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화주의적 통치성: 르네상스기 이탈리아 도시국가를 중심으로

        이동수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0 OUGHTOPIA Vol.35 No.2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is needed to analyze the matter of modern state. Foucault has first used the concept to integrate the complex meanings of governing with mentality. According to him, the modern governmentality has been developed with three steps, the Christian governmentality in the early modern era, the governmentality of nation-state in 17-18c, and the liberalist governmentality from 18-19c on. He has concluded human inescapability from governmentality with discourage. In my view, however, Foucault made a mistake in that he ignored another governmentalty, i.e. the republican governmentality, in which citizens constructed their own political community and succeeded in self-governing. In the republican governmentality, the virtue of citizens is more important than the leader’s quality and institutions. In sum, freedom, peace, rule of law, division of power, mixed government, common good, and patriotism are the constituents for the republican governmentality. Florence and Venice in the Renaissance are the good examples of the republican governmentality, with which contemporary liberal democracy may be complemented. 21c엔 국가를 단순히 정부(government)가아니라 다양한 층위와 형태를 아우르는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통치성은 푸코(Foucault)가 통치(govern)와 사고양식(mentality)을 연결시킨개념으로 통치의 성질이나 성격을 지칭한다. 그는 근대국가 초기엔 사목적 권력에 기반한통치성, 17-18c엔 국가이성과 규율적 권력에 근거한 국민국가적 통치성, 18-19c부터는 자유주의적 통치성으로 변화했으며, 인간은 통치로부터 자유롭지 않다고 본다.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 푸코는 르네상스기 이탈리아 도시국가의 공화주의적 통치성을 간과함으로써 통치성을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바라보았다. 공화주의적 통치성은 전근대 왕이나 사제가 사용했던 지배자가 피지배자를 돌보는 방식으로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공동체를 구성해 자기통치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도자의 자질이나 기구보다, 공동체의 정치적 가치와 이를 실현하는 제도그리고 자기통치의 주체이자 대상인 시민들의 자질과 덕성이 중요하다. 요컨대 자유, 평화, 법치, 권력분립, 혼합정, 공동선, 애국심등이 시민성에 기반한 공화주의적 통치성의주된 요소이다. 이것이 잘 작동한 예로는 피렌체와 베네치아가 있으며, 여기서 교훈을얻어 오늘날 자유민주주의의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과 정보통치성: 인공지능과 자동화 사회에 대한 알고리듬 통치성의 비판적 확장으로서 정보통치성

        박대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4

        The study seeks to critically reconstruct Louvre and Bern's algorithmic governmentality studies and Stigler's discussion on automated society in terms of knowledge, society and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According to Stigler, the hegemonic governmentality of an automated society is the algorithmic governmentality. The methodological knowledge of algorithmic governmentality is big 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 big data analysis, theories and norms come to an end. AI-driven recommendation algorithm that utilizes big data constitutes a profiled subject. The society formed by these subjects is an automated society in which all resistance is already preemptively resolved. In order to resist in such an automated society, de-automated performance must be restored. The study seeks to review algorithmic governmentality from a genealogical point of view to expand it into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The study's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ies and norms that lead to the loss of hegemony through big data analysis are social sciences compos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ferential statistics, not all theories and norms. Second, numerous de-automated practices are still involved in the stage of building infrastructure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form an automated society. However, this de-automated practice is nothing more than a counter conduct to an automated society. Third, the profiled subject, the main body of an automated society, has the potential as a governed but resisted entity. Fourth, by reconsidering algorithmic governmentality as a sub-form of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and establishing it in the genealogy of modern market liberal governmentality, the alternative can be presented as a paradigm shift of market liberal governmentality itself, not merely as a de-automation as a counter conduct. 이 연구는 루브루아와 베른의 알고리듬 통치성과 스티글러의 자동화 사회 논의를 정보통치성의 개념 아래 지식, 사회, 주체의 구성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스티글러에 따르면 자동화 사회의 통치성은 알고리듬 통치성이다. 알고리듬 통치성의 방법론적 지식은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이다. 빅데이터 분석 아래에서 이론과 규범은 종말을 고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추천 알고리듬은 프로필화된 주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주체가 구성하는 사회는 모든 저항이 이미 선제적으로해결되는 자동화 사회이다. 이러한 자동화 사회에서 저항하기 위해서는 탈자동화된수행을 복원해야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알고리듬 통치성 연구를 계보학적 관점에서 검토한 뒤 정보통치성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분석으로 헤게모니를 잃게 되는 이론과 규범은 모든 이론과 규범이 아닌 기술통계와 추리통계를통해 구성된 사회과학이다. 둘째, 자동화 사회를 구성하기 위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인프라 구축 단계에도 여전히 수많은 탈자동화된 수행이 개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탈자동화된 수행은 자동화 사회에 대한 대항품행에 그친다. 셋째, 자동화 사회의 주체인프로필 주체는 지배당하지만 저항하는 주체로서의 잠재력을 갖고 있다. 넷째, 알고리듬 통치성을 정보통치성의 한 형태로 간주하여 현대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의 계보학속에 자리매김시킴으로써 그 대안을 단순히 대항품행으로서의 탈자동화가 아닌, 시장자유주의 통치성 자체의 패러다임 변화로서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자본주의의 통치성과 세계경제위기

