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야기치료의 상담과정과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현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1

        Based on experiences of narrative therapis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ounsel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therapy rested on post-modern approach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and process of this narrative therapy. For the study, I listened to experiences of therapists who are practicing in the field of narrative therapy and analyze story of them by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in narrative therapy, narrative therapy proposed the roles of clients and therapist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therapy approach. participants(Co-researchers) believed what is important in narrative therapy is the viewpoint to be look at the problem of the client and role of the therapist. For the participants, the focus in therapy is not the client but the story of the client and key to problem-solving was to look at the story in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y believed the role of therapist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Participants(Co-researcher) said they engage in therapy as a partner in the life story of the client, a curiosity that wishes to know about the client, and therapist who listens to the client without prejudice, with the attitude of taking philosophical view in narrative therapy as their life philosophy. And, the focus in the narrative therapy process was on therapy without an evaluation, therapy without a specific goals, and therapy that allows the story of the client to flow without an order or process.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discussion section,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therapy were explored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therapy approach and its meaning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던적 상담접근이라고 일컬어지는 이야기치료(narrative therapy)의 상담과정과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이야기치료사들이 이야기치료에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과 현장에서 적용되는 이야기치료의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이야기치료를 적용하고 있는 이야기치료사들의 경험을 들어보고 이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야기치료에서는 기존의 상담접근과 다른 관점으로 내담자와 상담자의 역할을 제시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이야기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내담자의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과 상담자의 역할이라고 하였다. 이들은 상담의 중심을 내담자의 이야기에 두었고, 내담자의 이야기를 다르게 바라보는 것이 문제해결의 열쇠라고 여겼다. 그리고 무엇보다 상담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내담자의 삶의 이야기에 함께하는 동반자이며 내담자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호기심어린 학습자이자 편견 없이 내담자의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를 이어주는 상담자, 그리고 이야기치료적 철학을 삶의 철학으로 삼는 자세로 상담에 임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야기치료의 과정은 평가 없는 상담, 구체적인 목표 없는 상담, 순서와 과정이 없는 상담이라고 밝혔으며, 내담자의 이야기를 흐르게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이야기치료의 상담과정과 그 특성을 기존의 상담접근에 비추어 탐색하고 그 의미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렌트 기억이론의 이야기치료적 접근

        천명주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0

        Narrative therapy is a sort of mindful therapy that uses the narrative to notice and cure human distress depicted in it. For narrative therapy, its client is required to make a meaningful narration based on the memories of their life. In that therapy, thus, memories are a thing on which narrative is grounded. Especially, whether narrative therapy is academically valid depends on how memories are positioned in the therapeutic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new narrative therapy based on Arendt’s theory of memory. For this purpose, above all, the study finds that Arendt’s ideas of memory stand themselves on an appreciation that narratives of human life are political and ethical. Next, this research assumes that narrative therapy should be a process that leads forgiving faults of the past, feeling gratitude towards lives of the present and, ultimately, anticipating and getting a promise for a new life of the future. Finally, the study requires narrative therapy to make its clients revive competence for appreciation, that is, mentality that they need to love the world around them and adjust themselves to it. Thus, it is suggested here that Arendt’s theory of memory allows clients of the therapy to put a positive meaning on their life and develop their life in political and ethical ways. Narrative therapy that this study renews based on Arendt’s theory of memory would provide a fresh discourse on the different narrative therapy that is political and ethical, transending limitations of current mindful theory that focuses only on the therapeutic effect of narrative. 이야기치료는 이야기 속의 인간의 고통에 주목하여 인간의 고통을 이야기로 치료하는 마음치료이다. 이때 내담자는 기억을 토대로 하여 자신의 삶을 의미있는 이야기로 만들어 낸다. 이야기치료에서 기억은 서사적 근거가 되며, 기억의 위상을 어떻게 정립하느냐에 따라 이야기치료의 학문적 타당성은 달라진다. 본 연구는 아렌트의 기억이론을 토대로 하여 이야기치료를 새롭게 구안하고자 한다. 우선 아렌트의 기억이론은 인간 삶의 서사를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삶의 서사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과거의 잘못을 용서하게 하며, 현재의 삶을 감사하게 하며, 그리고 미래의 새로운 삶을 기대하고 약속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내담자들이 자신의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사랑하고, 세계에 적응하기 위한 정신적 능력인 이해능력의 회복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결국 아렌트의 기억이론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의 이야기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삶이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아렌트 기억이론을 토대로 한 이야기치료는 이야기의 치료적 기능에만 중점을 두는 마음치료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새로운 정치윤리적 이야기치료 담론이 될 것이다.

