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개발

        김선연 ( Suny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최근 예술 및 경영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에서도 디자인 씽킹은 집단 창의성의 향상과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방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의 핵심아이디어를 반영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의 단계와 구체적인 활동들을 반영한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은 수업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도입, 전개, 정리의 3단계로 구분하고 도입 단계에 집단 이해-공감-정의, 전개 단계에 발상-선정, 정리 단계에 생각 시각화-검토-프로토타입-파일럿 테스트로 세분화하였다. 이때 정리 단계는 대학의 다양한 전공의 수업을 고려하여 정리 1(생각 시각화-검토), 정리 2(프로토타입-파일럿 테스트)로 분리하여, 도입부터 정리 1단계까지를 기본 단계, 정리 2단계까지를 심화 단계로 하였다. 둘째,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9단계별 총 36개의 핵심적인 활동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단계, 활동들, 그리고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9단계, 총 38개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존 디자인 씽킹 모델 단계와의 관련성에 대해, 개인 창의성 사고과정 및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의 대표적 시사점은 첫째,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수업에서 적용하기 용이하다는 것, 둘째, 기본과 심화 단계로 분리하여 대학의 다양한 전공과 상황에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집단 협력학습에서 집단 창의성 증진을 위한 방법적 절차와 실용적 전략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Recently, design thinking is paid attention as a way to increase group creativity and creative thinking not only in the field of art and business but also education. This study, thus, was to develop a thinking process model for group creativity that reflects the central ideas of design thinking.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delphi survey with 15 experts and completed a final model, which includes steps of thinking processes and related concrete activitie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creativity thinking process model, like instruction, was divided into 3 steps including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rrangement; concretely, introduction step includes group understanding-empathy-definition, development step includes ideation-selection, and arrangement step includes thinking visualization-review-prototype-pilot test. As considering varied fields of college class, the model was classified into 2 stages including basic stage (from introduction step to arrangement 1 step) and deep one (from introduction step to arrangement 2 step), in which the arrangement step 1 includes thinking visualization-review and the arrangement step 2 includes prototype-pilot test. Second, through experts' validity verification, the study identified 9 steps including a total of 36 key activities. Finally, the study developed a group creativity thinking process model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and experts' opin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both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individual creativity thinking proces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and about the relations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e study presents some implications of the group creativity thinking model. Included were easy of applying the model to a class since the model systematically presents concrete activities required in each step; flexible of applying the model to a college class that has varied fields and situations since the model presents basic and deep steps; presenting methodological procedure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increase group creativity in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 KCI등재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CT-RLPS)모형 개발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real-life problem solving model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by applying this model to real problems. We explored the concept and sub-elem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investigated and analyzed prior research related to research themes. In order to develop a model, we searched for CT-PS(Computational Thinking based Problem Solving) model and proposed CT-RLPS(Computational Thinking based Real-Life Problem Solving) model based on this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model, we conducted a validity and opinion survey for 12 software education experts on seven aspects of the model. As for the results of the survey, item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were discovered through CVR analysis, and it was possible to discover reasons of the low validity through the analysis and synthesis of expert opinions. We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model based on CVR analysis and opinion of experts, and proposed the final CT-RLPS model. We explored the conditions of the real-life problems in order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the real-life problem. And we applied this model to the problem "Surveying the place for active learning in school" and tried solving the problem, and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A user of the CTR-PS model can apply the model to the other real-life problems with reference to this case. Finally, we presented points to be noted when applying this model to real-life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the excellence of using the CT-RLPS model, In conclusion, the CT-RLPS model consists of three stages of "Analysis and Decomposition of Problems", "Design", "Implementation", and we expect students to train the computational thinking by applying sub-elements of each stage to real-life issues. 이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하여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소프트웨어 수업모형으로써 실생활을 소재로 하는 문제해결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실생활 문제에 적용해 봄으로써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컴퓨팅사고의 개념과 하위요소를 탐색하였고,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하여 CT-PS(Computational Thinking based Problem Solving)모형을 탐색하였고, 이 모형을 토대로 CT-RLPS(Computational Thinking based Real Life Problem Solving)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모형의 7가지 측면에 대해 12명의 소프트웨어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성 및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대해 CVR분석을 통해 기준값보다 낮은 항목이 발견되었고, 전문가 의견 분석 및 종합을 통해 타당도가 낮은 이유를 발견할 수 있었다. CVR분석 및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모형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CT-RLPS모형을 제안하였다. 모형의 실생활 문제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생활 문제의 조건을 탐색하였고, ‘체험학습장소 설문조사하기’문제에 모형을 적용하여 문제 해결을 시도한 결과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CT-RLPS모형의 이용자는 이 사례를 참고하여 다른 실생활 문제에 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T-RLPS 모형 이용의 수월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 모형을 실생활 문제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CT-RLPS모형은 ‘문제 분석 및 분해’, ‘설계’, ‘구현’의 3단계로 구성되고, 각 단계의 하위 요소를 실생활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컴퓨팅사고를 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과학적 문제해결과정과 컴퓨팅 사고의 관련성 탐색을 통한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탐구(CT-SI) 모형의 제안

