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urhythmics를 활용한 Chopin Etude Op.10의 박자 지도방안

        문희정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듬은 음악에 최우선적인 요소이며 좋은 리듬을 갖기 위해서 달크로즈는 Eurhythmics라는 교수법을 끊임없이 개발해왔다. 리듬은 모든 유리드믹스 수업의 중심주제이다. Dalcroze의 견해에서 보면 리듬은 단순한 타이밍이 아니라 생동감, 색, 그리고 박자와 같은 규칙적인 일에 흥미를 주는 연속적인 동작의 변화의 흐름이라고 하였다. 리듬은 음악적인 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리듬은 하나의 존재로서 뿐만 아니라 박자와도 많은 연결고리가 있어 서로 복잡하게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박자를 이해하는 것은 리듬이라는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 또한 다양한 음악을 접하고 연주하는데서 그 음악을 다 이해할 수는 없다. 연주하기 전에 연주자들은 그 음악의 정확한 배경 지식과 기초적인 음악적 지식이 있어야 그것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사고를 하고 상상력을 키워갈 수 있다. 유리드믹스 교육방법은 이러한 음악적 창의적인 사고와 상상력 즉, 음악두뇌(musical brain)를 개발할 수 있는 교육으로서 학생들에게 움직임과 소리의 느낌을 내면화(internalize)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방법 중 하나이다. 또한 Abramson의 교수법은 Dalcroze의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적 재능 개발을 어느 연령이나 어느 단계에서도 경험할 수 있는 3중의 접근 방식을 개발하고, 개념을 재정의 하였으며, 문연경 교수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아이들의 정서에 맞게 유리드믹스 교수법을 연구해왔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학생들에게 음악적 지식을 전문적인 음악적인 이해로의 전환 및 이를 이해시키는 것에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다른 음악적인 악기의 도움이 없더라도 음악적인 내용을 읽고 쓰고 생각함으로써 음악적인 감각과 음악에 대한 인상을 개인적으로 불러일으키는데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근거와 음악적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Chopin 에튀드의 곡을 선정하여 교육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법을 제시하였다. 각곡에 따라 다른 박자의 느낌을 가장 널리 알려진 음악적 기구인 피아노가 아닌 다른 음악적 악기 또는 교구를 활용하여 유리드믹스 지도법을 소개하였으며, 제시한 방법에 따라 박자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다른 음악 교구 뿐 아니라 가장 널리 알려진 피아노 연주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문연경 교수와 함께 연구한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본 교육방법에서는 리듬보다도 박과 박자를 중요시 여기며 박자는 과일을 담을 수 있는 그릇과 비교하여 박자는 그 음악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라고 하여 교구를 이용한 안정적인 심리적 형태로 간단한 도구를 선택하며 몸의 일부처럼 느끼면서 음악을 읽어 나 갈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 행동심리증상 경험빈도 및 간호부담감과 공감능력 및 치매간호수행도

        문희정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 행동심리증상 경험빈도, 치매 행동심리증상 간호부담감, 공감능력 및 치매간호수행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간호수행에 대한 역량 강화 증진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 대상자의 치매 행동심리증상(BPSD) 경험빈도는 3점 만점에 전체 평균평점 1.53±0.50점, 치매 행동심리증상(BPSD) 간호부담감은 3점 만점에 전체 평균평점 1.15±0.52점, 공감능력 정도는 5점 만점에 전체 평균평점 3.12±0.25점, 치매간호수행도 정도는 4점 만점에 전체 평균평점 3.07±0.33점으로 나타났다. 2. 치매간호수행도는 총 임상경력(F=2.86, p=.040), 치매노인 간호실습경험이 있는 경우(t=1.80, p=.03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cheffé test로 사후검정 결과, 총 임상경력이 3년 이상 5년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치매 행동심리증상 경험빈도는 치매 행동심리증상 간호부담감(r=.77, p<.001),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공감능력은 치매 행동심리증상 간호부담감(r=-.17, p=.031)에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매간호수행도는 공감능력(r=.14, p=.050)간에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에서 인지적 공감(r=.18, p=.019) 및 정서적 공감(r=.15, p=.048)과 치매간호수행의 하위영역인 건강도모 간에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네트워킹 행동, 유리천장, 적합성, 직무성과의 구조관계에 대한 연구 : 국내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중심으로

