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례와 상징 : 조선시대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이 글에서 살펴본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는 상호 유기적 관계에 놓여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징적 의미를 통해 이루어지는 의례의 신성화 행위는 종법적 위계질서에 기초한 부계친의 결속과 강화 및 신분적 차등질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마련된 사회문화적 장치이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이들 모두 ‘정당성의 확보’라는 궁극적 목적으로 귀결되기도 한다. 즉, 의례의 신성화를 도모함으로써 정당성을 확보하고, 또 이를 바탕으로 유교에서 설정해둔 여러 관계적 질서의 정당성을 다시 부여받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의례를 통해 당대의 기존 질서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례 자체가 ‘정통’으로 간주될 필요가 있는데, 이때 혈통적 연결고리를 갖는 조상에 대한 의례 곧 조상제례는 정서적 친밀감을 고조시킴으로써 강한 신뢰감을 형성하는가 하면, 신성성을 부여받음에 따라 객관적 믿음에 바탕 한 정통성 또한 담보받을 수 있다. 이처럼 조상제례는 부모가 생전에 베풀어준 사랑에 대한 은혜 갚음의 행위 곧 효의 실천이라는 극히 개별적 차원에서 수행되는 의례이지만, 이를 통해 집단적 가치규범을 정당화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이용되어 왔음을 새삼 확인할 수 있다. 『예기禮記』에 “(정성을 다해 제례를 거행함으로써) 군신의 도리를 바르게 하고, 부자父子의 정을 두텁게 하고, 형제들을 화목하게 만들고, 상하의 차례를 바로 잡고, 남편과 아내 사이에 분별이 있게 된다.”라고 적혀되어 있듯이, 제례가 당대의 사회적 가치규범을 지속ㆍ강화함에 있어 이용되어온 연원은 중국 고대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순자荀子 역시 중국 고대의 현군賢君들이 백성들끼리의 불화나 다툼을 억제하고 그들의 욕망을 조절하기 위해 의례가 마련되었다고 했는가 하면, 이런 배경에서 의례는 종교적 원리에 근거하기보다는 세속적인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의례는 오랜 기간을 거치면서 축적되어온 집단적 산물이다. 그리고 집단은 당대의 사회구성원들이 구성한다. 이는 곧 종교적 상징성을 부여받아 신성화의 영역에 자리매김 된 의례라 하더라도, 적지 않은 사회문화적 조작과정을 거쳤음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점에서 유교의례 역시 이들 가능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유교의례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사회적 가치규범의 범주가 확장될수록 이러한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는 조상숭배적 차원에서만 주목받아온 조상제례의 또 다른 측면을 조명하는 것으로서, 향후 이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The social functions and symbolic meaning of Confucian rites that were examined in this thesis are placed in a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The reason is that the sanctification of rites through symbolic meaning is a social, cultural device prepared to unite and strengthen paternal kinship based on patriarchal, hierarchical and to realize social status discrimination order more efficiently. Also, they all conclude to an ultimate purpose of 'securing justice'. Justice is secured by promoting the sanctification of rites. Based on this, the validity of several relationship orders set in Confucianism is granted once more. In other words, the rite itself must be considered as 'tradition' first to grant validity to the existing order of the era through rites. Ancestral rites, which are religious ceremonies with a lineage connection raise emotional intimacy and form a strong faith. As sacredness is granted, legitimacy can be also guaranteed based on objective belief. Although ancestral rites are accomplished at an extremely personal level as practicing filial piety, repaying kindness for the love parents bestowed on during their lifetime, we can see that they have been used quite frequently to justify group norm of values. It is said in 『Ye-gi(禮記)』, “(By performing ancestral rites with utmost sincerity) duties of sovereign and subject is renovated, affection between father and son is deepened, siblings are in harmony, order of superiors and inferiors is straightened, and there is classif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origin of rites being used to continue and strengthen social norm of values of the era can be found in ancient China. Soon-ja(荀子) also said that rites were made by wise kings(賢君) of ancient China to suppress disagreement or fights among the people and to control their desires. He mentioned that rites were based on a secular principle rather than a religious one. Rites are group products that have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The group is composed of society members of the era. Although rites have settled in the sanctification area by receiving religious symbolism, it is considered to have gone through much social and cultural manipulation. Confucian rites cannot break away from this possibility as well. The possibility increases as the range of social norm of values which was tried to be realized through Confucian rites is expanded. This highlights another side of ancestral rites which were extremely feared from an ancestor-worshiping level. It is also a critical point that desperately needs in-depth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체화(體化)된 황국신민의례와 일제의 ‘착한 근대 아동’ 만들기: 경성(京城)의 소학교를 중심으로

