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Public Ethics of Care: Care, Justice and Economics of Social Service

        김은정 한국유통과학회 2016 유통과학연구 Vol.14 No.10

        Purpose - This paper explores a new possibility of care ethics for social service. As the needs for care have been growing rapidly in various social fields, ‘care’ became an important concept in envisioning a welfare state. However, due to the lack of proper ethics and political stance applied to the newly arisen needs and challenges, there exist lots of confusions and difficul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troducing the feminist ethics of car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care and justice in social service. As a main research perspective, this study has focused on Kittay’s public ethics of care and Tronto’s political ethics of care. Results - Drawing on the main research perspective, this study discusses on the necessity of a political conceptualization for an integrative care ethics. In the process, The specialty and professionality of care work as a relational labor was reconsidered. Kittay’s care ethics provides a persuasive justification for social support for care workers as well as care receivers, and Tronto’s ethics shows us the role of care politics for democratic citizenship. Conclusions - Tronto’s ethics of care with Kittay’s gives us valuable insights to envision a new public ethics for social service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care and justice properly.

      • KCI등재

        비판적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고미숙 한국도덕교육학회 2023 道德敎育硏究 Vol.35 No.4

        In this article, I examined what is the critical ethics of care and what is the necessity of it, and how we can do the education of critical ethics of care to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ethics of caring and education of caring. Early care ethics mainly have been emphasized the care relation of private, intimate domain like the care relation of mother-child in home as ideal relation and caring of others. But we have been experienced the equ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care in the contemporary period, therefore, we need beyond the existing ethics of caring and education of caring instead of the role assignment of care for women. Critical ethics of care understands care in the political, social, public, collective and global dimension as well as moral dimension. Critical ethics of care analyzes the care relation of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nd pursues the combination of care and justice, just caring, equ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care. I dealt with key characteristics of critical ethics of care and the moral educational direction of critical ethics of care.