        문희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dden glass ceiling created from personal networking on job performance for airline cabin crews. Under the main objective, this study, first of all, attempt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abin crew's networking behavior on job performance. Relations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and glass ceiling were thoroughly analyzed.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networking and job compatibility to explain how cabin crews utilize the personal network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The study also explained the effects of glass ceiling on job performance. Finally,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rect impacts by job compatibility on job performance. Samples were developed from cabin crews, currently working in seven different domestic carriers. Through the sele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ach hypothesis was thoroughly evaluated. The study revealed meaningful results showing the impacts by four different types of networking behavior, i.e., horizontal networking, vertical networking, job-related networking, and personal relational networking, on job promotion and assignment. Among those, vertical networking impacts positively on promotion and assignment, while horizontal and job-related networking impact negatively. In addition, the four types of networking behavior deferentially affects benefits and welfares from the job. Vertical networking positively impacts on welfares and benefits, while the other three types negatively impacts on those. Another result found from the study is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networking behavior and job compatability. All four different types of networking behavior affects the job compatibility for each individual crew. Horizontal, job-related, personal networking positively affects the individual staff's job compatability while vertical networking negatively impacts.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a result that differential treatments in promotions, assignments, and benefits does not impact on job performance. Both job compatibility and organization compatibility for each individual crew affect, according to the result, on job performance by the individual. Organization compatibility adversely impacts on the job performance, while job compatibility positively affect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networking behaviors by cabin crews and glass ceiling, with very limited previous studies. The study used samples developed from seven different airline carriers. Different cultures from different carriers may have affected the study results, which need to be further explained in the future study. This study was one of the few studies attempting to analyze and explain the networking behaviors with respect to the job performance for airline cabin crews.

      • 항공사 객실 승무원 상위클래스 교육훈련 전이에 대한 연구

        문희정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항공사 상위클래스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전이과정에서 이들 영향요인들에 대한 조직환경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항공사 상위클래스 교육훈련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교육 훈련 개념과 교육훈련 전이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표본조사를 통하여 항공사 상위클래스 근무자들의 교육훈련전이에 대한 의견을 수집,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항공사 상위클래스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 학습동기, 자기 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영향 요인에 대한 조직환경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사지원은 교육내용과 동료지원은 자기 효능감과 조직지원은 자기 효능감, 교육 내용과 상호작용을 하여 교육훈련 전이는 완충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항공사는 인사 관리 시스템을 구축을 통하여 상위클래스 근무의 자긍심을 느끼게 하고, 상위클래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업무와 관련성이 높은 교육 훈련을 받게 하고, 교육 후 교육훈련의 전이를 위하여 상사와 동료 그리고 조직이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 프로코피에프(S. Prokofiev)의「피아노 소나타 제7번, op. 83」에 관한 연구