        안주영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3

        This article is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Good modern children” by analyzing how the Japanese manipulated the school schedule and education policy in elementary schools, mainly in Keijō(京城)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in order to ‘japanize’ the students [convert them to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皇國臣民)] through school rituals. The school’s time schedules and rituals were made to directly reflect Japanese national ideologies. An elementary school, where children of Joseon descent attended, was the first school to have this new Japanization policy institutionalized. The amount of Japanese national rituals and Japanization education steadily grew. The “modern child” that Japanese wanted to create in the Joseon children through the new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ystem was basically a Japanized native colonial citizen making them a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The Japanese Empire in elementary schools, mostly in Keijō, used the repetition of Japanese national rituals to instill a sense of alignment to the Japanese empire into the daily lives of the children. This kind of education increased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Keijō as Japanese rule neared its end. The use of Japanese, shrine worship rituals, and morning assembly rituals, Japan’s national festival day rites were greatly increased. The elementary schools in Keijō aimed to turn the Joseon children into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the Japanese national ideologies were slowly and naturally integrated into the children as they were exposed to the rituals daily. And the rites of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were naturally embodied in the Joseon children. This was how,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in Keijō, used Japanese, carried out rituals and were educated to be “good modern children” in order to become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경성의 주요 소학교의 시간 구성과 교육 정책에서 강조된 황국신민화 교육이 학교 의례의 수행으로 표출된 과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일제의 식민지 초등 교육에서 추구되는 ‘착한 근대 아동’이 지닌 함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일제강점기 식민지국가 이데올로기는 학교의 시간 구성과 학교 의례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났으며, 경성의 조선인 아동이 다니는 소학교는 일제의 식민정책과 황국신민화교육을 가장 우선적으로반영시키는 제도적 장치가 되었다. 식민지 국가의 시간 구성 속에서 일제의 국가 의례와 수신교육은 점차 강화되었다. 일제가 국가 시간체제 내에서 소학교 교육을 통해 조선의 아동에게 주입시키고자 한 ‘근대 아동’은 서구의 근대 국민의 모델을 일제의 식민지 국가 이데올로기에 의해 변용시킨 ‘황국신민’이다. 일제는 경성의 주요 소학교에서 반복되는 국가의례의수행을 통해 아동의 일상생활 깊숙이 황국신민의식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소학교 의례의 시간을 정교하게 구성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로 갈수록 경성의 소학교에서는 수신 교육을 전면에 내세우게 되었고, 이와 연계되어 일본어의 상용화, 신사참배 의례, 봉안전 의례, 조회와국가축제일의례의 수행이 점차 심화되었다. 경성의 소학교에서는 조선의 아동을 ‘일제의 황국신민’으로 육성시키고자 하였으며, 아동의 매일의 일상속에서 국가 이데올로기가 함의된황국신민의례는 이들의 삶과 결부되며 점차 자연스럽게 체화되어갔다. 이로써 일제강점기경성의 소학교 아동은 일본의 언어와 의례를 수행하며 일제의 황국신민이 되기 위해 학교의시간과 규율을 잘 지키는 ‘착한 근대 아동’으로서 교육받았다.

      • 한국 불교의례에 관한 자료연구

        황갑수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Korean Buddhist rituals by classifying them by specific themes. Through this, research achievements and research tendencies related to Buddhist rituals can be identified, which will be helpful in the research and research methods of Buddhist rituals. Additionally, it can serve as a basis for literature search or further research. This survey focuses on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The selection criteria for major researchers is based on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Buddhist rituals, citations, influence considering excellent writings, and the latest data. The data is first classified into four major subjects and several sub-themes under them. The four major themes are ① types of rituals. ② Rituals and Buddhist Thoughts. ③ Components and functions of the ritual. ④ the rituals, traditions, and history of other countries. Based on this survey, more data on Suryukjae, Yeongsanjae, and Jesusjae than on daily offering ceremony or sending off rituals for the dead. In addition, there are more materials on the elements of rituals such as beomeumbeompae and composition style (music, dance), Buddhist art (The paintings of Buddha and Bodhisattva), cultural assets, and ritual performances; an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Buddhist ritual contents. Meanwhile, not much research on funda- mental and doctrinal aspects of ritual such as analysis of ritual texts or ritual structure, Buddhist thought reflected on a ritual, scriptural basis of a ritual,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Buddhist practices. In addition, to accurately grasp the meaning of the ritual,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research on its transmission and origination from India and China. more interest in Buddhist institutions and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scholars and ritual experts can help blossom Buddhist ritual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불교 의례와 관련한 연구 자료를 특정 주제별로 분류하여 소개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불교의례 관련한 연구 성과와 연구 성향을 파악할 수 있어불교의례의 연구나 연구 방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는 문헌조사나 심화 연구를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 기사에 중점을 두었다. 주요 연구자의 선정 기준은 불교의례 관련 연구의 편수, 인용도, 우수 저술을 고려한 영향력, 최신 자료 등을기준으로 하였다. 자료 분류의 주제는 먼저 네 개의 큰 주제하에 다수의 소 주제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네 가지 큰 주제는 ① 의례의 종류. ② 의례문과 불교사상. ③ 의례의 구성 요소와기능. ④ 타국 의례 및 전승과 역사가 그것이다. 분류된 연구 성과물에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일상 예공이나 재공편에 대한 연구보다 수륙재, 영산재, 예수재 등에 관한 자료가 많다. 또한, 범음범패와 작법(음악, 무용), 불교미술(불화 및 장엄) 등의 의례의 구성 요소, 문화재 및 의례 공연, 콘텐츠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자료가 상대적으로 많다. 반대로 의례문이나 의례의 구조분석, 불교사상, 경전적 근거, 수행론과 관계 연구등 근본적이고 교리적 측면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또한, 의례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인도 연원적 연구나 중국 등의 전승 과정에 대한 연구도 보충될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불교의례 발전을 위해 승단의 불교의례에 대한 보다 많은관심과 기존 교학자및 설행자, 의례 전문가 등의 활발한 연구 참여가 요구된다.