      •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 관점에서 본 이야기치료

        노원석 ( Won Suk Roh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8 성경과 상담 Vol.8 No.-

        본 논문에서는 상담학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이야기치료의 내용들을 살펴보고 성경적 상담 관점에서 이를 다루어보았다. 사람의 삶은 이야기를 떠나서는 살 수 없을 만큼, `이야기`는 개인, 문학, 영화 등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사람의 마음을 흡입하고 공감할만한 `스토리`가 없는 드라마가 성공할 수 없듯이 어떤 `이야기`를 소유하고 있느냐에 따라 모든 개인이나 물건의 가치가 상승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야기는 상담 가운데에서도 자연스럽게, 그리고 필수적으로 드러난다. 누구나 생활 속에서 벌어지는 문제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문제의 이야기를 통하여 그 사람의 삶의 정황들이 소개되어지고 아픔이 드러나고 또 다른 이야기를 통해서 치유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야기치료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탄생과 맥을 같이 한다. 절대적 주권이 강조되어진 모더니즘에 반발하여 절대 가치의 추구를 반대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언제나 타자를 인정하고 겸손한 태도 가운데 상대의 이야기를 존중한다. 이야기치료는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피상담자의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피상담자의 판단과 선택을 존중하는 쪽으로 상담이진행된다. 상담자는 피상담자에 대한 정보와 선택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태도`(notknowing position)를 지닌다. 피상담자의 입장을 `전문가`로서 인정하고, 그들의 판단을 전적으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상담태도는 절대 권력의 위치가 퇴색되어지는 현대 사회 분위기에는 환영받을만한 일이지만 성경적 상담의 관점에서는 점검할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절대적인 기준이 희박해지는 세태 속에서도 여전히 `유일한 절대 가치`로 인정해야 하는 것이 `성경`이기 때문이다. 세상의 기준과 규칙은 변하지만, 성경은 우리 인간 삶의 표준이요 규례로서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치료에서 말하고 있는 `인간중심`의 상담 자세는 `하나님 중심`의 성경적 상담의 태도와는 맥을 달리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치료의 정의, 사상적 배경 및 이야기치료를 구성하는 요소 및 과정들을 다루어진다. 그 가운데 상담진행에 있어서 이야기치료가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부분을 논의되어진다. 이야기를 통한 상담의 적용과 이야기를 통해 권력계급의 해체를 이끄는 역할 등이 그것이다. 또한 성경적 관점에서 이야기치료가 품고 있는 인간관과 성경관, 그리고 상담자의 역할 등이 연구되어진다. This thesis looks into the content of Narrative Therapy, which is a new experiment in the counseling field, and deals with it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Counseling. A `Narrative` is used efficiently in many fields: personal history, literature, movies and so on, because people cannot live without stories. There is not a successful drama without a `narrative` that captivates and sympathizes the audience. We live in an era, when person`s or good`s value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having certain `narrative`. A `narrative` is emerged naturally and essentially in the course of counseling. Everybody has his problems and difficulties happening in his life. Through the `narrative` of a problem, the situation of a man`s life is introduced, and his pain is also revealed. After that, there is a cure through another `narrative`. Narrative Therapy is in line with the birth of Post Modernism. Modernism emphasizes absolute sovereign authority. On the other hand, Post Modernism, which is against Modernism, always recognizes others and respect the others` story with a humble attitude. Narrative Therapy is processed toward to accept counselee`s story and respect his judgement and choice under any circumstances. A Counselor has the `not knowing position` about his counselee`s information and choice. As an expert, a counselor`s counsel attitude that recognizes counselee`s position is very welcomed in the atmosphere of modern society, where the position of absolute authority has been tarnished. However, there must be a reality check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Counseling. Because the Bible should be regarded as `the only absolute value` despite the social condition weakening of absolute standard. The world`s standards and rules have changed, but the Bible still exists as the standard and rules and regulations in our lives. From that point, the counseling attitude of `people-oriented` in Narrative Therapy is differ from it of `God-oriented` in Biblical Counseling. This study looks through the definition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Narrative Therapy, and examines the components and the process of Narrative Therapy. Also the positive side of Narrative Therapy is discussed in the course of counseling. It is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through a `narrative` and also it takes the role to dissect of the power of ruling class through a `narrative`. Furthermore, a viewpoint of human beings and the Bible in Narrative Therapy i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counseling. So is the role of counselor.

