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영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최근 태양전지 변환 효율이 높게 나오는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낮은 반사도와 높은 투과도를 가진 물질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산화아연 (ZnO)을 이용하여 박막을 나노구조를 만들고 도핑을 이용해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태양전지 중에서 산화아연을 이용한 태양전지 구조는 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저렴하여 차세대 태양전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산화아연은 전기적 특성, 광학적 특성, 광촉매 특성이 우수하여 현재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2000 rpm에서 30초 동안 산화아연 박막을 형성하고, 500℃에서 소성해줌으로써 핵 생성 박막을 제작하였다. 그 뒤 80℃에서 나노구조 성장 시간에 변화를 주며 나노구조를 형성한 후, 나노구조 성장 시간에 따라 빛의 반사도, 전기적 특성, 변환효율을 측정 하였다. 결과적으로 각각 나노구조가 성장된 태양전지를 비교 하였을 때 2회 스핀코팅으로 박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나노구조를 4시간 길렀을 때 0.55 V의 개방전압 (Voc), 29.48 mA/cm2의 전류밀도 (Jsc), 75.53%의 곡선인자 (Fill factor), 12.23%의 변환효율 (PCE)의 우수한 광전 특성을 보였다. Recently, many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having a low reflectivity and high trans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high-efficient solar cells are in progress. Recently, high-efficient solar cells have been prepared by using heteroatom-doped ZnO nanostructures. In particular, the nanostructured ZnO-based solar cells have great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photovoltaic cells due to their inherent advantages, such as low cost, simple fabrication, and relatively high efficiency. In addition, the ZnO is widely used in the current high-efficiency solar cells because of excellent electrical, optical, photo-catalytic properties. In this study, ZnO seed layers were first deposited on N-P-N Si substrates by a spin-coating method at 2000 rpm for 30 sec, and subsequently annealed at 500℃ for 30 min. The hydrothermal growth was then carried out at 80℃ up to 8h by mounting ZnO seed layers in a Teflon-capped glass bottle filled with the calculated amounts of zinc nitrate hexahydrate (Zn(NO3)2․6H2O)) and hexamethylenetetramine ((CH2)6N4) in 80 ml of distilled water. Subsequently, surface reflec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measur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hotovoltaic properties as a function of growth time. As a result, the ZnO-based solar cell, which was fabricated with ZnO nanostructures grown on two-time spin-coated ZnO seed layer for 4 hr, exhibits the highest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12.23%, open-circuit voltage (Voc) of 0.55V, short current density (Jsc) of 29.48 mA/cm2, Fill factor (FF) of 75.53%, respectively.
不確實性下에서 資本市場 均衡理論에 관한 硏究 : CAPM과 APM을 中心으로
김영탁 전주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1991 국내석사
In Finanace theory, one of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 in the last few decades is the abi1ity to quantify risk of capital assets. Markrwitz sought and completed the formular, mean-variance criterion that enable to determine the theoretical price of risky asset under etluilibrium condition of capital market. and when a risk-free asset exists, the opportunity set can be reduced to the simple, linear capital market line. ,411 investors will choose to hoId some combination of the risk-free asset and market portfolio.1'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is the model of market equilibrium, derived by Sharpe, Lintner, Mossin and Fama has been predominant in cmprirical work ovor past thirty years and is the basis of modern portfolio theory. But accumulating research on the CAPM has exhibited the 1 imitation as the positive theory with the skepticism about the aftual testability. The most important limitation of the CAPM, as Roll criticized, is that the true market rortfolio can't observed actualIy because it containsat 1 assets in the economy. Theorefore the Arbitrage Pricing Model (APM) tile alternatve pricing model , was presented. The APM formulated by Ross, based on the k-factor return generating model, and refuires no specific utility assertion except aonotonicity and concavity. In addition the market portfolio plays no role in the theory. The APM can be derived by tree major conditions: the return generaling process, the investor's behavior of maxiRization of thr arbitrage profit from arbitrage transaction and the market equi1ibrium Rode. Thougt the APM has the weak poing in that economic interpretation of the common factors seems to be impossible so far, it is much more robust than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for several reasons : 1. The APM makes no assumption about the enpirical distribution of asset returns. 2. Thr: APM make no strong assumption about individual's utility functions. 3. The APM at allows the equilibrium returns of assets to be dependent on many factors, not just one(e.g. , beta). 4. The .4PM yields a statement, about tile relative pricing of any subset. assets, hence one need nit measure the entire universe of assets in order 141 testth theory, 5. There is no special role for 1.he market portfolio in the APN, whereas the CAPM requires that the market portfolio be effecient. 6. The APM is fasi Iy tBEtendcd to a Rultiperiod fraaework.
