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간 해외학위 상호인정 협약 분석: 프랑스 및 러시아와의 협약 논의를 중심으로

        고장완(Ko Jang W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2

        최근 들어 고등교육 국제화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는 해외 학위인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프랑스 및 러시아와의 해외학위 상호인정협약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내용과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국가들과의 협약 체결 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와 이미 학위 상호인정협약을 체결한 프랑스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현재 협약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러시아와의 협약 진행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학위 상호인정협약과 관련한 쟁점은 프랑스의 경우 양국 간 협약 체결의 주체에 관한 것, 한-불 학제 간의 차이로 인한 협약(안) 세부 내용에 관한 쟁점, 의료분야와 전문자격분야의 적용에 대한 논의 등이었다. 러시아와의 쟁점은 러시아의 specialist 학위를 대학원 석사 학위로 인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 서로 다른 학위체제에 따른 사각지대 발생 여부 문제, 러시아의 교육 및 학위제도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이해 부족에 따른 학위에 대한 상호 신뢰문제 등이었다. 연구 제언으로는 향후에도 해외학위 상호인정 협약에 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해외학위인정 전문기관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며, 특히 다른 나라들의 교육 및 학위제도에 대한 충분한 정보 수집과 이를 위한 상호교류 및 공동연구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the mutual agreements by reviewing the discussions on the process of negotiating the agreements on recognition of overseas degrees with France and Russia,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Korea has signed a mutual agreement with France in 2015, but not with Russia although the Russian government has expressed strong wishes for a mutual agreement. The major issues with France, were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bilateral agreement, details of the Convention due to different education and degree systems between Korea and France, and the application of medical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The major issues with Russia, were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the specialist degree, the recognition of certain degrees and qualifications which do not exist either in Korea or in Russia, and issues on mutual trust between two countries. Through exchanging ideas on recognition of degrees between Korea and France, the major issues were resolved, yet the issues with Russia have remained unsolved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on different education and degree sys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conduct more research on other countries’ education and degree systems and to prepare for continuous discussions on foreign qualifications recognition and for further conventions with other countries.

      • KCI등재후보

        중국박사학위 신고 및 인증 시스템 고찰

        朱星一 대한중국학회 2008 중국학 Vol.31 No.-

        중국의 개혁 개방 이래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급성장함에 따라 1992년 한중 수교가 이루어진 뒤부터는 중국과의 학술 및 학술교류는 날로 그 범위와 내용이 눈에 띄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교육제도와 학위 제도에 관한 근본적인 이해의 부족은 현행 외국박사학위 신고상의 허점들과 맞물려 여전히 부적절한 학위의 양산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실정이다. 점점 긴밀해지는 한중 학술교류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중국에서의 학위취득자 수를 감안할 때, 중국의 교육 및 학위제도에 대한 종합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시급히 진행되어야 할 사업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교육제도와 학위제도에 대한 심층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현행 중국에서 취득한 석사 및 박사 학위의 신고 절차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이에 대한 적절한 검증시스템 구축과 합리적인 신고절차를 마련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하도록 할 것이다. Since the reform and openness of China, the global position of China has been promoted and the amity between Korea and China finally came true in 1992. Since then, 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expand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For all that, the lack of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hinese educational system together with the weakness inherent in the report system of the foreign doctorate has caused the mass production of false doctors, and this problem will continue if appropriate measures should not be applied to that. Considering the increasingly close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doctoral degree holders, the comprehensive research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academic degrees of China should be performed from the national dimension. This study purports to give the foundation for the verification system and rational report procedure for master's and doctor's degrees issued in China through the profound analysis of the system of education and academic degrees in China and problems in the report system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 KCI등재

