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 대상 "학술적 글쓰기"의 장르적 의미와 성격

        이윤빈 ( Yun B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4

        이 글은 대학 신입생 대상 <글쓰기> 강좌에서 교육해야 할 ‘학술적글쓰기’의 의미와 성격을 검토하고 규정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먼저, 학술적 글쓰기 교육과 관련해 70년대 이후 미국에서 전개되어 온 이론적 쟁점과 논의 변화의 양상을 살폈다.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 1) ‘학술적 담화 공동체’ 및 공동체의 언어로서 ‘학술적 담화’ 개념이 부각되고, 신입생 필자가 이 언어를 습득해야 할 당위성이 주장됨(70년대 중후반~80년대 중반), 2) 단일하고 고정된 ‘학술적 담화 공동체’ 및 ‘학술적 담화’ 개념이 부정되고, 존재하는 것은 ‘학술적 담화 공동체들’과 ‘학술적 담화들’ 뿐임이 강조됨(80년대 중후반~90년대 초반), 3) 단일하고 고정된 공동체 및 담화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정한 상태에서 신입생 글쓰기 교육의 내용을 다각도로 모색함(90년대 초중반~현재). 각시기 논의는 신입생 대상 학술적 글쓰기 교육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끌었다. 이상의 논의를 참조하여, 이 글에서는 신입생 학술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구심적 장르(centripetal genre)’를 설정할 필요성을 밝히고 그 의미와 성격을 규정했다. 이는 상황 맥락에 따라 다양한 장르로 분화되는 학술적 글쓰기‘들’이 공유하는 공통적 문식성을 교육하기 위한 방법적 설정이다. ‘구심적 장르’로는 복수(複數) 자료 읽기-쓰기 형식의 학술적 에세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했다. 판단의 근거로는 이 에세이가 1) 다양한 학술적 글쓰기가 보편적으로 요구하는 문식성을 필자가 습득할 수 있게 하는 가장압축적 형식의 장르라는 점, 2) 중등교육에서 사용하는 장르들과 일정한 유사성과 차이를 지님으로써 필자가 이미 갖추고 있는 문식성을 토대로 새로운 문식성을 함양할 수 있는 계기를 부여한다는 점, 3) 신입생 대상 <글쓰기> 강좌의 현실적인 교육 상황에 적합하다는 점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to defin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riting genre for college freshmen.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oretical issues and discussions about freshmen academic writing which have developed in U.S. since the 1970s. Periods can be divided as following. 1) Period that the concepts of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the academic discourse`` are highlighted and necessity of educating freshmen academic discourse is emphasized(mid-to late 70s~mid 80s). 2) Period that the single and fixed concepts of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the`` academic discourse are criticized and asserted that there only exists academic discourse``s`` and academic discourse``s``(mid-to late 80s~early 90s). 3) On the premise that there only exists academic discourse``s`` and academic discourse``s``, the new contents of freshmen academic writing education are searched for(mid 90s~the present). Refer to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necessity of setting a ``centripetal genre`` for educating freshmen writer and defin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it. As the centripetal genre, this paper proposed multiple sources reading-writing academic essay.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에서의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효과와 의미

