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터러시로 세상을 읽다 - 조병영,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쌤엔파커스, 2021

        이주영(Jooyoung Lee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피츠버그 대학에서 15년간 읽기와 리터러시를 연구하며 EBS 프로그램 <당신의 문해력>을 기획해 이끈 저자는 최근 저서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에서 이제는문해력을 넘어 맥락을 읽고 세상을 디자인하는 리터러시를 말해야 하는 시대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리터러시를 한 문장으로 정의하는 것은 어렵지만 파울로 프레이리가리터러시를 정의할 때 늘 ‘단어 읽기와 세상 읽기’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리터러시는 정확한 낱글자 읽기가 복잡다단한 세상 읽기로 전환되는 과정에기여하는 매우 정밀하고 섬세한 지적·정서적·사회적 의미의 구성 과정과 실천의 스펙트럼을 포괄하는 의미임을 시사한다. ‘배움의 도구’이자 사회적 개념인 ‘역사적 도구’로, 리터러시는 글자 읽기에서 출발하여 앎을 성찰하는 세상 읽기로 발전한다. 책은 모두가 좋은 리터러시를 갖추고 실천할 수 있도록 사회가 어떻게 도와주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며 리터러시의현황과 과제, 전망과 대한 다각적인 질문들을 던지고 유효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인도한다. 텍스트를 매개로 세상을 읽고 쓰는 리터러시를 실천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삶의 자세를 가져야 할까. 저자는 삶의 경험을 근거로 의미를 디자인하는 과정이 필요함을논한다. 읽기와 쓰기는 소통하고 연대하는 사회를 디자인하는, 우리 사회를 바꾸는도구이므로 읽기와 쓰기로 세상을 바꾸는 리터러시 실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리터러시의 의미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이며 포괄적으로 계속 확장될 것이기 때문에 저자의 통찰력 있는 후속 논의가 기대된다. 리터러시는 나로 살아가고 있다는증명이 될 수 있다. 리터러시가 공동체를 만든다는 입장을 견지하는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The author, who planned and led the EBS program <Your Literacy> by studying reading and literacy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for 15 years, stresses in his recent book <Experience Reading Human Literacy> that it is time to talk about literacy that goes beyond literacy and designs the worl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fine literacy in one sentence, the author maintains that Paulo Frey always used the expression “word reading and world reading” when defining literacy, suggesting that literacy encompasses a very precise, delicate spectrum of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meanings. It is a ‘historical tool’ that is a ‘tool of learning’ and a social concept, and literacy starts from letter reading and develops into a world where you reflect on your knowledge. The book asks various questions about the current status, tasks, prospects and prospects of literacy, say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society is helping everyone to have and practice good literacy. What attitude of life should we have to practice literacy that reads and writes the world through text? The author discusses the need for a process of designing meaning based on life experiences. Reading and writing are tools that change our society, designing a society that communicates and solidifies, so it is possible to practice literacy that changes the world through reading and writing. In the future, the meaning of literacy will continue to expand in multi-layered, complex, and comprehensive ways, so the author's insightful follow-up discussion is expected. Literacy can prove that I am living as myself. We recommend reading books to readers who maintain the position that literacy creates a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사고와 표현’ 교과에서의 글쓰기 교육에 대하여

        이재현(Lee Jae-Hyu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1 리터러시 연구 Vol.- No.2

