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1995-2011)을 중심으로

        설경옥,박지은,박선영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3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outcomes was examined with meta-analytic methods across 66 independent studies (N = 25,353) extracted from electronic databases between 1995 and 2011. The mental health outcome measures were categorized as negative mental health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itive mental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religiosity.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depressive symptoms was -.176, indicating that greater religiosity is mildly associated with fewer symptoms.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is .263, indicating that greater religiosity is moderate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anxiety was insignificant (r = -.024). The results were not moderated by gender or age, but by the type of measure of religiosity used in the study. Specifically, in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negative mental health (i. e., anxiety and depression) religious behavior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while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igios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measure of religiosity. 본 논문은 1995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총 66개의 연구논문을 메타 분석하였다(N = 25,353). 정신건강은 불안과 우울의 부정적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정신건강으로 분류하여 종교성과의 관계에 대한 독립된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교성과 불안의 평균 효과크기(r)는 -.02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종교성과 우울의 평균 효과크기는 -.176으로 작지만 통계적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을 보였고, 이는 종교성이 높을수록 낮은 우울 증상을 보임을 의미한다. 종교성과 안녕감의 평균 효과크기는 중간크기인 .263으로 종교성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는 종교성의 측정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종교성과 부정적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종교행동과 내재적 종교정향성, 영적 안녕감은 불안, 우울 증상과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나 외재적 종교정향성은 불안, 우울 증상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종교성과 주관적,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는 종교성 측정유형에 상관없이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미국 사회에서 교육과 종교성의 관계

        이현송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1 국제지역연구 Vol.20 No.3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religiosity in the case of the Americans. Religiosity is conceptualized into three dimensions, which are cognition, practice and experience-emotion. For the analysis, the 2000~08 General Social Survey dataset is used. The analysis tell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educational attainment varies by the dimension of religiosity. Religios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educational attainment in terms of the cognitive and the experience-emotional dimension of religiosity, respectively. The more educated they are, the less they believe in God and have religious experiences and emotion less frequently. Concerning the dimension of religious practice, the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ttainment varies by whether the practice is doing it alone or doing it together with others. Doing it alon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ttainment while doing it together has positive relationship. The more educated they are, the less they pray but participate more in the worship service and church activities. The overall religiosity has a weak but negative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ttainment. Since the relation of each dimension of religiosity with educational attainment doesn't coincide with each other, it is inevitable that the overall concept of religiosity has a very weak relationship with educa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ligiosity of doing practices with others’ doesn't belong to the same category as other dimensions of religiosity. How the ‘doing religious practices with others’ can be conceptualized as an independent concept of religiosity needs to be further studied. 미국 사회에서 교육 수준과 종교성간의 관계를 종교성의 하위 차원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General Social Survey 2000~2008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종교성의 하위 차원에 따라 교육과 맺는 관계가 상이함을 발견하였다. 개인의 종교성을 인지적, 실행적, 체험·감정적 차원으로 구분했을 때, 인지적 및 체험·감정적 측면에서는 종교성과 교육 수준이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신이나 종교적 교리에 대한 믿음이 약하며 종교적 체험을 하거나 종교적 감정을 느낀 적이 적다. 한편 실행적 측면은 혼자 하는 실행이냐 남과 함께 하는 실행이냐에 따라 교육과 맺는 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혼자 하는 실행의 경우 교육과 반비례 관계를 가지나 남과 함께 하는 실행의 경우 교육과 비례 관계를 갖는다. 즉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기도를 덜하나 반대로 교회 예배나 종교 활동에는 열성적으로 참여한다. 한편 전반적인 종교성과 교육이 맺는 관계는 매우 약한 수준의 반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종교성의 하위 차원들이 교육과 맺는 관계가 서로 상반되므로 전반적인 종교성이 교육과 맺는 관계는 매우 약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 ‘남과 함께 하는 종교성’은 여타 종교성의 차원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개인 중심의 종교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독교 전통에서 이를 어떻게 개념화 할 수 있을지는 추가적 연구를 요한다.

