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주택의 기획단계 건축공사비 적절성 판단모델

        박소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Predicting construction cost at the planning phase and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predicted construction cost are a very important factor in gauging whether or not a project is successful.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studies in the past using various factors and methodologies in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Howeve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mainly use quantitative factors only, such as area or number of house, and most of them only present single value as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It is difficult to compute for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for the design plan of projects that are already in progress, making it difficult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estimate made in the planning phase. The estimate can also be different from the model or an expert’s opinion, so it is difficult to evaluate whether the construction cost estimate is correct. Therefore, a logistic regression module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cost range and construction cost of multi-family housings. The module considers both quantitative and nominal factors and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cost range. The study also developed a planning phase construction cost judgement model for multi-family housings that integrated the above logistic regression module.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decision-making and process in the planning phase were examined, and previous studies were used to analyze the construction cost predictions, influential factors, and decision-making mode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also examined. Second, the construction cost data of multi-family housings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develop a model. The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tract the factors that can influence construction cost. The factors extracted from the analys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Consequently, a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estimation module was developed. Third, a logistic regression module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This module was integrated with the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estimation module developed above to formulate a construction cost appropriateness judgement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planning phase of multi-family housings. Fourth, the developed model was verified based on 10 actual cases. The ver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7 out of the 10 case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Thus, 7 of the cases ascertained that the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estimated using the developed model could be used in the planning phase.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stimate construction cost, present the range of construction cost, and judg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timated cost. The results can be used as an objective basis in the planning phase, therefore can be effectively used by the customer for budget-related decisions. This study only focused on the construction cost of multi-family housings, and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ies on different construction type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studies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기획단계에서 공사비를 예측하고, 예측된 공사비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성패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공사비 영향요인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공사비 추정모델은 연면적이나 동수와 같은 수량적인 요인들만을 주로 활용하고, 대부분 추정된 공사비 하나의 값만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설계도면에 의해 견적된 공사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기획단계에서 추정된 공사비의 정확도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추정된 공사비는 모델 및 전문가의 견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공사비가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량 및 명목적인 영향요인을 모두 고려한 공동주택의 건축공사비 및 공사비범위 추정모듈과, 추정된 공사비와 공사비범위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합한 공동주택의 기획단계 건축공사비 적절성 판단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기획단계 의사결정과 업무절차에 대해서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공사비 예측, 영향요인, 의사결정모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활용한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둘째, 모델 개발을 위하여 공동주택의 실적공사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건축공사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해 도출된 건축공사비 영향요인은 공사비와 공사비의 범위를 추정하기 위한 독립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건축공사비 및 공사비범위 추정모듈을 개발하였다. 