      • KCI등재

        201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의 윤리

        김미현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3

        Since the 2010s, a focus of ethics has shifted toward ‘the other’ from the ‘subject’. The reason why was that raising a question about the subject composing the modern developmental logic led to the dominant voice to criticise the alienation or exclusion of the other. As such, when representing the focal movement from the subject to the other into literature from a profound dimension, an emphasis is put on the ethics of ‘care’. The existing ethics centered on the subject was based on ‘justice’. On the other hand, the ethics centered on the other is based on ‘care’. In particular, in the 2010s ‘care crisis’ when values including ‘empathy·devotion·cooperation’ are being threatened, such care ethics is being re-illuminated as the new feminist ethics. Of course, the care ethics is a controversial concept criticised even from the feminism since the care ethics itself can make females move back to the status of the patriarchal suppression.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limits of the care ethics may be the ethics of ‘self care’. The ‘self care’ ethics is the very concept which complements one-sided and selfless aspects of loss possessed by the care ethics from mutual and self-preserving aspects of selection. As for young feminist writers's novels created during 2010s, 『Women and Evolving Enemies』by Kim Sum, 『About the Daughter』by Kim Hye-jin and 『Four Neighbor's Dinner Table』 by Gu Byeong-mo create the ethics a narrative in common. The reason why is that they criticise suppression and ideality of the existing care ethics and extend it to the feminist ethics positive and active which denies both idealization and derogation of females. Particularly, these novels are significant feminist novels in that they are embodying the ethics of ‘self care’ in terms of ‘dependency-responsiveness-intersectionality’. 2010년대 들어 윤리학의 초점은 주체에서 타자로 이동했고, 이런 이동을 심층적 차원에서 담론화할 때 부각되는 것이 돌봄 윤리이다. 돌봄 윤리 자체가 ‘정의의 타자’로서 동일성이나 독립성을 중시하는 근대적 주체의 나르시시즘에 대한 비판으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런 돌봄 윤리를 여성주의적 윤리와 연관시키는 논의 또한 늘어나고 있다. 2010년대 들어 공감·헌신·협력 등의 여성적 가치가 위협받는 ‘돌봄 위기’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여성주의적 돌봄 윤리는 페미니즘 내부에서도 비판이 제기되는 논쟁적 개념이기도 하다. 돌봄 윤리 자체가 여성 종속의 수단으로 악용되면서 여성을 억압했던 과거로 퇴행할 수 있다는 위험성 때문이다. 이런 돌봄 윤리의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자기 돌봄’의 윤리에서 찾을 수 있다. 자기 돌봄 윤리는 돌봄 윤리 자체가 일방적이고 이타적인 ‘상실’이 아니라 관계적이고 자기 보존적인 ‘선택’ 행위임을 보여주면서도 돌봄 제공자 또한 돌봄을 받아야 할 돌봄 의존자임을 간과했다는 사실에 대한 반성을 반영하는 긍정적이고도 생산적인 윤리 개념이다. 2010년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성소설가들의 주목 받는 장편소설인 김숨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 구병모의 『네 이웃의 식탁』은 이런 여성주의적인 자기 돌봄 윤리가 처한 곤궁함과 정당성을 동시에 서사화한다. 김숨의 소설은 공존이라는 허구의 억압성을 돌봄 윤리의 기본 전제인 의존의 정당성으로 내파한다.(2장) 김혜진의 소설은 희생이라는 돌봄 가치의 자본화를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저항으로 자기 서사를 통한 민감한 반응성을 강조한다.(3장) 구병모의 소설은 평등을 강조하는 이웃 공동체의 불평등성을 통해 자기 돌봄 내부에서도 일어나는 균열과 충돌을 인정하는 교차성의 개념에 주목한다.(4장) 이런 과정 속에서 이 소설들의 자기 돌봄 윤리는 첫째로는 여성만이 아닌 모든 인간을 돌봄 윤리에 의존해야 할 할 보편적 타자로 확대시킨다는 것, 둘째로는 여성주의적 돌봄 윤리 내부에서도 존재하는 차별과 차이를 구체화시켰다는 것, 셋째로는 자기 돌봄 윤리가 공존·분배·평등 중심의 정의 윤리나 일방적이고 이타적인 일반적 돌봄 윤리와는 모두 차이나는 새로운 여성 윤리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것 등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접근 -배려윤리를 중심으로-

        류혜숙 ( Hye Suk Ryu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6 No.1

        Recently, pedagogical interest in care ethics education and in the harmony between justice ethics and care ethics is increasing in morality subject education. Till now, many moral philosophers suggested that male has rational morality while female has emotional morality. On the contrary, Gilligan suggested that the morality of female is different from the morality of male. He characterized the moral reasoning of female as care ethics and the moral reasoning of male as justice ethics; while paying attention to ‘different voices’ of male and female. Noddings applied the theory of Gilligan on morality subject education. Noddings learned that the care ethics emphasizing justice aspect is not sufficient to cultivate moral thinking skill and judgment skill. To complement this limitation, Noddings sought the harmony and integration of care ethics and justice ethics. Accordingly, this author sought for morality subject education plan, which can enhance the morality in the aspects of recognition, justice and behavior in integrated way. This author could find the clue of the answer to this in a literary work. Accordingly, an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which utilized the literature of Lipman, is suggested in this study by utilizing a Korean novel for young adults, ‘Wandeugi’,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which would efficiently apply care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ity subject education. The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of Lipman can enhance high-level thinking skill of students such as critical thinking skill, caring thinking skill and creative thinking skill. Especially the caring thinking of Lipman is an aspect of high-level thinking, which makes one to think about the role of caring others and the role of making cognitive judgment on the properness and justification; therefore, the ethical studying union activity has big contribution in care ethics education. The function of caring can be enhanced when caring is in harmony with reason; therefore, morality subject education, which enhances practical caring skill together with moral thinking skill, is required and it would be the true care ethics education.

