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 핵문제와 반미운동 : 원인, 경과, 문제점

        심양섭(Shim Yang-sup) 북한학회 2008 북한학보 Vol.33 No.1

        북핵 관련 반미주의의 원인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정치 리더십, 둘째, 국제정치 구조와 미국의 대북강경정책, 셋째, 민족공조론, 넷째, 반전평화정서, 다섯째,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고양이다. 우선 김대중, 노무현 정부는 대북포용정책을 추진하면서 미국의 대북강경정책과 마찰을 빚게 되자 반미운동을 사실상 조장하고 이용하였다. 미국은 9ㆍ11사건 이후 반테러와 대량살상 무기 확산방지를 최우선시하면서 대북강경정책을 추진하였고, 이는 한국 반미세력의 강력한 반발을 초래하였다. 남한 반미세력은 북한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가운데 민족공조론을 앞세워 대미(對美) 대결의식을 고취하였다. 반미세력은 한국 젊은 세대의 반전평화정서를 자신들의 투쟁에 적극 활용하였다. 경제성장과 민주화로 인해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고양되면서 미국의 일방적인 대북강경정책에 대한 거부감도 높아졌다. 북핵 관련 반미운동은 2001년 조지 W. 부시 미 행정부가 등장하면서 본격화했다. 2000년 남북한정 상회담으로 온 나라가 남북화해 분위기로 들뜬 상황에서 부시 정부의 대북강경정책이 찬물을 끼얹었기 때문이다. 반미세력들은 특히 부시 정부가 미북양자협상을 거부한 채 미사일방어(MD)와 확산 방지안보구상(FSI), 북한인권법, 대북금융제재 같은 것으로 북한을 압박하는 것을 규탄했다. 북한이 2006년 핵실험을 강행한 뒤에는 미국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반대하는 운동을 주로 전개하였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후에는 북핵과 경협 연계 반대, 미국의 대북경제제재 철회, 미북과 미일 관계조기 정상화, 6ㆍ15선언과 10ㆍ4선언 실천, 대북포용정책 지속을 주장하며 반미운동을 계속 벌인다. 반미세력은 당초 1980년대 후반에는 반전반핵운동을 벌이다가 미국이 남한에서 모든 핵무기를 철수하고 거꾸로 북한이 비밀리에 핵을 개발한 사실이 드러나자 반핵 구호를 슬그머니 거두어들였다. 이틀은 언필칭 평화를 부르짖으면서 북한 핵 보유를 옹호한다. 남한 내에서는 국가보요법이 인권탄압법이므로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정하면서 북한주민과 탈북자 인권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북한이 개혁개방을 거부한 채 시대착오적 선군정치노선을 추구하는데도 한국 반미세력들은 마치 선군정치가 한반도에서의 전쟁 발발을 막는 최선의 정책인 양 찬양한다. As for the anti-Americanism in Korea related to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the leadership in domestic politics played a major role in the up and down of the anti-Americanism. As long as it is concerned about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both Kim Dae-joong and Roh Moo-hyun government did not take a pro-U.S. stance but pro-North Korea one, because both governments persistently conducted the sunshine policy(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which is very contrary to the policy of George W. Bush adminstration which played hardball toward North Korea. The two governments of South Korea tried to persuade U.S. to change the hard-line policy toward North Korea into a softer one. Whenever they failed to do so, they indirectly stirred up anti-American sentiment in domestic politics. These government has been sympathetic to public anti-American sentiments on many issues including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providing motivational and even financial support to anti-American groups and activities. The negative attitudes of leading Korean policymakers toward the Bush administration have resonated within the general public. And the logic of the mutual assistances of inter-Korean nations(minjokgongjo) also was an important factor of anti-Americanism related to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North Korea continually agitated for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onl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ns themselves,"" which resonated in the anti-American groups in South Korea. South, North, and overseas Koreans, most of whom are anti-American group members, regularly have held anti-American event at Seoul or Pyongyang, financially supported by South and North Korea government. The logic of the cooperation between all Koreans was coupled with the emerging Korean national identity, and the unipolar world order and the unilateral foreign policy of America, which intensified the anti-Americanism related to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 large majority of Koreans who have desired reconciliation with the North saw Bush"s approach as unilateral and high-handed. Much of the Korean public views the United States as an angry and mighty giant who does not care about its friends. Just after Bush addressed the statement of ""axis of evil"" linking North Korea to Iraq and Iran, 6 out of 10 Koreans did not agree with that idea. The unilateral policy of America toward North Korea threatened the Korean national identity, which strengthened the anti-American sentiment in Korea.

