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시간, 기억, 존재의 의미

        양승국(Yang Sungood)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14 東亞文化 Vol.52 No.-

        In order to understand television drama, the understanding of the medium properties of television should be determined first.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visual images in common with and different from films and different linguistic structures from plays. ‘Perception’ is associated with this understanding process in common. Here we focus on the perceptional problem of television drama. Temporality is one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drama in that characters live similarly to the passage of time perceived by viewers. Conversely, the time in television drama stops at a certain point of an indefinitely continued event. Then, the event and television drama are also forgotten. This is the meaning of everyday events and everydayness (Alltaglichkeit) of television. Time Consciousness is based on memory, and memory is innate human consciousness. Memory forms the present, and images are buried in the past. In other words, the ‘present’, a series of ‘now’, is formed by the recurrent memories. Thus, television drama can be described as a form of memory based on temporality, and the important property of television drama is that these memories are closely related to television viewers’ Alltäglichkeit. Television is a window to see the world and a mirror to see ourselves. Viewers perceive the world provided by television as their own ‘environment (Umwelt)’ and recognize their existence while constantly recalling memory through this world. A character in television drama is not non-being of visual images but ‘there being (Da-Sein)’ with ourselves. Viewers as Da-Sein are involved in Da-Sein and Umwelt in television drama. Viewers expand their Umwelt together with Da-Sein in television drama and exist ‘there (Da)’ as existents between birth and death. The temporality of this Umwelt, general existence of ‘Being-in-the-world (In-der-Welt-sein)’, is Alltäglichkeit. Characters in television drama and viewers exist as Da-Sein of ‘In-der-Welt-Sein’ ‘together’. Television drama exists as this existence.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시민(성)

        박노현(Park, Noh-Hy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5

        텔레비전은 어원이 시사하듯 ‘멀리’에서 ‘보는’ 미디어이다. 당연히 텔레비전의 시청은 전파를 이용한 화면의 송수신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화면에 대한 원거리 시청을 가능케 하는 전파는 주로 국가 단위로 관리된다. 그렇기 때문에 텔레비전은 사회의 안정과 안녕이라는 명목으로 공공과 공익을 강조하며 작동되는 이데올로기적 국가 기구의 일환이다. 정치적 공공영역에서 보수적 미디어로서의 텔레비전은 역설적으로 기능한다. 그것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위한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는 화면을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오히려 탈정치 혹은 몰정치의 감각을 주입시키는 수단인 셈이다. 특히 허구의 서사로 이루어진 텔레비전 드라마는 현실에 대한 망각을 한층 더 강력하게 촉발시킨다는 점에서 대중을 탈정치 혹은 몰정치로 이끄는 대표적 콘텐츠로 폄하되어 왔다. 실제로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정치적 의미의 시민(성)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지배적 패러다임으로부터 탈주할 소지가 있는 화면과 소리를 좀처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 화면 안팎에서는 시민(성)의 흔적이 의미 있는 문학적 메타포로서 포착된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시민(성)은 텔레비전 안과 밖, 즉 텍스트 내부와 외부 혹은 드라마 안의 등장인물과 드라마 밖의 시청자로부터 감지된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시민(성)을 언제나 메타포로서만 암시한다. 텔레비전은 드라마의 특정한 화면과 소리가 지금/여기의 사회에 대해 정치적으로 발화하고 있음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이러한 메타포를 감지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곧 이와 마주하는 시청자의 몫이다. 시청자는 텔레비전 안에서 묘사되는 허구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민(視民, tivizen)으로서, 그러한 세계 속에서 펼쳐지는 인간의 길항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하며, 이를 통해 다시 텔레비전 바깥의 현실 세계를 성찰하는 시민(市民, citizen)으로 탈태한다. 이를테면 텔레비전 드라마의 시민(성)은 일종의 숨은 그림 찾기처럼 존재하는 셈이다. 화면 안에 기입된 시민(市民)의 은유가 시민(視民)에 의해 발견되어야지만 비로소 의미를 획득하기 때문이다. Television is the ‘watching’ media ‘from a distance’, as its etymology suggests. Watching television is composed of picture transmission/reception with radio waves under the control of nation. Television is the part of ideological state apparatus, emphasizing public interest for social stability. Television as the conservative media lies paradoxically in the political public domain. It is because television is an effective means infusing postpolitical sense or lack of political sense by showing repeatedly pictures matched up with political purpose for internalization of ruling ideology. Television drama, consisted of fictional narratives, is diminished as representative contents driving the public post-political or apolitical in that it triggers more strongly forgetting about reality. Actually, it is not easy to find citizen(ship) as political meaning in television drama. Television drama does not allow screen and sound, which could escape from ruling paradigm. However, we could grasp marks of citizen(ship) on the television screen as literary metaphors. The citizen(ship) in television drama could be caught from the inside/outside of television or text, from characters of drama/viewers of television. Television drama always suggests citizen(ship) as metaphor. It does not show plainly the fact that particular pictures and sounds in drama tell the ‘now/here’ society politically. Grasping such metaphors and giving them a special meaning depends on television viewers. As a tivizen watching the fictional world represented in drama, television viewer judges right and wrong about human lives. Through this process, reflecting on the real world outside television, tivizen comes to be citizen. The citizen(ship) of television drama is a kind of pictorial puzzle. The metaphor of citizen inscribed in the screen could have meanings only after citizen’s discovery.

