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애리의 현악5중주 Distorted Eden 분석

        김애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논문은 김애리의 현악5중주 Distorted Eden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이 작품은 필자가 연세대학교 음악 대학원 재학 시에 작곡, 초연된 곡이며, 2000년 11월 30일 석사 졸업연주로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윤주용홀에서 연주되었다. 이 곡은 6 section으로 구분되어지는 단악장의 곡으로 20세기에 나타난 새로운 여러 어법들을 사용한 창작곡으로 음계, 박자와 리듬, 주법 등의 면에서 조성 음악 바탕 위에 변화를 시도한 작품이다. 여기서 조성음악 바탕 위에 변화를 시도한 작품이란 의미는 전체 곡의 전개방식(주제의 전개)이 전통양식을 따르면서 현대적인 어법을 사용하였음을 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nalytical study of Distorted Eden, a string quintet (1999). This work was composed while she was in Music Department of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It was premiered and played again on November 30, 2001 for a master's degree at Yoonjuyong Hall, College of Music, Yonsei University. This music is single movement consisting of 6 sections and a creative composition adopting the phraseology newly that appeared on 20th century. It tries to express the change on the basis of the tonal music in the respects of gamut, rhythm and a way of musical performance. This tonal music represents that the music employs the modern phraseology together with the traditional form in terms of the progress of the whole song itself or the progress of its subject.

      • 김애리의 The Disciples for orchestra 분석 연구

        김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95

        본 논문은 김애리 작곡의 The Disciples for Orchestra를 분석한 것으로 전체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 1부는 ‘의미상징 기법’(Semantic Symbolization Technique), ‘ERI 기법’(Embedded Representation by Intensity Technique) 그리고 ‘대칭 기법’(Symmetry Technique)을 중심으로 연구한 The Disciples for Orchestra에 관한 음악분석이며 제 2부는 The Disciples for Orchestra의 총 보 이다. The Disciples for Orchestra는 두 악장의 열두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현악곡이다. The Disciples for Orchestra에서 표현하고자 한 주제는 기독교의 성경(聖經, Bible)에 나타난 예수를 따르는 12 사도들의 제자도(道)이다. 주요 작곡기법으로는 다음의 세 가지를 사용하였다. 첫째는 비 음악 영역의 컨텍스트를 음악적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미상징 기법’(Semantic Symbolization Technique)을 구상하여 활용하였다. 둘째는 악보를 통하여 메시지 를 담는 작곡 방법인 ‘ERI 기법’(Embedded Representation by Intensity Technique)을 고안하여 시각적인 도형 및 문장으로 표현되는 메시지인 ‘익투스(IXθYΣ, )’를 중심으로 악보를 구성하였다. 셋째로는 ‘대칭 기법’(Symmetry Technique)의 활용으로 생명과학 분야에서 쓰이고 있는 방사대칭성의 개념을 음악적 구성요소로 도입하여 4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대칭구조를 이루는 ‘방사대칭 형식’(Radial Symmetry Form)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제시한 작곡기법에 의해 창작된 The Disciples for Orchestra를 네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우선 상징수의 의미 파악을 위한 선행연구를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의미상징 기법’과 ‘ERI 기법’을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는 The Disciples의 음악 분석으로 형식구조, 음계구조, 음 고 구조 그리고 리듬구조 및 관현악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형식구조는 주제적 형식구조와 대칭 기법에 의한 형식구조들(Radial Symmetry Form, Arch Form, Mirror Form)을 사용하였다. 악곡 전체의 형식은 여섯 개의 중심 음(G, F#, C, D, B, E)을 기준으로 아치 형식(Arch Form)으로 구성하였다. Section 1에서 Section 6까지의 중심 음은 G-F#-C-D-B-E음이며 Section 7에서 Section 12까지의 중심 음은 E-B-D-C-F#-G음으로 전체 12 Section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제자도의 과정을 12단계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또 다른 대칭성의 활용으로 Section 10의 형식은 미 러 형식(Mirror Symmetry Form)을 사용하였으며 Section 8은 방사대칭 형식(Radial Symmetry Form)을 사용하였다. 음계구조는 중심 음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각 Section에 해당하는 상징수의 의미와 결부된 음계구조를 갖는 것이 본 논문에서 분석한 The Disciples의 음계구조의 특징이다. 음 고 구조는 수평적 음 고 구조와 수직적 음 고 구조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각 Section에 해당하는 중심 음과 음계 음들을 바탕으로 주제를 표현하는 의미 모델(Semantic Model)를 구상하여 구성된 것이 음 고구조의 특징이다. 