      • KCI등재

        의사소통 교육에서 문학의 의의와 문학 치료의 활용 -자기 서사 쓰기에서 문학의 타자성과 문학 치료의 제한적 수용을 중심으로-

        양가영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7

        Losing desire and motivation for self-sense an nd thought is rooted in the atrophy of the ego. Due to the atrophy of self-awareness and -confidence, students lose the motive for self-sensation and thought and remain closed and passive subjects. Therefore, learning that recognizes, expresses, and communicates with oneself, such as academic writing/practical writing, is regarded by students as unnecessary, that it is useless to try , or difficult for them to do, and as hindering their learning efficacy. To overcome such atrophy and closure of the ego to writing,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in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clarified that the self-narrative writing class that limitedly accepts literary therapy is required.Therefore, Chapter 2 confirmed that self-narrative writing related to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s more requir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narrative writing and literature's otherness and suggested a class plan for self-narrative writing related to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s presented. Through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t was shown that it wa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mpetence in communication education and analyze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an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accept the structure of the self and attempt to reconstruct it through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n self-narrative writing. It is revealed that the self is a form that can only be form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others and that this can explain the imperfection and lack of the self shown in the literature presented through discussions by Kim In-hwan and Balte Benjamin. In addition, through the otherness of the ego shown in literature, a class plan for learner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is otherness was presented. Consequently, we reconsider the core competencies emphasized in liberal arts education that have overlapping or unclear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demonstrate that literature is a decisive academic area for their cultivation. In addition, it was clarified that self-narrative writing is aimed at realizing the otherness of the literatur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limited literary therapy as a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significant of literature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literary self-narrative writing, In Chapter 3, on the premise of the otherness of literature and its importance in self-narrative writing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e limited acceptance of literary therapy in self-narrative writing was revealed, divided into class plans and pedagogies. Therapy aims to respond to and overcome resistance, but self-narrative writing needs to try relatively affluent literary detours in the resistance phase. At the same time, unlike passive participation in therapy, self-narrative writing limits and accepts literary therapy to intervene with students in all processes actively. Based on this, three methods of completing sentences, parodying works, and taking MMSS tests were presented as the process of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actively using group activities as class methods. As teaching methods, the technic to overcome resistance in Gestalt therapy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resistanc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literature and literary therapy in communi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re an essential and effective way to reconsider the possibility and interest of students in writing. Students can understand and learn the structure of the ego and reconstruct it through writing pedagogy using the otherness of literature and literary therapy. This has the significance of reconsidering the core competencies that are emphasized in liberal arts education, but whose relationship is overlapping or unclear, and confirms that literature is a decisive academic area for their cultivation. However, since their possibility of intervention in reali... 의사 소통 교육의 수업에서 많은 경우 학습자들은 자기 인식과 자기 신뢰의 위축으로 자기 감각과 사유의 동기를 갖지 못하고 폐쇄적이고 수동적인 주체를 보여준다. 자신을 인식하고 표현하여 소통하는 학습에서의 자기 감각과 사유에 대한 욕망과 동기의 상실은 자아의 위축에 연원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글쓰기에 대한 자아의 위축과 폐쇄를 극복하기 위해 의사소통 교육에서 문학의 의의를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문학 치료를 제한적으로 활용한 자기 서사 쓰기의 수업이 필요함을 밝히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2장에서는 자기 서사 쓰기를 통해 구현되는 문학의 타자성이 자아 구성을 이해할 수 있는 원리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자아가 타자의 시선을 통해 형성될 수밖에 없는 형식임을 밝히고, 이것을 문학이 보여주는 자아의 불완전성과 결여를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또한 문학이 보여준는 자아의 타자성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아의 타자성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자기 서사 쓰기가 문학성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쓰기임을 밝히고, 그런 이유로 문학 치료를 교수법으로 제한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3장에서는, 이와 같은 문학의 타자성과 자기 서사 쓰기에서의 그 중요성을 전제로, 자기 서사 쓰기에서 문학 치료의 제한적 수용을 수업 방안과 교수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문학의 타자성을 통한 우회로의 활용을 자기 서사 쓰기와 문학 치료가 서로 공유함을 확인하고, 양자가 구분 되는 지점이 쓰기와 치료에 있음을 밝혔다. 치료는 저항에 대응하여 그것을 극복하는 데에 목표가 있으나 자기 서사 쓰기는 저항의 국면에서 오히려 풍부한 문학적 우회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치료의 수동적 참여와 달리 자기 서사 쓰기에서는 모든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능동적 개입을 목표로 문학 치료를 제한하여 수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방안으로, 문장 완성하기, 작품 패러디 하기, MMSS 테스트 하기의 세 방안을 조별 활동을 적극 활용하는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의 전과정으로 제시하였고, 교수법으로는 게슈탈트 치료법에서 저항에 대한 대응에 집중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의사소통 교양교육에서 문학과 문학 치료는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대한 가능성과 흥미를 재고할 수 있는 필수적이고 유효한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은 문학과 문학 치료를 활용하는 글쓰기 교수법을 통해 자아의 구성을 이해하고 이를 재구성할 가능성이 자신에게 있음을 이해하고 익히는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 이는 교양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지만 서로의 관계가 겹치거나 명료하지 않은 핵심 역량들을 재고하고, 이들의 함양을 위해 문학이 결정적인 학문 영역이 됨을 확인하는 의의를 갖기도 한다. 다만, 이와 같은 학습자들의 자아 재구성의 가능성은 이들의 현실개입의 가능성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위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구조에 대한 인식과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서사학의 관점에서 연구한 마이클 화이트의 내러티브 치료 - 서사 층위와 구성요소의 치유적 연결을 중심으로