셋째, 앞에서 추정된 건축공사비와 공사비 범위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모듈은 앞에서 개발된 건축공사비 및 공사비범위 추정모듈과 통합하여, 공동주택의 기획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건축공사비 적절성 판단모델로 개발하였다. 넷째, 10개의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개발된 모델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10건 중 7건의 사례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7건의 사례는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을 통하여 예측된 공사비와 공사비범위를 기획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공사비를 추정하고 공사비의 범위를 제시할 수 있으며, 예측된 결과의 적절성을 판단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획단계에서 객관적인 정보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발주자의 예산관련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 연구는 공동주택의 건축공사비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다른 공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전통춤과 장단의 실체 분석을 통한 반주장단 특성과 적용방안 연구

        박소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한국의 전통춤은 춤과 음악과 노래가 함께 구성되고 양식화되어졌기에 악가무(樂歌舞)로 이야기 한다. 전통춤은 언제나 늘 음악과의 관계성 속에서 악가무 일체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음악 속의 장구 장단은 전통춤의 생성에 있어 호흡을 관장(管掌)하는 주도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실제 전통춤을 전승하고 보전하는 데 있어 장단이 기본이 되어야 하고, 반주장단 전문인이 꼭 필요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춤에서 호흡은 생기(生氣)이고 생명줄이다. 이것을 잡고 있는 것이 장구 장단이기에 전통춤과 장단의 실체 분석을 통한 반주장단 특성을 연구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승무의 대풍류, 살풀이춤의 시나위, 태평무의 경기도 도당굿, 산조춤의 산조(流) 등 음악의 형식 안에 반주장단은 박(拍)의 구조적 특성을 통해 춤의 골격을 형성하며 선율(가락)과 춤사위의 조화를 이끌어내는 매개체로서 다양함의 기능을 넘어 전체 호홉의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의 전통춤 중심에는 장단을 만들어내는 반주자 있었고, 춤을 추는 이와 늘 함께 하였으나 혼효(混淆)되는 시기에 춤 따로, 장단 따로 분리 교육되는 현상이 생겼고, 지금의 현실은 필요에 따라 동반하는 반주자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굿거리장단 중심의 두 유파의 살풀이춤, 성주풀이입춤, 진주교방굿거리춤을 선정하였고, 경기도 도당굿장단 중심의 두 유파의 태평무를 선정하였다. 전통춤의 굿거리장단은 3+3+3+3의 기본구조로 반주장단의 특성을 달리하며 각 작품을 표현하고 있었다. 춤의 호흡을 통한 각 작품의 춤사위를 표현해 주는 장단의 호흡구조에 의해 3+3+3+3의 기본구조를 바탕으로 순환형, 반복형, 변화형으로 나누어졌다. 순환형의 장단이 쓰이는 두 유파의 살풀이춤은 기경결해의 구조가 고르게 분포되어 전개되어지면서 선율의 조화와 함께 춤사위를 표현해 주었고, 반복형의 장단이 쓰이는 성주풀이 입춤은 민요 2박 절의 맺이를 제외하고 시원하게 내주는 대박과 굴림채, 빈 박을 어르고 푸는 흐름으로 기결-기해-경-해로 한 장단이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구조가 반복되고 있었다. 진주교방굿거리춤은 다는장단 자체가 기본형으로 쓰이며 구음의 음률에 따라 장단을 쌓아가 여러 유형으로 자유롭게 구사되었고, 단계적으로 구음에 맞춰 달아지던 12, 18, 24, 25, 29 장단이 39장단부터는 적극적으로 달아져 춤의 긴장감을 높였고, 3박자의 구조에서 2박자로 음률을 살리는 구음은 춤을 더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였다. 한영숙류와 강선영류 두 유파의 태평무는 각기 규칙적인 장단의 큰 흐름 안에 반주Ⅰ-반주Ⅱ-반주Ⅰ의 형태로 기악-타악-기악 중심의 흐름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반주Ⅱ의 타악부문은 혼합박자형의 구조로 춤사위와 발짓춤의 특징을 표현해 준다. 복색도 다르고 호흡도 다른 춤길에서 장단 수(數)와 타법의 차이가 있었지만 반주Ⅱ 부문에서 터벌림-올림채-올림채모리-넘김채 장단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춤사위의 표현에 있어 장구 장단꼴은 유사하였고 꽹과리의 쓰임으로 두 유파의 호흡을 달리 표현해 주고 있었다. 연구자의 연구는 전통춤의 악가무 일체성에서 시작하였고, 춤과 장단은 호흡을 같이 해야 한다는 필연성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굿거리장단 중심의 네 작품은 12박의 3+3+3+3 기본형 구조에서 반주장단 유형의 특성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장단의 내고(起), 달고(景), 맺고(結), 푸는(解) 형식에서 그 형태가 자유로우며 순환과 반복과 변화로 각 춤의 특성을 살리며 즉흥적인 요소가 내재되어 있는 신축자재한 구조이다. 둘째, 각 기본형 장단 구조 안에서 반주장단의 흐름에 맞춰 춤길의 흐름이 일정하게 진행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음악의 첫박인 ‘덩’의 기운을 제외하고, 각 장단형에서 정(靜)적인 춤길이 나오기도 하고, 동(動)적인 춤길이 나오기도 하며, 중간 호흡을 연결해 주는 중(中)적인 춤길도 자유롭게 생성되었다. 셋째, 장단의 흐름에 따라 여러 춤사위가 어우러져 표현되지만, 굿거리장단에서는 흐름에 따라 정해진 춤사위가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장단은 장단에 충실하고, 춤은 춤에 충실하면서 서로 호흡을 맞추고 조화로운 모습이 하나로 연출되면서 정·중·동의 춤길을 만들어내고 있다. 넷째, 두 유파의 태평무는 다양한 장단의 전개 속에서 각 춤의 특성을 살리는 장단의 어법이 있고, 서로 다른 춤의 호흡이 장구장단과 함께 꽹과리의 역할에 의해 달리 쓰이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다섯째, 위의 네 가지에서 알 수 있듯이 정해진 춤의 틀과 음악형식의 기준점은 있지만 자율성·즉흥성·현장성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 우리의 전통춤임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우리의 전통춤은 정·중·동으로 이어져 음양(陰陽)의 조화와 변화를 표현하고 있으며, 그 조화로움 속에 즉흥성과 신명의 멋과 맛을 표출하고 있다. 장구 장단은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흐름을 잡아 주고, 늦춰 주고, 댕겨 주며, 춤과 호흡을 같이 한다. 활용 방안으로 특정 장단은 구음으로 먼저 익혀야 하고, 춤사위와의 접목을 통해 체득되어 춤길에 대한 흐름을 익혀야 하는 과정이 전승과 교육의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교육 현장과 공연 현장에는 전문 반주강사와 반주자를 필요로 한다. 악가무 일체의 전통춤에는 장구 반주자가 늘 함께이어야 한다는 필수 불가결한 결론이 도출될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교육 현장만큼은 춤 장단이 변화되어 넘어가기 전의 단계인 춤을 다지는 과정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전통춤의 기초과정에서 장구의 장단은 매우 중요하기에 장단 없이는 수업을 운영하면 안 된다. 이러한 기초과정을 단단히 해야 전통춤의 근간을 흔드는 변형과 전통춤이 무너지는 일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에 전통춤을 보전·전승하고 그 명맥을 유지하며 계승·발전하기 위해서는 장구의 반주장단이 늘 함께일 수 밖에 없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의식이 바뀌어야 한다. 과거처럼 전통춤에 의한 장단이 함께 공동체로 교육이 되어야 함을 인지하고 인식하여야 한다. 반주장단과 춤이 함께 훈련되어야 춤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춤길을 형성하고 이끄는 장단에 대한 입문서가 있어야 한다. 한국춤의 작품 표현에 있어서 어떠한 악기가 동원되더라도 장구의 기본 장단이 제시된다면 작품을 안무하는 데 있어서도 한국적인 춤, 한국 고유의 춤, 민족의 춤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여러 형태로 분류되어지는 춤에 따른 장구 장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시대의 큰 조류 속에서 한국춤의 그 원형과 특성이 잘 보전되고 전승되어 온 것은 장구 장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장구의 반주장단에 의해 다양한 춤사위가 나오고, 추는 자 스스로 정화(淨化)의 무한 지경에 이르게 된다. 춤추는 자의 즉흥성은 반주장단에 의해서 어울림이 되고 새로운 결정체가 만들어진다. 춤을 교육하는 현장에서 장구를 외면하거나 터부시 하는 경향이 있었기에 우리의 교육 현장에 장구 수업, 장단 수업의 적용이 미진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자는 전통춤 반주장단의 기본과 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정면 안모사진에서 안면 비대칭자의 악교정 수술전후 연조직 변화

