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체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한 한국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정신섭,최종진 한국행정사학회 2019 韓國行政史學誌 Vol.46 No.-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recover identity of Koreans intoxicated with success story as a measure to overcome polarization and to develop our nation into an advanced country to achieve various tasks upon cosmopolitans which are to emerge with changes on world’s economic power structure in order to suggest globalization plans for Koreans to settl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o join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Polarization is to be overcome by recovery of identity that Koreans have lost. Recovery of identity is restoration and establishment of values and world view underlying in Korean’s consciousness. Personal and social ethics are invisible authority that controls individual’s behavior. Business ethics would play such role for entrepreneurs and political ethics for politicians. It is definitely required to understand and establish values and world view that will control and restrict one’s behavior. Recovery of identity should decisively abandon old conventions like focus on reputation and power-oriented features and instead, pursue globalization of Korean’s patience and competitive spirit in a positive direction. With the virtue of giving up the bad and taking advantage of the goo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identity of Koreans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The task for Korea to join in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is to carry out a task given upon Koreans as cosmopolitan. Korea in the world is not limit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It should be realized that where Koreans live is Korea and the government policies to make Korea an advanced country should be made focusing on domestic Koreans and Korean immigrants as well. The government has tasks to be carried out both home and abroad with people. The domestic task is to cultivate talent equipped with cosmopolitan qualities through education reform. That to be carried out abroad should be to make progress toward Korea’s advancement for Korean wave, centering around Korean immigrants overseas. The government’s support and continuous activities and researches are required for Korean wav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spread of Korean wave not only promotes Korea’s economic development; environment for cultural exchange should also be fostered through diplomatic efforts to represent Korea’s cultural traits and; the number of online/mobile streaming users with Korean wave-related contents is rapidly increasing. Government’s efforts to utilize Korean immigrants are required. As private ambassadors with pride and self-esteem, Korean immigrants are resources absolutely necessary for advancement of Korea. The primary task for the national goal of advancement of Korea is for South Korea to join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along with successful modernization of North Korea. It is urgent to cultivate cosmopolitan talent necessary for advancement of Korea through changes on world’s economic power structure, escape from old way of thinking, building up an active and positive cooperative system and education reform. The political sphere as well as the minister of administration whose center is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take off its old clothes. Ideological confrontation is one of factors that led to the fall of Joseon Dynasty. Pretext and selfish motives set the boat of Korea adrift. Serving the country should be for the sake of the people. Majority of people now live with products pouring down through contemporary scientific civilization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If the political sphere refuses to change and is still in the old clothes, it would lead to missing an opportunity of advancement of Korea. The entire nation as well as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sphere should become one mind and set out on a smooth voyage for the goal of joining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본 연구목적은 양극화 극복을 위한 방안으로서 성공신화에 취한 한국인의 정체성 회복과 세계경제권력구조의 변화와 함께 닥치게 될 다양한 세계시민적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국의 선진화 추진방향 등을 살펴보면서 냉전시대의 사상적 대립과 선진국 진입을 위해 한국인의 세계화를 추진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양극화 현상에 대한 극복방안은 한국인이 잃어버린 정체성회복에 있다. 정체성회복이란 한국인의 의식세계에 잠재되어 있는 가치관과 세계관의 회복과 확립이다. 개인윤리와 사회윤리는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보이지 않는 권위와 같다. 기업인에게는 기업윤리가 될 것이고, 정치인에게는 정치윤리가 될 것이다.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규제하게 될 가치관과 세계관에 이해와 확립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정체성회복이란 체면문화, 권력지향적인 특성 등, 낡은 것은 과감히 버리고, 한국인의 끈기와 경쟁심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세계화시켜 나가는 것이어야 한다. 나쁜 것은 버리고 좋은 점만 취하는 사단취장(捨短取長)의 덕목으로 세계화 시대에 맞는 한국인의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의 선진국 진입이라는 과제는 곧 한국인의 세계시민적 과제를 수행하는 일이다. 세계 속의 한국은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국인이 사는 곳이 곧 한국이라는 사실을 의식하고 정부의 선진화정책은 국내 한국인은 물론 해외 이주한국인을 중심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정부는 국내적으로 수행해야할 과제가 있고 국외적으로 국민과 함께 수행해야할 과제들이 있다. 국내적 과제는 교육개혁을 통하여 세계시민적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일이다. 국외적 과제는 한류를 위하여 해외 거주하는 한국인을 중심으로 선진화를 진행해야 한다. 한류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지속적인 활동과 연구가 필요하다. 한류의 확산이 한국경제발전은 물론, 문화 한국을 세계에 알랄 수 있는 외교적인 노력을 통하여 문화교류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최근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모바일 스트리밍 이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해야한다. 해외 이주민들을 활용하는 정부의 노력이 요구된다. 해외에 이주한 한국인들은 민간대사로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한국 선진화에 필요한 절대적인 자원이다. 국가적 목표로서 한국의 선진화방안으로서 한국의 선진화에 대한 일차적 목표는 남한의 선진국진입과 함께 북한의 근대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세계경제권력구조의 변화, 옛 사고로부터 탈피,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체제 구축, 교육개혁을 통하여 한국 선진화에 필요한 세계시민적 인재양성이 시급하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행정부는 물론, 정치권에서는 낡은 옷을 벗어버려야 한다. 사상적 대립은 조선시대를 멸망하게 했던 요인 중 하나이다. 대외명분과 개인적 사심은 한국호가 표류하게 하는 원인이다. 국가를 위하여 일한다면 그것은 곧 국민을 위하여 일하는 모습이 되어야 한다. 다수의 국민들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것들이 홍수처럼 쏟아져 출시되는 현대과학문명의 결과물들을 경험하며 살아간다. 그런데 아직도 정치권은 낡은 옷을 입고 변화를 거부하고 있다면 한국의 선진화 기회를 놓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정부는 물론 정치권과 모든 국민들이 하나가 되어 선진국 진입이라는 목표를 향 ...

