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DMZ 관광동기가 지각가치와 자산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근영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DMZ는 한반도의 중앙을 관통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냉전의 흔적이 있는 곳으로 한국전쟁의 상징성과 오랜 세월 민간인통제구역 등의 요인들에 의해 특별한 관광목적지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DMZ 관광자원이다. DMZ는 2018년 4.27 남북정상회담으로 한반도의 새로운 평화분위기가 조성되고, 판문점은 DMZ 관광의 대표적인 명소가 되었으며, DMZ는 자산으로서의 가치뿐 만 아니라 기능적, 환경적 측면에서 다양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으나, DMZ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세계 유일의 비무장지대인 DMZ를 중심으로, 관광동기가 지각가치, 자산,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접근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8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조사대상 지역은 연천시티투어 관광객, 철원팸투어에 참가한 관광객, 충남통일안보교육센타에서 주관한 관광객들이며,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편의추출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총 300부가 배포되고, 유효표본 261부가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으로 접근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DMZ 관광동기가 지각가치와 자산 및 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각가치는 자산과 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셋째, 자산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련 시사점과 연구한계를 제시하였다.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is located in a geographical location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s the only place in the world that has traces of the cold war. It is a tourism resource representing Korea as a special tourist destination due to factors such as the symbolism of the Korean War and being the civilian control zone for many years. The DMZ was established as the peninsula’s new peaceful atmosphere on April 27th, 2018, Panmunjeom has become a representative attraction of DMZ tourism, and not only does the DMZ have a value as an asset but also has a variety of values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environment.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variety of studies conducted centering on the DMZ.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tourist destination motives, perceived values, and assets on the intention to visit through an empirical approach, focusing on the DMZ, the world’s only demilitarized zon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July 2018 to September 2019, and the survey sample included tourists from Yeoncheon City tours, tourists participating in Cheorwon Pam tours, and tourists organized by the Chungnam Unification Security Education Center. The surve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tilized. A total of 3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261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DMZ visit motiv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assets, and intention to visit. Second, the perceived value wa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assets and intention to visit. Third, the effect of the asset on the intention to visit was insignificant, but positively related. Finally, relevant implications and research limits were presented.