      • KCI등재

        1980년대 텔레비전드라마에 나타난 범죄와 추리

        송치혁 대중서사학회 2023 대중서사연구 Vol.29 No.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reasoning and crime in television dramas in the 1980s. As mentioned earlier, the influence of the investigation team leader, who had been popular nationwide throughout the 1970s, provide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acceptance of mystery throughout popular art beyond television. This trend became a clue to reveal the various amplitudes of Korean television drama history, which seems to have focused on a specific genre, and later influenced the production and broadcasting of various genres of television dramas. Therefore,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a specific genre existed only as a non-mainstream or defective text in the history of Korean television dramas should be re-recognized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and discourse at the time.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genre is always in the process. Genre is not a fixed thing, but a mixture of the intentions of the producer and the audience. The same was true of mystery in Korea. In the social context of Korea, where it was difficult for detective-type characters in Western mystery novels to gain sympathy in the social context, public power such as ideological prosecutors and criminal leaders has replaced detective positions. Through this process of change, the logical reason that the mystery must reveal began to change according to the needs and tastes of the inmates. Therefore, the phenomenon that Korean television mystery emphasizes rhetoric rather than reasoning and humanities of compassion and empathy rather than modern reason is a unique context for Korean television viewers to accept mystery narrative. Television mystery, which gained huge popularity under the name of a rhetoric drama in the 1970s, faced color broadcasting and media consolidation in the 1980s. Television dramas will be accompanied by the culture and arts policy of the new military administration under the banner of self-purification and openness. Accordingly, it is also worth remembering that viewers’ views on accepting the new joy of reasoning and crime are also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s. In the face of temporary freedom brought by democratization following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direct election system in 1987, television mystery also had to transform itself. The acceptance of mystery novels, which emerged prominently in this process, was a choice that was highly conscious of the Korean context,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ransformation of television dramas, which were called rhetoric, into mystery dramas. The problem is that viewers who have encountered new forms of reasoning and crimes through these television dramas have begun to be aware of “beyond the country.” The public power, which attempted to guide and enlighten through television dramas by professing social well-being and maintaining order, can be seen as a popular art’s own way of social justice under the new military regime that lasted throughout the 