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전문화가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원종(Won Jong Lee),이슬기(Seul Ki Lee)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3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증가는 안전사고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국내의 신규 인력의 유입이 매우 저조하여 무조건 배척하기 쉽지 않다. 이에 최근 고령 근로자 및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참여행동을 향상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안전문화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안전문화와 안전참여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에 따른 안전문화요소가 안전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모형을 검증은 IBM SPSS Statistics 28 통계분석 패키지를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전문화와 안전참여행동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안전문화가 안전참여 행동을 약 7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문화를 구성하는 경영진 리더십, 작업반장 리더십, 교육 및 제도, 작업환경, 의사소통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령 근로자의 근무비율은 안전문화요인들과 안전참여 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은 조절효과뿐만 아니라 안전참여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작업반장 리더십’과 ‘작업환경‘ 가 유의미했는데, 작업반장 리더십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이 높을수록 안전참여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상승되는 정도가 크며, ‘작업환경’은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이 높을수록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상승되는 정도가 작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문화가 고령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 increase in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is likely to lead to an increase in safety accidents, but it is not easy to exclude them unconditionally as the inflow of new domestic workers is very low. Accordingly, interest in the safety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has recently increas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efforts to reduce safety accidents customized for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safety cultur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afety participation movement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the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s was analyzed through an adjustment regression analysis.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safety culture factors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was investiga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uty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8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afety culture explained about 72% of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ll of the sub-factors (leadership of top management, Leadership of Lead Framer, Education and System, Work Environment, Communication) that constitute safety cultur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2)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orking ratio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 working ratio of elderly workers had no effect of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factors and safety participation 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foreign worker duty ratio had a direct effect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as well as a moderating effect. In particular, ‘Leadership of Lead Framer’ and ‘Work Environment’ were meaningful. As for 'Leadership of Lead Framer', the higher the ratio of foreign workers, the higher the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participation movement. In ‘Work Environment’, the higher the ratio of foreign workers, the lower the degree to which the positive effect on safety participation action increas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impact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participation action of elderly workers and foreign workers, and to propose a new approach to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 KCI등재

        중년여성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허은정,황재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Middle-aged Women’s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Eunjung Heo & Jaewon Hw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in middle-aged wome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27 middle-aged women across the country,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21.0 for data processing. As a result of the study, only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and the other three factors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only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ial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self-defense ambivalence, and the other three factors had no moderating effect. This means that the moderating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also shows that the social support that can be appli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ype is different. In other words, it was suggested that emotional support was effective for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and material support was effective for self-defense ambivalence. Key Words: Middle-aged Women,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ocial Support, Moderating Effect 중년여성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허 은 정**ㆍ황 재 원***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전국의 중년여성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를 위해서 SPSS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관계관여적양가성에는 정서적지지의 조절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세 요인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한편 자기방어적양가성에는 물질적지지의 조절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나머지 세 요인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결론 및 제언: 정서인식명확성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 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달라짐을 확인하였고 또한 정서표현양가성 유형에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지지가 다름을 보여주었다. 즉 관계관여적양가성에는 정서적지지가 효과적이고 자기방어적양가성에는 물질적지지가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핵심어: 중년여성,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 접수일: 2022년 11월 1일, 수정일: 2022년 11월 2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허은정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군산언어심리센터 언어치료사(First Author, Speech Therapist, Gunsan Language Psychology Center, Email: heunj00@naver.com)*** 교신저자, 군산대학교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unsan National Univ., Email: hjw504@kunsan.ac.kr)

      • KCI등재

        공유리더십이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 : 공감(compassion)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다차원 조절효과

