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1년 5·16 이후 국토건설사업과 국토건설단 운영 실태

        임송자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7 No.-

        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developing processan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development. I focused on elucidating a few points in the study as follows;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by the Democratic party’sregime in the period of military administration; change into the nationaldevelopment project by the national development corps; relation between the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management of the nationaldevelopment corps and its dissolution. The military authorities continued carrying out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which had been launched under the Democratic party’s government and developedit with the new direction in 1962. But they failed because of many problemssuch as the internal conflict in the national development corps, outbreak of pleurisy,poor protection against cold, and inefficient work with primitive equipment. Themost serious problem was that they developed the project without thorough researchand study regarding the land. With this trial and error,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was totally reviewedand the law of comprehensive nat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established inthe October of 1963. The economic development project did not originated withthe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of comprehensivenat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only possible with the experience from thenational development project by the Democratic party’s government. The land development project in the 1960s was developed within the investmentfigure which was arranged in the economic development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project as well as the economic developmentproject, above all, in order to illuminate the relation between the land developmentand economic development.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 developmentand growth in the 1960s will be possible through these efforts.

      • KCI등재

        국유지 개별공시지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최천운(崔天運),유정석(柳政錫) 한국도시행정학회 2014 도시 행정 학보 Vol.27 No.2

        국유지 위탁개발 사업은 공공성과 수익성의 균형추구 여부가 중요한 관건이다. 그동안 국유지 위탁개발 사업은 재무적 타당성 분석에 치중되어 민간개발사업과의 차별성 논란이 지적되어 왔다. 국가 및 공적자산의 유효한 활용은 사회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국유일반재산 중 국유지를 중심으로 개별공시지가와 주변 사유지의 토지가격 변화량 및 지가형성에 미치는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유지 위탁개발 사업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유지의 경우 개별공시지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사유지와 다른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독립변수 중 사유지에는 지가변동률, 개발수행자가 개별공시지가에 개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국유지에는 건폐율 활용도가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국유지의 경우 민간개발보다는 공공위탁개발이 개별공시지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국유지가 입지한 지역의 개별공시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국유지 개발시 감안해야 할 사안 중에 개발수행자도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유지의 개발사업 추진 시 공공위탁개발사업의 이점을 적절히 활용하여 ‘선택과 집중’의 논리로 기존 정책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향후 올바른 관리 및 개발정책의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 시사점은 국유지의 적극적인 관리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위탁개발사업을 활성화하되, 면적이 클수록 개별공시지가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나므로 종속변수가 유의(+)하게 변화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보다 소규모 중심의 위탁개발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Balance pursuit between public character and profitability is an important matter for the entrusted development project of national-owned land. The entrusted development project of national-owned land was focused on financial feasibility studies performed to this day and so there has been controversy of differentiation from private development projects. Utilization of national and public properties has to be analyzed and evaluated from the viewpoint of socioeconomic efficiency. For this, this study made 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changes of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declared land value mainly for national-owned land among national-owned general proper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formation of land price so that it can review characteristics of the entrusted development project of national-owned l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national-owned land has a factor affecting formation of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declared land price different from that of private land. For private land, fluctuation rate of land price and development subject gave influence to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declared land price among independent variables. Meanwhile, for national owned land, coverage (ratio) gave influence to that. Second, as for national-owned land, publicly entrusted developments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 to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declared land price than private developments. Namely, it is known that the development subject also had meaningful influence to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declared land price to be considered for development of national ?owned land during the analysis of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ver the price of land where national-owned land was located. Third, based on analysis result,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the defect in existing policy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logic taking proper advantage of publicly entrusted development project and to set up a direction for correct management and development policy. As political implicati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positive policy for national-owned land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entrusted development projects to be performed by public institutions but it is believed that entrusted development projects that are small in size are more suitable than those large in size in order for subordination variable to be positively varied because the larger the area is, the lower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declared price is.