      • 패션기업의 리빙 브랜드 사례분석과 특성에 관한 연구

        박근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people are satisfied by decorating living spaces for personal rest and hobbies and sharing SNS. As the trend of these houses has emerged, the home furnishing market is growing significantly. To meet this trend, companies in various fields are expanding their living business, and overseas fashion companies are creating profits by launching living brands early, and fashion companies that have successfully expanded their living business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from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the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domestic fashion companies and fashion brands into the living busines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verseas fashion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overseas fashion companies operate living brand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o provide basic data for domestic fashion companies and fashion brands to enter the living busines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change of living bra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usiness of fashion compan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the main subject, foreign fashion companies that are engaged in living businesses are classified into luxury and contemporary fashion brands by price range. When textile-oriented items are sold again, textile design-oriented living brands, fabrics, furniture, lighting, tableware, and other items are handled,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otal living brands. The range of products was limited to textile products of fashion and living, and the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fashion and home collection photographs from 2017 to 2019 and product images provided by the homepage.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brands of overseas fashion compan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Missoni, Etro, Versace, Oilily, Kate Spade, and Marimekko among luxury and contemporary fashion brands were used for living products by variously modifying the design, size, and color of signature motifs and patterns, but they were able to know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rmani used patterns and neutral colors expres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exture and gloss of materials in living brands, and Hermes borrowed scarf designs while using symbolic motifs and identity colors in living products. DKNY developed and used patterns and texture designs and materials of living products that fit modern concepts, and Ralph Lauren used symbolic motifs of the brand and made delicate pattern designs for living product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brands of fashion companies were analyzed through case analysis. First, the brand awareness of fashion companies was used to provide consumers with familiar images to living businesses, second, the fashion companies' unique patterns and colors were applied to fit the living space with the strength of textile design, and third, the business expansion using living products not only delivered the emotions of the brand to customers but also provide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living produc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functional materials and quality information for living products is insufficien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dealing with only a part of fashion brands, fashion and living products and analyzing them through images,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on how foreign fashion companies are analyzing textile products by subdividing them and how they are carrying out living business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domestic fashion companies and fashion brands that will enter the living business in the future. 오늘날 사람들은 개인의 휴식과 취미를 위한 리빙 공간을 직접 꾸미고 SNS 공유함으로써 만족을 얻고 있다. 이러한 집에 관한 트렌드가 등장하게 되자 홈 퍼니싱 시장은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은 리빙 사업을 확장하는 추세이고 해외 패션기업들도 일찌감치 리빙 브랜드를 런칭함으로써 브랜드의 이윤을 창출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리빙 사업을 확장한 패션기업은 대중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반면에 국내 패션기업 및 패션 브랜드의 리빙 사업 진출과 확장은 해외 패션기업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패션기업이 어떻게 리빙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지 사례분석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패션기업 및 패션 브랜드가 리빙 사업으로 진출할 때 활용할 기초자료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리빙 브랜드의 개념과 변화 그리고 패션기업의 리빙 사업 특징을 일반적 고찰하였다. 본론에서는 리빙 사업을 진행하는 해외 패션기업을 가격대별로 럭셔리, 컨템포러리 패션 브랜드로 분류하였고 다시 텍스타일 위주의 아이템을 판매하면 텍스타일 디자인 주력 리빙 브랜드, 패브릭, 가구, 조명, 식기류 등 다양한 아이템을 다루면 토털 리빙 브랜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제품의 범위는 패션과 리빙의 텍스타일 제품으로 한정하였고, 자료는 2017년부터 2019년의 패션 및 홈 컬렉션 사진과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패션과 리빙에서 사용하는 모티브의 표현방법, 소재, 컬러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외 사례를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해외 패션기업의 리빙 브랜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럭셔리와 컨템포러리 패션 브랜드 중 Missoni, Etro, Versace, Oilily, Kate Spade, Marimekko는 시그니쳐 모티브 및 패턴의 디자인, 크기, 컬러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리빙 제품에 사용하였지만, 고유의 특징을 알 수 있게 하였다. Armani는 리빙 브랜드에서도 소재의 질감과 광택의 차이로 표현한 패턴과 중성적인 컬러를 사용하고 있었고 Hermes는 리빙 제품에 상징적인 모티브와 아이덴티티 컬러를 사용하면서 스카프 디자인을 차용하고 있었다. DKNY는 모던한 컨셉에 맞는 리빙 제품의 패턴과 텍스쳐 디자인과 소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Ralph Lauren은 브랜드의 상징적인 모티브를 사용하면서 리빙 제품을 위한 섬세한 패턴 디자인을 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사례분석을 통해 패션기업의 리빙 브랜드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패션기업의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하여 리빙 사업에 친숙한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둘째, 텍스타일 디자인의 강세로 패션기업의 고유 패턴과 컬러를 리빙 공간에 어울리도록 응용하여 차별성 있는 디자인을 전개하였고 셋째, 리빙 제품을 활용한 사업 확장은 고객에게 브랜드의 감성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리빙 제품을 경험할 기회도 제공하였다. 넷째, 리빙 제품을 위한 기능성 소재 사용과 품질 정보는 부족한 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방대한 패션기업, 패션 및 리빙 제품 중 일부만 다룬 것과 이미지를 통해 분석한 것은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해외 패션기업의 리빙 브랜드를 세분화하고 패션과 리빙 텍스타일 제품을 비교·분석한 것과 해외 패션기업이 어떻게 리빙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탐구는 향후 리빙 사업으로 진출할 국내 패션기업 및 패션 브랜드에게 기초적 자료로써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다종소재 셀프-피어싱리벳 접합품질 평가