        교원의 석ㆍ박사 학위 취득과 교장 전문성과의 관계

        채정관(Chae Jung Kw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교원의 석ㆍ박사 학위 취득과 교장 전문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한 교원에게 승진 가점을 부여하고 있는 현행 교장 승진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석ㆍ박사 학위의 수준, 학위의 전공, 학위의 개수, 학위의 취득시기가 교장의 전문성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 분석하였다. 16개 시ㆍ도의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장 688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공분산분석(ANCOVA)과 이에 대한 사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교장의 전문성은 학위의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석ㆍ박사 학위 취득 여부와 교장의 전문성이 관계가 있다는 증거가 본 연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학위의 전공에 따른 교장 전문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교육행정 전공자가 타 전공자에 비해 교장 전문성 점수가 높았다. 셋째, 학위의 개수에 따른 교장 전문성의 차이는 초등학교 교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초등학교 교장은 석사학위가 2개 이상인 교장이 1개인 교장보다 전문성 점수가 높았으나, 중ㆍ고등학교 교장은 이러한 상관이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교장의 전문성은 학위의 취득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과 교장 승진제도에 관한 정책적 제언 및 후속 연구와 관련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cquisition of a master's or doctor's degree and principals' professionalism to seek for measure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for promotion to a principal that gives additional points for promotion to teachers who acquired a master's or doctor's degre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ncipals' professionalism were found between the levels of degrees. No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acquisition of a master's or doctor's degree was related to principals' professionalism was found in this study. Second, principals' professional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jors for degrees. Those who majored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wed higher principals' professionalism scores compared to those who majored in other subjects. Third, differences in principals' professionalism between the numbers of degre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mong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Whereas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having two or more master's degrees showed higher professionalism scores than those having one degree, middle/high school principals did not show the correlation. Fourth, principals' professionalism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time points of acquisition of degrees. Based on the foregoing, political proposals regarding the system for promotion to a principal and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우울과 관련된 학위논문 분석