        문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wentieth century Russian music has experienced sudden chaotic changes as a result of socialist ideology, competi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USA and the Soviet Union and the Soviet entry into World war Ⅱ. It gradually developed into a blend traditional Russian music with universal musical characteristics. Now, Russian music is in a very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music and also has produced numerous outstanding and creative composers and performers. Sergey Prokofiev (1891-1953), a great Russian composer and pianist, was one of them and he composed 「Piano Sonata No. 7, Op. 83」which dealt with the state of war that he wanted to express. This is the closest to programme music among the three sonatas (Opp. 82, 83, 84) and was composed in World War Ⅱ after his return from exile in Pars and US. In this sonata, piano is expressed as a percussion. It harmonizes sentimental melody and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is Allegro inquieto (speedy and restless), one of the greatest work he has done. It follows the classical form of A-B-A'-B-A". It is like blaring of trumpet and sharp dissonance is introduced with a simple melody. The second movement Andante Caloroso (slowly with passion) is very romantic with rich sound melodies and there is no direction, but it is just walking in a dream. The third movement reminds us of the dynamism of Toccata. It needs some techniques and consists of an endless dynamic of gradually rising excitement. Sergey Prokofiev created a unique musical language in 「Piano Sonata No. 7, Op, 83」by incorporating classical, modern, toccata, lyrical, and grotesque elements, which he considered characteristic of his musical language on a traditional foundation. This makes Prokofiev's contribution to piano music significant. he found endless potential in the characteristics of piano music, and expanded the function of piano music. In this aspect, he should be highly esteemed.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의 연주곡목 중 프로코피에프의 「피아노 소나타 제 7번, Op. 83」에 관한 연구이다. 프로코피에프는 20세기의 시대적 상황과 그의 사상을 음악 속에 담아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려 했으며 새로운 그의 작품들 가운데 특히 피아노 작품들은 19세기의 피아노 음악의 전통을 계승함과 동시에 피아노라는 악기에 타악기적인 다이나믹한 표현을 더하여 고전적인 양식과 현대적인 음악 어법을 조화시켰다. 이 가운데 9개의 피아노 소나타 중 전쟁 소나타에 속하는「피아노 소나타 제 7번, Op. 83」은 그의 음악적 특징과 독창성이 나타나 현대 피아노 음악에 공헌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소나타 제 7번」은 1939년부터 1942년에 완성한 곡으로 현대 피아노 음악의 최고 걸작이다. 이 곡은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악장은 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이며 대비적인 제1주제와 제2주제가 나타난다. 또한 이 악장에는 완전한 무조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타악기적으로 날카로운 리듬으로 내리치는 불협화음, 긴장 관계를 갖는 2성부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넘치는 스피드감, 압도적인 박력으로 가득차 있다. 제 2악장은 아름답고 중후한 로맨티즘을 띠고 있으며 다른 악장과 훌륭한 통일성을 형성하고 있다. 제 3악장은 정력적인 흥분을 직선적으로 고조시키는 악장으로 2-3-2 분할 박자에 지배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생애와 음악활동 및 러시아의 시대적 음악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작품에서 보이는 여러 음악적 특징을 그의 음악세계와 연관시켜 논하고자 한다.

      • 초등 국어 교과서의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 : 2012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희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매체의 발달은 다양하고 새로운 유형의 담화와 텍스트를 생산해내고 있 다. 이를 비판적,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더 나아가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언 어교육은 국어의 창의적 발전과 새로운 국어 문화 창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날로 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더해가는 매체언어교 육이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초등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매체언어교육의 특징을 도출하고 매체언어교육의 개선 방 향을 제언하고자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논의 과정을 살펴보면, Ⅰ장에서는 매체언어교육 수용의 필요성 및 수용 방안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국어과에서 매체언어교육을 수용함이 타당하다는 연구의 대전제를 도출하였으며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및 초등 국어 교과서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과 관련된 연구물이 없음을 통해 본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매체언어교육 분석을 위해 매체언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선 매체언어교육에서 핵심 개념인 매체와 매체 언어, 매체 텍스트의 개념 및 관계를 분명히 밝힘으로써 교과서매체언어교육 대 상의 범위를 규정하였다. 그리고 매체언어교육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인 ‘매체언어 에 대한 교육’과 ‘매체언어를 활용한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교과서 분석 시 준거로 삼았다. 