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 헤이세이(平成) 시대의 프레카리아트 문학 연구

        이정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4

        일본 헤이세이 시대는 버블경제의 붕괴와 함께 큰 사회적 혼란과 맥을 함께한다. 장기간에 걸친 경제 침체는 곧 불안정한 고용의 확대를 불러왔으며, 이로 인해 불확실한 삶에 내몰리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가 가속화 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일본 현대문학의 영역에서 이들의 불안정한 삶과 노동, 그리고 정체성의 혼란에 대해 그리는 다양한 소설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빈곤과 격차는 어느 시대에나 존재했지만,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에서 로스제네 세대의 청년들이 이렇듯 한꺼번에 프레카리아트의 불확실한 삶으로 편입되어간 현상은 독특한 성격의 것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헤이세이 시대(1989~2019) 기간을 일본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시대적 배경으로 보고 그 대상을 폭넓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헤이세이 시대의 흐름에 따른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프레카리아트 소설은 넓은 의미에서는 프레카리아트의 불안정한 노동이 가져오는 불확실한 삶에 대해 그린 소설을 뜻하며, 더 나아가 프레카리아트가 느끼게 되는 불확실한 삶으로 인해 정체성의 혼란과 갈등에 대해 느끼는 심상이 표현된 소설이다. 현재까지 논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본 프레카리아트 소설 작품은 총 60편으로 파악되며, 이를 내용적 특성에 따라 정리해보면 ①1990년대 후반부터 프레카리아트라는 용어가 일본에서 사용되는 2006년까지, ②2006년부터 게 공선 붐이 일어나, 그 영향이 지속되는 2010년까지, ③2010년부터 헤이세이가 끝나는 2019년까지 세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먼저 첫 번째 시기에 해당하는 199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에 갓 진출한 로스제네 세대에서 불안정한 노동환경에 내몰리는 청년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이것이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면서 문학의 영역에서 이러한 사회상을 반영하는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들은 주인공 캐릭터가 니트이거나 프리터라는 점에서 니트 소설, 프리터 소설로 제각기 명명되었다. 그러나 점차 불안정한 노동이 불러오는 빈곤과 격차 문제, 불확실한 삶 속에서 청년들이 느끼는 정체성의 위기 등 더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는 소설들이 점차 나타났고, 2006년에 이르러 ‘프레카리아트’라는 용어가 일본 사회에 알려져 사용되면서 이를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영역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는 프레카리아트 문학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고찰 없이 소설에서 비정규직 노동 문제를 다루고 있거나 워킹 푸어의 빈곤을 다루는 내용이라면 모두 프레카리아트 문학으로서 분류하여 각 소설에서 나타나는 주제의식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프레카리아트 문학은 프레카리아트가 처한 현실을 반영하여 자본주의의 불안정성과 불평등성을 폭로하는 것을 넘어 그 생활과 노동에 있어서의 불안정함에서 연유하는 현대인의 정체성 위기에 대한 고찰이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체성 위기에 접근하는 소설을 중심으로 실제 소설에서 프레카리아트의 심상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과도기에서 나타나는 일본적 맥락과 특징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시기에 해당하는 2006년부터 2010년 사이의 전개와 발전기에는 게 공선 붐이 일어나 프롤레타리아 소설과의 연결선상에서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가능성이 대중에게 피력된다. 그리고 프레카리아트의 위치에 놓인 대중이 스스로의 목소리로 현실을 이야기하는 소설들을 다수 창작해내게 되었는데, 그동안 이들의 창작 소설은 프레카리아트 문학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분야로, 문학적 가치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나 이 작품들이 갖는 사회적 영향력과 다양한 시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가장 현실과 맞닿아 있는 지점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후기에 해당하는 2010년부터 헤이세이 시대가 끝나는 시점까지의 시기에는 불안정한 노동이 불러오는 불확실한 삶으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는 자아를 그리는 소설과, 프레카리아트의 삶이 엔터테인먼트 소설에서 하나의 갈등요소로 등장하는 소설로 흐름이 나뉘게 된다. 후자의 경우 대중의 전반적인 공감과 지지를 얻는 데는 성공하면서도 프레카리아트적 상황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원래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의의에서 멀어지고 있으나 이처럼 양 갈래로 흐름이 나뉘는 가운데 이에 반응하는 일본 대중의 모습에서 프레카리아트 문제를 바라보는 양가적 태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헤이세이 시대의 흐름과 함께 프레카리아트 문학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프레카리아트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일본 사회의 갈등요소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후속 연구에서는 본 논문에서의 연구를 바탕으로 더 이상 청년이 아닌 로스제네 세대의 당면과제와 또 새롭게 유입되는 프레카리아트의 불안정한 삶이 소설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연구의 범위를 넓혀나가고자 한다. 또한 프레카리아트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만큼 한국의 프레카리아트 문학과 비교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헤이세이 시대의 프레카리아트 문학연구가 앞으로의 논의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일본 프레카리아트 문학 연구 :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이정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774