        이민용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 No.80

        본 논문은 연결이 중요한 초연결시대에 서사 층위와 그 구성요소의 치유적연결을 중심으로 서사학의 관점에서 마이클 화이트의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연구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문학 텍스트가 작가에 의해 집필되고 독자에 의해 재수용되는 것과,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마음의 문제를 내러티브 방식으로 해결하도록 돕는 것이 서로 비슷하다고 생각한 M. 화이트가 문학에서 아이디어를 가져다가 내러티브, 스토리, 텍스트, 담론 등 주요 서사학적 개념으로 자신의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구성하였음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내러티브 치료의 이론적 기초에 대해 서사학의 관점에서 연구하였으며, 서사학의 층위론과 서사 구성요소 연결의 관점에서 M. 화이트의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화이트는 내러티브의 스토리 층위와 스토리 구성요소들을 잘 활용하여 ‘지배적 스토리’ ‘대안적 스토리’ ‘특별한 결과’ ‘행위 영역조망’ 등을 중심으로 자신의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의 서술 층위와 그 구성요소들을 활용해서도 정체성 영역 조망을 통해 대안적 스토리를 재저작하는 내러티브 치료 이론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텍스트 층위와 텍스트성 층위를 활용해서도 텍스트 유추 개념과 메타텍스트, 상호텍스트를 통해서 내러티브 치료 이론을 전개하였다. 내러티브 치료는 서술 층위의구성요소 개념이나 텍스트 층위의 매체(매질, medium) 개념을 더 적극적으로활용하면 더욱 확장된 내러티브 활용 치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Michael White's narrative therap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M. White thought that the way a literary text is written by a writer and re-received by a reader is similar to the way a therapist helps a client solve problems of the mind in the narrative ways. So, he took ideas from literature and constructed his narrative therapy theory with major narratological concepts such as narrative, story, text, and discourse. Starting from these, this paper studied the theoretical basis of narrative 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 and analyzed M. White's narrative therap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ology's layer models and narrativ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 White constructed his narrative therapy theory by making good use of the story layers and story components of narrative. The key contents of the theory included ‘dominant story’, ‘alternative story’, ‘unique outcomes’, and ‘perspective on the Landscape of Action’. And he developed a narrative therapy theory that rewrites an alternative story through a view of the Landscape of Identity area, utilizing the narration layer and its components. Using the text layer and textuality layer, he developed a theory of narrative therapy through the concepts of text analogy, metatext, and intertext. Narrative therapy could become a more effective narrative therapy by more actively utilizing the concepts of components on the narration layer or the media(medium) concepts on the text layer.