      • KCI등재

        지역의 위기와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전환

        강남호 대한경영정보학회 2023 경영과 정보연구 Vol.42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e effectiv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that can overcome local crisis and achiev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ases of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of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 (2005-2019) and then suggests policy directions for effectiv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 ways to improve them as follows. First, it proposes to should be strengthened the role and function of local era committees. Second, reformed special account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ird, reformed systems of regional innovation, Fourth, establish a youth-friendly innovation complex on small and medium-sized city. Fifth, responded preemptively to the extinction crisis of region and lastly reformed decentralization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is study describes a research metho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the special account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rom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focusing on GRDP and population, which are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refore, future research has the task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input and specific performance indicators of each government's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with a statistical model. 본 연구는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는 효과적인 국가균형발전정책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2005-2019) 간의 국가균형발전정책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효과적인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개선하는 정책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시대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개편해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체제를 개편해야 한다. 넷째, 중소도시에 청년친화형 혁신단지를 조성한다. 다섯째, 지역의 소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마지막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분권을 개혁해야 한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는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가 국가균형발전의 핵심성과 지표인 GRDP와 인구에 초점을 맞추어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한 바를 평가하는 연구방식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차후 연구에서는 각 정부의 각각의 국가균형발전 사업들의 예산투입과 구체적인 성과지표와의 관계를 통계적 모형으로 분석할 과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

        브라질 국가 발전과 교육의 역할로 본 발전 전망

        박채원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22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education for 200 years after the independence of Brazil, and to illuminate the prospects for Brazil’s development through education.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theories o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development, politic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that make up the n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history of 200 years of education in Brazil wa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a total of four period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olitical periods. This study finds that the government of Brazil lacked interest and investment in education from independence in 1822 to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1985, and concludes that it was difficult to find a relation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However, since the revision of Brazil’s Constitution in 1988 and the revision of Law of Guidelines and Bases of National Education n.9394/1996, the government's interest in education has increased, and Brazil's National Common Curricular Base was introduced with a lot of institutional changes. In addition, interest and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education are arising as the investment in education are increased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 are made during the reign of President Cardoso and President Lula. This study ultimately argues that it is not possible to clearly find a relation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in Brazil that is seen in Western countries or East Asia. However, the changes shown in Brazil over the past 30 years brighten the outlook of the national development in Brazil near future. 이 연구는 미래의 나라 브라질의 독립 이후 200년의 교육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 발전과 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브라질의 발전 전망을 조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가 발전과 교육에 관한 주요 이론과 교육과 국가 발전의 관계를 이루는 경제 발전, 정치 발전, 사회 발전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브라질 200년 교육 역사를 정치 시기 구분에 따라 총 네시기로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브라질은 제1시기부터 제3시기인 1822년 독립부터 1985년 군부 정권 시기까지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미비하였으며, 그 결과 국가 발전과 교육에 관한 상관관계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1988년 헌법 개정과 1996년 국가교육 지침 및 기본법 개정 이후 브라질 정부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방 정부 주도의 공통 국가 커리큘럼 기반이 학제별로 수립되기 시작하면서 브라질 교육은 제도적으로 많은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카르도주 정부와 룰라 정부를 지나면서 교육에 대한 투자와 교육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짐에 따라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라질에서 서구 국가 혹은 동아시아에서 보이는 국가 발전과 교육의 상관관계를 뚜렷하게 발견할 수는 없으나, 지난 30년간 브라질에서 보여준 변화 양상을 통해 향후 브라질의 발전 전망을 밝혀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 국토개발정책의 변화와 공간환경정책의 발전방향