        <국문초록> 일본 프레카리아트 문학 연구 -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 이정화 본 연구는 프리터(フリーター)와 니트(ニート)로 잘 알려진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현대 일본문학의 청년문제 수용에 관해 분석하였다. 먼저 일본문화영역에 프리터, 니트의 캐릭터가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사실과 함께, 프리터 표상의 변화에 관해 살펴보았고 이토야마 아키코(絲山秋子)의 소설 『NEET(ニート)』를 통해 다양한 니트의 유형이 묘사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편 「니트」와 「2+1」에 등장하는 주인공 두 사람을 통해 사회가 니트를 바라보는 비판적 관점이 아닌 동일한 니트간의 자기인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일본 사회의 경제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청년들의 비정규노동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기성세대와 젊은이세대 간에 발생하는 갈등이 소설의 주제로 등장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작가가 청년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자기책임론’과 ‘사회구조문제론’의 입장으로 나뉘고 있다는 사실을 『하류의 연회(下流の宴)』와 『8월의 길 위에 버리다(8月の路上に捨てる)』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발표된 지 80여년 후인 2008년에 다시 큰 인기를 얻은 『게공선(蟹工船)』 붐을 분석하였다. 게공선 붐의 원인과 과정을 고찰해 본 결과 일본의 젊은세대가 내몰리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의 현실이 근대소설 『게공선』의 노동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게공선』을 통해 일본의 청년들은 서로 연대함으로써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해가는 방향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또한 프레카리아트 운동을 문화의 영역에까지 확장하고 있는 아마미야 가린(雨宮処凛)이, 프레카리아트 문학에는 프레카리아트 문제에 관한 이념과 문제해결 의식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사실을 살펴봄으로써 프레카리아트 문학이 현대 문학의 새로운 시도로 발전될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日文抄録> 日本プレカリアート文学研究 -2000年代日本の若者問題の談論を中心に- 李貞和 本研究はフリーター、ニートでよく知られた2000年代日本の青年問題の談論を中心に、現代日本文学の青年問題受容について分析した。 まず、日本文化領域にフリーター、ニートのキャラクターが登場し始めたことと、作品に描写されるフリーター、ニートの表象の変化を確認した。そして絲山秋子の小説『ニート』に多様なニートの類型が描写され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そして短編「ニート」と「2+1」に登場する「私」と「キミ」2人の関係を通じて、ニートに対する社会の批判的な観点を排除し、ニート同士の関係性と自己認識について考察した。 次に、日本社会の経気低迷が続いたことにより、若者の非正規労働が社会問題に台頭し、既成世代と若者世代間に発生する葛藤が小説のテーマとして登場し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そして、作家が若者問題を見る観点によって「自己責任論」と「社会構造問題論」の立場に分かれていることを『下流の宴』と『8月の路上に捨てる』を通じて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最後に、発表されてから80余年後の2008年に再び大きな人気を得た『蟹工船』ブームを分析した。蟹工船ブームの原因と過程を考察した結果、日本の若い世代が追い込まれている非正規職労働の現実が近代小説『蟹工船』の現実と変わらないことが分かった。そして『蟹工船』を通じて日本の若者たちは互いに連帯することで、ともに社会問題を解決していく方向に目を向けるようになった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た。また、プレカリアート運動を文化の領域にまで拡張している雨宮処凛が、プレカリアート文学にはプレカリアート問題に関する理念と問題解決意識が伴な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主張したことから、プレカリアート文学が現代文学の新たな試みと発展する可能性を持っ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