        이승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4 리터러시 연구 Vol.- No.8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implications of academic essay writing in writing courses at college. In addition, writing of academic essays i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genre to enable college freshmen to recover their interests in writing and to experience the power of writing. There is no reason to emphasize only logical wiring as academic writing in terms of college writing program, which is one of liberal arts and humanistic education. Academic essay is able to provide cherishable experiences to students in that it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freely and to secure logic required by academic writing. This study is based on experiences of actual classes. Likewise, as for the perception of academic essay, students raised questions first and then listened to the explanations on what difference it has from the logical writing- which was the way to approach the conceptual scope of academic essay. In case of academic essay, "I" (which is excluded form logical writing) can be freely exposed, working as the significant element of academic essay. As a matter of fact, academic essay writing has the conditions which help students overcome 'alienation'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in writing classes, in that the usage of "I" (which is ignored by logical writing) can be considerably meaningful. In other words, the genre properties of academic essay is to show "I" freely, different from logical wiring, which implies irreplaceable methodological conditions required to realize originality and also provides positive experiences because students can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feelings, and emotions can be important materials for writing in the boundary of universality which the writing (a genre) has. It's also true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ir personality and creativity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writing genre to unveil their originality. Meanwhile, when it comes to the actual teaching on how to write academic essay, a teacher essentially needs to take precautions against the exposure to excessive subjectivity to pay attention to academic factors which make a writing public implication.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에서의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효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대학 신입생들이 글쓰기에 흥미를 되찾고 글이 갖고 있는 힘을 경험케 하는 글의 장르로서 학술적 에세이 쓰기를 제안한 글이기도 하다. 인문교양교육의 하나인 대학 글쓰기에서 논증적 글쓰기만이 학술적 글쓰기로서 강조될 필요는 없다. 정서와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면서도 학술적 글쓰기로서의 논리성 역시 담보할 수 있는 글의 장르인 학술적 에세이가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논의는 실제 수업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학술적 에세이의 개념에 관해서도 학생들의 질문에 입각하여 논리적 글쓰기와의 차별성을 설명하는 것에서부터 개념의 범주에 접근하였다. 학술적 에세이에서는 논증적(논리적) 글쓰기에서 배제되었던 <나>를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논증적 글쓰기에서 배제되었던 <나>의 활용이 글쓰기 과정에서 유의미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에세이는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소외를 넘어설 수 있는 조건을 갖고 있기도 하다. 요컨대 학술적 에세이의 장르적 조건은 논증적 글쓰기와 다르게 <나>의 드러냄의 자유로움에 있는 것으로 이것은 <독창성>을 이끌 수 있는 대체불가능성의 방법적 조건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글이라는 장르가 갖고 있는 보편성의 장 안에서 자신의 경험과, 감정, 정서 등이 글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 경험의 장을 제공한다. 독창성이 드러날 수 있는 글의 장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개성과 창의성 역시 계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실제 지도법에서 과도한 주관성에 대한 노출의 경계 및 공공적 의미를 갖게 하는 학술적 요소에 대해서는 교수자의 성실한 점검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규정 및 대학생의 인식 양상

        이윤빈 ( Lee Yun-bin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31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황을 단계적으로 점검했다. 이를 위해 ⑴ 대학 글쓰기 관련 이론과 교재에서 `학술적 글쓰기`가 규정되는 양상을 고찰하고, ⑵ 대학 글쓰기 강좌를 이수한 필자가 `학술적 글쓰기`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론 영역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의 다양성을 전제한 상태에서 `공통성`의 내용을 규정하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으나, 그 사례는 충분하지 않았다. 둘째, 교재 영역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의 정의가 부재하거나 유형 분류의 기준이 모호한 가운데, 일부 대학에서 `독창성`과 `논증`을 그 핵심 요건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대학 글쓰기 강좌를 이수한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인식을 자주 노출했다. 이들은 특히 자신을 학술적 글을 작성하는 저자성(authorship)을 가진 주체로 설정하지 못함으로써 추가적인 혼란을 양산하기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향후 `학술적 글쓰기` 개념을 보다 명확히 규정하기 위해서는 ⑴ 학술적 글쓰기의 다양성을 전제하되 이를 쓰기 주체, 쓰기 영역(담화 공동체), 쓰기 유형(장르)의 세 측면에서 논의해야 하며, ⑵ 학술적 글쓰기의 `공통성`에 대한 규정은 이를 규정하는 특정한 대학 글쓰기 교육 단위의 교육 목적 및 그것이 적용되는 `다양성`의 범위를 확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했다.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status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irst, I examined the aspect of `academic writing` in the theories and textbooks related to university writing. Second, I checked how college students have a sense of `academic writ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theoretical domain, there was an attempt to define the content of `commonality` under the presupposition of diversity of academic writing, but the case was not enough. Second, in the textbook area, the definition of academic writing was absent or the criteria of classification were ambiguous. Some universities emphasized `originality` and `argument` as core requirements. Third, colleg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college writing courses frequently exposed confusing perceptions of the academic writing concep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defined more clearly in the future. First, the diversity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discussed in three aspects: writing subject, writing area, and writing genre. Second, regulations on commonality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made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scope of diversity established.

