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고용 형태에 따른 비교

        이성남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기능과 요구수렴,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경남지역 4개 대학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4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8%) 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형태에서는 계약직 83명(56.5%), 직종은 비정규직 영양사 83명(56.5%), 근무지에서는 중학교 45명(30.6%), 연령은 25~30세 46명(31.3%)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은 정규직은 ‘현직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교육, 재교육’으로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임시직, 계약직)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예비교사교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학원의 현재의 기능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위 취득을 위한 기관’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셋째,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는 정규직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수업관련 지식을 공부하기 위하여’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은 ‘영양교사가 되기 위하여’로 나타났다(p<0.001). 또한 교육대학원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동료, 친구의 추천’과 ‘거리가 가까워서’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육대학원 진학만족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다’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넷째,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의 응답이 높았으며, 요구수렴의 방법은 ‘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교육대학원생의 적절한 요구수렴 방법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정기적인 설문조사’로 나타났으며, 사회단체와의 상호교류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규직은 ‘그렇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의 경우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과과정에서의 우선순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문(이론) 능력 함양 면’이 높게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학생들의 교과과정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만족한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개설 교과목 수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교육과정 내용의 수준에 대해 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되지 않은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된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대체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식품영양학 전반적인 지식을 두루 함양하는 전문인 양성위주의 교육이 교과내용의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교육대학원의 진학 목적이 달라 수요자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와 방법에 대해 질적인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on the function and demand collecting, and course of study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the type of employment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4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from Dec. 4th to Dec. 20th, 2010. Total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47 ones were returned (returning rate 91.8%),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83 of contract workers (56.5%) as for type of employment, 83 of temporary nutritionists (56.5%) as for type of job, 45 people in middle school (30.6%) as for working place, and 46 people aged 25~30 (31.3%) accounted for the most. Second, as for the functions which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perform, regular workers answered ‘continuous education for enhancing qualification of current teaching staffs and re-education’, while non-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and contract workers) selected ‘education of would-be teachers as an institute for fostering teaching staffs’. Also, as for current func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groups answered ‘an institute for earning a degree’ the highest (p<0.001). Third, as for a motiv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gular workers answered ‘to study knowledge relevant to classes needed at school’,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become a nutritional teacher’ (p<0.001). Also, as for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recommendation of co-workers or friends’ and ‘easy distance’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yes’ (p<0.001). Fourth, as for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their demands or no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no’, and ‘so-so’, and as for a way to collect demands, an answer of ‘it does not collect demands’ accounted for the most (p<0.01). As for a way for appropriately collecting demands of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conducting regular surveys’, as for the necessity of mutual exchange class with the social organization, most regular workers answered ‘yes’ while most non-regular workers answered ‘so-so’ (p<0.05), and as for the order of priority in the course of study,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foster academic (theoretical) ability’ the most (p<0.01). Fifth, as f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worker group and non-regular worker group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n the number of classes, ‘not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group and non-regular group (p<0.01). Also, as for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courses, regular workers thought ‘not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most while non-regular workers thoughts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p<0.05). With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of study, and think that the goal of educational contents is to educate professionals who develop general knowledge on food and nutrition. In addition, as the purpos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urses appropriate for the demanders, and it should meet students' satisfaction by prepar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in order to secure qualified excellence about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students' demands or not and its way.

      •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김소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은 그들의 높은 학업성취 욕구를 충족 시켜줌과 동시에 사고력신장, 특수능력습득, 특정지식습득, 적성강화, 일반능력신장 5가지 교육목표를 골고루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보과학 영재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정보과학 영재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미래형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has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reach five education targets for acquiring ability to think, specific knowledge, specific skills, strengthening aptitude and increasing general ability.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chedule of institu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introduce their problem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who can bring out their latent force.

      • 초등학생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김인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과학영재 분야는 오랜 전통을 가진 수학과 과학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수·학습내용, 영재 판별도구와 선발과정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정보과학영재 교육은 컴퓨터나 인터넷 이용, 응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과 같은 기능 습득 중심의 교육으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학습자의 지적능력에 상응하는 상위수준의 사고과정 계발, 창의력 배양, 논리적 사고력 신장, 문제 분석 및 해결능력 신장과 같은 궁극적인 영재교육의 취지에 맞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과 교육청 산하 영재 교육기관의 초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하여 초등 정보과학 영재교육과정을 위한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rea that deals with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is in shortage of research on curricula,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discrimination tools and selection processes for the gift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areas of mathematics and science with a long history of research. Thus education of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has often been mistaken as teaching skills of using computers, Internet, application softwares, and programming languages. The misconception does not reflect the ultimate goals of the gifted education which include cultivating higher-level thinking processes that correspond to the intellectual capability, nurturing creativity, and enriching logical thinking abilities and problem analysis and solving skills. This study aims to propose feasibl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icula for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through surveying and analysing the curricula of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ies and education offices.