        2000년대에 들어서서 한국의 대학에서는 <대학국어> 또는 <교양국어>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던 교과목은 거의 사라지고 <발표와 토론>, <독서와 토론>, <글쓰기>와 같은 ‘사고와 표현’ 또는 ‘의사소통’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의 기초 교양 교과목으로 온전히 자리를 잡았다. 사고력과 판단력에 기초하여 사회와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하고 자신을 표현하고 상대방의 생각을 바르게 이해하고 수용 또는 취사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은 이제 대학이 담당해야 할 가장 기초적이면서 가장 핵심적인 교육이 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사고와 표현 또는 의사소통 관련 교과가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가운데서 자신의 사고를 표현하는 방식으로써의 <글쓰기> 과목은 표현의 측면뿐만 아니라 비판적이며 합리적인 사고력, 체계적이며 논리적 사고력, 분석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 등을 신장시키는 과목으로써 대학의 기초 교양 교과목 중 의사소통 교과의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2010년 현재 의사소통 또는 사고와 표현 관련 기초 교양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 소재 대학 35개 중 82.9%에 해당하는 29개 대학이 필수 과목으로건 선택 과목으로건 ‘글쓰기’(쓰기, 작문 포함)를 강의 제목으로 하여 개설하고 있다. 그런데 강의의 내용적인 면에서 글쓰기 교육이 각 대학에서 재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 볼 때, 아직까지 미흡한 면이 많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덕여대 역시 <교양국어>의 형식과 내용을 과감히 벗어 버리고 <독서와 토론>, <발표와 토론> 과목을 통해 토론 및 토의, 화법과 화술과 같은 말하기와, 글쓰기, 비판적 사고 등에 관련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강좌의 제목에서 보이듯이 2000년에서부터 2010년까지 ‘말하기’의 측면은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강조되고 있는 데에 비해서, ‘글쓰기’의 측면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실정에 놓여 있었다. 동덕여대의 <독서와 토론>, <발표와 토론>은 분반 당 25명 정도의 소규모로 운영되면서 개인 발표, 조별 발표, 토론 등을 통해 한 반에 소속된 대부분의 학생들이 전반적이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가능하게 하였지만, 글쓰기 교육은 비중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글쓰기> 과목이 따로 분리되어 단독 교과목으로 설정이 되어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대학 전체의 커리큘럼과 상황이 여의치 못할 경우에는 과목명의 변경을 통해서 ‘글쓰기’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행스럽게도 2011학년도부터는 과목명이 <독서와 토론>에서 <독서와 글쓰기>로 바뀌면서 과목 자체로써 보다 분명한 목적성과 당위성을 가지고 글쓰기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글쓰기 관련 교육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첨삭 지도인데, 이 글에서는 글쓰기센터를 만들고 재학생 튜터링 시스템과 멘토링 시스템 등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원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대학에서 선배를 활용한 재학생 튜터링 시스템은 글쓰기 교육의 보조 인력의 확보와 동시에 학생 상호간의 의사소통 능력과 사고 표현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2000’s, the college subject called as ‘University Korean Language’ or ‘Cultural Korean Language’ has almost disappeared, and is now being replaced by the subjects ‘Expression and Discussion’, ‘Reading and Discussion’, and ‘Writing’ related to thinking and expression or communication. It becomes the fundamental and core part of education to get the exact awareness about the society and reality through the power of thinking and judging and to accept and partially agree with the different opinions of other people. For this aim, thinking and expression or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are much needed. Among these subjects, the ‘Writing’ class lies in the center of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since it promotes the students’ cap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to think reasonably, systematically, logically, analytically, and creatively. In 2010, 29 universities corresponding to 82.9% of 35 colleges with communication or thinking and expressionrelated subjects are opening ‘Writing’ class as the required or selective course. When we look into whether the writing education is properly provided for all students at each university, however, it is far from satisfactory. Dongduk Women’s University has discarded the form and content of ‘Cultural Korean Language’ and developed the subjects ‘Reading and Discussion’ and ‘Expression and Discussion’ with an aim to improve speaking. writing, and thinking capability. As noticed in the title of lecture, from 2000 through 2010, the emphasis has been placed on speaking rather than writing.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Reading and Discussion’ and ‘Expression and Discussion’ subjects are opened in relatively small-sized classes with about 25 students, where most members ar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through individual presentation, group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s most of class activities are related to speaking, writing is less emphasized. It is most desirable to separate writing as an independent subject. When it is not possible due to various reasons, however, there are some methods to focus on writing education by changing the title of subjects. Fortunately, as the title of subject is changed from ‘Reading and Discussion’ to ‘Reading and Writing’ in 2011, the momentum is given to intensify writing education with clear purpose and justification. Along with writing education, the correction guida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writing center equipped with tutoring and mentoring systems. At the universities with less active graduate courses, the tutoring system will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secure the writing helpers and stimulate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thinking and expressing skills among the students.