      • 한일회담에서의 재일한국인 법적지위 교섭의 문제점 검토 -한국정부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장박진 ( Bak Jin Chang ) 한국민족학회 2009 민족학연구 Vol.8 No.-

        한일회담에서의 재일한국인의 법적지위 문제는 단순히 외국에 거주하는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교섭 문제가 아니었다. 그것은 바로 식민지 지배의 결정(結晶)으로서 생긴 일본 거주의 한국인들의 성격을 결정하는 문제였던 만큼 그에 대한 대응은 거꾸로 식민지 지배청산에 관한 한일회담의 역사적 성격을 보여주는 하나의 중요한 시금석이었다. 식민지 지배가 불법이고 부당한 힘에 의한 한민족의 의사에 반한 것이었다는 입장에 서는 이상 과거 청산의 무대이던 구 지배국 일본에 거주하게 된 한국인들에 대한 대응은 추상적으로 표현해서 식민지 지배로 인해 ‘상실된 민족성’의 회복으로 되어야 마땅했다. 물론 그 ‘민족성의 회복’에는 국적, 한민족으로서 사는 권리, 거주지의 선택, 그리고 재일한국인들에 대한 피해 보상 문제 등이 포함되었다. 이 글은 이상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재일한국인을 한민족으로서 포섭하는 데 1965년에 타결된 한일회담 재일한국인의 법적지위 교섭이 제기하는 문제점을 주로 한국정부의 인식과 대응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밝힌다. 과연 한일회담에서 한국정부는 재일한국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했는가, 또한 왜 그렇게 인식하고 대응했는가 등이 주된검토 대상이 된다. 본고는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서 재일한국인의 법적지위 문제에 대해 역대 한국 정부가 보인 인식과 대응은 늘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과 국익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었음을 밝힌다. 그것을 통해 식민지 지배로 인해 상실된 민족성을 회복하여 재일한국인을 계속 한민족으로서 포섭하는 데 그 교섭이 안게 된 문제점의 역사논리와 과정을 천명한다. This papers clarifies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recognition and policies of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in the negotiations on the legal status of Koreans in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which finally reached the settlement in 1965, mainly analysing the Korean side`s official documents on the Talks. The negotiations on the legal status of Koreans in Japan in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was not simply for the problem of protecting the nationals in a foreign country, but for the recovery of the ethnical identity which had been lost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gainst Korea, because Koreans have recognized Japanese colonial rule as the illegal and injustice. This paper, by examining what was the purpos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the negotiations on the legal status of Koreans in Japan, elucidates the problems of South Korean`s side for attempting the recovery of the ethnicity of Koreans in Japan as the Koreans. It is discussed that the purposes of the successive administrations in South Korea in the negotiations on the legal status of Koreans in Japan were basically twofold; first was to take advantage of the negotiations for maintaining the principle that South Korea is the only lawful in the Korean peninsula and second to escape from the economic burdens for supporting Koreans in Japan.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purposes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ere nor appropriate for the recovery of the lost ethnicity of Koreans in Japan, and aroused effects to the contrary.

