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溫暖地の木造住宅における纖維系充塡斷熱壁體の熱濕氣性狀と防露設計に關する硏究

        김영탁 東京大學 2002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목조주택의 防露設計(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설계)에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섬유계 충진단열벽체의 열ㆍ습기 성상과 잠열냉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연구한 것이다. 1999년에 고시된 차세대 에너지절약기준은 京都협의서(1997년 COP3(지구온난화 방지 조약의 제 3회 체약 구제회의)에서 각국이 동의한 CO2 절감 목표치)를 실현하기 위한 일본 국내 대책의 하나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기준은 목조주택의 내부결로 대책에 관해서도 종래의 기준보다 엄격히 대처하고 있고, 防露設計의 기본원칙도 동절기의 내부결로 방지가 主眼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섬유계의 단열재를 이용할 경우, 1)실내의 수증기가 벽체내부에 대량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층을 설치할 것, 2)실내에서 유입된 소량의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통기층을 설치할 것이 사양상의 기본 원칙이다. 이 원칙은 한랭지역의 오랜 경험과 실증적인 연구에 근거하여 제정된 것이며, 목재부패의 원인이 되는 대량의 내부결로(겨울철 결로)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합리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의 주택에 있어서 高斷熱ㆍ高氣密化는 위에서 제시한 에너지절약대책과, 실내환경의 개선이라는 利點때문에, 한랭지역뿐만 아니라 온난지역(關東以西)에 있어서도 급속히 건설되고 있고, 앞으로도 한층 더 보급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온난지역의 고단열ㆍ고기밀 주택에서는 고온다습, 일사, 냉방, 목재의 吸放濕性 등의 요소가 복잡하게 반응하여 1)방습기밀층의 외기측 표면에 일시적인 결로가 발생한다는 것(여름철 결로)과, 2)벽체내부의 습도가 상승하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자의 여름철 결로문제는 현실적인 냉방조건하에서 목재 부패와 같은 실제 피해를 불러일으키는 대량의 결로가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데이터가 제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문제 제기할 만한 성질의 것인가에 대하여 아직도 논쟁 중에 있다. 즉, 여름철 결로의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의 소재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후자의 문제는 방습기밀층에 의해 벽체내부의 습도가 상승하여 곰팡이균, 목재부패균 등의 번식조건이 제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방습층과 같이 투습저항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透濕벽체가 검토되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투습벽체의 검토는 온난지역의 겨울철 외기온이 최저 -5℃정도로, 겨울철 결로방지를 위한 실내측 방습성능이 높지 않아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습기가 투과되는 벽체구조는 역으로 여름철 透濕 잠열냉방부하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 문제도 병행해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동종의 섬유계 단열재라도 셀룰로오스 파이버(Cellulose Fiber)와 같은 吸放濕性이 높은 재료와, 유리섬유(Glass Fiber), 암면(Rock Wool) 등과 같은 吸放濕性이 낮은 재료는 열습기 거동이 다르리라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에 관해서도 해명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다음 항목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주택의 방로설계 구축에 일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현장실측에 의한 방습벽체의 열ㆍ습기 성상을 파악할 것 2) 실험에 의한 투습벽체의 열ㆍ습기 성상을 파악할 것 3) 상기 2)의 결과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에 의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할 것 4) 투습벽체의 잠열냉방부하의 영향을 파악할 것 5) 이상의 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유효한 방로설계 수법을 제안할 것 이하,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기술하였고, 기존 연구의 Review를 통하여, 본 연구가 방로설계를 위한 응용연구로서 의미가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제 2장에서는 온난지역의 목조주택에 있어서 방습벽체의 열ㆍ습기 성상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냉난방설비를 갖춘 일본 온난지역(關東以西)의 4채의 목조주택으로, 여름철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섬유계 단열재의 실내측을 防濕처리한 two-by-four공법(통기층 있음)이며, 실제 거주하는 상황에서 1년간 실측하여, 벽체내부의 열ㆍ습기 성상을 파악하였다. 실측 결과, 겨울철에 있어서는 벽체내부의 상대습도가 일평균 40%이하인 건조한 상태였고, 결로에 관한 문제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여름철에 있어서 防濕層의 외기측 표면온도가 단열재 중심부의 露点溫度보다 낮은 경우(결로가 발생한 경우)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시적인 결로가 발생하는 빈도는 매우 낮았고, 벽체내부의 상대습도는 일평균 60%전후의 中濕度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제 3장에서는 다공질의 건축벽체에 있어서 熱ㆍ水分同時移動方程式 수치모델의 일반식에 관하여 Review하였고, 본 연구에 이용하는 기초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제 4장에서는 透濕性 단열벽체에 있어서 여름철을 想定한 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열재의 실내측 상대습도는 50-70%이었고, 일중 고습도 상태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는 