      • KCI등재

        종교와 성태도 간 관계

        한내창(Han Nae Chang)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5

        본 연구는 개인들의 종교성이 혼전 및 혼외성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기존 국내 연구들에 따르면 종교는 개인들의 성태도 및 성행동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무효과 가설’이 지지되었고, 서구의 연구들은 종교가 개인들의 성태도 및 성행동을 억제한다는 ‘억제효과 가설’을 지지해왔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어느 가설이 경험적 자료에 의해 더 잘 지지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8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이 자료는 전국의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다단계 지역표집 방법에 의해 확률 표집을 한대표성 있는 자료이다. 종교성 변인으로 신봉종교, 법회?예배 참석 빈도, 기도 빈도, 기타종교활동 참석 빈도, 자기평가 종교성, 본질적?비본질적 종교성이 도입되었고, 종속변인으로는 혼전 및 혼외성수용도 변인이 사용되었다. 다차원적으로 측정된 종교성 변인과 혼전 및 혼외성 수용도 간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의 결과들을 요약한다면 ⒜ 혼전 및 혼외성수용도에 종교성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혼전 및 혼외성수용도를 비교하면 혼외성수용도보다 혼전성수용도가 종교성 변인들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종교성 변인들 가운데 혼전성수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법회?예배 참석 빈도, 자기평가 종교성, 본질적?비본질적 종교성이었고, 인구학적 변인들 가운데서는 성별과 연령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자료는 종교성의 무효과 가설보다는 부분적으로 억제효과 가설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성, 연령, 교육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을 다변이 분석 모델에 도입하였을 경우 그 유의미도가 사라져 종교성 효과는 다소 의사적(spurious) 측면을 가지고 있다. 혼외성수용도는 종교성 변인들에 의해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되어온 경험적 연구들을 표본의 대표성과 다차원적인 종교성 변인 측정의 면에서 개선을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dividual's religiosity on premarital and extra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For this purpose, the '200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s data, collected by Survey Research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were used. The data were representative of the nation-wide adults above 18 years, selected based on the multi-stage area sampling. The religiosity variables such as religious affiliation, participation in religious services, pray frequency, participation in other religious activities, self-rated religiosity, and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sity were introduced in the study. As dependent variables, premarital and extra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religiosity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premarital and extra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summarize the findings, ⒜ the religiosity variables partially affects the variance of premarital and extra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 While the extra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has little variance and little effects by religiosity, the pre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was explained by religiosity variables relatively well. ⒞ Among religiosity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pre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are participation in religious services, self-rated religiosity, and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sity. Then it is said that the data partially supported the suppressing effects of religiosity on premarital sexual permissiveness rather than no-effects hypothesis. This study improved the representativeness of samples and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religiosity, compared with the existing empirical studies in Korea.