        이금재 경원전문대학 1997 論文集 Vol.19 No.2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사회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인간은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 현상속에서 근심, 침울함, 실패감, 무력감, 무가치감 등의 부정적인 정서 반응인 우울을 유발시킨다. 우울의 유발요인은 스트레스 생활사건, 자존감의 상실, 노화, 여성주기, 통증 등이 있으며 임상 현장에서 대상자들로부터 빈번하게 사정되어지는 우울은 오늘날까지 계속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울 개념에 관한 수십편의 논문이 보고되어 있으나 아직 우울에 대한 간호 연구들의 결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학위논문에서 이루어진 우울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우울에 대한 간호연구의 수준을 높이고 미래의 우울에 관한 연구의 방향의 제시와 측정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 논문은 1960년부터 1995년까지 발표된 우울에 대한 학위논문은 총 67편이었다. 대한간호협회가 1996년 10월에 발간한 간호학 및 간호학 관련 학위논문 초록집에서 우울개념이 논문제목으로 나타난 논문을 수집하였는데 선정된 연구대상 논문들은 연구분석의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며 SPSS PC를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및 X -검증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에 관한 학위논문은 1977년에 처음 발표되어 이후 1995년까지 총 67편이었다. 학위별로는 석사학위 논문 57편(85.1%), 박사학위 논문이 10편(14.9%)이었다. 연도별로는 1977-1980년 1편, 1981-1985년 10편, 1986-1990년 24편, 1991-1996년 32편이었다. 1980년 이후 우울에 대한 연구가 빠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학원별 분포를 보면 일반대학원의 논문이 48편(71.6%)으로 월등히 많았으며 보건대학원, 교육대학원이 각각 8편(11.9%), 행정대학원 2편(3.0%)으로 나타났다. 2. 연구문제 유형별 분포를 보면, 요인관련형이 44편(65.7%), 요인추구형이 12편(21.1%), 상황관련형이 11편(16.4%)이었고 상황생성형과 도구개발 연구 논문은 한편도 없었다. 학위별로는 석사는 요인관련형 39편(68.4%), 요인추구형 12편(21.1%), 상황관련형 6편(10.5%)으로 요인관련형의 논문이 많았고 상황생성형은 한 편도 없었다. 반면 박사는 상황관련형 5편(50%), 요인관련형 5편(50%)으로 석, 박사간의 연구설계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X =10.6, P=.0049) 연도별로는 요인추구형이 1975-1980년 1편(100.0%), 1981-1985년 4편(40%), 1986-1990년 3편(12.5%), 1991-1995년 4편(12.5%)이고, 요인관련형은 1981-1985년 6편(60%), 1986년-1990년 19편(79.2%), 1991-1995년 19편(59.4%)이고, 상황관련형은 1986-1990년 2편 (8.3%), 1991-1995년 9편(28.1%)이었다. 대학원별 분석에서는 요인추구형은 보건대 3편(77.5%), 일반대 9편(18.8%)이고, 요인관련형은 일반대 30편(62.5%), 보건대 4편(50.0%), 교육대 7편(87.5%), 행정대 2편(100%)이었다. 상황관련형은 일반대 9편(18.8%),보건대·교육대 각각 1편(12.5%)이었다. 3. 우울과 관련된 논문의 대상자별 분포를 살펴보면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23편 (34.3%),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44편(65.7%)이었다. 환자별 대상자 분포를 보면 근골격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암환자 7편, 뇌혈관질환자 6편, 산부인과질환 환자 6편, 정신질환자 5편, 수술환자와 신장질환자가 각각 3편으로 다양한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우울이 연구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4. 우울 개념을 연구한 학위논문의 연구설계별 분포를 보면 실험연구가 14편(20.9%), 비실험연구가 53편(79.1%), 질적연구는 한 편도 없었고, 비실험연구 모두는 조사 연구이었다. 학위별로 연구설계 유형을 보면 실험연구는 석사 7편(12.3%), 박사 7편(70%)이었고, 비실험연구는 석사 50편(87.7%), 박사 3편(30.0%)이었으며 석, 박사간의 연구설계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X =13.8, p=.0002). 연도별로는 실험연구는 1975-1980년은 한 편도 없었고, 1981-1985년 1편(10.0%), 1986-1990년 2편(8.3%), 1991-1995년 11편 (34.4%)으로 1990년 이후에 증가 추세를 보였다. 비실험연구는 1975-1980년 1편(100%), 1980-1985년 9편(90.0%), 1986-1990년 22%(91.7%) 이었으나, 1991-1995년 21편(65.6%)이었다. 대학원별로는 일반대학원에서 비실험연구 77편(77.1%), 실험연구 11편(22.9%), 보건대학원은 비실험연구 6편(75%), 교육대학원은 비실험연구 7편(87.5%), 실험연구는 1편(12.5%) 이었으며 행정대학원은 비실험연구만 2편(100.0%)이었다. 5. 우울개념을 연구한 학위논문의 자료수집 방법의 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사용하는 자료수집 방법은 사회심리측정도구로서 56편(86.2%)이었고, 자가보고 방법이 7편(10.8%), 생리적 측정방법과 병록에 의한 자료수집 방법이 각각 1편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이 점차로 다양해지고 또 한가지 방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두가지 이상 상호보완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논문이 많이 나타났다고 하는 것에 비추어볼 때 앞으로는 더욱 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리라 사려된다. 6. 우울과 관련된 학위논문에서 사용된 통계기법별 분포는 서술통계 사용이 3편(4.5%), 추론통계 사용이 64편(95.5%)이었고, 추론통계시 가장 많이 사용한 통계기법은 anova로 41편(64.1%)이며, 그 다음이 t-test 37편(57.8%), correlation 34편(53.1%),X - 검증 14편 (21.9%), regression 11편(17.2%), ancova 5편(7.8%), scheff's 2편(3.1%), Ficher's와 factor analysis가 각각 1편이었다. 이는 우울을 연구한 학위논문에서는 고급통계는 사용하지 않았음을 보여 주고 있다. 7. 우울과 관련된 학위논문에서 연구된 연구영역별 분포는 임상영역 연구가 55편(82.1%), 지역사회영역 연구가 12편(17.9%)이었으며 교육영역과, 행정영역에서의 연구는 한편도 없었다. 임상영역을 다시 성인영역. 모성영역, 아동영역, 정신영역, 정서심리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보면 정서심리적 영역이 26편(47.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성인영역 12편(21.8%), 모성영역 9편(16.4%), 정신영역 7편(12.7%), 아동영역 1편(1.8%)의 순이었다. 8. 우울과 관련된 학위논문에서 48편(71.6%)이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우을 측정도구별 분포를 살펴보면 우울개념 측정도구가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Zung의 우울척도를 사용했던 논문은 총 25편으로 전체의 52.1%를 차지하였다. A.T Beck의 우울 척도는 논문 16편(33.3%)에서 사용되었으며 Hamilton의 우울척도가 1편, SDS, NAACL 척도가 1편, 전시자의 우울척도가 2편, Rockliff버의 우울척도가 1편, 우울행동 측정도구가 1편, 이(1987)의 불안 우울 통합척도가 1편 그리고 측정도구가 사용되지 않은 논문이 19편(28.4%)이었다. 9. 우울과 관련된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모두 34편이었고 우울과 상관관계를 갖는 변인들은 24개이었다. 우울과 관련된 변인들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우울과 생리적 요인과와 관계에서는 통증, 지각증상, 약물남용이 순상관 관계를 보였고, 일상생활동작은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우울과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외적 통제위성격, 스트레스, 부담감, 고독감, 대처, 불확실성이 순상관 관계를 보였고, 신체상, 자아존중감, 삶의 질, 양육의 자신감, 자아개념, 인지기능이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외에도 아버지 과잉보호, 생활사건, 부정적인 상황이 우울과 순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지지, 자가간호능력, 긍정적인 상황, 어머니 돌봄은 우울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MS/MBA 복수학위과정의 해외 운영 현황 및 국내 도입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주성(Joo Sung Lee),조성우(Sung Woo Cho),강진아(Jin A Kang),양희동(Hee Dong Yang) 한국경영학회 2008 Korea Business Review Vol.12 No.1