      • KCI등재

        의례(儀禮)의 교육적 의미에서 본 초등학교 졸업식

        조규동(Jo Gyu dong),이영철(Lee Young chul),임현정(Lim Hyun jung),정기섭(Chung Ki seob)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2

        초등학교에는 입학식, 졸업식처럼 학교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의례뿐만 아니라, 아침인사, 아침 조회, 수업 시작 전 학급 약속, 특별한 수업방법 등과 같은 학급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의례가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의례들은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는 전제에서 도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학교의례들이 교육적인 의미에서 검토되고 시행될 때 학교는 교육기관으로서 독자적인 특성을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의례는 참여자들에게 내키지 않았던 부정적인 기억으로존재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인생의 발달단계에서 전환시점에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졸업식이학교의례로서 갖고 있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현행 초등학교 졸업식을 진단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졸업식이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학교의례가 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단위학교에서는 교육적 의미를 고려하면서 졸업식을 창의적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관청이나 교장 혹은 교사의 관심이 일방적으로 반영된 졸업식 연출이아닌 학생을 포함한 학교구성원의 다양성이 반영되는 연출이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졸업식을 주도하거나 졸업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졸업식의 교육적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 교육 관련자들은 의례의 교육적 측면에 관심을 갖고 업무추진을 위한 행사관점의 의례 실행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의례 본연의 목적과 기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re are the various forms of ritual taking place in the classroom level such as morning greeting, morning meeting, class appointments before the start of class and special teaching methods as well as the entrance ceremony, graduation ceremony made at the school level exist. These school rituals seem to have been introduced on th assumption that they have educational meanings. Thus, when school rituals are reviewed and implemented as the educational meanings, it will be able to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as educational institutions. Nevertheless, sometimes there are negative memories of school rituals to participants reluctant to 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ceremony as school rituals made at the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al stage of life. As a result of study, the points to be considered for graduation ceremony to become a meaningful educational school ritual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 each school, it will be continuing efforts to change the graduation ceremony creatively, considering the educational meanings. Second, it should be the directing for graduation ceremony reflected the diversity of the members including school students, not the interest of education authorities, the principal or the teachers is reflected unilaterally. Third, people leading to the graduation ceremony or participating in graduation ceremony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eremony properly. For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officials should be interested in the educational aspect of the rituals away from the execution of rituals in terms of events for business promotion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he original purpose and function of rituals which have educational meanings.