        박진일,신제구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4

        In a knowledge-based society, knowledge is the core asset and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businesses. Compani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effectively create and utilize knowledge resources. However, knowledge hiding exists inside the enterprise, which hinders the innovation and growth of the enterp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as antecedents for reducing knowledge hiding, and to verify the multidimensional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326 office workers in various indust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irect effect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knowledge hiding was confirmed to have a negative (-) effect. Second, shared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on compassion, and compassion has a negative (-) effect on knowledge hiding, confirm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shared leadership reduces knowledge hiding of members via compass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and knowledge hiding. In particular, all multidimensional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ve justic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were confirmed, and interactive justice was relatively larger than distributional or procedural justice. Fourth,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in which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knowledge hiding through compassion is moderated by organizational justice was confirmed for each multi-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particular, the adjusted mediating index of interactive justice was relatively larger than distribution justice or procedural justice. This study identified that shared leadership of structural factors and compassion of personal factors ar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can reduce members' knowledge hiding. In this influence relationship, it has significance in expanding existing research and attempting new research to reduce knowledge hiding by moderating the multidimensional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s a boundary condi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지식기반 사회에서 지식은 개인 및 기업의 핵심 자산이자 경쟁력이다. 기업은 지식자원을 효과적으로창출하고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지식은폐(knowledge hiding)가 기업 내부에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은폐를 감소시키기 위한선행요인으로서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의 직접효과와 공감(compassion)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조직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의 다차원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다양한 업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3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유리더십과 지식은폐 간의 직접효과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유리더십은 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감은 지식은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공유리더십이 공감을 경유하여 구성원의 지식은폐를 감소시키는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공감과지식은폐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조직공정성의 다차원(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조절효과가 모두 확인되었으며, 상호작용공정성이 분배공정성이나 절차공정성보다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가 다차원별로 차별적으로 지식은폐를 완화시킨다는 것이밝혀졌다. 넷째, 공유리더십이 공감을 매개로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이 조직공정성에 의해 조절되는 조건부간접효과가 조직공정성의 다차원별로 모두 확인되었다. 특히, 상호작용공정성의 조절된 매개지수가분배공정성이나 절차공정성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조적 요인의 공유리더십과 개인적 요인의 공감이 구성원의 지식은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심리적메커니즘임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영향 관계에서 환경적 요인의 경계조건으로서 조직공정성의 다차원적효과를 밝힘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 지식은폐 감소를 위한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비행에 대한 비행친구와 일반긴장의 영향과 종교활동의 조절효과

        김도선,김연수 대한범죄학회 2020 한국범죄학 Vol.14 No.2

        Religion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deviant behavior among youths by developing youth identity, relieving psychological anxiety,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s well as moral guidance. Although there are little cases about the effects of religion in juvenile delinquency studies, the instability of adolescence is contributed to be a factor tha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is attempting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activities for delinquent friend association, general strain, and juvenile delinquency.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the fifth year of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nel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Findings indicated that differential association with delinquent peer, friends strain, and impuls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depression has negative effects. Although the general strain factor did not consistently contribute to juvenile delinquency, association with delinquent peer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n any other factor. Meanwhile, the study for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s reveals that religious activities had significant negativ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ity and juvenile delinquency(β=-.122, p<.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religious activities do not have a direct impact on juvenile delinquency, religious activities inhibit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coordination effects impulsive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This study discovered that certain theoretical insights that religious activities curb juvenile delinquency with moderating effects. The observation of this study would favor the interpretation that it has partiall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igious activities. It would enable some conclusions to be drawn abou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for future application of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s. It can present new measures for youth recidivism prevention programs by conducting in-depth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activities. The following research should prove the effective verification of the ongoing correctional programs of religious institutions. 종교는 청소년의 정체성 확립과 심리적 불안감 해소, 정서적 지지뿐 아니라 도덕적 지침을 제공해 일탈행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청소년 비행 연구에서 종교의 영향을 살펴본 경험은 많지않지만, 청소년기의 불안정성을 고려할 때 의미 있는 영향요인이 될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비행친구 접촉, 일반긴장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에서 종교활동이 조절효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의 초등학교 4학년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행친구 접촉과 친구긴장, 그리고 충동성이 청소년 비행에 정(+)적 영향이 있음을확인했고, 우울감은 부(-)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록 일반긴장요인이 일관되게 청소년비행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비행친구접촉은 다른 어떤 요인보다 중요한 청소년비행의 원인이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종교활동은 충동성과의 상호작용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확인되었다(β=-.122, p<.01). 이와 같이 종교활동은 청소년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청소년 비행과 정(+)적 영향을 주는 충동성 변인에 대한 조절효과를 통해 청소년 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종교활동이 청소년 비행을 조절 효과로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 중 일부를 확인했다. 연구결과를 통해 종교활동의 조절효과가 부분적으로 검증되었으므로 향후 청소년 비행 예방 및 억제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종교기관의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통한 종교활동의 특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청소년 재범 방지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외식경영연구」에서 조절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1998년 창간호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

        문성식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조절효과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검증방법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고찰하였고,「외식경영연구」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조절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동향의 추세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조절효과를 검증한 전체 논문 중 약 54%가 최근 5년 동안 게재됨으로써 외식경영 연구자들의 조절효과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더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둘째,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방법으로는 주로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비중이 소폭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로 사용하는 조절변수의 형태는 연속형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조절효과 검증 연구를 진행하려는 외식경영 연구자들에게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외식경영 연구에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가설설정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ype and verification method of the moderating effect were consider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s, And among the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to December 2021, analysis research trend of the papers tha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bout 54% of all papers tha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were published in the last 5 years, indicating that researchers studying foodservice management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moderating effect.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mainly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but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using structural equations is slightly increasing recently. Third, the form of the mainly used moderating variable was found to be continuous data.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hypothesis setting for the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in foodservice management research.