        박소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by increasing the interest in aesthetic appearance with improvement in socio-economic conditions, the awareness of some of the asymmetry increases and the people also respond sensitively to a mild asymmetry day by day. The precise diagnosis, treatment and prediction of facial asymmetry is important value in orthodontic treatment.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ymmetric proportions in soft tissue and chin deviation in hard tissue before surgery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the soft tissue change according to correction of deviated chin portion after the orthognathic surgery. We used the frontal facial photographs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of 21 facial asymmetry patients(>3.0 mm chin deviation on the radiograph), who had an operation(Lefort I osteotomy in maxilla, BSSRO in mandible or only BSSRO in mandible) as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University of Dankook, in Korea, at the pre-surgical state and post surgical state. And our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orthognathic surgery, we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surgery and postsurgery on soft tissue changes; patients were improved in soft tissue Me deivation (distance,degree), VRL-LSN (D-N difference), VRL-Go (both side, D-N difference), VRL-Ch (both side,D-N difference), ∠Ramal inclination (non-deviated side,D-N difference), ∠Body inclination (deviated side,D-N difference), ∠Go angle (deviated side,D-N difference), ∠Lip canting (D-N difference) (p<0.01), and VRL-LAM (both side), VRL-LSN (deviated side), HRL-Ch (deviated side), ∠Ramal inclination (deviated side) (p<0.05). Also chin deviation and ML1 deviation were improved significantly (p<0.01), each other had significant correlationship (p<0.01, r=0.829). 2. After orthognathic surgery, we found that the correction amount of the chin deviation on hard tissu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soft tissue Me correction amount (distance,degree), VRL-Ch change (non-deivated side) between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state on frontal view. 3. By comparing the relationships of soft tissue measurements between the chin correction amount and the correction amount of ML1, we found that genioplasty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on soft tissue changes except for VRL-Ch change (non-deviated side) and ∠Go angle change (deviated side). These results may help the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facial asymmetric patients. 안면 비대칭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 그 결과 예측은 이를 치료하는 교정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대부분의 비대칭에 대한 분석 및 평가는 경조직 악골의 분석을 통한 비대칭의 진단 및 치료계획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일반인들이 느끼는 것은 악골을 둘러싸고 있으며 골격의 비대칭이 반영되는 연조직이므로 안면 비대칭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정면 연조직 평가 및 그 변화 예측은 경조직의 예측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자의 수술 전 이부 편위 정도에 따른 연조직 비대칭 정도를 평가하고, 악교정 수술 전후에 발생하는 정모상에서 이부 편위 수정에 따른 각 연조직 부위 변화 양상과의 상관성과 비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상악에 LeFort I 골절단술과 하악에 BSSRO를 받은 환자 그리고 하악에 BSSRO을 받은 환자 중 술전 정모두부 방사선사진상 이부 편위가 3mm이상으로 선별된 21명의 골격성 3급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수술 전 (t1), 디본딩시 (t2)에 촬영된 정면 얼굴사진과 수술 전 (T1), 수술 후 (T2)에 촬영된 정모두부 방사선사진을 사용해 수평 기준선과 수직 기준선에 대한 계측점의 좌우 수직 높이 및 그 차이, 수평거리 및 그 차이, 구조물 사이의 경사도 및 각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면 비대칭자의 악교정 수술에서 술전과 술후 연조직 측정에서 연조직Me 편위량, VRL-LSN (좌우차이), VRL-Go (편위, 비편위측, 좌우차이), VRL-Ch (편위, 비편위측, 좌우차이), ∠Zero point- Me, ∠Ramal inclination (비편위측, 좌우차이), ∠Body inclination (편위측, 좌우차이), ∠Go angle (편위측, 좌우차이), ∠Lip canting (좌우차이)(p<0.01) 그리고 VRL-LAM (편위, 비편위측), VRL-LSN (편위측), HRL-Ch (편위측), ∠Ramal inclination (편위측)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개선되었다. 그리고 경조직에서 이부편위량, 하악 전치 치근 중심점 편위량도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으며 (p<0.01),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 (p<0.01, r=0.829)를 보였다. 2. 경조직 이부편위의 수술적 개선량에 따른 정모상 연조직에 대한 상관관계는 수평적 거리계측에서 VRL-Me (개선량), VRL-Ch (비편위측 개선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1), 수직적 거리계측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며, 각도 계측에서∠Zero point-Me (개선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3. 술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이부 성형술의 영향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서 하악전치 치근 중심점과 경조직 이부 편위 개선량에 따른 각각의 연조직변화의 상관관계에서 VRL-Ch (비편위측 개선량), <Go (편위측 개선량)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안면 비대칭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움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재미의 조절 효과