것과, 吸放濕性 단열재(Cellulose Fiber)는 벽체의 급격한 습도 변동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그 효과는 吸濕과정에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의 결과는 벽체내부의 온습도 및 透濕量에 있어서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고, 예측 계산수법으로서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 5장에서는 제 4장에서 실험에 이용한 6종류의 透濕벽체 모델과 각 모델에 防濕層을 추가한 방습벽체 모델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행하여 각각의 벽체가 잠열냉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환기가 없는 경우, 실내의 잠열발생량을 제외하면, 투습벽체의 잠열부하는 방습벽체와 비교해서 최대 2배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 투습 잠열 부하량(正味量)은 환기 잠열냉방부하의 10%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제 6장에서는 제 4장과 제 5장의 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목조주택의 방로설계 수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벽체 구성재료의 습기 물성치와 벽체내부의 습도, 함수율, 水分流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도표(Chart)를 작성하였고, 이들 도표가 방로설계의 참고 자료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제창하였다. 제7장에서는 제1장에서 제 6장까지의 연구 성과를 총괄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목조주택의 방로설계에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측, 실험 및 수치해석에 근거하여 섬유계 충진단열벽체의 열ㆍ습기 성상과 잠열냉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산화 아연 나노구조를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 개발

        김영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태양전지 변환 효율이 높게 나오는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낮은 반사도와 높은 투과도를 가진 물질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산화아연 (ZnO)을 이용하여 박막을 나노구조를 만들고 도핑을 이용해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태양전지 중에서 산화아연을 이용한 태양전지 구조는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저렴하여 차세대 태양전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산화아연은 전기적 특성, 광학적 특성, 광촉매 특성이 우수하여 현재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2000 rpm에서 30초 동안 산화아연 박막을 형성하고, 500℃에서 소성해줌으로써 핵 생성 박막을 제작하였다. 그 뒤 80℃에서 나노구조 성장 시간에 변화를 주며 나노구조를 형성한 후, 나노구조 성장 시간에 따라 빛의 반사도, 전기적 특성, 변환효율을 측정 하였다. 결과적으로 각각 나노구조가 성장된 태양전지를 비교 하였을 때 2회 스핀코팅으로 박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나노구조를 4시간 길렀을 때 0.55 V의 개방전압 (Voc), 29.48 mA/cm2의 전류밀도 (Jsc), 75.53%의 곡선인자 (Fill factor), 12.23%의 변환효율 (PCE)의 우수한 광전 특성을 보였다. Recently, many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having a low reflectivity and high trans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high-efficient solar cells are in progress. Recently, high-efficient solar cells have been prepared by using heteroatom-doped ZnO nanostructures. In particular, the nanostructured ZnO-based solar cells have great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photovoltaic cells due to their inherent advantages, such as low cost, simple fabrication, and relatively high efficiency. In addition, the ZnO is widely used in the current high-efficiency solar cells because of excellent electrical, optical, photo-catalytic properties. In this study, ZnO seed layers were first deposited on N-P-N Si substrates by a spin-coating method at 2000 rpm for 30 sec, and subsequently annealed at 500℃ for 30 min. The hydrothermal growth was then carried out at 80℃ up to 8h by mounting ZnO seed layers in a Teflon-capped glass bottle filled with the calculated amounts of zinc nitrate hexahydrate (Zn(NO3)2․6H2O)) and hexamethylenetetramine ((CH2)6N4) in 80 ml of distilled water. Subsequently, surface reflec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measur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hotovoltaic properties as a function of growth time. As a result, the ZnO-based solar cell, which was fabricated with ZnO nanostructures grown on two-time spin-coated ZnO seed layer for 4 hr, exhibits the highest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12.23%, open-circuit voltage (Voc) of 0.55V, short current density (Jsc) of 29.48 mA/cm2, Fill factor (FF) of 75.53%, respectively.