        최희선,최준규,박지현 한국환경연구원 2012 수시연구보고서 Vol.2012 No.-

        우리나라의 국토공간정책은 국토 자연 자원 관리를 목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위기를 극복하거나, 지역 불균형을 해결하는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추진되어 왔다. 2008년 국가 비전으로 제기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은 기후변화 대응과 글로벌 경제위기의 극복이라는 세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으로 발전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향한 정책이라 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정책은 녹색과 성장의 상생 추구에 대한 당위성 확보, 녹색성장 경험의 축적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동시에 과도한 규제 완화에 따른 자연훼손, ‘환경의제’위축 등 비판적 평가 또한 받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종합계획 수정, 녹색교통체계 구축, 녹색성장을 위한 개발 규제 완화 등이 추진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토공간의 변화도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이제 지속가능한 국토공간 관리를 위한 공간환경정책의 역할 및 향후 방향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은 매체 중심의 관리와 규제적 차원의 정책이 주를 이루었다. 그로 인해 국토공간의 선제적 대응에 한계를 가지게 됨으로써 환경정책의 실효성에 많은 문제 제기가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그동안의 국토개발정책 특히 공간개발정책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검토하고 그에 대응한 공간환경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래 지속가능한 공간정책 추진을 위한 환경정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앞으로 다루어져야 할 과제들을 발굴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토개발정책과 공간환경정책 관련 문헌분석, 전문가 서면 의견 조사, 통계자료 분석, 국외 사례 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 국외 정책 동향과 시사점 국외 정책 동향은 ①국토 및 지역의 공간전략 및 계획 차원에서의 사례와 ②국토공간개발에 환경적으로 대응하는 사례, ③자원의 보전 및 환경 관리 차원의 사례로 구분하여 독일, 영국, 핀란드 등의 국가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공간개발계획 내 환경계획 내재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계획 위계별 공간환경계획의 체계화와 참여적 과정을 통한 계획안 마련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핀란드의 사례에서 공모를 통해 계획 단계별 직·간접적 주민 참여가 이루어짐을 살펴볼 수 있다. 이 밖에 훼손에 대한 선제적 방지와 보상제도, 보전 및 복원의 총량적 목표 설정, 복원을 위한 환경자원의 정량화 사례는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국토공간의 변화 분석 본 장에서는 지난 10년(2002년~2011년)간의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국토개발정책으로 인한 국토공간의 변화를 ①개발로 인한 도시화, ②국토 보전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90%를 넘어섰으며, 도시 공간은 확대 추세이나 과거에 비해 그 속도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국토개발정책은 기존 도시의 재생적 차원에서의 정책이 활성화될 것이며 공간환경정책 또한 이러한 차원에서의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 반면 보호 가치가 있는 지역(산림, 습지, 논 등)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비도시지역의 보전 방안, 도시화의 허용 범위 등 총량적 차원의 국토 보전 전략 등 보호지역의 확대를 위한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 내에서도 환경적 가치가 높은 도시자연공원구역의 면적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도시의 환경질 향상을 위해 도시공원 및 녹지 조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국토개발정책 및 공간환경정책의 동향 분석 최근 추진된 국토개발정책과 이에 대응한 공간환경정책에 대하여 도입 배경과 내용을 제시하고 성과와 한계를 환경적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시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①공간개발 의사 결정 시 종합적 판단을 위한 기초 정보 구축이 미흡하므로 기초환경조사 및 공간환경정보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②기초 정보 부족을 비롯하여 공간화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공간계획에 대응한 환경 분야 계획의 실효성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③환경정책이 환경 목표 달성 등에만 초점을 두고 개발문제에 대한 대응은 소극적이기 때문에 국토공간개발에 대한 자연 훼손 문제를 근본적으로 대응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④환경영향평가의 경우 개발 추진의 과정으로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국책사업에 대한 면죄부 역할을 한다는 비판이 있다. 근본적으로는 ⑤국토공간환경정책 전략의 부재를 문제로 들 수 있다. 전략의 부재로 인해 현재의 제도적 수단으로만 개발에 대응함으로써 국토 자원의 훼손 현황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거나 묵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있는 것이다. 국가 차원의 공간관리 전략과 수단의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 공간환경정책의 발전방안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공간환경정책의 발전 원칙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발전 원칙은 다음과 같다. 우선 ①국토의 환경 가치 향상을 위한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②국토공간환경정책의 비전을 설정하고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③기존의 타 부처와의 경쟁적 체계에서 탈피하여 상호 견제와 균형적 체계를 마련하여 국토개발정책과 환경정책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책 통합 운용 협의체 구성, 연계 법제화 추진 등을 방안으로 제안한다. 더불어 ④환경계획의 위상 확보와 환경정책의 공간화를 위한 공간 정보의 고도화 등 공간개발정책의 기반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⑤개발에 따른 자연 훼손대응 차원의 선제적 정책과 수단 마련이 필요하다. ■ 공간환경정책의 발전을 위한 법, 제도적 개선방안과 과제발굴 끝으로 공간환경정책의 발전을 위해 제안될 수 있는 법률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필요한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향후 국토개발정책과 공간환경정책의 협력체계 마련 및 연계 법제화 추진, 공간정보의 고도화 및 자원 가치의 정량화, 보호지역 확대와 보전을 위한 수단의 법제화 등의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Korea has been promoting the policy that aims for sustainable growth under the motto of Low Carbon Green Growth in 2008.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ies have been positively evaluated as to the securing of the appropriateness of pursuing green and win-win policies and the accumulation of green growth experiences. On the contrary, as to the damaged natural ecosystem due to excessive deregulation and incompleteness of the execution system, the policies have been evaluated negatively. In coping with climate change, modification of the comprehensive land development plan, development of the green traffic system, and mitigation of development regulation for green growth have been implemented. And, to that effect, geographical features are currently changing accordingly. In this current of changes, setting up proper role of and future direction for the environmental policies to manage the sustainable land space has never been more critical than now. So far in Korea, environmental policies have mainly focused on media-oriented management and policies for sole regulatory purpose. As a result, limitation on the pre-emptive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the land space has become unarguably evident, and many issues have been raised against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policy. Hence,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growth development,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the land development policies, especially the spatial development policy, and understand problems of the spatial environment policy established in responding to such development policies.