        박소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of adult ballet amateurs in order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fu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recruited by non-probability sampling for adult ballet amateurs who have been actively participating. The data collection went on for about 5 weeks from February 24, 2021. The targeted participants were ones who do not specialize in ballet and enjoy ballet in their leisure time. Among the sampling method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sampling.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collection, a total of 308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urvey.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rious leisure, quality of life, and fun factors among the survey da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demographic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serious leisure, quality of life, and fun fa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of adult ballet amateurs and the sub-factors of the fun factor.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was tested. In order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un factor in the relationship, interac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are as follow. First, the difference in serious leisur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age, income level, and participation frequency. Differences in fun fa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actice and benefit factors in terms of education level. In terms of a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etence perception factor and coolness factor, and both factor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in their 20s and 30s in their 40s and above. In terms of income leve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etence perception facto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un factor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in the cool factor. As for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me level,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age, and participation frequenc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of adult ballet amateurs, it was found that the reward and professional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serious leis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factor and quality of life of adult ballet amateurs,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 of the fun factor, the competence awareness factor, practice and benefit factor, family support factor, and club atmosphere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un fa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of adult ballet amateurs, it was found that the fun factor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y buffering the negative (-) effect of serious leisure on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재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가 인식하고 있는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요인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재미 요인이 어떠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2021년 2월 24일부터 약 5주간 성인발레 아마추어로써 활동하고 있는, 발레를 전문적으로 전공하지 않은, 진지한 여가로써 발레를 즐기는 성인 발레 아마추어들 동호인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표집 하였다. 설문지 회수결과 총 308부의 자료를 본 조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조사 자료 중 진지한 여가, 삶의 질 및 재미요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 그리고 재미 요인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 그리고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이용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재미요인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진지한 여가의 차이는 교육 수준, 연령, 소득 수준, 참여 빈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재미요인의 차이는 교육 수준에 있어서 연습과 혜택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에 있어서 유능성 자각 요인과 멋스러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두 요인 모두 40대 이상이 20대와 30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에 있어서 유능성 자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 빈도에 따른 재미 요인의 차이는 멋스러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소득 수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났지만 교육 수준, 연령, 참여빈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진지한 여가의 하위 요인인 보상요인과 전문성요인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재미요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는 재미 요인의 하위 요인인 유능성 자각요인과 연습과 혜택요인, 가족지원요인, 클럽분위기 요인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발레 아마추어들의 진지한 여가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재미 요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재미 요인이 진지한 여가가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충하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 부정 정서가 부정 긴급성을 매개로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 정서의 매개된 조절효과