      • KCI등재

        한국인의 항일투쟁과 현대 중국의 한국인 제재 시가 창작

        김재욱(Kim, Jae-u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

        중국에서 문학혁명이 시작된 1917년부터 일본이 패망한 1945년까지는 중국인에게 있어 생사존망의 시기였다. 가장 가까웠던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으니 중국은 다음 차례였다. 이와 같은 특수한 시기 진행된 중국 작가의 한국인 관련 작품 창작은 단순한 한국인에 대한 감정 표현의 범위를 넘어섰다. 서로를 필요로 했던 양국 관계 외에 대체로 정치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성장하였던 중국 작가의 어떤 희망과 설계도 반영되었다. ‘중국 현대 한국인 제재 시가’는 중국현대문학의 한 부분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이 연구는 주로 ‘항일’, ‘중한우의’, ‘약소민족’, ‘국제주의’, ‘인도주의’ 등으로 대표되는 중국현대문학의 주류 담론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진행된 연구에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중국 작가의 사상과 예술관은 주목을 받지만, 묘사 대상인 한국인은 객체 혹은 피동적인 요소로 취급받는다. 그런데 시가를 포함한 현대 중국의 한국인 제재 작품 창작은 국가의 위기에 반응한 중국 작가의 노력에 의해서만 진행된 것은 아니다. 국가 멸망 후 민족 부흥을 도모하는 한국인의 역할도 적지 않았다. 한국인을 묘사한 중국 현대 시가에 일찍이 중국문학사에 나타나지 않았던 중국 작가의 한반도인에 대한 극도의 우호적인 감정이 표현된 것은 한중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중국 현대 한국인 제재 시가’를 분석할 때 한국인의 항일투쟁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한국인의 항일투쟁에 대한 찬양과 격려를 담은 한국인의 항일투쟁을 묘사한 시가가 중국문학사에서 사라진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필자는 중국현대문학의 주류 담론에 의한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는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 이 글에서 ‘3·1운동’, ‘윤봉길 의거’,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의 항일투쟁’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항일투쟁과 중국 시인의 한국인 제재 시가 창작과의 관계에 대하여 논하여 보았다. In China, people were in a crisis of life or death between 1917 when the Literary Revolution started and 1945 when Japan collapsed. Its nearest neighbor “Joseon” became a colony of Japan, and China would have been the next. During these unique years, Chinese authors created works related to Korean people beyond the scope of simple emotional expressions about them. Growing up with close connections to politics in general in addition to the two nations’ relations that needed each other, these Chinese writers reflected their certain hopes and designs in such works. “Modern Chinese poems about Korean people” hold a place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usually discussed the mainstream discourses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represented by “anti-Japanese,” “friendship between China and Korea,” “weak and small people,” “internationalism” and “humanitarianism.” Researches conducted in this viewpoint had structural issues. That is, while Chinese writers receive attention for their ideas and artistic views, Korean people they depict are treated as objects or passive elements. Modern Chinese works were created about Korean people including poems not only by Chinese writers’ efforts in response to the national crisis, but also by Koreans’ roles to promote their revival after their country fell. It was an outcome of Korea-China interactions that Chinese writers created modern Chinese poems reflecting their extremely favorable emotions about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ere not found in the literary history of China before. When analyzing “modern Chinese poems about Korean peopl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if there had not been Korean people’s anti-Japanese struggles, poems depicting their anti-Japanese struggles and containing admiration and encouragement for their struggles would have disappeared from the literary history of China. Trying to figure out what was not discovered in old researches based on the mainstream discourses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e investigator discussed connections between Korean people’s anti-Japanese struggles and Chinese poets’ creation of poems about Korean people with a focus on “March 1 Movement,” “Yun Bong-gil’s heroic deed,” and “anti-Japanese struggle of Korean Volunteers Corps and Korea Liberation Army.”

      • KCI등재

        다문화 시대 한국인 정체성의 의미: 서울 지역 초등학생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박윤경 ( Yun Kyoung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이 연구는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초등학생들이 한국인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시민성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5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1명의 초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는 이슈-스토리 면접 자료를 활용한 집단 면접과 개별 면접을 통해 생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한국인의 자격 요건, 다문화 구성원의 한국인 정체성,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배제와 포섭의 논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자격 요건으로 국적이라는 법·제도적 요건과 함께 한국 생활과 문화에 적응하는 능력과 노력을 강조하는 생활·문화적 요건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둘째, 한국인의 자격 요건에 대한 기준은 초등학생들이 다양한 다문화 구성원의 한국인 정체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배제와 포섭의 논리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혈통이라는 생물학적 요건을 기준으로 완전한 한국인을 구분하며, 그 결과 비한국인-한국인-완전한 한국인과 같은 한국인 정체성에 대한 삼중의 범주를 구성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한국인 정체성의 특성이 갖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와 관련하여 다문화 시민성 교육에서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conceptual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uthor has identified the way how they form their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and has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as multicultural Korean citizen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on 21 students of fiv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as performed. Data were generated by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issue story examples and individual interview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hasize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 for being a Korean as well as life-and-cultural factors such as the Korean language, way of living, and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more than blood lineage. Secondly, they used these factors as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people from diverse cultural groups in multicutlrual Korea as Korean people. Thirdly, they categorized Koreans into three groups based on blood lineage and the logic of inclusion and exclusion : non-Koreans, Koreans and perfect Korea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ffirmative and negative aspects of children’s multi-tiered conceptualization of Korean people have been pointed out, and ideas and precautions have been suggested to improve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한국인과 대만인의 다문화 수용성 : 국민정체성과 국가자긍심의 효과를 중심으로