김영탁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In this study, I performed the test using ISO 5660 cone calorimeter, ISO 5659 smoke density chamber and NES 713 toxicity chamber. A fire performance for the car interior materials is only burning rate using 38 mm single flame in accordance with FMVSS 302. For the construction interior materials and railway interior materials, several criterions are used for fire performance like heat release, smoke density, toxicity and etc. So I think another criterions are needed also for the car interior materials. For this purpose, I carried out the test mentioned above. All results are compared with fire performance criterions that are used in domestic or foreign. The majority of tested sample were not passed the criterions. Especially, all of the sample were not passed the european railway requirements even the minimum requirement. European standard EN 45545-2 say minimum requirement of MARHE for R1 set is 90 kW/m2. But the test result of all samples were 158 ∼ 290 kW/m2. It shows a big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pass the specific code by single parameter alone. But several parameters have to be passed together not alone. I also performed the toxicity test. Some of samples showed result that above the critical factor of some gases. The critical factor is a special concentration of toxicity gas that can be died if people breathe in. In this test, samples that passed the FMVSS 302 test were used. I think only one parameter is not suitable for fire performance criterion. Several parameters have to be used for it. I hope new fire performance criterions have to be made in the near future for the human safety as soon as possible. And also I think this results I performed can be used by basic data for the new fire performance criterions. 본 연구에서는 현행 자동차 내장재의 연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ISO 5660의 콘칼로리미터, ISO 5659의 연기밀도시험기 그리고 NES 713의 독성지수 시험기를 활용하여 시험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재 자동차내장재의 화재안전 기준은 FMVSS 302에 의한 수평연소속도만을 측정하도록 되었다. 따라서 이 기준을 통과한 내장재를 시험하여 현행되고 있는 기타 기준 즉, 건축물내부마감재료 및 철도차량내장재의 화재안전기준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과 같은 기준들은 한 가지 화재 요소가 아닌 여러 가지 주요한 화재 요소들의 평가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주요 화재 요소들은 열방출, 연기발생 그리고 독성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 준비한 시편들의 열방출 특성을 분석하여 건축물 내부마감재료의 난연성능 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최대 열방출 200 kW/m2 및 그 지속시간을 비교해보았다. 10초 이상을 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시험에 사용된 모든 시편에서 최소 20초 최대 175초의 200 kW/m2 열방출이 지속되었다. 또한 유럽의 철도차량 내장재의 난연성능에서 기준으로 정하고 있는 최대평균열방사율을 비교해 보면 최소 등급의 90 kW/m2을 모두 초과하는 158∼290 kW/m2의 결과 값을 보였다. 연기발생에 관한 요소를 국내 철도차량내장재의 화재안전과 비교 시 초기 연기 발생을 의미한 1.5분 및 4분에서의 연기밀도에서 대부분의 시편에서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럽 철도차량내장재의 화재안전 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4분에서의 연기밀도 및 VOF4값을 비교해 보면 이 역시 대부분의 시편에서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방출데이터인 최대평균열방사율과 연기밀도를 동시에 기준으로 정하고 있는 유럽철도차량내장재의 등급 기준과 비교해보면 가장 낮은 등급인 HL1 조차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져, 화재에 대한 안전 기준에 취약함을 알 수 있다. 화재 시 발생하는 또 다른 주요 요소인 유독성 가스에 대한 시험을 수행해 각 가스의 발생 농도를 분석해보면, 여러 시편에서 30분 노출 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사농도를 초과하는 값을 보였다. 또한 미국국방성규격에서 정하고 있는 독성지수 1.5 또는 5의 값을 대부분 초과하는 2.9∼12.6의 결과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열방출, 연기발생 그리고 독성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현재 자동차 내장재의 화재 안전 기준의 취약성 및 기준강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溫暖地の木造住宅における纖維系充塡斷熱壁體の熱濕氣性狀と防露設計に關する硏究
본 연구는 목조주택의 防露設計(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설계)에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섬유계 충진단열벽체의 열ㆍ습기 성상과 잠열냉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연구한 것이다. 1999년에 고시된 차세대 에너지절약기준은 京都협의서(1997년 COP3(지구온난화 방지 조약의 제 3회 체약 구제회의)에서 각국이 동의한 CO2 절감 목표치)를 실현하기 위한 일본 국내 대책의 하나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기준은 목조주택의 내부결로 대책에 관해서도 종래의 기준보다 엄격히 대처하고 있고, 防露設計의 기본원칙도 동절기의 내부결로 방지가 主眼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섬유계의 단열재를 이용할 경우, 1)실내의 수증기가 벽체내부에 대량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층을 설치할 것, 2)실내에서 유입된 소량의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통기층을 설치할 것이 사양상의 기본 원칙이다. 