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향과 방법에 관한 시론

        원만희(Won, Man hee)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 교양교육연구 Vol.3 No.1

        사회인지주의 작문이론에 기초할 경우, 수준 높은 학문적 의사소통 능력은 특정한 학문분야 혹은 담화 공동체에서의 구성원들의 요구와 기대, 가치, 규약에 걸맞는 사유 방식 및 언어 사용 방식을 내면화하는 데서 비롯된다. 그리고 인지주의 작문이론을 따를 경우, 대학이 추구하는 심화된 전공 지식의 습득은 학습 방법으로서의 글쓰기의 도입을 통해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두 가지 사항를 감안한다면, 바람직한 학문적 목적의 글쓰기 교육은 “특정한 학문 분야의 탐구 과정 전반을 글쓰기를 통해 구현하는 방식이 최선이다. 이것이 바로 ‘전공 학습과 글쓰기를 통합하는’ 형태, 즉 ‘범교과 글쓰기(WAC)’이다. 필자는 WAC을 대학이 추구하는 학문적 전문성과 고도의 의사소통 능력을 동시에 배양시켜 교육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와 일치하는 글쓰기 교육 방법론이자 대학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교육 정책적 ‘도전’으로 이해한다.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WAC) is a pedagogical program that seek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by developing student′ language,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by actively engaging student in mastering course content. WAC program is comprised of three main components: writing intensive courses (WI), faculty professional development(to teach writing), WAC staffs (to help faculties to teach writing well) To understand WAC deeply, we must look at two sides of writing. First, writing can help students to learn better. When we ask our students to write, we are encouraging them to engage actively with the subject matter in our disciplines: to see patterns, connect ideas, make meanings - in other words, to learn. The second reason for emphasizing writing is the obvious one: practising writing results in improved student writing. If writing is to become a natural and effective skill for them, they must be offered practice and instruction in a great variety of academic settings.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와 미래 리터러시의 향방 - 인공지능 시대와 리터러시 선언문 -

        원만희 ( Won Man-hee ),김종규 ( Kim Jong-gyu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2

        본 논문에서 필자는 AI 글쓰기의 실용화가 눈앞에 다가온 시점에서 AI 글쓰기에 대한 윤리적 결단의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AI 기술은 인간을 닮아가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는 AI 글쓰기 역시 이 흐름의 일환이다. 이 흐름 속에서 AI 기술은 인간이 수행해 온 고유의 활동, 특히 정신적 활동까지도 대체 가능한 수준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능성들은 인간 존재로서의 고유한 삶을 위협할 수 있으며, 이에 기술과 인간의 올바른 관계가 정립되어야 한다. 리터러시는 인간의 실존적 조건이라는 점에서 그와 같은 관계 설정과 이를 위한 윤리적 결단이 적극적으로 요청된다. 이와 같은 논의를 위하여 본 논문은 현대 AI의 기술적 흐름 분석과 더불어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규정해 온 윤리선언들의 취지 및 AI윤리 헌장들을 분석하여 미래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결단으로서 ‘리터러시와 인권에 관한 교육선언’의 필요성을 정당화한다. This paper tries to claim the necessity of an ethical decision on AI writing, ahead of AI writing actualization. Nowadays, AI technology is developing toward resembling human beings, and AI writing is on that path. Many people anticipate that AI technology could develop up to the point of substituting human action, especially spiritual activity. In doing so, our own life as human beings could be endangered. So, we should establish a tru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modern technology. And an ethical decision on the establishment is being urged at the same time. For this discussion, this paper tries to justify the "Educational Declaration on the Human Literacy and Human Rights" through the analyses of the flow of AI technology and the ethical declarations that have pr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echnology.