        윤인진(Yoon, In-Jin),팽정(Peng, Che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1

        본 연구에서는 같은 동북아시아의 국가로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체제를 공유하지만 국가 형성과 국민 구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한국과 대만에서의 다문화 수용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SSP)의 원자료를 통계분석하였다. 다문화 수용성은 이주민을 선주민과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 인정하고 보편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과 관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됨의 자격요건에 대한 생각이라고 볼 수 있는 국민정체성 인식과 국가에 대한 애착으로 볼 수 있는 국가자긍심이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은 국민정체성에서 종족적 요인과 시민적 요인을 구별하지 않고 두 요인이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했지만, 대만인은 종족적 요인과 시민적 요인을 분명하게 구별하였다. 양국인은 국민이 되는 조건으로 시민적 요인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한국인은 대만인보다 종족적 요인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둘째, 한국인과 대만인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의 국가자긍심을 가졌는데, 한국인이 대만인보다 더 강한 국가자긍심을 보였다. 셋째, 한국인과 대만인의 다문화 수용성은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었다. 소수인종집단의 전통과 풍습을 보존하기 위한 정부 정책을 지지하는 정도에서 한국인과 대만인이 보통보다 높은 지지도를 보였고, 특히 대만인의 다문화정책 지지도는 한국인보다 월등히 높았다. 외국인 이주민의 사회경제적 기여와 이들에게 내국인과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는 것과 관련해서 보통보다 높은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외국인 이주민이 자국의 범죄, 일자리,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보통 수준의 위협감을 느꼈지만, 특별히 심각하게 여기지 않았다. 넷째, 한국인과 대만인에게 국민정체성의 시민적 요인과 국가자긍심은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데 국가자긍심은 한국인에게는 외국인 이주민의 위협을 더 심각하게 느끼게 만들지만, 대만인에게는 그런 효과가 없었다. This study compare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Korea and Taiwan, which share capitalism and democracy systems as the same Northeast Asian country, but differ in state formation and national composition. To this end, the raw data of the International Social Research Program (ISSP) in 2013 were statistically analyz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elates to the recognition of migrants as members of society equal to those of native people and giving them universal rights. Therefore, we investigated how the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idea of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becoming a citizen, and national pride, which can be seen as an attachment to the state, affect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ethnic and civic factors in national identity, and recognized that both factors were important, but Taiwanese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ethnic and civic factors. The two groups are the same in that they consider the civic factor more important as a condition of becoming a citizen, but the Koreans regard the ethnic factor more important than the Taiwanese. Second, Koreans and Taiwanese had a higher level of national pride than usual, and Koreans showed stronger national pride than Taiwanese. Third,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s and Taiwanese was slightly higher than usual. In the degree to which they supported the government’s policy to preserve the traditions and customs of ethnic minority groups, Koreans and Taiwanese showed higher levels of support than usual, and especially Taiwanese’s support for multicultural polici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Koreans. Foreign migrants’ social and economic contributions and guarantees of the same rights as Koreans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han usual. The impact of foreign migrants on their country’s crimes, jobs and culture was felt moderately threatened, but was not taken particularly seriously. Fourth, for Koreans and Taiwanese, the civic factor of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pride have the effect of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y the way, national pride made Koreans feel more seriously about the threat of foreign migrants, but it had no effect on Taiwanese.