      • KCI우수등재

        우리문화에서 I/E 및 기타 종교성 척도

        한내창(Han Naechang)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6

        본 연구는 종교(성)을 다차원적 개념으로 간주하고 경험적으로 이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두 개 조사, 세 개 표본을 이용하여 서구에서 개발된 I/E종교성 척도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고, I/E 차원간 관계, 그리고 1/E척도와 다른 종교성 및 기타 태도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의 상황에서는 서구의 Kirkpatrick 및 Gorsuch & McPherson의 I/E 요인 구조와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E차원 가운데 하나(Ep)는 I차원에 부하되었고, Es만 독립적인 차원을 이루어, I/E 차원은 I와 Es두 개 차원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구조는 우리의 문화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또한 I/E차원간 관계도 서구의 결과와는 달리 정적 관계를 보였고, I/E와 다른 종교성 및 기타 태도들과의 관계도 정도의 문제이지 본질적 차이는 아니라는 점이 파악되었다. 오히려 서구에서와는 달리 I종교성이 Es에 비해 더 종교적 편견과 관계가 높은 점을 고려한다면 I/E종교성을 건강하고 성숙된 종교성과 불건강하고 미성숙된 종교성으로 구분하는 서구의 가치관이 우리의 상황에서는 들어맞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종교성 차원들은 본 연구에 포함된 다양한 태도 변수들에 상이한 유형의 효과를 미치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종교성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종교성 차원들 가운데 응답자들의 태도를 설명하는데 특히 유효한 설명력을 가진 종교성 차원은 신봉종교와 I/E종교성, 신앙 열성도, 종교의 중요성, 그리고 종교적 지원 변인이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multidimensional measures of religios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wo data sets with three samples, this study attempts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an I/E religiosity measure which was identified in the Western cultu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E dimensions and other religiosity measures, and to test the association of religious dimensions with other attitude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different factor structure from the Gorsuch & McPherson’s I/E measure. Three samples confirmed two factors (I/Ep & Es) rather than three dimensions(l, Ep, & Es). It was discussed that this reflected our cultural background with this-world orientation. In addition, unlike the Western culture in which I/E dimensions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s between I/E religious dimensions appeared to be positive. In the same context, it was found that the associations between religiosity and other attitude variables were the problem of degree, rather than that of attributes. Considered that l-religiosity showed stronger religious prejudice in Korean samples(in Western samples the reversed relationship found), the distinction of I/E religiosity as healthy/mature vs unhealthy/immature by the Western culture may not be appIied to this oriental society. In addition, from the fact that a variety of religiosity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had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effects on multitude of attitude variables,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religiosity would be desirable. Of the effective religiosity variables, the variables of religious affiliation, Intrinsic/Extrinsic religiosity, religious commitment, religious importance, and religious support could be recommended for the prospective studies in this area.

      • KCI등재

        부모의 종교성과 자녀 행복의 관계 연구: 자녀의 종교성과 부모 행복의 이중 매개효과 검증

        김미숙,김승주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igiosity and happiness by empirically analyzing whether children’s religiosity and parents’ happines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ligiosity and their children’s happines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Game User Panel Survey of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arents’ religiosity, the higher their children’s religiosity. Second, the higher the children’s religiosity, the higher their happiness. Third, the higher the parents’ religiosity, the higher their happiness. Fourth, the higher the parents’ happiness, the higher their children’s happiness. Fifth, parents’ religios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happiness. Sixth, children’s religios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religiosity and their children’s happiness. Seventh, the parents’ happi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religiosity and their children’s happines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religion and parenthood for the happiness of youth was discussed. 본 연구는 부모의 종교성과 청소년 자녀의 행복 간의 관계에서 자녀의 종교성과 부모의 행복이 이중 매개 역할을 하는지 실증분석 함으로써 부모-자녀 간 종교성과 행복의 상호 관련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이용자패널 조사 9차년도 (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종교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종교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종교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행복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종교성이 높을수록 부모의 행복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행복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행복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종교성은 자녀의 행복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부모의 종교성과 자녀의 행복 간에 자녀의 종교성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일곱째, 부모의 종교성과 자녀의 행복 간에 부모의 행복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행복을 위한 종교의 역할과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 KCI등재