        박소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부정 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 행동의 매개모형에서 긍정 정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여성을 378명을 대상으로 지난 2주간의 부정 정서, 긍정 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 행동 경향성을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부정 정서가 폭식 행동에 끼치는 정적 영향에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여, 부정 정서가 높은 긴급성을 매개해 폭식 행동을 높이는 위험요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부정 정서와 폭식 행동의 관계에 부정 긴급성이 끼치는 매개모형에서 긍정 정서의 조절된 매개 지수가 유의미하였다. 즉, 부정 정서가 부정 긴급성을 통해 폭식을 예측하는 데에는 긍정 정서가 보호요인이 되었다. 하지만 긍정 정서는 매개 모형의 조건부 직접효과에 정적으로, 조건부 간접효과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정 긴급성을 통하지 않는 부정 정서의 폭식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에는 긍정 정서가 위험요인이 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임상적 시사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t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affect in the mediating model of nagative affect, negative urgency, and binge eating behavior. To this end, 378 adult women were measured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negative urgency, and binge-eating behavior trends over the past two wee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was significant in the positive effect of negative affect on binge eating behavior, suggesting that negative affect are a risk factor that increases binge eating behavior by mediating high urgency. In addition, the moderated mediating index of positive affect was significant in the mediating model that negative urgency affects the relationship of binge-eating behavior of negative affect. In other words, positive affect became a protective factor in predicting binge eating through negative urgenc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affect hav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and negative effect o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ing model, which is a risk factor for the direct effect of negative affect on binge behavior without negative urgen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지역 공동체 돌봄의 지속성·접근성 증대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역할 :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의 사례

        박소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도시화가 이뤄졌다. 급속하게 성장한 도시에서 기존의 공동체는 약화되었으며 상부상조, 품앗이와 같은 공동체의 가치 역시 찾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배경 아래서 돌봄은 자연스레 국가와 가정의 몫으로 돌아갔다. 이와 함께 여성의 사회 진출은 가정에서의 돌봄 공백을 만들었다. 공적 돌봄과 가정 내 돌봄 영역의 공백을 채워 줄 대안으로 지역 공동체 돌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는 제주도청에서 지원하는 수눌음 사업 중 하나다.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는 제주 전통의 수눌음 정신을 계승하여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고 지역 사회에 양육 친화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한다.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는 자조 조직으로 적시적소에서 돌봄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킨다.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는 돌봄 서비스를 정부와 시민이 함께 생산하여 돌봄에 대한 공백을 채우며 공동체의 자립을 도모한다는 점에 있어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와 시민이 돌봄 서비스를 함께 생산하는 지역 공동체 돌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역 공동체 돌봄의 활성화를 위한 지속성과 접근성 증대에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사회적 자본 이론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여 신뢰, 규범, 협력, 네트워크를 사회적 자본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연구 분석틀을 바탕으로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공무원, 전문가, 수눌음 활동가 및 구성원 등 연구 참여자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돌봄공동체의 사회적 자본 요인 중 지역 사회 신뢰 형성에 제주도 지역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되었음을 확인했다. 제주지역의 공동체 문화가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를 기획하는 과정에 반영되었다. 돌봄공동체 구성원 간 신뢰는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의 지속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주민은 돌봄공동체 참여 계기로 육아 정보공유 및 공동육아를 위한 상호관계망 형성이 주요 동기였다. 다양성은 수눌음 돌봄공동체의 활동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고, 다양한 가족 유형이 수눌음 돌봄공동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성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호혜성에 기반한 규범은 제주 수눌음 돌봄공동체에 내재 되어 있는데 이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에서 호혜성이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속가능한 운영규칙에서는 지원금 사용과 업무분장에 관한 내용에 대해 필수적으로 규칙을 만들기를 권했는데 공동체에서 많은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넷째, 공동체 외부 협력은 접근성의 영향 요인으로 공동체를 지역 사회에 알려 새로운 공동체가 파생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본 사업의 목적인 지역 사회 양육 친화적 이웃 환경 조성에도 영향을 준다. 공동체 내부 협력은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공동체 내부 협력을 위해서는 갈등을 예방하고 구성원 간 소통을 통한 육아 가치관 및 유대감 형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수눌음 돌봄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지역 사회 신뢰, 상호관계망이다.