 전체와 협동적 지도성, 전문성 개발, 목적 일치성, 동료적 지원을 높게 인식하였다. 반면, 사립 유치원 교사일수록, 월급여가 150만원 미만일수록 근무하는 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와 모든 하위요인에 대해 낮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는 정적 상관이 있으며 하위요인 간에도 전반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위요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전문성 개발 사이에서 가장 높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즉, 유치원의 조직문화가 협동적일수록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교사의 높은 심리적 안녕감은 협동적 조직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교사의 대인관계 안녕감이 높을수록 유치원의 전문성 개발 문화가 협동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aborative culture of kindergartens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and facilities'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aborative culture of kindergart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i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The most highly perceived subordinate 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is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whereas environmental mastery and autonomy are most lowly perceived. Among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age, marriage, and education level appear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lder teachers are, the stronger autonomy and purpose in life they have. Married teachers show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on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and self-acceptance than unmarried teachers. Teachers with graduate degrees or in graduate schools appear to have higher autonomy than teachers with a bachelor' degrees. Among the facilities' variables, the scale of facilities, hour of duty and monthly wage appear to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with 4 to 6 classes are revealed to have higher environmental mastery than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7 classes. Also they have stronger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than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with less than 3 classes. Teachers who work less than 10 hours a day, are shown to have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on environmental mastery and self-acceptance than those who work more than 11 hours a day. Teachers with high salary carry out higher autonomy than those with low salary. Second, the level of collaborative cultur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is generally higher than average. The most highly perceived subordinate factor of collaborative culture of kindergartens is collegial support, whereas teacher collaboration and collaborative leadership are most lowly perceived. All of the teachers'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marriage, and teacher's education level and teaching career are appear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a teacher's perception of a kindergarten's collaborative culture and subordinates. Teachers who are more than 35 years old, are married, or have more than 6-year teaching career appear to perceive collegial support more highly than other teachers.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show more highly perceived collaborative culture of kindergartens and its subordinates. Moreover, all of the facilities' variables such as type and scale of facilities, hour of duty and monthly wages appear to influence on collaborative kindergarten culture and its subordinates. Private kindergartens are reveale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collaborative culture and subordinates. The smaller scale kindergartens are, the stronger collaborative culture, collaborative leadership, professional development, unity of purpose, and collegial support are formed. The less teachers work, the stronger perceptions on collaborative culture and all of its subordinates except teacher collaboration they have. Teachers with the lowest monthly wage are shown to have the lowest perceptions on collaborative culture and its subordinates.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eachers and collaborative culture in kindergartens. Subordinate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bordinate factors of collaborative culture, as well. Especially, positive culture of kindergartens influences on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ly and vise-versa. Especially, teachers'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helps to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culture.

      •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과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신영 창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 전문성, 직무만족 간의 관계, 그리고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과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원시 소재 어린이집의 원장 159명을 설문조사하여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배경(연령, 학력, 경력, 전공, 기관유형)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 전문성, 직무만족의 일반적 경향성,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과 전문성, 직무만족 간의 관계, 넷째,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과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신념을 알아보기 위해 Schaefer와 Edgerton(1985)이 개발하고 이기영(2007)이 번안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전문적 자질에 대한 조사를 위해 사용된 도구는 지성애(2001)가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제작한 ‘보육시설장의 전문적 자질’ 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만족에 관하여는 유치원교사 직무만족도 검사도구 중에서 송유진(1993)이 번역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배경(연령, 학력, 경력, 전공, 기관유형)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과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각 변인의 일반적 경향성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 다음으로 보육신념과 전문성, 직무만족간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잔차의 독립성을 확인하기 위해 Durbin-Watson 값을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다중공선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VIF 값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은 연령과 전공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학력에 따라 전문지식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대학원을 졸업한 어린이집 원장이 전문대학을 졸업한 어린이집 원장보다 전문지식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라 전문지식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이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11년 이상 1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어린이집 원장이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어린이집 원장보다 전문지식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기관 유형에 따라 보수와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직장 어린이집 원장이 가정 어린이집 원장보다 보수에 더 높은 직무만족을 나타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 전체 평균은 다소 낮은 편이며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아동중심신념, 성인중심신념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전체 평균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시설운영 관리기술, 보육프로그램의 운영지식과 기술, 상징적 능력, 보육종사자와의 관계수립, 공적관계형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만족 전체 평균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시설설비, 전문지식능력, 근무환경, 인간관계, 사회적 인식, 직무자체, 보수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사회적 인식과 직무자체, 보수가 전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 전체와 직무만족 전체의 관련성에서 통계적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전체와 직무만족 전체의 관련성에서 통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보육신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아지고, 전문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신념과 전문성은 직무만족 전체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직무만족에 대해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보육신념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보육신념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신념과 전문성의 하위변인에 따른 직무만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에 대해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하위변인인 상징적 능력, 다음으로 보육신념의 하위변인인 성인중심 신념, 마지막으로 전문성의 하위변인인 시설운영 관리기술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원장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 하위변인 중 상징적 능력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이며 유능하게 어린이집을 운영해야 하는 원장은 영유아보육 분야에 대한 확고한 보육신념을 가지고 전문성을 높이는 재교육의 기회와 자기성찰의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를 통해 교사와 학부모에게 영유아보육에 대한 철학과 목표, 미래적 비전을 제시며, 리더로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그 믿음에 적절한 행동을 수행해야 한다. 