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原三國後期 嶺南地域과 京畿·忠淸地域 鐵矛의 交流樣相

        김새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경기·충청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원삼국기 철기의 출토양이 적은 편이다. 그러나 최근 이 지역 발굴조사의 증가로 인하여 원삼국기의 유적양상이 확연히 늘어나면서 이와 連動하여 철기자료도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철기가 특히 原三國後期 영남지역의 것과 닮아있다는 것이다. 즉 적어도 원삼국후기에 이르면 양 지역 간에는 어떠한 형태의 交流 network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른 철기에 비해 비교적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형태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각각의 형식별로 공간성을 내포할 뿐 만 아니라 교류품목 중에서 수량이 비교적 많아 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는 鐵矛를 통해 영남지역과 경기·충청지역 간 交流樣相을 검토해보았다. 먼저 각 철모의 형식분류를 실시하여 총 6가지의 형식분류안을 도출해내었으며, 그 후 유구 내에서 각 철모의 組合關係를 검토하였다. 시간적 변화에 관계없이 철모의 각 형식별 특징을 검토한 결과, Ⅰ식 철모 단독으로 확인되는 경우, Ⅰ식 철모와 Ⅱa식 철모가 공반되는 경우, Ⅱa식 철모 단독으로 확인되는 경우, Ⅱa식 철모와 Ⅳ식 철모가 공반되는 경우, Ⅱb식 철모가 단독으로 확인되는 경우, Ⅱb식 철모와 Ⅲb식 철모가 공반되는 경우, Ⅲa식 철모 단독으로 확인되는 경우 등 철모의 부장에 있어서 총 7가지의 조합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철모의 각 형식별 조합관계는 시기별 혹은 지역별로 서로 相異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계설정에 기준이 되었다. 다음으로 영남지역 철모의 변천과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본 후 경기·충청지역 철모의 변천과 그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왜냐하면 영남지역의 경우 경기·충청지역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編年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먼저 이를 검토한 다음, 이를 토대로 경기·충청지역 철모의 편년안을 再設定하기 위함이다. 영남지역 철모의 변천과정을 살펴본 결과, 경기·충청지역과 철모의 교류가 발생한 시점은 영남 Ⅲ-2단계와 경기·충청 A단계부터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후 영남 Ⅳ단계와 경기·충청 B단계를 기점으로 경기 충청지역에서 해당 유구와 철모의 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 시기 철모의 生産地에 관해서는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상황으로 볼 때 周溝土壙墓와 墳丘墓 圈域에서 철모가 初出하는 시기에는 토기 등 다양한 물품과 함께 영남에서 생산된 完製品의 철모가 流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후 단계는 영남지역에서 생산된 완제품의 철모가 유입되었는지, 아니면 영남지역 철모의 형식이 動因으로 작용하여 이 지역에서 自體製作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기원후 2세기 중반부터 3세기 후반에 걸쳐 철모를 포함한 철제무기에 대한 양 지역 간의 某種의 교류가 있었다는 것이다. 영남 Ⅴ단계와 경기·충청 C단계에 접어들면서 영남지역에서 지역 간 철모의 型式分化와 取扱方法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며, 이와 連動하여 경기·충청지역에서도 이러한 분화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영남지역의 경우 경주 중심의 洛東江 以東地域은 Ⅱb식 철모와 Ⅲb식 철모가 供伴되는 양상이지만, 김해 중심의 洛東江 以西地域은 Ⅲa식 철모가 單獨으로 확인된다. 경기·충청지역은 김포 양곡리 1호 주구토광묘의 경우만 유일하게 Ⅱb식 철모와 Ⅲb식 철모가 공반되지만, 천안-아산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Ⅲa식 철모가 단독으로 부장되었다. 이는 영남지역과 경기·충청지역 간 철모의 교류에 있어 中心이 辰韓에서 弁韓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하며, 경주와 같은 양상의 철모를 보이는 김포 양곡리의 경우는 천안-아산과의 관계없이 여전히 辰韓과의 關係를 固守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상에서 검토한 바를 바탕으로 Ⅴ장에서는 原三國後期 철모의 교류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경기·충청지역에서 영남지역과 同 型式의 철모가 부장되는 것은 周溝土壙墓와 墳丘墓에 한한다. 경기·충청지역에서는 漢城百濟成立을 전후한 시기에 각 지역별로 주구토광묘, 분구묘, 積石墳丘墓, 土壙木棺(槨)墓 등 다양한 묘제가 확인되는데, 이중에서도 특히 주구토광묘와 분구묘에서만 영남지역과 同 型式의 철모가 확인되는 것이다. 이는 기존에 馬韓이라는 하나의 동일한 영역으로만 인식되어 오던 이 지역이 지역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철모를 포함한 영남지역과의 교류와 경기·충청지역 내 철기의 生産·流通體系에 있어서 다른 방법이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특히 철모가 확인되는 유적 중에서 김포 운양동과 서산 예천동의 경우, B 단계의 철모가 부장될 뿐만 아니라 낙랑에서 禁輸物品으로 여겨지는 철제장검을 비롯하여 北方系 金製耳飾이 함께 확인되었다. 즉 영남과 낙랑의 유물이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게 부장된 것이다. 이는 아마도 김포 운양동 집단과 서산 예천동 집단은 Ⅱa식 철모가 출현하는 기원후 2세기 중·후반에 걸쳐 낙랑과 영남지역으로부터 同時多發的인 교류가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성장하였을 것으로 이해된다. 한강하류역과 그 일대 島嶼地域은 이전 시기부터 낙랑과 삼한 간 교역의 中心地로써의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영종도에서 재지계 삼각형점토대토기와 공반되어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로 편년되는 낙랑계토기와 오수전, 철경동촉 등 낙랑관련 유물이 확인된 것이다. 그런데 이후 경기·충청 B단계, 즉 기원후 2세기 중·후반에 이르면 영종도에서 주구토광묘가 조영되는 것이다. 이로 보아 漢江下流地域 특히 김포 운양동집단과 관계를 형성하였을 것이며, 영종도가 가지고 있던 地理的 特殊性을 운양동 집단이 주도하게 됨으로써 삼한과 낙랑 간 교역의 仲介로 인한 이득을 占有한 것으로 생각된다. 양 지역 간 교류양상은 철모의 시기적·공간적 변화로 보아 크게 2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Ⅰ期는 기원후 2세기 중·후반으로, Ⅱa식 철모가 도입되는 시점에 절정을 이룬다. 桓靈之末(기원후 146년~189년)의 상황은 後漢政權의 몰락으로 인한 漢의 낙랑군에 대한 통제력 위축을 가져왔으며, 결과적으로 삼한사회 내에서 낙랑중심의 지배질서가 약화되었을 것이다. 