      • KCI등재

        중국 군사훈련의례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검토

        허대영(Heo, Dae-yeong)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5

        많은 수의 군사들을 동원하여 일정한 절차에 따라 시행하는 군사훈련은하나의 의식(ceremony)으로서 성격을 갖는다. 전근대 동아시아의 군사훈련도 의례이자 훈련으로서 수행되었다.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군사훈련의례의 역사적 전개를 검토, 군사훈련이 군례로서 의례화되는 과정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군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周代에는 매 계절마다 ‘훈련-사냥-제사’의 절차로 군사훈련의례를 시행하였다. 『주례』의 제도는 군사훈련의례의 이상으로 여겨졌다. 유교적 국가의례를 새롭게 五禮로 분류하고 체계화하였던 唐代에도 마찬가지였다. 당의 군사훈련의례는 큰 틀에서 『주례』의 제도를 계승하였지만, 『주례』와는달리 사냥훈련과 진법훈련의 두 가지로 나뉘었고, 구체적인 훈련 방식도『禮記』月令의 예제와 오행론의 이념에 따라 변경하였다. 그럼에도 당의 의례제도는 古制를 계승한 이상적 의례로 기억되었다. 당의 군사훈련의례는 이념적이고 형식적인 절차를 중요했다면, 송의 군사훈련의례는 군사훈련으로서 실질적인 기능을 중시했다. 이러한 변화는송대 武學의 설립과 武科의 시행, 그리고 이에 따른 兵學 발전과 관련이있다. 송의 사냥훈련의례는 군사훈련의례이기보다는 군신의례로 변화하고, 결국 정지되었던 것도 당시 군사환경에서 사냥훈련이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반면에 몽골은 칭기즈 칸의 시기부터 국가의 중대사로서 대사냥을 시행하였다. 원 건국이후로도 쿠빌라이는 전통적인 사냥을 현실에 따라 변화하여, 매년 兩都를 순행하며 자신을 수행한 케시크와 함께 사냥하였다. 이와 함께 지방관들도 각지에서 사냥하여 획득한 사냥물을 칸에게 바치도록 하여 의례적으로 전국적인 대사냥을 수행하였다. 북송 이래로 사냥의례가 거의 시행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원의 대사냥은 군사훈련의례로서 사냥의 부활이었다. Military training in which a large number of soldiers opera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has the character as a ceremony in itself. So in the ancient society, military training was performed both as a ritual and as a training. In Chinese history, military training rituals changed according to the military and social systems of each period. This paper reviewed the changes of military training rituals in each period. In the Zhou, military training rites were stipulated in Rites of Zhou(周禮), which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training-hunting-sacrificing every season. The military training rituals of Rites of Zhou was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as the ideal. At Tang Dynasty which newly classified and systematized the Confucian national rituals into five rituals, also basically inherited the Rites of Zhou. However, military training ritual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hunting training and Jinbeop(陣法 : battle formation) training, and the specific training contents were also changed based on the rites theory of the time. Nevertheless, the Tang Dynasty s military training rituals were inherited as a new ideal model. While the Tang Dynasty s military training rituals emphasized ideological and formal procedures, the military training rituals of the Song Dynasty emphasized practical functions as military training. These changes wer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Muhak(武學: national academy of military science) in the Song dynasty, the implementation of Mugwa(武科:state examination of military officer), and the establishment of Byeonghak(兵學: military science). In the same context, the Song dynasty hunting rite gradually changed to a rite of loyalty between emperor and military officers rather than a military training ritual. at last it was stopped. On the other hand, Mongolia has been conducting great hunting as an important national work since the time of Genghis Khan. Genghis Khan s great hunting was a military training and was for the order and harmony of the entire tribe, and it was also an economic activity for survival in winter. It was similar to ancient hunting rites. After the founding of the Yuan Dynasty, Kublai changed traditional hunting according to sitiation at that time. Every year, he toured the capital city and conducted a large-scale hunting with his imperial guards, Keshik, and along with this, local officials hunted in their territory and offered the game to the Khan. As a result, nationwide hunting was carried out as a ritual.