      • KCI등재

        일본인의 혐한의식

        조관자(Jo, Gwan-Ja)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 亞細亞硏究 Vol.59 No.1

        본고는 한일의 상호작용이란 관점에서 ‘혐한’ 현상을 고찰하고 있다. 2002년 한일월드컵 공동개최 당시에 일본에서 혐한의식이 싹텄다. 2005년 중국과 한국의 대규모적 반일시위와 맞물리면서 넷우익이 부상했다. 2012년 이후 확산된 혐한 분위기는 일본 내부의 정치적 계기와 대중적 심리 현상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그들이 중국과 한국의 ‘반일’과 호응하여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으로 실시간 연결된 환경 속에서 ‘반일’과 ‘혐한’은 서로 연결되어 나타난다. 2006년에는 한국의 인터넷 신문 <오마이뉴스>가 <오마이뉴스 재팬>을 창간했다. ‘시민참여 저널리즘’ 모델의 세계화를 시도했지만, 결과는 실패로 끝났다. 그렇다면 일본에서 ‘네티즌’이 아닌 ‘넷우익’이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고는 일본에서 시민과 민주주의의 개념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해석되어 온 역사에 주목한다. 그리고 냉전 붕괴 이후, 일본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욕구하는 심리가 ‘보수, 우익’ 성향으로 나타나게 된 역사적 배경을 고찰한다. This paper considers the phenomenon of anti-Korean sentiment in Japan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interaction with anti-Japanese sentiment in South Korea. This anti-Korean consciousness began to grow during the 2002 FIFA World Cup, which Korea and Japan co-hosted. The net-uyoku (right wing Internet users) later reacted to the large-scale anti-Japan demonstrations in South Korea and China in 2005. The anti-Korean sentiment which has been diffused since 2012 cannot be explained by only popular psychological phenomena and/or interior political motivation in Japan. That is because the anti-Korea movement in Japan has been working in concert with the anti-Japan sentiment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anti-Japanese and anti-Korean senti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nvironment of real-time connections on the Internet. The South Korean Internet newspaper OhmyNews launched OhmyNews Japan in 2006. They tried to establish a globalized model for “journalism of citizen’s participation,” but their efforts ended in failure.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desire for structural changes in Japanese society has been expressed most strongly by the conservatives and right wing. Why has an Internet right wing emerged in Japan? The concepts of citizens and democracy have been interpreted positively and negatively in postwar Japan.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y of those concept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nservative psychology.

      • KCI등재

        반(反)국가 정서가 우리나라 농산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 對중국과 對일본을 중심으로

        이병훈,윤영석 한국농업경제학회 2019 農業經濟硏究 Vol.6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pread of anti-national sentiment affects Korea's agricultural trade with China and Japan. For this purpose, ARDL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was us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anti-national sentiment variables with cumulative effect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anti-national sentiment has been shown to play a role as a impediment to agricultural trade. More specifically, at the rate of reaction of the anti-national sentiment leading to a reduction in consump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mported from Korea, the reaction rate of Japan was analyzed to be faster than that of China.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the decrease in consumption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anti-Chinese sentiment is much larger than that of Japanese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anti-Japanese sentiment in Korea.

      • Between Love and Hate: The New Korean Wave, Japanese Female Fans, and Anti-Korean Sentiment in Japan

        Ahn, Ji-Hyun,Yoon, E Kyung World Association for Triple Helix and Future Stra 2020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Vol.19 No.2

        Despite the enormous success in Japan of Korean popular culture, including TV dramas and K-pop, over the past few decades, anti-Korean sentiment in the country has become increasingly visible and intense. In this article, we examine how young Japanese female fans of Korean popular culture engage with the Korean Wave discourse while also engaging with―or, rather, disengaging from―anti-Korean movements and hate speech. Whereas previous scholarship on the Korean Wave has emphasized the power of active fans' agenc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fans who passionately and self-reflexively consume Korean popular culture understand and react to the growing anti-Korean sentiment in Japa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5 of these fans in their 20s and 30s, we show how they have navigated the discursive space between appreciation for Korean culture and anti-Koreanism in Japan.

