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녀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학교적응기대가 자녀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01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학교적응기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유치원의 만5세 유아와 그 어머니 25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척도, 학교적응기대 척도, 학교준비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학교적응기대, 학교준비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아와 여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학교적응기대, 학교준비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별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교준비도에 부적 영향, 학교적응기대에는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의 설명력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돕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학교적응기대를 이해하는데 남아와 여아의 영향력의 차이가 남을 밝히고 있으므로 유아의 성별에 따라 부모 양육방법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준비도에 관한 유용한 자료를 확보하여 적절한 부모교육이나 상담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학교적응기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학교적응기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유치원의 만5세 유아와 그 어머니 25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척도, 학교적응기대 척도, 학교준비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학교적응기대, 학교준비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아와 여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학교적응기대, 학교준비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별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교준비도에 부적 영향, 학교적응기대에는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의 설명력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돕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학교적응기대를 이해하는데 남아와 여아의 영향력의 차이가 남을 밝히고 있으므로 유아의 성별에 따라 부모 양육방법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준비도에 관한 유용한 자료를 확보하여 적절한 부모교육이나 상담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expectation of child’s school adaptation, and inquire into the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school readines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y gender.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20 infants aged 5 enrolled in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ir mothers using scales of parenting stress,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readiness.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s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readiness differed by gender. Seco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males and females,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readiness al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hich differed by gender.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chool readiness, whereas expectation of child’s school adaptation exerts a positive effect, and explanation power toward females was much greater. This study presented basis that parents’ parenting methods need to vary according to the gender of preschool children as this study verifies that influence on males and females differ in understand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o help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This study is also considered significant in the way that results of this study are capable of suggesting appropriate parent education or counseling materials by securing useful materials on school readin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expectation of child’s school adaptation, and inquire into the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school readiness focusing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expectation of child’s school adaptation, and inquire into the effect of variables affecting school readines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y gender.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20 infants aged 5 enrolled in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ir mothers using scales of parenting stress,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readiness.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s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readiness differed by gender. Seco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males and females,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readiness al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hich differed by gender.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chool readiness, whereas expectation of child’s school adaptation exerts a positive effect, and explanation power toward females was much greater. This study presented basis that parents’ parenting methods need to vary according to the gender of preschool children as this study verifies that influence on males and females differ in understand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o help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This study is also considered significant in the way that results of this study are capable of suggesting appropriate parent education or counseling materials by securing useful materials on school readi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순진, "한국형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광주시 학령전기 아동을 둔 부모님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8

      2 이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1

      3 조성연,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가정환경(HOME)과 성격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03-111, 2002

      4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개발 및 학교준비도와 관련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관련변인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37-54, 2010

      6 이진숙,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333-358, 2004

      7 방소영,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8 신호정, "취학 전 유아를 둔 어머니의 자녀 학교적응기대와 부모 효능감 및 자녀 유능감 평가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재순, "초등학생 학교적응척도의 타당화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10 정우정, "초등학교 입학 아동의 학교 적응에 대한 학부모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 정순진, "한국형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광주시 학령전기 아동을 둔 부모님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8

      2 이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1

      3 조성연, "학령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가정환경(HOME)과 성격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03-111, 2002

      4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개발 및 학교준비도와 관련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관련변인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37-54, 2010

      6 이진숙,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333-358, 2004

      7 방소영,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8 신호정, "취학 전 유아를 둔 어머니의 자녀 학교적응기대와 부모 효능감 및 자녀 유능감 평가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재순, "초등학생 학교적응척도의 타당화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10 정우정, "초등학교 입학 아동의 학교 적응에 대한 학부모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박효정,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안효진, "초등 예비 학부모의 교육자적 양육행동과자녀의 학교적응에 대한 기대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생애학회 3 (3): 45-58, 2013

      13 권정윤,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문제행동"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1-30, 2007

      14 강한나,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 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51 (51): 613-622, 2013

      15 송진숙,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을 예언하는 부모양육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535-546, 2007

      16 김순희, "유아의 출생순위와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기대와 교육수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7 이정숙,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3 (3): 1-17, 2008

      18 정은혜,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9 김은숙, "유아의 성별과 놀이성 및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1) : 91-110, 2013

      20 안지영, "유아기 자녀의 조기교육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신념, 양육 스트레스 및 성취 압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1 (41): 95-111, 2003

      21 홍정희, "유아기 자녀 행동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기대와 역할수행정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2 박진아,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계 관련 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43-56, 2011

      23 정대현, "유아 의 또래 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01-221, 2006

      24 김문신, "어머니의 정서 표현과 정서 표현 수용 태도가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5 김미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생활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정서적 적응행동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6 조안나,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의 관계: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유아의 성별을 중심으로" 대한아동복지학회 10 (10): 1-21, 2012

      27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28 박영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양육행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9 권연희,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아동의 정서성 및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01-216, 2005

      30 정정란, "부모기대 관련변인과 유아발달과의 관계 : P-P-C모형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31 최인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611-628, 2007

      32 박경자, "문제 해결을 위한 모-자 상호작용시 어머니 행동과 관련된 변인 : 결혼 만족도, 자녀양육 스트레스, 애착 안정성" 한국아동학회 23 (23): 53-70, 2002

      33 윤정순, "만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녀의 학교적응기대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4 강세미, "만3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2 (2): 5-22, 2007

      35 조숙경, "만 5세아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6 정영민, "만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탄력성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7 강현옥, "다문화가족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 및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433-459, 2013

      38 정해영,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277-297, 2011

      39 도미진, "다문화 가정 유아의 학교 준비도 수준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사이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29-48, 2011

      40 Michael Gurian, "남자아이의 뇌 여자아이의 뇌" 21세기북스 2012

      41 이빛나, "교사의 유아 성에 따른 특성 인식 및 지도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2 김효정,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성별 특성의 차이"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3 "고용노동부"

      44 임민택, "가정환경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5 최지현, "가정환경 변인 및 아동 개인특성이 취학전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1 (31): 113-124, 2010

      46 Baker, D., "The influence of mothers on academic expectations of young children : A lonitudinal study of how gender differences arise" 65 : 670-694, 1987

      47 Garner, P. W., "The association of emotion knowledg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reschool children’s school-related developmental competence" 29 (29): 89-100, 2008

      48 Crinic, K.,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54 : 209-217, 1990

      49 Stipek, D., "Learning-related behaviors and literacy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25 (25): 385-395, 2010

      50 이기우, "5세 조기취학 아동의 적응도 연구" 18 (18): 5-32,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