      • <심포지엄 특집> 고령화 사회와 법 : 케어 윤리의 의의와 가능성 -사회구상의 핵심 개념 확립을 위해서-

        정상광자 ( Inoue,Masako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4 아세아여성법학 Vol.17 No.-

        케어 윤리는 1882년에 발달심리학자 C. 길리건이 그의 주요 저서 『다른목소리로: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1)에서 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한 소녀와젊은 여성의 도덕 판단·의사결정 과정의 경험적 분석을 통해 도덕 판단의 ‘또 하나’의 양식으로 제시되었다. 길리건은 L.콜버그의 공정한 논리적 추론을 중심으로 한 도덕발달 이론을 정의윤리라고 부르고,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젠더 바이어스를 고발했다. 그리고 ‘케어 윤리’라고 명명한 ‘또 하나’의목소리가 공정한 논리추론(정의윤리)에 의해 완전히 지워졌으며, 혹은 한단계 열등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음을 지적했다. 길리건이 제시한 ‘케어 윤리’는 남성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규범에 대한 되물음으로 젠더론이나 페미니즘은 물론, 윤리학, 사회학, 정치철학, 법학 등의 폭넓은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길리건의 비판은 콜버그에게만 향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프로이트나 피아제 등 다른 실증적이라 칭해지는 연구 안에 숨어있는 젠더 바이어스나차별구조에 대한 고발이 포함되어 있으며, 젠더론의 전개나 사회이론으로서의 의의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더욱더 중요한 점은 구체적인 인간관계의 차이나, 그 결과 발생하는 서열화와 권력관계 등에 주목하는 케어 윤리가 현재 주류인 리버럴리즘의 사회구상을 넘어, 보다 공정한 사회정의 구상과 실현에 관해 그 가능성과 의의를 지닌다는 점이다. 리버럴리즘의 공사 이원론에 근거한 제도론·사회구상에 있어서는 이러한 서열화가 전제되어 있으며, 서열화와 권력관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가 충분히 거론되지 않아 서열 관계를 온존하거나 강화해 버렸기 때문이다. 케어 윤리는 사회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바람직한 인간상의 제시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2) 그러나 현재 케어 윤리는 가족으로 대표되는 특수한 인간관계에 타당한 사적인 윤리로 주로 이해되고 있다. 혹은 기껏해야 간호 및 케어링이나 케어 노동영역에서만 한정되는 윤리로 평가되고 있을 뿐이다. 현재 일본에서 케어의 윤리는 사회구상의 핵심 개념으로는 작동하고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케어 윤리가 사회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정리 또는 극복해야 할 과제로 다음의 두 가지를 지적하고, 젠더론의 관점에서 공사 이원론 비판의 단서로 공사 이원론을 단순히 제도론적 관점에서 벗어나 주체론적 관점에서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1. 케어 윤리와 본질주의와의 관계정리 2. 케어 윤리의 영역 한정성 시비와 정의 윤리와의 관계정리. Ethics of care is the concept that C. Gilligan as developmental psychologist has been presented in the definitive work “ In a Different Voice”1) in 1982. Gilligan, by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of the face of moral dilemma girls and young women of moral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process experiment, she found a “another” and “different” voice of women and called it Different Voice. And she criticized to ethics of justice by L. Kohlberg and his development theory as the mainstream which is centered on the fair logical reasoning, that it implies the gender bias, and has been assumed ethics of care as inferior one stage. Ethics of care as a rethinking of the social norms, has the impact on the broad range of fields, ethics, sociology, political philosophy, and jurisprudence, as well as gender theory and feminism. Also in Japan, the ethics of care had a major impact both the practice and the theoretical. A lot of feminists had much interests on it. But evaluation for it was controversial rather than simple. In one hand, ecological feminists based on the difference appreciated it, because it gave the named to the voice or emotion of women that have not been conceptualized. Moreover based on the scientific method of developmental psychology analysis, it asserted that female voice as moral judgment is not inferior to men’s voice, but equivalent which is based on a different philosophy. In the other hand, liberal feminism and radical feminism submitted critical evaluation. Because ethics of care occurs that women are exclusively tied to caring activities, and reinforces the traditional gender stereotypes in Japan. In spite that she clearly charged against gender bias, they criticized on it. Unfortunately, this twisted point had not been solved or digested on the discussions among various feminisms in the 1980s Japan. It is much more important that criticism of Gilligan rather than being directed only to Kohlberg, and gender bias such as Freud and Piaget, that is called as empirical research were included accusations of discrimination to the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oint out the significances of the ethics of care as key concept of social theory for our days, at same time the problems to solve. Ethics of care, has only been considered to be a valid theory in special human relationships such as caring, care work, and family or intimate sphere. But ethics of care has significance and potentiality as the key concept of social theory. That it should not be to limit the adaptation range to “care relationship” or “care of the place”. Rather, in a relationship that also includes so-called civil society, the ethics of care is important as an idea. In order to function it as the key concept of social theory, I want to give the following two points, referring the discussion on Domestic Violence case organiz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s and the essentialism of care.