      • KCI등재

        일상에서 읽는 한국인의 정체성

        황병기(黃昞起)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4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후원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주관하며 2012년도부터 시작되어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2년도에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012년에 주목할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10가지를 선정하였다. 그 연구성과는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라는 책자로 발간되었다. 2013년도에는 20대부터 60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세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 그리고 1970년 대부터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각 시대의 일상생활문화와 그 문화를 향유하는 한국인의 대표정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분야별 전문가들이 세대별 특징과 각 세대의 청년기인 20대 시절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2013년도의 설문조사에서 각 세대별 설문결과와 시대별 설문결과가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전 연령층의 대표적인 일상문화에서 느껴지는 한국인 특유의 정서로 조화와 어울림이 15.4%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2위로 응답된 것이 공동체 문화로 8.9%니까 이것까지 합친다면 25% 가량으로 어울림/조화/공동체문화가 대표적인 문화유전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 개인의 일상문화는 각각 다양한 모습을 띤다. 그리고 동일한 일상문화라도 그것을 누리는 사람마다 다른 목적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게임을 자신의 일상문화로 꼽은 젊은 20대의 한국인들 가운데는 의외로 그러한 문명의 이기를 통해 어울려 사는 공동체를 꿈꾸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 설문에서 드러났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에 몰두하는 젊은 학생들을 바라보는 성인들이 젊은 세대의 폐쇄적 인성을 탓하고 개인주의와 상업주의에 빠져 있다고 그들을 비평하는 사이에 그들은 오히려 현 사회의 팽배한 개인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는 수단으로 그러한 문명의 이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인의 일상문화는 그 방식과 수단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청바지와 통키타에서 스마트폰으로 수단의 변화가 있었고, 저항과 시위에서 조화와 여유의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정의정서와 어울림과 상생의 정서는 면면히 한국인의 정서로 유지되고 있다. 최근 한류가 전세계인의 공감대를 얻고 있는 것은 한국인에게 만민공통의 정서가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라 밖의 시청자가 대장금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것은 정으로 가득한 가족애와 한 인물의 부단한 도전정신과 열정 등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인류공통의 정서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것은 특히 한국인에게 어울림, 상생, 정, 열정과 같은 정서가 마치 생물학적 유전자처럼 세대에서 세대로 유전되고 있는 것 같다는 점이다. This is an essay on Korean identity analyzed from mediocre life and culture, according to the 2013’s survey hosted by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ccording to that, Korean youth life and culture have been changed, but National emotion(Culture DNA) does not. The unique emotion of Korean which is gained from typical mediocre culture of all ages is harmonized. That response rate is respectively 15.4%. The response rate of community is 8.9%. Because two emotions are similar to each other, we can judge harmony/community is Korean overwhelming cultural DNA. Korean mediocre culture over the last half century has changed in the way of life and the means. Changes have been made from jeans and guitar to smart phone, from resistance and protest to harmony and freedom in various ways. However the emotion of Jeong(情: sympathetic heart) and harmony ceaselessly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urvey, we can not be overlooked that, in Korean, the emotions of harmony, mutuality, positivity and passion were like a biological DNA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 KCI등재