        최근 국내에서 경영대학의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학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 고위직의 55% 이상이 이공계 출신이고 기업에서는 이들이 경영학적인 지식을 갖고 있길 원한다는 사회적 현상에 의해 이공계 학생들이 경영학을 배울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복수학위제도는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도의 하나이다. 복수학위를 취득하고자 하는 학생은 특정 분야를 전공하면서 동시에 MBA를 전공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서 미국의 경우 매우 많은 대학이 MS(Master of Science)/MBA 복수학위 과정을 비롯하여 MBA와 다른 학위와의 복수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아직 국내에는 MBA와 타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복수학위 과정이 정착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과/공과대학으로 대표될 수 있는 MS(Master of Science) 학위와 MBA 학위의 복수학위과정연계에 대해 현재 미국의 MS/MBA 현황 및 국내 도입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미국 대학에서 MS/MBA 복수학위 과정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입학과정, 교육기간, 학비, 교과과정, 학위수여요건의 사례를 몇 가지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추어 복수학위를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Recently, we are seeing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programs and degrees amongst potential students in Korea. More than 55% of high-level business executives in Korean companies are from engineering or science schools and companies want them to be trained in business skills. This social phenomenon increases the necessity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o learn more about business and for firms to demand business skills from engineering and science graduates. Dual degree program is one way for them to fulfill this purpose. Since students who want to acquire both degrees can save their time and money by participating in dual degree programs, many universities in the U.S. provide several dual degree programs including a dual degree combining MS (Master of Science) and MBA degrees. Currently no business school in Korea runs a MS/MBA dual degree program. This paper studies some cases of the MS/MBA programs in the U.S. and analyzes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in Korea. More specifically, we examine admission process, education period, tuition fees, course requirement, and degree requirement of MS/MBA programs in the U.S. and discuss possibility and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in Korean schools.

      • KCI등재후보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 연구

        김홍택(Kim, Hong Teak),우신구(Woo, Shin Ku),권진혁(Kwon, Jin Hyeok) 대한부동산학회 2014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간도관련 석ㆍ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범위로서 시간적 범위는 1955년부터 2014년 10월 현재까지로,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발표된 석ㆍ박사학위논문으로, 내용적 범위는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정량적 특성으로는 첫째, 시간에 비례하여 간도관련 학위논문 발표가 증가하고 둘째, 앞으로의 간도관련 학위논문 발표 추세는 교육계열과 사회계열에서 많은 학위논문이 발표될 것으로 예측되며 셋째, 간도연구를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진행할 특성화된 대학이 없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성적 특성으로는 첫째, 앞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간도지역에 대한 영유권관련 학위논문 발표와 간도지역 사회문제를 다룬 학위논문의 발표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둘째, 간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간도협약과 조ㆍ중 변계조약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간도지역 전역에 대한 통합적인 의미로서 통합성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Gando-related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Korea and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ndo-related theses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time frame is from 1955 to the present, October 2014 whereas the spatial scope is limited to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Korea and the scope of the contents is limited to suggesting the characteristics of Gando-related theses. Research method included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research, and technical analysis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Gando-related thesis include first, publication of Gando-related theses is increasing proportional to time; second, future trend of Gando-related thesis publication will be related to education and social realm; and third, it was easy to see that no college was specialized to conduct systematic, in-depth study on Gando. Qualitative characteristics include first, publication of Gando dominium related theses and theses on Gando region s social issues is expected to increase as time goes by; second, resolution of Gando dominium issue requires continuous in-depth study on Gando treaty and Chosun/China Border Treaty, as well as integration of the overall Gando region as a whole.