1980s. In this sense, the new aspects of reasoning and crime that have appeared in television dramas since 1987 are close to popular questions about what justice is and how it can be defended in Korean society. The conflict between professional criminals and vigilante groups appearing in this process will be a reenactment of the television drama that reflects the feelings and attitudes of the viewers of the television drama toward real crime. It would be right to see that the phenomenon of feeling “emotional realism” toward the vigilante group, who will carry out private sanctions even while willing to do illegal acts, is due to distrust that the state no longer protects us. It is a significant phenomenon that this desire was achieved on television, which could not be inherently free from state intervention. The disturbing gaze questioning the desire of the new military regime, which had visually demonstrated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roughout the 1980s, is visible through th... 이 글은 1980년대 텔레비전드라마에 나타난 추리와 범죄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1970년대 내내 전국적인 인기를 이끌어왔던 <수사반장>의 영향력은 텔레비전을 넘어 대중예술 전반에 추리물이 수용될 수 있는 중요한 토대를 제공했다. 이러한 경향은 특정 장르만을 중점적으로 소비한 것처럼 보이는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사의 다양한 진폭을 밝혀줄 수 있는 단서가 되며 이후 텔레비전드라마의 다양한 장르물 제작과 방송에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특정 장르물이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사에서 비주류 혹은 결함을 가진 텍스트로만 존재했다는 통념은 당시 편성과 담론의 총체적 분석을 통해 재인식되어야만 한다. 기억해야할 것은 장르는 언제나 과정 중에 놓여있다는 사실이다. 장르는 고정된 어떤 것이 아니라 제작주체와 수용자의 의도가 뒤섞이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한국에서 추리물 역시 마찬가지였다. 서구 추리소설의 탐정형 인물이 사회맥락상 공감을 얻기가 어려웠던 한국의 사회적 맥락상 사상검사나 형사반장과 같은 공권력이 탐정의 자리를 대체하며 등장했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본래 추리물이 필수적으로 드러내어야 하는 논리적 이성은 수용자들의 요구와 취향에 따라 변화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한국 텔레비전 추리물에서 추리보다는 수사가, 근대적 이성보다는 연민과 공감의 휴머니티가 강조되는 현상은 한국의 텔레비전 시청자의 입장에서 추리서사를 받아들이는 독특한 맥락인 셈이다. 1970년대 수사극이라는 명명하에 대대적인 인기를 끌었던 텔레비전 추리물은 1980년대에 들어서 컬러방송과 언론통폐합을 맞닥뜨리게 된다. 텔레비전드라마는 자율정화와 개방이라는 기치 아래 신군부 정권의 문화예술 정책과 동행하게 된다. 이에 맞추어 추리와 범죄라는 새로운 즐거움을 수용하는 시청자들의 시각도 시대에 맞춰 변화해가고 있다는 점 역시 기억할 필요가 있다. 1987년 직선제 개헌에 따른 민주화가 가져온 일시적인 자유 앞에서 텔레비전 추리물 역시 자신을 변주해야했다. 이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추리소설의 수용은 한국적 맥락을 다분히 의식한 선택으로 수사극으로 불리던 텔레비전드라마들이 추리극으로 변화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문제는 이러한 텔레비전드라마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추리와 범죄를 접한 시청자들이 ‘국가 너머’를 의식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사회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공언하며 텔레비전드라마를 통해 계도와 계몽을 시도했던 공권력이 1980년대 내내 지속되었던 신군부 정권 아래에서 사회정의에 대해 보여준 대중예술만의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1987년 이후 텔레비전드라마에 나타난 추리와 범죄의 새로운 양상은 한국 사회에서 정의란 과연 무엇이고 어떻게 수호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대중적인 질문에 가깝다. 이 과정에서 등장하는 직업적 범죄자들과 자경단의 충돌은 텔레비전드라마의 시청자들이 현실의 범죄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태도를 반영한 텔레비전드라마의 재연방식일 것이다. 공권력을 내세운 형사들보다 불법을 불사하면서까지 사적 제재를 수행해줄 자경단에게 ‘감정적 리얼리즘’을 느끼는 현상은 국가가 더 이상 우리를 지켜주지 않는다는 불신의 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러한 욕망이 태생적으로 국가의 개입에서 자유 ...