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돌봄공동체 구성원 간 신뢰, 상호관계망, 지속가능한 운영규칙, 공동체 내부 협력이었다. 접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성과 공동체 외부 협력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돌봄공동체 활성화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확대하였으며, 지역 공동체 돌봄 활성화를 위해 지속성 및 접근성 증대를 위한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실질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Korea has been urbanized 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In a city that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the existing community has been weakened, and it has become difficult to find the value of communities such as mutual aid. Under this background, care naturally returned to the local government and family. At the same time, women's entry into society created a gap in care at home.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are is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to fill the gap in the area of public care and home care. The Jeju Sunulum Community Care is one of the Sunulum projects supported by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The Jeju Sunulum Community Care aims to restore the local community and create a neighbor-friendly parenting environment by inheriting the spirit of Sunulum in Jeju-do's tradition. The Jeju Sunulum Community Care is a self-help organization that meets the demand for care services at the right place in real time. The Jeju Sunulum Community Care is meaningful in that the government and citizens produce care services together to fill the gap in care and promote the community's independ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understands that social capital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sustainability and accessibility to revitalize community ca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are where the government and citizens produce care services together. To confirm this effect, the research on the existing social capital theory was reviewed to derive social capital factors of trust, norms, cooperation, and networks. Based on this,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study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earch analysis framework,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related public officials, experts, activists, and member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eju Sunulum Care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s a result of the study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eju-do were reflected in the formation of community trust among the social capital factors of the community care. The community culture in Jeju-do area was reflect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the Jeju Sunulum Community Care(Son Tae-ju, 2018). Trust between members of the community ca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Jeju Sunulum community care. Second, as an opportunity for migrant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care, the main motivation was to share childcare information and to form a mutual network for joint childcare. Diversity has influenced the accessibility of enriching the activities of the Sunulum community care and allowing various types of family to participate in the Sunulum community care. Third, the norms based on reciprocity are inherent in the Jeju Sunulum Community Care, which shows that reciprocity is formed in a community based on trust. The Sustainable Operations Rules recommended that rules be made on the use of subsidies and the division of work because they are factors that cause many conflicts in the community. Fourth, community external cooperation is an influential factor in accessibility, informing of the community to regions and helping to derive a new community. It also affects the creation of a parenting-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nternal community cooperation is a factor that affects sustainability. For internal community cooperation, the prevention of conflict, the formation of parenting values, and the bonds through communication among members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Sunulum Community Care are community trust and interrelationship network. As factors influencing sustainability, trust among members of the caring community, mutual relationship network, sustainable operating rules, and internal cooperation of the community were derived. Factors affecting accessibility can be summarized as diversity and cooperation outside the community.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is study has expanded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care and suggests that factors of trust, operation rules, cooperation, mutual network, and diversity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care.