      • KCI등재후보

        새로운 도덕 패러다임으로서의 보살핌 윤리- 헤크만의 길리건 해석을 중심으로 -

        조주영 한국여성철학회 2008 한국여성철학 Vol.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end Hekman's view that Gilligan's care ethics can be interpreted as a new moral paradigm. This new paradigm upholds multiple values, contrary to the modernist moral paradigm, which assumes a universal moral value. The relational self assumed by care ethics differs from the Cartesian subject assumed by justice ethics. On the conception of relational self by care ethics, our conception of self is formed through relati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can undergo changes. In addition, the Cartesian self pursues a monistic truth, whereas the relational self constitutes truths through discourse. From the above sort of consideration, Hekman argues that Gilligan's care ethics indicates a sea change which was undergone in late twentieth-century intellectual thought. According Hekman, Gilligan's point of view is better understood when it is taken as a paradigm shift in ethics. For her view that there are more than one moral perspective is significant within a pluralistic view of ethics. The interplay between care and justice, Gilligan argued, is possible within paradigm of care ethics that allows multiple moral voices. In this new moral paradigm, "care" does not mean a norm of self-sacrifice that has been called upon women in a patriarchal society. Hekman insists that our understanding of "care" needs to be extended. That is a concept of care, Tronto suggests, as a foundation on the basis of which we can rethink about the moral realm. A new understanding of "care" shows that care ethics is useful in feminist political practise. 이 논문의 목적은 헤크만의 견해를 따라, 길리건이 주장한 보살핌 윤리를 보편적인 하나의 도덕적 가치만을 인정하는 근대적 도덕 패러다임으로부터 벗어난, 다원적 가치들을 수용하는 새로운 도덕 패러다임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보살핌 윤리에서 전제로 삼고 있는 관계적 자아는 관계 경험에 따라 구성되는 주체이며, 항상 변화의 가능성에 열려있다는 점에서 정의의 윤리가 전제하고 있는 데카르트적 주체와 그 성격이 다르다. 데카르트적 주체는 일원론적 진리를 추구하는 반면, 관계적 자아는 담론을 통해 진리를 구성한다. 이러한 점에서 헤크만은 보살핌 윤리에 대한 길리건의 주장은 20세기 후반의 철학적 담론에서 목격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변화와 그 성격이 같다고 주장한다. 헤크만의 견해에 따르면, 보살핌 윤리를 도덕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해석할 때 길리건이 주장하고자 했던 바의 의미가 더욱 잘 살아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덕적 관점이 존재한다는 길리건의 주장은 다원적 진리를 허용하는 도덕 패러다임 안에서 더욱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도덕 패러다임 안에서 보살핌이 의미하는 것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들에게 요구되어 왔던 자기희생적 규범이 아니다. 헤크만은 보살핌에 대한 이해를 보다 급진적으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는데, 그러한 개념이 바로 트론토가 제시하고 있는 도덕영역을 다시 생각해 보기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는 보살핌 개념이다. 보살핌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보살핌 윤리가 여성주의 정치적 실천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Care and Justice in Social Service: Toward a Political Ethics of Care

        Eun Jeong Kim 한국유통과학회 2016 KODISA ICB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usiness Vol.2016 No.-