또, 부모의 다양한 요구와 지역사회의 문화를 계승, 유지하고 정부의 규정과 영유아관련 법령을 준수하는 새롭고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인성을 발휘하므로 어린이집을 대표하며 경제적 기준에 흔들리지 않고 정체성을 위한 상징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은 아동중심의 보육신념과 상징적 능력의 전문성을 높여 어린이집 원장의 고유직무를 만족스럽게 수행함으로 영유아 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어린이집 원장, 보육신념, 전문성, 직무만족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 care belief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159 directors from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Changwon city. This study analyzed (1)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age, academic credential, career, major, and the type of institution), (2) the pervasive trends in their child care belief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3)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beliefs and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4) the impact of‘child care beliefs and professionalism’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to grasp child care beliefs, was Lee (2007)'s adapted version of inventories by Schaefer & Edgerton (1985).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was Ji (2001)'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Inventory for Chiefs of Daycare Facilities that was produced in her research study on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of chiefs and teachers of daycare facilities fo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as Song (1993)'s questionnaire that translated one of inventories for the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5.0. First of all,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age, academic credential, career, major, and the type of institution), and Scheffe test was conduct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Secondly,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child care beliefs and professionalism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ffected their job satisfacti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regarding the pervasive trends of each variable, and then Pearson product-monet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hild care belief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ere calculated.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efore th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Durbin-Watson value was checked to confirm the independency of the residuals, and VIF value was checked to see whether multicollinearity appea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for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by backgroun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major,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i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 When a post-hoc analysis was made about academic credential, the directors who completed graduate school surpassed the community college graduates in that rega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ies according to career. When a post-hoc analysis was made, the directors whose years of experience were between 11 and 15 excelled the directors with five years or less of experience in that aspec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 to pay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When a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directors of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expressed more job satisfaction with pay than those of the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Secondly,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in child care beliefs was sort of low. Among the subvariables, they scored the highest in child-centered belief, followed by adult-centered belief.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in professionalism was quite high. Among the subvariables, they scored the highest in facility management skills, followed by knowledge and skills for child care program operation, symbolic ability, relationship building with child care staff, and public relationship building. Finally,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in job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Among the subvariables, they scored the highest in facility and equipment, followed by professional knowledge/abilities, work environments, human relationships, social awareness, job itself, and pay. Specifically, their scores in social awareness, job itself and pay were below the total average score. Thirdly,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child care beliefs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ere was a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overall professionalism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That is, the findings imply that better child care beliefs led to lower job satisfaction, and that higher professionalism led to more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child care beliefs and professionalism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total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more affected by professionalism, followed by child care beliefs. Child care beliefs were negatively influential.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was under the significanc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s of child care beliefs and professionalism. Symbolic ability that was one of the subvariables of professionalism exercised the larges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adult-centered belief that was a subvariable of child care belief, and the third influential one was facility management skills that was a subvariable of professionalism. The findings signify that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among the subvariables, symbolic ability affected their job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directors who have to manage child care centers in a rational, efficient, and competent manner should have a firm child-centered child care belief in the field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care, and that they should be given a chance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by receiving reeducation and to reflect on themselves. Besides, they should present their philosophy, goal and futuristic vision about child care to teachers and parents, and they should put confidence in themselves as leaders and behave in a trustworthy manner. Also, they should address the various needs of parents, develop local culture, abide by the regulations and laws of the government, and demonstrate creative personality to positively respond to new and diverse situations. Finally, they should represent child care centers and perform a symbolic role for identity building without being swayed by economic standards. Indeed, it is found that the quality of child care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can be improved whe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have a child-centered child care belief,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of symbolic ability, and thereby perform their essential duties well.