      • KCI등재

        과학과 마음, 수사드라마의 두 양태 -김은희 작가를 중심으로-

        송치혁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3

        The rise of the mystery genre in the mainstream genre of pop culture in Korea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elevision dramas. As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reasoning has been very important in television dramas since the 2000s. Reason has been important as a means to fulfill the main character of a television drama, as well as the novelty of the dramatic form. As drama began to be produced in earnest after the 2000s, the demand for reason has grown beyond the previous perio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demand for the mystery genre has been activated by environmental changes outside the text, along with the overall expansion of television dramas since the 2000s. In this regard, the appearance of Kim Eun-hee, who has established herself as an investigative drama writer, is important. She started with “Sign”, “The Ghost,” and “Signal,” and has secured the persuasion of investigative dramas through different filters of science and mind; this has continued with “The Elder.” It is significant that television's chosen breakthrough, with cable and end-to-end, is in a "jangle." Even in the case of Kim Eun-hee, various genres have been tried in the realm of television drama, and the essential presence of reasoning elements in entertainment and cultural programs is evidence that television will not be able to form a pathway of communication with viewers in the way it interprets them beforehand. Kim Eunhee's genre selection has resulted in the beginning of a change in television dramas and the creation of a new chapter where the realities of the 2010s and the fiction of television dramas are combined. Beyond the topical aspects, Korean television dramas since the 2010s cannot help but address the reality of facing new challenges in many ways. The boundaries of television dramas have faded amid a visible decline in the influence of television, and the advent of a new era of new media featuring original content. In an era where television dramas can be viewed anytime, anywhere due to the influence of YouTube and Netflix, the existence of television dramas needs to be reconsidered. 한국에서 추리가 대중문화의 주류 장르로 올라온 데에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영향이 크다. 선행연구들이 지적하듯이 2000년대 이후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추리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적 특성과 극적 형식의 새로움을 충족시켜주는 선택으로서 추리는 중요했다. 2000년대 이후에 들어서면서 추리드라마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며 추리에 대한 요구는 이전 시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다. 2000년대 이후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 확장과 함께 텍스트 외부의 환경적인 변화로 추리 장르에 대한 요구가 활성화되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김은희 작가의 등장은 중요하다. <싸인>을 시작으로 <유령>, <시그널>에 이르기까지 수사드라마 전문 작가로 자리 잡은 김은희는 과학과 마음이라는 상이한 필터를 거쳐 수사드라마, 더 나아가 장르드라마의 설득력을 확보했다. 케이블과 종편을 필두로 텔레비전이 선택한 돌파구가 ‘장르’라는 사실은 유의미하다. 비단 김은희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장르물이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 시도되었으며 예능프로그램과 교양프로그램에까지 추리적 요소가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이전에 텔레비전이 해석하는 방식으로는 시청자들과 소통의 구조를 형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증거다. 김은희의 장르적 선택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변화에 대한 시작점이자 2010년대의 현실과 텔레비전 드라마의 허구가 교합하는 새로운 장을 형성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주제적인 측면을 넘어 2010년대 이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여러 면에서 도전에 직면한 현실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텔레비전의 영향력이 가시적으로 줄어들고 오리지널 콘텐츠를 앞세운 새로운 뉴미디어의 시대가 도래하는 가운데 텔레비전 드라마의 경계 역시 희미해져 갔다.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영향으로 언제 어디서든 텔레비전 드라마의 시청이 가능한 시대에 텔레비전 드라마의 존재론은 다른 방식으로 쓰여져야 하는 것은 아닌지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후보