      • 최세라 시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의식과 노동의 양상

        최세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42

        이 논문의 목적은 최세라의 시에 나타나는 프레카리아트 의식과 전통적인 노동의 영역에도 편입되지 못하는 불안정 노동이 구현되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시에는 시적 화자가 발화하는 언어를 통해 시적 정황이 전면적이거나 잠재적인 형태로 드러난다. 이것은 한 편의 시가 작시(作詩)되기 이전에 시인의 구상 속에 이미 시적 화자가 존재한다는 증거가 된다. 세계 안에 실존하는 동시에 시인의 구상 속에서도 숨 쉬고 있는 시적 화자의 발화 언어는 그가 속한 시공간, 사회적 계층, 현실적 조건 등과 긴밀한 관계에 있으며 이러한 시적 정황들이 시의 얼개와 제재, 주제를 이룬다. 최세라의 시에 등장하는 시적 화자는 그 사회적 계급의식에 있어서 프레카리아트로서의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계급의식과 노동의 양상은 1. 일상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의식, 2. 필수노동과 플랫폼 노동, 3. 자본주의 체제와 자아의 부정성, 4. 노동의 사물화와 소외의 감정으로 분류해 설명할 수 있다. 1장 ‘일상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의식’에는 한 가지 직업이나 직장에 몸담지 못하고 몇 가지 일을 겸해야 하거나 이 일 저 일 전전하며 고용 불안 상황에 놓이게 된 시적 화자들이 등장한다. 특히 젊은 여성 프레카리아트인 ‘로라’를 통해 그가 직업적인 이동을 거듭하며 불안정한 생활을 이어가는 모습이 그려지는데, 이러한 노동의 양상이 전개되는 동안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불평등이 드러난다. 여기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맥잡」,「로라의 시식코너」,「피자 굽기」,「카톡」,「위험을 설계합니다」,「포장이사」,「장난감공장」,「패턴실과 여름」,「로라의 시급」등이 있다. 2장 ‘필수노동과 플랫폼 노동’에는 사회와 시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노동력을 제공하지만 정작 사회로부터 외면 받는 필수노동자, 그리고 불특정 다수의 호출에 의지해야 노동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노동자의 삶이 그려진다. 필수노동자는 주로 의료·돌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낮은 수준의 임금을 받으며 정당한 사회적 분배로부터 제외된다. 플랫폼 노동은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기계들과 접하며 성장해 온 20, 30대의 젊은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담당하는 경향이 있다. 플랫폼 노동자들 또한 사회의 안전과 편리를 위해 일하지만 늘 위험에 직면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필수노동과 플랫폼 노동’ 관련 작품으로는 「대리운전」, 「라이더」, 「구내식당 – 해고의 기억」, 「택배 분류」, 「2020, 걸레를 빨다」 등이 있다. 3장 ‘자본주의 체제와 자아의 부정성’에는 자본주의 체제와 뗄 수 없는 삶을 살아가지만 그에 동화되지 않고 거리를 둠으로써 자신의 모습을 객관화하고자 하는 시적 화자들이 나타난다. 그러나 작품에 드러나는 시적 정황상 자신의 모든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 노동을 거듭해도 노동의 바깥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으므로 이들의 자아 인식은 부정성을 띨 수밖에 없다. 이러한 관점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작품으로는 「플랫폼에서」, 「번아웃」, 「우리에게 거미만큼의 지혜가 있었다면」, 「비정규의 꽃」, 「외근」 등이 있다. 4장 ‘노동의 사물화와 소외의 감정’에는 인간의 정신과 노동이 사물화되는 현상에 의해 시적 화자가 가지게 되는 슬픔과 소외의 감정을 다루고자 한다. 노동자가 사회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하고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갈수록 노동의 가치는 빈약해지며 노동자의 위상은 계속 낮아진다. 시적 화자는 이러한 상황에 부딪히고 인지할 때마다 자신이 더 이상 노동의 주체가 되지 못한 채 소외되고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예시로 들 수 있는 작품으로는 「콜센터 유감 1 – 재즈콰르텟」,「콜센터 유감 2 – 녹취록」,「필터링」, 「1인분」등이 있다. 이처럼 2000년대 이후 노동의 양상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노동자의 자아 인식과 정동의 경험은 지난 세기 노동의 경험과는 매우 다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970년대 이후 한국 노동시의 흐름을 개관하고, 그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노동의 양상과 노동자 의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노동의 유연화에 따른 불안전한 고용과 열악한 노동상황에 주목하고, 이를 프롤레타리아 의식에서 프레카리아트 의식으로의 전환으로 보았다. 그런 점에서 최세라의 시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의식과 새로운 노동의 양상은 한국 노동시의 변화된 국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recariat consciousness' that appears in Choi-Sera's poems and the realization of unstable labor that cannot be incorporated into the realm of traditional labor. In general, in a piece of poetry, the poetic situation is revealed in a full or latent form through the language spoken by the poetic speaker. This is evidence that a poetic speaker already exists in the poet's conception before a poem is written. The language spoken by the poetic speaker, which exists in the world and breathes in the poet's imagin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time and space to which he belongs, social class, and realistic conditions, and these poetic situations form the framework, topics, and themes of the poem. The poetic narrators in Choi's poems often have a consciousness as a precariat in