        재일 한국인 문학과 '집' : 이회성과 유미리 문학을 중심으로

        이미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8 No.-

        It is noticed in Lee Hoe Seong's work and Yu Mi Ri's work which were treated the motives of 'house' and Family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 in Japan. In this thesis, I'll consider a universality of Korean culture and a peculiarity by analyzing concretely the life of Korean resident in Japan Which spreads in 'house' space. It is noticed in Lee Hoe Seong's work and Yu Mi Ri's work which were teated the motives of 'house' and Family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 in Japan. In this thesis, I'll consider a universality of Korean culture and a peculiarity by analyzing concretely the life of Korean resident in Japan Which spreads in 'house' space. First, there is a notice in 'house of a Korean' which is described repeatedly in Lee Hoe Seong's early work. It is a notice that they are coexisting together while contrasting a dark and a violent house which is symbolized with father against cordial house which is symbolized with mother. And his literary work has a growth novelistic structure which the second generation's son gets to realize a Korean who is represented with the first generation's father through the motive 'the disappearance from home' of the second generation's son. The second generation's son disappears to solve 'Korean negation is Self-denial' by negating the patriarch and violent father and his house. Then he get to understand father as a korean by perceiving the point which his own family discord and father's violence are the problems of Korean resident in Japan, they aren't the problems of an individual. In Lee Hoe Seong's early work, the house of Korean resident in Japan had keeping in the troubles between father and son owing to mother's buffering role. But 'house' is presenting to be dissolved in Yu Mi Ri's work. In Yu Mi Ri's work, it isn't a possibility of trying to search the contrast structure which a father as a outside, social political, violent and cold-hearted existence with a patriarch conservativeness against a mother as a inner, culture, emotional and warm existence. In :「Full House」 and 「Family Cinema」, it is embossing real image of the house which is opposed to the actual feature of the family. Her works isn't dealt the specific problem of a house which people can experience in a strange culture, Japan. It escapes rather from category of Korean of the house resident in Japan and it is exposed from the times conditions which is changing suddenly. Her works can acquire an universality by draw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day family and a human estrangement. Writer Lee Hoe Seong insisted on the establishment national identity as a way for identity discovery of Korean resident in Japan. In his early work, the problem of 'house' of Korean resident in Japan is apprehended in history and the times as the problem of their own. And it is advancing forward the universal issue of a human. But Yu Mi Ri's work is based on existence conditions of Korean resident in Japan, It doesn't show the national identity. So the problem of 'house' that is called dissolution, it doesn't belong to Korean resident in Japan, it is presenting to the universal problem that is related with individual estrangement and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which is a fundamental unit of society. 본고는 재일 한국인 문학 중 ‘집’또는 가족에 관한 모티프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이회성과 유미리의 작품에 주목해, ‘집’이라는 공간 속에서 펼쳐지는 재일 한국인의 삶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먼저, 이회성의 초기 작품에서 되풀이 묘사되고 있는 ‘한국사람의 집’에서 주목할 것은 아버지로 상징되는 어둡고 폭력적인 집과 어머니로 상징되는 따뜻한 집이 대비되면서도 공존하가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회성 문학은 재일 한국인 2세대 아들의 ‘가출’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1세대 아버지로 대표되는 한국사람을 2세대 아들이 이해하게 되고 ‘한국사람의 집’의 다른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 성장 소설적인 구조 또한 지니고 있다. 가부장적이고 폭력적인 아버지 및 그 아버지의 집을 부정함으로써 ‘한국 부정=자기 부정’을 해소하고자 감행한 가출을 계기로 2세대 아들은, 자기 집의 불화와 아버지의 폭력성이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일본이라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재일 한국인 전체의 문제라는 점을 인식함으로써 한국사람으로서의 아버지를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회성의 초기 작품에서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갈등 속에서도 어머니의 완충적인 역할에 힘입어 불안하게나마 유지되고 있었던 재일 한국인의 ‘집’은 유미리 작품에는 완전히 해체된 상태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가부장적 보수성을 특유의 배타적 속성으로 지니고 있는 외적·사회정치적·폭력적이며 비정한 존재로서의 아버지와, 내적·문화적·정서적이며 따뜻한 존재로서의 어머니라는 대비구조는 유미리의 작품 속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가족의 실제 모습과는 반대되는 ‘완전한 집’이라는 아이러니한 제목을 통해 해체된 ‘집’의 실상을 상대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는 「풀 하우스」와「가족 시네마」라는 유미리의 작품에는 일본이라는 이문화 속에서 겪게 되는 재일 한국인의 ‘집’ 고유의 문제를 작품 표층에서 정면으로 다루고는 있지 안다. 오히려 재일 한국인 가족의 ‘집’의 범주에서 벗어나 급변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노정되고 있는 현대 가족의 문제 및 인간 소외를 그려냄으로써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재일 한국인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방법으로 민족적 주체성의 확립을 주장한 작가인 이회성의 초기 문학에 그려진 재일 한국인의 ‘집’ 문제는 재일 한국인 고유의 문제로서 시대와 역사라는 틀 속에서 파악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문제로 나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유미리 문학은 재일 한국인이라는 존재 상황을 밑바탕에 깔고는 있지만, 민족적 정체성을 뚜렷이 부각시키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가족의 해체라는 ‘집’의 문제 또한 재일 한국인의 문제로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가족의 해체와 이로 인한 개인의 소외라는 보편적인 문제로 확대되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와 외로운 한국인을 만드는 사회구조 - 사적 네트워크 집단주의의 형성과 미래 -