        종교성과 교회생활이 교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감리교인을 중심으로-

        이종석,정득 한국종교학회 2018 宗敎硏究 Vol.78 No.1

        This study attempts at analyses of empirical statistics to measu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ristians’ satisfaction with church. The data is from “The Survey of Religious Life and Orientation of Korean Methodists,” conducted by the Korean Methodist Church nationwide in 2015; the size of sample reached 986 individual church members―475 males and 511 fema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using the religious aptitude factors―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sity―, the demographic factors (gender, length of life of faith, region, size of church), and the styles of church activities (worship, parenting, service, associ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of the service of church has more influence on church members’ satisfaction than the factor of their religiosity; Second, while extrinsic religiosity is proven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elievers’ satisfaction with their church, intrinsic religiosity is not proven to have such significance. Third, intrinsic religiosity is proven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ly when it is properly matched with extrinsic religiosity. At a lower level of intrinsic religiosity, a believer’s satisfaction is not much affected by the level of extrinsic religiosity. However, at a higher level intrinsic religiosity, a believer’s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vel of extrinsic religiosity. The empirical evidence of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Protestant churchgoers’ satisfaction with their churches is affected by extrinsic religiosity and the types of the church activities, rather than the intrinsic religiosity. This study points out that it is essential to revitalize intrinsic religiosity, which holds the original meaning of religion, for Korean Protestantism in search of the ultimate solution of its problem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Korean Protestant churches need to reflect on the fact that a believer’s satisfaction can be low even when one’s level of intrinsic religiosity is high, if the level of extrinsic religiosity is low. 2017년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 개신교의 문제점과 개혁방안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에 자성과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졌지만, 정작 교회 안에서는 개혁적인 실천이 없고 이미 자정능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실 문제를 신학적 담론을넘어 실증적으로 분석해 볼 수는 없을까?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도들의 교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계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회 내의 개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개신교의하나인 감리교회가 전국적으로 실시한 ‘한국 감리교인의 신앙생활과 의식조사’ 자료(2015)를 활용하여, 감리교인 986명(남자 475명, 여자 51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주된 연구문제는 한국 개신교도들의 종교적 성향과 교회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즉 종교 자체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그 신념에 맞는 삶을 살아가려는 성향의 ‘내재적 종교성’과 개인의 목적을 위해 종교를 하나의 도구로 이용하려는 성향의 ‘외재적 종교성’ 중 어느것이 교회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가? 교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으로 종교성과 함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신앙연수, 지역, 교회규모)과 교회생활 특성(예배, 양육, 봉사, 교제)을 독립변수로 모형화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교회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종교성보다교회생활 특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종교성은 교회만족도에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쳤지만, 내재적 종교성은 교회만족도와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었다. 그런데 내재적 종교성은 외재적 종교성과 상호작용을통해서 교회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가 존재했다. 즉 내재적 종교성이 낮은 수준에서는 외재적 종교성의 수준에 따라 교회만족도가 크게 차이나지 않았지만, 내재적 종교성이 높은 수준에서는 외재적 종교성의 수준에 따라 교회만족도의 차이가 컸다. 이러한 결과는 교회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 내재적 종교성이 아닌, 외재적 종교성이나 교회생활 특성이라는 한국 개신교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한국 개신교는 종교의 본질적 기능인 내재적 종교성의 회복이 반드시 필요하며, 내재적 종교성이 높은 경우에도 외재적 종교성이 낮으면 교회만족도가 낮은 현실에 대한 반성이 교회 안에서부터 일어나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종교성과 생태인식 간의 관계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인 종교성 논의와 유형화를 중심으로

        이명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3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현상들이 전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다. 기후위기는 일상의 위험이 되었고, 우리의 삶에 직접 영향을 끼치고 있다. 기후재난 경험으로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기후행동의 시급성에 대한 인식의 수준은 높아졌고, 현재의 기후위기를 야기한 생활양식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많은 사람이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생활양식을포기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편함과 희생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사람들 은적다. 나 자신만 현재의 생활방식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 부족으로 아직도 대다수 사람은 기후위기와 깊이 연관된 지금의 삶의 방식을 포기하지 않는다. 삶의 양식 및 이와 연관된 세계관은 많은 부분 종교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베버의 ‘전철수의 비유’ 를 생각하면 새로운 삶의 양식을 선택하도록 우리를 추동할 수 있는 것은 종교이다. 본 연구가 한국사회의 일반 신도(및 신자)들의 종교성과 생태인식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종교성과 생태인식의 관계를 탐구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사람들을 기후행동과 생태적 전환 운동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론과 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만 19세 이상 불교, 개신교, 천주교 교인 4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는 한국인의 종교성, 넓게는 동아시아 종교성이 서구의 종교성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고. 한국인의 종교성을 네 가지, 경건한 종교성, 문화적 종교성, 의례적종교성, 세속적 종교성으로 유형화하였다. 그 후 종교성과 생태인식(생태 적 세계관과 생태적 실천, 생태적 책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종교성 유형에 따라 생태인식에는 일정한 격차가 발생하며, 생태인식은 경건한 종교성 > 의례적 종교성 > 세속적 종교성 > 문화적 종교성 순으로 강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 기초하여 이후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코로나19 경험도 포함한 2차 심층분석도 진행하여, 생태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관계 및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할 것이다. 2차 분석에서는 분석대상을 불교신도로 제한하여 사람들을 기후행동과 생태적 전환 운동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론과 구체적인 대안을 더욱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Extreme weather event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The climate crisis has become a crisis in daily life and directly affects our lives. However, despite the direct impact on people’s lives, most individuals are still unwilling to give up their current lifestyles, which are deeply linked to the climate crisis. A way of life and its linked worldview is, a large part, deeply connected to religious teaching. This is why this paper focuses on religiosity and ecological awareness among Korean religious people.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ecological awareness, and based on the findings, we expect to able to propose methodologies and ways to engage people in climate action and the movement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line among 450 Buddhists, Protestants, and Catholics aged 19 and older. This study has attention to the differentiation between Western religiosity and Korean religiosity. We categorized Korean religiosity into four types: Ritualistic Religiosity, Devotional Religiosity, Cultural Religiosity, and Secular Religiosity. The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ecological awareness (ecological worldview, ecological practice, ecologic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is a particular gap in ecological awareness based on the type of religiosity, and we found that ecological awareness is stronger in order of Devotional Religiosity, Ritualistic Religiosity, Cultural Religiosity, and Secular Religiosity. Furthermore, based on this study, we will conduct in-depth research that includes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VID-19 experienc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effect size of factors affecting ecological awareness.