        한형근(Han Hyung Keun)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3 국제정치연구 Vol.16 No.2

        Michel Foucault explored that he called ‘governmentality’ or ‘rationality of government’ at the end of 1970"s. Foucault defined government as a form of activity aiming to shape, guide or affect the conduct of some person or persons. Governmentality or rationality of government means a way of thinking about the nature of the practice of government who can govern, what governing is, who is governed. Foucault applied this perspective of analysis to the different historical domains. Until seventeenth-century, governmentality associated with the idea of "reason of state" to establish the strong nation. In eighteenth-century, governmentality associated with the idea of liberalism for the purpose of security and prosperity of some person or persons. Recently, governmentality considered as a way of rethinking the rationality of government to keep the capitalism in the form of neo-liberalism. The changing notion of governmentality at the capitalist society is made by economic crises. Governmentality of "reason of state" was changed to the governmentality of liberalism by the notion that the state cannot control the market in that way we have to leave the market alone as it is. Governmentality of liberalism was changed to Keynesian economics and the principle of welfare state by the Great Depression in 1930"s. In 1970, neo-liberal hegemony was presented by the collapse of system of Bretton Woods. The crisis of sub-prime mortgage and European financial crisis have accelerated a shift in governmentality. The global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started in 2008 called into question the economic system of liberalization and deregulation of the capital that was managed by global financial agencies. In the present global crisis, will there be any radical changes? Nation-state feel obliged to move into the economy to repair the collapse of economic system done by unregulated capitalism. At the same time, the dominant international financial agencies have to adjust to a new balance of global capitalism in the global governance.