      • KCI등재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본 학술적 글쓰기의 효율적 교육 방안 연구

        임보연(Lim, Boyoun),권기성(Kwon, Kisung)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4 No.-

        ‘학술적 글쓰기’는 대학 글쓰기의 주요한 위치로 자리매김하며,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그러나 ‘논문쓰기’라는 학술적 글쓰기의 본령이 강의의 실제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고는 경희대학교 학술적 글쓰기인 〈글쓰기2〉강좌를 대상으로, 새로운 이론의 접목과 같은 거창한 방안이 아니라 학습자의 입장에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점 방안은 5단락 글쓰기의 연습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기초체력을 기르는 한편, 반개방적 테마를 제시하여 조별아이디어를 협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학술적 글쓰기의 초반 단계에서 겪게 될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불어,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소통을 통해 자신의 문제의식을 예각화하여 궁극적으로는 각자 하나의 논문을 완성하게 하고, 논문을 써나가는 과정 속에서는 다시 함께 협업할 수 있도록 지도했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매주 조별 단위로 실질적인 합평을 진행하며 개별적 피드백을 온전히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제시한 수업 모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역시 만족스러운 편이었으며, 논문에 대한 접근성 또한 개인적으로 접근할 때에 비해 상당부분 향상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와 같은 ‘소통’과 ‘협업’에 중점을 둔 개별 논문 작성이라는 ‘학술적 글쓰기’의 수업 모형을 더욱 정치하게 발전시켜 나갈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본 논의의 수업모형이 논문이라는 테두리를 벗어나 ‘학술적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교수자-학습자 사이에 실질적인 효용성을 갖출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Academic writing has become the standard for writing at universities. However, the pinnacle of academic writing, “writing a thesis,” is accompanied by various difficulties in the actual practice of lecture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esent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academic writing 〈Writing 2〉 at Kyunghee University, one that emphasizes class participation and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method aims to develop basic skills in academic writing through the practice of writing five-paragraph essays and allowing students to collaborate on group ideas by presenting semiopen themes for essay topics. This allows learners to minimize the confusion they will encounter in the early stages of academic writing. In addition, through communication about common interests, the learners become aware of their writing problems, complete a single paper, and learn to collaborate during th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By using this methodology, the instructor is able to evaluatie each student’s writing on a weekly basis and provide individual feedback.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presented teaching model were satisfactory, and access to the thes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when they were accessed individual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develop the teaching model of academic writing to focus 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addition, I hope that the teaching model discussed in this paper will move beyond its use for thesis writing and have practical utility for teachers and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writing.

      • KCI등재

        '대학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한 모델’의 기초다지기 - 학습자 중심의 ‘짧은 논증의 글’ 작성하기

        최준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del to improve the efficiency academic writing courses in university writing classes. For thi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academic writing courses were reviewed. The definition of academic writing is not easy, and it is difficult to learn and teach writing. To solve this problem, a learner-oriented writing model based on the proven useful framework of argumentative writing (the so-called O.R.E.O. Frame) was needed. Additionally, some guidelines were suggested to maximize learning effectiveness: (1) Subjects of writing should be freely selected based on learners’ own interests. (2) The professor’s comments should be minimal. (3) The evaluation of the writing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more preferable or less”, not the dichotomous standard of “right/wrong.” (4) The references should not be limited to strict academic literature. The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learning model of the minimiz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not all problems related to learning efficient academic writing can be solved through the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If the suggested model can be used in the case where academic writing learning is needed in very poor class conditions,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sufficiently significant. 논문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수업의 학술적 글쓰기 학습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글쓰기 맵을 고안해서,궁극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효율적 모델을 제시하는 데기여하는 것이다.이와 관련하여 학술적 글쓰기의 현황과 방향성이 검토되었다.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정의가 쉽지 않고 학술적 글쓰기를 익히고 가르치기가 어려워서 정체성이 불분명한 수업이 행해지거나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되지 못한 상태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논문쓰기에 기초한 학습자 중심의 효율적인 학습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 그 핵심이다. 필자는 학습자 중심의 관점에 서서,그 효과가 검증된 글쓰기 틀(오.레.오.틀)을 변형한 맵에 따라 ‘짧은 논증의 글’을 작성하는 학습이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매우 유용한 글쓰기 모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아울러 학습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다음과 같은 교수자 지침들을 제시했다.① 주제 선정을 학습자가 자신의 관심 등에 기초해서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② 교수자의 코멘트는 최소화해서,그것도 형식적인 것에 국한해서 하는 것이 필요하다.③ 학습자의 글에 대한 코멘트는‘맞다/틀리다’의 이분법적 기준이 아니라,‘더 나은 글을 쓰기 위한 디딤돌로 활용하라’라는 원칙에 따라서 이루어져야 한다.④ 참고자료를 엄격한 학술적인 자료에 제한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 필자가 제시한 글쓰기 모델은 ‘최소화 전략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그리고 효율적인 학술적 글쓰기 학습과 관련된 문제가 여기서 제시된 모델을 통해서 다 해결될수는 없다.수업 여건이 매우 열악한 속에서 학술적 글쓰기 학습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그 모델이 활용될 수 있다면,논문의 의의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분석