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ed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policies to promote the sustainable spatial policy in the future, and identified future tasks to be dealt with. In doing so, analysis of documents related to land development policies and spatial environment policies, expert document survey,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nd overseas case study were carried out. ■ Overseas policy trends and implications To review overseas policy trends, cases from Germany, England and Finland were analyzed. The cases we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1) cases of spatial strategy and planning for the land and region; 2) cases of environmental response to land space development; and 3) cases of resource conservation and environment management. In overall as to all the cases: a necessity for internalizing environmental plan within the spatial development plan was raised; and systematization of the spatial environmental plan by plan hierarchy and establishment of plans through effective participation are now being pushed forward. In particular, it is notable that resident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participated in each planning stage through the public contest. Furthermore, other cases, including pre-emptive prevention and compensation policy for damage, setting of total quantity targe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and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resources for restoration, represent some significant challenges ahead of Korea. ■ Analysis of changes in land space This chapter reviewed the changes in land space caused by the land development policy. The review was based on the grounds of 1) urbanization driven by development and 2) conservation of national land, with analysis on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last 10 years (2002 ~ 2011). Currently, the rate of urbanization in Korea passed 90%. The urban space is on the move of expanding, but the pace is estimated to slow down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the land development policy will inevitably promote re-generation of the existing cities, and the spatial environment policy needs to shape its policies in the same sense. On the other hand, regions in need of protection such as forest, wet land, and rice paddy are consistently decreasing. Therefor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at promote expansion of regions to preserve in the forms of comprehensive national land preservation strategy is required, namely, preservation of non-urbanized area and setting up limitation of urbanization in its size. In cities, regions saved for the urban natural park, which have high environmental values, are decreasing as well. Therefore, establishment of policy support measure for urban parks and green belt design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environmental quality among urban spheres. ■ Trend analysis of land development policy and spatial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 background and contents as to the recently-adopted land development policies as well as the spatial environment policies set in 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policies were presented, and evaluated were their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from the environmental aspect. Implications identifi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Basic environmental study and spatial environment data infrastructure need to be established, since the basic data needed for comprehensive judgment at the time of decision-making upon the subjects related to spatial environment has been poorly compiled;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iveness of planning as for the environmental area accounting the spatial planning is quite limited, due to the lacking awareness of spatialization as well as insufficient basic data; 3) Because the environmental policies unilaterally focus on satisfying the environmental goals while being reluctant on 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issues, there is a fundamental limitation in responding to the damage among natural ecosystem caused by the national land spatial development; 4) Environmental assessment is being conducted on rather limited basis as effected by the process of development promotion. It is, furthermore, being criticized for the alleged 'blindfolded indulgence' in front of some national projects. 5) Fundamentally, moreover, no actual strategies for the national land spatial environment policy exist yet. Because of the absence of such strategy, the land development issue has been only nudged with the measure of policies already existing, leaving the damages on the national land resources remain totally unaware or intentionally ignored. Strategies and measures for spatial management on national level are now required with more urgency than ever. ■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spatial environment policy Principles of the spatial environment policy improvement were proposed based on details of the study, and methods of realizing them were suggested. The proposed principle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1) Converting of the current policies into that oriented for improvement of national land's environmental value is required; 2) Based on such principle, a vision for the land spatial environment policy should be set and the system be prepared; 3) Clearing off the previously generalized driven-by-competition environment between different departments, it is essential that mutual checking and balanced system be laid out to secure the integrity of both land development policy and environmental policy. Corresponding measures proposed are organization of the integrated policy operation committee, linked legislation, and more; 4) Foundation of the spatial development policy needs to be established, such as improving the spatial data up to more advanced level to both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he environmental plan and implement the proper environmental policy; 5) Lastly, pre-emptive policies and measures are required to counter the damages to natural ecosystem caused by land development. ■ Law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spatial environment policy, and identifying necessary tasks Lastly, measures of improving the laws that may b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atial environment policy were presented, and subject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More studies are required for areas including: preparation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national land development policy and spatial environment policy as well as promotion of linked legislation as to the both; advancement of the spatial data and quantification of the resource value; and legislation of the measures for expanding and preserving regions to protect.