        박근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규제의 강화로 연비 향상을 위한 경량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경량 소재를 차체에 적용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때 차체에 성질이 다른 소재를 접합하는 접합 방법이 핵심 기술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계적 체결 방법인 SPR(Self-Piercing Rivet) 접합 방법은 성질이 다른 소재를 접합하는데 용이하며 다종 소재 접합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SPR접합 공정상에 공정변수들로 인하여 접합 품질이 달라지게 될 수 있으며 여러 변수들에 대한 영향 평가와 접합 품질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etal/Metal, CFRP/Al 조합에서의 SPR접합공정 해석을 위해 접합 대상 소재에 대한 물성평가를 진행하였고, 리벳의 물성은 역해석 방법을 통해 도출하였다. 또한 파단 실험을 통해 소재의 손상 거동을 측정하였으며 Drucker-Prager 항복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파단 기준을 도출하였다. 실험을 통해 도출된 물성과 파단 기준을 해석에 적용하여 SPR 공정 해석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실험과 비교하여 해석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정립된 해석 모델을 기반으로 리벳 물성, 마찰계수, 파단 모델이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하판 두께, 리벳 길이가 SPR접합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CFRP를 포함한 SPR 공정 해석의 경우 CFRP의 층간박리를 고려한 모델과 고려하지 않은 모델로 나누어 모델링 하여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실험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CFRP의 층간박리를 고려한 모델이 더 적합한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 플랫폼 독립적 JTAG 보안 기법

        박근영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JTAG (Joint Test Access Group) is a useful testing tool used i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steps of embedded devices. However, the powerful device access feature of JTAG gives advantages to both normal users and users with malicious intentions. This threat has converted to JTAG in source of many security problems. As an example, the use of JTAG as a backdoor for hacking purposes can be mentioned. In this thesis, a secure JTAG with user authentication technique is proposed, which deny the access of JTAG benefits to unauthenticated users. The proposed JTAG protection technique is based on private certificates, solving the problem of key management, and providing a convenient authentication process. Furthermore, this proposal satisfies the JTAG standard, and its structure is independent to internal structure of device allowing its implementation to any device with JTAG security needs without important modification. Proposal’s security was verified giving solution to several of known and expected attacks.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authentication module could reach a low implementation overhead thanks to its design, which uses small cryptographic modules such as random number generator and hash module JTAG(Joint Test Access Group)은 임베디드 디바이스의 개발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 유용한 테스트 액세스 도구로 사용된다. 하지만 JTAG이 제공하는 강력한 디바이스 액세스 기능은 정상적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악의적인 목적을 둔 사용자에게도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점은 JTAG이 공격자에게 디바이스에 해킹을 위한 백도어(back door) 역할을 하는 등 현재 많은 보안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허가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JTAG을 통해 디바이스에 액세스 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 기법이 적용된 JTAG 보안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JTAG 보안기법은 개인 인증서 기반 사용자 인증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 기법의 한계점인 키 관리 문제를 해결 하였고 보다 편리한 인증 절차를 제공한다. 또한 JTAG 표준을 만족하며 디바이스 내부 구조와 독립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JTAG 보안이 필요한 모든 디바이스에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제안된 방식은 지금까지 알려지거나 예상되는 다양한 보안 공격을 적용하여 보안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인증모듈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랜덤넘버 생성기와 해쉬 모듈로 구성되어 비대칭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기존 기법에 비해 구현비용이 작다.

      • 지역사회거주 정신질환자의 자살태도,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간의 관계

        박근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of attitudes toward suicid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s in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nd identified the correlations among those factors for providing practical data on suicide prevention and education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ed of 172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randomly selected from those hospitalized in or using 12 mental healthcare facilities located in J and C Provinces in Korea. The study employed the attitudes toward suicide (ATTS),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 and Columbia-severity rating scale (C-SSRS), while SPSS WIN 23.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ttitudes toward suicide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the group of participants who were unmarried or were married but did not have a spouse, as compared to the group with a spouse. Suicidal ideation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as higher among females than males in the group with a high school degree than the group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and in those with lower average income. Moreover, attitudes toward suicide attitude of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 while suicidal ide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ttitudes toward suicide attitude and suicidal behavior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present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suicide amo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ppropriate intervention measures by establishing plans that actively reinforce protective factors and systems for monitoring risk factors, and prevent suicide amo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 민감성을 형상화한 도자 오브제 연구