        정다운(Chung, Da-woon)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60 No.-

        본고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과 교수진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외국인 대학원생 중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이 많이 있었으나 대학원에서는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 기회를 거의 제공하지 않고 있었으며, ‘학술적 글쓰기’와 관련된 수업도 많이 없었다. 그러나 학생과 교수진은 모두 대학원에서 한국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어 수업과 학술적 글쓰기 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논문이나 보고서를 쓸 때 어려운 부분과 배워야 하는 내용에 대해서도 거의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연구와 글쓰기 윤리’에 대해 교수진은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학생들은 별로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대학원생의 한국어 능력 신장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어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관련해서는 학술적 글쓰기 수업은 학과별로 그 중요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대학원 기초 공통의 한 과목과 학과별로 전공에 맞게 심화된 글쓰기 수업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외국인 대학원생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글쓰기 센터 및 글쓰기 전문가, 한국어 교육 기관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 학과와 전공 교수진의 협력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directions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needs of foreign students and professors in academic writing education were assessed. Despite the low level of Korean language skills among foreign graduate students, graduate schools are not providing adequ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ery few “academic writing” classes are offered. However,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ir professors were cognizant of the need for more Korean language and Korean academic writing classes. In addition,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were in unison on their thoughts regarding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 dissertation, and agreed on the need to improve on certain areas. However, while professors prioritized “research and ethics of writing,” the students did no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ive light to the importance of prioritizing interest in cultivating Korean language skills, as well as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academic writing classes 1) as a general prerequisite and 2) customized for the various respective majors available in graduate schools was reaffirmed. It was also concluded that academic writing education will only be effective and efficient when writing experts, writing centers,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major departments, and professors systematically cooperate.

      • KCI등재

        개별논문 : 학술적 글쓰기에 있어서 “분석적/비판적” 글쓰기의 중요성과 실습 매뉴얼 -두 유형의 글쓰기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원만희 ( Man Hee Won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5

        이 글은 특정한 학술적 글쓰기 유형들과 우리의 사고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이를 어떻게 글쓰기 교육에 반영해야 할지를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글쓰기라는 의사소통행위가 인간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매체이론이 깔려 있었다. 문자적 의사소통과 사고는 서로 뗄래야 뗄 수 없는 상관 관계를 이루는 두 항목이다. 이 항목들은 바람직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반영해야 할 필수 요소들이다. 필자가 강조한 것도 바로 이 점이다. 의사소통으로서의 글쓰기 교육은 사고 교육이며, 동시에 언어 교육이다. 글쓰기 교육은 이 중 어느 한 측면도 배제되어선 안되는 복합적 능력의 함양을 추구해야 한다. 핵심적인 학문적 소양으로서 분석적 사고, 평가적(논리적) 사고는 그 자체로 생겨나거나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를 통해 더욱 함양되어야 할 요소들이며, 또 그 결과로서 보다 수준 높은 학문적 글쓰기가 산출될 수 있다. 분석적/비판적 글쓰기가 학술적 글쓰기의 전부가 아님은 너무도 분명하다. 그것들은 오히려 적극적인 의미에서의 학술적 글쓰기의 예비 단계로 여겨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단계는 학술적 담론의 창출로 나아가지 위한 필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학술적 담론의 핵심을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능력은 새로운 학술적 담론의 창출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이러한 준비 과정 없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학술적 담론의 생산을 기대하기란어려울 것이다. 유의미한 새로운 담론의 창출 가능성도 그러려니와 그러한창출의 기반이 되는 사고력도 그 준비 과정을 거칠 때야 비로소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들어낼 수 있을 수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분석적/비판적 글쓰기의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particular types of academic writing interact with our thinking elements and to suggest how one can apply it to general writing education. It is a theory of media that underlies this line of thought, which involves that writing as an act of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thinking ability. Literal communication is inseparably relate to thinking ability. Thus, both of them, what is stressed here, are essential elements required for a desirable academic writing. This is why educating writing as an act of communication amounts to not only a field of thinking education and but also one of language education. Writing education should lead students to accommodate their complex and integrative abilities so as to preclude them from overlook either of them. Analytic and evaluative(logical) thinking as basic academic virtues does not arise sui generis, but are cultivated and enhanced by writing practice, resulting in producing a high standard of academic writing. Analytic/critical writing is not all consisting in academic writing. This might be taken as a preliminary level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However, this should be considered as essential in order to advance to the academic discourses with respect to having a different way of thinking. For a new academic discourse, it is presupposed that one grasps the gist of established discurse(or text) and criticizes it. Without this kind of preparation process, it is not expected to attain any genuine academic discourse. Besides, one could not come up to the level of yielding anything innovative until one hold in a position to do through preliminary process. This is where a significance of analytic/critical writing is found.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의미