이와 연동하여 낙랑군 중심의 교역망이 동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 인하여 주구토광묘와 분구묘를 조영하는 개별집단은 교역망에 점차 개입하기 시작함으로써 영남지역과 同 型式의 철모를 비롯한 다량의 철제무기를 공급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遠距離 國際交易의 발생은 영향력있는 하나의 求心點으로 勸力集中의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영남지역의 경우 경주를 중심으로 신라가 성장하는데 원동력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Ⅱ期는 기원후 3세기 중·후엽경으로, 영남지역의 경우 경주 중심의 낙동강 이동지역은 Ⅱb식과 Ⅲb식이 공반되어 부장되는 양상을 보이며, 김해 중심의 낙동강 이서지역은 Ⅲa식이 단독으로 부장되는 등 철모의 需給과 流通體系에 있어 分化가 일어난다. 그런데 경기·충청지역에서 천안-아산을 중심으로 Ⅲa식 철모만을 부장하는 것이다. 이는 영남지역과 경기·충청지역 철모 교역이 辰韓에서 弁韓으로 轉換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原三國後期 영남지역과 경기·충청지역의 交流樣相에 대해 鐵矛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러나 양 지역 간 철모의 교류에 있어서 영남지역에서 생산된 완제품의 철모가 유입되었는지, 아니면 영남지역 철모의 형식이 動因으로 작용하여 경기·충청지역에서 自體製作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은 명확히 밝혀 내지 못해 과제로 남았다. 따라서 최근 경기·충청지역의 발굴이 활발히 이루어짐으로 인해 영남지역과의 철모 교류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던 만큼, 追後의 발굴상황을 통해 본 논문에서 해결되지 못한 문제가 밝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recently increasing excavation research in thos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remains of Proto Three Kingdoms Period increased remarkably and materials of ironware are also increasing rapidly in line with it. However, important thing is that these ironwares look similar, especially to the ones from Yeongnam region of the later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hat is, it is estimated that there should have been formed exchange networks in a certain style between these two regions by later Proto Three Kingdoms Period at the latest. Therefore, in this study, it examined the aspects of exchange between Yeongnam region and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through iron Spears, which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he analysis since the changes in the style over time are relatively obvious compared with other ironwares and, also it involves the spatiality by each style and accounts for relatively a good portion out of those exchanged items. As the results from examination of the changing process of iron Spears by each region, it was adjudged that the time when exchange of iron Spears occurred between these two regions was from the stage of Ⅲ-2 in Yeongnam region and the stage A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After that, it was understood that the relevant remains and q'ty of iron Spears increased explosively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from the stage of Ⅳ in Yeongnam and the stage of B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as the starting point. Regarding the producer of iron Spears in the same style between these two areas, in consideration of archeological situations up to now, there is a strong likelihood that the complete products of iron Spear produced in Yeongnam region flowed in the time when iron Spear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However, in the later stage, it was not able to make the definete conclusion whether iron Spears produced in Yeongnam region were flown into as the complete products or they were produced in this region independently as the style of Yeongnam region's iron Spear worked as a motiv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re should have been a certain kind of exchange between these two regions about iron weaponry including iron Spear through the mid of the second century A.D. to the late of the third century. Getting into the stage of Ⅴ in Yeongnam and the stage of C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in case of Yeongnam region, the aspect shows that the Ⅱb style iron Spear and the Ⅲb style iron Spear are found together in east of Nakdong River but the Ⅲa style iron Spear is only found in west of Nakdong River. However,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Ⅱb style iron Spear and Ⅲb style iron Spear are found together only in the case of the 1st pit tomb with ditch at Yanggokri Kimpo and in most of regions centering around Cheonan-Asan, the Ⅲa style iron Spear was buried alone. This is considered to mean that the center in exchange of iron Spears between Yeongnam region and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had been moved to Byeonhan from Jinhan. The burial of iron Spear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in the same style as the one of Yeongnam region is limited particularly to pit tombs with ditch and mound tombs only.