        문상석(Sangseok Moon) 한국사회이론학회 2021 사회이론 Vol.- No.59

        이 연구는 코로나-19가 한국인들이 의존해왔던 사적 네트워크 집단주의 형성 과정과 미래를 경로의존과 문화변동의 방법을 통해 설명한다. 조선의 지배자였던 양반은 권력 자원의 획득과 기득권 유지를 위해 서로 집단을 형성하고 집단에 근거하여 경쟁하며 붕당이라는 독특한 체제를 형성하였다. 조선 사회가 성숙해지면서 양반들의 수가 증가하자 분화가 일어났다. 이로 인한 자원쟁탈 경쟁은 집단주의 붕당정치로 이어졌다. 사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형성된 붕당은 집단 구성원들에게 수확체증의 보상을 제공하며 조선사회에서 성장하였다. 반면 농민들은 지역 내에서 상호 의존적이고 부의 평균을 추구하는 봉건적 공산주의적 공동체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자본주의 경제 제도가 도입되고 도덕 경제에 의존한 안전제일주의 경향의 공동체는 붕괴되었고 지주 중심의 자본주의적 소유 관계에 근거한 경제 관계가 공동체를 해체하였다. 보호 수단을 상실한 농민들은 사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개인의 이익 극대화 전략을 수립하고 가족과 친분 집단을 도구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가족에 기반한 사적 네트워크는 한국전쟁에서도 존재감을 발휘하였다. 한국전쟁 기간 한국인들은 국가와 이념을 생존과 이익 추구의 도구로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했다. 방법은 국가 기구를 전용할 수 있는 관료의 지위를 획득하거나 관료와의 사적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강화하는 것이었다. 산업화는 출신학교와 지역에 따라 형성된 연고 집단을 형성하는데 구조적 공간을 마련하였다. 연고에 따른 취업 기회의 확장은 불러준 지역 및 학연 선배의 지위를 강화하였고 위계적 선·후배 관계를 만들었다. 한국인들은 직장 내 선후배 관계를 강화하여 직장내에서 안정적인 이익 추구의 파벌 집단주의를 발전시켰다. 경제 성장 시기에는 인해 나눌 수 있는 이익이 있었기에 갈등 상황이 심화되지 않았으나 경제성장이 정체되자 잉여를 공유해야하는 경쟁상대가 많아지면서 집단이 분화되고 집단 안에서조차도 자원을 놓고 갈등과 투쟁이 일어났다. 집단 내 권력관계에 따른 자원 배분이 달랐기에 집단 내 갈등이 심화되어 한국인들이 의존하던 집단이 오히려 개인을 착취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수확체증의 법칙이 작동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집단의 소모품으로 전락하면서 서로를 배제하는 외로운 한국인을 만드는 극한의 경쟁 구조가 집단의 내·외부에서 고착화 되었다. 코로나-19가 사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집단주의를 해체할 기회를 만들었다. 그러나 동시에 한국 사회 구성원들이 보여준 경로의존에 따라 기존 사회구조가 재생산·강화될 수 있는 위험도 수반하였다. Lonely Koreans are transformed by the fragmented human relations in Korean society. The social structure consists of collectivism, selfish individualism, materialism. This study explain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ocial structure of the lonely Koreans based on path dependency and cultural change theory. Chosun’s Confucian scholars and yangban came into conflict with other yangbans for land, a very important social resource, and finally formed factional parties in the central politics in the Yi dynas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yangbans led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yangban group and the conflict and competition for social resources naturally led to factional politics. Once they were organized, they could realize organizing factions based on private networks brought a huge increasing return to them. On the contrary to yangban, peasants in the rural area developed the feudal communist community, in which peasants and local community members pursued underdeveloped low-level productivity with loss-avoiding tendency and moral economy.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to capitalist exclusive private ownership protection, peasants in the local community began to form new social and production relations with landlords, other peasants. Peasants responded to the social change to maximize their profits by making private networks in their community. Korean war played a role in making family ties deeply rooted in the local community. Execution, revenge, and massacre were very common in the war period. Koreans realized that it was very helpful for them to maximize their profits and save their lives by forming some private network with governmental workers like soldiers, officers of the police station and army, even administrators. Especially, bureaucrats could appropriate governmental resources which normal citizen could not even access to it. Therefore networking with them meant stable making money and saving Koreans’ lives during the war period. During the economic development period, Koreans responded to the change with regionalism in which people shared strong bonding. Koreans could get their jobs after seniors from the same region could send them some recommendation letters to the company. Inside of their company, workers were trained by their senior managers who pulled them into the company. In group conflicts and the competition got severe and severe for resources, as the numbers of workers increased. However, competition between groups in a company was not serious because the Korean economy continued to develop and they could share the fruits of development. However, when the economy stopped expansion and stagnated one day after one day, the degree of competition and conflicts for resources made Koreans exclude others more and more. Finally, Koreans fell into endless competition and their groups were differentiated into other groups. The conflict inside of groups increased as well. Koreans were forced to compete for one another for the resource. Koreans realized also that they should develop their groups for many other reasons. In the end, Covid-19 could not remove collectivism as a means to maximize their profits because Koreans experienced and learned from their experienc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rocess of how collectivism expanded its area to individualistic areas for survival.