        황요한 ( Yohan Hwang ),문공주 ( Kongju Mu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1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는 2015 개정 과학교육과정 및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표준(NGSS)에서 새로운 탐구 기능 혹은 역량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2014년부터 교육부가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화함에 따라 컴퓨팅 사고에 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과학교육 분야에서 컴퓨팅 사고를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련 분야의 문헌 분석을 통해 컴퓨팅 사고 요소들을 과학 탐구에 접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컴퓨팅 사고의 요소에 대한 여러 정의를 정리하였고, 이를 활용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일반 문제해결 과정과 과학적 탐구과정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문제해결에 접목한 사례들과 비교하여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탐구(CT-SI) 모형의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요소들을 이학 전문가들에게 제공하여 각 분야의 연구 과정과 컴퓨팅 사고 요소들을 접목하여 설명하게 한 후, 이를 기반으로 문제발견형 CT-SI 모형과 문제해결형 CT-SI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두 모형은 이학 전문가들에 의해 모형의 단계가 각 분야의 연구에 활용 가능하다고 검토받았으며, ‘문제발견형’은 과학 연구 과정에서 정보를 선별하고 문제를 분석하는 과정과 이론적 연구에서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추론 연구 과정에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문제해결형’은 과학의 일반적인 연구 과정 및 공학설계를 활용한 공학적 문제해결과정에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현장 교사 2인에 의해 중고등학교 현장 탐구 수업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다양한 과학 교과의 탐구 활동과 연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 ‘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역량을 길러줄 수 있을 것이다.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 suggest computational thinking as an inquiry skill or competency. Particularly, concern in computational thinking has increased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required software education since 2014. However, there is still insufficient discussion on how to integrate computational thinking in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way to integrate computational thinking elements into scientific inquiry by analyzing the related litera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summarized various definitions of the elem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analyzed gener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cientific inquiry process to develop and suggest the model. We also considered integrated problem solving cases from the computer science field and summarized the elements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Scientific Inquiry (CT-SI) model. We asked scientists to explain their research process based on the elements. Based on these explanations from the scientists, we developed ‘Problem-finding’ CT-SI model and ‘Problem solving’ CT-SI model. These two models were reviewed by scientists. ‘Problem-finding’ model is relevant for select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problems in the theoretical research. 'Problem solving' is suitable for engineering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a general research process and engineering design. In addition, two teachers evaluated whether these models could be used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models we developed in this study linked with the scientific inquiry and this will help enhance the practices of ‘collect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use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computer’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독일 역사교육의 사례 : 역사적 사고 지향의 FUER모델을 중심으로