        This paper explores a new possibility of care ethics for social service. The related problems are getting major issues in Korean society such as health insurance, free child care, and basic old age pension. As the needs for the care have been growing rapidly in various social fields, 'care' has been an important concept in envisioning a welfare state.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mporary studies on care ethics and social policy. Particularly, Kittay's care ethics - a public ethics of care and political ethics care in Tronto were focused on in order to explore a new possibility of care ethics for social service. However, due to the lack of proper ethics and political stance applied to the newly arisen needs and challenges, there exist lots of confusions and difficulties. Firs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are and justice in social service, and it will discuss on the necessity of a political conceptualization for an integrative approach to care. This paper attempted to introduce a new political ethics of care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care and justice properly for social service policy.

      • KCI등재

        유가철학에서 간호의 돌봄 윤리 모색

        최연자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48 No.1

        The care ethics is regarded as developing and alternative ethics to the rule-based ethics that have dominated the west, and estimated as a new and effective ethics against the moral crisis. Also nursing ethics is moderately accepted the care ethics of the west. But complexity situation of nursing need to caring not only care ethics but also ethics of resolution to moral conflict or dilemma. The ethics which integrates universality with particularity seems to be the reasonable ethics in the nursing situation. Emphasized by the confucian ethics means is not the holding on to the fixed norm or the leaning to one extreme but the adaptability to the time and circumstances. The practice of Ren(仁) in social relations means the care to other people and naturally aims to harmonize with the ethics of social community through extending the sphere of personal ethics. Confucian ethics showed Ren(仁) as the best principle of life to resolution of the moral dilemmas. It is supposed to be a continuum of the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according to the Ching(經) and the groping for accommodations by means of the Kuan(權) with searching for the Sun(善). It tells us that the Confucian ethics is oriented toward the integration of the rightness and goodness. The ethical clauses in Confucianism have various and dynamic norms and practical standards, and its range is very wide. Such norms show the unified and universal moral practice, organically related with Ren(仁) as an essence. It is said to be coherent to the nursing care as a new reasonable ethics in the pluralistic society. 최근 배려윤리가 주지 주의적 정의윤리를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윤리로 등장하면서 간호윤리에서도 상당부분 이를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생명과 관련된 복잡하면서도 긴급한 간호 상황에서는 배려윤리를 적용하면서도 진정한 도덕적 갈등이나 딜레마까지를 해결할 수 있는 간호 상황의 돌봄 윤리가 필요하다. 즉 간호의 돌봄 윤리는 보편성과 특수성(관계성상황성구체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통합적 모델로서 매 순간 도덕적 감수성으로 인한 실천행위의 지침을 제공 할 수 있는 실천윤리이어야 하겠다. 유가윤리는 모든 윤리적 원리나 규범을 인정하지만 그것들을 절대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상황에의 적합성을 윤리의 문제로 삼는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仁의 실천은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하지 않는 타자에 대한 돌봄, 즉 나의 마음을 미루어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으로 개인의 심성확충을 통해 나와 너의 수평적 관계에서 자연스럽게 사회공동체 윤리와 조화를 이루어 나간다. 또한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절대적인 삶의 원리로서 仁을 제시하고 있으며 경과 권 그리고 선의 방식을 사용하여 그 적절함과 올바름을 동시에 지켜 나간다. 곧 유가윤리는 경에 따라 시비를 판단하고, 권을 사용함으로써 시비판단을 상황에 적용시켜 융통성을 모색하면서 결국 개인과 사회에 이익이 되는 선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유가윤리는 옳음과 좋음의 통합 즉, 보편윤리와 목적윤리의 통합을 지향하면서 仁을 절대적 삶의 원리로 제시하여 恕의 실천행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하면서도 역동적인 가치규범과 실천규범을 이끌어 온 유가의 윤리덕목은 그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하여 간호의 돌봄 윤리를 위한 동양의 새로운 통합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보적 관계

