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우석 사태는 얼마나 한국적인가?

        이영희(Lee Young He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7 과학기술학연구 Vol.7 No.2

        이 글은 황우석 사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황우석 사태에 대한 정의도 뚜렷이 내리지 않고 그 용어를 쓰고 있으며, 아울러 황우석 사태를 대체로 한국적 후진성을 반영하는 현상으로 묘사하는 것은 나름대로 수긍할만한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황우석 사태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황우석 사태는 여성들의 난자들에 대한 비윤리적 사용 의혹에서 비롯되어 논문조작 의혹이 제기되고 그 의혹들이 맞는 것으로 밝혀지는 일련의 과학적 부정행위 규명과, 그 과정에서 논문조작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이 보여준 황우석에 대한 비이성적 지지 현상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황우석 사태를 이렇게 정의할 때, 우리는 황우석 사태가 세계적으로 볼 때 보편적 성격과 특수적 성격 모두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논문조작에 초점을 두고 황우석 사태를 보면 황우석 사태는 한국만의 현상이 아니라 세계사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 구조적 원인으로는 과학자간 경쟁의 격화와 업적주의의 강화를 들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논문조작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황우석에 대한 대중들의 열광적인 지지가 지속되었던 점에 초점을 두고 황우석 사태를 보면 황우석 사태는 다른 나라들에서는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는 한국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현상의 근원에는 대체로 한국인들이 지니고 있는 한의 정서가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What does Hwang' s scandal exactly mean? Is it confined to data fabrication or beyond that? Can it be seen as very Korea-specific phenomenon? With regard to these questions, existing research papers have not provided satisfactory answers so far. Based upon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paper aims to provide elaborated definition of Hwang' s scandal,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wang's scandal in terms of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The essence of Hwang' s scandal starting from the unethical acquisition of eggs is composed of two parts: 1) scientific misbehavior including data fabrication, 2) unreasonable behavior of Hwang supporters even after knowing Hwang's data fabrication. The first part of Hwang's scandal, that is scientific misbehavior including data fabrication can be described as universal phenomenon because it happens very extensively across the world. In contrast, the second part of Hwang's scandal, that is unreasonable behavior of Hwang supporters can be described as very Korea-specific phenomenon because we can not find such phenomenon in other countries. This paper tentatively argues that Hwang supporters' continuing unreasonable behavior such as enthusiastic support of Hwang even after knowing Hwang's data fabrication might be attributed to Han emotion[feeling of victimizedness] that Koreans used to have had from the past.

      • KCI등재

        황우석과 파스퇴르 그리고 ANT

        강윤재(Kang Yun-Ja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7 과학기술학연구 Vol.7 No.1

        STS는 황우석 사건의 이해에서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STS의 분석도구를 이용하면 황우석 사건을 다룬 전통적 사회과학에 입각한 분석들이 드러내지 못한 새로운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까?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STS의 대표적 분석도 구라 할 수 있는 행위자연결망이론의 일부 관점과 개념을 이용하여 황우석 사건을 분석하고 있다. 황우석 사건이 정상적 과학 활동과 거리가 먼 일탈적 현상이 아니라는 점을 성공한 대표적 과학자인 파스퇴르와의 유사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고, 파스퇴르의 성공의 길과 황우석의 실패의 길을 비교분석하는 개념으로 이동, 번역, 치환을 동원했으며, 그 둘의 갈림길에는 “실험실 정치력”의 차이가 놓여 있음을 밝혔다. 파스퇴르는 실험실을 지렛대로 삼아 “이중적 이동”에 성공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반면, 황우석은 실험실을 상징적 존재로만 활용했을 뿐 ”진정한” 정치력의 원천으로 만들지 못함으로써 이동의 원동력을 상실하고 “과학 정치꾼”으로 전락하고 말았던 것이다. Could STS throw another-colored light on the Hwang's Affair, the scientific fraud committed by Hwang Woo-Suk and his research team in Korea? And could analytic tools of STS unfold another meanings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most of the traditionally social-sciences-oriented analyses? In this essay, I try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analyzing the Hwang's Affair in the view of STS, especially by using some concepts of actor-network theory(ANT): movement, translation and displacement. I want to say that the Hwang's Affair seems to be a part of normal scientific activity, not an abnormal phenomenon, and as an evidence, focus on the similarities of their life styles between "pure/real scientist" Louis Pasteur and "impure/political scientist" Hwang Woo-Suk. I try to mobilize some concepts of ANT, especially movement, and find out why scientists came to move toward the opposed direction on the pure/real-impure/political line. I suggest that there exists "laboratory politics" as the key factor in this bifurcation. My tentative conclusion is that Pasteur can take a position to make his great world, so-called the Pasteurian world, owing to the success of "double movement" in which he treated his laboratory as a fulcrum to lift up the world, but Hwang degrades himself to "ugly scientific politician" due to the loss of the momentum of his movement; Hwang treated his laboratory only as the symbolic resources and in tum failed to solidify material entities, his real political resources, even though he knew the importance of laboratory.

