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Outdoor Play on Teacher-infant s Inter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2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 행복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 용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

      본 연구는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 행복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 용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을 알아보고,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지와 실외 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1월 7일∼1월 25일까지 3주간 걸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그릿, 행복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 302부를 분석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은 보통이상(M >3.0)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 행복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보육교사의 높은 그릿과 행복감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변인으로 판단되며,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이 높아지려면 실외놀이 에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을 높이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outdoor play. The proble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outdoor play. The proble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outdoor pla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among teachers in outdoor play,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outdoor play affects teacher-infant interactions. To achieve this goal, 350 child care teachers worked at daycare centers in Busan for three weeks from January 7 to January 25, 2019. Based on the prior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rit,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easures. Afterwards, 302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egrated correlation and multiple return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infant children in outdoor play were mediocre (M >3.0).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grit,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of child care teachers shown in outdoor play. Third, the grit and happin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shown in the outdoor play turned out to be a variable affecting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refore, the high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must be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he highest priority is to enhance the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outdoor play to increase teacher-infant intera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yubomirsky, S.,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지식노마드 2008

      2 임효진, "초등학생의 끈기(Grit),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업적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7 (47): 43-65, 2016

      3 장주희,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과 실외놀이 운영실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활동 실태 및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99-324, 2004

      5 정은경, "유치원 유아들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6 최내리,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31-163, 2014

      7 장혜순,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8 홍지영,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유아간 상호작용 실태와 유아교사가 들려주는 상호작용의 의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89-503, 2012

      10 이슬비,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셀프리더십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 Lyubomirsky, S.,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지식노마드 2008

      2 임효진, "초등학생의 끈기(Grit),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업적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7 (47): 43-65, 2016

      3 장주희,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과 실외놀이 운영실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활동 실태 및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99-324, 2004

      5 정은경, "유치원 유아들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6 최내리,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31-163, 2014

      7 장혜순,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8 홍지영,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유아간 상호작용 실태와 유아교사가 들려주는 상호작용의 의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89-503, 2012

      10 이슬비,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셀프리더십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1 모연례,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2 송민영,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73-295, 2017

      13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57-180, 2013

      14 김시연,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5 홍지명,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591-608, 2015

      16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17 장다희,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8 임은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9 박은정,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0 안정현,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1 류민영,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2 김병만,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169-192, 2016

      23 한미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237-257, 2018

      24 김은옥, "유아 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5 나현희, "영유아의 실외놀이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요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6 우경혜, "영유아 교사의 자아개념과 놀이 교수 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7 홍근민,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른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28 이정애, "영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영아 발달지식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9 이성아,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0 허윤정, "영아 실외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31 정다우리,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1) : 49-70, 2013

      32 정경란, "실외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가정에서 실외놀이 실행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3 이미용, "실외놀이 시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 수준 및 인식조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4 Wellhousen, K., "실외놀이" 시그마플러스 2003

      35 보건복지부,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서(40인 이상 보육시설)"

      36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37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38 박봉환,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6 (16): 1-24, 2017

      39 김주현,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 행복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0 손혜숙,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22 (22): 414-425, 2018

      41 이경희, "보육교사의 적성과 행복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2 신여울, "보육교사의 그릿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9 (39): 15-26, 2018

      43 김경화,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4 임옥희,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신념 및 효능감 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45 봉선화, "만 1세 영아의 실외놀이 경험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6 김미숙, "놀이의 이해와 지도. -출생에서 8세까지-" 박학사 2006

      47 최석란, "놀이와 유아발달" 양서원 2006

      48 신은수, "놀이와 유아교육" 학지사 2011

      49 황광원, "그릿(Grit)의 인성교육 적용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50 Duckworth, A. L., "그릿" 비즈니스북 2016

      51 박준수, "귀인피드백이 마인드셋(mindset), 그릿(grit), 자기조절력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2 배세은,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53 이기영,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54 홍회신, "교사-유아와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의 행복감"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55 김미래, "교사-유아상호작용과 교수효능감 및 교사 업무스트레스가 교사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57-76, 2018

      56 이혜련,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의 행복감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503-518, 2018

      57 김혜원,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8 유영란,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67-385, 2015

      59 이현경, "걸음마기 영아의 실외놀이 프로그램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60 이숙재, "개정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2

      61 이정화, "가정어린이집에서 실외놀이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62 Lyubomirsky, S.,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131 (131): 803-851, 2007

      63 Duckworth, A. L., "Self-discipline outdoes IQ in predicting academic performance of adolescents" 16 (16): 939-944, 2005

      64 Davies, M., "Outdoors : An important context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115 : 37-49, 1996

      65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66 Rogers, M. A. M., "Happiness and children's health: an investigation of art, entertainment, and recreation" 93 (93): 288-289, 2003

      67 Seligman, M. E. P., "Handbook of positive psycholgy, 2" 3-12, 2002

      68 Howes, C., "Determinants of toddlers' experience in day care: Age of entry and quality of setting" 14 (14): 140-151, 1985

      69 Diener, E.,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 Progress and opportunities" 31 : 103-157, 1994

      70 이주은, "2세 영아의 실외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