      • 1950-60년대 <누벨 에콜 드 파리>의 한·중·일 작가 연구

        박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major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rtists of “Nouvelle École de Paris” in the 1950s and 60s.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rts traditionally have a strong relationship. Especially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of these three countries have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ng and recreating the Western art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World Wars. France is the country played the most significant role in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art to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Postwar 1950s and 60s were the most important period when the Asian artists were active in France. As one of the strategies to gain the upper hand in the competition with the United States over the initiative of the culture central at the time France selectively accepted new and young artists from more diverse countries to maintain the fame of “École de Paris” which had the global recognition for including the foreign artists who lived and worked in the early 20th century Paris. And they called it “Nouvelle École de Paris” meaning the new generation of “École de Paris”. As the inflow of Asian-American artists to France was increasing and the Western interests on the Eastern world was growing many artists from the Far East Asia like China and Japan came under “Nouvelle École de Paris”. Apart from Informel and Tachisme, lyrical abstraction and other art genres were part of “Nouvelle École de Paris” and a wide range of media like painting, print, ceramics and more were accepted. Abstract artworks that represent the interest on tradition and nature were especially preferred and it can be seen as the basis of the strategy to lay emphasis on the French artistic tradition and legitimacy. In China, Zao Wou-Ki and Chu The-Chun were regarded as ‘Abstract Paysagism’ by the art critics with great interests in the Eastern art. They received favorable reviews for showing the Chinese tradition and identity through the Western art technique. The reviews of the French art world commonly used the terms related to ‘the Eastern’, ‘China’, and ‘tradition’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ose terms were well matched with the importance of nature and tradition which “Nouvelle École de Paris” commenced and considered as significant. The Eastern landscape paintings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influenced the French art scene and contributed in wi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art in France. In the case of Japan where it has an advantage in the Western world from the 19th century because of Ukiyo-e, the paintings and prints of Kumi Sugaï who created many works with flatness and design aspects was recognized for his uniqueness. Yasse Tabuchi received good reviews from the French art scene by creatively representing Japanese themes and stories in the artworks with nature. By coming to France, the artists received critics that they have found themselves as Japanese and showed their identity. For that reason, they participated and won multiple times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earned global recognition as the representative artists of Japan.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recognized for that they elevated the status of the French art scene. These artists are an example of “Nouvelle École de Paris”’s both the open-mindedness towards diversity and the pursuit of international universality. Compared to China and Japan, Korea was rarely known in France. While the artistic interpretation was being done in the larger and more ambiguous category of ‘the Eastern art’ rather than Korean art. Nonetheless, it is a great implication that Seundja Rhee recognized as a member of “Nouvelle École de Paris” and associated with them by showing high level of comprehension on the contemporary French art scene and sophisticated hybrid expression. The artworks in various genres with great execution by densely composing symbolic forms that embody the Korean themes and stories materialized the image of Korea in the French art scene which recognized Korea as vaguer and farther place than Japan and China. By going to France, the artists of Korea, China, and