      • KCI등재

        황우석 사태에서의 윤리적 쟁점의 변화 : 배아윤리에서 난자윤리로

        최은경(Choi Eun Kyung),김옥주(Kim Ock-Joo) 한국생명윤리학회 2006 생명윤리 Vol.7 No.2

        2005년 겨울에 몰아쳤던 ‘황우석 사태’는 과학, 언론, 생명윤리, 정부, 여성 등 각계 각층에서 첨예하게 진행된 사태였다. 돌이켜보면, 황우석의 연구가 가능했던 것은 아무런 규제 없이 방치되었던 불임 시술과 난자 시장이 어려운 난자 채취 과정에도 불구하고 단 시간 내에 가장 많은 수의 난자를 취득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황우석 사태 이전부터 논의된 배아의 도덕적 지위의 논쟁과 인간복제배아줄기세포를 원천적으로 허용해야 할 것인 가의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그러나 황우석 사태를 겪은 이후에는, 윤리적 쟁점이 배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논쟁에서 난자를 둘러싼 윤리로 핵심이 옮겨지게 되었다. 심지어 체세포 복제배아연구이 연구의 허용을 주장하는 그룹조차도, 여성의 건강과 난자 제공을 둘러싼 윤리 문제를 제고하여 새로운 대안을 내놓지 않고는 연구 허용 이야기를 꺼낼 수조차 없게 된 것이다. 황우석 연구에서 다량의 난자 채취는 여성 몸의 도구화와 난자의 상품화에 대한 문제, 난자 기증의 자발성의 문제,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의 문제, 불임 시술에서 환자-의사 관계와 피험자-연구자 관계의 갈등의 문제 등 해결하기 쉽지 않은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황우석 사태가 가져온 난자 관련 윤리의 문제는 비단 국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연구를 진작하고자 하는 여러 국가에서도 ‘난자 수급’과 관련된 법적ㆍ사회적ㆍ윤리적 쟁점들과 불가피하게 마주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물론 국제 사회의 다른 나라에서도 앞으로 체세포 복제 연구에 있어서 난자 기증 및 난자 매매 규제 방안, 난자제공자 관련 연구윤리 문제 등 이 사태가 낳은 여성과 난자를 둘러싼 법적ㆍ사회적ㆍ윤리적 쟁점들은 쉬이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향후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난자 및 여성의 재생산 관련 문제는 끊임없이 현안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현저하다. 본 논문에서는 황우석 사태를 거치면서 어떻게 윤리적 쟁점이 여성의 건강과 관련된 ‘난자 윤리’로 옮겨지게 되었는가, ‘연구를 위한 난자 기증’이라는 초유의 역사적 경험이 제기한 난자를 둘러싼 윤리 문제는 무엇인가, 이러한 난자 윤리에 대해 국제적으로는 어떻게 논쟁이 진행되고 있는가에 관하여 살펴볼 것이다. 향후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싼 쟁점들은 배아의 도덕적 지위를 둘러싼 논의를 넘어 난자 채취의 정당성, 여성의 위험 노출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국제적으로 확대될수록 더 윤리적 논란이 가속화 될 것이다. 한국에서 황우석 연구가 숱하게 낳은 쟁점들은 국제적으로도 새로운 윤리적 딜레마들을 제공한 셈이다. 배아줄기세포연구와 난자를 둘러싼 윤리적인 문제는 국제적인 협력 및 연대 속에서 논의할 필요가 점점 커지고 있다. In 2005, the whole society in South Korea fell into hot debates caused by Hwang’s scandal. The first ethical issue raised by the Hang Woo Suck's cloning research was the moral status of embryo and permissibility of human cloning. As the debates went on, the ethical debates shift to ethical problems of egg-extraction from women's ovary solely for research purposes. In retrospect, Hwang's research that used thousands of human eggs became possible because of unregulated IVF practice and black markets for human eggs in Korea. Even those who argue for permission of cloned embryo stem cell research cannot say anything without proposing appropriate safeguards against risks or harm to women’s health. After all, a tremendous number of eggs collected for Hwang's research raised important ethical issues including: commodification of eggs, exploitation of women's body, voluntariness of donation, validity of informed consent, conflict of interests of IVF doctors-stem cell investigators when they play dual roles, and many more. This paper analyzed how the shift of ethical debates from embryo ethics toward egg ethics occurred, and what the main issues were. Ethical issues on eggs collections for research brought by Hwang’s scandal do matters not only to Korea, but also to other countries that promotes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ethical, These countries are also to face legal, social problems concerning eggs donation or collections as long as the research necessitates human eggs. As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goes further internationally, ethical debates surrounding collection of eggs for research need to be discussed and the ethical issues to be scrutinized with international collaboration.