      • KCI등재

        무너진 기대심리: 한국인의 반중 정서 요인 분석

        이민규 ( Lee Min Gyu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23 중국지식네트워크 Vol.21 No.-

        본 연구는 한국인의 대중국 기대심리와 반중 정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① 한국 내 반중 정서를 일으킨 분야별 주요 사건, ② 사건 영향의 지속성 여부, ③ 수교 당시 한국인이 가졌던 대중국 기대심리 유지 여부, ④ 대중국 기대심리와 반중 정서 간의 상관관계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인은 중국에 대해 ‘기대’와 ‘실망’이 혼재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수교 당시와 교류·협력 과정에서 품었던 중국 부상과 관련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됨과 동시에 일련의 사건과 이슈로 인해 부정적 인식이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지화’되고 있다. 분야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교·안보 분야에서 한국인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해서는 중국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북핵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 있어 중국의 ‘중재’ 역할을 기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2010년부터 발생한 일련의 사건과 이슈로 인해 중국에 대한 기대감이 무너지게 되고, 반중 정서만 극대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정치·경제 분야에서 한국인은 중국의 부상과 정치체제 및 발전모델에 대해 상반된 인식을 보인다. 사드배치 이슈가 발생하기 전까지 한국인은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기회’로 인식한다. 또한, 중국의 부상에 대해서는 여전히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의 리더십과 인권, 환경 그리고 전염병 등 정책에 대해서는 줄곧 부정적 인식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 분야에서 한국인은 중국의 문화부흥 정책을 역사 왜곡으로 인식하며, 역사·문화적 동질성에서 ‘비슷함’보다는 ‘다름’에 주목하고 있다. 동북공정에서 시작된 역사 갈등은 문화 갈등으로 확장되면서 ‘공유된 긴 역사’가 오히려 반중 정서의 심리적 근원이 되고 있고, 양국 관계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만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South Koreans' expectations of China and their attitudes towards China, focusing o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anti-China sentiment. Specificall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main issues in three fields --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 causing anti-China sentiment in South Korea? 2) How have these issues persisted over time, and what is their current status? 3) How have South Koreans' expectations of China evolved since 1992? 4)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expectations and anti-China senti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South Koreans' views of China are complex and multifaceted, characterized by a mix of expectations and disappointments. While many South Koreans have high expectations of China's rising economic and political influence, these expectations have been challenged by a series of events in recent years. For example, South Koreans expected China to serve as a mediator in dealing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in achieving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ut these expectations were not met and even exacerbated anti-China sentiment after events such as the Cheonan Sinking, the Bombardment of Yeonpyeong, the deployment of THAAD, illegal fishing and physical violence of Chinese fishing vessels and the declaration of the CADIZ. South Koreans' views of China's political regime are similarly complex. While economic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uth Koreans' views of China prior to China's economic retaliation against South Korea, South Koreans have expressed strong criticism of China's dictatorial government, human rights policies, environmental policies, and handling of COVID-19. Finally, South Koreans have expressed concerns about China's cultural renaissance policies, which they view as a distortion of history that focuses on uniqueness rather than similarities. These concerns are rooted in historical issues related to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ongoing debates about cultural identity and global culture standards.

      • KCI등재

        한류콘텐츠 이용정도가 중국인의 혐한정서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Hee-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이 연구는 중국 젊은이들의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의 한류콘텐츠 이용이 혐한 감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어느 정도이며, 한류에 대한 호감 및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혐한 감정에 미치는 이차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중국의 7개성의 11개 도시에 거주하는 10대 및 20대 남 · 녀 중국인들(695명)이다. 자료 분석결과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콘텐츠 이용이 증가할수록 혐한 감정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한류콘텐츠 이용이 많을수록 한류에 대한 호감도 높았고, 한류 호감이 증가할수록 한국인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에 대한 호감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뚜렷할수록, 중국인들의 혐한 감정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한류 호감과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한류콘텐츠 이용정도에 따른 혐한 감정의 증가 현상을 유의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각각의 매개 요인임과 동시에 이차 매개 요인임이 실증적으로 규명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함의를 모색하며 논의하였다.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effect of young Chinese’s consuming of Korean cultural wave contents including Korean TV drama, film, and K-pop on their anti-Korean sentiment; (2) the second-order mediating effects of both liking for Korean wave and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s.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695 chinese people between high-teen and 20’s, located in eleven cities of seven province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higher consuming of Korean cultural wave contents, the higher anti-Korean sentiment. Second, young Chinese, consuming more Korean cultural contents, show more liking for Korean wave. The more favor of Korean cultural content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s. The more liking for Koreans wave contests and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Koreans, the less anti-Korean sentiment. Therefore, it is proved that liking for Korean cultural wave contents and perceiving Koreans with a positive view are important mediator to reduce the anti-Korean sentiment.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above.

