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청소년 정책참여모델에 관한 현장의 목소리들

        김윤나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y of Korean youth participation model in the institutional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organization and present practical and policy tasks based on it. For this purpose, nine youth worker and four youth in-depth interviews with snow-balling were conducted for about four months from May 19 to September 23, 2017. Participatory organizations that have participated or participated in past activities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experiences of growt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ctivities of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ctivity period of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s, Opinions, limitations on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ways to activate the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alistic participation model of Korean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organization is a model of participating in youth policy that combines the temporal form with the horizontal type non - stratification model rather than the vertical for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are decision-making with youth-led and adult decision-making at the final stage of the youth policy participation model, but the final decision is made by the adult, and the young people do not want to engage in activities that exclude adults. And support and advocacy in the latter period. Attempt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promote the activities of the Youth Special Committee, the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 and the Youth Management Committee. 본 연구는 제도적 청소년정책 참여기구 활동에서 한국형 청소년참여 모델의 이론을 실질적으로 검증하고 이에 기반한 실천적,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실시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눈덩이표집(snow-balling)을 통한 심층면접(in-depth)으로 2017년 5월 19일 ~ 9월 23일 약 4개월에 걸쳐 실무자 9명과 청소년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접지를 통해 자신이 현재 참여하고 있거나 과거 참여한 경험이 있는 참여기구, 참여기구 활동에 대한 자타공인의 성장, 발전, 평가 경험, 지금까지 청소년참여기구의 활동 기간, 개인 경험에 따른 참여모형에 관한 의견, 참여기구에 대한 한계점,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한국형 청소년정책참여기구의 참여수준 모델로는 수직적 형태보다 수평적 형태의 비계층화 모델로 시기적인 형태를 결합시킨 모형이 현재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청소년정책참여 모델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정책참여 모델의 마지막 단계에서 청소년주도 및 성인과 의사결정을 공유할 수 있으나 최종 결정권은 성인에게 있으며 성인을 배제한 참여활동을 청소년들은 원하지 않고 초기에는 정보제공과 어느 정도의 leading, 중기에는 격려와 지지, 후기에는 지원과 옹호의 과정을 원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각각의 참여기구별 속성과 청소년정책참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등이 모색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회 참여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아영,장여옥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8

        본 연구는 청소년의회의 설치 및 운영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설립한 청소년의회를 중심으로 청소년의회 참여경험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운영 중인 어린이‧청소년의회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의원 13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연령이 높을수록 청소년의회 참여기간이 길었으며, 높은 수준의 부모관계를 형성한 청소년이 높은 공동체의식을 보였다. 둘째, 성별, 청소년의회 참여정도, 청소년의회 참여만족도가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쳤지만 청소년의회 참여기간, 월 참여횟수, 의사결정권한은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의식의 하위영역별 결과에서 청소년의회 참여정도가 적극적인 청소년, 청소년의회 참여만족도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구성원의식, 상호영향의식, 정서적 연계, 공익추구적 태도가 높았다. 또한 청소년의회 참여만족도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사회적 참여의식이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참여와 권리를 확대할 수 있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의회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youth council participation experience on sense of community, focusing on youth councils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at a time whe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youth councils is expanding.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37 youth council's participatio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Older youth showed a long period of youth council participation, and youth who had a high level of parental relationships showed high sense of community. Second, while gender, youth council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youth council participation affected the sense of community, the duration of youth council participation, the number of monthly participations, and decision-making authority did not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Finally, youth with active participation, and youth with higher satisfaction with youth council participation had higher membership consciousness, mutual influence consciousness, emotional connection, and public interest seeking attitude. Also, youth with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youth council were more likely to be conscious of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 plan to revitalize the youth councils by local governments was suggested to expand the participation and rights of youth.