      • KCI등재

        ‘황빠’ 현상 이해하기

        김종영(Kim Jongyo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6

        이 논문은 문화기술지(ethnography) 방법론을 통하여 황빠 현상의 심층 이해를 시도한다. 첫째 이 글은 기존에 있었던 황빠에 대한 급조된 심리학적ㆍ사회학적 해석들의 한계를 지적한다. 스톡홀름 증후군, 인지 부조화 이론, 믿고 싶은 정보 이론, 유사 파시즘론 등은 황우석 사태를 탈맥락화시켜 황빠 현상이 발생하는 사회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는다. 둘째 이 논문은 방법론적으로 장기간의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하여 황빠들이 왜 황우석을 지지하고 어떤 활동을 펼치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황빠들의 황우석 사태의 해석과 그들의 문화를 통해 ‘황빠’ 현상을 다차원적이고 상호연관된 문화적ㆍ정치적 맥락 속에서 분석한다. 황빠 현상은 공중의 과학 이해와 참여의 한 방식인데 이것은 인지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치적, 도덕적, 감성적 요소들의 복합적 상호작용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황빠’ 현상은 (1) 민족주의적 열망과 미래주의적 비전에 기반한 황빠들의 집단적 감성 (2) 한국 사회 체제에 대한 불신의 문화 (3) 황우석 사태의 복잡합과 이해하기 어려움 (4) 황빠들의 통찰 없는 박식함과 사회과학적 환원주의 (5) 언론의 애국주의, 경제주의, 미래주의 담론의 유포 (6) 정부의 줄기세포연구 거버넌스의 실패, 이 여섯 가지 요소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이 논문은 황빠 현상을 음모의 문화와 책임전가의 정치로 특징짓는데 이는 사회체제와 권력 집단에 대한 불신에 기반하는 것과 동시에 민족주의적 욕망, 미래주의적 비전, 민주주의적 가치 사이의 긴장과 모순 속에서 발생한다. This ethnography investigates how Hwang Woo Suk supporters are organized, the motivations behind their support for Dr. Hwang, and the activities conducted by this group. Theoretically, this paper refutes previous interpretations of Hwang supporters which are based primarily upon hasty psychologizing. Instead, informed b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I connect the Hwang supporter phenomenon with diverse socio-technical relations emerging during the course of the Hwang Affair. By doing so, I aim to understand the new formations of discourse and activism in the multi-layered processes of friction among science, media, government, and public. My fieldwork consisted of online and offline participant observation from November 2005 to May 2007. In addition to observation of online activities, I participated in street demonstrations, seminars, strategy meetings, and other meetings and events organized by Hwang supporters. Furthermore, I interviewed 18 supporters and 7 other people who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Hwang affair.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 Hwang supporters, various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lements are taken into account: (1) Hwang supporters' collective ethos including nationalistic passion and futuristic vision, (2) the culture of distrust in Korean society, (3) the complexity and unintelligibility of the Hwang Affair, (4) Hwang supporters' semi-erudition and social scientism, (5) the media's role in disseminating discourses such as nationalism, futurism, and economics, and (6) the Korean government's failure to regulate stem cell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at the emergence of the Hwang scandal-related conspiracy is connected to a greater Korean cultural phenomenon questioning the quality of Korean democracy and society. I contend that Hwang supporters’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is ongoing culture of distrust exhibit an identity crisis that stems from tensions among nationalistic passion, futuristic vision, and democratic values in Korea.