리듬구조는 국악의 장단을 사용하여 한국적 정서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상징장단 다섯 개와 일흔세 개의 변형장단을 통해 리듬의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악기 군의 사용에서는 튜바(Tuba)와 클라리넷(Clarinet)을 상징악기로 사용하였으며 목관악기 군을 인간(人)을 상징하는 악기 군으로, 금관악기 군은 하늘(天)을 상징하는 악기 군으로 그리고 현악기 군을 세상(地)을 상징하는 악기 군으로 구분하여 The Disciples가 지닌 주제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The Disciples for Orchestra의 음악적 분석과 더불어 비음악적 의미를 음악 언어로 표현하는 새로운 작곡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러 가지 음악 종교 문학 미술 심지어 수학 및 공학 등 다양한 영역이 서로 융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현대의 문화 컨버전스(Cultural Convergence)의 흐름 속에서 음악은 단순한 소리의 조합에서 나오는 미적 가치뿐만 아니라 비음악적 영역의 컨텍스트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미상징 기법’(Semantic Symbolization Technique)과 ‘ERI 기법’(Embedded Representation by Intensity Technique)과 같은 작곡 방법은 현대 음악 창작에 있어서 음악의 영역을 넘어 서로 이질적인(heterogeneous) 항목인 수학, 과학, 문학, 종교, 미술 등의 다양한 영역의 의미를 음악이라는 언어로 통합(integration)함으로써 향후 음악계뿐만 아니라 현대의 문화와 기술을 아우르는 변화의 흐름에 중요한 가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dissertation, The Disciples for Orchestra by Eri Kim with Analysis: focusing on Semantic Symbolization Technique, ERI(Embedded Representation by Intensity) Technique and Radial Symmetry Technique, consists of the analysis of The Disciples composed by Eri Kim for a full Orchestra in two movements with twelve sections and its score. The Disciples for Orchestra represents the way of 12 disciples of Jesus found in the Bible as the subject and is developed with three new compositional techniques: Semantic Symbolization Technique, ERI (Embedded Representation by Intensity) Technique and Radial Symmetry Technique. First, Semantic Symbolization Technique uses symbolic numbers which are intrinsic in the Bible to express non-musical context in a musical system. Second, ERI Technique is to embed a message in a score with visualizing figures and sentences. The Disciples for Orchestra embeds an acrostic message “Ichthys”, which is compiled to “Jesus Christ, God’s son, savior”. Third, Radial Symmetry Technique is to construct symmetric structure based on 4 center lines. The score is centered with six tones (G, F#, C, D, B, E) and constructed as arch form. The work consists of twelve sections representing twelve steps of the way of disciples. The first movement from Section 1 to Section 6 is centered with G-F#-C-D-B-E and the second movement from Section 7 to Section 12 is centered with E-B-D-C-F#-G. Especially Section 8 is constructed as Radial Symmetry Form and Section 10 is constructed as Dihedral Symmetry Form. Each section related to a particular symbolic number starts with its center tone for scale structure. For rhythmic structure, Korean music’s rhythmical patterns are utilized to express Korean spirit. The use of five symbolic patterns and seventy three modified patterns as Semantic Symbolization technique could meet rhythmical diversity. For Orchestration, the woodwind instruments, especially Clarinets, symbolize the human being; the brass instruments symbolize the heaven and the only one tuba which figures the God is placed in whole Orchestra in particular; the string instruments symbolize the earth. Symbolization is to deliver the subject of The Disciples for Orchestra. In this dissertation, we analyze The Disciples for Orchestra in a musical point of view and suggest new composing methods to express even non-musical concepts in musical language. In new paradigm of contemporary culture, a wide variety of areas in our society such as literature, music, art, and even mathematics and engineering could be combined with one another and the new values would be generated in the result. Therefore, the area and technique of music should be evolved toward those of a kind of composite art, which could contain but various concepts of non-musical area, not only aesthetic values from composition of sound as well. “Semantic Symbolization” and “ERI (Embedded Representation by Intensity)” techniques suggested in this dissertation could be useful tools to integrate heterogeneous concepts of various areas with one unified language - the music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wave of change not only in the musical society but also in the whole cultural and technical societies.