        박근영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구자의 감각적 예민함에 대한 인지와 표출이 무엇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 궁금증을 가지는 것에서 출발한다. 인간은 태어나고 성장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자신만의 자아를 형성하고 타인과의 인간관계를 맺으며 사회에 융화된다. 연구자는 유년 시절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타인에 비해 감각적으로 예민한 부분이 발달되어 있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시각적으로는 뾰족한 물체를 마주하기 싫어하는 첨단공포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난히 주변 소음에 청각적으로 거슬림을 많이 느끼고 타인의 행동에 감각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반복적인 소리로 인해 감각적으로 민감해지면 무의식적으로 짜증과 분노, 불안함을 표출하며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성장하며 공동체로서의 인식이 생기면서 이러한 자신을 마주하였을 때 처음에는 본인이 유별나다고 생각하였으나 곧 어떻게 하면 극복할 수 있는지 무궁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예술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도예를 접하며 평정심을 찾게 되었으며, 단계적으로 본인의 모습을 관찰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처음에는 단순한 드로잉으로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러 도예를 접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내면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을 만들게 되었는데, 연구자에게 있어서 본 연구는 감각의 자극에 대한 치유의 돌파구로써 도자예술로 표출하는 과정을 담고 그 작품을 통해 정신적인 의지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작품은 자기표현의 수단이며 이를 통해 드러나는 표현기법과 결과물은 그 작가를 대변하고 다른 이들과 소통을 통해 자신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연구자는 반복되는 묘사 작업으로 치유되고, 닦여 나간 흙을 통해 감정을 소멸시키는 흐름으로 순환하는 작용으로써 개인의 고통을 승화시켰다.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 속에서 본 연구자에게 반복이란, 더 이상 비관적 의미가 아닌 성장과 발전의 순환과정으로 작용하게 되었고 독립된 자아로서 개성적인 표현 수단을 터득할 수 있는 기회로 받아들여진다. 본 연구는 감각의 민감성을 회피가 아닌 돌파구로 연구자 자신을 드러내고 형상화함으로써 연구자에게 있어 도자 작업이 지닌 의미를 탐구하고 정신적 의지의 수단으로써의 결과물을 보여줌으로써 같은 경험과 감정을 가진 또 다른 이들과 소통하고, 공감하며 치유하는 방식을 습득하여 발전하고자 한다. 이 과정이 결과적으로 도예 분야에서 가능성과 가치를 제시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키워드: 민감성, 감정, 원형 This study begins from question how the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a researcher’s sensitivity starts. Human beings not only, born and grow, but also form their own egos through diverse experiences and are harmonized into society by mak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lf in childhood, I felt that my sensitivity was more developed than others. Visually, I not only had aichmophobia which has an intense and unreasonable fear of sharp objects, but also felt lots of auditory irritation especially to the surrounding noise and was sensually influenced by others’ behaviors. Even when I become more sensitive because of repetitive sounds, I was emotionally unstable, unconsciously expressing irritation, anger, and anxiety. As I grew up and had a sense of community, I thought that I was not usual at first when I faced myself, but soon, I was interested more in how to overcome my symptom. In the process, I was into more art and could have peace of mind, and even I tried to observe myself step by step and express myself in various ways. At first, I started as a simple drawing and then created works expressing my inner side since I began the ceramics. For m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tain the process of expressing my works as a ceramic art to breakthrough in healing the stimulation of senses and to assign a spiritual will and values by them. The work is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techniques and results showing it can represent the artist and observe myself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I was healed by repeated description and wiped soils and sublimated my pains by circulating into a flow of exhausting emotions. In the process of creating my works, the repetition for me became a cycle of growth and development, rather than a pessimistic meaning, and now as an independent self, it is accepted as chances to learn means of self-expression. This study reveals and embodies the sensitivity as a breakthrough, not avoidance. By exploring the meaning of ceramic work and showing the results as a means of spiritual will, I would like to develop myself by obtaining ways to communicate, sympathize, and heal with others who have the same experience and emotion. I hope that this process shall eventually be opportunities to show possibilities and values in the field of ceramics. Key words: Sensitivity, Emotion, Circle