      • KCI등재

        Youth participation in Democratic Politics: Impediments and prospects

        Balaganapathi Devarakonda,Nidhi Jarwal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2 남아시아연구 Vol.27 No.4

        Democracy is the most preferred form of government in the contemporary world as it facilitates citizens'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is considered its strength. The fundamental definition of democracy, "the rule of people," highlights that every citizen, irrespective of social, gender, or cultural differences, is both the ruler and the ruled simultaneously. One of the significant segments of the population of every democratic state is its youth. As youth is considered the country’s future, possessing a substantial segment of youth is ideal for a vibrant, dynamic, and developed country. Today youth is doing wonders in most fields like sports, entrepreneurship, information technology, administration, and so on, but remain underrepresented in politics in many world countries. Therefore, this paper analyses the place of youth at different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mocracy as they represent the future of national and global politics. The paper aims to study the value of youth in the politics of democratic states and to estimate the hurdles in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individual obstacles, social and cultural concerns, problems of political institutions, and issues of civic education. To make a long-term difference, young people should have adequate representation in political institutions, processes, and decision making. The methodologies that this paper adopts are analytical and exploratory in assessing the place of youth i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explicating the causes for their underrepresentation in politics. It provides a citizen's perspective to understanding politic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mocracy. It assesses various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analyses youth participation in them. The basic argument of this paper is youth is indifferent and apathetic to politics. They are not involved in formal political participation, so they are absent in formal politics, political institutions, and decision-making. The need to make youth aware of their rights and duties and improve their representation in politics in a meaningful way is stressed in the discuss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aper are: What are youth's place and role in political participation? Are young people indifferent to politics? Why do young people not get opportunities to be involved in formal politics? What are the reasons for the underrepresentation of youth in politics? This study responds to these questions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youth in democracy. This paper is structured in three sections. The first discusses ‘the meaning, role, and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second, with ‘youth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o analyse the place of youth in politics and discuss reasons for improving the same. The paper’s third section deals with the obstacles youth face in political participation, followed by a conclusion that provides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youth participation in democracy.

      • KCI등재

        청소년 정책참여 실태와 활성화 방안-청소년 정책참여 기구를 중심으로-

        최창욱,조혜영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정책참여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더불어 청소년참여기구(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소속 청소년 7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교차분석, ANOVA 등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들은 다양한 경험을 통한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참여기구에 참여하고 있었고, 참여기구에 대한 성취기대수준과 행정기관·부모·지도자의 참여활동에 대한 지원, 참여기구 활동에 대한 만족도 등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참여를 통해 공동체의식 확대, 자부심 확대 등의 긍정적인 변화와 더불어 공부시간 부족, 의제를 정책화하지 못한 허탈감 등을 느끼고 있었다. 참여의 애로사항은 시간부족,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활동정보 부족의 순이었다. 앞으로 청소년 정책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참여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과 홍보 확대, 청소년정책 관련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청소년참여 의무화 및 각종 위원회에 청소년참여 할당제 도입, 청소년정책과 학교정책의 연계 강화, 다양한 지원 및 네트워크 구축 및 평가체제 확립 등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youth participation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o explore how to facilitate youth participation further. In order to do th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questionnaire methods were adopted. Surveys were distributed to 719 youths participating in youth participating organizations including Presidential Youth Congress, Youth Administration Committees and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s. The study results are the following: the main purpose of youths' participation was self-development through various experiences; nonetheless, it is not so high with regard to their own achievement expectation, the support level of administrators, parents and youth workers, and their satisfaction of activities in the committees. Also,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activities bring in both positive changes such as increa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and negative effects in terms of shortage of study time and limitation of activating policy agenda into actual policy. Their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clude lack of time, recognition, and information on the activities. In order to activate youth policy participation further, we need efforts on the overall change of social atmosphere, dissemination of publicity, obligation of youth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related with youth policy, youth allocation system in the related committees, strong cooperation between youth policy and school policy, enhancing supports, building networks, and establishing evalu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청소년 정책참여 수준과 세대 간 차이 비교연구