      • 초등 발레 특기·적성 교육에의 인문적 접근 : 하나로 수업의 실천 및 효과

        박소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oblems with current after school elementary student ballet education and applied the Hanaro teaching model, which has the potential of creating an ideal humanities-oriented ballet education, to offer as a possible solution. In addition, the study also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Hanaro teaching model on the current after school elementary student ballet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o find solutions to the current problems, the study went into effect in the humanities-oriented elementary school in Yongin-City, Kyunggi-Province. The research targeted the first and second grade classes, and based on the Hanaro teaching model, they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elementary student ballet education for one hour, twice weekly, for a total 12 times. The research participant, who acted as a researcher and instructor in this study, has 17 years of ballet experience and 6 years of experience as a ballet instructor. Through endless meetings and conferenc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other participants, which consisted of a professor and researchers of the sport pedagogy lab. The daily observational and self-reflection lab diaries, class materials, diaries from visiting parents, student’s activity materials, videos and pictures taken, and in-depth interview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case record analysis, and inductive case analysis. Through examination by constituents and discussions among colleagues, the analyzed data that had undergone triangulations were evaluated in depth to ensure authentic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anaro Teaching model, which can realize the ideal of humanities-oriented dance education, was practiced in aptitude ballet education of after school elementary students. It targeted 12 students, who are first or second grade, and composed wit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the purpose of Hanaro Teaching model, every 12 times class composed with reading, writing, observation, and activity for new topics, and it helps to students totally experience about ballet. Students experience ballet with direct and indirect teach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y divided by several groups in these activities. Second,, the result of Hanaro Teaching model is students totally understood about ballet and had interest for ballet class. In addition, they expended their experience in ballet and had dream and hope. Function, knowledge, and attitude were accomplished by Hanaro Teaching model so students had ability of self-discovery and increased their thinking power. Moreover, the effect of education was successfully spread to daily life and school life by Hanaro Teaching model so students had positive change in their life. Reciprocal action was accomplished by Hanaro Teaching model so students felt intimacy and happiness. In addition, their abilities of cooperation and socialization are increased. Symmetry development of students’ cognitive, psychomotor, definitive domain was confirmed by results of Hanaro Teaching effect. These results are not drive only from physical education. Students make their body and heart beautiful from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of Hanaro Teaching. In other words, they grow their body and heart by experience of spiritual and technical aspect simultaneously. Humane ballet class, which realized by Hanaro Teaching, will shed light on the way to become a whole person.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특기·적성 발레 교육에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문적 무용교육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하나로 수업 모형을 초등 특기·적성 발레 교육에 적용하여 실천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초등발레교육에서의 하나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인문초등학교에서 특기·적성 발레 수업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1·2학년 수업을 대상으로 주 2회 1시간, 12차시 수업으로 하나로 수업 모형을 통한 발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이자 지도자로 발레 경력 17년, 발레 지도 경력이 6년인 발레 전문 강사이다. 그 밖의 연구 참여자로 대학교수와 스포츠 교육학 연구실의 실원 선생님들과 지속적인 만남과 회의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12차시 하나로 수업 모형의 실행 과정에서 교사의 관찰일지와 반성일지, 수업 자료, 학부모 참관록, 학생활동 자료, 비디오 촬영, 사진 촬영 자료, 심층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으로는 사례기록 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원간의 검토, 동료간 협의, 다각도 분석법 등을 통하여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로 수업 모형을 기반으로 인문적 발레 수업이 개발되었고, 그 프로그램을 초등발레 특기·적성 교육의 현장에서 실천 하였다. 하나로 수업은 초등학교 1-2학년 12명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수업내용은 발레를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체험활동과 발레를 느끼고 잘 알 수 있도록 하는 간접체험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하나로 발레 수업의 목표를 바탕으로 12차시 수업마다, 새로운 주제에 관련하여, 읽기, 쓰기, 그리기, 보기, 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 발레를 총체적으로 경험하도록 수업 내용이 조직되었고, 직접교수활동과 간접교수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직·간접적인 방법으로 발레를 체험 하였다. 또, 각각의 활동을 행하는 터와 친구들과 함께하는 패를 나누어 수업이 운영되었다. 둘째, 초등발레 특기·적성교육에서의 하나로 수업의 효과는 하나로 수업의 하기, 읽기, 쓰기, 보기를 하나로의 수업목표에 달성한 결과, 발레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이와 함께 발레 수업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자신의 세계가 확장되고, 꿈과 희망이 있는 학생으로 변화되었다. 기능, 지식, 태도를 하나로의 수업목표에 달성한 결과, 자기 발견과 사고력 증진, 또 태도가 향상 되었다. 일상생활과 학교생활을 하나로의 수업목표에 달성한 결과, 수업을 통해 학습한 것이 학교 수업으로의 전이, 또 일상 생활으로의 전이가 이루어져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 졌다. 다른 사람을 하나로의 목표를 달성한 결과, 친밀감 증대와 함께하는 행복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협동심과 사회성이 발달되는 효과를 얻었다. 하나로 수업의 효과로 도출된 결과들은 학생이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인 영역에의 조화로운 발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신체적인 교육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결과이다. 학생들은 하나로 수업의 직·간접 체험활동을 통해 신체를 아름답게 함과 동시에 마음까지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법적 차원과 심법적 차원을 동시에 체험함을 통해 몸과 마음이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 하나로 수업을 통해 실현된 인문적 발레 수업은 학생이 참 좋은 사람(전인)으로 성장될 수 있는 길을 환히 비추어 줄 것이다.