      • KCI등재

        국토계획법제에 대한 평가

        김희곤(Kim, Hee-G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1 土地公法硏究 Vol.52 No.-

        우리의 진정한 국토계획법제는 1962년 1월 20일 우리 손으로 제정한 도시계획법(법률 제983호)이 그 효시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1960-1970년대의 경제개발계획의 수립 및 시행을 계기로 극심한 도시집중, 지역 불균형 문제, 지가 상승 등에 따른 부동산 투기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1980년대의 국토계획법제는 그에 대응하여 토지공개념의 도입 및 그에 입각한 토지공개념 3법의 제정 등으로 대처하게 된다. 그 후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개발용지 등 토지공급 확대 및 민간의 토지개발규제 완화정책이 추진되고, 특히 1997년 외환위기를 계기로 그 극복을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각종 부동산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되게 된다. 그리하여 토지공개념 관련 제도도 완화 내지 폐지되기에 이른다. 그 결과 외환위기 극복 후인 2000년 초에는 준농림지역을 중심으로 난개발 문제 등이 다시금 대두하게 되고,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 국토계획관련 법제의 전면적 개편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전면 개편된 국토계획법제는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할 면도 적지 않지만, 개편 초기부터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고, 그 대부분은 아직도 그대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한 문제점으로는 첫째, 법체계상 문제(기본법과 집행법 간의 일관된 체계성 결여 등) 둘째, 계획체계상 문제(계획체계의 복잡성 및 중복성의 문제 등) 셋째, 계획수립절차상 문제(주민 등 이해관계인의 참여절차 미흡 등) 넷째, 제도운영상 문제(인.허가의제제도의 방만한 운영 등)를 들 수 있다. 우리 국토계획법제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욱 개선해 나감에 있어서 염두에 두어야 할 과제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첫째, 단순한 물리적 통합의 지양 둘째, 전체 국민편에서의 법제개선 및 운용 셋째, 빈번한 개정 및 특별법 양산의 지양 넷째, 헌법기관으로 국토정책위원회(가칭)의 설치 등이다.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the property right of all citizens shall be guaranteed and the exercise of it shall conform to the public welfare(Article 23). It provides, the economic order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based on a respect for the freedom and creative initiative of enterprises and individuals in economic affairs(Article 119 Clause 1). The State may regulate and coordinate economic affairs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d growth and stability of the national economy, to ensure proper distribution of income, to prevent the domination of the market and the abuse of economic power and to democratize the economy through harmony among the economic agents(Article 119 Clause 2). National Land is considered as a source of all products that are necessary for all citizens of a nation in the present and future. It have several speci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unproductivity, irreplaceability, immobility, indestructibility, heterogenity, connectivity, modification etc. But it may be said that appearance of national scaled land planning had been made at (the beginning of) 20 century in order to develop and use limited national land in an effective, systematic method.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the land and natural resources shall be protected by the State, and the State shall establish a plan necessary for their balanced development and utilization(Article 120 Clause 2). Therefore, the State has established many acts about National Land Planning and Development. Especially, National Land Planning and Development Acts has been improved markedly at the beginning of 2000. For exampl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d(2002),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2002), Framework Act on the Regulation of Land Use(2005) etc. But our present Acts about National Land Planning and Development have several problems inspite of a few estimatable points. For example, problems in legal system, plan system and system management etc. This paper is focused as follows : Ⅰ. Introduction Ⅱ. Constitutional basis and history of National Land Planning and Development Acts Ⅲ. System and contents of National Land Planning and Development Acts Ⅳ. Review of National Land Planning and Development Acts Ⅴ. Conclusion