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various types of tomb are found such as pit tomb with ditsch, mound tomb, stone-layered mound tomb, wooden coffin(chamber) in pit tomb and so on by each region in the period on or about the establishment of Hanseong period of Baekje and particularly, the same style of iron Spears as the one of Yeongnam region are found in pit tombs with ditch and mound tombs only. This is understood that there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some other methods in the system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ronwares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in addition to the exchange with Yeongnam reg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exchange between Yeongnam region and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in the lat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iron Spears. However, it was not able to find out definitely about the exchange of iron Spears between these two regions whether the exchange was made with the complete products of iron Spear produced in Yeongnam region or it was produced in Gyeonggi·Chungcheong Province region independently as the style of Yeongnam's iron Spears had worked as a motive, which remains still as a task.

      • 측방보행 훈련시 적용한 스쿼트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새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측방보행을 접목한 스쿼트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경과 전문의에 의해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환자를 30명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작위 배정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15명씩 분류하였다. 실험군은 측방보행을 접목한 스쿼트 훈련을 10개를 한 세트로 수행 후 5분 휴식하는 방법으로 3회 반복하고, 추가로 신경계 물리치료 30분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30분 시행하였다. 각 두 그룹에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바이오레스큐를 이용하였고, 보행 능력의 변화 확인을 위하여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10미터 걷기 검사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그룹 내 중재 전, 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대응 표본 t-검정을, 그룹 간 중재 전, 후 차이 비교를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중재 후의 실험군과 대조군 두 그룹 내의 균형 능력과 보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05), 두 그룹 간에 중재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에 유이한 차이를 보였다(p< .05) 이런 연구 결과는 측방보행 훈련 시 적용한 스쿼트가 뇌졸중 환자 균형과 보행능력을 개선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측방보행 훈련시 적용한 스쿼트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훈련을 위한 유용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쓰여 질 수 있을 것으로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s was to determine side gait with Squet training effects on the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Strok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30 patients with Stroke in a hospital, located in Daegu in South Korea.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randominizing calssified. Also they were divided in to the 2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and each groups, had 15 patient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neurological development tretment and side gait with squet training, and control group performend neuro development treatment only. Each group was participate in training for 6 weeks, 5 times per week The statisticaly analysis paired t-test was use to examine differences in within group and independents t-test was used by to examine differences in between groups after intervention. Both group showed balance and gait were significantly improvements(p<.05) in within group, and between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 test(p<.05). This results suppest that side gait with squet training is an intervention method that improves balance and gait of the patients with Stroke. Therefore side gait with squet training seems to be useful as an arbitration programs in patients with Stroke.