      • KCI등재

        생활체육참여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관리 그리고 정신건강

        박성무(Park, Seong-Moo),허진영(Huh, Jin-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self-management, and mental health of life-time sport participants by using SPSS macro PROCESS 2.13. Life-time sport participants(N=311) living in Seoul-si and Gyeonggi-do, data of perceived stress, self-management,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was collect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macro PROCESS 2.13 program, the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mediated moderation effect,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moderated direct effect) were analyzed. Through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bove, the results like below were obtained. First,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there were partially mediated effects of self-management.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was significant, and there were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s.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f-management and resilience was not significant on the mediated model, and there were no moderated mediation effects.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and there were the moderated direct effects.

      • KCI등재

        대학 내 창업교육이 창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제의 위치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노경훈,김춘광 한국경영교육학회 2022 경영교육연구 Vol.37 No.4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n universities, which is being active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to identify whet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ocus of control during the process display either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s. [Methodology]We assumed entrepreneuri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entrepreneurial attitude as a dependent variable, while inputting locus of control as mediating and moderating variables in order to identify its effects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attitude. [Findings]Entrepreneurial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attitude. Entrepreneurial edu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cus of control, and locus of contr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entrepreneurial attitude, thereby displaying mediating effects. Meanwhile, no moderating effects of locus of control were found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attitude. [Implications]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simultaneously verified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locus of control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attitude. Furthermore, this study display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the role of locus of control as an intermediate variable when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re revealed. [연구목적]본 연구는 국가의 적극적 지원 하에 수행되고 있는 대학 내 창업교육이 창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통제의 위치와 같은 심리특성이 매개효과 또는 조절효과 중 어떤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창업교육을 독립변수로 창업태도를 종속변수로 상정하고, 통제의 위치를 매개변수 및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어떤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그 외 지역 대학에서 직접 창업교육을 운영하는 담당 교수의 도움을 얻어 모두 224명 응답을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창업교육은 창업태도에 유의하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창업교육이 통제의 위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통제의 위치가 창업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창업교육과 창업태도 사이에서 통제의 위치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창업교육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를 뒷받침 한다. 또한 창업교육과 창업태도 사이에서 통제의 위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동시에 검증하고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창업교육 효과가 발현되는 과정에서 통제의 위치라고 하는 중간 변수의 역할을 확인했다는 점에서도 학술적․실무적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상사의 코칭행위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상사신뢰의 매개효과와 가부장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김미경,문재승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4