      • HSV 컬러 모델 기반 FCM 알고리즘을 이용한 효율적인 컬러 영상 개선 기법

        김영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o improve contrast of image that loses important feature information of object because light source is behind the object such as back-light image. To solve this problem,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s existing Retinex method using FCM (Fuzzy c-mean) clustering algorithm based on HSV color model. The Retinex method is one of the most popular algorithms for improving contrast of image, and it has been suggested to increase adaptability of average brightness value around pixels by reconstructing the information of image as an optical model. The first proposed Retinex method assumed that average brightness value around pixels is brightness value of a light source, and improves image contrast by the ratio of background brightness value in input image through estimating the value using Gaussian filter. However, each image requires different size of Gaussian filter, and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at the boundar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Gaussian filter. Multi Retinex model is proposed to complement disadvantages of previous Retinex algorithm. Multi Retinex model uses images applied by 3 kinds of Gaussian filter as input images of each single Retinex model, and obtains the final result image through linear combination of each weighted result image. The backlight effect occurred by Gaussian filter that has small size is compensated by Gaussian filter that has large size, and degree of contrast enhancement is adjusted. If this model is applied to color images, it can have different result from the above because this method needs to assume that average color value around pixels is color value of a light source. Therefore, color information of image can be distorted when the color distribution of image is concentrated on certain color values if color of a light source is estimated incorrectly. The retinex algorithm has another weak feature on the image which has high contrast image. The resulted image should be having some distor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bright and dark region on an image frame. The reason, as we mentioned above, is cause of the algorithm relies heavily upon log function because stretching rate by the log func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verage brightness. To solove above problem, the algorithm which is keeping color rate through processing is proposed. It is not applying the retinex algorithm to the each color channel. The algorithm is adopting various gaussian filter to the luminance feature from each color channel. It is calculating brightness condition for the input image and the resulted luminance features are used in the improved algorithm. Because the final resulted image is processed the retinex algorithm for luminance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the algorithm to keep color rate, it is more natural than images from another algorithm. These method is having solution to reduce color distortion from the original retinex algorithm and to keep color feature, but the gaussian filter for getting average brightness value is making back-light distortion. Moreover the final image is processed stretching step for displaying. In this situation, the algorithm cannot keep color rate after stretching when some color channel in some region of the input image is having the bigger value than others. These kinds of result are cannot satisfied easily because they are from particular region, so we could be use the equation to get color feature. Another additional problem is that unexpected dark region is occurred at far region from the boundary between brightness and dark region in the image having bigger bright region than dark region after gaussian filter and retinex algorithm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algorithm to solve luminance distortion, color distortion, back-light effect and darker region by the gaussian filter based on the retinex algorithm which is using log function and RGB separate processing method. We used HSV color model to solve above luminance distortion and color noise by the log function an d the RGB separate processing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the