교과서 분석의 마지막 준거인 매체언어교육 내용영역 설정은 데이비드 버킹엄의 ‘매체교육 영역’과 바잘제트의 ‘매체교육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국어교육의 특성과 초등학교 학생의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수업 속에서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따져 새롭게 설정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언어교육 양상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전 영역 실제 범주에 매체언어교육 관련 내용이 제시되고 있다는 점과 영역에 반영된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점은 적 극적으로 매체언어교육을 수용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었으 나 영역별로 매체언어교육 반영에 불균형이 커서 체계적인 구성에 있어 좀 더 보 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배경 고찰을 통해 마련한 매체언어교육의 대상, 관 점, 내용영역이라는 준거의 하위요소들을 활용하여 2009 개정 국어교과서에 반영 된 매체언어교육 양상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과서의 각 차시별 학습 주제를 살펴 보고 매체언어교육의 대상, 관점, 내용영역을 밝히고 이를 대상별, 관점별, 내용영 역별로 수치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매체언어교육이 점진적으로 자리를 잡 아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서 매체언어교육이 내실을 기하기 위 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시대적 언어 환경의 변화와 학습자의 수준, 매체와 매체언 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을 설정하고 주된 관점을 반영하며 내용영역을 조직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매체언어교육이 교육과정의 일정 영역에 편 중되어 반영되고 있는 점, 문법 영역에서는 매체언어교육과 관련된 성취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 매체관련 독립 단원에서의 내용 영역 설정과 조직에 체 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은 앞으로 매체언어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이 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Evolving media today produce diverse new types of discourses and texts. Media language education enabling students to accept and thus produce critical and creative discourses and texts can play pivotal roles in cre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in creating a new Korean language culture. Given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media language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aspec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reflected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to elici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edia language education and further to make suggestions for betterment. Specifically, chapter Ⅰ reviews literature on the need for medialanguage education and how to accept it to derive the presumption that Korean language arts should accept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Also, given the absence of previous research on the aspects of elementary media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he 2012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he chapter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and need for this study. Chapter Ⅱ analyzes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from multiple perspectives first with theoretical rationale. The key concep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hat is, media, media language and media text, and their relations are defined to delineate the targe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textbooks. Then, two perspective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 e. ‘education about media language’ and ‘education using media language’, a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meanings, and taken as the reference points for textbook analysis. As the last reference point for analyzing textbooks, the content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is set anew based on David Buckingham's ‘media education areas’ and Bazalgette's ‘analysis framework for media educ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elementary students' intellectual levels and whether the content areas can be implemented in class taken into consideration. Chapter Ⅲ compares the 2007 with 2012 Revised Curriculums to analyze the aspec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reflected in the latter. That the content relevant to media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ly presented in the practical categories of entire areas in the curriculum could be rendered as a positive attitude toward accepting media language education actively. Yet, in that media language education is disproportionately reflected across the areas, more systematic construction is needed. Chapter Ⅳ draws on the sub-components of such reference points as the targets, perspectives and conten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determin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Ⅱ to analyze the aspect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2012 revised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To be specific, the learning topic for each lesson oftextbooks is examined, and then the targets, perspectives and content area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re identified and respectively quantified for analysis. The present findings show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gradually settled in the 2012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pursue substantive media language education by considering diverse aspects of changing language environment over time, learners' levels, and nature of media and media language in setting the targets, presenting the content, reflecting primary perspectives and organizing the content areas. Still, the disproportionate placement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each area of the curriculum, the absence of performance criteria relevant to media language education in the area of grammar, and the need for systematic setting and organization of content areas in the independent media-related units warrant further studies delving into solutions for future media language education.