      • KCI등재

        푸코의 통치성 분석에 대한 기초적 고찰

        임미원 한국법철학회 2016 법철학연구 Vol.19 No.1

        The concept of the governmentality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discourse on ‘the political’. Foucault's works <Security, Territory and Population> and <the Birth of the Bio-politics> have become the common ground of the approach to ‘the governmentality’. Foucault investigates the genealogy of the governmentality in the light of the technology of power and the political rationality. Foucault introduces a differentiation between modern ‘state reason’ of 17C and ‘liberal governmentality’ of 19C. The modern state reason had focused on the perfection of the sovereignty and strengthening the state itself, whereas the liberal governmentality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and managing the social relations with their own regularities. Liberal government was concerned mainly with the natural process of population, market, social liberties and security. E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social liberties and the provision of security had played great role in the governmental practice. Liberalism as art of government can not do without the natural circulation of liberty and security. Following Foucault's analysis Ordo-liberalism in Germany and Neoliberalism in America have achieved the effective and successful form of political rationality. They have introduced the new strategy of the ‘liberal intervention of state’ and the new concept of ‘homo economicus’ and ‘human capital’, with that the natural circulation of things and men as population can be well conducted. Foucault defines government in that means as “the conduct of conduct”. In his genealogical analysis Foucault doesn't deny the ascendancy of neoliberal governmental rationalities. This makes the resistance to the neoliberal governmentality more skeptical and necessary. ‘정치적인 것’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서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푸코의 저작 『안전, 영토, 인구』와 『생명관리정치의 탄생』은 이런 통치성의 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디딤돌이 될 만하다. 자신의 저작을 통해 푸코는 ‘권력의 기술’ 및 ‘정치적 합리성’이라는 관점에서 서양의 통치성의 계보사를 그려 내고 있다. 무엇보다 푸코는 17, 18세기의 국가이성(state reason)과 19세기의 자유주의 통치성(liberal governmentality)을 구별하고, 이들은 각각 어떤 관심과 작동 방식에 의해 통치효과를 얻어 냈는지 분석한다. 국가 이성이 ‘주권의 완전성’과 ‘국가 자체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자유주의 통치성은 ‘통치의 효율성’이라는 차원에서 자체의 법칙에 따라 순환하는 다양한 사회관계들을 관리-조절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즉, 자유주의 통치는 인구-시장-자유-안전으로 이어지는 자연적-사회적 과정들의 순환에 관심을 두고, 특히 사회적 자유와 안전장치의 관계를 중시하였다. ‘자유’와 ‘안전’ 간의 상호조절-순환 없이는 통치의 기술로서 자유주의는 존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푸코의 분석에 따르면 20세기 독일의 질서자유주의와 미국의 신자유주의는 통치의 효율성 면에서 성공적인 형태의 정치적 합리성에 도달했다. 이들 두 통치 양식은 무엇보다 ‘국가의 자유주의적 개입’이라는 새로운 전략과 ‘호모 에코노미쿠스’ 및 ‘인간자본’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사물과 (인구로서의) 인간의 자연-본성적 순환을 이끌고자 했다. 이런 맥락에서 푸코는 통치성을 ‘행위의 행위’(the conduct of conduct, 행위의 지휘인도)라고 규정한 바 있다. 자신의 분석에서 푸코는 신자유주의적 통치 합리성의 우월함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대한 저항과 전복은 푸코에게 있어 회의적일 수밖에 없지만 그럼에도 진실을 위해 포기할 수 없는 실천이다.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통치성 : 푸코의 관점에서

        강미라 한국하이데거학회 2017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6

        This article aims to prospect the societal changes that big data brings, based on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According to him, governmentality does not means the power taken by certain classes or certain groups, but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ubjects.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can be used as a tool to consider various areas of social, political and ethical practices, from micro level to macroscopic level. Anyway, Big data is a kind of practic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overnance, and also an innovation that changes the usual statistics and realities. Big data has resulted in the sheer amount of qualitative changes resulting from the massive amount of data. Big data can figure out a population as a whole, as well as each individual. Analytic result of Big data can be applied to population as a whole and individuals. By big data, even unknowable things become objects of knowledge and parts of public things. This article, relies on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intend to figure out what the chara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neoliberal governmentality is and what the big data makes different of governmentality. Futhermore, this article intend to prospect what the change of governmentality by big data impact to affect subjects. 이 글은 푸코의 통치성 개념에 근거하여, 빅데이터가 가져올 사회적 변화를 전망하고자 한다. 푸코에게 있어 통치성은 권력을 가진 계급이나 그룹의 일방 적 권력 행사가 아니라, 다양한 주체의 권력관계의 효과 내지는 결과를 의미한 다. 통치성 개념은 미시적인 영역부터 거시적인 영역까지 우리의 삶을 둘러싼 사회적·정치경제적·윤리적 실천의 장을 다양한 층위에서 고찰할 도구로 쓰일 수 있다. 한편 빅데이터는 통치와 결부된 실용적인 지식인 통계학의 일종이자, 종래의 통계학과 현실을 뒤흔드는 혁신이다. 빅데이터는 그 방대한 양으로 인하여 통 계 자체의 질적인 변화까지 초래했다. 빅데이터는 전체로서의 인구뿐만 아니라 개인을 특정하여 파악하고 적용될 수 있다. 빅데이터로 인해 개인에 대한 정보 는 본인이 알지 못하는 수준까지도 공적 영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푸코의 통치 성 개념은 빅데이터가 변화시키는 거시적인 동시에 미시적인 변화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쓰일 수 있다. 본 논문은 푸코의 통치성 개념에 의존하여, 오늘날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특징을 밝히고, 빅데이터가 초래하는 통치성의 변화 및 빅데이터 시대의 통치성이 주체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으로서 정보통치성스타트업 담론의 계보학적 분석