V values which is luminance feature while keep hue which is chroma feature. Another chroma feature S value is compensated depending on the change rate of the V value. As we mentioned before, the back-light effect on the boundary between bright and dark region by the gaussian filter and the dark region problem far from the boundary on the brightness region are geometric problem so, it is often occurred in the backlight image. This paper proposes a new algorithm to compensate loss of color component in the bright area when the backlight image which has a big difference in color contrast is compensated using Retinex algorithm. The loss of color information in the bright area of the image appears when the contrast of image is enhanced using Retinex algorithm because the backlight image has a big difference between brightness of bright and dark area. In order to correct this color loss, combine the color value in the dark area of the result image compensated by Retinex algorithm and the color value in the bright area of the original image. The Fuzzy c-mean clustering algorithm is used to decide the membership of the pixels on the boundary between bright and dark area. Also, obtain the Fuzzy membership function that means membership degree of every pixels in the bright and dark area of the original image using the Fuzzy c-mean clustering algorithm. After that, decide the combination rate of the color value in the original and the corrected image by Retinex through the Fuzzy membership function of bright and dark area. Finally, natural images which shows strong backlight effect are used for correcting; therefore, it has been proven by experiment by that this proposed algorithm is more excellent than existing Retinex algorithm (MSRCR) 본 논문은 역광 이미지와 같이 광원이 피사체의 뒤에 존재함으로써 피사체의 중요한 특징 정보가 손상된 이미지들의 대비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HSV 컬러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FCM (Fuzzy C-Mean)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존의 레티넥스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레티넥스 알고리즘은 영상 이미지의 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레티넥스 알고리즘은 영상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인간의 시각적인 모델로 재구성함으로써 주변의 평균 밝기에 대한 적응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처음 제안된 레티넥스 알고리즘은 주변의 평균 밝기 값을 광원에 대한 밝기 값으로 가정하고 가우시안 필터를 이용하여 그 값을 추정함으로써 입력 영상에 대한 주변 밝기의 비율을 통해 대비를 향상 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입력 영상에 따라 적합한 가우시안 필터의 크기가 다르고 가우시안 필터의 크기에 따라 경계면에서 나타나는 밝기 성분의 분포가 변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중 레티넥스 모델이 제안되었다. 다중 레티넥스 모델은 3가지의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한 영상을 각각 단일 레티넥스 모델의 입력 영상으로 적용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 영상에 가중치를 주어 선형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최종 결과 이미지를 얻는다. 여기서, 작은 크기의 가우시안 필터에 의해 발생하는 후광 효과는 큰 크기의 가우시안 필터에 의해 보상을 받으며, 대비 향상 정도가 조절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이 컬러 영상에 적용될 경우 주변의 평균 색상 값을 광원의 색상 값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영상에서의 색상 분포가 임의의 색상 값으로 집중 될 경우 광원의 색상이 잘못 추정되어 영상의 색상 정보가 왜곡될 수 있다. 또한 기존 레티넥스 알고리즘은 로그함수를 사용하므로 아주 어두운 부분에서는 강한 스트레칭 현상이 발생하고, 아주 밝은 부분은 압축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밝고 어두운 차이가 심한 영상의 경우 처리 결과 출력 영상의 색상이 왜곡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RGB 채널을 각각 처리하지 않고 입력 영상의 색을 유지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의 RGB 비율과 출력 영상의 RGB 비율을 유지하는 알고리즘이 제안 되었다.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에 대해 여러 가지 가우시안 필터를 사용하여 조명 성분인 주변 밝기 값을 얻고 이렇게 얻은 조명 성분을 입력 영상에 직접 나누어 레티넥스 처리를 하였다. 얻어진 결과 영상은 휘도 성분에 대하여 레티넥스 처리를 하고 RGB 비율을 유지 하므로 결과 영상은 밝기가 개선되고 색상은 그대로 유지하므로 자연스러운 영상을 만들 수 있었다. 이러한 기법은 기존 레티넥스 알고리즘의 문제점인 색상 왜곡을 줄이고 보다 자연스러운 색상을 표현 할 수 있지만 조명 성분인 주변 밝기 값을 얻기 위해 사용한 가우시안 필터로 인하여 여전히 후광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마지막 단계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하여 스트레칭 과정을 거친다. 이때 입력 영상의 RGB비율 중 특별한 채널의 값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화소인 경우 스트레칭 과정을 거치게 되면 출력 영상에서 RGB 비율을 유지할 수 없다. 