        박미향(Park, mihya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독일은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에서 독일 학생들의 저조한 성적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 2000년대 중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이에 역사과목의 역량모델들이 개발되었는데, FUER모델(2006/2007), 한스 위르겐 판델 모델(Hans-Jürgen Pandel)(2005), 페터 가우치 모델(Peter Gautschi)(2009), 독일역사교사협회의 교육표준(2006, 2010)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역량모델들 중에서 가장 체계적인 모델로 인정받으며 독일 각 주의 역량개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FUER모델을 중심으로 독일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독일 역사교육에서 논의되었던 역사의식 이론들이 FUER모델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FUER모델은 학생들의 생활세계에서도 전이가능하고 적용 가능한 ‘역사적 사고의 과정’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으로부터 역사적 역량을 도출하였다. FUER모델에서 제시한 역사적 사고 과정은 학생들이 과거와 역사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제기하고, 비판하면서 해체하고, 자료들을 토대로 과거를 재구성하여 그것을 삶에 적용하는 그런 일련의 ‘과정’이다. 질문제기, 재구성과 해체, 방향설정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이해해야할 역사적 원리, 개념 등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FUER모델은 역사적 질문역량, 역사적 방법역량, 역사적 방향설정역량, 역사적 사실역량을 도출했던 것이다. 이렇게 역사적 사고를 하나의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한 것은 역사의식 이론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역사의식을 역사해석에 대한 성찰적이고 비판적인 ‘활동’으로 이해했던 야이스만과 역사의식을 합리적인 역사서사 ‘행위’로 이해했던 뤼젠의 이론이 그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역사의식이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는 역사적 사고의 ‘과정’으로 치환되었다. 역사적 역량은 역사적 사고의 학습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결론에 이르기까지 독일 역사교육은 다음과 같은 근원적인 질문들을 제기했다: 역사교육은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 것인가? 역사를 학습하고 난 이후 학생들은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어떤 능력이나 역량을 가질 수 있어야 하는가? 학생들에게 그러한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서 역사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조직되어야 하는가?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해야 할 한국의 역사교육 역시 이러한 근본적 질문들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구체적인 역사적 역량들은 그 답을 찾는 과정에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Germany introduc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ince the mid-2000s as a way to overcome the poor grades of German students in 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s a result, competency models for history subjects were developed: FUER Model (2006/2007), Hans-Jürgen Pandel Model(2005), Peter Gautschi Model (2009), Educational standards of the Association of History Teachers in Germany(2006, 2010). Among these competency models, this paper examines the German competency-based curriculum centering on the FUER Model. At the same time, how theoretical discussions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re applied to the FUER Model were examined. The FUER model presented a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that is transferable and applicable even in the social life of students, and historical competence was derived from this process. The historical thinking process presented by the FUER model is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students ask questions about the past and history themselves, deconstruct it while criticizing it, reconstruct the past based on data, and apply it to their lives. Based on the process of questioning, reconstruction, deconstruction, and direction setting and knowledge of historical principles and concepts to be understood in these processes, the FUER model derived historical questioning competence, historical method competence, historical direction setting competence, and historical fact competence. Thi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hinking as a dynamic process can be said to be the influence of previous theorie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ese are the theories of Jeismann, who understoo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eflective and critical ‘activity’ for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uesen’s theory, who understoo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ational historical narrative ‘action’. As such, in German history education,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understood as an ‘activity’ or ‘action’ rather than any substance, theory, or philosophy, so it was reduced to a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suggested by the FUER Model, Germany s history education seems to have taken a major direction in defining historical competence as the learning of historical thinking. Until this conclusion, Germany s history education faced and discussed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at does history education teach students? What should students be able to do after studying history, and what abilities or competencies should they have? How should history lessons be organized in order to develop such competencies in students? History education in Korea, which should appl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lso seems to answer these fundamental questions.