their social class consciousness. These aspects of class consciousness and labor can be expla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1. Precariat consciousness in everyday life, 2. Essential labor and platform labor, 3. Capitalism system and negativity of the self, 4. Labor objectification and feelings of alienation. In chapter 1 ‘Precariat consciousness in everyday life’, the poetic narrators appear who are insecure about employment, continues to move from one job to another to sustain life. In particular, Laura, a young female precariat, depicts a woman who continues to lead an unstable life while repeatedly changing jobs, revealing the contradictions and inequalities of the capitalist system as this type of work unfolds. Such works include 「MacJob」, 「Laura's Tasting Corner」, 「Pizza Baking」, 「Kakao Talk」, 「Designing the Risk」, 「Packaging Moving」, 「Toy Factory」, 「Pattern Room and Summer」, 「Laura's hourly wage」. In chapter 2 ‘Essential labor and platform labor’, It depicts the lives of essential workers who provide essential labor to maintain society and the market, but are turned away from society, and platform workers who can provide labor by relying on the calls of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ssential workers mainly provide services such as medical care and general care, but receive low wages and are excluded from fair social distribution. Platform labor tends to be handled by young digital native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grown up in contact with digital machines since birth. Platform workers also work for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society, but are always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face risks. Such works include 「Driving by proxy」, 「Rider」, 「Canteen – Memories of being fired」, 「Parcel Classification」 and 「2020, Washing a mop」. In chapter 3 ‘Capitalism system and negativity of the self’, there are poetic narrators who live a life inseparable from the capitalist system, but do not assimilate it and try to objectify themselves by distancing themselves from it. However, since the poetic situation revealed in the work is forced to be pushed out of work even if they put all their time and effort into labor, their self-awareness is inevitably negative. Works that can be analyzed from this perspective include 「On the platform」, 「Burnout」, 「If we were as wise as Spiders」, 「Flower of Irregularity」, and 「Outside Work」. In chapter 4 ‘Labor objectification and feelings of alienation’, It is intended to deal with the feelings of sadness and alienation that the poetic narrator has due to the phenomenon of the human mind and labor being materialized. Although workers produce products and provide services necessary for society, the value of their labor becomes poorer and the status of workers continues to decline. Whenever the poetic narrator encounters and recognizes such a situation, he experiences that he is no longer the subject of labor and is alienated. Works that can be interpreted from this point of view include 「Call Center Sorry 1 – Jazz Quartet」, 「Call Center Sorry 2 – Transcript」, 「Filtering」, and 「one serving」. As the pattern of labor has changed rapidly since the 2000s, workers' experiences of self-awareness and affect have a very different character from that of the last century's labor. This thesis provides an overview of the flow of labor poetry in Korea since the 1970s, and how the patterns of labor and workers' consciousness have changed in such a historical context. Based on this tr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insecure employment and poor working conditions due to labor flexibility since the 2000s, and viewed this as a shift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letariat to the consciousness of the precariat. In that sense, the precariat consciousness and new aspects of labor in Choi's poetry can be said to show a changed phase of labor poetry in Korea.