      • KCI등재

        반(反)한류 정책이 중국 내 한류에 미치는 영향

        황낙건(Rak-Gun Hw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6

        한류의 성공적인 진출 이후 대내·외적인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문화콘텐츠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며 미래지향적 결과에만 치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사회·문화적, 정치·외교적 배경으로 형성된 반한류 정책의 원인과 현황을 알아보고, 한류 문화콘텐츠의 중심인 한국 TV 드라마 수용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사전 인터뷰를 거쳐 직접 대면으로 설문지 250부를 진행하였으나 동일번호로 응답하거나 답변에 충실하지 못한 35부를 제외한 나머지 215부를 회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반한류 정책으로 인하여 한국 TV 드라마 수용 중단 상태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한류 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된다면 한국TV 드라마는 물론 한류 자체를 수용하는 상태가 중단될 것이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에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동양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동질감을 형성할 수 있는 TV 드라마 콘텐츠를 개발하고, 한국과 중국의 대중문화 유사성을 활용하여 양국 간의 사상과 정서를 공감하고 수용할 수 있는 TV 드라마를 제작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한국 문학, 음식, 패션, 뷰티, 게임 등을 활용한 콘텐츠 연구하고 개발하여 신개념의 한류를 등장시키는 것은 물론 제작 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는 지원 정책을 형식적이고 실적 위주의 관행을 벗어나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원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셋째, 중국 내 문화시장의 한류 문화콘텐츠를 규제하는 반한류 정책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컨트롤 타워를 강화하기 위하여 정치·외교적 ‘two track’전략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넷째, 4차 산업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다변화된 접근법으로 한류 문화콘텐츠를 수용하고 소비할 수 있는 문화시장을 개척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 산하 기관들이 독자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던 한류 관련 정책과 전략을 지양하고, 각 기관들의 기관장 협의회를 구축하여 통일화된 정책과 전략을 구축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of‘Anti-Koran Wave’ is the Chinese government and ordinary civilian, media, and broadcast officials, whether any patient threatens to spread in the mid 2000"s. Also improvement and responses to this crisis by seeking to‘Hallyu’ and‘K-Drama’, continue the work of the that is being aimed to develop. There"s craze for popular Korean culture with China as the center but its loosing influence from recent. Because of the interaction of the political·diplomatic·cultural elements from Anti-Korean Wave to arouse the Anti-Korean Sensibility. And China consumers of the Korean Wave are affecting to resist phenomenon in culture market. This has caused the Korean Wave and Korea"s all involved have hatred feeling, and it has a bad influence upon the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nd related field and come to a crisis for all culture industry. Chinese people came to look for something new and fresh as time went by and Chinese audience began losing interest in Korean-Wave. Chines government tried to protect their own culture using it as an opportunity and the first Anti-Korean Wave was born in this background. The biggest Anti-Korean action is "Hanhanryung"(prohibition order against hallyu) relating with a political issue such as "THAAD". Suddenly Korean TV Drama, shows and entertainers disappeared from Chinese TV. Chinese government can give pressure to Korean government for a short time but nobody can estimate when the political problem will be solved. If Chinese government persists in prohibition of Korean Wave related things, it will bring damages on Chinese culture progres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와 중국(中國)의 반한(反韓) 정서(情緖)

        임상훈 ( Sang Hun Lim ),허재철 ( Jai Chul Heo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건지인문학 Vol.13 No.-

        By the modern and present the Korean-Chinese relations which were severed show activity as never befo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Clos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are reaping a great success in many fields such as not only economy but also cultural and private exchanges. However, there are a lot of dissonance in the rear of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The historical disput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hich has become an issue after ‘Gangneung Dano Festival’ of South Korea was designated as world Cultural Heritage in 2005, were provoked into anti-korean sentiment in China. Even now many Chinese people consider that Korea plunders Chinese culture. Thus, the paper examines ‘Korean Genesis Theory’ which mainly disclosing chinese anti-korean sentiment in Korean-Chinese historical disputes. Even though most of the claims have been turned out fabricated falsehood by certain Chinese, these claims have already spreaded throughout many Chinese, and distorting the image of Korea. Next, it analyzes the phenomenon of anti-Korean sentiment, and tries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Through the past history, it also looks for the origin of the historical disput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inally, it suggests several proposals for resolving Korea-China historical disputes and conflicts.