이런 현상은 극히 특정한 부분에서 나타나며 눈으로 확인이 어렵지만 영상에서 색을 구하는 수식을 사용하면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추가 적인 문제로 입력 영상의 밝은 부분이 넓을 경우 가우시안 필터를 처리고 레티넥스 처리를 하게 되면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 경계에서 밝은 쪽으로 멀어 질수록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레티넥스 알고리즘에서 log 함수와 RGB 채널을 각각 처리하므로 발생하는 회색계의 왜곡, 컬러 잡음, 그리고 가우시안 필터를 사용하므로 발생하는 후광 효과, 어두워지는 현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log 함수와 RGB 채널을 각각 처리하므로 발생하는 회색계의 왜곡과 컬러 잡음을 해결하기 위하여 HSV 컬러 모델을 사용한다. 색상(Hure)을 고정하고 휘도 성분인 V값에 대하여 레티넥스 처리를 한다. 채도 성분 S값은 밝기 V값 변화 정도에 따라 보상을 하여 더 선명한 영상을 얻는다. 가우시안 필터를 사용하므로 밝고 어두운 경계면에 발생하는 후광 효과와 경계면에서 멀어 질수록 어두워지는 현상은 공간적인 문제이므로 역광 이미지에서 잘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대비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역광 이미지에 대해서 레티넥스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정했을 경우 발생하는 밝은 영역에서의 컬러 성분의 손실을 보정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역광 이미지의 경우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에 대한 밝기 차가 매우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레티넥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의 대비도를 향상시킬 경우 밝은 영역에서의 컬러 성분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서 레티넥스 알고리즘을 통해 보정된 결과 이미지에서의 어두운 영역의 색상 값과 원본 영상의 밝은 영역에 해당하는 색상 값을 혼합하도록 한다. 이때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경계에 해당하는 픽셀들에 대한 소속을 결정하기 위해 Fuzzy C-mean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Fuzzy C-mean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원본 영상에서의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에 대하여 모든 화소의 소속 정도를 나타내는 퍼지 소속 함수를 구한다.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 각각에 해당하는 퍼지 소속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원본 영상에서의 색상 값과 레티넥스 복원 영상에서의 색상 값의 혼합 비율을 결정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역광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자연 영상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기존의 레티넥스 알고리즘 (MSRCR)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不確實性下에서 資本市場 均衡理論에 관한 硏究 : CAPM과 APM을 中心으로

        김영탁 전주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Finanace theory, one of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 in the last few decades is the abi1ity to quantify risk of capital assets. Markrwitz sought and completed the formular, mean-variance criterion that enable to determine the theoretical price of risky asset under etluilibrium condition of capital market. and when a risk-free asset exists, the opportunity set can be reduced to the simple, linear capital market line. ,411 investors will choose to hoId some combination of the risk-free asset and market portfolio.1'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is the model of market equilibrium, derived by Sharpe, Lintner, Mossin and Fama has been predominant in cmprirical work ovor past thirty years and is the basis of modern portfolio theory. But accumulating research on the CAPM has exhibited the 1 imitation as the positive theory with the skepticism about the aftual testability. The most important limitation of the CAPM, as Roll criticized, is that the true market rortfolio can't observed actualIy because it containsat 1 assets in the economy. Theorefore the Arbitrage Pricing Model (APM) tile alternatve pricing model , was presented. The APM formulated by Ross, based on the k-factor return generating model, and refuires no specific utility assertion except aonotonicity and concavity. In addition the market portfolio plays no role in the theory. The APM can be derived by tree major conditions: the return generaling process, the investor's behavior of maxiRization of thr arbitrage profit from arbitrage transaction and the market equi1ibrium Rode. Thougt the APM has the weak poing in that economic interpretation of the common factors seems to be impossible so far, it is much more robust than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for several reasons : 1. The APM makes no assumption about the enpirical distribution of asset returns. 2. Thr: APM make no strong assumption about individual's utility functions. 3. The APM at allows the equilibrium returns of assets to be dependent on many factors, not just one(e.g. , beta). 4. The .4PM yields a statement, about tile relative pricing of any subset. assets, hence one need nit measure the entire universe of assets in order 141 testth theory, 5. There is no special role for 1.he market portfolio in the APN, whereas the CAPM requires that the market portfolio be effecient. 6. The APM is fasi Iy tBEtendcd to a Rultiperiod fraaework.