      • 중국 이주청소년의 초국적으로 확장되는 프레카리아트 경험 : 성인기 이행과정에서의 미래기획을 중심으로

        채소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95

        Since 2010, with the rapid increase of overseas Koreans holding overseas Korean visa(F-4) and permanent visa(F-5)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adolescent children who have migrated to South Korea has also increased. Chinese immigrants Youth’s have become a representative group that display cases of family migration and chain migration. By analyzing the family,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s of Chinese youth who migrated to South Korea to live with their par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ir difficulties in socially integrating into mainstream society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auses of such difficulties as social mobility of migrant youths and to provide alternative thinking to reduce the transnational precarity they face. For this study,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us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youth immigrants, 4 males and 3 females between April and September of 2020. The first finding is that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being left-behind in China after their parents migrated to South Korea had to face lack of parental care and educational support due to the absence of their parents. The participants had to spend their adolescence in a precarious environment because of frequent moving, transferring schools and frequent change of caregivers.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encountered considerable tension and conflict with their caregivers who took care of them in China in their daily lives. Also,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receive transnational care from their parents who migrated to South Korea.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lack of adequate parental care and educational support in China, which affected their low academic interest and achievement. These educational experiences in China had a negative impact when they tried to enter the mainstream society as self-empowering subjects in South Korea. The second finding is that the Chinese immigrant youths developed their own strategies fo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aspirations for upward mobility in the cases of dropping out of school or entering university after migrating to South Korea. Unlike their migrant-worker parents, they wanted to achieve the status of foreign students and professional foreigners. However, in the situation where the national, family, and educational safety nets are all precarious, both groups experienced different forms of youth precariat. Youth migrants dropped out and making a living as part-time workers after cessation of education experience youth precariat life as they cannot find a way to move from the status of migrant workers after entering the secondary labor market in South Korea.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they try to develop self-empowerment through strengthening their learning ability, networking strategies with Korean students, transnational education practices, and identity reconstruction strategie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m to achieve upward mobility due to factors such as the learning gap with Korean students, the job information gap, soci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Chinese immigrants. Contrary to expectations, they were in a precarious condition continuing their work for labor. The third finding is that the transnational connection with China does little to serve as an alternative to resolve the Chinese migrant youth's precariat status in South Korea. In the case of school dropouts, returning to China means being in a more precarious situation than staying in South Korea.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they hope to find a job in South Korea rather than in China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because low wages and living standards in China are unattractive working conditions. They recognize that South Korea is the best place to achieve their aspirations and potential as young people. However, with increasing social discrimination, cultural bigotry, and economic inequality against migrants in South Korea, it is not easy for Chinese migrant youth to move into the mainstream society and secure both economic benefit and cultural recogni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open public discussions to invite new perspectives and approaches for migrants'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 is necessary for the restructuring of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s a result of the study, what youth migrants want in order to integrate into South Korean society has to do not only with economic achievement, but also cultural recognition and acceptance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Therefore, for future migrant social integr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youth migrants are both migrants and young people who need to be understood through their expectations and aspirations they have in order to build their stable future in South Korea. As such, their voices must be heard and reflected i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inally, the discussion of social integr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institutional level. At the social level, the youth migrants should be accepted and included in the youth category and youth discourse in Korean society with more concern and sympathy for them. 2010년 이후 재외동포비자(F-4)와 영주자격(F-5) 소지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들의 청소년기 자녀들이 한국으로 이주하는 경우 또한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 가운데 중국에서 입국한 청소년(중국 이주청소년)들은 가족이주와 연쇄이주의 대표적인 집단이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10대 청소년기에 부모가 있는 한국으로 이주하게 된 중국 이주청소년의 가족, 교육, 일 경험 분석을 통하여 이들이 한중 양국 모두에서 사회의 주류에 통합되기 어려운 현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이주청소년의 사회적 이동이 어려운 원인을 분석하고 이들이 직면한 초국적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한 대안적 사유를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심층면담은 2020년 4월~9월 사이에 7명의 이주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결과, 부모의 한국 이주 후 중국에 혼자 남겨졌던 연구참여자들은 중국에서 돌봄과 교육지원의 결핍을 경험해야 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중국에서 잦은 이주와 전학, 주 양육자가 빈번하게 교체되는 불안정한 환경 속에서 아동·청소년기를 보내야 했다. 특히 중국 현지에서 자신을 돌봐주는 제3의 돌봄제공자와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중에 다양한 긴장과 갈등상황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한국으로 이주한 부모에게서도 초국적 돌봄을 제공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대다수 연구참여자들은 중국에서 돌봄과 교육지원의 결핍을 경험하는 가운데 학업에 관심이 없는 형태로 학창시절을 보내게 된다. 이러한 중국에서의 교육경험은 한국 이주 후 이들이 자기계발을 통해 한국 주류사회로의 진입을 시도할 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결과, 이주청소년들은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전략과 상향이동에 대한 열망을 갖고 있었다. 이들은 이주노동자 부모세대와 달리 외국인 유학생, 전문직 외국인의 위치로 이동하기 원했다. 그러나 국가, 가족, 교육 안전망이 모두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두 집단 모두 형태는 다르지만 청년 프레카리아트(precariat)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학력중단 이후 아르바이트생의 삶을 살게 된 이주청소년들은 2차 노동시장에 진입한 이후 이주노동자의 위치에서 이동할 방법을 찾지 못하게 되면서 청년 프레카리아트 경험을 하게 된다. 대학진학 사례의 경우, 학습능력 강화, 한국 학생들과의 네트워크 형성, 초국적 교육실천, 정체성 재구성 전략 등을 통해 자기계발을 강화해 나갔다. 하지만 한국 대학생들과의 학습격차, 취업정보 격차, 중국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 등의 요인으로 인해 학력취득을 통한 상향이동을 실현하기 어려웠다. 이들은 오히려 노동을 위해 해야 하는 일(work for labor)을 지속하는 청년 프레카리아트의 위치에 놓여 있었다. 세 번째 연구결과, 중국과의 연결성이 이주청소년이 한국에서 경험하는 청년 프레카리아트의 경험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중단 사례의 경우, 중국에 다시 돌아가는 것은 한국에서보다 더 막막한 미래에 처하게 되는 것을 의미했다. 대학진학 사례의 경우, 중국 현지 대학 졸업생의 수준에 상응하는 낮은 임금과 생활수준은 매력이 없는 노동조건이었다. 이들에게 한국은 청년으로서 갖고 있는 자기 삶에 대한 열망과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로 인식되고 있었다. 하지만 한국사회의 이주자에 대한 경제적 불평등 뿐 아니라 사회적 차별과 문화적 혐오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중국 이주청소년들이 한국사회의 주류로 이동하여 경제적 성취와 문화적 인정을 동시에 실현하는 삶은 쉽게 전개 될 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이주자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문제 즉, 한국의 이주자 사회통합 정책이 어떻게 재편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공론장이 형성되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청년이주자들이 한국에서 원하는 삶은 경제적 성취 뿐 아니라 문화적 권리를 인정받고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수용되는 것이었다. 향후 이주자 사회통합 정책에서는 이주청소년들이 이주자인 동시에 청년인 것을 이해하고 이들이 한국이주에 대해 어떤 기대와 열망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사회통합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 차원에서도 청년이주자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를 이끌어 내기 위해 이들의 상황을 살펴보고 청년이주자들의 목소리를 한국의 청년범주와 청년담론 안으로 수용해야 할 것이다.