        어린이 시청자의 도구적 시청과 관습적 시청경험연구

        김정기(Kim Jung-Kee)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3

        이 연구는 어린이 시청자의 시청욕구 및 시청태도와 관련한 변인(시청동기, 친밀감, 현실감, 주목도)과 텔레비전 시청 행위 변인(유형별 프로그램 시청 정도, 시청량) 및 시청결과 변인(안전감)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다변인적 상관관계의 특성을 파악하여 어린이의 텔레비전 시청경험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시도하였다. 초등학교 어린이 344명의 시청경험에 대한 응답은 인자분석과 정준상관관계분석을 통하며 조사되었다. 인자분석의 결과는 시청동기의 구조가 휴식, 흥미, 습관, 정보/편리성, 현실도피, 상상적 교류의 6개 인자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 6개 인자의 특성은 도구적 시청동기(흥미, 정보/편리성, 상상적교류)와 관습적 시청동기(휴식, 습관, 현실도피)로 구분되었다. 정준상관분석의 결과는 시청동기에 의해 형성된 시청태도, 시청행위, 시청결과의 차별적인 상호상관의 결합을 통하여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에서 도구적 시청과 관습적 시청의 차별성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 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과정이 시청량과 같은 단순한 노출이나 메시지의 내용적 특성만이 아니라 수용자의 다양한 심리적ㆍ사회적 속성과 미디어 메시지가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어린이 시청자를 수용자로서만이 아니라 이용자로서의 측면에서도 연구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구체적인 후속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Television is likely to have a crucial influence to children, as the roost common and pervasive media in modern society. There are also growing concerns of negative influence of television on the children audience. Thus, media research must be able to show whether television means anything to especially children, if so, what, because children are very sensitive to media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d on the television uses and effects experience of children audi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and ritualized television viewing by analyzing the interactant relationships among instrumental and ritualized viewing motivations, viewing attitudes, viewing behaviors, and viewing effects. The examination proceeded from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motives of Korean children audience for watching television?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ctics of the interrelated multivariate relationships of instrumental and ritualized television viewing, respectivell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during class periods to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Ansan area from 3rd to 4th week, Oct. 200. Three hundred and forty four questionnaires provided usable data The sample in age was mainly 11(N=318, 92.4%) with 48.8% men(N=168) and 49.7% women(N=17l).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motives of Korean children audience, Canonical correlations analysis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interrelated multivariate relationships among viewing motives, viewing attitudes, viewing behaviors, and viewing effects. Six viewing motivations were identified: relaxation, excitement, habit, information/convenience, escape, and imaginative interaction.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was constructed by the interrelated relationships of information/convenience viewing motive, perceived message realism, attention, informative programs, and perceived safety. Ritualized television viewing was formulated by the interrelatd relationships of habit viewing motive, perceived TV affinity, non-informative programs, and perceived safety. The results revealed that children′s television uses and effects are not an outcome of simple reception of television messages but an outcome growing out of active interaction among viewing motives, perceived TV affinity, perceived message realism, program choice, and perceived safety. The study emphasized the central role of viewing motives to lead children′s different television uses and effect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mass communication influence in specific and for mass communication process in gener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children audience and mass communication research were discussed Research agenda for future study was suggested, including comparative empirical studies on interaction between children′s various activeness and program messages.

      • KCI등재

        노인의 외로움과 텔레비전 의존

        이강형(Lee, Gang Heong),신동호(Shin, Dong H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여가활동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텔레비전 시청이라는 사실에 기반 하여 노인들의 외로움(만성적 외로움 vs. 상황적 외로움)과 텔레비전 의존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노인들이 느끼는 두 가지 속성의 외로움이 어디에서 기인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두 가지 속성의 외로움이 텔레비전에 대한 의존성에 어떠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농촌진흥청이 전국 농․어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농어업인 복지실태 조사’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노인들의 외로움은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상관없이 현재 자신이 당면하고 있는 생활여건과 삶의 만족도 여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만성적인 외로움’을 느끼는 노인들의 텔레비전 의존은 ‘상황적 외로움’을 느끼는 노인보다 훨씬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러한 노인들은 텔레비전의 존재와 기능에 대한 관계적 지각과 도구적 지각도 강했고, 프로그램 시청과 상관없이 텔레비전을 습관적으로 켜놓는 경향도 강했으며, 프로그램 시청에 대한 만족도 또한 강했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loneliness(chronic loneliness vs situational loneliness) and television dependency, including the perception of television, watching behavior, total television viewing time, and the satisfaction of television, as considering the fact that television viewing is the most important leisure activity among Korean older adults. The study had two research goals; one is to find out the causes of two different kinds of loneliness and the other is to investigate how those kinds of loneliness have a different impact on older adults’television dependency. For this, we analyzed the large-scale survey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s in rural a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lder adults’loneliness is influenced by their living situation including ‘living alone’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instead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Second, the‘chronic loneliness’has much more impact on the older adults’dependency of television than the‘situational loneliness’in terms of the stronger perception of television, more habitual viewing behavior, and stronger satisfaction of television.