        조성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3

        It is often the case that ethics of justice can be in conflict with ethics of care regardingmoral considerations in moral situations. Such conflicts cannot be solved merely by appealingto priority of one of justice or care, because the priority can be altered in each situation. However, moral principles or rules are involved essentially in moral conflicts. It is the samewith conflicts between cares themselves as well as conflicts between justice and care. Viewedfrom the perspective of whole morals, justice and respect of rights presuppose caring. However, in concrete moral problems we apply moral principles or rules first of all and solvethem taking the caring relation into consideration if necessary. Complementarity of justice andcare has to be considered in case of prevention as well as solution of moral problems. In caseof solution of moral problems ethics of justice plays more active role whereas in case of theirprevention ethics of care can do it exerting more powerful influence. Management of caringinstitutions or practices and cultivation of caring persons are needed in prevention of moralproblems on the ground of care ethics. We have to be concerned about ethics of care as wellas ethics of justice if we are interested both in the solution and prevention of moral problemsin moral education.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도덕적 고려사항들은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갈등은 단순히 정의와 배려 중 어느 하나의 우선성에 의해 해결될 수는 없다. 그러나 도덕적 갈등에서는 본질적으로 도덕원리나 규칙이 관여된다. 도덕의 전체 맥락에서 볼 때에는 정의나 권리존중은 배려를 전제한다. 그러나 특정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정의와 배려가 충돌함으로써 도덕 문제가 발생할 때에는 도덕원리나 규칙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상황에 따라 배려적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한다. 정의와 배려의 상보적 관계는 도덕적 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예방 측면에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도덕적 문제의 해결측면에서는 정의윤리가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예방적 측면에서는 배려윤리가 정의윤리보다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적극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려윤리의 예방적 측면에서는 배려적인 인간의 양성과 배려적인 제도나 관행의 운영이 고려될 수 있다. 도덕교육이 도덕적 문제의 지혜로운 해결과 함께 도덕 문제의 예방에도 관심을 가진다면 정의윤리와 함께 배려윤리에 대한 교육에도 신경써야 한다.

      • KCI등재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호 관련성 연구

        박병춘 ( Byung Chun Park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3 No.1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관계에 대한 논쟁은 길리건이 배려윤리를 주장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콜버그는 정의윤리는 공평성과 보편성을 도덕성의 본질적 요소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부수적인 문제에 관여하고 있는 배려윤리보다 우선한다는 입장이다. 길리건은 기본적으로 여성적 특성과 경험을 반영한 배려윤리는 정의윤리와 대등한 가치를 지닌 독립적인 윤리라는 입장을 전제로 두 윤리의 관계를 탐구한다. 두 윤리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의나 배려 중 어느 하나가 우선적이라고 보는 입장 둘째, 두 윤리는 서로 대등하면서 독립적인 관계를 갖는다는 입장 셋째, 두 윤리는 상호 의존적이고 상대윤리에게 도덕적 기초를 제공해 준다는 입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람직한 두 윤리의 관계를 세 번째 관점으로 상정하고 두 윤리의 장점과 적절성을 결합한 통합적인 관점에서 도덕적 문제들에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다. 두 윤리를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통합을 추구하면 도덕적 문제를 정의와 배려, 그리고 둘을 통합한 제 3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인식할 수 있고, 보다 조화롭고 포괄적인 해결방안을 도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rincipal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evant relation between the ethics of Justice and the ethics of Care. The main debates on the relation between justice and care are three kinds. One of them are the view to regard justice or care as morally primary. This view can take two forms, depending on whether justice or care is regarded as basis or primary.Secondly, the view is that the ethics of Justice and the ethics of Care are independent, equal and distinct moral voices. They suggest each ethics is associated different problem solving strategy, suggesting that each of them facilitates different kinds of moral reasoning and constitutes different ways which organize a problem and think about what is happening and what to do.Thirdly, one of the two ethics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other ethics. The ethics of justice is a precondition for morally adequate care, an ethic of care is a precondition for adequate justice. Some of them argue that the interdependence of care and justice and interactio of them result in convergence into comprehensive ethics that incorporates all the morally relevant in two ethics.Finally, I argue that the two ethics need each other both logically and instrumentally are complementary, so they need to be synthesized into acomprehensive moral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