      •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김애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사회는 개인의 알권리를 존중하는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와는 사뭇 다른 환경으로 말기 환자에게 질병에 대해 정확하게 고지하지 않는 경향이 형성되었 다. 또한 가족을 공동운명체로 여기는 유교주의 문화에서 환자의 생명에 관해 환자 본인보다는 보호자인 가족의 결정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동양의 전통 효 사상이 연명치료 거부에 대한 소극적 인식을 유발 시켰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최근 연명치료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관 심이 증대되었으나 우리나라 의료계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가 모든 병원에 적용 되고 있지 않으며 사전의료의향서는 법적 효력이 없고 연명치료 중단은 현행법 상 불법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연명치료와 관련된 결정을 하여야만 하는 경우는 늘어나고, 저출산 및 비혼자의 증가로 가족 관계의 단순 화가 나타나는 현실에서 연명치료 결정을 위한 제도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와 윤리적 근거를 살펴보고, 사전의료의향서 관련 법제화의 필요성과 도입 및 시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연명치료 결정의 의미를 탐구하고, 국내 병원의 사전의 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것에 기반 하여 사전 의료의향서의 필요성을 고찰하며 사전의료의향서 도입 및 법제 관련 국내외 현 황 및 그것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Since our Korean society has quite different environments from the western individualism that respects individuals’ right to know, Korean medical institutes has a tendency not to exactly inform terminal patients of their severity of diseases. Besides, in the Confucian culture where one regards his or her family members as a group bound together by a common destiny, Korean medical institutes value the decision of patients’ family members more than that of patients in regard to issues on patients’ lives. Some scholars interpret that such a tendency based on the Confucian thought of filial piety has caused people to perceive refus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in a passive way. Recently, as life-sustaining treatments become one of the main social issues,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AD (Advance Directives). However, AD is not applied to all the hospitals in the Korean medical circles, and it has no legal force, and DNR (Do-Not-Resuscitation), which is to stop a life-sustaining treatment, is even regarded illegal according to the present medical laws. Due to the aging population, however, there are more cases that people have to make decisions related to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because of the low birthrate and increasing unmarried population, the family structure becomes simplified in reality, further requiring an establishment of proper institutions to make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enacting AD-related laws and the introduction and enforcement of the related laws. Particularly, by exploring the meaning of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analyzing the present states of AD and DNR of domestic hospitals in Korea,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introduction of AD and the present states of the related law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people’s social perceptions of this system.

      • 한국과 독일의 고등학교 체육 교육과정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김애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spect of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E), this study suggested that modif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urrent curriculum should be required in order to manage and revitalize a normal PE curriculum. Even though Germany has very advanced curriculum for PE, very few studies have dealt with it as yet. Derived from comparing the curriculum of Korean PE with that of Germany,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current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eventually providing grounding data to develop efficient and effective PE.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were the objectives of PE curricula for Korean and German middle schools established? 2) How were the contents of curricula for Korean and German middle schools constructed? 3) How were the curricula for Korean and German middle schools evaluated? For the purpose to be fulfilled, it was the first to examine and study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in comparative pedagogical prospective. Based on that, appropriate criterion and direction in order to improve PE were found. The summarized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continued to promote education reforms through trial-and-error learning processes. However, Germany in which one of the greatest education system in the world was established has constantly adhered to its traditional education curriculum 2)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of Korean PE in written form showed teaching objectives, contents, and evaluations detailed by school year. However, in the case of Germany, they were not specified by school year, but providing the fundamentally minimized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whole schol year. Consequently, it made teachers to choose their own instruction goals, contents, and evaluations based on teaching methods they used 3) In Germany, it was known that the valuable meaning of health education was personally experienced from teaching methods aiming at health education such as juggling, acrobatic, relaxation exercise programs 4) In Germany, students in lower grades ha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 wide range of sports types. When becoming higher grades, they chose by themselves a sports type that they were good at and interested