        박대민 한국언론학회 2019 한국언론학보 Vol.63 No.2

        이 연구는 푸코의 통치성 연구의 관점에서 스타트업 담론을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의 계보학 위에 있는 정보통치성으로 이해한다. 정보통치성은 새로운 시장 자유주의적 주체와 수행, 시장과 사회를 담론을 통해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정보통치성은 스타트업 담론을 통해 주체는 스타트업으로, 사회는 한계비용 제로 사회로, 시장은 파괴적 혁신 시장으로 구성한다. 스타트업의 수행은 크게 창업, 개발, 성장, 혁신의 단계로 이뤄진다. 이 연구에서는 정보통치성이 적용된 실제 사례로서 2017년 미국 산호세에서 열린 페이스북 개발자 컨퍼런스 F8 2017의 키노트 스피치를 분석할 것이다. 페이스북은 공동체를 코딩 가능한 형태인 연결성으로 정의하고, 이를 구성하는 지식을 인공지능으로, 구성된 현실을 가상현실/증강현실로 개념화한다. 이에 따라 연결성은 통신망을 파괴적 혁신하는 아퀼라와 입력 장치를 파괴적 혁신하는 뇌파 인터페이스로, 인공지능은 누구나 쉽게 개발할 수 있는 개발 언어인 카페2와 어디에서나 쓸 수 있는 모바일 AI로, VR/AR은 페이스북 스페이스와 글래스로 구현된다. 정보통치성은 산업통치성과 금융통치성에 이어, 세계를 구성하는 새로운 원리로 제시되는 한편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에서 사회 자유주의 통치성으로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understands the startup discourse from the viewpoint of Foucault 's governmentality studies as an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on the genealogy of market liberal government.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is presented as a new principle that reconstrcuts the world, following industrial governmentality and financial governmentality.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construct a new market liberalist subject, performance, market and society through discourse. Specifically, informational governmentality consists of subject as startups, society as marginal cost society, and market as disruptively innovative market. The startups' performances are largely made up of stages of founding, development, growth and innovation. The study will analyze Mark Zuckerberg's keynote speech at the F8 2017, Facebook Developers Conference, in San Jose. Facebook's goal in keynote speech was 'building community' as social innovation on a global scale. This social innovation was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not manufacturing or finance. The community was reconfigured as a programmable form of connectivity.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w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drone, and the connection between a human and a machine was realized by an interface technique using an electroencephalogram. Knowledge for connectivity w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also worked on low-end smartphones. The community form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was realized in the form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 KCI등재

        Within or Beyond Governmentality? :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 Snowpiercer

        박상호,윤아름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5 외국학연구 Vol.- No.32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ad the film Snowpiercer as an allegory that illustrates the dystopian picture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spired by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ichel Foucault on power and governmental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econom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film’s engagement with the present neoliberalism, and interprets the revolution that the film suggests as a subversive resistance to neoliberalism. The basic setting of the film, the polarized sections of the train, allegorizes the extreme inequality of neoliberal capitalism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that operate to control social class-structures and to sustain the system. In the film, neoliberal power operates in three forms: the disciplinary power that manipulates the surplus labor force and the unemployed, the sovereign power that controls the protests, and the bio-politics that balances the population of society. These three dimensions of the operation of power can be integrated as neoliberal governmentality, which, on the one hand, controls the behavior of the people, and on the other, controls every relationship within society, thereby sustaining the system. Against this neoliberal governmentality, the film suggests two types of revolution. One is a Marxist resistance that aims to overthrow the governing system, but turns out to be subjugated by the neoliberal governmentality. The other opens up a new approach to resistance tha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life outside and beyond neoliberalism, where neoliberal governmentality is escaped.