      • KCI등재

        고등단계 직업교육 강화를 위한 영미권 국가의 학위제도 개편 동향과 시사

        이정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0 No.2

        이 글은 우리나라와 같이 전통적으로 학교교육을 통한 직업교육의 기반이 미약 하고 단선형 학제를 갖는 영미권 국가인 미국, 캐나다, 영국을 대상으로, 고등단계 직업교육 부문의 학위제도 개편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학위제도의 주요 변화를 보면, 미국은 최근 일부 지역사회대학을 중심으로 학사학위를 수여하고 있으며, 캐나다는 지역사회대학 및 전문기술학교를 중심으로 응용학사 학위과정을 신설 운영하고 있다. 영국은 파운데이션 학위제토를 개발함으로써 대학, FE칼리지, 지역사회대학, 산업계 등의 컨소시엄을 기반으로 학위과정의 설계, 운영, 평가를 실시하며, FE 칼리지 중심으로 학위과정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종전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간의전통적인 역할 분담 및 경계가 약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미권 국가의 학위제도 개편은 고등단계 직업교육의 위상 강화, 학사학위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현장성이 강한 직업교육분야로 수용, 계속 직업교육기회 보장, 숙련기술인력 수요에의 대응 등을 목표로 추진되어 왔다. 외국의 학위제도 개편 사례는 법령 개정을 통해 전공심화과정의 학사학위제도화가 현실화되고 있는 우리의 상황에서 전공심화과정의 운영 방향은 물론 중장기적으로 고등단계 직업교육 부문의 학위제도 개편 방향 설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gree system reform trends of tertiary education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US, Canada and England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tertiary education syst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trends of community colleges that have recently obtained specific authority to award baccalaureate degrees in US, the development of new four-year applied degree program in colleges and technical institutes in Canada, and of two-year foundation degree as employer-focused higher education qualifications in England were reviewed as good samples which have changed the non-university system to meet more competitive economic environment. The purposes of their reforms were to raise the standard of vocational education in tertiary education sector, to react to changing needs for skilled workers, to widen the opportunities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o integrate academic studies and work-based learning by providing bachelor degree in technical and applicable academic area. Korean government needs to reexamine fundamentally the reform direc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degree system in tertiary education including advanced degree course will be providing bachelor's degree in vocational colleges.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학위인정 제도 비교 분석

        이다인,고장완 한국비교교육학회 2022 比較敎育硏究 Vol.32 No.1

        Purpose: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ademic degree recognition systems (ADRS) of Korea and China and present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ADRS in Korea.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in terms of the background, key organizations, and criteria and procedure of the ADRS in Korea and China. Results: A comparison of the ADRS between Korea and China is as follows. First, both countries introduced an ADRS to deal with issues such as service balance deficit and brain drain, and to facilitate the mobility of students, scholars, and workers. Second, individual institutions recognize foreign degrees, and KCUE and NRF support their decision in Korea, while CSCSE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evaluated and recognized foreign degrees in China. Third, unlike Korea, which has no solid legal basis, China specified procedure and standards for academic degree recognition and methods of disclosure through legal acts. Conclusion: China's ADRS suggested that Korea also need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national ADRS, and for this, legal grounds for ADRS should have been prepar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학위인정 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의 학위인정 제도 개선에 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과 중국의 학위인정 제도와 관련한 정부 자료와 각종 보고서 및 학술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양국의 학위인정 제도를 학위인정 제도 도입 배경, 학위인정 주체, 학위인정 기준 및 절차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과 중국 모두 유학수지 불균형과 인재 유출 문제에 대응하고 학생, 학자, 노동자의 이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학위인정 제도를 도입하였다. 둘째, 한국은 대학, 기업 등 개별기관이 학위인정 여부를 결정하고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한국연구재단이 학위인정을 지원하나, 중국은 중국교육부유학서비스센터가 외국 학위를 평가·인정하고 중국고등교육기관학생정보망과 중국학위및대학원생교육정보망이 자국 학위에 대한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셋째, 한국은 학위인정 관련 법적 근거가 미비하나, 중국은 교육부 법령을 통해 학위인정 절차와 기준과 위조행위 처벌 및 공시 방법을 명시하였다. [결론] 양국의 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중국의 학위인정 제도는 한국 학위인정 제도 개선에 학위인정 주체, 학위인정 기준 및 절차, 학위 관련 부정행위 처벌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과 정부의 외국 학위평가 권한 및 개별기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러시아 고등교육학위 상호인정협정논의에 있어서의 쟁점 분석

        유성상(Yoo Sung Sang),공병규(Gong Byoung Gy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3