      • KCI등재

        개별논문 : 학술적 글쓰기에 있어서 “분석적/비판적” 글쓰기의 중요성과 실습 매뉴얼 -두 유형의 글쓰기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원만희 ( Man Hee Won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5

        이 글은 특정한 학술적 글쓰기 유형들과 우리의 사고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이를 어떻게 글쓰기 교육에 반영해야 할지를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글쓰기라는 의사소통행위가 인간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매체이론이 깔려 있었다. 문자적 의사소통과 사고는 서로 뗄래야 뗄 수 없는 상관 관계를 이루는 두 항목이다. 이 항목들은 바람직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반영해야 할 필수 요소들이다. 필자가 강조한 것도 바로 이 점이다. 의사소통으로서의 글쓰기 교육은 사고 교육이며, 동시에 언어 교육이다. 글쓰기 교육은 이 중 어느 한 측면도 배제되어선 안되는 복합적 능력의 함양을 추구해야 한다. 핵심적인 학문적 소양으로서 분석적 사고, 평가적(논리적) 사고는 그 자체로 생겨나거나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를 통해 더욱 함양되어야 할 요소들이며, 또 그 결과로서 보다 수준 높은 학문적 글쓰기가 산출될 수 있다. 분석적/비판적 글쓰기가 학술적 글쓰기의 전부가 아님은 너무도 분명하다. 그것들은 오히려 적극적인 의미에서의 학술적 글쓰기의 예비 단계로 여겨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단계는 학술적 담론의 창출로 나아가지 위한 필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학술적 담론의 핵심을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능력은 새로운 학술적 담론의 창출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이러한 준비 과정 없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학술적 담론의 생산을 기대하기란어려울 것이다. 유의미한 새로운 담론의 창출 가능성도 그러려니와 그러한창출의 기반이 되는 사고력도 그 준비 과정을 거칠 때야 비로소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들어낼 수 있을 수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분석적/비판적 글쓰기의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particular types of academic writing interact with our thinking elements and to suggest how one can apply it to general writing education. It is a theory of media that underlies this line of thought, which involves that writing as an act of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thinking ability. Literal communication is inseparably relate to thinking ability. Thus, both of them, what is stressed here, are essential elements required for a desirable academic writing. This is why educating writing as an act of communication amounts to not only a field of thinking education and but also one of language education. Writing education should lead students to accommodate their complex and integrative abilities so as to preclude them from overlook either of them. Analytic and evaluative(logical) thinking as basic academic virtues does not arise sui generis, but are cultivated and enhanced by writing practice, resulting in producing a high standard of academic writing. Analytic/critical writing is not all consisting in academic writing. This might be taken as a preliminary level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However, this should be considered as essential in order to advance to the academic discourses with respect to having a different way of thinking. For a new academic discourse, it is presupposed that one grasps the gist of established discurse(or text) and criticizes it. Without this kind of preparation process, it is not expected to attain any genuine academic discourse. Besides, one could not come up to the level of yielding anything innovative until one hold in a position to do through preliminary process. This is where a significance of analytic/critical writing is found.

      • KCI등재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문적·이론적 기저에 대한 고찰

        김자미,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academic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formatics curriculum and examin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informatics department. Starting with the terminology of information, the epistemological aspect of the discipline, which the department of informatics originated from, was discussed. The academic scope of the subject “information” was set based on a study on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he attributes and scope of th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a recent issue, were presented. By presenting the differences from other disciplin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further solidify the value of academic knowledge in the department of informatics, which i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 times despite its short history. 본 연구는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의 학문적·이론적 기저를 살펴보고, 정보과의 철학적 토대를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정보에 대한 용어를 시작으로 정보과의 모태 학문에 대한 인식론적 측면을 논의하였다. 교육과정 상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교과 ‘정보’의 학문적 범위를 설정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에 대한 학문의 속성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타 학문과의 차별화 등을 제시함으로써, 길지 않은 학문의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시대적으로 중요하고, 필요한 정보과의 학문적 지식의 가치를 보다 공고히 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 글쓰기와 리터러시에 대한 실존적 고찰