      • KCI등재

        지식인 개념으로 본 연구 윤리 -황우석 사태를 중심으로-

        홍석영 ( Suk Young H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20

        본 논문에서는 이상적인 인간상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지식인 개념을 가지고 황우석 전 서울대학교 교수의 연구부정행위의 전개 과정과 그의 행동 양상을 살펴보았다. 황우석 사태의 전개 과정에서는 그의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의 연구 성과가 축적 발전하다가 논문 조작에 이르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지식인 개념으로 본 황우석의 행동 양상에서는 그가 ``지식 소유자``로서의 지식인의 행동 양상을 주로 보였으며, 온전한 의미의 지식인의 행동 양상을 보여 주지 못했음을 지적하였다. 황우석 사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식인은 ``지식 소유자``에 멈출 것이 아니라 지식, 지성, 도덕성, 비판 정신, 창조 정신, 공공성 등을 균형 있게 갖춘 온전한 지식인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essay reviewed the progress of Hwang Woo Suk Scandal and his behavior modus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intellectual concept. Hwang behaviored as a man of knowledge. He established a stem cell line from a cloned blastocyst in 2004 and socalled ``the patient-specific embryonic stem cells`` in 2005. But these researches are fabricated. He violated the bioethics and research ethics. He did not behaviored as intellectual. Intellectual should have knowledge, wisdom, morality,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and publicity.

      • KCI등재

        무대 위의 과학

        김동광(Kim Dong-kwa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05 과학기술학연구 Vol.5 No.2

        이 논문은 2004년에 있었던 황우석 박사의 배아줄기 세포 연구를 둘러싼 윤리 논쟁을 통해 우리 사회가 윤리를 처방하는 방식, 즉 윤리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분석한다. 배아줄기세포 논쟁은 난자나 배아와 같은 생명과 직결된 민감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황우석의 연구가 〈사이언스〉에 발표된 직후 우리 사회가 일종의 집단 흥분사태에 빠져들면서 논쟁이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이 사건은 과학윤리가 우리 사회에서 다루어지는 방식을 매우 역동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에는 숱한 집단들의 갈망, 이해관계, 갈등 등이 포함되며 배제와 포섭의 복합적인 역관계가 개입한다. 이 논문은 배아복제를 둘러싼 논쟁을 윤리의 정의의 주도권을 둘러싼 경합 과정으로 분석한다. 이 분석에는 애국주의적 담론과 수사(修辭)의 생산, 그리고 수사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기입의 경쟁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황우석이라는 스타 과학자 만들기는 이러한 윤리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결국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윤리 커뮤니케이션은 애국주의와 결합된 스타 과학자 만들기의 무대에서 주변화되었고 반과학이라는 낙인이 찍혔다. 그리고 과학윤리의 주도권은 시민사회가 아닌 연구자와 국가가 장악했다. 이 연구의 주된 주장은 윤리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그 처방 방식을 둘러싼 경합을 통해 구성되며, 그를 위해 다양한 수사가 동원된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 of prescribing the ethic of science in korean society in the 2004 ethical debates about 'Hwang woo-suk' embryo stem-cell study. It is the process of ethical communication. The debate includes very sensitive problem such as ovum and embryo, which is related directly with life. Particularly, this issue has many implications as there was a wild enthusiasm of patriotism in Korean society after 〈Science〉 had published Prof. Hwang's paper. This case shows dramatically the formation of ethical attitude in our society. There were included many actor's desire, interest, and conflicts.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competition to seize the initiative of the definition of ethics. It includes patriotic discourse, competition of rhetorics. This ethical communication involves the making of 'star scientist', Hwang woo-suk. In consequence, the ethics has been marginalized and stigmatized as anti-science on the stage of star scientist. This study argues ethics is not a fixed thing, it is construction of competition.