      • 지역주민의 미술관에 대한 인식

        강미선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원시 지역주민의 미술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대별, 거주지역, 현재 미술관련 종사자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전시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프로그램 운영 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휴식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에서 청소년층과 청장년층은 예술을 즐기는 휴식처로, 노년층은 찾아가는 미술관과 같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곳으로, 연령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미술관의 방문횟수에서는 청소년들의 42.6%가 학업과 빈틈없이 짜여진 학교생활로 미술관을 일 년 중 전혀 가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래의 미술관의 기능에 대해서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인식에서 45.7%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지역주민들이 전시만 관람하던 미술관의 역할에서 다양한 휴식공간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미술관의 모습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시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에서는 미술관의 방문횟수가 높을수록 전시 관람 시 작품에 대한 인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상 깊었던 전시 프로그램의 이유에서 원하는 작품을 볼 수 있었던 것과 문화 예술 생활을 향유할 수 있다는 것이 다수의 의견이었다. 전시 관람 시 작품 해설자의 필요성에 대하여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결과는 도슨트의 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운영 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인식에서는 65.7%가 미술관에서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높은 응답을 하였으며, 미술관 방문 횟수가 많았던 노년층과 미술관련 종사자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미술관의 방문과 교육프로그램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넷째, 휴식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인식에서는 지역주민의 93%가 미술관이 전시 외에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높게 인식하였으며 미술관속 산책길은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 반면 유아동을 위한 시설이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이런 이유로 소외계층과 여러 세대가 어우러진 휴식공간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미술관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지역주민들의 문화향유 기회를 위한 다양한 미술품 전시 관람을 위해서 지역미술관들 사이의 협력이 필요하다. 둘째, 미술관 종사자들이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알고, 소통을 통한 요구를 수렴하여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미술관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모든 연령층과 계층이 참가할 수 있는 문화예술 영역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주도적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넷째, 변화되고 있는 현대 미술관의 모습과 지역주민들의 의식변화에서 지역미술관도 전시 기능에서 벗어나 모든 연령층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하여 창원 지역미술관이 복합문화공간과 평생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후속연구들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art museum of local residents. For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as to set the background variables as gender, age, place of residence, whether engaged in art-related. and Research subject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the role of art museums? Second, what are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museums as exhibition space? Third, what are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museums as education space? Fourth, what are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museums as relaxation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awareness of role of the museum. Youth and the elderly are recognized as a relaxation area to enjoy the arts and the older people are recognized as a places to provide a new experiences. 42.6% of the adolescents did not ever visit the museum one years past due to tight school life.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chool-linked program. 45.7%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 function of the future art museum is a complex cultural space. Local residents had shown a high awareness about the changing role of the museum as a relaxation area in the exhibition space. Second, in aware of local residents about the museum as an exhibition space, the more visits have found that a high impression of the exhibition. Reason exhibition program was impressive is that was able to enjoy the cultural life while watching the required work. During exhibition viewing, opinion that needs work commentator is there were many. This can be seen that there is a need for management and education of Docent. Third, in the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bout museums as education space, the answer did no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to be carried out in a museum was 65.7%. Relatively older peoples and art-related workers showed a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museum of the education program. This result, show that the museum visit there is a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in museum education program. Fourth, in recognition of the museum as a break space, 93% of local residents was a favor response. Local residents, has been recognized as a must museum change as a complex cultural space of a relaxing space to match the hierarchy and generation.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nd make recommendations, such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cooperation of regional museums for a variety of cultural enjoyment of local residents. Second, converges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there is a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of museum workers in order to lead the change of museums. Third, the museum developed by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all ages should be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of culture and the arts. Fourth, to match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and local art museum also be a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is study, to provide a follow-up study for Changwon regional art museum vary in a complex cultural space.