        김종규 ( Kim Jong-gyu ),원만희 ( Won Man-hee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본 논문은 인공지능 글쓰기에 대한 지성계의 대처가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할 필요성을 고찰한다. 그 간 보조적 혹은 이벤트 수준에서 이루어진 인공지능 글쓰기는 GPT-2의 재공개 이후 본격화되었으며, 인공지능 기술 개발의 성과가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개발된 GPT-3는 문자 중심의 글쓰기를 넘어 리터러시 전반에 활용될 수 있는 충분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다방면에 걸친 인공지능의 영향력을 고려한다면, 인공지능 글쓰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대응은 인간 지성의 핵심 토대인 리터러시의 의미와 위상에 대한 전반적 성찰을 반영해야만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간의 인식과 대응들은 주로 방법과 체계의 변화를 추진하는 데서 그 방안들이 마련되어 왔다. ‘인공지능 활용’ 글쓰기는 이와 같은 대처 방안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사유하는 존재에게 글쓰기가 갖는 실존적 의미를 고려한다면, 그 대처 역시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즉 실존적 차원에서 고려되고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need for the response of the intellectual community to AI writing that needs to be done at the existential level of human beings. AI writing, which has been done at the auxiliary or event level,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re-release of GPT-2, and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ve begun to be applied in earnest. In this process, the newly developed GPT-3 has enough functionality to be used throughout literacy in general.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various fields, correct recognition and response to AI writing should reflect considerations on the meaning of the literacy, a key foundation of human intellect. Unfortunately, however, the common countermeasures have been mainly taken to push for changes in a way that embraces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writing is a representative form of such countermeasures. However, considering the existential meaning of writing to the Zoon Logon Echon, the response should also be considered and prepared on the existential level of human beings.

      • KCI등재

        일반논문 : 글쓰기 심화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대학 글쓰기 센터의 필요성 및 운영방안 -성균관대학교 재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김종규 ( Jong Gyu Kim ),원만희 ( Man Hee 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8

        본 논문은 글쓰기 심화 교육을 위해 글쓰기 센터가 필요하며, 그것이 계열별 튜터제에 기초하여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행 글쓰기 교육 시스템 하에서 글쓰기 교육은 하나의 교양 교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현행 글쓰기 교육은 심화 단계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글쓰기 심화 교육의 부재는 학생들의 실질적인 글쓰기 역량 부족으로 이어져 결국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문제의 근본 해결은 WAC을 도입하는 것이지만,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글쓰기 센터는 WAC의 이념과 원리를 실천할 수 있는 대안이며, 이를 위해 글쓰기 센터는 전공 계열별 튜터들을 활용하여 전문성을 강화한 형태로 운영되어야 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a writing center is needed for advanced writing education and it must be based on the professional tutor in each department. Under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system, teaching of writing is regarded as part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s. It is a systematic problem that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does not lead to promoting the level of advanced writing. Students cannot acquire high-level writing skills, because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system cannot provide students with advanced writing programs. The current writing program does not measure up to the level of catering to students" demands. For the education catering to demands, the WAC should be introduced to the writing education system. However, it is hard to serve as a feasible alternative to introduce the WAC into the system of writing education. In this situation, a writing center can be an alternative to realize the idea and the principle of the WAC. The center should be managed by the professional tutors in each department.

      • KCI등재

        미래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 영역으로서 ‘다중 문해력(Multi-Literacy)’

        김종규 ( Kim Jong-gyu ),원만희 ( Won Man-hee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4