      • KCI등재

        우주개발사업의 지속발전을 위한 국내입법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이강빈 ( Kang Bin Lee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0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improvement of national legislations relating to space development in Korea to make the sustainable progress of space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Korea has launched its first satellite KITST-1 in 1992. The National Space Committee has established The Space Development Promotion Basic Plan in 2007. The plan addressed the development of total 13 satellites by 2010 and the space launch vehicle by 2020, and the launch of moon exploration spaceship by 2021. Korea has built the space center at Oinarodo, Goheng Province in June 2009. In Korea the first small launch vehicle KSLV-1 was launched at the Naro Space Center in August 2009, and its second launch was made in June 2010. The United Nations has adopted five treaties relating to the development of outer space as follows : The Outer Space Treaty of 1967, the Rescue and Return Agreement of 1968, the Liability Convention of 1972, the Registration Convention of 1974, and the Moon Treaty of 1979. All five treaties has come into force. Korea has ratified the Outer Space Treaty, the Rescue and Return Agreement, the Liability Convention and the Registration Convention excepting the Moon Treaty. Most of development countries have enacted the national legislation relating to the development of our space as follows : The National Aeronautic and Space Act of 1958 and the Commercial Space Act of 1998 in the United States, Outer Space Act of 1986 in England, Establishment Act of National Space Center of 1961 in France, Canadian Space Agency Act of 1990 in Canada, Space Basic Act of 2008 in Japan, and Law on Space Activity of 1993 in Russia. There are currently three national legislations relating to space development in Korea as follows : Aerospace Industry Development Promotion Act of 1987, Outer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of 2005, Outer Space Damage Compensation Act of 2008.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of Korea has announced the Full Amendment Draft of Aerospace Industry Development Promotion Act in December 2009, and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 ① Changing the title of Act into Aerospace Industry Promotion Act, ② Newly regulating the definition of air flight test place, etc., ③ Establishment of aerospace industry basic plan, establishment of aerospace industry committee, ④ Project for promoting aerospace industry, ⑤ Exploration development, international joint development, ⑥ Cooperative research development, ⑦ Mutual benefit project, ⑧ Project for furthering basis of aerospace industry, ⑨ Activating cluster of aerospace industry, ⑩ Designation of air flight test place, etc., ⑪ Abolishing the designation and assistance of specific enterprise, ⑫ Abolishing the inspection of performance and quality. The Outer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should be revised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matters : ① Overlapping problem in legal system between the Outer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and the Aerospace industry Development promotion Act, ② Distribution and adjustment problem of the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budget for space development between National Space Committee and National Science Technology Committee, ③ Consideration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in space development, ④ Taking the legal action and maintaining the legal system for policy and regulation relating to space development. The Outer Space Damage Compensation Act should be revised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matters : ① Definition of space damage and indirect damage, ② Currency unit of limit of compensation liability, ③ Joint liability and compensation claim right of launching person of space object, ④ Establishment of Space Damage Compensation Council. In Korea, it will be possible to make a space tourism in 2013, and it is planned to introduce and operate a manned spaceship in 2013.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licy relating to the promotion of commercial space transportation industry.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roper maintenance of the current Aviation Law and space development-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promotion of space transportation industry in Korea.