      • KCI등재

        부산지역 인문계 고교생들의 끼리의례와 속신

        황경숙(Whang Kyung-Suk)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8 No.-

        청소년들 사이에서 형성, 전승되고 있는 의례문화와 속신문화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청소년들의 문화적 취향은 민속문화의 전승과정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이 논문은 청소년들 사이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끼리의례과 속신의 변화 양상과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현재 청소년들 사이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끼리의례로 ‘생일빵’?‘졸업빵’?‘신발빵’ 등 소위 ‘○○빵’의례를 들 수 있다. 이들 ‘○○빵’의례는 폭력적 행위가 중심을 이루어 기성세대들에게는 일탈적 놀이로 간주되는 경향이 지배적이나, 이 의례에 나타나는 폭력적 행위는 상호 폭력이 허용될 수 있는 호의적 관계임을 인정하는 모종의 약속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폭력적 행위의 강도는 상호 친밀도에 비례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한국의 고교생들 사이에는 대학입시와 관련된 기원의례 및 속신문화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학벌을 우선시 하는 사회구조와 입시 위주의 파행적 교육현실에서 시험과 관련한 대표적인 끼리의례로는 ‘D-day의례', ’수능대박 기원 고사‘ 등이 있으며, 관련된 속신 중에는 주물신앙에 바탕을 두 주술, 금기, 점복, 예조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시험과 관련한 의례와 속신이 만연한 데는 학벌을 우선시 하는 한국 사회의 구조와 입시 위주의 파행적 교육현실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현재 청소년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는 속신문화 중 흥미로운 것은 ‘웹툰 부적’이다. 이 부적은 디지털시대 새롭게 등장한 부적으로 예술과 종교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디지털 세대들이 민속문화를 그들 나름대로 전승해가는 방식을 보여주는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The culture of rituals and beliefs which has been developing among teenagers is changing rapidly. Cultural inclination of teenagers who seek novelty is reflected in modern folk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iodical and historical changes while clarifying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group ceremonies and folk beliefs which is prevailing among teenagers. Recently the group ceremonies which are widely used among teenagers are called ‘○○ ppang’. For example, ‘생일빵’, ‘졸업빵’, ‘신발빵’, and so forth. These ‘ppang’ ceremonies primarily contain violence. Therefore the older generation regards it as deviant behaviour. However the violence related to these ceremonies is mutually agreed upon by the teenagers participating in the ceremony. Furthermore the strength of the violence is proportionate to the mutual closeness between the ceremony participants. The ceremony of praying and folk beliefs related to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have been diversly developed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typical group ceremonies related to exams are ‘D-day’, 수능대박 기원 고사’ and so on. The folk beliefs related to exams are based around magic which has a foundation in fetishism. Magic, taboo and omens show up eminently in these folk beliefs. The folk beliefs related to exams have spread rapidly among young teenagers. The reasons for this can be found through characteristics from Korean society regarding the prestige of educational background as being crucial. Teenagers live in the hard reality of strict education which is arduous. Teenagers try to seek comfort through folk beliefs in the best way possible. One of the popular folk beliefs which is interesting among teenagers is ‘webtoon amulets’. Webtoon amulets are a new arrival in this digital era. Meaning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religion with regard to webtoon amulets is being dismantled. This cultural phenomenon is an example which shows how the digital generation translate folk customs in their own way. Henceforth we can foresee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of folk culture will develop.