이 원칙은 한랭지역의 오랜 경험과 실증적인 연구에 근거하여 제정된 것이며, 목재부패의 원인이 되는 대량의 내부결로(겨울철 결로)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합리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의 주택에 있어서 高斷熱ㆍ高氣密化는 위에서 제시한 에너지절약대책과, 실내환경의 개선이라는 利點때문에, 한랭지역뿐만 아니라 온난지역(關東以西)에 있어서도 급속히 건설되고 있고, 앞으로도 한층 더 보급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온난지역의 고단열ㆍ고기밀 주택에서는 고온다습, 일사, 냉방, 목재의 吸放濕性 등의 요소가 복잡하게 반응하여 1)방습기밀층의 외기측 표면에 일시적인 결로가 발생한다는 것(여름철 결로)과, 2)벽체내부의 습도가 상승하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자의 여름철 결로문제는 현실적인 냉방조건하에서 목재 부패와 같은 실제 피해를 불러일으키는 대량의 결로가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데이터가 제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문제 제기할 만한 성질의 것인가에 대하여 아직도 논쟁 중에 있다. 즉, 여름철 결로의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의 소재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후자의 문제는 방습기밀층에 의해 벽체내부의 습도가 상승하여 곰팡이균, 목재부패균 등의 번식조건이 제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방습층과 같이 투습저항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透濕벽체가 검토되기 시작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투습벽체의 검토는 온난지역의 겨울철 외기온이 최저 -5℃정도로, 겨울철 결로방지를 위한 실내측 방습성능이 높지 않아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습기가 투과되는 벽체구조는 역으로 여름철 透濕 잠열냉방부하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 문제도 병행해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동종의 섬유계 단열재라도 셀룰로오스 파이버(Cellulose Fiber)와 같은 吸放濕性이 높은 재료와, 유리섬유(Glass Fiber), 암면(Rock Wool) 등과 같은 吸放濕性이 낮은 재료는 열습기 거동이 다르리라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에 관해서도 해명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다음 항목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주택의 방로설계 구축에 일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현장실측에 의한 방습벽체의 열ㆍ습기 성상을 파악할 것 2) 실험에 의한 투습벽체의 열ㆍ습기 성상을 파악할 것 3) 상기 2)의 결과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에 의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할 것 4) 투습벽체의 잠열냉방부하의 영향을 파악할 것 5) 이상의 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유효한 방로설계 수법을 제안할 것 이하,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기술하였고, 기존 연구의 Review를 통하여, 본 연구가 방로설계를 위한 응용연구로서 의미가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제 2장에서는 온난지역의 목조주택에 있어서 방습벽체의 열ㆍ습기 성상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냉난방설비를 갖춘 일본 온난지역(關東以西)의 4채의 목조주택으로, 여름철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섬유계 단열재의 실내측을 防濕처리한 two-by-four공법(통기층 있음)이며, 실제 거주하는 상황에서 1년간 실측하여, 벽체내부의 열ㆍ습기 성상을 파악하였다. 실측 결과, 겨울철에 있어서는 벽체내부의 상대습도가 일평균 40%이하인 건조한 상태였고, 결로에 관한 문제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여름철에 있어서 防濕層의 외기측 표면온도가 단열재 중심부의 露点溫度보다 낮은 경우(결로가 발생한 경우)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시적인 결로가 발생하는 빈도는 매우 낮았고, 벽체내부의 상대습도는 일평균 60%전후의 中濕度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제 3장에서는 다공질의 건축벽체에 있어서 熱ㆍ水分同時移動方程式 수치모델의 일반식에 관하여 Review하였고, 본 연구에 이용하는 기초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제 4장에서는 透濕性 단열벽체에 있어서 여름철을 想定한 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열재의 실내측 상대습도는 50-70%이었고, 일중 고습도 상태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는 것과, 吸放濕性 단열재(Cellulose Fiber)는 벽체의 급격한 습도 변동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고, 그 효과는 吸濕과정에서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의 결과는 벽체내부의 온습도 및 透濕量에 있어서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고, 예측 계산수법으로서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 5장에서는 제 4장에서 실험에 이용한 6종류의 透濕벽체 모델과 각 모델에 防濕層을 추가한 방습벽체 모델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행하여 각각의 벽체가 잠열냉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환기가 없는 경우, 실내의 잠열발생량을 제외하면, 투습벽체의 잠열부하는 방습벽체와 비교해서 최대 2배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 투습 잠열 부하량(正味量)은 환기 잠열냉방부하의 10%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제 6장에서는 제 4장과 제 5장의 연구 성과에 근거하여 목조주택의 방로설계 수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벽체 구성재료의 습기 물성치와 벽체내부의 습도, 함수율, 水分流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도표(Chart)를 작성하였고, 이들 도표가 방로설계의 참고 자료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제창하였다. 제7장에서는 제1장에서 제 6장까지의 연구 성과를 총괄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목조주택의 방로설계에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측, 실험 및 수치해석에 근거하여 섬유계 충진단열벽체의 열ㆍ습기 성상과 잠열냉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링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 간단하고도 기본적인 기밀부품이다. 오링은 유동부위나 고정부위에 장착되어 두 표면 사이에 가깝게 밀착되면서 기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간편성과 역할로 오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됐다. 실제로 응력은 3차원 공간에서 정의되고 6개의 독립적인 응력성분으로 구성된다. 