      • KCI등재

        국가균형발전정책의 변화를 위한 소고

        김우석 ( Kim¸ Woo Seok ),김형진 ( Kim¸ Hyeong Ji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거하여 추진되고 있는 국가균형발전사업과 그 재원인 국가 균형발전특별회계를 면밀히 살펴보고, 국가균형발전사업의 계획·실행·평가·환류에도 불구하고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경제와 인구의 지역간 불균형에 대한 상세한 소고를 통해 대규모 국가균형발전사업의 필요성과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경제와 인구의 불균형이 나날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규모 국가균형발전사업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재정분권을 통해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의 상당 부분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양되는 만큼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는 단순히 지역별 적정예산 안분으로 끝나서는 안되며,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의 경제와 인구를 고려하여 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균형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국가균형발전사업의 추진방향 재정립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large-scal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s. To do this, look closely at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under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Special Act, and the special account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n make detailed comments on the imbalance between regions of the economy and the population that is getting worse despite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feedback of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 As the economic and population imbalance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is increasing day by day, a large-scal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 is needed to solve this. The current large-scal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 should not simply end with an appropriate budget division for each region, a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pecial account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is transferr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through fiscal decentr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in a true sense from a longer-term and macroscopic perspective at the national level, considering the regional economy and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of large-scale national balanced project.

      • 국가균형발전3대특별법과 한국의 Vision

        오현진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6 No.1

        참여정부는 그동안 수도권 일극 집중 등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로 불균형 발전된 국토공간 구조의 큰 변혁을 시도하기 위하여 국가균형발전 3대 특별법을 제정하고 추진 중에 있다. 이는 신행정수도 건설을 비롯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와 지방대학이 중심이 되어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지방의 자립능력을 강화하여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을 이룩하고자 하는 야심찬 비전의 입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법과의 법체계상의 특별법적 지위의 문제, 불균형지표개발 및 우선순위 설정의 문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법적 성격 등의 문제, 재원조달을 위한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의 문제뿐만 아니라 신행정수도 건설을 둘러싸고 국론분열 양상이 심화되고 헌법소원이 계류 중에 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최근 신행정수도의 건설지로부터 전국토의 각 지역이 'ㅁ' 자형 내지 방사형의 도로망 구축으로 2시간대의 국토생활권을 만든다고 발표한바 있다. 아울러 지역혁신체계구축과 지역특화산업 cluster에 의한 국민소득 2만불 달성과 선진국진입을 앞당기며 장기적으로 동아시아권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야심찬 비전은 세계화시대 우리 한민족의 웅비를 위하여 당위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한정된 자원 및 자본과 인력으로 당면한 국가균형발전의 얼마만큼 성취할 수 있을 것인가? 야심찬 의욕만 가지고 비전의 성취가 그대로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국가균형발전 3대 특별법이 상호 유기적 연계 속에서 병행추진 되어야 할 사안이다. 국가균형발전시책과 지방분권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분권·자치추진과 균형발전 정책의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 지방분권이나 신 행정수도 건설 등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조건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지역 간 균형 발전이 곧 국가발전 이다'. 국가균형발전의 명제는 우리 역사상 집중과 중앙집권의 관성을 극복해야만 하는 어려운 과제이다. 국가균형발전을 통해 국민통합과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내야 할 것이다. 중앙정부 스스로 중앙집권체제를 분권화 하여 유연하고 효율적인 국가체제를 구축하려는 개혁노력과 함께 지방자치단체도 자치, 혁신 참여를 통한 스스로의 자생을 갖추려는 끊임없는 노력이 요청된다. The current government, which is called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enacted and enforced the three special law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primary purpose of these laws are to promot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decentralization by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mproving local governments' self-reliance. However, these three special laws caused many problems. Therefore, in this study, this writer tried to find out those problems and then suggested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em. Policy alternatives offered to solve those problems are as follow. Firstly, it was suggested that those three special laws should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to promot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econdly, it was advised that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hould be linked together becaus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and decentraliz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hirdly, since decentraliz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are regarded as precondition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we can not achieve national development without balanced one. Therefore, obtaining the goal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which we can only achieve by overcoming our traditional centralization tendency and culture. Lastly, we should obtain our common goals of achieving national unity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 power by way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at is,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have willingness to decentralize its power in order to build a flexible and effective national system, and local governments must do their best to survive in this stormy world via promoting local self government and their innovation.