      • KCI등재후보

        언어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인간배아복제 신문보도 분석

        김만재(Kim, Manjae),전방욱(Jun, Bang-Oo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2 생명윤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1998년 12월 경희의료원, 2001년 11월 미국의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사(ACT)와 2004년 2월 황우석연구진의 인간배아복제 관련 연구 결과를 보도한 신문 기사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언론의 보도 성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각 사례가 등장한 초기 이틀 동안의 신문 기사를 수집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경희의료원 사례의 경우에는, ‘복제’가 네트워크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면서 ‘장기’, ‘치료’, ‘성공’과 같은 긍정적 단어들과 연결될 뿐만 아니라 ‘윤리’, ‘시민단체’와 같은 단어들과도 연결되어 시민단체가 반대 목소리를 내는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CT 사례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중심에 있는 ‘복제’가 한편으로는 ‘치료’와 ‘성공’이라는 긍정적 단어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반대’, ‘금지’와 같은 부정적인 단어와도 강하게 연결되어, 찬반 양론의 논의가 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황우석연구진 사례의 경우에는, ‘줄기세포’가 네트워크의 중심에서 ‘국제적’, ‘성공’, ‘치료’와 같은 긍정적 단어와 강하게 연관되는 반면, ‘반대’, ‘금지’, ‘시민단체’와 같은 부정적 단어와는 약하게 연관되어 전반적으로 줄기세포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세 사례가 등장하였던 5년이라는 기간 동안에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한국 언론의 프레임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mpares newspaper articles concerning three major human embryo cloning cases initiated by th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December 1998, the Advanced Cell Technology (ACT) in November 2001, and Hwang Woo Suk research team in February 2004. To us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93 articles in total were collected during the first two days in each case. The analysis shows that ‘cloning’ occupies the central position in the case of th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while strongly networking with positive words such as ‘organ’, ‘treatment’, and ‘success’, as well as negative words such as ‘ethics’ and ‘civic organization’, which implies that civic organizations raise their voice against cloning. In the case of ACT, too, ‘cloning’ is the central word in a network diagram. Unlike the case of th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however, the analysis of ACT case clearly indicates a sharp conflict between positive response represented by ‘treatment’ and ‘success’ and negative reports using words like ‘objection’ and ‘prohibition’. By contrast, in the Hwang Woo Suk research team case, ‘stem cell’ is the word at the center, strongly networking with positive words including ‘international’, ‘success’, and ‘treatment’, while weakly networking with negative words such as ‘objection’, ‘prohibition’, ‘civic organization’, which represents a positive image of‘stem cell’. These results address that Korean newspapers have contributed to building a more positive frame regarding human embryo cloning for five years of reporting three major human embryo cloning cases.

      • KCI등재

        한국의 온라인 정치참여 특성 : 수요자 중심 모델을 중심으로

        윤성이,장우영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7 정보화정책 Vol.14 No.4

        온라인 정치참여의 유형은 기존 대의민주주의를 보완하는 공급자 중심 모델과 새로운 형태의 참여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수요자 중심 모델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02년 대선에서의 노사모의 활약을 비롯하여, 탄핵반대운동 그리고 황우석 사태에 이르기까지 네티즌들의 자발적 참여가 사회여론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한국에서 수요자 중심 온라인 참여모델이 활성화된 것은 정치, 사회, 문화적 환경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다. 첫째, 정책적 측면에서 정부주도형 정보화전략은 단기간에 온라인 정치참여의 물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둘째, 정치개혁과 정보화의 동시 진행은 온라인을 통한 시민의 정치참여 가능성을 증대하였다. 셋째, 탈유교적 다원주의와 스마트몹(smart mob) 세대의 등장은 온라인 정치참여의 문화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공급자 중심 온라인 정치참여 모델은 정치과정의 주도권이 여전히 소수의 정치엘리트에 남아있으며 시민에게로의 권력분산이나 권력이동을 실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의제설정권한부터 네티즌이 장악하는 수요자 중심모델의 경우 정책산출의 비효율성과 포퓰리즘의 우려를 담고 있다. 결국 두 모델의 한계를 최소화하면서 그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온라인 정치참여 모델을 개발하고 확산시키는 것이 전자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최선의 과제일 것이다. 두 모델의 접점은 정부와 정치엘리트가 수요자 중심 모델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반응하는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며, 구체적으로 온라인 공론의 장과‘분별있는 시민’(informed citizen)의 존재가 중요하다.