      • 여성들의 유튜브 뷰티콘텐츠의 특성에 따른 만족이 외모관리행동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새봄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과 만족도, 외모관리행동 및 지속이용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의 경우, 유튜브 뷰티콘텐츠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여성 5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과 만족도, 외모관리행동 및 지속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의 모든 하위 요인은 만족도, 지속이용의도, 외모관리행동과 모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외모관리행동의 모든 하위 요인은 만족도, 지속이용의도와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본 결과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 정보성(=.159, p<.001), 오락성(=.339, p<.001), 상호작용성(=.092, p<.01), 신뢰성(=.327, p<.001)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튜브 뷰티콘텐츠 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튜브 뷰티콘텐츠 만족도(p<.001)는 피부 관리 행동, 메이크업 행동, 네일아트 행동, 헤어관리 행동, 체형관리 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튜브 뷰티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본 결과 유튜브 뷰티콘텐츠 만족도(=.742, p<.001)는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이 유튜브 뷰티콘텐츠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 정보성(=.223, p<.001), 오락성(=.316, p<.001), 신뢰성(=.315, p<.001)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고, 이에 따른 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 및 유튜브 뷰티콘텐츠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유튜브 뷰티콘텐츠 특성이 높을수록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고 나왔으며,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속이용의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튜브 뷰티콘텐츠는 단순히 뷰티 관련 정보를 제공 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하며,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신뢰성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유튜브 뷰티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왔으므로, 유튜브 뷰티콘텐츠가 현재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의 대상자들로 선정하고, 트렌드의 변화가 빠른 유튜브의 특성을 고려해 요인을 추가적으로 탐색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 분야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뷰티산업의 발전 방향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verify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satisfacti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534 women who watched beauty contents on YouTube before.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satisfacti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ll sub-factors of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while all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ere in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p<.001). In addi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Second,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on satisfaction was verified. In sub-factors of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informativeness (β=.159, p<.001), entertainment (β=.339, p<.001), interactivity (β=.092, p<.01) and reliability (β=.327, p<.001)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beauty contents on YouTub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examined. Specifically, satisfaction with beauty contents on YouTube (p<.001) had a positive effect on skincare behavior, makeup behavior, nail-art behavior, hair-care behavior and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ourth,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beauty contents on YouTub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was investigated. Specifically, satisfaction with beauty contents on YouTube (β=.742, p<.001)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had an influen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results above show that in sub-factors of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informativeness (β=.223, p<.001), entertainment (β=.316, p<.001) and reliability (β=.315, p<.001)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and analyz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those content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ntention to keep using them. As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contents on YouTube increased, satisfaction with them improved. Then, satisfaction with such contents increased, intention to keep using them was also high. Therefore, beauty contents on YouTube need to be fun and interesting, more than just providing beauty-related information.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reliable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as satisfaction with beauty contents on YouTube increase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ecomes more popular. In other words, such contents currently have a big influence on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future studies, there is a necess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by selecting subjects with broader region and age ranges and exploring more factors in consideration of quick-chang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content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 '사실검증(fact-checking)' 에서의 '진실(truth)'에 관하여 : <Politifact.com>, <The Fact Checker>, <Factcheck.org> 비교연구