      • KCI우수등재

        자연의 발전주의적 동원 - 지리산국립공원 생산 과정에 대한 역사지리적 연구 -

        김지영 대한지리학회 2024 대한지리학회지 Vol.59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첫 번째 국립공원인 지리산국립공원의 지정과정에서 나타난 ‘국가-자연’ 생산의 공간전략, 즉 국가가 자연을 근대적 언어로 재정립하고 국토 개발 담론을 통해 포섭해나간 과정을 밝힌다. 이를 위해 지리산은 자연을 국가자원으로 포섭하기 위한 박정희 정권의 통치술이 펼쳐진 공간이었음에 주목한다. ‘조국 근대화’와 경제발전을 국가적 목표로 내세운 박정희 정권에게 전쟁과 도벌 및 남획, 화전 등에 의해 벌거벗은 ‘붉은산’은 전문가에 의해 계획되어 ‘푸른산’ 으로 계몽되어야 할 ‘문명화’의 대상이었다. 지속적인 산림 도벌로 인해 합리적 ‘통치’와 ‘개발’의 대상이 된 지리산은 1963년 「지리산지역개발에관한종합보고서」의 발간에서 1967년 국립공원 지정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국가의 자원으로 틀지워졌다. 이 개발계획 안에서 김헌규와 같은 전문가는 지역민, 국가, 그리고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와 같은 국제적 네트워크를 연결하면서 국립공원 제도가 토지의 차등적 이용을 통해 자연을 보호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논리를 제시했다. 한편 박정희 정권기 들어 국립공원은 IUCN의 생태외교를 통한 외화 획득의 기회이자 반공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할 근대국가의 발전 표상으로 자리매김되었다.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국립공원의 지정이 자연 보호를 위한 제도임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IUCN의 생태외교의 방향과는 다르게 국립공원 관할 부서 및 후보지를 문교부의 설악산, 한라산, 홍도가 아닌 건설부 산하의 지리산로 결정했고 나아가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일부로서 국립공원 제도를 검토하기도 했다. By examining the process of designating Mt. Jirisan as South Korea's first national park, this study reveals the spatial strategy of producing “state-nature” through which the state redefined nature in modern language and incorporated it into the discourse of national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Mt. Jirisan as a space where the Park Chung-hee regime's governance strategies to subjugate nature as a national resource unfolded. For the Park regime, whose legitimacy was based on the goals of national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red mountain,” devastated by wars, illegal logging, and slash-and-burn agriculture, was an object of “civilizing process” to be transformed into the "green mountain" through rational planning by experts. Subjected to state governance and development due to continuous deforestation, Mt. Jirisan was framed as a national resource in a series of South Korean development plans, from the publication of the “Report on the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Chiri-Mountain Area” in 1963 to its designation as a national park in 1967. Within these development plans, experts such as Kim Heon-gyu linked local people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actor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establishing the logic that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parks in South Korea was an alternative for nature conservation through differential land use.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national alternative for nature conservation through differential land use.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national parks were an opportunity to attract international funding through the IUCN's environmental diplomacy and a symbol of the modern state that could support anti-communist ideology. Thu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stensibly claimed that the designation of national parks was for the “protection” of nature. However, contrary to the direction of IUCN's environmental diplomac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rather than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was determined to be in charge of national parks, and Mt. Jirisan was selected over other sites such as Mt. Seoraksan, Mt. Hallasan, and Hongdo Island. Mt. Jirisan was also discussed as part of the First Comprehensive National Physical Development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