        최수현(Choi Sue-Hyu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4

        이 글은 예술계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술적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예술계열 학습자의 특성과 학술적 글쓰기 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예술계열 학습자는 다른 계열 학습자에 비해 전공영역에 대한 지식을 많이 축적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와 함께 예술계열 학습자는 학술적 글쓰기에 대해 낯설어하는 모습을 보인다. 때문에 교수자는 학술적 글쓰기가 예술계열 학습자가 전공영역에서 하는 작업과 큰 틀에서 유사하다는 점을 주지시키고, 관련 내용의 지문이나 사례를 활용함으로써 수강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자가 글쓰기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학술적 글쓰기의 수업 과정에서 예술계열 학습자가 주로 보이는 오류는 다음과 같다. ‘소논문 쓰기’ 수행 과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개인적인 경험에 의존한 연구대상 선정과 연구방법 마련의 어려움이다. 전공영역이 대중문화와 친연성을 띤 예술계열 학습자의 경우 다른 계열 학습자에 비해 사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대상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교수자는 학습자가 연구대상을 거리를 가지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유도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문제의식을 지니고 소논문의 주제를 선정하고도 연구 방법을 찾는 것을 어려워 해 문제의식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해내지 못하는 경우가 발견되는데,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자의 전공분야 지식을 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는 것을 통해 학습자의 생각을 구조화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소논문 쓰기’의 단계별 과정으로 학습자의 소논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찾아 이를 읽고 논문평을 쓰는 ‘서평 쓰기’를 할 때, 예술계열 학습자에게 주로 나타나는 문제점은 대상이 되는 논문을 찾는 것을 어려워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교수자는 서평을 쓰기 위한 적절한 선행연구를 찾기 위해 연구대상, 연구방법론, 연구주제의 다양한 측면을 키워드로 설정해 대상 논문을 찾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계열의 특성을 고려해 학술적 글쓰기 지도 방안을 고민하는 것은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한 축을 이루고 있는 학습자를 고려하는 것이기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사고력과 표현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수업에서도 계열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제도가 마련된다면 보다 효과적인 예술계열 학습자의 글쓰기 지도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Methods and Significance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with the Focus on the Course for the Students in the Arts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for the students in the ar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their issues during the course of academic writing, and to suggest an instructional direction. The students in the art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other subjects of study by their sufficiency of knowledge in their fiel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are very challenged in academic writing. Therefore the instructor needs to emphasize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work and academic writing, and to employ relevant reference and examples so as to evoke the motivation and positive perception towards academic writing. The major issue that the students in the arts encounter during the course of academic writing is to select the subject on the basis of personal experience and to have difficulty in finding an appropriate methodology while writing an essay. Students in the arts tend to find their subject in personal level. The instructor should lead them to keep the distance from their subject and to analyze it with an objective perspective. If it is challenging to find a right methodology and hence to explain the main question in a logical sense, the instructor may guide them to conjure up their thoughts by applying the knowledge of their major to the methodology. When required to write a review on the previous study related to their essays, the students often find it difficult to select appropriate articles. In this case, the instructor can suggest a variety of key words in subject, study methods, and topic in order to show them the direction. In the writing education, the discussion on the proper instruction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departmen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it provides better consideration on the students who takes an important part of the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소논문 쓰기, 종합적 사고력 그리고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