      • KCI등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김만재(Kim Man-jae),전방욱(Jun Bang-oo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6 생명윤리 Vol.17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황우석”과 연관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학술논문을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본 연구는 저자 키워드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저자의 의도를 왜곡시키지 않고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Google Scholar를 사용하여 2004년에서 2015년 동안 게재된 12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고, 그 중에서 키워드가 제시된 81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우선 전체 논문의 키워드 빈도수에 있어서는 Hwang_Scandal, Stem_Cell_Research와 Stem_Cell이 우위를 점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결정도 중심성에 기반하여 국내외 논문을 비교하면, 국외 논문은 Research_Misconduct, 국내 논문은 Hwang_Scandal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 황우석 스캔들의 포함 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황우석 스캔들 포함 집단은 Hwang_Scandal과 Research_Misconduct와 Stem_Cell_Research의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황우석 스캔들 미포함 집단에서는 Research_Misconduct, Stem_Cell_Research, Ethics와 Bioethics가 높은 편이었다. 시기별 비교분석에서는 전후반기 모두 Research_Misconduct, Stem_Cell_Research와 Hwang_Scandal이 연결정도 중심성에서 상위를 차지하였지만, 후반기에는 저자 주제어가 훨씬 더 다양하게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황우석 사건 발생이후 지난 10년간의 학문적 탐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검색 엔진의 불완전, 영어와 한글 이외의 언어로 작성된 논문의 배제, 키워드를 제시하지 않은 논문의 제외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황우석 사건에서 주목을 받았지만 본 논문에서 핵심어로 선정되지 못한 단어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해서는 심층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wang Woo Suk” related papers comparatively by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mong diverse methods analyzing academic papers, this paper used keywords, because they can deliver author’s intention exactly without distortion. For this purpose, 129 paper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15 were first collected by using Google Scholar, and then 81 papers with keywords were finally selected as objects of analysis. Results of analysis including all papers show that Hwang_Scandal, Stem_Cell_Research and Stem_Cell ranked top three in terms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analysis provides that Hwang_Scandal occupied the first among Korean papers, while Research_Misconduct ranked the top among foreign papers. When pap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whether “Hwang_Scandal” itself was a keyword or not, a group with “Hwang_Scandal” listed Hwang_Scandal, Research_Misconduct, and Stem_Cell_Research as top three in degree centrality analysis, whereas a group without “Hwang_Scandal” provided Research_Misconduct, Stem_Cell_Research, Ethics, and Bioethics. This paper also divided papers into two periods. Degree centrality analysis shows similar results in both periods: Research_Misconduct, Stem_Cell_Research and Hwang_Scandal appeared strong. However, it was also noticed that later period provided more diverse keywords than earlier period.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last 10 years’ academic efforts systematically since Hwang Woo Suk scandal exploded. However, it should also be mentioned that this paper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the imperfection of search engine, the selection of those papers only written in English or Korean, and the exclusion of some papers without keywords. Furthermore, some words including “authorship” are not selected as keywords in this paper, although they have received a great attention during the Hwang scandal, which requires a separate in-depth analysi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과학 영재 학생들이 존경하는 과학자의 조건과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유미현,전미란,홍훈기 韓國英才學會 2007 영재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들이 존경하는 과학자의 조건, 과학 영재들의 진로의식,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한 영재들의 인식 및 진로 결정에 미친 영향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S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의 화학분과의 중학생 2학년 영재 19명(남 11명, 여 8명)과 J과학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44명(남 32명, 여 12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선택형 및 서술형으로 구성된 총 14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학생들이 존경하는 과학자는 학교 급별 차이가 있었고 존경하는 과학자의 성별은 과학 영재들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해서는 47.6%의 학생들이 모든 것이 황우석 박사의 잘못이므로 더 이상 과학계에 발붙일 수 없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황우석 박사에 대해 동정론적 인식을 갖고 있는 학생들도 36.5%나 되었다. 대부분의 과학 영재들은 황우석 박사 사건을 통해 과학자에서 정직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았다고 하였다. 과학 영재들 대부분은 과학자에게도 도덕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 respectful scienti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ir recognition on the event of Dr. Hwang, Woo Seok and its effects on their future goal deci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9(11 males, 8 females) secon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hemistry department of S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nd 44(32 males, 12 females) first and second grade of J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scientist the students respect were varied by school level and the sex. For the event of Dr. Hwang, Woo Seok, 47.6% students recognized that he must be banished from the science field and 36.5% students showed sympathy for Dr. Hwang, Woo Seok. It was said that most science gifted students realized the importance of honesty through this event. Most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moral education in science gif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