      • KCI등재

        의례적 기능과 목회적 돌봄의 관점으로 보는 기독교 장례예식의 구성

        김형락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기독교는 역사적으로 장례의례와 친숙한 종교였다. 기독교가 막 태동할 무렵부터 박해를 받아왔고 박해의 결과는 성도들의 죽음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기독교 공동체는 신앙을 지키다가 죽음을 맞이했던 순교자들을 하나님의 곁으로 보내고 그들의 신앙을 기리는 의례를 거행했으며 지금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비단 기독교 장례예식 뿐 아니라 타 종교와 일반 비종교적인 장례예식도 죽은 자를 살아 있는 사람이 살고 있는 현세에서 죽은 자들이 가는 곳으로 보내는 기능을 하고 있다. 물론 이 기능은 기독교가 아닌 다른 문화 전통의 장례에서도 존재한다. 이러한 기능은 의례가 갖는 기본적인 목적이고 존재의 이유이다. 그렇기에 본 논문은 의례 이론에서 기능-구조주의적 입장을 주장한 방 주네프와 터너의 이론을 통해 장례의례의 기능이 무엇이고 어떻게 기독교 장례의례에서 적용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어느 사회에서든 거행되어지는 대부분의 장례예식은 단지 죽은 이들을 이 세상에서 다른 세계로 보내는 기능만을 하지는 않는다. 장례예식은 그들의 죽음을 슬퍼하고 애통해하는 남아 있는 가족들, 친지들, 지인들을 위로하고 그들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장례를 통해 유가족들이나 지인들은 그들이 사랑하는 이가 무사히 이 세상을 떠나 편하게 안식할 수 있는 장소로 갔음을 안도하며 그들과 보냈던 시간들을 회상하면서 서서히 그들의 죽음을 받아들게 된다. 그런 의례의 과정을 통해 죽은 이들과의 단절을 일상에서 인식하게 되고 더 이상 그들을 잃어버렸다는 슬픔을 극복하면서 본연히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장례예식은 가장 강력한 목회적 돌봄의 행위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현재 한국 개신교회의 기독교 장례예식이 목회적 돌봄의 차원에서 유가족과 참석한 친지와 지인들에게 위로와 치유의 기능이 부족하다는 면을 주장하였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고인에 대한 기억과 내러티브 그리고 기독교적 소망이 함께 어우러진 애도 커뮤니타스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도달한 결론은 기독교 장례예식에서 목회적 돌봄의 중요한 이슈인 ‘죽은 이에 대한 애도와 유가족을 위한 위로’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단절이 아닌 기억의 보존과 장례로 인해 새로운 관계를 위한 의미를 만드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보존을 위해서는 의미-만들기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의례를 구성하는 것이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이 중심이 되는 장례 의례구성과 모든 이들이 참여하고 이들이 중심이 되는 애도 커뮤니타스를 형성할 수 있는 장례예식이 되어야 한다. 특히 애도 커뮤니타스를 형성시키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기독교 초기 역사부터 행해져 왔던 장례예식에서 성찬 예전을 거행하는 것이다. 장례예식에서 기독교 성찬예전을 거행하는 것은 시간과 공간의 초월하여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나누면서 죽은 이와 살아 있는 이들이 서로 교통하는 신학적 의미가 부여되며 다 같이 참여하는 상징의례로서 애도 커뮤니타스를 형성할 수 있다. Historically, Christianity has been very familiar to the funeral rite. Christianity had been persecuted from very beginning period, and the result of the persecutions were connected to the death of the Christians. The early Christians had performed the funeral rite for the martyrs, who died to defend their faith in God, to commend their spirits to God as well as to commemorate their respectful lives. This funeral tradition has still lasted in Christian tradition, today. The funerals from the other religious traditions than the Christianity also have the function to send the spirit of the dead from this world where the living one exist to the posthumous world where the dead one sent. This function absolutely exists in every funeral rites in various traditions. This function is a basic purpose as well as the core of the funeral ritual. Therefore, in this paper, I researched what the functions of the funeral rite based on the functionalistic and structural theories of cultural 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thw works of Anold van Gennep and Victor Turner are, and how these theories are applied to the Christian funeral rites. Sending the spirit of the dead to posthumous world is not the only function of every funeral rites but consoling the bereaved, such as the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of the dead who suffer from the death of their lovely one, and comforting their minds are also important things in the funeral. The bereaved and related people of the dead gradually receive the fact that their precious one is dead during the funeral rite in which they recall the times with the dead, and realize the dead one move from their community to the place where he or she rests in safe. Through this ritual process, they recognize the disconnection to the dead one in their lives, though, they are able to overcome their sorrow and suffering from the loss of the dead, and return to their daily lives. The funeral rite, therefore, is the most powerful action of the pastoral care. In this research, I proposed that the funeral rites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lack the function of consoling and healing for the bereaved family and related people of the dead in light of the area of pastoral care. To overcome this weak point, Korean Christian funeral should be the “mourning-communitas,” which merges the recalling the good narratives related to the dead person as well as the eschatological expectation of all participants. Researching this topic, I have reached a conviction that the constructing the effective new meaning-making process in Christian funeral, mourning to the dead and consoling the bereaved, which are very crucial issues of pastoral care area, should aim at continuing the memory of the dead, rather than severing from the dead. For this continuation of the memory, constructing the funeral rite based on meaning-making theory in which all people are available to participate in the funeral rite to shape the mourning-communitas. Especially,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onstruct the mourning-communitas is performing Christian Eucharist in funeral rite, which has begun in early Christian funeral. Performing Eucharist in Christian funeral gives the crucial theological meanings that the communion with the living and the dead is possible when the participants eat and drink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transcending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is theological event as a symbolic ritual also gives all the participants the feeling the mourning-communitas.

      • KCI등재후보

        의례구문론(Ritual Syntax)의 이론적 함의와 적용

        심재관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8

        In the late 1970s, F. Staal proposed ‘Ritual Syntax’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new understanding of ritual in general, which is the claim that rituals have the same structure or syntax as human natural languages. According to him, the focus of the ritual study should be shifted to the observable structure of the rituals from the searching for the meanings that have been supposed to be underlying in it. Rather than going for the philosophical or anthrop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itual meaning, he suggests focusing on the formal procedures or the formal structure that rituals inevitably have, which makes naturally an objective description possible. By doing this, he insists that the scientific framework for ritual research could be obtained, and the result conducted by the framework could be referred to as ritual science. His methodological inspiration came from linguistics. Staal argues that, like human natural language, the ritual shows a certain formal structure that could be named ritual syntax in the context of linguistics. The ritual, according to him, can be said to be a course of serial actions that can be articulated by certain units, just like a sentence structure that humans use in their daily lives. Thus, the ritual procedures show the same modification of the unit of the ritual actions, just as if the words, the units of a sentence, are put together to form phrases or clauses, which in turn go through some degree of transformation when the phrases or clauses change their place in a sentence or are placed in a different context. Likewise, it is said to hav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se languages. He explains thes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rituals as ‘inheritance’ or ‘transformation’. The new ideas about ritual studies by Staal are based on his field research experience of Vedic rituals and Chomsky language studies. 네덜란드 출신의 인도학자 프릿츠 스탈(F. Staal)은 1970년대 후반, 의례 일반에대한 새로운 이해의 이론적 틀로서 의례구문론(Ritual Syntax)을 제안한다. 그는 어떤 의례가 함축하는 의미를 (철학적으로나 종교학적으로 또는 인류학적으로) 해석하거나 거기에 학자들이 의미를 자의적으로 덧붙이는 것보다, 의례가 필연적으로갖게 되는 형식적인 절차들, 또는 절차의 구조적인 특성들에 주목함으로써 더 객관적인 기술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훨씬 더 과학적인 의례연구의 방법적 틀을 얻을 수 있다고 본 것이었는데, 그런 의미에서 그는 의례연구를 의례과학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방법적 영감은 언어학에서 가져온 것이었다. 스탈은 의례들이 인간의 자연 언어와 같이 일정한 형식적 구조를 보인다고 판단했으며, 그는 이를 언어학에 빗대어 의례구문론으로 명명했다. 그에 따르면, 의례는마치 인간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문장처럼, 특정한 시공간속에서 일정한 단위의 행위들이 연속적으로 결속되어 진행되는 절차라고 할 수 있다. 이 절차들은 마치 독립된 단어들이 모여서 구(句)나 절(節)을 이루고, 다시 그 구나 절이 문장 내에서 위치를 바꾸게 될 때 또는 다른 맥락에 놓이게 될 때 일정한 다소의 변형을 거치게되는 것처럼, 의례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언어의 통사적 특성을 갖는다고 말한다. 그는 의례의 이러한 언어 특성을 ‘내속’ 또는 ‘변형’ 등으로 설명한다. 의례연구에 대한스탈의 이 같은 새로운 발상은 자신의 베다의례에 대한 현장연구 경험와 촘스키 언어연구에 기반하고 있다. 해외에서 이 방법론이 힌두의례나 동시아 불교의례 일부에 적용하는 실험이 이루어고 있으나, 국내에는 그의 이론을 소개하는 단 한 편의 글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 논문은 때늦은 그에 대한 헌사(獻辭)다.