      • KCI등재

        1970년대 텔레비전, 문화와 비문화의 양가성

        임종수(Jong-soo L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1

        오랜 세월 텔레비전은 대중문화의 첨병이면서도 비문화적이고 야만적인 테크놀로지라는 이중성을 유지해왔다. 그것은 텔레비전이 근대적 삶으로서 문화를 향유하는 대중과 이에 대한 낭만주의적 거부감이 상호중첩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전까지의 삶을 전환시켜내는 텔레비전-기계에 대한 통찰은 매우 유용하다. 텔레비전을 기계로 조명하는 것은 근대성의 경험, 다시 말해 텔레비전과 우리의 삶 혹은 사고방식의 결합양태와 그 결과를 이해하는 데 많은 설명을 제공한다. 이 글은 1970년대 텔레비전의 일상화 과정에서 문화매체로서 텔레비전과 비문화 매체로서 텔레비전 기계의 각기 다른 경험과 인식을 조명한다. 문화와 비문화라는 텔레비전 양가성은 압축적인 근대화 과정에서 배태된 동시병행적 이중성임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텔레비전은 한편으로 물질적인 삶의 수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근대적 오브제로서 세련되고 계몽된 세상의 문화적 중산층으로 살아가기 위한 바람직한 기계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가정 테크놀로지와 달리 그것이 전해주는 내용과 사용상의 부작용 등으로 말미암아 여전히 중요시되고 있었던 전통적 가치와 직접적으로 부딪힐 수밖에 없는 기계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사회가 문화와 문명, 비문화와 근대를 어떻게 정의하고 인식했는지를 살펴보는 데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Television maintains an ambivalence that is a vanguard of the mass culture as well as uncultured and uncivilized technology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inter-repeat the mass and a romanticism rejection about it that television enjoy the culture as the modern lives. On that point, it is useful that insight about television-machine converting the previous lives. Television viewed as a machine offered a many explanation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modernity, that is conjunction and the results of television, our lives and ways of think. This study examines in different experience of television-machine as the culture medium and the unculture medium in the everydayness of television in 1970s. Television ambivalence in the culture and unculture showed a simultaneous duplication that originated in the process of compacted modernization. In other words, television as a modern object showed the level of the material lives was the desirable machine to live cultural bourgeoisie in the elegant and enlightenment society. On the other hand, television was the machine to crash against the traditional values directly because of the content and the side effect in using on the contrary to other household technologies. These results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examine how the culture and civilization, uncivilization and modem defined and perceived.

      • American Television: A Sour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Bredbenner, Carol-Byrd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3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5 No.4

        Television is a powerful and persuasive teacher. It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perceptions, knowledge, beliefs, and behaviors, thus nutritionists need to be aware of the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NRI) in television programming and the effect this information has on viewer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research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between 1988 and 2003 that examined the NRI embedded in American television programming, which is exported to over 125 nations, and its impact on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or behaviors. This review revealed that, for the past 15 years, NRI was commonly included in both television advertisements and shows. Advertised foods were mainly high in fat, sodium, and/or sugar. In addition, the NRI embedded in food advertisements tended to be misleading or inaccurate. Prime-time television shows included numerous NRI containing scenes every hour, with situation comedies having the most and real-life re-enactment shows the least. Overall, low nutrient density food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40 percent or more of all food references on prime-time television shows. In television shows, foods were mostly consumed as snacks rather than meals and children often ate more nutritious foods than adults. Although relatively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impact of television programming on viewers, those that do exist indicate that as children watch more television, nutritio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declines while misconceptions about nutrition increase. Advertising influences children's food purchase requests and subsequent purchases by adults, with the most requested and purchased foods being high in sugar, fat, and/or salt foods. Existing research indicates that television must be acknowledged as a major source of NRI and a potentially powerful influence on dietary practices.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환상(성) - 환상적인 것’의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7