      • 경남지역 중등학교의 교훈 및 교육목표 인지도에 대한 연구

        김가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mottos and goals of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include and present the image of an ideal person that students want to resemble. In additi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students are able to gain should be clearly stated. On the basis of these policies, not only the management of each school but also the mottos and aims of individual school education should be created and modified by means of all the school faculty members who participate in deciding school matters. However,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tend to be frequently created by the educational board of the government even though each school has the right to decide on its matters.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school might be ignored due to concentrating more on the school principals or homeroom teachers. Specifically, the future of the education depends on what the aims are. Therefore, each school should have its own specific goals which are attainable. Through this current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how many people recognize their school mottos, analyzes the effect of school mottos and goals on school activities, and explores the roles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current education.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popular school motto was concerning sincerity which gained 22 percents. The second one was regarding diligence that had eighteen percents. The third popular motto was about creativity with nine percents. Second,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school mottos and the ones which were used thirteen years ago. However,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erms of the creativity and globalization. The current mottos focused more on these two factors such as the creativity and globaliz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e majority of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their school aims or school mottos. Besides,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se mottos did not affect on school educ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realized school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ought that the school aims or mottos need to be modified to fit into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는 긴 미래를 보고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바라는 인간상을 제시하거나 그 행동특성을 종합적으로 명시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학교경영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는 전 교원은 물론 학교공동체의 공동사고나 참여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하고 또 필요에 의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학교의 많은 자율성이 보장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학교의 교육목표가 상위 기관의 방침이나 역점사업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다 보니 각 학교의 개성이나 특성이 무시되기 쉽고, 또 학교장이나 담당교사 위주로 만들어져 형식적인 존재로 전락할 가능성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교육의 장래는 그 목표를 무엇에 두는가에 따라 좌우된다. 이것은 곧 학교가 무엇을 달성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이는 교육의 본질이나 교육의 방법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의 교훈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교훈이나 교육목표가 과연 교육활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조사·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교육에 더욱 효과적인 교훈으로의 역할을 탐색해보고자 했다. 첫째, 경상남도 전체 중·고등학교의 교훈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교훈으로는 성실(22%), 근면(18%), 창의(9%)로 나타났다. (각 학교의 교훈을 중심으로 통계 처리하고 교훈이 없는 경우에는 교육목표로 대신했다) 둘째, 지금의 교훈은 13년 전의 교훈과 비교할 때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래도 13년 전의 교훈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찾아본다면 창의성 교육이라든가 세계화를 강조하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학교 현장의 교훈 및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 정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는 교사나 학생 모두 자기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를 대체로 알고는 있었다. 그리고 교훈은 학교 교육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 교훈을 주로 홈페이지에서 보고 있고, 학교교육에 그것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인식은 하고 있다. 교사나 학생은 모두 교훈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교훈이 새로운 시대 상황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 경남지역 고등학교 급식조리종사원의 직무 실태 및 교육요구도 분석

        김현정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2009년 현재 경상남도교육청 관내 학교직영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급식에 근무하는 조리사와 조리원을 조사대상으로 직무 및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종사원들의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직무능력 향상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2009년 6월 1일~20일까지 우편으로 500부를 배포하여 261부(회수율: 52%)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첫째, 경상남도교육청 관내 학교직영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급식에 근무하는 조리종사원의 연령층은 ‘40~50대’의 여성이 많았고, 직위는 상당부분 ‘비정규직’조리원의 신분으로 고용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인문계고등학교로 1일 식사 제공 횟수는 ‘2식 이상’의 식당배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여건과 직무실태에서 1주일간 근무시간은 ‘50시간 이상’이, 1개월간 평균 초과근무시간은 ‘30~60시간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인문계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었고 1일 2식 이상의 식사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월 평균 ‘100만원 이상’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원은 ‘청소’의 노동 강도가 가장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작업환경 중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과도한 업무량’으로 조사되었다. 근무학교의 복지시설과 복지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상해 경험은 16.1%였으며, 사고원인은 ‘본인 부주의’가 많았고, 신체 상해 관련 업무는 ‘주 조리’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원 중 42.9%가 이직 의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을 한다면 이직 사유로는 ‘과다한 업무’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조리종사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간 교육 횟수는 ‘1~2회’가 많았으며, 직무능력 향상 교육이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을 참석하기 어려운 주된 이유로는 ‘급식 업무가 바빠서’였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육에서 ‘교육기회가 많지 않다는 것’이 교육의 개선점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원은 1회 교육시 ‘3시간 미만’의 교육을 ‘6개월’ 주기로 실시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교육시 가장 효과적인 교육은 ‘실제급식현장을 담은 동영상교육’과 ‘우수한 조리종사원의 교육‘으로 실제 사례를 통한 교육이 교육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무분야별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 모두 ‘위생관리(HACCP포함)’과 ‘안전사고 예방 및 대책’이 높게 조사되었으며, ‘창고 및 저장관리’와 ‘업무와 관련된 법규 및 행정’은 낮게 조사되었다. 9개 업무분야에 대한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은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조리종사원들이 중요한 업무로 파악하고 있는 경우 교육에 대한 요구도 또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조리종사원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교급식의 효율적인 운영관리와 위생적이고 안전한 급식을 위해서는 급식운영과 더불어 조리종사원의 직무향상을 위한 정부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하며, 조리종사원의 요구나 의견들을 적극 반영한 연수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적인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education means for job competence enhancement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by checking their education needs which can improve their job skill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made by the school foodservice 261 employees who are working at the school restaurant under direct management of the school in Gyeong-Nam province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re 40~50 ages women, and the majority was casual cuisine employees and they have the honor of dining with more than two meals a day at general high schools. Second,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duties, their on-duty hours were beyond 50 hours in week, 30~60 hours in months with regard to overtime work on average. Most of the employees were working at general high schools