Japan all directly interact with the Western world, and choose to reinterpret the tendency of the French art. And it is significant that they achieved global recognition by seeking the tradition of their own country which differentiates them from the Western. The French art scene sought to secure the international positioning through the strategic process of taking these artists as their members, and the process also influenced the French art and resulted in some internal changes. It has an implication that the assimilating strategy of France towards universality while taking otherness as characteristics provided a possibility of being read as an attitude of recognizing and respecting individuality of an artist and each country. With the discussion above the study embraces individual activities of the major artists of Korea, China and Japan who left for France and has a meaning in demonstrating it in the aspect of cultural translation. And also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such narrow range of art that was important in the sociopolitical perspective at the time like “Nouvelle École de Paris” can broaden the comprehension on the formation of contemporary art. 본고는 1950-60년대 <누벨 에콜 드 파리>의 한·중·일 대표 작가들에 대한 연구이다. 한·중·일의 미술은 전통적으로 깊은 연관 관계 속에서 전개되었고 특히 현대미술은 제1, 2차 세계대전을 거친 국제 관계 속에서 서구의 미술을 번역하고 재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구축되었다. 본고에서는 그 중 프랑스와의 관계에 주목한다. 프랑스는 한·중·일 서양 미술 도입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국가이며 전후(戰後) 1950-60년대는 한·중·일 작가들의 프랑스 진출 및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관련 연구가 적은 것에 기인한다. 당시 프랑스는 문화 종주국으로서의 주도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던 중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20세기 초 국제적 명성을 떨친 외국인 작가 집단 <에콜 드 파리>에 주목하였다. 그를 통해 과거보다 더 다양한 국가, 새로운 젊은 작가들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세대의 에콜 드 파리’라는 개념을 탄생시켜 <누벨 에콜 드 파리>라는 이름으로 칭했다. 아시아 미술인들의 프랑스 진출이 늘고 동양에 대한 서양의 관심이 커지며 중국, 일본 등 다수의 동북아시아 작가들이 그에 포함되었다. 앵포르멜, 타시즘, 서정 추상 등의 여러 사조가 회화, 판화, 도자기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개되었다. 특히 전통과 자연에 대한 관심이 추상으로 표현된 작품들이 선호되었는데 이는 프랑스의 예술적 정통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으로 볼 수 있다. 중국의 경우 자오우키, 주테천이 동양 미술에 큰 관심을 가진 평론가들에 의해 ‘추상 풍경 주의’로 인식되면서 중국의 전통과 중국적 정체성을 서양의 기법으로 드러내 호평받았다. 프랑스 미술계는 이들을 평가할 때 ‘동양’, ‘중국’, ‘전통’과 관련된 용어를 직간접적으로 사용했는데 이는 <누벨 에콜 드 파리>가 중요하게 여긴 자연과 전통의 중시와 잘 맞아떨어지는 것이었다.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동양의 풍경화는 파리 화단의 추상미술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중국 미술에 대한 국제적 이해를 넓히는 것에 이바지한다. 우키요에를 통해 19세기부터 조형적으로 익숙한 국가였던 일본의 경우, 평면성과 도안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작업을 한 쿠미 스가이의 회화와 판화가 그 개성을 인정받았다. 야세 타부치는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들에 일본적 소재와 이야기를 참신한 형식으로 드러내 호평을 얻었다. 이들은 도불함으로써 모방을 벗어나 일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고 다수의 국제전에 참가하며 일본을 대표하는 국제적인 작가로 자리매김한다. 동시에 프랑스 화단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 역할 했다고 인정받았다. 이들은 <누벨 에콜 드 파리>의 다양성에 대한 열린 자세와 국제적 보편성의 추구를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중국과 일본에 비해 프랑스에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던 한국의 경우 미술적 해석 또한 한국이 아닌 ‘동양’이라는 더 크고 모호한 범주에서 이루어졌다. 그런 와중에 이성자가 당시 프랑스 동시대 미술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세련된 혼성 표현을 보여주어 <누벨 에콜 드 파리>의 일원으로 인정받고 교류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적 소재와 이야기가 담긴 상징적인 조형들을 밀도 있게 구성해 완성도를 높인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은, 한국이라는 나라를 일본과 중국보다도 멀고 모호한 공간으로 인식하던 프랑스 화단에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구체화시켰다. 한·중·일 3국의 미술가들은 모두 프랑스 진출을 계기로 서구와 직접 교류하며 각기 다른 양상으로 프랑스 미술 경향을 취사 선택하고 재해석하여 문화번역 논의의 예시를 보여주었다. 각 국가의 전통을 기반으로 보편성과 국제성을 획득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프랑스 화단은 이들을 자신들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전략적 동화(同化) 과정을 통해 국제적 위상을 재건하고자 시도한 동시에 그 영향으로 내부적으로도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타자성을 특성으로 여기면서도 보편성을 추구한 프랑스의 동화 전략이 작가 개인과 각국의 개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로 읽힐 수 있는 가능성으로 드러났다는 것에 시사점이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한·중·일 대표 재불 미술가 개개의 작업을 아우르면서도 비교 분석하여 문화번역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시도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누벨 에콜 드 파리>와 같이 당시 사회정치적 관점에서 중요했던 좁은 범위의 미술 경향에 대한 연구 또한 현대 미술 생성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 것에도 의미를 두고자 한다.