        본 논문은 미래 대학교양교육이 ‘다중 문해력(Multi-Literacy)’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다중 문해력의 의의는 다양한 매체들의 등장으로 생겨난 새로운 리터러시들과 전통적인 문자 리터러시의 통합적 체계 구축에 있다. 디지털 전환과 함께 등장한 정보획득 수단으로서 새로운 매체들은 그 사용자들의 인식, 지각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리터러시’, ‘데이터 리터러시’ 등 리터러시의 다중화를 수반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전통적인 문자 리터러시의 지배력은 현격히 약화하였다. 그래서 새로운 개별 리터러시의 특성에 대한 강조 속에서 우리의 교육적 관심은 리터러시 본연의 의미와 역할보다는 특화된 리터러시 기능에 맞춰졌고, 매체의 특성에 부합하는 기술 활용 능력을 배양하는 일에 목표를 두게 되었다. 그러나 리터러시는 인간의 세계를 읽고 이해하고 또 그것을 이루는 정신적 활동으로, 인간의 실존적 존재 방식을 상징한다. 따라서 올바른 리터러시 교육은 이러한 리터러시 본연의 의미와 역할의 이해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 이 시점에서 전통적인 문자 리터러시의 위상은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 비록 그 지배력은 크게 약화되었지만 여전히 문자 리터러시가 지닌 토대적 기능은 사라질 수 없다. 문자 리터러시는 서로 통약불가능해 보이는 새로운 리터러시들 사이에서 교량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문자 리터러시는 병렬해 있는 리터러시들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또 그 새로운 리터러시가 지닌 철학적, 인식론적 의미를 반영한다. 따라서 문자 리터러시에 여러 리터러시들의 융합 토대로서의 역할이 주어져야 하며, 그것이 작금의 리터러시의 위기에 대한 실질적 대안이라는 것이 필자의 결론이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pursue the 'Multi-Literacy.' The meaning of the 'Multi-Literacy' lies in overcoming the dispersibility of Multiliteracies and obtaining the possibility of a consolidated literacy education system. The media appearing along with the Digital Transformation flow have caused new literacies. Now we have a lot of literacies. We usually stress the function of each media related to each literacy than the original meaning of literacy. As the result, our education of the new literacies concentrates on func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But literacy is a spiritual activity that reads, understands, and constructs the human world. And all acts with media also is contained in that activity. Thus we have to understand all literacies in that meaning and role and the literacy education also has to base on that understanding. To establish future literacy education on that base, we have to be newly aware of the value and status of literal literacy. It has preserved the original meaning of literacy for the longest time, and, through this meaning, we can understand various literacies as a consolidated whole. In this sense, literal literacy should be a central role in constructing a new future literacy education system.

      • KCI등재

        단일 다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김명구 ( Myung Ku Kim ),이상호 ( Sang Ho Lee ),원만희 ( Man Hee Won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4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은 전방 십자인대 파열 후 슬관절의 불안정성에 관련된 증상을 방지하고 추가적인 2차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수술로 초기에는 경골 터널을 이용한 단일 다발 재건술이 행하여졌으나 단일다발 재건술은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의 회복에는 긍정적이나 회전 안정성의 회복에는 부정적이라고 보고되면서 이중 다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중 다발 재건술은 수술 술기가 어렵고 모든 환자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그 결과 또한 단일 다발 재건에 비해 월등하다는 장기적인 추시 결과는 없다. 최근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재건술이 보고되면서 단일 다발 재건술도 전방 및 회전 안정성의 회복에 긍정적이며 대퇴 터널의 생성 시 경골 터널보다는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대퇴터널의 생성이 좀 더 정확한 해부학적 대퇴 터널 생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이 방법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도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is generally accepted as the most reliable method of re-establishing knee kinematics so as to prevent various symptoms related to the instability and subsequent injuries to the knee. Double bundle ACL reconstruction has emerged as a potential solution for single bundle reconstruction, as the latter can restore anteroposterior stability, but it had limitations for improving the rotational stability. However,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is a more complex surgical procedure and it remain unclear whether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has better results than single bundle reconstruction on long term follow-up.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a femoral tunnel could be created independently of the tibial tunnel and in a more anatomic position by using the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so that that there is better restoration of the rotational stability as well as anterior stability than that with performing the transtibial techniqu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