and they had the honor of dining with more than two meals a day and got average money less than 1,000,000 won every month. They replied that most strong labor intensity of the employees were cleaning and their excessive work load and they needed to be required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Their satisfaction in regard to welfare facilities and welfare system at their school was generally low. In a survey of work-related injuries, their injury cases showed 16.1%, and their own carelessness was the primary cause, and the top cause by their business of injury case occurs during their preparing the main course. The 42.9% of the employees didn't want to change present work place. If they take up another employment, that was because they have too much work to do. Third, in case of the number of annual education for their job competence enhancement, when they attended the education they want to take part in 'under 3 hours of education' at a time, it periodically took effect half yearly. The most effective tools for education were 'the movies filmed under the actual school food service circumstances' and ' the education made by excellent cuisine employees' which were based on real cases. With respect to critical factors about business spheres and needs for education, while 'health control(including HACCP)' and 'the prevention & measures of safety-accident in food service' surveyed high, 'warehouse & store management' and 'laws and regulations & administration on cuisine business' surveyed low. The importance of the business and needs for education about 9 business sphe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ne another, it is surveyed when cuisine employees have an important understanding of something that has higher needs for education. Man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dmitted the importance & needs for duty education. In an attempt to make effective management, sanity and safe meals system, it was required to have systematically governmental support for their job competence enhancement with meal service management and to have special system for in-service training & education program which positively reflect demands & opinion by cuisine employees

      •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의 문자. 수 교육 및 교사들의 견해 : Teachers' opinion on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a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조경숙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문자.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문자.수 교육으로 인해서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하는 사항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문자.수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2. 문자.수 교육으로 인해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3. 문자.수 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연구를 위하여 경남지역의 시 또는 군 지역에 근무하는 병설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1학년 교사 각각 8명을 대상으로 13주간에 걸쳐 준비된 질문을 상황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이 이루어지는 동안 녹음하여 면접내용을 전사하고, 조정과정을 거쳐 범주화시켜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유치원에서 문자.수 교육은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었다. 문자교육은 별도의 시간을 편성하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활동과 병행하여 실시하고, 유아들이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친숙한 물건이나 환경들에 호기심을 나타낼 때 읽고 써보는 정도였다. 수 교육은 구체물을 이용하여 많고 적음을 분류해보고 수의 크기를 비교해 보는 활동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초등학교에서의 문자교육은 먼저 기본 음절표를 익힌 다음 그 기본글자를 조합하여 낱말을 만들고, 그 낱말을 익히기 위한 보충심화 학습방법으로 받아쓰기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수 교육은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을 익히게 하기 위해 유치원과 마찬가지로 구체물을 사용해서 수의 원리나 개념을 익혔다. 둘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문자.수 교육을 함에 있어서 겪는 어려움은 여러 가지였다. 유치원 교사들은 학부모들의 유아교육에 대한 기대치와 교육과정간의 괴리감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을 가지고 있었고, 초등교사가 유치원 교사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본다는 점에 불만이 컸으며, 장소의 협소성으로 인해 교재.교구의 보관이 어렵다고 하는 반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체계적이지 못한 조기교육의 실시로 아동능력의 개인별 수준차가 심하여 지도에 어려움이 있고, 유치원과 중복되는 학습내용으로 흥미를 잃게 되어 주의가 산만해지며, 기본적인 생활습관지도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셋째, 문자.수 교육을 함에 있어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원하는 요구도 다양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은 학부모들이 유치원 교육과정을 새롭게 인식하고, 초등학교 교사가 유치원을 바라보는 시각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주기를 원했다. 그리고 사설학원에서는 학부모의 요구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하기보다는 유아 발달단계에 맞게 정상적인 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하였으면 한다고 했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문자를 유치원에서 익혀오기를 원했다. 그러나 문자를 익히기 위한 수단으로 쓰기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져서 아동들이 흥미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고, 정확한 필순이나 바른 연필 잡는 법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기본적인 예절, 바른 생활습관 등을 반복 지도하는 것이 유아교육의 필요성이라고 하면서 올바른 생활습관 형성에 강조점을 두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are conducted at kindergartens and 1st grad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analyze what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of teachers are in classrooms. For the purposes, the study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1. How is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performed at kindergartens and 1st grad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 2. What are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3. What are teachers' demands in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The researcher had individual interviews with 8 kindergarten teachers and another 8 first grade teachers in Kyungnam for 13 weeks.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ready-made questions for adapted situations, and all the interview recordings were analyzed in transcription and categorization with adjus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kindergarten teachers taught children letters and numbers. Teachers taught letters in other activities without setting separate time, and children barely read and wrote names of familiar things. They did number teaching in counting and other activities.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vided tables of syllable first, and mixed syllables to make basic letters. For memorizing the letters, they used dictation test the most. Number teaching started with tangible things, just like kindergartens, to make children understand means of solving problems in daily life. Second, the teachers faced several difficulties in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Kindergarten teachers expressed their psychological burden of estrangement coming from parents' expect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discontentment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gative views and storage difficulty of materials.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ressed teaching difficulties due to children's great individual level gap of learning, children's lack of interest due to early learning in kindergarten, and teaching difficulties of basic habits for daily life. Third, the teachers had various demands at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Kindergarten teachers asked for parents'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lementary teachers' positive views. They also wanted private institutions to have proper curriculum to keep pace with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ed children to know letters with their interests intact, and demanded correct letter writing or proper pencil holding.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right life habits with sa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teach basic etiquette and right habits repeatedly.