        손의숙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4 No.2

        This study aims at encouraging youth being regarded as the identical personality into taking an active part i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studying the generation gap in regard to their activity and level for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t can be regarded as a main element to transfer to their successful adulthood that they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gress of proceedings in the various sphere in which related to their liv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youth(15-20), the twenties(25-29). the thirties, the forties and the fifties and the results follow; First, the level classified by stages of youth's experience i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ndica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according to adult's invitation for which they don't know well the details of their political activity and their appeasement participation according to adult's decision of final policy in which they perform their regular role.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which youth experienced indicated that youth had participated in ‘governmental formal evaluation group’ and in such as an advisory organ as youth representative and had stated their views. Second, it indicated the generation gap about the level of a desirable youth's political participation that youth and the fifties expect the level of youth's active participation in which youth share political decision with adult as an equal subject, the twenties, the thirties and expect the level of accompanying participation in which adult on their own initiative prepare for and share youth with proceeding decision. Finally every generation thought about the desirable types of youth's political participation that youth expected ‘a proposal for proceeding in the step of a political project’, youth, the twenties, the thirties and the fifties expected ‘the support of a youth policy in operation’ and the fifties expected ‘the evaluation of a political effect’. 본 연구는 청소년을 주체적 인격체로 간주하고 청소년 정책참여 활동의 수준과 유형에 대한 세대 간 차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 정책참여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청소년 정책참여 활동은 그들의 삶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에서의 의사결정과정에 직․간접적인 참여활동으로 성공적인 성인기로 이행하는 핵심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 세대(15세 이상 만 20세 미만), 20대(25-29세), 30대, 40대, 50대 89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경험한 정책참여의 단계별 수준은 ‘내용은 잘 알지 못하지만 성인의 권유에 의한’ 수동적 참여, 청소년이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최종 정책의 결정은 성인’이 하는 유화적 참여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경험한 참여의 유형은 ‘정부의 공식적 평가단’ 활동과 ‘자문회의 등에 청소년 대표의 자격으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는 활동유형에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바람직한 청소년 정책참여의 수준에 대해 청소년 세대와 50대는 ‘청소년이 동등한 주체로서 참여하고 정책결정은 성인과 함께 공유’하는 능동적 참여 단계를, 20대와 30대, 40대는 ‘성인이 주도적으로 준비하되, 의사결정은 청소년과 공유’하는 동반적 참여단계를 기대하고 있어 세대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바람직한 청소년 정책참여 유형은 각 세대별 동일하게 ‘정책계획 단계에 의견 제안’을 가장 우선순위로 기대하고 있었다. 다음 순위로는 20대, 30대, 50대는 ‘시행중인 청소년정책 지지’를, 40대는 ‘정책효과 평가’를 바람직한 참여의 유형을 기대하고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참여 경험이 자기표현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 자치활동 및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황여정(YeoJung Hw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청소년참여 경험이 중ㆍ고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참여기구 및 학급회의, 학교운영위원회 등 학교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자치활동 참여 경험을 비롯해 사회문제 참여 경험 등 다양한 청소년 참여활동 경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7 한국 아동ㆍ청소년 인권실태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데이터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참여 경험은 중ㆍ고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으로, 소수의 청소년이 참여하고 일회성으로 경험하는 청소년참여기구보다, 학급회의처럼 다수의 청소년들이 일상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자치활동의 긍정적 효과가 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학생자치활동의 경우에도 참여 여부 자체보다는, 자유로운 의사발언이 보장되는 등 실질적인 참여 환경이 조성되었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참여 활동의 긍정적 효과를 확산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such as youth self-governing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on self-expression cap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Status of Right of Children and Youths in Korea in 2017」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reflect various aspects of youth participation, for example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 students’ self-government activities such as class meeting, and other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not only participation or not, but also the mode and level of participa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various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youth participation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ect depending on the mode of participation. The atmosphere of free class meetings helps to improve self-expression skills.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unfree class meeting atmosphere had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self-expression ability than not having class meeting.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only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positive aspects of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argued that more youth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 KCI등재후보

        청소년 참여활동의 성과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 : 청소년참여기구 청소년들과의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조혜영,최창욱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1

