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차이점과 유사점

        오일환,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4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erm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Often, Korean national and Korean ideas are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in fact,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are differen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the orthodox thought of our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is an absorption and integration of foreign thought into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gard, there a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can be said to be more pure in terms of purity. In this respect, Korean national thought has purity. The second can be examined in terms of uniqueness. Uniqueness is an analysis method that occurs in comparison with other ideas. In terms of uniqueness, Korean thought is considered to have uniqueness.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deas in terms of subjectivity can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ity, it can be said that Korean national thought is deeper than Korean thought. If we point out similaritie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through these differences, I think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but there is an identity at the root.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용어상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흔히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사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다르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우리 민족의 정통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에 외래사조가 흡수 통합된 것이다. 이런 점에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점도 있고 유사점도 있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차이점은 우선 순수성에서 한국민족사상이 보다 순수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민족사상은 순백성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는 고유성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고유성은 다른 사상과의 비교에서 발생하는 분석방법이다. 고유성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사상은 고유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주체성의 측면에서 양 사상 간의 차이점을 분석할 수 있다. 주체성의 관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이 한국사상보다는 더 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에 유사점을 지적하면 양자 간에는 비로 차이점이 있지만 근저에는 동일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민족사상의 내용분석과 그 계승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4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reveal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 thought and analyzes the strategy of inheriting Korean national thought. There is a tendency to use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combination. However, strictly speaking,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an idea based on pure and pure though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refers to the absorption and acceptance of foreign thought based on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classified into many contents and explained, but if you introduce only important contents, you can first point out anthropology. Human love is a comprehensive love. It is humanity that loves the entire human race, not just between me and you. Second,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defined as harmony theory. The theory of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me and you is the theory of harmony. Finally,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summed up as a theory of Gyeongcheon. He defined the sky as a personality god and always acted while looking up to the sky. We should do our best to inherit Korean national thought with pride.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고 한국민족사상을 계승하는 전략을 분석한 글이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가 있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한국민족의 순백하고 순수한 사유에 의한 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을 기초로 하여 외래사조가 흡수되어 수용된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민족사상은 많은 내용으로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지만 개략적으로 중요한 내용만 소개하면 우선 인류애론을 지적할 수 있다. 인류애는 포괄적인 사랑이다. 나와 너 간의 사랑에 국한하지 않고 인류전체를 사랑하는 것이 바로 인류애이다. 둘째, 한국민족사상은 조화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나와 너 간의 상생적 관계론이 바로 조화론이다. 마지막으로 한국민족사상은 경천론으로 귀결지어 말할 수 있다. 하늘을 하나의 인격신으로 규정하고 늘 하늘을 우러러 보면서 행동을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에 자부심을 가지고 계승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靑丘學會의 설립과 활동

        조범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7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Cheong-gu Hakhoe(Cheong-gu Academic Society) in the 1930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history of colonialis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onial history) became academically entrenched in the history academia of the colonized Joseon. To begin with, the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compilation project called The History of Chosen that was promoted throughout the 1920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nd the foundation of its Department of History. Furthermore,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situatio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Cheong-gu Hakhoe by scrutinizing the trends among research groups of colonial history that were active in the 1920s. Through such attempts, this study aims to explain why it was not until the 1930s that colonial history, which