      • 대학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대응실태 분석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이영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response to admissions officer system, thereby provide meaningful data.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is inquiry's goal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high school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high school teachers's awareness about evaluation data about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high school teacher's response to admissions officer system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the 345 teachers who are working in Gyeongsangnam-do. Excepting the questionnaire that is not possible to conduct statistical treatment, a total of 322 subjects were used.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for data analysis. High school teacher were classifi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 sex) and working characteristics(establishment, the seat of school, teaching career, job position, class teacher of seniors in 5 years, guide students go in for admission officer exam, division of works). The conclusive main results of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while high school teachers` level of awareness over admission officer system was high, it is perceived negatively. High level of teachers` awareness of overall system could be seen as the result of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college admission screening`s admission officer system in education field. Th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12th grade`s class teacher were skeptical about effect awareness of system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and career-planning teacher perceived it relatively positively than other group. Perception of problem of system was higher than average, and group that experienced or carrying out educational guidance had relatively low trust over fairness of student selection than other group. Second, high school teachers put importance on school record, interview, club activity, and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 in admission officer screening student evaluation data. In the importance awareness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12th grade class teacher or guidance experience of candidate students had relatively high perception of importance in school record and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 than other group. In subordinate scope of creative activity for experience, importance of career planning teacher was relatively high in entire area excepting certificate, and teachers who do not have experience of 12th grade class teacher`s importance awareness were relatively high in reading, voluntary service. The importance awareness of teacher who has experience in candidate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in club activity. An interview and self-introduction letter were perceived importantly in school life fidelity and personality and aptitude part, and among the subordinate scope, career-planning teachers` level of awareness of importance in special activity and attendance record was higher than other group. Level of awareness of self-introduction letter and interview showed higher level for teacher who have experience of instructing candidate student than other group. Also, national school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in self-introduction letter, and female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in special activity than other groups. For study environment, region`s condition of education was perceived more importantly than location of graduated high school. In subordinate scop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12th grade class teacher perceived the location of graduated high school more importantly than other groups, and district area school teacher and career-planning teacher perceived region`s condition of education more importantly than other groups. Conclusively, in perception of importance of admission officer student evaluation data, teachers still tend to put existing score-oriented evaluation data before. Third, for teacher`s actual condition of confrontation with admission officer system, awareness level of student club organizatio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competition conference management, faithful writing and verification of student record, providing information on entrance exam, related training completion were relatively higher. However, awareness level of integrated education among subjects, individual path and aptitude educ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reading education record, portfolio writing education, providing volunteer service information, university-related education were relatively lower. In subordinate scope, young age teacher under 30 years old and private school were more actively implementing integrated education among subject than other groups. Career planning teacher, class teacher and teacher who has experience of class teacher who highly related to student`s educational guidance perceived individual course education of student and portfolio writing education, faithful writing of student record, university-link education relatively more importantly. Also, city area school teacher and teachers in their 40s, 12th grade class teacher and teacher who has experience in instructing candidate student showed higher awareness of management of inside and outside competition conference. Male teachers and grade head teacher showed higher awareness in provision of information of entrance exam, career planning teacher and grade head teacher showed higher awareness in participation of related training. In its final analysis, it could be indicated that there was tendency of following existing education activity in overall area. In other words, it was focused on existing contents, and it showed somewhat passive attitude on new education activity.