      • KCI등재

        기술교과 교육을 위한 디자인 사고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의 다학제적 학습 모델의 개발

        최유현(Choi, Yu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2

        이 연구는 기술교육에서의 최근의 이슈인 디자인 사고와 메이커 교육의 통합적인 학습 전략으로서 디자인 사고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의 다학제적 학습 모델을 이론적으로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론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잠정적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델을 기초로 10인의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FGI(Focused Group Interview) 방법으로 1차 타당화를 수행하였다. 수정된 모델을 2차적으로 전문가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 분야의 전문가 18명을 위촉하여 이메일로 타당성 평가로 5단계 척도로 조사하여 Lawshe(1975)의 CVR값을 계산하여 검증하였는데, 타당성 검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모델은 크게 A. 학습 주제 분석모델, B. 팅거링 학습 활동 모델, C. 디자인 싱킹 문제해결 모델로 구성되었다. 이 세 가지 모델은 먼저 학습주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학습 주제의 성격, 성취 기준, 내용 요소에 따라 메이킹 수준을 4 단계 유형 중에서 선택하게 한다. 학습 주제의 분석 결과 메이킹의 모방과 발전의 수준은 팅거링 학습 활동 모델로, 개조와 창조의 수준은 디자인 싱킹 문제해결 활동 모델로 수업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디자인 싱킹 문제해결 단계는 기본적으로 순환형으로 모델화 하고, 기본 4단계, 세부적으로 10 단계 모형으로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디자인 싱킹 기반의 메이커 학습 모델은 기술교육에서의 수업에서 실제로 메이커 교육, 디자인 싱킹 교육을 학습 전략적으로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추후의 연구에서 이 이론적 모델을 기초로 한 실제 학습 전략안을 실제 설계 및 적용하는 보다 실증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theoretically developed and validated the multidisciplinary learning model of technology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as an integrated learning strategy of design thinking and maker education, which are recent issues in technology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tentative model based on a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 The first validation of the model was carried out using the focused group interview (FGI) approach with 10 technology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model, 18 experts from related research fields were assign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modified model. The validity of the model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CVR value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s a result of validation, all items were verified as valid. The model was revised based on the free opinions raised in the second expert verification. Finally, the developed models consisted of a conceptual model, learning tasks analysis model, tinkering learning activity design model, and design thinking problem-solving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tasks, the levels of copying and improving of making were adapted to the tinkering learning design activity model, and the levels of innovation and creation were applied to the design thinking problem-solving activity model. In addition, design thinking problem-solving activity steps were basically designed as a circulation type, and developed as a model with four basic steps and 10 specific step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as an attempt to strategize the teaching and culture of design thinking and mak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echnology education.

      • KCI등재

        디자인사고 기반의 융합디자인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하은경 ( Eun Kyung 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3