        Coaching is defined as a process that provides the knowledge, opportunity, and means necessary for an individual to grow. Coaching helps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ing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as such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goals. Recently, coaching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basic competencies of supervisors. In leadership theory, the supervisor’s behavior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eam members in terms of job performance and motivation. Abusive supervision, which can be regarded as negative behavior by the leader, has been reported to be an important cause of low job performance and poor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part of members. On the other hand, positive behaviors such as a leader’s authentic behavior and self-sacrificing positive behavior can make a positive change in the members’ job. In the same context, previous studies have described the positive effect of a leader’s coaching behavior on the members, but the effect of a leader’s behavior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leader and the members interact. In other words, previous studies deal with the direct effects of coaching, while research to identify the coaching mechanisms has been neglec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coaching behavior of the supervisor affects the affective commitment of the membe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ember’s trust in the supervisor in these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 parental leadership.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self-reporting survey of 242 employees working at domestic companies in various industrie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aching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This means that members who benefit from the leader can be more engaged in the organization. This is because members recognize leaders as representatives for organizations. Second, we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ember’s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and affective commitment. In other words, coaching behavior of the supervisor enhanced the trust of the members, leading the affective commitment of the member. Third, parental leader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and the affective commitment. Authoritarianism, a sub-factor of parental leadership,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and affective commitment. This finding is in lin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the leader's negative behaviors weaken the positive effect of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benevolence and moral character, sub-factors of parental leadership, show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and affective commitment. This implies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positive behaviors of leaders, such as coaching, may be greater depending on context variables such as leadership styl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ntributes to clarifying the mechanism of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 on performance. Second, it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visor and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possible moderator by exploring the variables that enhance or offset the coaching effect. While previous studies exploring the contextual factors of coaching behavior generally consider variables that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behavior,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opposite factors - i.e., factors that inhibit the effects of coaching behavior - in order to expand coaching theor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tresses the necessity of promoting coaching behavior among managers 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upervisor trust. It is no exaggeration to sa... 코칭은 구성원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식, 기회 그리고 수단을 제공해 주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상사의코칭은 구성원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나아가 조직이 추구하는 성과향상에도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 최근에는 상사의 기본 역량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상사의코칭행위가 구성원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코칭행위의 직접효과를 다루고 있을 뿐 코칭행위의 메커니즘을 밝히려는 연구는 빈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행위가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직접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구성원의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와가부장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연구를 위해 다양한 업종의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250명으로부터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 한 242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상사의 코칭행위는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행위와 정서적 몰입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상사의 코칭행위와 구성원의정서적 몰입 관계에서 가부장적 리더십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가부장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으로 보면 권위주의가 낮을수록, 자비심과 도덕성은 높을수록 코칭행위와 정서적 몰입의 정적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다. 본연구는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 부족했던 코칭행위의 영향과 관련된 매개효과와 상황변수의 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상사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코칭행위의 효과를 강화하거나 상쇄하는 변수를탐색함으로써 코칭행위의 상황변수 영역을 확장하는 데 기여한다. 실무적으로, 조직 정서적 몰입 확보 등구성원의 긍정적 태로 형성을 위해 상사의 코칭행위를 촉진할 필요성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구성원의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상사의 코칭행위의 긍정적 영향은 상사의리더십스타일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실증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소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각된 소비자효과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박미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variables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the ext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scale developed in Korea was used for sustainable consumption, focusing on multi-domain perspectives in the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consumers nationwide by quota sampling method, and the data collected from 616 consume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ustainabl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group of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marital status, and income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all sustainable consumption domains. In the domain of sustainable consumption, the environmental domain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social domain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marital status and income; economic domain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marital status, and incom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s on sustainable consumption, it showed highly explanatory power. The commonly influential variables in all domains of sustainable consumption were pro-environmental/pro-social self-identity,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environmental value, and time perspective of considering future. Most demographic variables didn't appear to be influential variables in all domains. Third, the variable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sustainable consumption in all domains. The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mediating effect were pro-environmental/ pro-social self-identity, time perspective of considering futur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self-transcendence value, and in particular, the self-transcendence value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variable appeared in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domain of sustainable consump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with sustainable consumption wer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market-based beliefs on climate chang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further expanded the horizon of the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stainable consumption by reveal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s well as the predictors of sustainable consumption.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consumers which are the main subjects with socio-cultural suggestions. 본 연구는 지속가능소비의 영향변수를 규명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광범위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변수들을 선정하였으며 지속가능소비는 환경, 사회, 경제영역의 다영역적 관점에 초점을 두고 국내에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국의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할당표집방법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한 616명의 소비자 응답자료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지속가능소비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결혼여부, 소득은 모든 지속가능소비 영역에 유의한 평균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소비의 영역별로 보면, 환경영역은 성별, 결혼여부, 학력, 직업, 소득이, 사회영역은 성별, 결혼여부, 소득이, 경제영역에서는 성별, 결혼여부, 직업, 소득이 집단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관련변수들이 지속가능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지속가능소비의 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친환경/친사회적 자아정체성, 지각된 소비자효과, 환경적 가치, 미래지향 시간관점이었다. 대부분의 인구통계변수는 모든 영역에서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매개변수인 지각된 소비자 효과는 독립변수와 모든 영역의 지속가능소비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매개효과가 나타난 독립변수는 친환경/친사회적 자아정체성, 미래지향 시간관점, 기후변화인식, 자아초월가치였다. 넷째, 마음챙김 변수의 조절효과는 지속가능소비의 환경영역과 사회영역에서 나타났다. 지속가능소비와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독립변수는 기후변화인식, 기후변화시장신념이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소비의 예측변수뿐만 아니라 지각된 소비자효과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지속가능소비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보다 확장시킨 점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소비를 위한 주요 주체인 정부, 기업, 소비자에게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유대강도와 합작성과의 관계에서 통제유형의 조절역할

        이원희,윤한성,김창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합작투자에 있어 파트너와의 유대강도가 합작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 대한 통제유형의 조절역할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제합작투자를 수행중인 136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제시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법과 평균변환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대강도는 합작성과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출통제는 유대강도와 합작성과의 관계에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정통제는 이들 관계에 조절역할을 하지 않지만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통제는 이들 관계에 유의하게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통제유형의 분석결과는 합작성과에 대하여 유대강도와 상호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tie strength and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joint ventures(IJV). Based on the social network theory and extant IJV researches two main hypotheses: the first is that tie strength has positive effects on IJV performance, and the other that control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e strength and IJV performance. 3 sub-hypotheses are drawn from the second main hypothesis; that is, types of contro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e strength and IJV performance. Control types are categorized as output, process, and social control. Sample of 136 IJV established among Korean and foreign firms is used for empirical tes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mean-centering method is adopted.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ie strength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IJV performance as expected. The empirical test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trol type shows complicated results. It shows that output control has neither direct effect on IJV performance nor the moderating effect. Process control has only the direct effect on IJV performance, but not moderating effect. Only the social control has both th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