      • KCI등재

        다섯 가지 텍스트 해석 방법을 활용한 읽기 중심 교육 모형의 개발

        김미란(Kim Mi-R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5

        한국의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은 읽기를 통한 쓰기가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비중이 높은 데 반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모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중 쓰기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쓰기 교육의 모형 개발이 시급했던 터라 읽기 교육 모형까지 고민할 수가 없었던 저간의 사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글쓰기 수업에서 선택되는 읽기 교육의 수준은 낮은 편이다. 글쓰기 교수자들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텍스트의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텍스트를 읽는 방법은 10여 년 전의 교육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이 영역은 여전히 미답 상태에 놓여 있다. 그 점에서 읽기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생각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한국의 대학 글쓰기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지만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인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질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그 점에서 본고에서 제시하는 읽기 교육 모형은 읽기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데에만 목표가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를 통해 ‘읽기를 통한 쓰기’ 혹은 ‘쓰기를 위한 읽기’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는 쓰기 교육의 활성화를 최종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그 전제가 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론 없는 방법론은 토대가 허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읽기-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진척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미국에서 이루어진 이론적 모색 과정과 그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글을 서술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을 위해서는 존 피터스가 개발한 텍스트 해석을 위한 다섯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정서적 관점, 윤리적 관점, 수사학적 관점, 논리적 관점, 사회적 관점이 그것이다. 그런데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한국 대학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읽기 교육 모형 개발에 초점을 두기는 하되 읽기-쓰기 교육의 통합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쓰기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리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n Korean academic writing, reading to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method. But concrete models for it are not developed sufficiently. Especially,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re not tried to develop so far. This is caused b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models for writing education. The matter must have been settled without delay. But that is why the level of reading education is not high. Although the level of reading texts which are offered by professors is high,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are not changed for about 10 years. It means this area has been stalled for a long time. In that respect,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is a most urgent task. Even if there are so many problems to solve for Korean academic writing, this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we can t delay no more. Therefore in this paper, I place great importance on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qualitative for growth Korean academic writing through it. For this purpose, I offered theories which are the premises of it. Methodology without no theory is very fragile. However in Korea, the study and research are not accumulated enough, inevitably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ories and methodologies for reading and writing by American scholars. Especially, to offer a concrete reading education, I used John peters’method. His method for reading education is very useful because it includes emotional, ethical, rhetorical, 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But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common to adopt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to write, I proposed the method of reading education which is maintained the connection with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과 연구 과제

        정희모(Chong Hee-Mo) 한국리터러시학회 2011 리터러시 연구 Vol.- No.2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 소통과 토론의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미국의 글쓰기 연구를 보면 글쓰기 교육과 연구의 발달은 수많은 논쟁과 토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우리가 잘 아는 ‘형식적 접근-과정 중심적 접근-사회 중심적 접근’과 같은 글쓰기 교육의 관점 역시 수많은 논쟁과 토론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학술적인 담론은 논쟁과 필연적인 관계를 가진다. 논쟁은 대립을 통해 형성되지만, 소통을 통해 유지되기도 한다. 소통과 대립은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담론은 새로운 학술적 진보를 가져오게 된다. 이와 반대로 한국의 글쓰기 교육 현장은 생산적인 소통과 토론이 부족하다. 글쓰기 교수자와 연구자들은 글쓰기 교육과 이론에 관한 소통과 토론을 기피한다. 각자 자신의 영역에 안주하거나, 아니면 교육과 연구를 분리하여 생각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소통 부재는 과정 중심 방법에 대한 검증이 없다는 점과 논증적 글쓰기 교육에 관한 토론이 부재했다는 점을 통해 잘 나타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큰 이론보다 작은 이론에 관한 논쟁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수정(revision)이나 독자(audience), 교수학습방법(teaching methods),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 평가(assessment), 장르(genre), 읽기와 쓰기(reading and writing), 글쓰기와 컴퓨터(writing and computer) 등 좁고 세밀한 분야들은 매우 실제적이고 유용한, 그리고 학술적인 논쟁이 가능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은 이론에 관한 소통으로 담화 분석과 글쓰기 평가 영역을 살펴본다. This paper is written to emphasize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in the field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research. According to U.S studies of college writing, the development of writing in education and research were carried out by number of debates and discussions. As we know,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writing education such as formal central approach, process central approach and social central approach is also made as a result of lots of debates and discussions. Academic discourse and debates has an inevitable relationship. The debate will be formed by conflict and will be kept b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nd conflict creates a new discourse and it brings a new academic progress. On the contrary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Korea has a lack of productive communication and debates. Writing instructors and researchers don’t want to communicate and discuss writing education and theories. They only study their fields and they should think about separating education and research. Like this the lack of communication shows that they don’t discuss process central and academic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argues for focusing on the smaller rather than the larger theoretical debates. For example revision, audience, teaching method, discourse analysis and writing and computer as narrowed and detail fields are practical and useful. They can be seen as a possible area that is an academic debate. This paper shows writing assessment areas and discourse analysis that belong to the small theory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 KCI등재