        (연구배경 및 목적)다양한 가치관의 공존과 통합적 사고가 중시되는 융합의 패러다임이 대두되면서 기업경영과 교육에 있어서도 다양한 학문 분야 간 융합을 통한 혁신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디자인이 융합을 통해 혁신을 이끌어내는 전략적 도구로서의 역할이 확장되면서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는 비즈니스 및 교육현장에서 혁신을 이끌어내는 방법론으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 기반의 성공적인 디자인 프로세스 사례들을 조사·분석하여 디자인사고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교육현장에서 구체적인 근거와 지침이 될 수 있는 융합디자인 수업모형을 개발함으로써이론적, 실천적 토대를 확립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연구방법)국내·외 선행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융합 패러다임에 따른 디자인교육의 변화와 디자인사고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디자인사고 기반의 대표적인 디자인 프로세스 사례를 선행연구와 문헌자료,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DB 검색을 통해 자료를 조사·분석하여 융합디자인 수업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결과)디자인사고 기반의 융합디자인 수업모형은 주변의 상황을 관찰하고 문제점을 발견하는 공감(empathize)단계, 문제를 인식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정의(define)단계, 실현가능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strategize)단계,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발상(ideate)단계,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구현(prototype)단계, 피드백을 통해 아이디어를 개선하는 평가(evaluate)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창발적 사고와 통합적 사고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디자인사고 기반의 프로세스전반에 걸쳐 인문학, 사회과학, 경영, 마케팅, 공학, 자연과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와의 교류와 융합이 전제되어야 한다. (결론)본 연구는 디자인사고 기반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 융합디자인교육 환경에 적합한 수업모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융합은 상상력과 창조성을 기반으로 하며 디자인사고는 논리적 사고력과 직관적 사고력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디자인사고 기반의 융합디자인 수업모형은 인간중심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실행력을 갖춘 융합인재양성의 토대가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Innovation based o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has also been emphasized for corporate management and education amid emergence of convergence paradigm that stresses co-existence of various values and integrated thinking. This means that as design expands its role as a strategic tool drawing out innovation through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design thinking is a concept widely accepted as a method to achieve innovation in business and education.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mprove awareness towards value and necessity for design thinking through investigation into and analysis on cases of design thinking-based successful design process and to lay theoretical and practical groundwork by developing convergence design class model that could provide specific grounds and guidance at educational sites. (Method)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into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this study has learned the change of design education and importance of design thinking. This study also researched and analyzed the data of design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by searching for domestic and overseas DB on the Internet, documents and various previous studies, so that it would prepare a base to present a direction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odel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Results)The instructional model of convergence design based on design thinking composed by observing the situation around and empathy to discover problems empathize stage, it recognized the problem and set a goal to solve the problem define stage, possess the feasibility and viability strategize stage, solve the problem freely and divergent ideate stage, to refine the implementation of ideas through prototype stage consists of a rating evaluate stage to improve the idea through feedback . During the process,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has made repeatedly in this process, the window is emergent thinking and integrated think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addition, exchanges and convergence of various disciplines such as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s , management, marketing , engineering , natural sciences should be based on the premise throughout the process of design thinking. (Conclusion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direction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domestic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study on advanced cases of design process based on design thinking. Convergence should be based 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while design thinking should be achieved with integration of logical thinking power and intuitive thinking power. The design thinking-based convergence design class model will serve as basis for fostering convergence talents who are innovative and future-oriented based on human-centric view of value, and furthermore,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execute.

      • KCI등재

        희망의 주도사고 및 경로사고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장은주,이종연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gency thinking and pathways thinking of hope,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active coping strategy as mediators,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To achieve the purpose, the initial model was created, and modified using model trimming which is one of the model generating methods. After examing the cross-validation of the modified model, the final model was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the gender differences of structural weights were analyzed with the final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It was found that both agency thinking and pathways thinking of hope have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only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b) It was found that agency thinking has 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ut pathways thinking does not, while both agency thinking and pathways thinking of hope have indirec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and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results showed some evidence that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weights among hope and other latent variables.: The effects of agency thinking of male students on subjective well-being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while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f female students on subjective well-being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희망의 하위요인인 주도사고와 경로사고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적극적 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들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기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의 모형생성 기법을 이용하여 모형수정을 하였다. 그리고 수정된 모형에 대하여 교차타당성을 확인하고 최종모형을 설정하였다. 최종모형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구조적 관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희망의 주도사고와 경로사고는 학업성취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안녕에 희망의 주도사고는 직접․간접효과를, 경로사고는 간접효과만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변인들 간에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적극적 대처가 매개효과를 갖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최종모형의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 기반 학술적 글쓰기의 매체론적 배경과 교육 모형 비교 고찰