      • <Working O`range>: 미디어아트 속 청년 프레카리아트의 초상

        차유나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61

        현대 디지털 시대의 청년 프레카리아트 노동자들은 고용불안과 인지노동의 일상화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서 살아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청년 프레카리아트 노동자들으 ㅣ고통을 시각화하고 장착형 기계장치의 작품을 통해 청년의 인지 노동으로부터의 정신적 고통을 재현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자의 작품 <Working O`range>은 물리적 고통을 통해 신체의 반응을 기록함으로써 인지 노동의 정신적 고통을 재현해 보인다. 작품의 고문 장치는 머리 장착형 기계장치로 뇌 모양의 형태를 띠며 뇌 양옆으로 나온 네 개의 손가락 형태 기계 장치를 장착한 관람객에게 고문을 주는 방식이다. 신체적 반응은 정확히 고통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거기에 고통이 있음을 상기시키는 역할이다. 동요되는 자신의 심박 데이터를 보면서 관람객은 고통을 인지하며 신체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인지 노동자는 자신의 신체 데이터를 인지하며 자기애를 바탕으로 고통을 통해 저항을 하게 된다. 고통의 정도는 심박데이터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되며 정량적 수치의 심박 수가 그래픽 이미지로 시각화 된다. 본 연구의 작품은 감상하는 관람객이 개인의 문제를 사회적으로 확장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그로 인해 전시작품이 관람객 자신의 문제를 투영하고 있다고 느끼는 계기로 연결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정신적 고통을 장착형 기계장치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신체와 기계장치가 결합한 상호작용적 미디어아트에 있어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감각은 수치화하기 힘들고, 고통 역시 감각적 현상이다. 사회적인 시각에서 보았을 때 일부 개인의 감각은 그리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프레카리아트라는 사회현상을 해석하고 개인에게 미치는 불안함의 고통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미디어아트라는 예술적 시도로 풀어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