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대응실태를 밝힘으로써 제도 실시 이후, 실행주체의 의식 수준을 파악하여 입학사정관 제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입학사정관제도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 평가 자료의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입학사정관제의 대응실태에는 차이가 있는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345부를 회수하였고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설문지를 제외한 322부의 자료를 최종 선정하여 SPSS 12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교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성별)과 근무 특성(설립, 소재지, 교육경력, 보직여부, 최근 5년 내 고3 담임 경험 유무, 입학사정관 응시학생 지도경험 유무, 2013학년도 담당업무)으로 구분하였다. 설문 문항은 입학사정관 제도의 인식(21문항), 평가 자료의 중요도(15문항), 입학사정관 대응실태(14문항)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결론적으로 주요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의 입학사정관 제도 인지 수준은 높은 반면, 효과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 방안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도 전반에 대한 교사의 인지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은 새로운 대입 전형의 입학사정관 제도가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실시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개인 변인별 제도의 효과 인식에서는 고3 담임경험이 있는 교사가 회의적이었으며, 진로진학 상담교사는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도의 문제점 인식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진학지도를 경험하거나 실시하고 있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학생 선발의 공정성을 신뢰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교 교사는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 평가 자료 중 내신, 면접, 동아리 활동, 수능 성적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개인 변인별 중요도 인식에서 고3 담임 및 응시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내신과 수능 성적의 중요도 인식이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높았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영역에서는 자격증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독서, 봉사 활동에서는 고3 담임경험이 없는 교사의 중요도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아리 활동에서는 응시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의 중요도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충실도 및 인·적성 부분에서는 면접과 자기 소개서의 중요도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위 영역 중 특별활동과 출결사항에서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중요도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 소개서와 면접에서는 응시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의 중요도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국공립학교의 교사는 자기 소개서, 여교사는 특별활동의 중요도 인식 정도가 다른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습 환경에서는 출신 고교 소재지보다 지역의 교육여건의 중요도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 출신 고교 소재지는 고3 담임경험이 있는 교사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의 교육여건은 군 지역 학교의 교사와 진로진학 상담교사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입학사정관 학생 평가자료 중요도 인식에서 교사들은 여전히 기존의 점수 위주의 평가 자료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입학사정관 제도의 대응실태에서는 학생 동아리 조직, 교내외 경시대회 운영, 생활기록부의 충실한 작성 및 검증, 입시정보 제공, 관련 연수 이수 영역의 인식도가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과 간 통합교육, 개개인의 진로 및 적성교육, 독서교육의 기록 유지 및 관리, 포트폴리오 작성 교육, 봉사활동의 정보 제공, 대학 연계 교육에서는 인식 정도가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 교과 간 통합교육은 사립학교와 30대 이하의 저연령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 개인별 진로교육과 포트폴리로 작성 교육, 생기부의 충실한 작성, 대학 연계 교육은 학생의 진학지도와 관련이 높은 진로진학 상담교사, 담임교사 및 담임경험이 있는 교사에게서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 지역 학교의 교사와 40대 교사, 고3 담임 및 응시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교내 외 경시대회 운영의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입시정보의 제공에서 남교사와 보직교사가, 관련 연수 참여는 보직교사와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체적인 부분에서 이전부터 실시하고 있던 교육활동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전부터 실시하고 있던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새로운 교육 활동에는 다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 경남지역 초·중등학교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이희란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and awar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mong nutrition teacher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an effor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ow to provide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in the area of school food service and on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as it's been seven years since nutrition teachers were supplied to schoo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elementary and secondary nutrition teachers or dietitian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and by e-mail, the answer sheets from 221 respondents(63%) were gathered, and the answer sheets from 202 respondents(91.5%)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incomplete one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state of nutrition education, every nutrition (dietitian)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Out of them, 26.7 percent offered nutrition education in a direct way, and 73.3 percent did that in an indirect way. As for the form of instruction, major teaching method and major content of education, the biggest group of the respondents who offered nutrition education in a direct way did that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and many(70.4%) of them gave lectures. They dealt with balanced diet and nutrition the most(48.1%), and time constraints for class preparation that resulted from heavy workload related to food management was cited as the biggest barrier to direct nutrition education(29.6%). In the case of indirect nutrition education, the most widely used method was sending printout such as home report(56.8%), and balanced diet and nutrition(43.9%) were most widely covered, followed by building up the right dietary habits(31.1%) and food hygiene and personal hygiene(20.3%). The most commonly used route for the colle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the Internet(78.4%), and the great problem with indirect nutrition education was its ineffectiveness(45.3%). As to the total frequency of nutrition education, direct nutrition education was provided