        원만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A predominant feature currently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s that it emphasizes its ground on critical thinking. Thus, the relevant question is raised. why should critical thinking be a basis for academic writing?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everal 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get reinforced in academic writing as a form of ‘academic communication’: abstract thinking, reflective thinking, analytic thinking, and logical thinking, which consist in the whole ‘critical thinking.’ In this regard, academic writing is a kind of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simultaneously a consequence from it.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writing and critical thinking leads us to establish several proper models for a method of writing education. It is widely acceptable that a consideration on ‘Critical Reading and Writing(CRW)’ based on critical thinking is a plausible way to develop writing ability. I examine three alternative CRW models as strong candidates and then compare and contrast them in terms of ‘co-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ability’ and ‘an efficient education method.’ Furthermore, I draw my own framework in reference to them so as to be a desirable academic writing methodology. 최근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커다란 특징은 그것이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왜 학술적 글쓰기가 비판적 사고에 기반해야 할까? 그 이유는 ‘학문적 의사소통’의 주된 양식으로 글쓰기 과정에서 추상적, 반성적, 분석적, 논리적 사고 성향이 강화되는데 이 성향들은 이른바 ‘비판적 사고’를 형성하는 요소적 사고 성향들이기 때문이다. 이점에서 학술적 글쓰기는 비판적 사고의 과정이면서 동시에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이 내적으로 연결된 비판적 사고력과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 교육 방법은 무엇일까? 필자는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텍스트 독해와 작문 과정(CRW)’을 그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대안이 될 만한 세 가지 CRW 모형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비판적 사고력과 글쓰기 능력의 동시 함양 가능성 그리고 효과적 교육 방법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학술적 글쓰기 방법론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Design thinking과 CPS에 기반한 아동 창의교육 모형 연구

        김유빈 ( Youbin Kim ),이재환 ( Jaehwan Lee ),박소영 ( Soyoung Park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인간에 대한 관찰 및 공감을 통해 혁신적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한 대표적 문제해결 방법인 디자인씽킹 방법론을 아동창의교육 과정에 접목하여 효과적인 사고의 능률 및 혁신적 결과 도출이 가능하도록 접근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기존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활동 및 기업혁신을 위해 사용되던 디자인 씽킹을 교육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문제해결을 통한 창의성 발달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높은 방법론으로 구성하는테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대표적 문제해결 방법인 Desgin Thinking 방법론과 창의적문제해결을 위한 교육모형인 CPS(Creative Problem Solving:CPS)의 속성을 조사 및 분석하고 상호 매칭시켜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두 방법론의 장점을 기반으로 공감단계(E), 문제발견단계(D), 아이디어발상단계(I), 모형화단계(P), 평가단계(T) 총 5가지 단계로 나뉘며, 세부적으로 9코스를 거치는 교육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분석을 통해 교육단계별 속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활동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필요한 대표적 세부활동 및 지침을 정리하여 모형화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아이디어 혁신 도구인 Design Thinking과 창의적 문제해결교육과정인 CPS를 융합하여 새로운 개념의 창의교육안을 창출하며, 교육단계/교수법/학습경험/환경구성 관점에서의 교육모형 제시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효과성 및 활용도가 높은 교육안으로 발전 가능하다. The research aims to activate professional and creative education combined the desigh thinking process and CPS(Creative Problem Solving)process. There is a significance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education and providing educational solutions in design thinking unlike the existing objectives of Design Thinking in business and social issues. Firstly, the process and attributes of Design Thinking and CPS was redefined via detailed theoretical investigation. Secondly, advantages of the two processes and complementary ideas were derived from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esign Thinking and CPS. It led to propose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a new integrated model for creative education. Thirdly, the process of integrated model divided into 5 stages : Empathy(E), Define(D), Ideation(I), Prototype(P), Test(T), which pass through 9 modul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rimary mission. As the final outcome, the attributes and detail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ach stage was analyzed through Delphi Technique by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fundamental resources with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model, which is a fusion form of Design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 addition, the integrated model and attributes will be based on innovative programs and curriculums with higher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사회혁신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디자인 씽킹과 비즈니스 모델 젠 연계 방법론

        박상혁,오승희,Park, Sanghyeok,Oh, Seunghee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7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1

        Today, companies and social actors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focusing on active innovation and efforts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l changes. Design thinking refers to creative strategies designers utilize during the process of designing. Design thinking is also an approach that can be used to consider issues and resolve problems more broadly than within professional design practice, and has been applied in business and to social issues.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during the project in the field. This paper presents a novel design - thinking process that incorporates a lean start - up based business model in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We conducted a case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r new design thinking process in social innovation projects. In this paper,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nd verify a new process that combines business model Zen to complement the limit of design thinking. It will also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 thinking projects as tools for social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