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88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For this purpose, we had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and utilized 438 students’ answers 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For this purpose, we had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and utilized 438 students’ answers excluding some mistakenly collected ones. As for the Two-Way ANOVA analysis, we had yielded coefficients among hope, ego-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and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hope, ego-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variable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as well as between grades. The main effect of gender was shown in academic stress, while the main effect of grade was not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interaction was significant. However, as for hope and ego-resilience, the gender, grade and interac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Second,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hope, ego-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found that hop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go- resilienc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tress. Also, ego-resil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tres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cademic stress, it had turned out that hope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stress while ego- resilience did have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it.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ego- resilience, optimism and vitality had negative influence, while curios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ad static influence. Ego-resilient adolescents while at the same time to inspire a sence of hope to help cope with academic stress on health so that you can grow in the deve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경남지역의 인문계 고등학생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희망척도, 자아탄력성...

      본 연구는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경남지역의 인문계 고등학생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희망척도, 자아탄력성척도, 학업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38명의 데이터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희망,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 자아탄력성, 학업 스트레스 변인에서 성별이나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 성별 주효과는 나타났지만 학년별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희망과 자아탄력성에 있어서는 성별과 학년별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 자아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은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 학업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각각 확인되었다.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희망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 중에서 낙관성과 활력성은 부적 영향을 미치며, 호기심과 대인관계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업스트레스에 건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희망감을 고취시키는 한편 자아탄력적인 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개입프로그램 개발에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은영, "희망이 성취동기, 학교적응,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최동옥, "희망에서 주도요인과 경로요인의 기능 : 성취가능성과 우울/불안 관련 정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

      3 Liz, H, "행복" 예담 2006

      4 한국브리태니커, "한국브리태니커백과사전" 한국브리태니커출판사 2004

      5 동아일보,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도 OECD 중 꼴찌.2009.05.09"

      6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7 김지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대처양식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김지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대처양식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김교헌,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113-126, 2005

      10 황혜정,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193-216, 2006

      1 장은영, "희망이 성취동기, 학교적응,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최동옥, "희망에서 주도요인과 경로요인의 기능 : 성취가능성과 우울/불안 관련 정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

      3 Liz, H, "행복" 예담 2006

      4 한국브리태니커, "한국브리태니커백과사전" 한국브리태니커출판사 2004

      5 동아일보,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도 OECD 중 꼴찌.2009.05.09"

      6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7 김지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대처양식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김지영,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대처양식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김교헌,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113-126, 2005

      10 황혜정,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193-216, 2006

      11 정미나, "청소년의 희망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73-299, 2011

      12 권경희, "청소년의 희망 측정도구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13 문영주,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있어 정서적 조절 능력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8 (38): 353-379, 2008

      14 이예승, "청소년의 학교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여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15 김택호, "청소년의 탄력성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학회 5 (5): 743-772, 2004

      16 윤혜미, "청소년의 위험행동 관련요인 : 심리정서적 특성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3 (23): 127-153, 2007

      17 장정현,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희망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8 (18): 101-116, 2010

      18 고재홍,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완충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185-212, 2007

      19 통계청,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율"

      20 홍영수,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9 (19): 125-149, 2005

      21 박새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희망감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22 김의철,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73-1002, 2004

      23 이경진,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667-685, 2004

      24 이순성,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의 종단적 추이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25 공재윤, "청소년 70%,성적 압박 느껴,자살 충동 원인 1위.2012.05.02"

      26 이윤주, "중학생의 자살위험요인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9 (9): 659-673, 2008

      27 김동원, "중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28 이건성, "정서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능력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29 이주원, "자아탄력성과 학업전략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상위인지전략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30 구자은,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1 이수기,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 상담의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2 박연수,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3 박서연,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7-32, 2010

      34 송은혜, "애착, 대처방식, 희망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6

      35 정소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아탄력성, 학업능력지각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4

      36 이쌍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30 (30): 85-113, 2011

      37 김현옥,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8 박영아, "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2 (32): 107-120, 2011

      39 김현희, "성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와 시험불안과의 관계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0 조한익,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65-87, 2009

      41 강희경,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대한가정학회 44 (44): 149-159, 2006

      42 장진아,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과정"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569-592, 2006

      43 오혜진, "부모애착, 친구애착, 희망과 청소년비행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44 이은미,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7 (7): 3-24, 2002

      4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국제기준대비 한국 청소년의 인권수준연구 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46 배병렬, "구조방정식 모델:이해와 활용" 대경 2000

      47 황여정,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지각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85-114, 2008

      48 조강래, "고3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원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증상과 대처방식 : 일반계 고등학생 남녀 비교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9 Diener, E., "Very happy people" 13 : 81-84, 2002

      50 Kaplan, H. B, "Toward an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 critical review of and models, In Resilience an development: Positive life adaptations" Kluwer Academic / Plenum 11-83, 1999

      51 Snyder, C. R.,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 of hope" 60 : 570-585, 1991

      52 Block, J. H.,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 organization of behavior, In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9-101, 1980

      53 Masten, A. 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53 : 205-220, 1998

      54 Emmons, R, "The Psychology of ultimate concerns" Guilford 1999

      55 Lee, M., "The Korean Examination hell: Long Hours of Studying, Stress, and Depression" 29 (29): 249-271, 2000

      56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57 Curry, M., "Role of hope in academic and sport achievement" 73 (73): 1257-1267, 1997

      58 Tugade, M. M.,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86 : 320-333, 2004

      59 Fine, S. B, "Resilience and human adaptability: Who rises adove adversity? 1990 Eleanor Clarke Slagle Lecture" 45 (45): 493-503, 1991

      60 Rutter, M,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 57 : 316-331, 1985

      61 Kumpfer, K. L., "Prevention Approaches to Enhance Resilience among High-Risk Youth: Comments on the Papers of Dishion & Connell and Greenberg" 1094 : 151-163, 2006

      62 Snyder, C. R., "Preferences of high-hope and low-hope people for self-referential on put" 12 : 807-823, 1998

      63 Edward, C. C, "Predicting suicide ideation in an adolescent population: Examining the role of social problem solving as a moderator and a mediator" 32 : 1279-1291, 2002

      64 Sheehan, G, "On stress, mental health, and religion" 7 : 149-, 1979

      65 Keyes, C. L. M,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th" 73 : 539-548, 2005

      66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 349-361, 1996

      67 Lopez, S. J., "Hope: Many definition, many measures, In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91-107, 2003

      68 Snyder, C. R, "Hope theory: Rainbows in the mind" 13 : 249-275, 2002

      69 Snyder, C. R., "Hope theory: A member of the positive psychology family, In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57-276, 2002

      70 Michael, S. T, "Hope conquers fear : Overcoming anxiety and panic attack, In Handbook of hope: Theory, measure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3-21, 2000

      71 Ong, A. D., "Hope as a source of resilience in later adulthood" 41 : 1263-1273, 2006

      72 Snyder, C. R, "Hope and optimism, In Encyclpopedia of human behavior" Academic Press 535-542, 1994

      73 Snyder, C. R., "Dr Seuss, the coping machine, and “Oh, the places you will go”, In Coping with stress: Effective people and process" Oxford University Press 3-19, 2001

      74 Lopez, S. J., "Degree- granting instit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sts with both diplomate and fellow status in counseling psychology" 84 (84): 969-972, 1999

      75 Klohnen, E,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70 (70): 1067-1079, 1996

      76 Hyun, M. Y., "A study on the adolescents' hope and mental health" 12 (12): 116-123,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2.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8 2.586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