      • 강원도 무형문화재 지정 농악의 의례성(儀禮性) 연구

        최자운(Choi, Ja-Un)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8 아시아강원민속 Vol.30 No.-

        동신(洞神)을 즐겁게 하여 사람들의 바람을 표현하고, 나아가 원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 공동체의례는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례 속에서 농악대는 제관(祭冠)과 더불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본고에서는 강원도 지정 무형문화재 농악보존회의 의례 수행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농악대의 의례 내 기능은 신을 청하여 모시는 것과 물리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평창 용평면과 동해 괴란동 공동체의례에서 농악대는 청신(請神) 역할을 한다. 이곳에서는 공통적으로 정초에 서낭제를 지낸 뒤 대보름에 상쇠의 서낭쇠를 연주하며 서낭신을 서낭대에 받는다. 여기서 상쇠는 신을 청할 수 있는 사제자(司祭者)로 기능한다. 평창 용평면 일대에서는 정초 서낭제를 지내고, 대보름 지신밟기 하기 전까지 농악을 울리지 않는다. 동해 괴란동 역시, 전통적으로 정초부터 대보름 사이에는 절대 농악기를 연주하지 않는다. 마을 사람들은 이 이유가 부정을 타지 않기 위해서라고 한다. 제천 오티별신제 사례를 견주어 볼 때 이는 쇠소리가 잡귀잡신들을 마을로 불러 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공동체의례와 가신의례 사이에 시간적 공백을 두는 것은 농악대의 의례성과 관련이 있다. 동해 괴란동에는 2008년까지 섣달그믐과 단오 전날 밤 유교식 제사 형태로 서낭제를 지냈다. 섣달그믐에 나쁜 것을 몰아내기 위한 목적의 섣달그믐 의례가 정초에 좋은 일이 있기를 바라는 의례보다 선행한다고 할 때 두 의례 중 그믐섣달이 먼저 생겼을 것이다. 그리고 섣달에 기원 목적의 유교식 제사에 앞서 한 해 동안 마을에 쌓인 좋지 않은 것들을 정화하는 의미에서의 농악대 제액(除厄) 관련 행위가 있었을 것이다. 그 형태는 이곳의 낙성연 행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낙성연의 핵심은 집안 구석구석을 다니며 악기 소리를 최대한 크게 내는 것이다. 섣달그믐 밤에 이루어진 행위는 낙성연 의례와 같이, 가능한 크게 농악기를 두드리면서 동네 곳곳을 다녔을 것이다. In order to realize their desire Village people please Village God in community rites. Farmers" band and those who participate in sacrifi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ite. In community rites farmers" band who live Yongpyung-myun in Pyungchang and Goerandong in Donghae invite a Village God. Village people open the festival of the local god in the beginning of January in common. Leading gong-player in a folk band is a mediator in the year"s first full moon. The People live Yongpyung-myun in Pyungchang hold the festival of the local god in the beginning of January. On or after the year"s first full moon Farmers" band start performance. The People live Goerandong in Donghae did not perform from the beginning of January to first full moon. Not to suffer bad luck peoples maintain silence. The reason why space out community rites and deity of one"s family rites correlate with ceremonial feature of the Farmers" band. The ceremony of the New Year"s Eve of the lunar year which cast away evil spirits precede the ceremony beginning of January which are eager for good thing. That performance form can analogize new house celebration party. The point of the this party is to make a loud noise from cellar to rafter.