had already preoccupied and monopolized the power of the academic system essential for history research, was not able to form a systematic academic society and eventually sustain in the long run. Additionally, the foundation of Cheong-gu Hakhoe in 1930, the organization’s personnel structure and operations system are thoroughly analyzed in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under the supervision and guidance of Shogo Oda, a first-generation Japanese colonial history researcher, Cheong-gu Hakhoe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mainly by young second-generation elite researchers, namely Hidetaka Nakamura and Yasukazu Suematsu, who came to Joseon right after graduating from Tokyo Imperial University. Moreover, this study found out that Cheong-gu Hakhoe, under the pretext of ‘research and dissemination of Far Eastern culture’, provided academic support to Imperial Japan’s invasion of the continent in the 1930s. As Cheong-gu Hakhoe is comprised of officials working for Governor-General of Chosen and Chose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s well as teachers and professors from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it can be seen that Cheong-gu Hakhoe was founded with a more diverse pool of human resources compared to previous academic associations. At that time the history academia in Japan welcomed and had high expectations of the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purposes of Cheong-gu Hakhoe. Meanwhile, through the activities of Cheong-gu Hakhoe during nine years, this study recognizes that colonial history was becoming academically entrenched in the history academia of the colonized Joseon. Cheong-gu Hakhoe plann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the issuance of Cheonggu Hakchong four times a year, frequent operations of lectures, publication of research materials and books, and promotion of history research. In particular, in comparison to the materials published by preexisting research groups of colonial history, Cheonggu Hakchong was far more superior in terms of format and content. Published annually until October 1939 when the 30th issue was released as the last publication, Cheong-gu Hakchong played a part in accumulating and dispersing research results of colonial history in the 1930s to both the academia and general public. The achievements of colonial history that were studied and distributed through Cheong-gu Hakhoe have remained deeply rooted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and become the subject of criticism and reflection within Korean history academia even after liberalization. 본 연구는 1930년대 청구활동의 설립과 활동을 통해 식민주의 역사학(이하 식민사학)이 식민지 조선의 역사학계에 학문적으로 고착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1920년대에 추진되고 있던 『조선사』 편찬사업의 전개 과정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및 사학과의 설치, 그리고 동시기 활동하고 있던 식민사학 연구단체들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청구학회 설립 이전 시기의 상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강점 이후 역사 연구에 필수적인 학문 제도의 권력을 이미 선점·독점하고 있던 식민사학이 왜 1930년대에 이르러서야 체계화된 학회를 갖추게 되었고, 비로소 장기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1930년 청구학회의 설립 과정과 그 인적 구성, 운영 체계를 보다 면밀히 분석했다. 청구학회는 1세대 일본인 식민사학 연구자인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감독과 지도하에,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한 뒤 바로 조선으로 건너온 젊은 2세대 엘리트 연구자 나카무라 히데타카(中村榮孝)·스에마츠 야스카즈(末松保和)가 중심이 되어 설립·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극동문화 연구 및 보급”이라는 명분하에 1930년대 일제의 대륙 침략을 학술적으로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려 했음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청구학회는 설립 당시 조선총독부 및 조선사편수회 관계자와 경성제국대학 소속 교·강사와 출신자들이 대거 참여함으로써 이전의 학회들보다 풍부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시기 일본의 역사학계에서는 청구학회의 설립과 취지를 환영하며 기대를 보내왔다. 한편, 9년여 간에 걸친 청구학회의 활동 내용을 통해 식민사학이 식민지 조선의 역사학계에 학문적으로 고착화되어가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청구학회는 『청구학총』을 연 4회 계간으로 간행하고, 정기적으로 강연회·강습회를 개최하며, 연구자료와 저술을 출판하고, 고적답사도 추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였다. 특히 『『청구학총』은 기존의 식민사학 연구단체에서 간행했던 것보다 체재와 내용 면에서 월등히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1939년 10월 제30호를 마지막으로 폐간을 선언할 때까지 매년 지속적으로 간행되어, 1930년대 생산된 식민사학의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학계와 일반에 보급하는 데 일조하였다. 이렇게 청구학회를 통해 연구·보급된 식민사학의 성과는 한국근대역사학에 뿌리 깊게 남아 해방 이후에도 한국사학계에서 끊임없이 비판과 반성의 대상으로 남게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군정기 국정 공민교과서의 성격과 집필진의 구성

        김동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4

        미군정의 교육정책은 한마디로 ‘미국식 민주교육제도’를 남한에 실시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미군정의 정책 의도는 남한을 공산주의에 대한 방벽(bulwark)으로 만들고 자본주의 세계시장에 편입시킬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미국은 한국인에게 장기적인 정치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미군정은 한국교육의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하여 朝鮮敎育審議會(위원 100여명)를 설치하였다. 본 위원회에서는 ‘홍익인간’의 이념을 한국교육의 기본이념으로 교육법에 명시하였다. 이 이념은 교육현장에서 일제 잔재의 청산, 평화와 질서 유지, 새나라 민주시민 육성으로 구체화되어 교과편제 및 시간배당과 교수요목에 나타났다. 이러한 미군정의 교육정책의 목적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과목이 바로 사회생활과이며, 그중에서도 公民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군정은 공민교과서에서 민족주의를 배제하고, ‘미국식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반공주의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군정의 의도와 달리, 공민교과서의 내용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영국식 의원내각제 옹호, 무조건적인 자본주의 배격, 국가주의적 민족주의가 강조되었다. 이것은 국정공민교과서 편찬에 깊은 영향을 끼친 편수관과 편찬위원들 때문이었다. 공민교과서 편수책임자인 최재희는 최현배에 의해 추천되었다. 그는 자유주의를 강조하고, 공산주의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미군정과 인식을 같이하였다. 