      • KCI등재

        신자유주의 통치성과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

        박승일(Park, Seung-IL)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7

        이 글은 CPTED를 신자유주의와 ‘함께’ 읽어내려는 시도이다. 무엇보다 이 글은 CPTED의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CPTED와 신자유주의 통치성 사이의 친화성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신자유주의 통치성과 CPTED는 적어도 세 지점에서 교차 및 조응하면서 일정한 선택적 친화성을 형성한다. 환경 개입과 보험회계주의 그리고 주체의 자기 통치, 이 세 요소는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작동 원리이자 또한 동시에 CPTED를 움직이는 핵심 동력이기도 하다. 즉 신자유주의 통치 전략은 환경에 개입해서 범죄의 기회를 차단하는 형태로 그리고 보험회계적인 리스크 관리와 주체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형태로 시큐리티 확립의 실천들을 일상 속에 착근시켜 왔으며, 특히 이 가운데 CPTED와 같은 안전장치들을 적극 활용해왔다. 이와 나란하게, CPTED 또한 여기에 조응하면서 일상 환경의 설계와 범죄에 대한 사전적 예방관리 그리고 (규율이 아닌) 조절 메커니즘 등을 기본 골격으로 삼아 신자유주의 통치 원리를 물질적·제도적·기술적인 차원에서 현실화·구체화해왔다. 여기에는 인과관계는 아니지만, 그러나 분명한 친화성이 존재한다. 요컨대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확립과 이로 인해 열려진 시큐리티 합리성의 문제설정 위에서야 CPTED라는 장치가 지금과 같은 형태로 자리를 잡을 수 있었으며 또 이만큼의 성공과 확산을 이룰 수 있었다. 뒤집어 말한다면, CPTED는 자체의 원리와 메커니즘을 신자유주의의 통치 전략과 공명시키는 한에서만, 혹은 그 구조적 격자 속으로 편입되는 한에서만 포스트 케인스주의적 치안 활동의 한 줄기를 형성할 수 있었다. 신자유주의와 CPTED를 함께 읽는다는 것은, 그러므로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문제계 안에서 CPTED를 이해하고 정확히 이와 함께 CPTED로부터 신자유주의 통치 전략을 연역해내는 동시적 사유에 다름 아니다.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in a consideration of neoliberalism. More specifically, it deals with the mechanism for CPTED, which further investigates the affinity between CPTED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Neoliberal governmentality ha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CPTED and forms elective affinity in terms of three aspects: ‘environmental intervention’, ‘actuarialism’, and ‘governing the self.’ These factors are operating principles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and also the driving force of CPTED. In other words, strategies for neoliberal governmentality are to prevent crime opportunity by engaging in environments and to manage actuarial risks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ubject. These strategies have embedded the practices to establish security in our everyday lives and utilized dispositif of security such as CPTED. Similarly, by using everyday environment design, crime prevention, management, and regulation mechanism as basic framework, CPTED has realized and specified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 materi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In doing so, the affinity between neoliberal governmentality and CPTED -even though it is not causal relationship- plays an important role. Based on these establishment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and security rationality, CPTED as dispositif has achieved the current success and spread. In the other way around, CPTED can be considered as post-Keynesian policing by sharing operating principles and mechanism with neoliberal governmentality strategies or being included into neoliberal structural framework. Therefo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oliberalism and CPTED, CPTE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problematique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and at the same time strategies for neoliberal governmentality should be deduced from CPTED.