      • KCI등재

        바다·삶·무속

        이경엽(Kee, Kyung Yup)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6

        바다와 관련된 무속의례를 주목하고 바다가 의례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 돼 있는지 살펴보았다. 바다 관련 무속의례는 그 공간적 특성에 걸맞게 수사자(水死者) 의례, 생업 의례, 공동체 의례 등으로 다양하다. ‘의례적 재현’이란 주제로 본다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바다밭 및 어로활동의 의례적 재현’은 황해도와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무속의례에서 볼 수 있다. 어부 또는 잠수들이 주관한다는 점에서 보듯이, 무속의례가 어업 형태와 대응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채취 어업과 관련된 잠수굿에서는, 용왕의 출현 과정을 연극적으로 연출하고 바다밭을 실감나게 재현한다. 어선 어업과 연관된 황해도 <뱅인영감굿>에서는 만신(무당)이 신격의 내력과 조기잡이 과정이 재현하며 <소당제석>에서는 배의 수호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나이 어린 남자 선원을 여장시킨다. <영산할머니, 할아버지>는 뱃일과 고기잡이 과정을 재현하는 굿이다. 각 장면에서 실제의 뱃노래를 부르면서 동작을 연출하는 데서 보듯이 사실적인 재현 장면이 특징적이다. ‘수중고혼과 제액(除厄) 관념의 의례적 재현’은 동해안 별신굿의 <거리굿>, 서해안?제주도 등지의 퇴송배 띄우기에서 볼 수 있다. 수중고혼은 흉어나 재앙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범주화 되므로 이들과의 관계 유지가 중요한 적응 기제가 된다. 그것이 극적으로 연출되는 장면이 모형배를 만들어 거기에 액운을 담아 바다 너머로 내치는 퇴송배 띄우기다. 그렇게 함으로써 풍어를 얻고 삶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한다. 바다에 불가측적인 위험이 도사라지만 그곳에 적응해야만 생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문화적 적응 기제로서 의례적 재현을 통해 자연을 문화화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바다는 어민들이 삶을 영위해가는 생명의 근원이지만 그것을 얻는 과정에서 수많은 죽음을 경험하는 곳이기도 하다. 어민들에게 바다는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일터다. 바다는 곧, 초자연적인 존재와의 원만한 관계를 통해 안정과 풍요를 확보하고자 하는 문화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배경에 의해 의례 속에서 바다가 재현되고 의미화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Focusing on the folklore rituals related to the sea, this article looked into how the sea is shaped in the rituals. Sea-related folklore rituals are various, well-matching its space characteristic : the rituals for the drowned, the rituals for occupation, and the rituals for community. In terms of ritual reappearance, it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ritual reproduction of sea field and fishery’ is found in the folklore ritual transmitted in Hwanghaedo and Jejudo. Its characteristics are that it is supervised by fishers or divers and it responds to fishery. In divers’ gut related to gathering fishery, the appearance process of the Sea God is presented in a theatrical manner and the sea field is reproduced lifelike. In Hwanghaedo <Banginyounggamgut> related to fishing boat fishery, the shaman reproduces the origin of divinity and the process of catching yellow corvina, and in <Sodangjesuk> a young male sailor is dressed in female attire in order to entertain the guardian deity of the ship. <Youngsan Grandma, Grandpa> is a gut reproducing fish-catching process and work aboard ship. In each scene, real sailor’s songs are sung with motions, reproducing a real-like scene. ‘The ritual reproduction of the drowned and the belief of removing evil fate’ is found in <Gurigut> of the East coast Byulsingut and sending rejection ship in the West coast and Jejudo. The drowned are categorized as the ones who bring poor catch of fish and disast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m is very important. The dramatic scene where it is staged is ‘rejecting the ship’ in which a model ship is made, calamity is placed in it and rejected beyond the sea. It is a ritual to bring good catch of fish and stable life. There are immeasurable dangers out on the sea, and one must adapt to such conditions. Therefore, such cultural devices enculturate the nature through ritual reproduction. The sea is the foundation of life for fishers, and it is also a place a lot of casualties are made in the process. To fishers, the sea is a work place where life and death coexist. The sea, therefore, is a cultural place where through a peaceful relationship with supernatural beings, man attempts to secure stability and prosperity. Against such backdrop, the sea is reproduced and given meaning in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