        김새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사실검증 시스템인 <Politifact.com>, <The Fact Checker>, <Factcheck.org>을 대상으로, 사실검증이 진실 접근을 막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는 정파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한국에서 실천이 가능한, 이상적인 사실검증 시스템 및 형태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실검증이 진실에 다가가기 위하여 높은 윤리적 기준을 갖출 것이 요구되며, 사실검증이 정파성을 갖고 있을 경우 사실검증의 수행과정에 그것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과 함께 출발한다. 결론적으로 <Politifact.com>과 <The Fact Checker>는 각각 상대적인 정파성의 논리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Politifact.com>이 민주당과 오바마에 유리한 검증을 시행하는 반면, <The Fact Checker>는 비교적 공화당과 롬니에 유리한 검증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Factcheck.org>는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정파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정파성의 발견은 상대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어느 것이 진실에 가깝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또한 정파성을 초래하는 요인들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결과의 도출은 참여관찰 혹은 심층인터뷰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사실검증 시스템이 각기 다른 입장에서 사실검증을 수행하고 있으며 수차례 진실보다는 정파적인 태도가 드러나는 검증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실검증 역시 대상을 선정하고, 각자의 논리에 따라 이야기를 서술하여 주관적인 판정 결과를 내린다는 점에서 기존 언론의 보도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실검증을 표방한다는 점에서 그것은 기존 언론이 갖는 신뢰성과 책임 이상의 것을 갖출 것이 기대된다. 사실검증이 주관적인 해석이 결합된 존재로 전락한다면 사실검증의 존재 명분을 퇴색시킬 것이다. <Politifact.com>과 <The Fact Checker>의 경우 언론사를 기반으로 한 사실검증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대학을 기반에 두고 있는 <Factcheck.org>와 차별된다. 앞의 두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정파적 태도를 보인다는 점에서 사실검증 시스템의 뿌리가 정파성을 지닌 언론사에 있다는 것은 위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파적 태도를 지닌 기관으로부터 독립된 사실검증 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관적으로 흐르기 쉬운 논리구조와 판정에 의한 비판을 피하기 위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수치화된 구조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truth' seen in the reports of the major U.S. fact-checkers - <Politifact.com>, <The Fact Checker> and <Factcheck.org>. Further it develops to propose an ideal fact-checking system and its form in Korea. The study begins with such assumptions as: first of all, the fact-checker demands a higher standard of work ethics and provisions pursuing the possible 'truth', just as a judge does in the court; and secondly, political partisanship of each fact-checker may be a cause affecting their performances unless it be the case. It is found in this comparative study that major fact-checkers have somewhat different positions in selecting, checking, and evaluating the facts. Overall, <Politifact.com> shows a favoritism for Obama and the Democrats. <The Fact Checker>, on the other hand, tends to favor Romney and Republicans. <Factcheck.org> shows a less political partisanship than others. No clear evidence is provided in this study explicating whether each fact-checker's political partisanship explains the absolute validity of their utterance, which is about the 'truth'. Different positions and inclinations seen in their fact-checking reporting, however, proves that the fact-checkers do not always tell the truth, and they are more often than not partisan. Having som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U.S. fact-checkers or field observations added to this study, it could have been more precisely explained. It proposes that an independent body of fact-checking system in terms of its financial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a detailed manual of fact-checking performances and reports is demanded. Keywords: fact-checking system, fact, truth, partisanship, journalism, <Politifact.com>, <The Fact Checker>, <Factcheck.org>