        최준호(Choi, Jun H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8 No.-

        본고의 목적은 대학 학술적 글쓰기 학습은 소논문작성하기를 중심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으며, 국내의 글쓰기 수업의 여건을 고려할 때 ‘미완의 소논문 완성하기’가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유용한 방안일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에 따라 연구가 진행됐다. 첫째, 학술적 글쓰기의 정의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중심에 놓여야 하는 글쓰기가 어떤 것인지를 논구했다. 둘째, 학술적 글쓰기에서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관련 자료에 압도되지 않고 자신의 새로운 주장을 자신 있게 펼치는 것이라는 점을 직시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탐구했다. 셋째, 열악한 여건 속에서 의미 있는 학술적 글쓰기 학습을 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 방안이 무엇이며, 그에 입각한 학습의 실효성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적 글쓰기 학습은 소논문작성하기를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그럴 경우 학습자의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소논문작성하기 학습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종합적 사고력이며, 이는 칸트의 반성적 판단력과 유비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사고력이다. 셋째, 열악한 학습 여건을 고려할 때, 미완의 소논문작성하기는 대학 학술적 글쓰기 학습의 유의미한 한 방안이다. 넷째, 미완의 소논문작성하기 학습을 통해서, 학습자는 문제 상황에서 다양한 의견들을 자신이 세운 통합적 틀 내에서 적절하게 위치시키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세상의 다른 사람들과 합리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자료를 활용한 글쓰기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the academic writing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should be centered on writing a research essay and the complete writing of an unfinished research essay could be a useful method of the courses in poor learning condi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our inquiries have been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methods : First of all, looking at the definition of academic writing, we sought to find out what kind of writing should be at the center of academic writing courses. Secondly, looking straight at the fact that the most difficulty for learners in academic writing courses is not to argue their own new ideas confidently, we sought to solve this problem. Finally, we searched for a concrete solution to conduct the meaningful academic writing courses in poor learning conditions. Depending on the above procedures and methods, the results of our inquires are as follows: ① Academic writing courses should be focused on complete writing an unfinished research essay, which allows learners to learn how to write the so-called academic writing. ② The most important for learners to fulfill complete writing the unfinished research essay is the synthetic thinking, which is the analogic thinking of Kant’s reflective judgment and accordingly human being’s natural one. ③ In light of poor learning conditions, complete writing an unfinished research essay is a significant method of learning an academic writing. ④ In addition, doing complete writing an unfinished research essay, learners learn how to rationally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n the world, how to improve their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by positioning them appropriately within the integrated framework, and how to skillfully do any writing with utilizing some related materials.

      • 학술적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성균관대 <학술적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박정하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2 사고와표현 Vol.5 No.2

        I will suggest the contents and system of the academic writingwith a focus on the case of <Academic Writing> in SKKU.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should cover those ofargumentative writing, critical thinking and other competencies, andimply the general education. To realize this principle, <AcademicWriting> in SKKU presents the step-up writing program consisting ofsummary, comment and essay, corresponding to the critico-creativethinking which consists of analytical understanding, critical evaluationand creative application. To make the academic writing better, these are needed ; 1) theconsideration of the various educational demands from students, 2)the rational reconstruction of the academic writing courses, 3) thedevelopment of the new advanced courses with infusion lesson model,4) the establishment of the writing center. And fundamentally thewriting education in high school should be normalized. 성균관대 <학술적 글쓰기> 과목에 대한 사례를 연구를 통해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내용과 시스템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우선 학술적글쓰기 교육은 논증적 글쓰기 교육이면서 동시에 사고 교육이고, 나아가 능력교육, 총합 일반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기본 전제이다. 이런 전제에 기초하여성균관대 <학술적 글쓰기>는 사고 차원에서는 분석적 이해, 비판적 평가, 창의적적용의 3단계로, 글쓰기 차원에서는 이에 대응하여 요약, 논평, 학술에세이의 3단계로 진행된다.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더 발전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대학의 다양한 교육수요를 고려하면서 글쓰기 강좌를 합리적으로 재편하고 접목접근 방식의 심화 강좌를 개발하며 의사소통교육센터를 통한 측면 지원을 강화하는쪽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중등교육의 글쓰기 교육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