      • 울산 지역의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현황과 학부모들의 인식 분석

        박신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실태를 연구하여 유아 영어 교육의 합리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 대상은 울산 지역의 남구, 동구, 중구, 북구, 울주군으로 나누어 울산 새댁이 카페를 통해 임의의 학부모들과 각 지역의 임의의 유치원 혹은 어린이집에 보내는 학부모들이다. 연구 도구는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울산 지역과 유아의 교육기관에 따른 학부모들의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의 카이검정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조사에서 90.5% 이상이 자녀의 유아 영어 교육을 찬성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찬성의 이유로는 전체적으로 ‘영어 교육은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가 가장 많았다. 학부모들의 연령대가 낮을수록, 학부모들의 학력이 높을수록 유아 영어 교육에 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학부모들보다 300만원 이상인 학부모들이 유아 영어 교육에 더 찬성하고 동구에 거주 하는 학부모들이 영어 교육에 더 찬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한 학부모들보다 취업하지 않은 학부모들이 더 영어 교육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학력이 높을수록 적절한 교육비용 역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조기영어 실태조사에서 영어 교육 시작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으며 어린이집의 경우 만 2세가 유치원의 경우보다 2배 높게 나타났다. 유아 영어 교육 기관에서의 일주일에 영어 교육 실시 횟수는 전체적으로 주 5회 이상이 가장 많았고 그 외의 횟수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육 기관에서의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자녀의 흥미 정도는 전체적으로는 흥미도가 긍정적으로 인식 되고 있다. 유아 교육 기관에서의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긍정적 만족도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 교육 기관 선택 시 유아 영어 교육 실시 여부가 전체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가정에서의 유아 영어 교육 실시여부는 전체적으로 ‘시작은 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할 예정이다’ 가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비슷한 실태이지만 거주 지역에서는 ‘현재 하고 있다’ 가 중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정에서 영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재원 중인 유아 교육 기관에서 이미 하고 있음’ 이 가장 많았다. 가정에서의 유아 영어 교육을 실시했을 때의 효과는 전체적으로 ‘효과적이다’가 매우 높았으며 가정에서의 영어 교육을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득이 400만원 이상의 집단이 영어 교육의 효과성을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가정에서의 유아 영어 교육을 실시하게 된 중요한 계기로는 ‘어렸을 때부터 영어에 관심을 갖고 친숙하게 할 필요성 때문에’ 가 가장 많았다. 가정에서의 유아 영어 교육 시작 연령은 만 3세가, 실시 횟수는 주 1회가 가장 많았다. 가정에서의 유아 영어 교육 내용 및 방법으로는 전체적으로는 노래와 챈트를 이용한 수업이 가장 높았으며 가정에서의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자녀의 흥미정도는 전체적으로 많은 흥미를 보였으며 만족도 역시 대체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oper direction by investigating current status and parent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Uls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re than 90.5% of parents were in favor of early English education from the survey analysis because they considered it effective to start early English educ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ower age and the higher level education of parents are, they were in favor of early English Education. The parents whose income is more than ₩ 3, 000, 000 appeared to be more in favor of early English education than those of less than 3, 000, 000. Parents who live in Dong-gu were in favor of early English education than those of the other areas. The parents whose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higher in the level were likely to pay high educational expenses.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starting age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hich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was 3 years old. Weekly English class time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ere more the 5 times which were the highest frequency. Overall,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infants regarding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as considered to be positive Third, the infant English education at home was not introduced but was scheduled to start in the future. Jung-gu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at matter. The reason why not start teaching English at home was because the infants already attend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response “effective” was the highest when infant English Education was done at home. It was more than 4 million won income group that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of infants English education to be positive. The main reason why the parents star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because they wanted the children to have interest in English and to get familiar with English. The majority of parents started to have infant English education at the age of 3, once a week. The most frequent infant English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were songs and chants. The children’s level of interest and satisfaction degree towar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t home were very high.