        This study discussed what the youths who are doing participation activities think that the positive effects and the obstacles and limits of their participation are, and in what ways they can further facilitate youth participation. Especially for this, we attempted to reveal the voices of youths who were active in participation organizations mainly focused on policy decision making. Previous studies on situation and effects of youth participation were mostly based on quantitative data using standardized indicators. Thus, we have difficulties of figuring out the details and vividness of youth participation effects and limits, told directly by youths themsel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present unique voices behind the quantified indicators. For th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youths who are participating in youth administration committees, youth participation committees, and presidential youth congress. The positive effects of youth participation were told network building and sharing interests, increasing achievement, improvement of expression and persuasion skill. The obstacles of youth participation were school atmosphere, entrance exam, lack of creative thinking from cramming instruction, limited autonomy, budget, conflicts between youth participants and hierarchy among the organizations. The ways of facilitating youth participation were suggested youth participants' active coping, increasing publicity, liaison with education policy and change of adult recognition. 이 논문은 참여 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참여활동에 대해 어떠한 성과를 인식하고 있으며, 참여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요인 및 한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나아가 청소년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참여 활동 중 정책 참여에 초점을 맞추어 참여기구 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견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기존의 청소년 참여활동 실태와 성과에 대한 논문들이 계량화된 지표를 통한 양적연구들이어서 청소년들이 스스로 느끼는 성과와 한계에 대한 구체성과 생생함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화된 지표 이면에 내재된 개별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운영위원회,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특별회의에 참여하고 있는 15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청소년 참여활동의 성과로는 네트워크형성 및 관심분야공유, 성취감, 표현능력 및 설득력 등이 향상되었다고 지적되었다. 청소년 참여의 장애요인은 학교, 입시, 학업, 주입식교육으로 인한 창의성 부재, 제한적 자율성, 예산 문제 및 참여자들간의 갈등 및 조직간 위계를 들고 있었다. 청소년 참여 활성화 방안으로는 참여기구 청소년들의 능동적 대처, 홍보 활성화, 교육정책과의 연계, 성인들의 인식 개선이 제안되었다.

      •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모형개발 연구

        황여정,전현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 참여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운영 모형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여기에서 개발된 모형의 운영을 지원하는 정책영역과 정채과제를 도출함으로써, 지역사회 참여 모형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법령 및 정책 분석, 사례 분석, 설문조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청소년참여의 이론적 모형을 검토하고, 지역사회 참여의 범위와 유형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사회 참여 모형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법령 및 정책 분석을 통해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와 체계를 검토하고, 그간 추진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에서 추진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사례 중 대표적인 사례를 선별하여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수 사례로 선정된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청소년이 주도하는 활동들이었고, 청소년 참여가 실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들을 마련해두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스스로 참여 활동을 이끌고 의사결정을 해나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지역사회 참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참여 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는 참여 활동의 종류와 형태, 참여 경로, 참여 동기 등 기본 정보, 참여 활동의 운영 방식 및 의사결정 공유 수준, 참여 경험에 대한 평가, 지역사회 참여 관련 욕구 등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상술한 선행연구 검토, 법령 및 정책 분석, 국내·외 우수 사례 분석, 실태조사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해, 일반적·다수 참여, 실질적 참여, 일상적 참여를 모형 개발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모형 개발의 원칙으로 청소년 주도 의사결정, 프로젝트 기반(Project-based) 참여 활동, 범용 모형의 개발, 포괄적 의미의 사회참여, 단계별 적용 가능한 모형 도출 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 방향과 원칙에 의거하여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기에서 도출한 모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가 활성화 되도록 정책 추진 근거를 강화하고, 기존 정책을 수정·보완하여 청소년참여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며, 청소년들의 지역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학교 교육과 연계를 강화하고,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의 실질적 영향력을 확보하며,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for vitalizing youths’ participation, and, based on it, is for developing and supplying practical operation model which can be applied on the field. Moreover, by deducting political domain and task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developed model, it is for constructing the environment where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can be operated effectively. To achieve the object effectively, this research used various research method including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alysis of examples and survey to conduct the research. First of all, it examined theoretical model of youths’ participa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on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checked the realm and types of the participation; and deducted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Also, it examined legal basis and system of policy enforcement through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d it analyzed the result and limitation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policies that have been enforced. Next, it selected representative examples among examples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enforced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conducted case analysis. As a result, the examples selected as excellent ones were activities led by youths, provided various devices for youths’ participation to be continued to the real change and constructed system where youths can lead the participation and make decision.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conducted survey of youths who have participated and onsite specialists to grasp the reality of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Main contents included basic information such as types and forms of participation activity, route of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of participation; operation methods of participation activity; level of decision making sharing; assessment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and desire for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Also, by putting all results of advanced research examination, analysis of legislations and policies, analysis of excellent examples internal and external and the reality investigation that were written above together,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was developed. For developing the model, genera l・major participation, actual participation and daily participation were set as the basic direction of model development, and youth initiative decision making, project-based participation activity, development of general model, social participation in comprehensive meaning and deduction of model that can be applied by stage were set as rules of model development. Also, based on these direction and rules, youths’ participation model was developed. Finally, to construct the environment where the deducted model is effectively operated and to vitalize youths’ participation, it suggested to reinforce the basis of policy enforcement, converse paradigm of youths’ participatio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existing policy, reinforce connection with school education for expanding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chances, secure the actual influence of youths’ participation and reinforce the infra for vitalizing youths’ community participation.