      • 사회적 배제 변화가 노인의 건강변화와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김새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배제와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빈곤 상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 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7차(2012년)에서 14차(2019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 3,03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크게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의 두 종단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노인의 사회적 배제 변화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구축하여 빈곤 여부에 따른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SPSS 25.0과 Mplus 8.0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노인의 사회적 배제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경제, 주거, 사회활동 배제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관계 배제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은 점차 악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노년 초기의 사회활동 배제 수준이 노년기 삶에 지속해서 영향을 미쳐 노인집단 내 주관적 건강 및 우울 수준의 격차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년 초기의 경제, 사회적 관계 배제 수준이 노년기 우울 수준의 격차를 유발하는 원인임이 확인되었고, 이로써 축적된 불평등 이론이 지지되었다. 셋째, 경제적 배제, 주거배제, 사회활동 배제, 사회적 관계 배제가 큰 폭으로 감소할수록 주관적 건강의 감소 폭이 줄어들고, 우울의 증가 폭 역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건강상태의 종단적 변화양상이 빈곤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한 결과,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집단 간 건강격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좁혀져 수렴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우울의 경우, 두 집단의 우울 수준 격차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여, 상태 유지이론을 지지하였다. 다섯째,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사회적 관계 배제 변화가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 간 다른 양상을 보였고, 특히 이러한 관계는 빈곤 노인집단에서 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 배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빈곤 여부의 효과는 경제적 배제, 사회적 관계 배제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제적 배제 초기수준이 우울의 초기수준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 간 차이를 보였고, 빈곤 노인집단에서 더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관계 배제 초기수준과 변화 정도가 노년기 우울의 초기수준과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 역시 빈곤 노인에게 더욱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배제, 건강과 관련한 그동안의 연구에서 주로 횡단적 접근으로 이루어졌던 한계를 보완하고, 사회적 배제 변화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의 변화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빈곤 노인과 비빈곤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의 변화양상을 비교하고, 사회적 배제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의 관계에서 빈곤 상태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두 집단의 건강불평등 추이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노년기 건강격차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배제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노년기 건강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개입과 중재의 시기,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더불어 노년기 건강불평등 이론의 검증과 노년기 건강불평등 발생에 더욱 취약한 집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차원에서의 방안을 제언하였고, 이는 노인들이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UCC활성화에 따른 디지털캠코더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김새봄 中央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가 UCC와 더불어 황금기를 맞이한 이 때, 효율적인 UCC제작을 위한 도구적인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디지털 캠코더의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형태를 분석하여 그 문제를 인식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으로 디지털 캠코더 시장에서 머지않아 1인 1캠코더 시대가 도래 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지만, 각각 자사에서 제작한 추가 기능으로서의 업로더나 편집기능 등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캠코더 이용 시에도 혼란을 가져오며, 결국에는 UCC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렇게 동영상 UCC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 커질수록 개인들은 영상 컨텐츠 제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영상물을 제작하기 위해 노력하게 될 것이다. 디지털 캠코더의 동영상 제작은 사용자의 손쉬운 접근을 의도하는 기술적인 부분 이외에도 사용성, 친밀성 등의 디자인적 부분을 포함한 다양한 관련요구가 요구되는 분야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동영상 촬영 시 실제 사용자들이 경험하면서 느끼게 되는 UI(User Interface) 디자인의 문제점은 활발한 UCC제작의 가장 큰 장애가 된다고 할 수 있겠다. 사용자가 실제 UCC 활동을 하기 위해서 계속 불편한 업로드 과정이나 촬영 및 편집과정을 겪게 된다면 이러한 어려움과 불만족은 곧 디지털 캠코더의 사용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CC 활성화 현상에 따른 디지털캠코더 제조업체들은 어떤 전략과 형태로서 UCC제작환경에 대한 대응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UCC제작에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이 제품에 어떤 형태로 적용되어 개발되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UCC제작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디지털 캠코더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파악하려 한다. 