in and thus they would show their ability to the full. So, as one process of improving sports type, students would fully enjoy PE in school, eventually resulting in the atmosphere for 'sports for lifetime' 5) While PE in Korea were behind other subjects, it was found that German PE was given equal weight as other subjects were. For instance, students particularly interested in PE were provided to choose PE as one of the subjects in the Abitur, indicating PE having the same evaluation weight as other subjects in Germany. In conclusion, while the specific curriculum was found in Korea, Germany continued to adhere traditional curriculum, a fundamentally minimized one which made teachers to select their own curriculum based on teaching style. Consequentl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derived from this study on both countries were needed to complement, and further an improved curriculum was urgently required to implement. 본 연구는 체육교육 발전에 있어 체육수업의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수정 및 개발이 시급하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를 위해 지금 까지 국제 비교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져 왔으며 선진국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는 독일을 선정하였다. 이를 한국의 체육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장·단점을 찾아 분석함으로써 우리 것을 보다 잘 알아보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또한 독일의 체육교육과정과 비교·연구하였다. 이는 밀도 있는 효율적인 체육수업 전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의 연구문제를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한국·독일 양국의 중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가? 둘째, 한국·독일 양국의 중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셋째, 한국·독일 양국의 중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비교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교육제도에 대한 현황 파악 및 고찰을 토대로 개선 준거와 방향을 찾는 보편화된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다년간 시행착오를 통해 끊임없이 교육개혁을 추진해오고 있다. 반면 독일은 우수한 교육제도를 가지고 있기에 전통적인 교육과정을 고수해오고 있었다. 둘째, 한국은 체육교육과정은 문서로써 학년별로 지도목표, 내용, 평가가 학년별로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반면, 독일은 지도목표, 내용, 평가가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는 대신 전체학년을 대상으로 일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인 최소 내용만을 제시 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의 재량에 따라 학습한 내용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셋째, 독일은 저글링, 곡예, 긴장이완 프로그램등과 같은 건강교육 위주의 수업방식들로 건강교육의 의미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넷째, 저학년 때에는 여러 종목의 스포츠를 경험하게 하며, 고학년 때에는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자신만의 스포츠를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 이는 각자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함은 물론이고, 스포츠에 대한 심화 과정으로써 학교체육을 통해 평생체육으로의 자연스러운 전환을 유도한다. 다섯째, 한국에서는 체육 교과목들이 다른 주요 교과목들에 의해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독일에서는 체육 교과에 특별한 재능을 보이는 학생에게 체육교과를 아비투어의 시험교과목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체육 교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결과적으로 한국은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반면, 독일은 최소한의 교육방침으로만 제시하고 있어 구체적인 내용은 교사의 재량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우리의 교육과정이 일 년이 머다 하고 바뀌는 것에 반해, 독일의 변함없이 유지되는 교육 과정 및 정책은 우리 체육교과에 많은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양국의장·단점에 대한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체육교과가 평생체육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우리만의 교육과정 제시가 시급한 과제라 생각된다.

      • 버스운전근로자 중 교통사고 운전자와 비 사고 운전자의 식생활 비교

        김애리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differences between bus drivers with the history of traffic accident(s) and without traffic accidents on their ordinary life styles, health awareness behaviores, eating habits, food intake frequency and sometometry, and biochemical state. Among the full time bus drivers of bus transportation enterprises, 310 bus drivers with history of accident(s) and 334 drivers without accident were subjected. The summay of the research result is as below. The result of observing the most frequent category the accident occurance of the subjects is as below. In general age category of 40-49, the accident group was bigger than the no accident group, and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as the graduation of highschool, was higher in the no accident group. The no accident group showed longer driving history of 10-15 years than the accident group, and it is statistctically significant that there were more indracity bus accidents in the accident group (p<0.05). The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percentage in having a working companion, and the family construction for both groups showed relatively stable family forms with married partner and children all living togther. In health awarance behaviors, the accident group showed lower confidence in their health than the no accident group (p<0.05). The accident group thought that their teeth condition was not healthy than the no accident group thought, and there were more of the employees with denture in the accident group than in the no accient group. The no accident group seemed to get more stress from the work than the accident group. The accident group had less average sleep thim than the no accident gourp. Concerning the mode of transportation to work, more no accident group went to work walking (p<0.05). The accident group showed more activity frequency concering the degree of exercise than the no accident group. The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drinking frequency than the no accident group. The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disfavor