      • KCI등재

        미국인의 종교성의 양극화

        이현송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2 국제지역연구 Vol.15 No.4

        American's recent trend of the consistently weakening religiosity is analyzed by using the dataset of General Social Survey. I construct a composit scale to measure religiosity by using the factor analysis method and create four types of religiosity; strongly religious, relatively faithful, religiously vague, and virtually secular. The comparison of religiosity scores between 1993 and 2008 brings out following results. First, the weakening of religiosity has taken place over the whole population. The virtually secular gained a large share while the strongly religious keep their faith firmly during the period. The polarization of religiosity was observed, that is, thos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continuum of religiosity were shrunken while those at either extreme increased. Second, all age groups displayed the decrease in religiosity. Though the youngsters showed a deep fall in religiosity, the older lost their faith as much as the youngsters did. Third, religiosity has been weakened over all educational attainments, though the highly educated have much larger fall. Forth, those of relatively weak religiosity such as male, while, North and West residents, experienced much greater extent of religious weakening. To summarize these results, I conclude, American's religiosity has been weakened overall regardles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 regions over the past two decades. It seems to be a universal shift that have afflicted on most of Americans. There are some exception in this general shift, who are those holding very strong faith such as women, African American and Southerners. Their religious status has not been compromised despite such general trend. 미국의 General Social Survey 자료를 사용하여 미국인의 종교성이 근래에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경향을 분석하였다. 종교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만들어 종교성의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로 1993년에서 2008년 사이에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검토하였다. ‘믿음이 확고한’, ‘비교적 신실한’, ‘모호한 종교성의’, ‘사실상 세속적인’, 이렇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모든 인구에서 종교성의 약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기는 하지만 ‘믿음이 확고한’ 사람은 거의 변함이 없는 반면 ‘사실상 세속적인’ 사람의 비율은 크게 높아졌다. 즉 종교성의 연속성에서 중간에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 감소하고 양극단에 위치한 사람의 비율이 증가하는 종교성의 양극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둘째, 모든 연령에서 종교성의 약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근래의 젊은 세대가 과거의 젊은 세대보다 더 세속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에게서만 종교성의 약화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중년층에서도 젊은 층 못지않게 종교성이 약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종교성의 약화현상은 모든 교육 수준에서 나타나지만 특히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 정도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종교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집단인 남성, 백인, 북부와 서부 거주자들에게서 종교성의 약화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미국인의 종교성이 지난 20여 년간 지속적으로 약화된 것은 특정집단이나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전개되는 변화로 보인다. 종교성이 매우 강한 사람들은 예외적으로 이 기간에 종교성이 약화되지 않고 있으나 이들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다. 여성, 흑인, 남부 거주자들 중에서도 ‘믿음이 확고한’ 사람들에 국한된다.