      • KCI등재

        <기획> : 공감과 치유의 언어,문학 ;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내러티브와 그 치유적 활용 근거

        이민용 ( Min Yong Lee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9

        내러티브는 상담과 치유?치료에서 소통의 기본 질료로서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내러티브 그 자체의 체계적인 치유적 활용이라고 할 수 있는 이야기치료 혹은 내러티브 테라피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내러티브가 치유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래서 인지과학의 분과학문들인 뇌과학, 인공지능학, 인지철학, 인지심리학, 인지언어학, 인지서사학 등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내러티브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우선 뇌과학적으로 보면 내러티브는 삶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해 ‘체화된 인지’ 개념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우리의 뇌에는 거울뉴런이 있어서 내러티브가 공감과 미메시스에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지심리학적으로는 마크 터너에 의하면 내러티브는 마음의 기본 원리이다. 마음이 구성되는 기본원리가 내러티브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인지철학에서도 로이드에 의하면 내러티브는 마음을 구성하는 세 층위 중에서 두 번째 층위로서 사고의 일차적인 패턴으로 간주된다. 한편 내러티브의 이런 성격은 진화심리학적으로도 인간에게 아주 중요하다. 내러티브가 기억의 부담을 줄여주고 관심을 인간중심적으로 이끌어주며, 인간이 상상하고 시나리오를 짜서 연습하는 과정에서 하등동물을 능가하는 존재로 진화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인지인어학자 레이코프와 인지철학자 존슨에 의하면 우리 인간의 사고 개념은 은유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은유는 넓은 의미의 은유로서 내러티브나 문학의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내러티브가 이렇게 마음을 구성하는 기본원리로서 작용한다면, 마음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마음을 치유하는 데에도 내러티브를 치유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치료에서는 우리 인간이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견지하며 외부와 내부의 문제들을 이야기로써 해결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여기서 우리 마음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은 그 마음을 지배하는 지배적 스토리에 문제가 생겼고, 이런 스토리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인지프레임에도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럴 때 그러한 이야기 혹은 스토리로 된 인지 프레임을 치유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심리적 문제에 물든 인지구조를 바꿔서 새롭게 치유된 인지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내러티브로써 인간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근거들을 인지과학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While narrative has been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the counseling and therapy, in recent days narrative is being applied for itself to narrative therapy. Due to the structual similarity to life, narrative is a key element of embodied cognitive theory. There are brain sc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cognitive philosophy,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narratology under the cognitive science. Narrative has been explored in view of these disciplines of cognitive sci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issues about narr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disciplines in cognitive science, and to research the healing grounds of the narrative. Section one of the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 of narrative therapy activities and cognitive science. Section two examines the principle of mind by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narrative in mind, and identifies the narrative as the basic principle of mind. Section three analyzes mind model in cognitive psychology and tries to seek possibilities of narrative therapy by utilizing narrative mind model. We can reach to happiness and mental well-being by modifying narrative cognitive frame, the narrative identity and self stories therapeutically.