      • 금융자본주의 시대 영화의 포스트-컨티뉴어티 연구

        김선형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2

        In the age of 21st century, more specifically after 2010, not a few films addressing the issue of ‘class’ were witnessed which was abolished long time ago. It seems anachronistic to raise this issue in the time of neoliberalism of which the ideology is limitless freedom. Even digital(and post) cinema boasting flamboyant images has ‘class’ issue in the core of its narrative. Thus, this dissertation argues the phenomenon is symptomatic of class society, and that was the very start of this research. Not just economic class but more diversified forms of class, which is social and cultural class, exist now and the root of it is obviously capital, not of previous systems but of financial capitalism. The expansion of ‘class’ from economic to social and cultural field is the result of introduction of neoliberalism as the economic system, which places ‘financial capitalism’ in the center of its operation. Capital adroitly capitalizes on human desire for consumption not for use-value but for sign-value. The triad of ‘capital-desire-class’ works closely together and in the core of this dynamics lies ‘ubiquitous computational media’, which spread spectacular and enticing images worldwide in an instant. ‘Neoliberalism’ came after late capitalism in the 70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reedom, but it was actually designed and introduced to reinstate the power and wealth of the rich. The core device of this new system called financial capitalism employs ‘derivatives’ for the infinite increase of the capital, especially that of the upper class. As a result, this new system caused serious problems such as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dramatically and giving rise to more intensified class divide not just in visible economic field but in invisible cultural field as well.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new economic system is for the accumulation(or dispossession) and the increase of the capital, so it actively encourages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simulacra. This process is facilitated by Post-Fordist production system and that gave birth to the new class called ‘precariat’. These are the subjects who are burdened with the instability of subsistence and under the precarious life condition, they become split and pathological being. Films which narrate capital, desire, class and pathological subjects in the age of financial capitalism were analyzed in depth in chapter 2. Interestingly, these films also showed very new and unintelligible images irrespective of the graveness of the theme. These images depart from the previous film language in a sense that they are not competing with the narrative, not having obvious political purposes like those of political modernism films, nor showing off adrenaline-gushing images. They are not totally new but they don’t belong to any of the previous film language, so these new images were hard to define or categorize. This study found that each film had its own distinctive images but they all shared common aspect, which is the interference of the film continuity. To put it in another word, they are post-continuity images of post cinema. To clarify the images of films in this study, two new terms, ‘intermittent continuity’ and ‘images of aboundary’, were coined and with these new concepts, film images were analyzed in terms of esthetics in chapter 4 and 5. After the analysis of narratives and esthetics of images respectively, the next study was aimed at finding the implication of these images. These images exist in the films in an independent and individual way, which means they are not intertwined strongly with the narrative nor foregrounded on their own. The images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films in a very balanced way with the narrative with the same weight. This study finds the implication of these images is the reflection of the ‘feeling of structure’ of our time. In another word, the reflection of the flow of ‘affect’ of the world now where computational media and postmodernism thrive. Computational media are everywhere and they work below the threshold of conscious awareness. Postmodern world tore down the preexisting boundaries. In this respect, the two newly coined images mirror the affect of the present society. Films are moving images. We are moving images. Everything in this world is moving, changing and influencing one another. Films observe the world and produce and disclose it. In this film world, we experience the world with spectacle(affect) and narrative, which expand to the semiotic world of meaning. Films as moving image reflect our world and with the film experience, we broaden our horizon and adapt ourselves to the new world. 본 논문의 연구는 21세기의 시대, 더 구체적으로 2010년 이후의 영화들이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발화하는 계급의 문제, 그것의 목격에서 시작되었다. 제도적으로 소멸한지 오래인 계급의 문제를 현란한 기술을 자랑하는 디지털 영화 또는 포스트 시네마들이 스펙터클 이미지와는 별개의 문제로 제기하고 있는 현상을 본 연구자는 현대 사회가 보이지 않는 또 다른 계급사회라는 것, 그것을 영화들이 징후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판단하면서 현대의 계급문제를 이 글 연구의 출발점으로 설정하였다. 현대사회의 계급은 경제계급으로만 환원할 수 없는 좀 더 복잡하고 다원화된 계급, 즉 문화계급과 사회계급의 영역으로 확장되었으며 그 근저에는 당연히 자본이 자리 잡고 있다. 자본은 현대인의 욕망과 긴밀한 관계역학을 형성한다. ‘자본-욕망-계급’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역학의 중심에는 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매체 변화, 즉 전 세계를 동시에 연결하고 공간의 경계를 무너뜨린 새로운 매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비쿼터스 컴퓨테이셔널 미디어의 등장이 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 하에 자본은 ‘금융자본주의’ 체제로 작동한다. 1970년대 후반 기득권의 부의 회복을 위해 ‘자유의 수사학’을 앞세워 등장한 신자유주의의 핵심 구동 장치인 금융자본주의는 ‘파생상품’을 통해 자본을 무한 증식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실물이 아닌 가상의 화폐로 활동하는 금융자본주의 작동방식을 통해 증식하는 자본은 빈부격차와 부의 양극화를 심화시켰음은 물론이고 경제자본이 전환되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은 자본가의 총자본량을 증대시킴으로써 경제 영역 뿐 아니라 문화사회 영역에서까지 격차를 발생시켰고 이것이 결국 현대의 계급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실물의 소비가 안고 있는 한계를 기호 소비로의 전환으로 극복하고자 한 현대의 자본주의는 기호/표층/기표인 시뮬라크르의 이미지를 전지구적으로 유포하면서 욕망을 증식시켜 그 목표를 성취해 낸다. 이러한 과정에 새로이 등장한 것이 포스트-포디즘적 생산 환경과 그 과정에 소용되는 프레카리아트 계급이며 이들은 불안을 안고 사는 소모되는 존재들인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대 사회를 조명하는 영화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그들이 말하는 현대사회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그런데 이 영화들은 서사와 직접적인 연결성을 갖고 있지 않지만 영화 전체의 중심 구조를 형성하는 독특한 이미지들을 전시하고 있었다. 서사와의 우열의 문제, 이미지를 통한 정치성의 발화, 또는 이미지 자체의 전시, 이 어느 범주에도 포함되지 않는 분석 영화들의 이미지, 그것의 의미를 찾아내는 것, 그것 또한 본 연구자에게 또 하나의 난제로 다가왔다. 본 연구자는 이들 영화들이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포스트 시네마로 범주화하면서 특히 이들의 특징을 불연속성을 의미하는 포스트-컨티뉴어티 이미지에 소속시켰다. 그리고 이들 이미지를 미학적으로 분석한 후 이들의 시대적 함의를 탐색하는 것으로 논문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자가 의미의 명료화를 위해 새로이 제안한 ‘단속적 연속성’과 ‘몰경계의 이미지’는 인간의 지각 하에서 작동하는 매체 환경과 경계가 무너진 포스트모던한 현재의 정동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영화가 드러내는 이들 이미지들은 무의미한 스펙터클의 전시가 아닌 시대의 반영, 즉 현재의 감정구조를 반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무빙 이미지인 영화는 우리의 세계를 반영한다. 세계를 관찰하고 만들고 드러낸다. 그리고 우리는 그 영화들을 정동적, 서사적, 그리고 의미론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금융자본주의 사회의 자본-욕망-계급의 문제를 영화들은 서사를 통해 드러내고 있었으며 이 과정 이전에 앞서 이들 이미지가 갖고 있는 특성, 즉 기표화되지 않은, 바꿔 말하면 의식 하에 존재하는 정동들, 현대 사회의 정동의 흐름을 이들은 반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화의 정동과 서사의 체험은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기호로 확장된다. 무빙 이미지인 영화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보여주고 또 우리는 그 영화들을 통해 세상을 보고 느끼고 적응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영화들이 말하는 금융자본주의의 사회의 특이성, 그리고 그 사회를 보여주는 이미지들은 현재 사회를 총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우리 또한 그 사회를 영화를 통해 인지하면서 인식의 지평을 넓혀가는 것이다.