once or twice a week(44.4%), and indirect one was conducted once a month(90.5%). Second, their awareness of nutrition education was analyzed. Regarding the expected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e acquisition of the right knowledge of food was expected the most(3.81), followed by the acquisition of good table manners(3.79) and correction of unbalanced diet(3.63). The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regarded excessive intake of processed and instant food(4.17) as the biggest problem with children's nutrition, and having an unbalanced diet(3.96) was widely pointed out as well. Lack of appetite(2.75) and feeble health(2.86) weren't regarded as great problems. As a result of asking what should be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nutrition education, building up good eating habits(4.30) was most stressed, followed by good table manners(4.24) and the right understanding of health(4.18). As a result of asking how to ensure the efficiency of nutritio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by grade(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most emphasized. The second most important thing was that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a regular basis, not temporarily(4.26), and the third most important thing was extended on-the-job training for nutrition teacher (dietitian)(4.19), followed by combined guidance for existing subjects and health(3.99). They placed the least importance on the preparation of laboratory for cooking practice and related facilities(3.86). As to the general state of nutrition instruction, they replied that a nutrition teacher(dietitian) should be in charge of 500 students or less in case he or she would be responsible for both school food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76.7%).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en they wanted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he largest group answered it should depend on school circumstances(46.5%). 69.8 percent replied it would be advisable to use one or two class hours per week in case of providing nutrition education on a yearly basis, and 25.7 percent answered three or four school hours should be allocated. In the future, more intensive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at education. To ensure the efficiency of nutrition education, detailed standards should be laid out, and educational programs tailored to the age and level of students should be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Unnecessary administrative duties should be eliminated, and documentation related to school food service should be streamlined. Thus, how to relieve the burden of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and more divers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eir job analysis. Finally,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themselves should make a ceaseless effort to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to provide quality nutrition education with responsibility and a sense of mission, and more nutrition teachers should be secured to help every school to be equipped with a nutrition teacher.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가 학교에 배치된 후 7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인식을 파악하여 앞으로 학교급식에서의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사항과 바람직한 영양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남지역 초·중등학교 영양(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직접조사와 전자우편의 방법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221부(63%)를 회수하였고, 이 중 무응답이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02부(91.5%)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교육의 실태는 영양(교)사 모두가 100%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중 직접적인 영양교육 실시(26.7%), 간접적인 영양교육 실시(73.3%)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영양교육 시 사용하는 수업형태는 재량활동시간(68.5%)이 가장 많았고, 주된 교육방법은 강의식 수업이라는 응답이 70.4%로 높았으며, 가장 많이 다루는 교육내용은 균형 잡힌 식사와 영양(48.1%)이라고 응답하였고, 직접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급식관리 업무의 과중으로 인한 수업 준비 시간의 부족(29.6%)으로 나타났다. 간접적인 영양교육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가정통신문 등 유인물 발송(56.8%)이며, 가장 많이 다루는 교육 내용은 균형 잡힌 식사와 영양(43.9%), 올바른 식습관 형성(31.1%), 식품위생과 개인위생(20.3%)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양교육 자료의 수집 경로로는 인터넷 자료(78.4%)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간접적인 영양교육 시 가장 큰 문제점은 영양교육의 효과가 낮음(45.3%)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의 총 실시빈도는 직접적인 영양교육 시 주1회~2회(44.4%)실시 되었으며, 간접적인 영양교육 시 월1회(90.5%)실시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영양교육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식품에 대한 올바른 지식 습득(3.81)이 가장 높았으며, 바른 식사예절 확립(3.79), 편식교정(3.63)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아동들의 영양문제 대해 영양(교)사들은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의 과잉섭취(4.17)를 가장 큰 문제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편식(3.96) 또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식욕부진(2.75)과 허약아(2.86)에 대한 영양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영양교육 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으로는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4.30)이 가장 높았고, 올바른 식사예절(4.24),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인식 고취(4.18) 순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영양교육 방안에 대해서는 학년별(초등·중등·고등)학습 자료들의 개발(4.28)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일회성이 아닌 정기적인 수업으로 정착(4.26), 영양(교)사 전문 직무연수의 확대(4.19), 기존 교과목 및 보건과의 연계지도(3.99) 순이었으며, 조리실습 등을 위한 적합한 실습실 및 설비시설 구축 방안(3.86)은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영양수업의 실태를 살펴보면 급식업무와 영양수업 병행 시 영양(교)사 1인이 담당할 수 있는 적정 학생수는 500명 미만(76.7%)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영양수업을 실시하기를 원하는 시간은 학교실정에 맞게 해야 한다(46.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수업 실시 시 주당 할 수 있는 수업시간은 1~2시간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9.8%였으며, 3~4시간이 25.7%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다 질 높은 영양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소극적인 영양교육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교육방법을 모색하고, 정기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영양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학생의 연령 및 수준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교육부,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마련해야 하고, 불필요한 행정업무를 개선하고 급식 관련 형식적인 문서를 간소화하는 등 영양(교)사가 직무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 연구와 직무 분석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다각적인 노력과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영양(교)사들은 자질을 향상시키고 영양교육에 대한 책임과 사명을 가지고 영양교육 실시방안을 위해 끊임없는 연구를 해야 할 것이며, 1교 1인 영양교사의 배치가 정착 될 수 있도록 영양교사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 실태 : 국립병원을 중심으로