      • KCI등재

        이야기치료와의 연계를 통한 문학치료의 발전 방향

        박진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6 No.-

        The special research significance of literary therapy is the anthropological possibility of narrative theory in literary therapeutics. First, this essa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theory in literary therapeutics centered on the complexity of "narrative"(story-in-depth) and the "subject of narrative." On the other hand, its limits mainly appeared in clinical therapeutic studies caused by medical discourse, pathological viewpoint, expert power and so on. The connection with narrative therapy can compensate for these limits in literary therapy.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narrative therapy, participants are the subjects of the narrating act who create their own life stories from innumerable detailed experiences. Narrative therapists are "assistants" in these interactive "re-authoring conversations." Their intention is not to co-construct stories that describe experiences, but to co-construct stories through which people can live in preferred ways. Accepting this viewpoint, literary therapists can help participants more efficiently change their "story-in-depth of selves"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life stories and real lives. Through this transformation, people's own identities and values can be reflected in their story-in-depth. This connection with narrative therapy can exten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y as an ethical and social praxis. 문학치료의 연구 성과는 특히 서사의 다층성에 기반을 둔 서사이론의 인간학적 가능성에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사’ 개념과 ‘서사의 주체’ 논의를 중심으로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의의와 잠재력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주로 임상연구에 나타난 문학치료학의 한계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상담치료의 한 경향인 이야기치료의 관점과 실행 양상을 통해 보완의 방향을 찾아보고자 했다. 문학치료의 참여자는 자기서사와 실제 삶의 경험들, 그리고 생애 이야기가 긴밀하게 교섭하는 장이자 그 관계망 속에서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기를 살아가는 ‘서사의 주체’이다. 삶의 경험들과 생애 이야기의 관계에 집중하는 이야기치료의 관점을 발전적으로 수용한다면, 문학치료는 참여자의 자기서사가 생애 이야기로 구현되고 그럼으로써 실제 삶을 변화시키는 과정에 더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치료학은 또한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관계뿐 아니라 치료자와 참여자 사이의 상호작용 관계에도 좀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 권력, 정신의학의 담화, 병리학적 관점 등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참여자의 이야기를 잘 듣고 공감적인 지지자로서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대화의 과정이 동반돼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할 때 문학치료자는 참여자의 자기서사가 변화하고 성장해가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 과정에 특히 참여자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참여자가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향을 발견하고 그런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면, 문학치료는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실천으로서의 의의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내러티브를 통해 본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치료-프로이트의 엠마(Emma) 치료를 중심으로-

        이민용 ( Lee Min-y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5 No.-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과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연구하고 내러티브를 활용한 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분석학은 2가지 측면에서 내러티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정신분석 활동은 형식적으로 정신분석가와 환자 사이에서 내러티브를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치료적 내용에서 보아 정신분석은 내러티브를 통해 진단하고 치료한다. 프로이트도 자신의 치료행위가 내러티브의 성격을 지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데 내러티브에 관한 학문은 서사학이다. 그래서 서사학의 관점에서 내러티브를 잘 분석할 수 있고, 이른 통해 정신분석학에도 잘 접근할 수 있다. 서사학이 성립하기 이전에 서사학을 의식하지 않고 이루어졌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활동을 서사학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생산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에서 우리는 거기에 이미 내러티브가 치유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고, 내러티브 치료의 2가지 방향인 감성적 내러티브 치료와 인지적 내러티브가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로이트의 엠마 치료 사례를 통해서는 정신분석이 내러티브 치료일 수 있는 이유를 잘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가 진술한 내러티브에서 스토리의 틈새를 찾아 이를 메울 새로운 내러티브를 자유연상을 통해 발굴하고 이로써 내러티브의 틈새를 연결하여 완전한 내러티브를 재구성하는 내러티브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스토리의 단절과 스토리의 잘못된 디스코스(discourse), 그리고 스토리의 오접속과 착종이 심리적 문제의 원인임을 확인하였고, 이 심리적 문제의 해결에서는 스토리의 요소와 디스코스의 요소들을 치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psycho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and narratology, and to discuss about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therap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sychoanalysis is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in two aspects. Firstly, psychoanalyst and patient in psychoanalysis give and take their narratives each other. Secondly, in view of treatment, psychoanalyst can assess and treat his patient by means of therapeutic narratives. Sigmund Freud recognized that his psychoanalysis has the character of narrative. We can explore narratives, and make an approach the psychoanalysis efficiently in view of the narratology, because the narratology is the study of narratives. The paper points out two aspects of narrative therapy, the emotional aspects and the cognitive aspects in Freud`s Studies on Histeria. In cognitive narrative therapy, psychoanalyst should find out the disconnections of stories in patient`s narratives and, try to draw the storie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among them. Narrative therapy can be accomplished by the complete association of the stories in patient`s narratives. In this regard, the most valuable points are to make use of the components of story and discourse in narratives.