      • KCI등재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로 -

        주성숙 ( Joo¸ Seong Suk ),김정일 ( Kim Jeong Il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1

        목적: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로 한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청소년들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이용하기 편리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 청소년시설 중 30개 시설을 선정하여 청소년지도사 279명과 선정된 기관에서 최근 6개월 내에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 중인 청소년 3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지도사가 인식하는 만족도에 대하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총58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가설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두 채택 되었다. 둘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관계에서 변인간 모두 양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의 자아인식은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직무자체와 동료가 가장 높았다.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상관관계에서는 투명한 관계성이 프로그램 만족 ,시설 만족, 지도자 만족 모두에서 높았다. 또한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직무자체와 보수, 시설 만족과 지도자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는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에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은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적 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의 영향력 보다는 청소년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가 훨씬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authentic leadership on the satisfaction of the youth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youth instructor's perception satisfaction as a medium. Methodology: Youth centers, youth culture centers, youth activity promotion centers, and other youth facilities that are easily accessible are selected, and 279 youth instructors and selected institutions have participated in or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in the last 6 months. It was conducted with 308 youths who are in the process. Findings: A total of 5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a measuring tool for the authentic leadership of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th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perceived by youth instructor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dopt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e effect of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on the perception satisfaction of the youth instructor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ting youth.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elf-awareness of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youth facility was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elf and colleagues of the youth leader's satisfaction with the perce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youth facilities' authenticity leadership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youth'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facility's satisfaction, and the leader's satisfaction with the transparent relationship, and the job and the remuneration's satisfaction with the leader'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awareness satisfaction of youth leader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Thirdly, the results of the sobel-test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ccurate verification of how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youth lea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the youth facility and the activity participation youth satisfaction level,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youth leader was significant and played a parti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uthenticity leadership and the activity participation youth satisfaction level. Conclus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leader and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representatives of youth facilities were the main predi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Also, based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it was also shown that the awareness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leader interacting directly with the youth rather than the authenticity of the youth facility's representative.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youth facilities representatives interacted with the youth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hrough this research, the influence of the representative's authenticity leadership in youth facilities on the satisfaction of youth participation and awareness among youth leaders was know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 prior study that was handled directly, so, various youth facilities presented authenticity leadership considering representatives and middle managers.

      • KCI등재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박가나 ( Ga Na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시민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외연이 확대되어 가고 있는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해 청소년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행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지도, 청소년 참여활동 전반에 대한 인식 그리고 자신이 직접 경험한 참여활동에 대한 평가와 관련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534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행 참여활동 목록 대부분에 대해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는 등 청소년들은 실제 참여활동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했고, 참여경험을 묻는 질문에도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 외의 참여활동에는 경험이 많지 않아 참여 경험이 특정한 활동에 편중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응답경향은 성적, 성별, 사회과의 흥미 등 청소년들의 배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성적이 높을수록, 사회과에 대한 흥미가 높을수록 그리고 여학생이 참여활동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후 만족도에 있어서도 참여 동기나 기간, 참여과정 중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청소년 참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에게 참여활동에 대한 접근 기회를 늘릴 수 있는 지지기반의 확대와 다양성 확보 노력이 더욱 요구되며 이와 함께 그 활동이 청소년들의 실제 욕구와 생활을 반영한 의미 있는 것이 될 수 있도록 활동 내용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th`s perception of ``youth participa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it in Korea, in order to propose better strategies for youth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534 youth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provided concrete statements about ``youth participation`` and questions about their own participation experienc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Youth didn`t know well about current youth participation catalogues in Korea. Respondents only exceeded a majority on 4 of 12 youth`s activities. and youth`s experiences also incline to service learning activity which conducted in school and community. Second, Youth mostly were unhappy with their own experiences. Many of them think that they didn`t have time enough to take an active part for satisfaction, and didn`t exercise their empowerment sufficiently. But, Youth think that youth participation activity is important and need to both youth oneself and our society. and many have expressed intent participate these activiti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o activated youth participation, we have to provide more chances for an easily access. We should be prepared to appropriately programs to youth`s needs and youth`s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