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우리문화에서 I/E 및 기타 종교성 척도

        한내창(Han Naechang)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6

        본 연구는 종교(성)을 다차원적 개념으로 간주하고 경험적으로 이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두 개 조사, 세 개 표본을 이용하여 서구에서 개발된 I/E종교성 척도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고, I/E 차원간 관계, 그리고 1/E척도와 다른 종교성 및 기타 태도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의 상황에서는 서구의 Kirkpatrick 및 Gorsuch & McPherson의 I/E 요인 구조와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즉, E차원 가운데 하나(Ep)는 I차원에 부하되었고, Es만 독립적인 차원을 이루어, I/E 차원은 I와 Es두 개 차원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구조는 우리의 문화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또한 I/E차원간 관계도 서구의 결과와는 달리 정적 관계를 보였고, I/E와 다른 종교성 및 기타 태도들과의 관계도 정도의 문제이지 본질적 차이는 아니라는 점이 파악되었다. 오히려 서구에서와는 달리 I종교성이 Es에 비해 더 종교적 편견과 관계가 높은 점을 고려한다면 I/E종교성을 건강하고 성숙된 종교성과 불건강하고 미성숙된 종교성으로 구분하는 서구의 가치관이 우리의 상황에서는 들어맞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종교성 차원들은 본 연구에 포함된 다양한 태도 변수들에 상이한 유형의 효과를 미치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종교성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종교성 차원들 가운데 응답자들의 태도를 설명하는데 특히 유효한 설명력을 가진 종교성 차원은 신봉종교와 I/E종교성, 신앙 열성도, 종교의 중요성, 그리고 종교적 지원 변인이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multidimensional measures of religios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wo data sets with three samples, this study attempts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an I/E religiosity measure which was identified in the Western cultu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E dimensions and other religiosity measures, and to test the association of religious dimensions with other attitude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different factor structure from the Gorsuch & McPherson’s I/E measure. Three samples confirmed two factors (I/Ep & Es) rather than three dimensions(l, Ep, & Es). It was discussed that this reflected our cultural background with this-world orientation. In addition, unlike the Western culture in which I/E dimensions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s between I/E religious dimensions appeared to be positive. In the same context, it was found that the associations between religiosity and other attitude variables were the problem of degree, rather than that of attributes. Considered that l-religiosity showed stronger religious prejudice in Korean samples(in Western samples the reversed relationship found), the distinction of I/E religiosity as healthy/mature vs unhealthy/immature by the Western culture may not be appIied to this oriental society. In addition, from the fact that a variety of religiosity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had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effects on multitude of attitude variables,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religiosity would be desirable. Of the effective religiosity variables, the variables of religious affiliation, Intrinsic/Extrinsic religiosity, religious commitment, religious importance, and religious support could be recommended for the prospective studies in this area.

      • KCI우수등재

        종교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내창(Han Naechang)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성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 명제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들은 상호 대립적인 견해들을 보여왔다. 즉, 종교는 한 편으로 정신건강에 기여를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정신 건강에 유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명제를 검증하기 위해 한 지방 중소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종교성은 정신 건강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종교성은 정신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건전한 생활습관이나 자아구조에 영향을 주어 정신건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상대적으로 종교성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간접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종교는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뿐 아니라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지속적 몰입도와 종교 갈등은 기력을 쇠하게 하고, 불안감과 우울증을 증가시키며, 생애 만족감을 낮추는 경향이 있었다. 다른 한편, 정서적 애착도는 우울증을 감소시켰고, 본질적 종교성은 생애 만족도를 향상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s religiosity on his(her) mental health state. The existing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empirical research have shown contrasting arguments. That is, religion may have harmful effects as well as beneficial ones. To test this statement, an empirical data set was constructed, by surveying adults residing in Iksan City. Findings showed that religiosity affected mental health directly and indirectly. That is, the religiosity not only contributed to improving mental health directly, but also conduced to mental health indirectly through healthy life style and self structure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religiosity. The relative size of indirect effects seemed to be larger than that of direct ones.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religiosity had detrimental as well as beneficial effects on mental health. On the one hand, continuance commitment and religious conflict contributed to high level of somatic problem, anxiety, and depression, and low level of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affective commitment to religion decreased depression level and intrinsic religiosity increased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