      • 한류의 대만 진출 역사 및 대만인의 한류 인식

        곽추문(郭秋雯)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7 No.11

        The history of Korean Wave in Taiwan can be roughly categorized into four stages: initial stage, developing stage, prosperous stage and popularizing stage. From the late 1980s to the late 1990s, Korean singers started to make appearances in Taiwan. This stage can be defined as the initial stage. From the year 2000 to around 2006, Korean drama took the lead in the Korean Wave and makes great achievements in the developing period. Later on, Korean Wave’s prosperous stage is dominated by the K-POP force. From then on, with all the Korean brands and products circulating in the Taiwanese market, the Korean Wave eventually reaches its popularizing stage. With the understanding of Korean Wave’s history in Taiwan, it shows that not only Taiwanese people are gradually taking a liking to Korean culture but are also getting more and more familiar with it. However, many Taiwanese have mistaken the content of Korean Wave for the Korean culture itself. Thus, this misunderstanding has become a great obstacle for people to understand the authenticity of Korean culture. In addition to the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in Taiwan, there is also a development of Anti-Korean sentiment. This sentiment does not only pose as an obstacle between Taiwan and Korea’s communication but also brings about negative influences. The dispute and contradiction between Taiwan and Korea is not to be solv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nevertheless, finding solutions for improvement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대미인식 변화에 관한 분석 -반미감정을 중심으로-

        오창헌 ( Chang Hun Oh ) 대한정치학회 2015 大韓政治學會報 Vol.23 No.4

        본 연구는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반미감정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국민의 대 미인식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대미인식에 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기존 연구들 의 이론적.방법론적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반미감정 관련 인식들이 다양한 국내외적 요인들 및 구체적 사건들과 어떻게 결합되면서 변화해왔는지 살펴보기로 하는데, 특히 대미인식이 한국정치체제 세 영역(국가, 정치사회, 시민사회)의 변 화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또한 연구방법에 있어 서 반미감정의 개념적 다차원성을 강조하고, 그로 인한 대미인식의 이중성 및 모순성 을 분석하며, 대미호감도 조사에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2점 척도 외에 3점 척도와 4 점 척도 등 대미인식 분석에 있어서 유용한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이 간과하거나 무시했던 점들을 보완하고자 한다. 한국에서의 대미인식 악화는 탈냉 전과 민주화라는 국내외적 큰 흐름 속에서 국가, 정치사회, 시민사회의 영역에서의 변 화, 미국과 한국에서의 정권 교체,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한국과 미국 간 인식 차이 증가, 미국의 일방주의에 대한 불만, 그리고 특정한 사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그러나 2003년 이후 대미호감도의 급상승은 2000년대 초반 한국의 반미감 정이 뿌리 깊은 반미주의 보다 정책적 차원의 반미정서가 많았음을 보여준다. 대미인식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반미감정의 다차원성 및 가변성을 강조하고 대미인식의 이중성 및 모순성으로 지적된 부분들에 대한 체계적 분석의 중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tensively utilizes public opinion poll data to analyze the changes in Korean views of the U.S., focusing on anti-American sentiments, particularly since the early 2000s. The paper points out that anti-American sentiments in Korea have been affected by the complex historical interactions of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variables including post-Cold War atmosphere, Korean democratization, and the government changes in Korea and the U.S., as well as specific events. While taking a disaggregated approach to the analysis of recent Korean views of the U.S., the paper examines how the diverse domestic and external factors have interacted with the changes in the arenas of civil society, political society, and the state of the Korean polity, diversely affecting Korean attitudes toward the U.S. including anti-American sentiments. The paper argues that previous studies tend to overemphasize anti-American sentiments in Korea in the early 2000s, and as a result, did not expect the increase in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U.S. since 2003. The paper points out that understanding the multidimensionality and variability of anti-American sentiments in Korea is important in analyzing the rise and fall of anti-American sentimen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