      • 글쓰기와 그리기가 미술주제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소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글쓰기와 그리기가 미술주제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그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글쓰기와 그리기의 표현을 통해 학습 주제표현에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자 함에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미술의 표현과 소통의 도구로 언어적 표현을 강조하고 있다. 미술교과에서 언어적 활동은 미술이 표현되어 전달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표현활동이다. 이에 미술교과는 시각물을 언어로 변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언어적 표현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미술교육의 언어적 표현능력은 소통의 시대에 시대적 흐름의 요구에 발맞추어 나갈 수 있는 요소가 된다. 교과과정에는 학년별 수업을 통해 도달해야할 학습목표와 그에 따른 주제가 주어진다. 교과서를 살펴보면 각 교과마다 중복되는 주제가 있다. 중복되는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표현방식의 접근은 학습 목표 도달에 긍정적인 도움을 준다. 국어와 미술은 글과 그림이라는 표현 방법은 다르지만 대상을 표상하고, 창작하는 공통의 창작 예술활동이다. 언어적 표현과 미술적 표현의 접목은 주제의 다양한 표현 능력과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효과를 효율적으로 향상 시킨다. 본 논문은 글쓰기와 그리기가 미술주제표현에 미치는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연구수업 하였다. 글쓰기는 생활적 경험 주제인 ‘두 개의 그네’로 설정하여 생활문형식의 글쓰기를 하였다. 비교집단은 주제를 듣고 그리기로 표현하였고, 실험집단은 주제를 생활문 글쓰기 후 그리기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리기 활동 전 글쓰기 활동은 주제의 발상과 사고를 확장시킨다. 둘째, 주제의 글쓰기와 그리기의 연계활동은 주제의 심도 있는 접근을 돕는다. 셋째, 주제의 글쓰기와 그리기 활동을 통해 주제의 표현의 확장을 돕는다. 넷째, 그리기 활동 전 글쓰기 활동은 아동 스스로의 발상과 생각을 돕는다. 이를 통해 주제 그리기활동 전 글쓰기는 학습자 스스로의 발상과 구상을 돕는 방안의 학습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겠다. ABSTRACT A Study on the Impact of Writing and Drawing on the Expression of Artistic Themes Park So-hyun Major in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writing and drawing on the expression of artistic themes. It's specifically meant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xpress the themes of learning through writing and drawing in order to produce better educational effects. The 7th curriculum puts stress on verbal expressions as a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n art subject, verbal activities are one of mandatory expression activities to represent and convey what's in one's mind, and verbal expression skills are consequently required in this class to express visual things in language. The use of verbal expression skills make it possible for art education to properly respond to the requirements of modern times in which communication is especially emphasized. Every curriculum presents learning objectives for each grade that should be attained, and corresponding themes are presented as well. When textbooks are analyzed, there are common themes that different subjects deal with, and taking diverse expressive approaches to the same theme is conducive to the attainment of learning objectives. Although the vocabulary of the Korean language that is writ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art that is drawing, both are common creative art activities to represent and create things. Learners are able to boost their thematic expression skills, to get more interested in class and to improve their learning effects when they engage in both of verbal expression and artistic expression activities. After the sel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xperimental teaching was provided for them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writing and drawing on the expression of artistic themes. 'Two swings' that was one of life themes was selected as the theme of writing, and each of the students wrote a piece of experiential writing. The control group drew a picture to express the theme after they heard about the theme, and the experimental group drew a picture after they engaged in experiential writ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writing activities that were followed by drawing activities served to enlarge the horizon of their thinking and ideas about the theme. Second, the articulated activities of thematic writing and drawing assisted the students to take a more profound approach to the theme. Third, the thematic writing and drawing activities helped them to express the theme in a more comprehensive way. Third, the pre-writing activities that were followed by drawing activities encouraged them to come up with ideas on their ow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pre-writing activities followed by thematic drawing activities can be used as one of efficient learning methods to facilitate the conception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