      • 예비영어교사들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중간언어 양상 연구

        문희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범대나 교육대학원 등과 같은 예비 중등 교원 양성과정을 거친 예비 영어 교사 20명을 대상하였다. 예비영어교사들이 국가공인 영어 말하기 능력 시험 중 하나인 SMU-Multimedia Assisted Test of English(SMU-MATE)의 문항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목표언어 발화를 분석하여 중간언어(interlanguage)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집단은 비록 원어민은 아니지만, 제2언어학습자(L2 learner)이며 동시에 제2언어교사(L2 teacher)가 되기 위한 과정을 밟고 있는 집단이다. 따라서 이들의 중간언어는 일반 제2외국어 학습자의 그것과는 원인이나 유형 그리고 형태면에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연구 참가자들의 중간언어 분석은 비문법적형태(Non-Targer-like Form, NTF)를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비문법적 형태란 제2외국어 학습자가 보일 수 있는 오류의 특성과 실수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20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의 발화에서 발견한 비문법적 형태는 262개였고 이들을 원인(source)별, 유형(type)별, 형태(form)별 그리고 말하기 영역(task)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예비영어교사들의 비문법적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을 크게 3가지(전이: L1 transfer, 과일반화: Developmental Error, 모호한 오류: Unclear source)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과일반화> 전이> 모호한 오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비문법적 형태의 90%에 과일반화와 전이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과일반화가 전이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전이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고 알려진 일반 영어 학습자대상 연구결과와는 다른 점이었다. 둘째, 예비영어교사들의 비문법적 형태를 분류하는 유형(type)을 크게 4가지(S-V 일치유형: S-V agreement, 수일치유형: Number agreement, 관사유형: Articles, 전치사유형: Preposition)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발견된 유형을 빈도에 따라 순서를 매겨보면 S-V 일치유형> 관사유형> 수일치유형> 전치사유형 순이었다. 셋째, 예비영어교사들의 비문법적 형태의 세부형태를 어순, 주어동사일치, 복수명사-s 생략 및 첨가 등, 총 22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가장 많이 나타난 세부형태 1위는 ‘관사 생략’이었다. 그 다음으로 3인칭 단수 -s생략, 전치사 생략, 주어동사불일치 순으로 비문법적 형태를 보였다. 관사나 전치사가 모국어에는 없는 문법적 형태이기 때문에 발화시에 생략하는 경향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넷째, 예비영어교사들의 발화를 이끌어 내는 도구로 사용했던 SMU-MATE를 구성하는 말하기 유형(Task)별로 나타난 비문법적 형태를 살펴보았다. 전체 비문법적 형태의 절반이 Task 7과 Task 8 영역에서 나타난 점이 특이했다. Task 7과 Task 8의 영역은 주제 및 상황 중심 과제로써 다른 말하기 유형에 비해서 언어 능력 뿐만 아니라 자신의 주장에 대한 논리력과 설득력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제2외국어 학습자(L2 learner)가 발화시에 인지 능력의 소모량 비중이 커지면서 목표언어의 특성이나 문법성에 대한 주의가 줄어들기 때문에 비문법적 형태가 많이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예비영어교사들이 지속적으로 이러한 비문법적 형태를 발견하고 유형별로 분류해 나가는 과정을 거친다면 자신의 비문법적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영역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자신의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었다. 더불어 이러한 방법을 나중에 교사가 된 후에 학생들의 수업도구로 사용한다면 학생들에게는 제2언어학습자로써 비문법적 형태에 대한 각성의 기회가 되고 동시에 교사들에게는 담당 학생들의 취약점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수업 계획을 짜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준비된 능력과 자세를 가진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예비교사들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확대되고 다양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atterns of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interlanguage in their speech using the form called non-target-like form(NTF). One of the English speaking exams, SMU-Multimedia Assisted Test of English(SMU-MATE), was used to collect their speech samples. The NTF means the form which has both characteristics of errors and mistakes. 20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are preparing for the exam to be an English teacher at public schools in Korea. The 90% of the participants' oral proficiency level was more than moderate high. According to the SMU-MATE level guidelines, it means they are able to ask a variety of different questions to obtain information to satisfy basic needs and generally make more complex sentences by tacking phrases and other clauses onto the main clause. There were 262 NTFs in the English speaking exam. These were analyzed by sources, types, forms and tasks. First, the 262 NTFs were caused by three sources; L1 transfer(L1), developmental error(De), and unclear source(Un). More than 90% of NTFs were affected by L1 and De. Especially, NTFs caused by De were more than those by L1. In other studies about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L1 is more affected than De. So,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Second, the NTFs were categorized by four types; S-V agreement(S), number agreement(N), prepositions(P), and articles(A). The NTF frequency order was S>A>N>P. Third, the NTFs were analyzed to find out which NTF was made by the group of participants. The most frequent NTF was an omission of article. The third was an omission of preposition. These are grammatical components which do not exist in Korean. That can be the reason why participants often omit the articles and prepositions. Fourth, SMU-MATE consists of 8 tasks. More than the half of the total NTFs were made in the task 7&8. The purpose of these tasks is to check not only the language ability but also the persuasive power and logical thinking. It makes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the cognitive process not the accuracy of L2. We can guess tha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7&8 caused the more NTFs than other tasks.