        차별이라는 수수께끼, 그 답을 찾아서

        이민정(Lee Min Jung)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파친코』는 현재 세계에서 베스트셀러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작품이다. 애플TV+에서 『파친코』를 드라마로 제작하면서 더욱 주목받기 시작했다. 『파친코』는 4대에 걸친 재일교포 가족소설이다. 그러나 역사소설이기도 하다. 1900년대 초부터 1989년까지 한국과 일본의 역사를 누구보다 객관적으로, 담담하고 정직하게 서술하고 있다. ‘선자’라는 한국 여인의 4대에 걸친 가족, 사랑, 이별, 운명, 극복이 담긴 서사. 이러한 한국적 정서와 한국의 역사가 세계인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에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작가 이민진은 ‘한’으로 점철된 한국인의 정서를 담백한 문체로 서술하고, 한국 이민자의 역사를 간결하게 담아냈다. 작가는 2권의 장편소설이라 자칫 지루하고 늘어질 수 있는 작품을 여러 장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장마다 새로운 에피소드를 담아내고 있다. ‘소설은 재미있어야 한다’는 작가의 신념에 맞게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게 하는 흡입력을 갖추고 있는 작품이다. 이민진 작가는 역사를 재미있는 소설 속에 담아내고 있다. 『파친코』는 인간의 본성과 정직한 역사에 대한 담백한 서술이고, 현 시대의 다문화를 애달프게 반영하고 있는 소설이다. 그래서 많은 세계인들이 그의 작품에 공감하고 호응할 수 있는 듯하다. 『파친코』는, 이제는 차별과 혐오의 역사를 끝내고 정직한 역사를 이끌어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그리고 다문화 시대에 소수자로 살고 있는 이민자들이 차별이라는 수수께끼를 어떻게 풀어내고 극복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소설이라 할 수 있겠다. 『Pachinko』 is a work that is currently creating a craze for bestsellers in the world. It began to attract more attention when it was made into a drama on Apple TV+. 『Pachinko』 is a novel of a Korean-Japanese family spanning four generations. But it is also a historical novel. It describes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 from the early 1900s to 1989 more objectively, calmly and honestly than anyone else. A narrative of a Korean woman named ‘Sunja’ that spans four generations of family, love, parting, fate, and overcoming. I can t help but be surprised that these Korean sentiments and Korean history arouse sympathy from people around the world. Writer Lee Min-jin describes the sentiments of Koreans dotted with ‘Han’ in a plain style and concisely captures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nts. Since the author is a two-volume novel, he divides the work that can be boring and lengthy into several chapters. And each chapter contains a new episode. In line with the author s belief that ‘novels should be interesting’, this work has a suction power that makes it impossible to let go of the book. Writer Lee Min-jin puts history into an interesting novel. 『Pachinko』 is a simple narrative about human nature and honest history, and it is a novel that sadly reflects the multiculturalism of the present age. Therefore, it seems that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can sympathize and respond to his work. 『Pachinko』 is sending a message that we must now end the history of discrimination and hate and lead an honest history.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novel that suggests how immigrants living as minorities in the multicultural era must solve and overcome the riddle of discri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