        이 연구에서는 2012년과 2013년도 사이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추진되었던 고등교육학위 상호인정협정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쟁점을 탐색하고, 국가 간 고등교육 상호학위인정협정을 체결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할 사항에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내용이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국제적으로 고등교육분야 학생 이동성이 증가하면서 국가 간에 양자 혹은 다자 협정을 통해서 학위의 호환성을 증진시키거나, 해외 부실 학위 유입을 막기 위해 학위 문건의 검증 체계를 표준화하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간 교육과 자격 체계가 상이하여 서로 합의점을 찾고 협정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러한 학위인정협정은 각 국가의 고등교육국제화 전략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체결 여부를 두고 국내ㆍ외로 첨예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현재의 볼로냐 프로세스가 출현하기까지 내ㆍ외부적인 논쟁을 통해 실효성 있는 협정을 위한 신뢰 기반을 다져왔으며, 국제적으로는 아포스티유 제도를 통해서 부실 학위에 대응하기 위한 학위 문건 검증 체계를 유지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국제적인 움직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러 상호학위인정협정은 한국에게 국제 학생 이동성, 국가 간 학제 호환성, 대학의 국제적인 인증, 국가 고등교육 관리 체계 그리고 비교교육 정보 시스템의 구축이라는 이슈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는 기회를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가 수준에서 어떠한 정책적 방향을 가지고 고등교육국제화 전략에 접근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일정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general issues of mutual academic recognition, by examining a case of Korea-Russia Mutual Academic Degree Recognition Agreement. As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increases, there are growing interests in increasing compatibility among different national degree systems. Also, there is an international movement to standardize an authentication process of foreign degrees in an attempt to protect domestic degree systems from foreign diploma mills. However, these attempts to establish internationally harmonized mutual academic recognition system face a number of challenges as there are significant disparities in different education systems. In addition, this movemen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national strategy on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us accompanied with many controversial issues. In an effort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European countries established a firm bases of trust in mutual academic recognition through continuous policy dialogues and discussions for the last half a century, and international community developed Apostille system to standardize a foreign degree authentication process. Despite such an international trend, admittedly, Korea has been isolated from these movements to promote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by solving problems in academic recognition and degree authentication processes. In this respect, a case of Korea-Russia Mutual Academic Degree Recognition Agreement provides some implications to Korea on the issues of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compatibility with foreign education systems, international accreditation of universities, national higher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information database. Also, the case indicate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have more systemized approach toward its strategy of internationalizing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학위논문 연구의 과제

        이지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Task of Researching Korean Language Degree Papersfor Foreign Graduate StudentsJeeyou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egree thesis research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tasks of degree thesis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degree thesis reviews by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53 research papers and 20 foreign graduate student degree papers were analyzed from 2006 to 2021. Degree thesis research has a high proportion of research by comparing degree paper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genr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sis structure were revealed, and the typical academic expression was analyzed, and the proportion of research in introduction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mpon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hesis review, the termination expression, hedges, and discourse marker did not appear in various ways, and the same type of expression was repeatedly used or inappropriate for the thesis.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research on each component of a thesis is needed, and it was suggested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s should diagnose problems through language expression research used in th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and seek ways to educate them to write a thesis. Key Words: Foreign Graduate Students, Korean for Academic Purpose, Dissertation, Genre Analysis, Academic Expression Analysis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학위논문 연구의 과제이 지 영** 요약: 이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위논문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한국어 교육 전공 유학생의 학위논문 심사본 분석을 통해 학위논문 쓰기 교육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1년까지 연구 논문 53편과 외국인 대학원생 학위논문 심사본 20편을 분석하였다. 학위논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전공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을 비교하는 방식의 연구 비중이 높은 편이다. 장르 분석을 통해 논문 구조의 특징을 밝히고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학술 표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서론과 선행연구 분석의 연구 비중이 다른 구성 요소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학위논문 심사본 분석 결과 종결 표현, 완화 표지, 담화 표지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고 같은 유형의 표현이 반복해서 사용되거나 학위논문에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 나타났다. 향후 연구 과제로 학위논문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외국인 대학원생이 학위논문 작성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표현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학위논문 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외국인 대학원생,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학위논문, 장르 분석, 학술 표현 분석 □ 접수일: 2022년 2월 7일, 수정일: 2022년 2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본 연구는 2020학년도 상명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였음. **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Professor, Sangmyung Univ., Email: jeey705@sm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