      • 설화의 교과서 수록 변천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제1~7차 교육과정기의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신영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현행 교육 과정인 제7차 교육과정기 에 편찬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설화 제재 수록 양상을 파악하고 교육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중학교 설화 교육의 양상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진단함으로써 설화 교육의 중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설화 교육 양상의 분석에 대한 근거로 설화의 독자적 갈래의 특성을 살피고, 이와 같은 설화의 독자성은 설화교육의 본질임을 강조했다. 이를 기반으로 설화의 교육적 의의를 정서 체험의 심화 및 의사소통 능력의 습득, 이야기의 구조를 통한 서사구조의 체득, 창작의 개방성과 문학적 상상력의 신장 등으로 추출하였다. Ⅲ장에서는 각 교육과정기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설화 수록 양상을 검토하고 설화의 위상 변이를 한 눈에 살펴보았다. 설화 제재는 제1~3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수록되었지만, 제4~6차 교육과정기에는 한 편도 수록되지 않다가, 현행 제7차에 이르러 13편이 수록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제1~3차 교육과정기의 설화 교육은 설화의 독자적 특성보다는 문학 보편적인 특성으로 교훈적인 측면이 강조되었지만, 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러 설화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학습자 중심의 설화 수용을 꾀하였다. 이와 같은 설화 수록의 양상은 각 시기별로 영향을 주었던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 및 문학에 대한 입장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차 교육과정기와 관련해 설화 교육의 공백기로 알려졌던 사실 및 5편 수록에 관한 논의는 잘못이며, 5편이 아닌 총 8편의 설화가 수록되어 교육되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교육과정기에 따른 설화의 수록 변천을 통해 드러난 설화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금까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설화 제재의 수록 양상에서 드러난 가장 큰 문제점은, 구비문학으로서의 구술적 성격이 거의 상실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쇄매체인 교과서에서 벗어나 ‘살아 있는’ 설화 제재를 구성하고, 설화의 구술성에 대한 기본적 특성의 이해를 기반으로 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 교과서에 어떠한 설화 제재를 어떻게 수록하여 교육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한 설화 각편(各篇)에 대한 교육적 검토가 필요하며, 설화 제재의 선정면에서 문헌 설화보다는 구전 설화의 적극적인 수용과 교육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설화 교육에 의의를 두고 그 위상을 밝히고자 했다. 설화의 바람직한 교육을 위해서 우선되어야 할 것은, 과거 우리의 교육 내용에 대한 검토 및 반성을 통해 오늘날 교육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 논문은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현재의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학교 국어 교과의 설화 제재 수록 양상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학교의 설화 교육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도움을 주고, 설화 교육의 개선과 발전에 참고가 되길 바란다. 앞으로도 설화 교육내용의 구축 방법이나 설화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텍스트 선정과 관련한 깊이 있고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설화의 본질적 특성이 고려된 설화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folktal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middle school compiled from the 1st to the current 7th term curriculum and examine their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is study,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of folktales education in middle school is expected. Problems will also be identified in order to come up with solutions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lktales education. In Chapter II,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division of the folktales as a base for analysis of the aspect of folktales education are discussed. The uniqueness of the folktales is stressed as the essence of folktales education. This study extract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folktales in terms of in-depth emotional experience, acquisition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realization of the folktales structure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tories, openness to the creation and improvement of the literary imagination. In Chapter III, recording of folktal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middle school is reviewed according to each education term.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folktales is also examined. Folktales have been consistently included from the 1st term to the 3rd term curriculum, but it was not included at all in the 4th term to 6th term curriculum. A total of 13 folktales are included in the current 7th term curriculum. Also, the folktales in the 1st~3rd curriculum were focused on their in structive aspect a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rather than on the independent feature of the folktales. However, in the 7th term curriculum,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folktales was recognized and it tried to promote folktales-oriented learning. Likewise, it is found that the aspect of recording of folktales in the textbook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fluenced by literary perspectiv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notion that the 1st term curriculum was a vacuumed period of folktales education was wrongly presented and the statement that five folktales are included in that period is inaccurate; in fact, there were eight folktales included in that term. Next, this study diagnosed the problems of folktales education revealed through the change in recorded folktales in each term as a preliminary step in identifying solutions. The largest problem found in the aspect of recording of folktal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middle school is the loss of almost all of their verbal characteristics as an oral form of literature. To solve such problem, it is necessary to organize living folktales, and educ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oral feature of folktales should be made. Here, an educational review for each piece of folktales considering the interests and level of the learners is called for. Also, active accommodation of oral folktales rather than literary folktales and their educational review considering the selection of the folktales are also recommended.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recording folktal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middle school diachronically in order to secure the essence of folktales education. This would facilitate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study of folktales education contents used in middle school, paving the way for improvement and further development. In the future, more in-depth and comprehensive studies regarding the systematic selection of text for folktales education are necessary.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and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folktales education will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