      • KCI등재

        웰빙 차원에서 역기능적 종교성에 관한 질적 탐구

        서경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4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qualitatively the people’s dysfunctional religiosity for well-be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the clergy and 6 believers (devotes). The clergy included three pastors of Protestant churches, two Buddhist monks (male and females), and one Won-Buddihst monk. Six devotes included two Protestants, two Catholics, and two Buddhist. There were one female in the clergy and three females in devotes. Data gathered from narrativ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techniques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strategies and procedures. Twenty two topics derived from their assertions and statements, nine main meanings were classified based on those topics. Main meaning were reward-seeking religiosity, authority oriented religiosity, selfish religiosity, blind or unconditional religiosity, asocial religiosity, inactive religiosity, inexperienced religiosity, emotionally problematic religiosity, and cognitively problematic religiosity. Based on derived topics and main meaning,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for example the scale development, and information of strategies for promoting well-being of religious pers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웰빙 차원에서 역기능적인 종교성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한 대상자는 종교인(성직자) 6명과 신앙인 6명이었다. 종교인의 경우 개신교 목회자 3명, 불교 종교인 2명, 원불교 종교인 1명이었고, 신앙인의 경우는 개신교 신앙인 2명, 천주교 신앙인 2인, 불교 신앙인 2인이었다. 종교인 6명 중에 한 명이 여성(불교)이었으며, 신앙인 6명 중에는 3명이 여성이었다. 본 연구에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이야기식 인터뷰 방식과 Giorgi가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참여자들의 진술을 분석한 결과 2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그 주제를 바탕으로 중심의미를 파악한 결과 9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중심의미로는 보상추구적 종교성, 권력지향적 종교성, 이기적 종교성, 맹목적 종교성, 비사회적 종교성, 비실천적 종교성, 무체험적 종교성, 정서문제성 종교성 및 인지문제성 종교성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와 중심의미를 바탕으로 척도개발과 같은 추후 연구와 신앙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의 조절효과 검증 : 천주교 광주대교구를 중심으로

        조발그니(Cho, Balkeuni),김병욱(Kim, Byoung-uk)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9 사회연구 Vol.- No.17

        이 연구는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종교대처, 안녕감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가 일관되지 않게 나타난 이유가 조절변수인 종교대처의 작용이라고 보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천주교 광주대교구 내 13개 성당의 청년 252명을 대상으로 종교성 척도, 종교대처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사회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상관분석, 동시 회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대처의 세 가지 양식은 종교성, 안녕감과 다른 상관을 보였다. 종교대처 양식 중 공협형과 책임전가형은 종교성 하위 요소인 신경에 대한 동의, 경건성, 교회 출석, 조직 활동, 종교 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종교성의 하위 요소 중 조직 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언변수였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교회 출석이었다. 셋째, 공협형은 종교성의 모든 하위요소에 대해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보인 반면, 자기주도형은 종교성의 하위요소 중 신경에 대한 동의와 경건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종교대처 양식 중 공협형은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예언변수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 양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협형과 자기주도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서 작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볼 때, 공협형의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종교성이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종교기관은 청년들을 위한 활동이나 교육을 계획할 때 종교성의 증진 뿐 아니라, 청년들의 종교대처 방식에 대한 관심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religiosity, religious coping, and well-being. Especially, special concern was given to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in the 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religiosity, religious coping and well-being were administered to 252 youngsters belonging to 13 churches in Gwangju City.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youngsters' religiosity and their well-being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categories of religiosity and those of well-be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in the 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differs according to religious coping. If youngsters have deferring and collaborative types in religious coping,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sters' religiosity and their well-being is positive. The attendance at the church is important to improve youngsters' well-being. Second, only the attendance at church activities affects youngsters' positive well-being. In conclusion, religious coping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religiosity and youngsters' well-being. This means that religious institutions should pay attention to youngsters' involvement and activities at the church. That is, positive attendance at church activiti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youngsters' religiosity and improving well-being. Further research with in-depth interview is needed to explore richer data on youngsters' religio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