      • 재가노인 단독세대의 주거환경 특성과 요구

        문희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의 기존 주택에 지속적으로 거주하기를 원하는 노인들의 증가 추세를 반영하여 기존주택의 효과적인 활용 및 관리, 그리고 이곳에서의 노인들의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노인단독가구의 주거환경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전반적인 실태파악을 통해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합리적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노인단독가구를 위한 주거시설 계획시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구하고 나아가 고령화사회에 대응한 노인단독가구 주거시설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단독세대의 배경특성으로 개인적 특성, 주택특성 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주거환경 특성으로는 실내디자인 지원성에 대한 평가, 시설설치 및 실내디자인 조정실태, 생활용품 및 보조물품의 사용여부, 실내디자인 지원성에 대한 요구도, 생활용품 및 보조물품에 대한 요구도, 실내디자인 지원성 평가 및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특성, 실내디자인 지원성에 대한 평가와 요구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되는 노인단독세대 200세대를 표본으로 조사원이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직접 노인가구에 방문하여 주거상황 및 실태 파악을 위한 현장조사와 면담방법을 병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Windows용 SPSS/PC^+ 10.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노인들의 주택내 안전사고는 욕실과 부엌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안전사고의 대부분은 욕실에서 미끄러져 부상당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단독가구의 주거환경은 시설설치나 실내디자인 조정의 정도가 대체적으로 낮은 편으로 특히,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 사용', '안전손잡이설치', '문턱제거', '경사로 설치', '수납장의 높이조절', '생활용품에 색채대비' 등이 가장 많이 시행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사용중인 생활용품과 보조물품을 조사해 본 결과 노인단독세대의 과반수 이상이 대체적으로 생활용품은 잘 갖추고 있었지만 보조물품은 거의 갖추고 있지 않았다. 2) 현 주거공간에서의 노인들의 실내디자인 지원성 평가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지원성을 '보통' 정도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지원성 범주별로 평가가 높은 순서대로 살펴보면 행동의 용이성, 지각적 유지, 생리적 유지, 사회적 용이성 순이었다. 낮게 평가를 한 내용을 보면, '비상경보조절기의 위치나 색구별'과 '욕실바닥의 미끄러움' 등이었다. 3) 실내디자인 지원성에 대한 평가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인을 살펴보면, 첫째, 행동의 용이성 평가는 주택규모가 클수록, 사고경험이 적을수록, 자가에 거주하는 노인이 타가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연령이 낮을수록 행동의 용이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둘째, 생리적 유지 평가는 사고경험이 적을수록, 주택규모가 클수록, 자가에 거주하는 노인이 타가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집합주택에 거주할수록 생리적 유지차원의 지원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셋째, 지각적 유지 평가는 주택규모가 클수록, 집합주택에 거주하는 노인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자가에 거주하는 노인이 타가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연령이 낮을수록 지각적 유지를 높게 평가하였다. 넷째, 사회적 용이성 평가는 주택규모만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으며 주택규모가 클수록 사회적 용이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다섯째, 전체 지원성에 대한 평가는 주택규모가 클수록, 자가에 거주하는 노인이 타가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사고경험이 적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집합주택에 거주하는 노인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전체 실내디자인 지원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4) 현 주거공간에서의 노인들의 실내디자인 지원성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대체적으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 지원성 범주별로 요구도가 높은 순서대로 살펴보면 생리적 유지, 사회적 용이성, 행동의 용이성, 지각적 유지의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내용은 '미끄림 방지용 바닥재사용'과 '비상벨설치'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보조물품에 중에서도 '숫자가 큰 전화기, 숫자가 큰 달력, 숫자가 큰 시계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5) 실내디자인 지원성에 대한 요구도에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은 교육수준과 건강상태 변인으로 나타났다. 6) 실내디자인 지원성에 대한 평가가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 본 결과, 행동의 용이성에 대한 평가가 낮을수록 행동의 용이성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지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지에 대한 요구도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생리적 유지, 지각적 유지, 전체 지원성에 대한 평가와 요구도간의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노인가구에서 현실적으로 타당한 가격에서 시설설치나 실내디자인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지역사회 혹은 관련기관이나 단체를 통해 기존주택에 새로운 시설을 설치하거나 디자인을 조정하는 등 노인의 주거지원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은 건강상태가 좋고 교육수준이 높은 특성을 지닌 노인이 주택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주택에 대한 개선의지가 강하다고 생각되므로 다른 집단보다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concern with elderly housing in the aging society. Since the majority of the elderly tends to prefer living in their own familiar houses rather than moving to new ones,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of the use and maintenance of existing houses from the point of the independent functioning of elderly househol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effective housing planning guidelines of the elderly households through an extensive survey on evaluation and needs of interior design affordability. Such a survey itself can be a useful database far new elderly house construc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0 elderly people aged 65 or over who lived in Gwangju, during the month of August in 2002. To this end, the variables under investigation includ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income level, health condition, and safety accident experience, and housing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Cronbach's α,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anova, duncan's 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0.0 for Window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ew remodeling on facility or interior design were made in housing for the elderly households although there had been many elements of serious safety dangers. Government or social support is necessary for such remodeling and renewals for improvement to be practiced with affordable prices in housing for the elderly households. In addition, related public offices should offer education services to the elderly on why such remodeling and renewals are important and necessary. 2) Th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housing environment plans for the elderly household are: (a) use of slip-proof tiles for the floor of the bathroom, (b) installation of safety bars in the bathroom, and (c) installation of emergency buttons. 3) Separate interior design plans should be afforded in accord with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different household. Special intensive cares from social network should be taken of the social inferiorities, such as those elderly people who are extremely old, living single, with low income, and with health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