      • CCD 카메라와 PSD 거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징 로봇시스템 알고리즘

        김영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을 영상처리를 통해 정확한 Brazing 2차원 지점을 획득하고, PSD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거리정보를 획득한 후 직교좌표 로봇을 이용하여 정확한 Brazing 포인트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Canny Edge Detection([6],[7],[8],[9],[11])을 통해 깨끗한 에지를 획득하고, 파이프의 볼록한 부분의 X와 Y의 Pixel Value 를 구한 뒤, 3축 직교로봇의 실제 이동거리와 비교하여 Calibration 한다. 또한 PSD 거리센서를 통해 Z축의 거리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함으로써 위험한 Brazing 작업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되어 진다. For automation of brazing system using vision senor, the problem of edge detection for bronze pipe is very important. Also, an accurate coordinate is needed for precise location. In this thesis, an algorithm is proposed for measurement of 3D information and detection of soldering area using CCD camera and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 sensor. Canny edge detector is employed in noisy environments. The experimental study shows that PSD sensor is useful in measuring distance.

      • 오링의 3차원 응력 해석과 파손에 관한 연구

        김영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링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 간단하고도 기본적인 기밀부품이다. 오링은 유동부위나 고정부위에 장착되어 두 표면 사이에 가깝게 밀착되면서 기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간편성과 역할로 오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됐다. 실제로 응력은 3차원 공간에서 정의되고 6개의 독립적인 응력성분으로 구성된다. 모든 경우에 모든 응력성분을 고려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때로는 비효율적일 수도 있지만 구조물의 안전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만 하는 사항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응력 성분 분석과 함께 변형거동도 중요한 연구 과제임에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압축률과 내압을 받는 조건에서 오링의 3차원 응력 해석과 그에 따른 파손, 오링의 변형 거동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오링의 3차원 응력 해석과 파손, 변형거동에 대한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동일 지점에서 각 응력 성분들은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같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동일 지점에서는 응력이 일정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이를 통해 3차원 광탄성 실험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접촉 응력이 접촉면의 중앙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최대 주응력 또한 접촉면의 중앙 부위에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3. 오링의 3개 평면에 대한 주응력을 통해 구한 τmax 과 Von-Mises 응력을 비교한 결과 τmax 이 최대값을 갖는 지점에서 Von-Mises 응력 또한 최대값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일정한 압축률과 내압을 동시에 받는 오링에서 압출 전, 후 각 접촉부의 σx, σy, τxy 는 내압이 커짐에 따라 커진다. 이는 오링이 압출되더라도 오링의 기밀 성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각 접촉부의 접촉응력이 커짐을 알 수 있다. 5. 투과형 광탄성 실험을 통해 에폭시 오링의 변형 거동을 규명하였다. O-ring has a round shape of a transverse and O-ring is simple, basic part. O-ring work as airtightness between a flow and fixation part on sticking a flow plane fast to fixation plane. Many research was advanced about O-ring because of this convenience and function. Actually, stress define at the 3 dimensional space and compose 6 independent stress components. When anyone solve problem considering every stress component, It is Inefficient, but it is essential for accuracy evaluation of a structure safety. It is important that stress component analysis and deformation behavior. However, until now research of deformation behavior does not have many results. The three dimensional stresses analysis and failure, deformation behavior of O-ring under uniform squeeze rate and under both uniform squeeze rate and under internal pressure w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on the stress analysis, failure, deformation behavior of O-ring are as follow. 1. Each components of stress at identical position are almost the same components, except some components. This is supported that stresses of same position are constant. Effectiveness of three-dimension photoelastic experiment is given the proof through it. 2. Maximum principal stress occur at the center such as contact stress has maximum value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plane. 3. The result which compares τmax and Von-Mises, which obtained through principal stress about three plane of O-ring, Von-Mises has also maximum value at the position that τmax has maximum value. 4. If it is like that O-ring is influenced by constant compressibility and internal pressure at the same time, the more internal pressure increase, the more value of σx, σy, τxy which is in the vicinity of extrude increase. We know that contact stress of contact part increase, while airtightness of O-ring is maintained even if O-ring is extruded 5. The transmission photoelastic experiment was to identify that deformation behavior of epoxy 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