in meat and fish for the side dish with drinks, and no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percentage in intake of fruit and vegetables, and no preferences, but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re were more smokers in the no accident group than in accident group,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amount of smokes was 11-19 cigarettes with higher percentage of accident group than no accident group. The no accident group showed more intent in smoking or drinking than the accident group. The no accident group took tea because it ought to be good for health while the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of drinking coffee to drive away sleep. The daily meal frequency in the accident group was more irregular than in the no accident group, an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accident group had smaller amount of meal than the no accident group (p<0.05). In skipping meals also, it came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accident group had higher percentage (p<0.05). The result from the assessment of the eating habit was that the no accident group took the attitude of caring for heat has a positive sign than the accident group, and the no gaccident group took more control of the meals though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oth groups showed similar frequency in late night meals, and the accident group had higer frequency in excessive eating. Following is the food types and frquencies observed by the accident indences. The no accident group had higher frequency in intake of grains than the accident group, and they also showed more frequent consumption of beef while accident group showed more frequent consumption in pork and chicken. However, when the entire meat categries were considered, the accident group had higher frequency. The no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intake of fish and shellfish, and vegetable and fruit. The accident group showed more frequent intake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no accident group showed more frequent intake in green tea. In alcoholic beverages, the no accident group showed more frequent intake in all three alcoholic beverages: beer, soju and wine. However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se results between the accident and the no accident groups. From physical examination of measuring the waist, the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abdominal obesity than the no accident group. The BMI in normal and obyss weight was higher in no accident group than in accident group, and underweight obesity showed higher percentage in the acciden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More in accident group had normal blood pressure than in the no accident group while higher percentage in near hypertension category. The accident group had higher first and second stage hypertension,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colesterole level, the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percentage in standard to borderline while tha accident group showed higher percentage in high cholesterinemia.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 significances.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 undesirable life styles, such as drinking, smoking, exercise, lack of sleep and stress, as well and irregular intake of meals and conditions of chronic deseases were observed. The analytical result of the food intake frequency compared to the National Nutrion and Health Research in 2007 (age 19~64) showed more frequent intake in meat, fish and vegetables than the average frequency, especially in meat. Over nutrition from these excess intake lead to nutritional imbalance and could be the cause of digestive disorders, such as the hypertension and cholesterinemia, observed among the research subjects. And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healths of the drivers from the above results can diretly lead to the physical condition, a personal factor that can cause traffic accidents. Therefore, an active and pratical devices need to be sought out to improve the health of drivers. 본 연구는 버스운전근로자 중 교통사고를 일으킨 경험이 있는 사고 운전자와 그렇지 않은 비사고 운전자의 평소 생활습관과 보건의식행태 그리고 식생활습관과 식품섭취빈도 및 신체계측과 생화학적상태 등을 교통사고 유무에 따라 그룹간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버스운수업체의 정규직 운전근로자(버스운전기사) 중 교통사고운전자(사고자) 310명과 교통사고 비사고 운전자 (비사고자) 3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교통사고유무에 따라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난 항목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사항에서 연령은 40-49세에서 사고자그룹이높게,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으로 비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운전경력은 10-15년에서 비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고자그룹이 시내버스에서 더 많은 사고를 발생하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사고자그룹의 배우자가 유직업자가 더 많았으며, 가족구성형태는 모두에서 부부와 자녀가 함께 거주 하는 것으로 비교적 안정된 가족형태를 구성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식행태에서는 사고자그룹이 스스로의 건강상태에 확신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사고자그룹이 자신의 치아상태가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틀니를 가지고 있는 근로자도 높게 나타났다. 비사고자그룹이 직무에 있어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사고자그룹이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더 적으며, 수면부족 상태인것으로 나타났다. 출퇴근시 이동수단은 자가용이용은 사고자그룹이, 걷는다에서는 비사고자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유의하였다(p<0.05). 