      • 진로결정에 있어서 계획된 우연의 영향력 : 진로신념의 매개효과

        박근영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우연학습이론을 배경으로 계획된 우연이 진로신념을 통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전북에 소재한 대학에서 3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은 정적상관을 보이고, 진로신념과 진로결정수준도 정적 상관을 보여, 계획된 우연이 높은 사람일수록 진로신념이 높고, 진로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진로결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진로신념이 계획된 우연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된 우연이 높아지면 진로신념이 높아져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진로신념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계획된 우연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칠 때 정적상관이었던 것이 진로신념을 투입한 간접효과 검증시 부적으로 관계의 방향이 정반대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신념의 억제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계획된 우연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진로신념이 억제하기 때문에, 계획된 우연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진로신념이 축소시킴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Krumboltz가 제시한 우연학습이론과 선행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계획된 우연이 진로신념을 통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검증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고 하겠다. 또한, 대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방해를 줄 수 있는 신념을 상담과정에 다루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how that the planned Happenstance in Korean situation have th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Scale through Career Beliefs based on the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337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Jeonbuk. The following is a result.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s, and between Career Beliefs and Career Decision Scale, too. That is, those who have a high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are likely to show high levels of Career Beliefs and Career Decision Scale. Second, Career Belief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Decision Scale. In short, as student get high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Career Beliefs increases in them, leading to more Career Decision Scale. Third, the suppression effect of career beliefs were confirmed. This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and Decision Scale became negative as the indirect effect is validated in the way to put the career beliefs This suggests that career beliefs have the suppression effect. Especially because the planned Happenstance suppress the career beliefs impacts on career decision Scale, the career beliefs reduce the impact which the planned Happenstance have on career decision Scale.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incidence theory of learning made by Krumboltz also can be applied the Korean college students, which is meaningful. Moreover, we expect it to help us deal with beliefs that interfere with making a choice of students' career in the counseling process.