그러나 그는 화랑도 및 민족을 우선시하고, 당시 풍미하던 듀이의 실용주의 교육관에 반대한다는 점에서 미군정과 생각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었다. 국정공민교과서의 편찬위원들은 미군정 학무국장 고문이었던 김성수와 관련이 있다. 이들은 보성전문의 교직원이었다. 또한 정열모, 현상윤, 장덕수는 모두 早稻田大學에서 수학하여 학맥으로도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이 편찬위원이 된 것은 김성수와의 인연이 작용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군정은 조선어학회에 국어교과서와 공민교과서의 편찬을 의뢰하였다. 심지어 당시 편수국장도 조선어학회의 주요인물인 최현배였다. 편찬위원들도 대체로 조선어학회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조선어학회는 민족주의적 색채가 짙었던 대종교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안호상과 정열모, 백낙준 같은 편찬위원들은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민족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또한 개인보다도 민족과 국가의 안위를 우선시하였다. 이들에게 있어서 뛰어난 인물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었다. 이처럼 공민교과서는 미군정의 의도대로 편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판이 가능했던 것은 미군정이 교과서 출판과 편찬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 취했기 때문이다. 미군정의 교육 이념에 적합한 교과서 제도는 원칙적으로 자유발행제였다. 게다가 유능한 교과서 저술 인력은 트럭운전사보다 적은 임금을 받으면서 미군정에서 일하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미군정은 필요한 만큼의 직원을 확보할 수 없었고, 교과서 편찬과 배부도 심각하게 지연되었다. 이런 현실적인 원인들도 미군정이 교과서 편찬기준을 엄격하게 할 수 없는 요인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군정기 공민교과서는 편수관과 편찬위원 그리고 조선어학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공민교과서를 통해 의원내각제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정치를 소개하였다. ...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n short, to carry out an “American-style democratic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to make South Korea a bulwark against communism,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incorporating South Korea into the capitalist world market.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that Koreans needed long-term politic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U.S.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the Korean Education Council (approximately 100 members) to prepare a blueprint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committee, the philosophy of ' Hongik-Ingan’' was specified in the Education Act as the basic philosophy for ​​Korean education. This philosophy wa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composition, the time allocation and syllabus, pursuing the settlement of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maintenance of peace and order, and the cultivation of democratic citizens. One of the subjects that can best reveal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the social sciences subject, particularly the civic educ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emphasize “American democracy,” capitalism and anti-communism in the civic textbooks, without cultivating nationalism. However, unlike the intention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content of the civic textbooks emphasized the support of the British parliamentary system, unconditional rejection of capitalism, and statism- based nationalism under the philosophy of Hongik-Ingan. This was due to the compilation editor and Compilation Board members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ompil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civic textbooks. Jae-Hee Choi, the head on the compilation Board of the civic textbooks, was recommended by Hyun-Bae Choi. Jae-Hee Choi emphasized liberalism and criticized communism, sharing common political views with the U.S. Military Government. However, Choi saw differently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with regards to the concept of Hwangryangdo, which prioritized the people first, and his opposition to the pragmatic educational philosophy of Dewey. The Compilation Board of the government-designated civic textbooks had much to do with Sung-Soo Kim, who was the academics adviser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y were staff members of Bosung College. In addition, Yeol-Mo Jeong, Sang-Yoon Hyun, and Duk-Su Jang had all studied at Waseda University. Therefore, it seems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Sung-Soo Kim helped them to be on the Compilation Board. On the other h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mmissioned the compilation of Korean textbooks and civic textbooks to Joseoneohakho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Even at that time, the head of Chief Compilation Editor was Hyun-Bae Choi, a major figure in Joseoneohakhoe. The Compilation Board was also deeply involved with Joseoneohakhoe. Joseoneohakhoe was associated with Daejonggyo, which had a strong nationalistic color. Therefore, the Compilation Board including Ho-Sang Ahn, Yeol-Mo Jeong, and Nak-Jun Baek emphasized the excellence of Korea and ethnic-centered education. In addition, the state and national security was given priority over the individual. As such, the civic textbooks were not compil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Nonetheless, publishing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U.S. military took a flexible attitude toward textbook publication and compilation. The textbook syste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n principle, a self-regulated publication system. Moreover, competent textbook writers were not willing to work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o received less wages than truck drivers. As a result,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unable to secure the necessary staff, and textbook compilation and distribution was seriously delayed. These also made it impossible for the 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