운동횟수에서는 사고자그룹이 운동정도에 있어서는 비사고자그룹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사고자그룹이 음주빈도가 높게, 비사고자그룹은 흡연자가 많았고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흡연량은 11-19개피로 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비사고자그룹이 금연, 금주의사를 더 가지고 있으며, 비사고자그룹은 건강에 좋을 것 같아서 차를 마시며, 사고자그룹은 잠을 쫓기 위해 커피를 마시는 것에서 높게 나타났다. 식생활습관에서 사고자그룹의 하루식사 빈도는 비사고자그룹보다 불규칙하고, 휴일에 더 적은 식사를 하는 것으로나타났다(p<0.05). 휴무일결식에서도 사고자그룹이 높게 유의하였다(p>0.05). 식생활태도를 평가한 결과는 비사고자그룹이 건강에 대한 관심과 태도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식사를 조절하는 정도에서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늦은식사는 두그룹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폭식하는 빈도는 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식품섭취빈도에서는 곡류군에서 비사고자그룹이, 육류군에서 섭취빈도가 가장 많은 쇠고기는 비사고자그룹이 높게,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나, 육류군 전체에서는 사고자그룹이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어패류, 채소류와 과일에서는 비사자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탄산음료와 커피에서 사고자그룹이 높게, 녹차에서는 비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주류3종류 모두에서 비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그룹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복부비만은 사고자그룹이 높게, BMI는 정상체중, 과체중에서는 비사고자그룹이 높게, 저체중과 비만에서는 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정상혈압에서 사고자그룹이 높게, 고혈압전단계에서는 비사고자그룹이 높게, 제1기와 제2기고혈압에서는 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콜레스테롤은 정상군과 경계치에서 비사고자그룹이, 고콜레스테롤혈증에서는 사고자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음주, 흡연, 운동, 부족한 수면, 스트레스 등 바람직하지 않은 생활 습관과 함께 불규칙한 식생활 과 만성질환의상태 등이 확인되었다. 식품섭취빈도조사의 분석결과로 나타난 식품섭취빈도는 2007년도 국민영양건강조사(19~64세)의 육류, 생선, 채소등의 식품섭취 평균빈도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는데, 특히 육류에 있어서 매우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다섭취에 따른 영양과잉은 영양불균형을 초래하고 연구대상자에게서 관찰되는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등의 대사성질환의 유병률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운전근로자의 건강상태는 교통사고 원인이 되는 인적요인인 신체상태로 이어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운전근로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적극적이며 실천 가능한 방안의 모색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점토 중심의 집단미술치료

        김애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점토중심의 미술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에 있어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사회복귀에 대한 의지를 고취하고 삶의 활기를 되찾도록 하는 것이다. 점토활동과 같은 예술 활동은 환자에게 아직 남아 있는 건강한 힘을 자발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정신보건센터에서 재활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로서 집단 미술치료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거친 후 희망자에 한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7년 1월 23일부터 4월 24일까지이며 1회기를 60분으로 하여 주 1회씩 전체 12회기 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에 대한 평가를 위한 연구 도구로는 매 회기의 작업과정에 대한 연구자인 미술치료사와 미술치료 석사과정의 보조원의 관찰내용과 작품, 회기 중의 대화 및 회기 후의 대화 내용, 마지막 회기 집단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질적 과정의 분석에 근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가 지닌 매체적 특성은 참여자들의 정서적·신체적·심리적으로 이완시켜 자기표현과 감정표현을 풍부하게 하였다. 둘째, 점토가 지닌 가소성은 참여자들의 자발성을 고취시켰다. 셋째, 점토작업을 통한 집단 활동은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능력을 함양하고 협동심을 길러주었다. 넷째, 점토활동은 신체 움직임을 유도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유연성과 적극성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정신보건센터라고 하는 특정시설에서 진행된 집단미술치료를 연구한 사례연구이기 때문에 결론을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환자와 함께 하는 가족미술치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정신보건센터내의 미술치료 Open Studio 시스템이 도입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미술치료사가 센터 내에 상주하면 환자가 원하는 때마다 자발적으로 창조적인 활동을 할 수 있어 치료효과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the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clay-work to the Schizophrenia Patients for their rehabilitation. For this purpose, one-hour art therapy program with total 12 sessions were carried out to the five schizophrenia patients that attended at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Seoul. The art therapy were evaluated qualitatively as a case study through the observation of an art therapist about art-working, a recorded communication in session, art-works and the record of an art therapy assis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cused on clay-work enriched self expression and emotions of Schizophrenia Patients by the medium of a characteristic of clay. Second, A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cused on clay-work made arouse a self-activity of Schizophrenia Patients through the plasticity of clay. Third, A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cused on clay-work built an ability of a communication and cultivated the team spirit of Schizophrenia Patients in group. Fourth, A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cused on clay-work made increase a positiveness and a flexibility of Schizophrenia Patients because of an active m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writer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it is essential to perform the art therapy program with a long-term sessions and a full of Schizophrenia Patient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e study about program. Second, it is expected that the art therapy for schizophrenia patients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onnect with a school, a public health center, and a day care clinic then expand as a family art therapy, a art therapy camp with Schizophrenia Patients. Third, it is essential to a resident art therapist and open studio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so that Schizophrenia Patients always work voluntarily whenever he want to work.