      • KCI등재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의 계보학

        박대민(Daemin PARK)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4

        푸코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연록이 출간되면서 특히 통치성 연구에 대한 관심이 문화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푸코의 통치성 연구는 1980년 이전까지 서구의 시장자유주의 통치성을 다룬다. 따라서 1980년대 이후에 대한 통치성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선결 질문이 제기된다. 첫째, 푸코 이후의 통치성을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 틀 안에서 분석할 수 있는가? 둘째, 설사 그렇다고 해도 이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이 1980년대 이전 것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가?이 연구는 푸코 통치성 연구에서 이론적으로 연구되지는 않았지만 1980년대 이후 금융통치성이 시장 자유주의 통치성으로 자리 잡아왔다고 주장한다. 금융통치성은 주체와 시장과 사회를 금융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통치하려는 합리성이다. 먼저 시장주체는 교환, 경쟁, 축적의 주체가 아니라 선호의 주체로 재구성된다. 이들의 행동은 효용함수가 아닌 가치함수에 의해 설명된다. 다음으로 시장은 더 이상 효율적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시장은 심리적으로 편향되어 거품과 공황을 반복하는 비합리적 시장이다. 셋째, 사회는 기술통계로 파악되는 전집으로서의 인구가 아니라 추리통계로 파악되는 표본으로서의 대중으로 간주된다. 넷째, 등급화는 주체, 시장, 사회에 대한 금융통치성의 개입술로 활용된다. 시장에서 개인, 기업, 국가는 신용등급체계를 통해 등급화되며, 사회 역시 등급화를 통해 시장과 접합된다. 요컨대 신고전학파 경제학과 안전메커니즘에 의존하는 기존의 신자유주의 통치성과 달리 금융통치성은 행동경제학과 심리메커니즘을 활용하는 진화한 신자유주의 통치성이다. 이 연구는 금융통치성에 대한 계보학적 분석을 적용한 금융통치성 연구로서, 금융문화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rgues that, since1980s, financial governmentality has been a market liberal governmentality which is theoretically unexplored in Foucauldian governmentality studies. Financial governmentality is governmental rationality utilizing financial mechanism to govern the subeject, the market, and the society. First, subjects are reconstructed by preference rather than exchange, competition or accumulation in the market. The value function has replaced the utility function to explain actions in the market. Second, the market is not efficient any more. According to the behavioral economics, the market is psychologically biased to repeat the panic and the bubble. Third, social subjects are now defined as not only the population in the descriptive statistics, but also the mass as samples in the inferential statistics. Fourth, grading is an intervention technology of financial governmentality. In the market, individuals, corporates, and countries are graded by the credit rating system. The society is articulated to the market by grading. In brief, financial governmentality is an evolved neoliberal governmentality using behavioral economics and psychological mechanism rather than neoclassicaleconomicsandsecuritymechanism to govern the market and the society.

      • KCI등재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본 한국 도시재생의 통치성과 영토화 전략

        정학성 ( Hak-sung Jung ),김숙진 ( Sook-jin Kim )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3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가 주창하고 푸코주의(Foucauldian) 연구자들에 의해 정교화 된 ‘통치성(governmentality)’의 시선은 도시재생을 신자유주의적 공간 전략 또는 탈개발주의적·탈신자유주의적 공간 전략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넘어, 시민들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협업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정부통치에 대한 비판과 저항을 최소화하고 국가와 사회의 안정적 유지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통치화(governmentalization) 프로그램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는 ‘세운상가일대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의 통치성이 영토화의 전략을 통해 대상 지역과 실천적으로 상호구성 됨을 보이고자 한다. 영토화를 통한 통치에 주목하는 이러한 관점은 도시재생이라는 통치담론과 프로그램이 국가공간 전체의 통치화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지역적 특성과 자율적 작동원리를 영토화함으로써 작동 배경과 통치의 대상을 마련하고 실천됨을 보여준다. Beyond understanding urban regeneration as neoliberal urban development strategy or postdevelopmental/ postneoliberal strategy, the governmentality approach allows us to see urban regeneration as a governmentalization program which aims to sustain the nation-state and civil societ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itizens’ autonomous and voluntary cooperation by minimizing their critiques and resistances to government.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focuses on how urban regeneration as a governmentalization program is constructed through the (re)territorialization strategy in the Sewoon Urban Regeneration Area, Eulji-ro. The governmentality approach with an emphasis on (re)territorialization help us reveal that urban regeneration as a governmental discourse and program arranges the subjects and spaces to govern by territorializing a specific locality and autonomous operation principles rather than aims for governmentalization of the whole stat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