        최미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립병원 간호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 여부 및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 시기, 기관, 내용은 어떠한가? 셋째,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 여건은 어떠한가? 넷째 ,학위과정과 자격과정 계속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와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다섯째, 향후 계속교육 참여계획 여부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 소속의 수도권1개 병원, 강원권1개 병원, 충청권1개 병원, 경남권 1개 병원, 전남권 1개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하면서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제작한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이용하였으며, 기초조사, 계속교육 참여여부, 참여 동기, 교육내용, 교육기관, 최초 계속교육 참여시기, 교육기간 중 어려움, 학위과정과 자격과정의 기대효과와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을 묻는 25개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간호사들의 일반적인 사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그 분포도를 알아보았고 근무경력, 부서직위, 졸업한 교육기관에 따른 차이를 교차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계속교육에 참여했거나 참여중인 간호사가 월등히 많았으며 참여동기는 간호업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와 학위취득을 위하여가 높게 응답하였다. 계속교육 최초 참여시기는 졸업 후 1 ~ 5년에 가장 높았으며 근무경력이 작을수록 최초 참여시기가 빠르고 경력간호사로서 새로운 과업이 주어질 때 계속교육에 참여하였다. 교육내용은 간호학사 학위과정, 교육기관은 방송통신대학이 가장 많았고 교육기간 중 일정기간 근무조정이 필요했으며 업무집중력 저하를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다. 계속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와 참여 후 교육효과는 학습을 통하여 즐거움, 심리적 성취감을 느꼈다고 인식하였다. 향후 실무능력과 자아성취감을 향상을 위해 계속교육 참여계획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국립병원 간호사들이 계속교육 참여를 통해 업무능력이 향상되고 학습을 통해서 즐거움, 심리적 성취감을 느꼈다는 인식은 고무할 만한 일이다. 간호사의 업무능력 향상은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가능하게하고 이는 대상자와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에 큰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병원간호사들의 계속교육 여건을 보완하여 효율적인 학습지원을 한다면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이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s and participation status on continuing education of a national hospital nurses. For this, the subjects are as below. First, what are participation or not and it's motive about continuing education of hospital nurses? Second, how are participation time, institution and contents about continuing education of hospital nurses? Third, how is continuing education condition of hospital nurses? Fourth, how is perception about the expectation effect and education effect about degree course and qualification process of continuing education? Fifth, how is the plan of participation or not about continuing education from now 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hospital nurses of 1 hospital in the metropolitan area that i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position, 1 in Gangwon area, 1 in Chungcheong area, 1 in GyeongNam area, 1 in Jeonnam area. The questionnaire which was produced through consulting references and referring to thesis director, was used as survey tool, and the questionnaire was formed by 25 questions which are about a basic survey, participation or not of continui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institution, participation time of the first continuing education, difficulty during education period, and perception about the expectation effect and education effect of degree course and qualification process. Basic matters of nurses examined a distribution chart throug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career, department position and graduating facilities was verificate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the nurses who participated in continuing education or was participating in it, were many remarkably, and about participation motive, 'for improving the ability about nursing accomplishment' and 'for achieving a degree' were answered highly. About the first participation period of continuing education, '1~5 years after graduation' was highest, and the fewer carrer, the faster the first participation period, and if the new work was given as career nurses, they participated in continuing education. About education contents, a degree course, and about education facilities, Korea Nation Open University was most. And during education period, the coordination about work was need with a given period and the nurses felt difficulty in decline of working concentration. About the expectation effect about continuing education and education effect after participating, the nurses recognized that they felt pleasur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education. Also, from now on, they had participation plan about continuing education for improving executive ability and self-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fact that working ability of the national hospital nurses was improved through participation in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that the nurses felt pleasur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is very encouraging. It is because improvement of the nurses' working ability make possible high-quality nursing service and it takes effect the health promotion of recipients and a local community. If the condition about continuing education is supplemented and the learning support was done effectively, continuing education of the nurses will be made progress more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