      • 혈액투석환자의 피로,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및 피로조절행위

        김애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정도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피로조절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피로를 조절, 대처하여 이차적인 피로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는 간호중재의 개발을 위해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1개 대학병원과 경기도내 1개 투석전문의원에 내원하여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로 연구목적에 동의한 169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4월26일에서 5월12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6문항, 질병 관련 특성 4문항, 피로 측정도구 (Lee등, 1991) 14문항, 자기효능감 측정도구(김주현, 1995) 9문항, 가족지지 측정도구(강현숙, 1984) 16문항, 피로조절행위 측정도구(권영은, 1997)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한 Cronbach's α는 피로 .91, 자기효능 .80, 가족지지 .94, 피로조절행위 .84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Window 14.0 Program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ANOVA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Duncan의 사후분석을 통해서 집단 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피로정도는 평균 69.84로 중간정도의 피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교육정도(F=6.184,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병 관련 특성 중 원인질병 (F=5.438, p=.001) 합병증유무(t=2.347, 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가 지각하는 자기효능감 정도는 평균 25.46점으로 중간이상의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배우자 (t=2.345, p=.020)에 따라, 질병 관련 특성 중 원인질병(F=3.399,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 정도는 평균 62.61점으로 중간이상의 가족지지를 나타냈고 일반적 특성 중 배우자 유무(t=4.609, p=.000), 교육정도(F=9.935, p=.000), 경제상태(F=5.06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피로조절행위 빈도수는 평균 9.01개이고 피로조절행위 효율성은 평균 24.72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피로조절행위는 일반적 특성 중 교육정도(F=3.588, p=.030), 경제상태(F=2.968, p=.03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피로조절행위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피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피로조절행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피로는 가족지지(r=-.405, p=.000), 자기효능감(r=-.354, p=.000)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는 자기효능감(r=.822, p=.000), 피로조절행위(r=.300, p=.000)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피로조절행위(r=.218, p=.004)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피로정도가 높아도 피로조절행위는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실무측면에서 건강 간호제공자들에게 피로가 혈액투석환자의 중요한 간호문제임을 재인식 하도록 강조하고 혈액투석환자들의 피로조절 행위면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지지,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 증진이 환자의 건강상태와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피로조절행위를 증진시키고 결과적으로 피로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따라서 투석실 간호사는 혈액투석환자가 피로조절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한 방법으로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을 증진 시키는 방안을 간호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fatigue-regulation behavior in Hemodialysis (HD) pati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69 patients on hemodialysis who were registered in one university hospital and one hemodialysis clinic in Seoul and Kyeonggi-Do.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6, 2007 to May. 12, 2007.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Visual Analog Scale-fatigue (Lee et al., 1991), Self-Efficacy Scale(Kim, 1995), Family Support Scale(Gang, 1984), and the Fatigue-Regulation Behavior Scale(Kwon, 199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dow 14.0 Program that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Duncan's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fatigue was 69.84 which means their experience of mid-level fatigue,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and illness characteristics affecting fatigue found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s(F=6.184, p=.003), complication(t=2.347, p=.020), and primary disease(F=5.438, p=.001) 2. The mean of self-efficacy was 25.46.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and illness characteristics affecting self-efficacy found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pouse(t=2.345, p=.020) and primary disease(F=3.399, p=.019). 3. The mean of family support was 62.61.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and illness characteristics affecting family support found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pouses(t=4.609, p=.000), educational levels(F=9.935, p=.000), and economic conditions(F=5.064, p=.002) 4. Frequency of the fatigue-regulation behavior and the mean of efficiency of the fatigue-regulation behavior was 9.01 and 24.72.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and illness characteristics affecting fatigue-regulation behavior found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s(F=3.588, p=.030) and economic conditions(F=2.968, p=.034). 5.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tigue and family support (r=-.405, p=.000).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tigue and self-efficacy(r=-.354, p=.000).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r=.822, p=.000).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mily support and fatigue-regulation behavior(r=.300, p=.000). In addition,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efficacy and fatigue-regulation behavior(r=.218, p=.004).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emphasizes for the healthcare providers to recognize fatigue as the important nursing issue for HD patients, in nursing practices, and makes the active role of HD patients' fatigue-regulation behavior supported and reinforced.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of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in fatigue interventions for HD patients makes their fatigue controlled and measured, which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in developing the nursing interventions capable of preventing fatigue from going to the secondary fati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