      • KCI등재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한 목회상담의 방향성 제언

        김인숙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본 연구는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한 목회상담의 방향성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에 한국목회상담 분야에서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에 대한 담론들 이 논의되면서 이 두 학문에 대한 간학문적 관심이 늘고 있다. 두 학문의 영역이 사 회구조에 대한 비평적 시각과 공공영역 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제간의 대화와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공신학과 이야 기치료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문헌고찰 연구를 통하여 살펴 볼 것이다. 또한 목회 상담과 이야기치료의 간학문적 대화를 통해서 목회상담을 위한 대안적인 방향성을 제 언하도록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세 분야로 진행될 것이다. 첫 번째는 목회신학과 공공신학을 살펴볼 것 이다. 보니 밀러-맥레모어(Bonnie Miller-McLemore)는 “살아 있는 인간망”(living human web)이라는 메타포를 사용하며 공공신학을 발전시켰다. 무엇보다 공공신학을 이해하려면 밀러-맥레모어의 신학적 메타포에 영향을 준 안톤 보이슨(Anton Boisen) 의 “살아 있는 인간문서”(living human document)의 목회신학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에, “살아 있는 인간문서”의 함축적 의미를 다루고 뒤이어 “살아 있는 인간망”을 다룰 것이다. 두 번째는 마이클 화이트(Michael White)에 의해 발전된 이야기치료의 발전 과정과 기료기법을 살펴본다. 이야기치료는 거대담론(권력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만 들어진 이야기로 사람들을 통제하고 제약하는 권력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담론)의 통 제와 제약으로 말할 수 없던(들려지지 않은) 개인의 숨겨진 이야기에 주목한다. 이 과 정에서, 개인은 사회권력, 힘, 억압에 대해 비평적 사고를 가지며, 개인이 추구하였던 삶의 이야기를 재구조화한다. 세 번째는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공통적인 의미를 고찰하며 목회상담을 위한 방향성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언한다. 첫째, 개인의 영역 을 넘어 공공영역으로의 확장을 요청한다. 둘째, 지배적인 사회구조에 대한 비평적 해 석을 가진다. 셋째, 공공의 재원을 활용하는 네트워크 중심의 돌봄과 상담을 구축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of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Looking at the recent discourse o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we can see that interest in these two studies is increasing. A researcher recognizes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even though these two theories have critical view about social construction and publicness as common ground.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public theology and story therap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ry to have a conversation betwee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A researcher will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dialogue for pastoral counseling and narrative therap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is study will review pastoral theology and public theology. Bonnie Miller-McLemore has developed public theology using the metaphor “living human web.” Above all, it is required to consider “living human document” developed by Anton Boisen to understand Miller-McLemore’s living human web because “her metaphor has been constited and developed based on living human document.” Second. this study will consider narrative therapy developed by Michael White. Narrative therapy has a critical view of the social structure which has the power, listening to the stories of individuals who are not told due to the dominant discourses(the story that has power and restricted individuals). This study will review narrative therapy and address the representative treatment techniques of narrative therapy. Third, this study will reconsider the implications of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and propose alternative perspectives for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irst,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ims to expand beyond the private sphere to the public area. Secon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pursues to have a critical view of the dominant social structure. Thir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establishes network-centered care and counseling that utilizes public resources.

      • KCI등재

        일반 논문 : 청소년의 외상 치료를 위한 시 창작 교육 모색-자전적 이야기시 창작 치료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태진 ( Tae Jin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2 문학교육학 Vol.38 No.-

        The aim of this essay is to search creative writing`s education of poem for therapy of teenagers` trauma. Of course, this essay focused on case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s creative writing is search scope. I thought that teenagers` trauma invaded by many kinds of problems, namely by teenagers should be possible through creative writing`s education of autobiographical poem. That is why the value of self-therapy and growth through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s creative writing happen during creative writing`s education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 connected with experience of invaded traumas. According to this question, first of all, In second chapter this essay try to search meaning and purpose of poem`s creative writing for therapy. In third chapter, this essay accepted that creative writing`s value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 written by the poet Lee, S. H. is self-therapy. Therefore, I scheduled creative writing`s education program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 for the purpose of teenagers suffering with experience of invaded traumas. In fourth chapter, this essay verified that creative writing`s education of autobiographical poem for self-therapy of teenagers` trauma is necessary and important in case of Park,○○ in S high school. that is why Park,○○ in S high school took a self-therapy about trauma invaded by colleague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creative writing`s education program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 especially composed of plan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 creative writing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 colleagues` advise and support, polish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 and so on. After all, I concluded that creative writing`s education of autobiographical poem for self-therapy of teenagers` trauma is necessary and important in literary education for teenagers. But, some teenagers who dislike writing do not read and write poem, and did not participate in creative writing`s education program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poem. Also, researcher did not know how to fulfill creative writing`s education of autobiographical poem until now. Therefore, more deep search of literary education and knowhow about creative writing`s education of autobiographical poem should be done to solve many kinds of teenager`s trau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