이에 다양한 디지털 캠코더의 제조사 중 해외의 소니, 산요, 캐논과 국내의 삼성전자의 2007년 중반기 제품들을 비교모델로 선정하여 그 형태를 분석하여 디지털 캠코더의 생리ㆍ형태적 인터페이스 요소인 무게, 크기, 조작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접 테스트 방법으로 수행측정(performance measure)을 시행하여 앞서 연구한 디지털 캠코더의 사용성과 관련하여 추출된 요소들을 디지털 캠코더의 사용성에 적용하여, 기기의 조작성, 부가기능의 활용에 관한 5가지 임무별 테스트를 진행 한 후, 임무수행에 있어 오류를 범하는 행동적 특성을 평가하여 결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이러한 디지털 캠코더의 사용성의 문제점을 찾고 그 문제를 인식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at a golden time of multimedia with UCC to find out problems of digital camcorder interface, the typical tool for effective UCC production by analyzing its form. It's expected that a time of a camcorder per person would arrive soon due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digital camcorder market, but uploader or editorial function which are made by each camcorder manufacturer as the additional functions, trouble the users, and the worse thing is they confuse the users when they use camcorder which might be led to the effect of obstruction factors of UCC revitalization. As the users interest in video UCC is enlarged, individual users would try to produce audio-visual material with fresh ideas with raised interest in video content production. Digital camcorder video production is the field requiring various parts including design of usability, friendliness etc as well as the technical part of easy accessibility of users. And among those matters, especially, the problem of UI(User Interface) design which actual users experiencing might be the biggest obstacle to active UCC production. Should the users go through continual unhandy upload procedure, shooting, editorial process to do actual UCC activities, such difficulties and dissatisfaction would impede digital camcorder usability. Thus, we try to find out that with what strategies and forms those digital camcorder manufacturers corresponding to such UCC revitalization condition, and analyze with what forms those various factors related with UCC production are applied and developed, and then standing on it, we are to grasp the problems of digital camcorder interface closely related with UCC production. Consequently, among various digital camcorder manufacturers, we selected the products of the middle of 2007 manufactured by Sonny, Sanyo, Cannon of overseas and Samsung of Korea as comparative models and then analyzed their forms to find out the digital camcorder' physiological, structural interface factors, that is, the weight, size, maneuverability. And we carried out performance measure as a direct test method and then applied those sampling factors relevant to previously studied usability of digital camcoder to digital camcorder usability and made progress five tests by function related to the use of manufacturers, additional function of the instruments which step is followed by the evaluat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 occurring errs in functioning and then analyzed its results to find out the problems in usability of such digital camcorder.

      • 에코패션디자인의 유형체계와 조형적 특성

        김새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and systemize eco-fashion design types on the basis of the fundamental examination and understanding of ecological environ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recent eco-fashion designs on websites. For such purpose, from 2006 to 2010, 1185 pictures were collected from 12 eco-fashion brands in the websit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design characteristics. The content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will b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four eco-fashion types, namely, Natural Ecology Design, Human Ecology Design, Social Ecology Design, Human-Natural Ecology Design, Social-Natural Ecology Design, Human-Social Ecology Design, and Human-Social-Natural Ecology Design. Second, an analysis of eco-fashion characteristics by type revealed that the natural ecology design is characterized by close relations with comfortable and natural silhouettes, natural fibers, and elastic materials. The human-natural ecology design was characterized by comfortable-to-wear and function-oriented materials. The social-natural ecology design was characterized by comfortable -to-wear and natural silhouettes, colors of pure and clean images, and functional and new materials. The human-social-natural design was characterized by diverse types, natural colors and colors insensitive to vogue, eco-friendly regenerative materials, technical new materials, and bio fibers. Third, the eco-fashion design images by type are characterized by eight images of natural, modern, retro, folklore, vintage, classic, sportive, multiple and complex features. Fourth, the symbolic value of eco-fashion was characterized by pure, eco-friendly, functional, correlative, and continuous features. A follow-up study should expand its research areas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local eco-fashion brands.