모든 경우에 모든 응력성분을 고려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때로는 비효율적일 수도 있지만 구조물의 안전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만 하는 사항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응력 성분 분석과 함께 변형거동도 중요한 연구 과제임에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압축률과 내압을 받는 조건에서 오링의 3차원 응력 해석과 그에 따른 파손, 오링의 변형 거동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오링의 3차원 응력 해석과 파손, 변형거동에 대한 결론은 아래와 같다. 1. 동일 지점에서 각 응력 성분들은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같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동일 지점에서는 응력이 일정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이를 통해 3차원 광탄성 실험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접촉 응력이 접촉면의 중앙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최대 주응력 또한 접촉면의 중앙 부위에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3. 오링의 3개 평면에 대한 주응력을 통해 구한 τmax 과 Von-Mises 응력을 비교한 결과 τmax 이 최대값을 갖는 지점에서 Von-Mises 응력 또한 최대값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일정한 압축률과 내압을 동시에 받는 오링에서 압출 전, 후 각 접촉부의 σx, σy, τxy 는 내압이 커짐에 따라 커진다. 이는 오링이 압출되더라도 오링의 기밀 성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각 접촉부의 접촉응력이 커짐을 알 수 있다. 5. 투과형 광탄성 실험을 통해 에폭시 오링의 변형 거동을 규명하였다. O-ring has a round shape of a transverse and O-ring is simple, basic part. O-ring work as airtightness between a flow and fixation part on sticking a flow plane fast to fixation plane. Many research was advanced about O-ring because of this convenience and function. Actually, stress define at the 3 dimensional space and compose 6 independent stress components. When anyone solve problem considering every stress component, It is Inefficient, but it is essential for accuracy evaluation of a structure safety. It is important that stress component analysis and deformation behavior. However, until now research of deformation behavior does not have many results. The three dimensional stresses analysis and failure, deformation behavior of O-ring under uniform squeeze rate and under both uniform squeeze rate and under internal pressure w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on the stress analysis, failure, deformation behavior of O-ring are as follow. 1. Each components of stress at identical position are almost the same components, except some components. This is supported that stresses of same position are constant. Effectiveness of three-dimension photoelastic experiment is given the proof through it. 2. Maximum principal stress occur at the center such as contact stress has maximum value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plane. 3. The result which compares τmax and Von-Mises, which obtained through principal stress about three plane of O-ring, Von-Mises has also maximum value at the position that τmax has maximum value. 4. If it is like that O-ring is influenced by constant compressibility and internal pressure at the same time, the more internal pressure increase, the more value of σx, σy, τxy which is in the vicinity of extrude increase. We know that contact stress of contact part increase, while airtightness of O-ring is maintained even if O-ring is extruded 5. The transmission photoelastic experiment was to identify that deformation behavior of epoxy O-ring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따라 서비 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경로를 분석하여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요양보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65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5.0과 Process Macro(model 4)를 이용하여 신뢰성, 상관관계 분석,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셰페의 사후분석(Scheffe’s post-hoc analysis) 등을 진행하 였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 레스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서비스 질에 요양보호 사의 직업윤리의식은 정적(+)영향과 직무스트레스에는 부적(-)영향을 미쳤다.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요 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 의식은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요양보 ii 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과 요양보 호사의 서비스 질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직업윤리의식을 제고하여야 한다. 또한 직업윤리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직업윤리교육과 직업윤리프로그램 개발을 하여 직업윤리의식에 대한 수준을 높이는 기 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돌봄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윤리의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다 양한 방법과 더불어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요양보 호사의 처우와 근무환경, 근무강도 등 다양한 정책과 함께 실천방법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