      • 한국어교육으로서 ‘-더-’의 의미 기능별 교수방안의 효과 연구 : 종결어미 ‘-더라고요’를 중심으로

        박근영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양태어미 ‘-더-’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더-’의 의미 기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학습 자료를 토대로 ‘-더-’의 의미 기능 세 가지와 중심적으로 다룰 문법항목을 선정한 후, 각 의미 기능별로 교수방안을 제시한다. 이후 실험을 통해 의미 기능별 학습 효과를 비교하여 ‘-더-’의 의미 기능을 제안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먼저 1장에서는 국어학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한국인 학습자가 좀 더 쉽게 습득할 수 있는 ‘-더-’의 의미 기능을 제안하기 위해 의미 기능별 교수방안의 효과를 검토해야 한다는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2장에서는 한국어 학습 자료를 통해 연구에서 중심으로 다룰 세 가지 의미 기능과 문법항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CLT) 접근법으로 ‘-더라고요’의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먼저 의미 기능과 문법항목을 선정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첫째, 한국어 문법서 4종과 한국어 교재 5종에서 나타난 ‘-더-’의 의미 양상과 ‘-더-’ 관련 문법항목을 각각 살펴본다. 둘째, 살펴본 의미 양상과 문법항목을 중복도에 따라 살펴본다. 셋째, 중복되는 의미 양상과 문법항목을 고빈도 순으로 살펴본 후, 고빈도의 양상을 보이는 의미 기능 세 가지와 문법항목을 선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에서 중심으로 다룰 의미 기능으로 ‘과거 회상’, ‘보고’, ‘증거성표지’를 선정하였고, 문법항목으로는 종결어미 ‘-더라고요’를 선정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교수법으로 선정한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CLT) 접근법을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더라고요’의 단계별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선정한 의미 기능별 ‘-더라고요’의 교수방안을 제시하였고, 세 의미 기능 중 ‘증거성표지’의 학습 효과가 더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후 의미 기능별 학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 소재 사설 한국어 학원에 재학 중인 한국어능력 3급 수준의 학습자 12명(집단별 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 집단에는 ‘과거 회상’을, 나 집단에는 ‘보고’를, 다 집단에는 ‘증거성표지’를 교수하였고, 본 실험 4일 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사후 평가의 분석을 통해 ‘과거 회상’, ‘보고’, ‘증거성표지’ 중 ‘증거성표지’의 의미 기능으로 학습한 집단에서 ‘-더라고요’의 활용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더-’ 관련 문법항목 중 종결어미 ‘-더라고요’를 ‘증거성표지’의 의미 기능으로 교수할 경우,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와 활용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종결어미 ‘-더라고요’를 좀 더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의미 기능으로 ‘증거성표지’를 제안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교육에서 종결어미 ‘-더라고요’를 교수할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되리라 기대한다. Theobjectiveofthisstudy istopresenttheSemanticFunctionof ‘-deo-’so thatthe Korean Language Learners may understand the ending of both aspect ‘-deo-’ effectively. To achieve this, each teaching method by the Semantic Function is to be presented after selecting 3 kinds of Semantic Function of ‘-deo-’ and the grammatical form to be handled centrally based on the Korean learning material.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emantic Function of‘-deo-’by comparison ofstudy effectby the SemanticFunctionthroughlaterexperiment. Firstin thefirstchapterafterchecking thepreceding research in - ix - theKorean education ofdepartmentofKorean Language,thisstudy determinedthenecessity ofstudy thattheeffectofteaching method by the Semantic Function is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theSemanticFunctionof‘-deo-’capableoflearningeasier bytheKoreanLanguagelearners. In the second chapter,3 kinds ofthe Semantic Function and the grammaticalform to be handled centrally in the study through the Korean learning materialhave been selected.And the contents of lesson of ‘-deoragoyo’ has been formed as the approach of CommunicativeLanguageTeaching. First,thefollowingcoursehavebeenpassedtoselecttheSemantic Function and the grammaticalform.First,the aspect of meaning ‘-deo-’andthegrammaticalform inrelationto‘-deo-’appearedin4 kindsofKoreanlearningdictionariesand5kindsofKoreantextbooks are respectively examined.Second,the examined aspectofmeaning and the grammatical form are examined in accordance with the duplication.Third,3kindsofSemanticFunctionandthegrammatical form showing the aspectofhigh frequency are selected after the duplicated aspectofmeaning and thegrammaticalform isexamined in the orderofhigh frequency.In the study ‘the pastrecollection’, ‘thereport’and ‘theEvidentialMakers’astheSemanticFunction to be handled centrally have been selected and the Sentence Enders. Later,theapproachofCommunicativeLanguageTeachingselectedas theteachingmethodofthisstudyisexplained,thecontentsoflesson hasbeenformedbythestageof‘-deoragoyo’basedonthis. - x - In the third chapter,the teaching method of‘-deoragoyo’by the SemanticFunction selected in thechapter2hasbeen presented,the hypothesisthatthestudy effectofEvidentialMarkersisbiggerout of3SemanticFunctionshasbeen established.Later,theexperiment hasbeenperformedtargeting 12persons(4personsbythegroup)of learners of 3rd degree levelof Korean Proficiency in the private Korean LanguageInstitutelocatedinSeoultocheckthestudy effect by theSemanticFunction.‘Thepastrecollection’hasbeen taughtto the group A,‘the report’has been taughtto the group B and ‘the Evidential Markers’ has been taught to the group C, the Post Evaluation4daysafterthisexperimenthasbeenperformed. Inthefourthchapter,ifhasbeenidentifiedthattheutilizationrate of‘-deoragoyo’inthegrouptaughtby theSemanticFunction ofthe EvidentialMarkersoutof‘thepastrecollection’,‘thereport’and ‘the EvidentialMarkers’being appearedhighthroughtheanalysisofPost Evaluation. The result capable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and the utiliz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has been drawn in this study in case ofteaching ofSentence Enders ‘-deoragoyo’as the EvidentialMarkersoutofthegrammaticalform inrelationto‘-deo-’ through the experiment.This study regards it as meaningful to presenttheEvidentialMarkersastheSemanticFunction capableof understanding and the utilization of Sentence Enders ‘-deoragoyo’ more easily through these results.Also,in case of teaching the Sentence Enders ‘-deoragoyo’in Korean Language education,itis - xi - expectedtobetheeducationdatatobeutilizedusefully. Keyword:‘-deo-’,Sentence Enders,‘-deoragoyo’,grammaticalform, SemanticFunction,‘thepastrecollection’,‘thereport’,‘the Evidential Markers’, Korean learning material, Korean learning dictionaries,Korean textbooks,the approach of CommunicativeLanguageTeaching,teaching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