        Television drama is dominated by the time of ‘daily life’ and the space of ‘family’. It is natural that the circularity of ‘daily life’ and the openness of ‘family’ influence the fictional world in television drama. This is why, among the reality and fantasy as material, television drama prefers reality, unlike movie. Movie is a short-term gaze toward one-time or single text, but television drama is a long-term glance at many time or multiple texts. This makes continuous immersion and continuity difficult to be elicited. Therefore, the world implemented in television screen shares time sense and space sense with the real world largely outside the screen. It is overwhelming that the television drama in Korea prefers reality. However, from the late 1990s up to now, especially in 2010, ‘fantasy’ in television drama in Korea shows a clear increase enough to be called as one flow. The appearance and spread of ‘fantasy’ in television drama can be found from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surrounding television. If an internal factor is an expansion of human and physical conditions accompanied with dominating videos of this ‘fantasy,’ an external factor can be said as an overflow of the desire of the public who want to peep at beyond the reality of ‘being skeptical of the reality.’ The recent preference for the reality to come as well as the back side of reality conversely exposes the fatigue of the public against the reality now and here. Fantasy in television drama is largely based on two conditions. It is to a. establish unrealistic conditions (phenomenon) or worlds while based on the reality and indicates that b. this world will be represented audiovisually through standardization and rationalization. Fantastic world and creation that satisfy such conditions are formed when unrealistic elements of the part or the entire among the sum of human, time, and space that constitutes the world trespass. It deals with unrestricted come-and-go betwee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ime that cannot be specified, and future that did not come in addition to the past or the present and inhuman/antihuman/superhuman things appear against humans. It also draws interference of the different world's and the external world's interference with the world of reality. And this world is reborn again as the other fantastic world depending on connection with or disconnection from the reality. 텔레비전 드라마는 일상이라는 시간과 가정이라는 공간의 지배를 받는다. 자연히 일상의 순환성과 가정의 개방성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허구적 세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질료로서의 현실과 환상 가운데 텔레비전 드라마가 영화와 달리 유독 현실을 선호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영화는 일회․단수의 텍스트에 대한 단기적 응시이지만, 텔레비전 드라마는 다회․복수의 텍스트를 향한 장기적 흘끗보기라는 점에서 몰입의 지속과 연속을 이끌어내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텔레비전 화면 안에서 재현되는 세계는 주로 화면 밖의 실제 세계와의 시간 및 공간 감각을 공유하고 있었다.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현실 선호는 압도적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특히 2010년대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은 하나의 흐름이라고 할 정도로 확연한 증가를 보인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의 등장과 확산은 텔레비전을 둘러싼 내외적 변화에서 그 요인을 찾을 수 있다. 내적 요인이 문자에 대한 영상의 득세에 수반된 인적․물적 조건의 확장이라면, 외적 요인으로는 현실에 대한 회의 속에서 현실 너머를 훔쳐보고자 하는 대중적 욕망의 팽배를 꼽을 수 있다. 현실의 배면이자 도래할 현실로서의 환상에 대한 최근의 선호는 역으로 지금/여기의 현실에 대한 대중의 피로를 노출시켜 주는 셈이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은 크게 두 가지 조건을 전제로 성립한다. 그것은 ① 현실을 토대로 하되 비현실적인 사건(현상)이나 세계를 마련할 것, ② 이러한 세계가 표준화와 합리화를 거쳐 시청각적으로 재현될 것을 뜻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환상적 세계의 창조는 세계를 구성하는 인간․시간․공간의 총합 가운데 부분 내지는 전체에 비현실적 요소가 틈입함으로써 생성된다. 그것은 인간에 대해 비인간/반인간/초인간이 등장하고, 과거나 현재의 시간에 더해 도래하지 않은 미래, 시대를 특정할 수 없는 시기, 과거와 현재와 미래 사이의 자유로운 왕래를 다루며, 현계에 대한 이계와 외계의 간섭을 그린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는 다시 현실과의 연결 혹은 차단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환상적 세계로 탄생한다.

      • KCI등재

        An Outlook for Interaction Experience in Next-generation Television

        Sung Woo Kim 대한인간공학회 2012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1 No.4

        Objective: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trend of applying NUI(natural user interface) such as gesture interaction into television and investigates on the design improvement needed in application. The intention is to find better design direction of NUI on television context, which will contribute to making new features and behavioral changes occurring in nextgeneration television more practically usable and meaningful use experience elements. Background: Traditional television is rapidly evolving into next-generation television thanks to the influence of "smartness" from mobile domain. A number of new features and behavioral changes occurred from such evolution are on their way to be characterized as the new experience elements of next-generation television. Method: A series of expert review by television UX professionals based on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conducted to check on the "relative appropriateness" of applying gesture interaction to a number of selected television user experience scenarios. Conclusion: It is critical not to indiscriminately apply new interaction techniques like gesture into television. It may be effective in demonstrating new technology but generally results in poor user experience. It is imperative to conduct consistent validation of its practical appropriateness in real context. Application: The research will be helpful in applying gesture interaction in next-generation television to bring optimal user experience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