      •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미술수업방안 연구 : 학령기 아동을 중심으로

        김새봄 홍익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아동의 사고의 확대와 정서적 발달을 위해서는 경험이 필요하다. 경험은 직접적인 활동과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간접경험의 비중을 크게 차지하는 것이 텍스트를 읽고 이미지를 보는 시각적 작용이라 할 수 있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어우러진 책이며 이야기를 담아내는 것에 대해 제한이 없는 매체라고 할 수 있다. 학령기 아동과 그림책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해석의 지표가 넓어지는 중요한 과정에서 아동은 수많은 그림책들을 보면서 성장한다.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은 표현양식과 표현매체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활용매체의 범위가 넓고 다양하여 미술교육활동에 효과적인 교육매체이다. 제 Ⅱ장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정의와 분류에서 더 나아가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이해를 위해 정의를 살펴보고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양식을 분류하여 보고 아동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형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표현매체를 정리함으로써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매체의 특성과 예시를 제시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학령기 아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후기의 범위 설정과 인지발달의 과정, 미술표현의 발달단계, 심리 사회적 행동단계 등으로 조명하여 알아보았고 덧붙여 그림책과 아동의 연계성 및 미술교육적인 효과성에 대해 연결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각국을 대표할 수 있는 특성과 감성을 지닌 작가들의 생각과 작품사례들을 접하면서 아동을 위해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며 자신 안에 있는 아동기적인 감성을 끌어올리려는 작가들의 열정과 사랑을 볼 수 있었다. 제 Ⅴ장에서는 그림책을 활용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학습 모형들은 각각의 주안점이 비평 감상, 색채 활용, 통합적 접근등으로 나뉘어져 연구된 점을 찾을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를 적용하여 학령기 아동과 함께 그림책으로 미술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림책을 보며 자신의 이야기를 대입하거나 새로운 구성을 하는 아동의 미술활동을 통해 그림책활용이 미술수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효과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미술교육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방과 후 공부방 지역아동센터의 미술수업에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지역아동센터는 방과 후 학령기 아동 중심의 공부방운영체제를 가진 아동복지기관이다. 이 곳 에는 다양한 그림책들이 그 어떤 미술수업 활용 재료 보다 많이 즐비 되어 있다. 때문에 아동과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적용 수업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현장이며 이를 통해 아동에게 미술수업시간에 그림책을 활용하여 기법배우기, 내용 익히기, 재해석의 과정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을 함으로써 그림을 이해하고 기법을 배우며 아동이 그림의 주체적인 해석자가 되어 본인의 이야기로 풀어나가는 시간을 가져보며 아동이 바라보는 그림의 시각과 생각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미술교육의 관점으로 그림책을 활용하여 학령기 아동에게 효과적으로 교육 방안을 적용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Children develop their emotion and think by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s. Among experiences, reading books and watching images are included in indirect experience. Picture books are composed of illustrations and stories. Because the picture books provide children indirect experiences which render them to expand their think, Picture books are important to elementary children. Therefore, the illustrations in picture books cannot only be utilized in art class and but also contribute to quality of art class. In chapter 2, basic concepts of illustration and picture book illustration are studied and styles of picture book illustration are categorized, then formative elements which can influence children are studied.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media in picture book are presented as well. In chapter 3, cognitive development, expression development through art, and psychosocial behavior development of elementary children are investigated then association among picture books, effective art education, and elementary children are also studied. In chapter 4, famous picture book authors’ passion and love for children in their books is presented. In chapter 5, models for effective learning from picture book are applied to the actual art classes. Through classes in which children reorganizes the picture book by projecting their stories, children participated the class better. The positive potential of picture book in art class is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pplication of picture book illustration to art education and apply the method to after school art class at local children center. The center is a children welfare facility which has after school study systems for elementary children. This center can provide children chances to learn art illustration because the center has plenty of picture book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w picture books influence on view point and think change on pictures through projecting their stories to picture books.

      • 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김새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elderly to find social participation effects on life satisfactions and check those b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so it is to give a point of view in social participations of the elderly to lift their life satisfactions and to relieve depression which is a crucial issue on mental health.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elderly people age over 65 in the senior welfare service centers and senior clubs, located in Busan for April 2016. The analysis of data from the survey was constructed by the statistics program, IBM SPSS Statistics 18.0, using the measures of Analyze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t-test, ANOVA, Correlation, Regression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No.1 is supported that has difference among the number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 level of depression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by the type of social participatio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elderly employment programs). That is,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show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s than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lso that programs show more high level of depression. Second, it is found the Hypothesis No.2 that social participations of elderly people can decrease depression. That is, the more elderly people participate to social activities, the lower their depression gets. Third, the Hypothesis No.3 is supported that social participations of the elderly mak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higher. In other words, elderly people show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s if they have more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ties. Fourth, the finding of the Hypothesis No.4 is investigated by supporting that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decreases the level of their life satisfactions. The depressed feeling has negative influenc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therefore, those will become lower as the elderly people feel depressed higher. Lastly, the Hypothesis No.5 shows as reliable as that the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s take effects on depression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thus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rrel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is mediated by the depression. By way of explanation, the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s not only give a 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s, but also influence indirectly on its satisfactions with negative relation in depression, being a partial mediation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