      • KCI등재

        Exploring Sources of Life Meaning among Koreans

        Kim, Mira,Lee, Hong Seock,Lee, Sang Kyu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의 독특한 문화와 가치관을 반영하는 삶의 의미의 기본적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정성적 조사방법과 정량적 조사방법의 두가지 조사방법이 이용되었고, 이에 따라 각 연구를 위한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성적 조사방법을 이용한 첫번째 연구는 탐험적 연구(exploratory study)로 한국인들의 삶의 의미의 가능한 모든 원천을 알아내기 위해 content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반면, 정량적 조사방법을 이용한 두 번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삶의 의미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두 번째 연구에서 추출한 한국인들의 삶의 의미 원천을 바탕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한국인들의 현재 삶의 의미의 수준을 측정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73명을 대상으로 한 첫번째 연구에서는 106개의 삶의 의미 항목이 추출되었고, 638명을 대상으로 한 두 번째 연구에서는 첫번째 연구에서 추출된 항목들이 10개의 요인으로 설명되었다. 한국인의 삶의 의미 구조를 설명하는 10개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성취감(Achievement), 안전(Security), 종교(Religion), 수용(Acceptance & Affirmation), 관계(Relationship),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 인성(Good Character), 자기수련(Self-Discipline), 신체적 건강(Physical Health), 친밀한 친구(Intimate friend). 토의: 본 연구에서 추출된 10개의 요인 중, 안전(Security), 수용(Acceptance & Affirmation), 인성(Good Character), 자기수련(Self-Discipline), 신체적 건강(Physical Health)은 문화와 가치관이 다른 서양 사람들의 삶의 의미와 비교할 때, 한국인의 삶의 의미를 설명하는 독특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인의 삶의 의미를 올바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독특한 문화와 가치관을 반영한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추출된 한국인의 삶의 의미구조가 정신병리와 사회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was to explore sources of Koreans' life meaning and determine its structure that is reflective of Korean' unique culture and values.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this end, two sample dta sets were collected. Study One was an exploratory study in which the qualitative compon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gather all possible attributes of sources of life meaning among Koreans. All possible sources of life meaning were extra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Study Two was a quantitative study using a closed questionnaire and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Koreans' life meaning by measuring Koreans' current level of life meaning. For the stud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Results: From Study One, 106 attributes of all possible sources of Koreans' life meaning were extracted. In Study Two, factor analysis with the responses from 638 subjects reduced 106 attributes to 53 attributes and ten factors were extracted as Koreans' sources of life meaning: Achievement, Security, Religion, Acceptance & Affirmation, Relationship, Self-Transcendence, Good Character, Self-Discipline, Physical Health and Intimate Friend. Conclusion and Implications: Among the ten factors extracted from this study, the factors of Security, Acceptance and Affirmation, Good Character, Self-Discipline, and Physical Health are Koreans' unique factors of Life Meaning, while Achievement, Religion, Relationship, Self-Transcendence and Intimate Friend are comparable to Wong's^1) Personal Meaning Profile for Canadians. I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Koreans' own measurement tool in order to assess their life meaning properly. However, because this study was an exploratory in developing Koreans' life meaning measurement and had several limitations, in order to determine structure of Koreans' life meaning, further study must be necessary.

      • KCI등재

        효과적인 일본선교를 위한 현지 사역자들의 제언 - 일본인목사와 현지 한국인 사역자들의 실증 사례 연구

        정근하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본 연구는 문헌들을 중심으로 연구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현지인 목사들과 현지에서 활동 중인 한국인 사역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한 실증연구로서, 도쿄지역에 제한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실질적인 인터뷰 내용들을 소개하고 선교사들의 일본진출 사례와 해외 진출기업인들의 사례를 비교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독특한 문화적 습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인들은 한국에서의 성공을 과신하여 "일단 가보면 어떻게 되겠지"라고 하는 막연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고, 둘째, 사업지와 선교지의 문화, 언어, 시장조사 등의 철저한 조사 없이 혼자서 돌진한다는 사실이었다. 많은 연구자들과 현지 사역자들은 한국인들의 치밀한 계획 없이 돌발적으로 일본진출을 결행하는 것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업의 해외진출과 해외선교는 진출지역 사람들을 전인격적인 설득작업이 동반된다는 점과 그들의 실패가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므로 기업과 선교사가 해외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선교사의 해외 파송과 일본선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으로 한국인 선교사들이 선교과정에서 겪게 될 시행착오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망라하여 정리하였고 인터뷰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선교적 제언들을 수록하였다. This positive research contains the interview survey of Japanese pastors and local Korean religious workers. The survey is limited to the country of Japan only, but it is significant a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with the substantive personal experience that is compared to the examples of companies extending their businesses abroad. Throughout the research, the Korean’s distinctive cultural habits were ascertained. First of all, Korean people have a stereotypical thought of being too generous about one’s success in Korea without definite plans. Secondly, Korean people tend to rush forward their business in a foreign business site and a mission field without studying about its local culture, language and market research. Many researchers and local religious workers point out that the Koreans’ indefinite plans with the sudden burst of culture are the barrier of entering Japan. One thing in common between enterprise’s moving oversea and oversea missionary is that both significantly need the full support of the local residents in their business site. Without the support, both sides, carrying on business oversea and oversea missionary trips, would fail deeply and harm a lot of people. Therefore, there must be a strategic approach for enterprises and missionaries to extend internationally. This research contains the expectation of seeing continuous Korean missionaries dispatching and missionary work in Japan. Besides, it includes the advanced research through the trials and errors that Korean missionaries have to undergo in their process of missionary and an effective missional proposal through interview surve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