      • 제4차 산업혁명시대 미술계의 변화에 따른 신진예술가의 인식 및 태도 연구

        이윤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6

        Historicall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influenced the changes in art and its relationship with art. Focusing on the art world which is undergoing rapid changes in the ea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has changed in the domestic art world, how emerging artists perceive and accept changes, and how they respond to th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art worl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dia reports have been reviewed using keyword analysi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young visual artists born between the late 1980s and the mid-1990s. Through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16 main categories and three themes were founded: artists’ attitudes, artists’ perception, and artists’ response toward the toward the changes of art world by technology. First, the attitude of emerging artists toward technology could be examined as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ccept technology. The intention to accept technology was divid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benefit factors includi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sychological factor', 'economic benefit' and sacrifice factors including ‘degradation of artistry', 'distrust', 'perceived cost' and 'technical complexity.’ Second, artists’ perception was explored through the idea of substitutability of whether there would be a change in the position and role of an artist due to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developing anxiety about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and impossible points of technology are distinguished, and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tool to assist artists, thereby relieving anxiety and raising expectations for new opportunities. Third, the strategies to live as an artist were derived from the self-identification and self-reflection or artists. The emerging artist identified themselves as an influencer, rational researcher, and stimulator of society. Ultimately, an artistic entrepreneurial practice is required to create artistic, social, and economic values by capturing opportunities as a small business and recombining resources. 역사적으로 기술의 발전은 예술과의 상호적 관계 속에서 예술의 변화에 영향을 끼쳐왔다. 본 연구는 최근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의 적용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미술계에 주목하여 제4차산업혁명 기술이 국내 미술계에 어떠한 변화를 가지고 왔으며, 신진예술가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어떠한 태도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술이 가져온 미술계의 변화를 각 기술별, 그리고 미술계 내의 가치사슬 단계별로 살펴보았으며 국내 언론보도의 키워드 분석 및 관계도 분석을 함께 활용하였다. 또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에 출생한 20명의 신진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질적내용분석을 통해 16개의 범주를 기술에 대한 태도, 기술에 대한 인식, 예술가의 역할 및 대응전략의 주제로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진예술가들의 기술에 대한 태도는 예술가 활동에 있어 기술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살펴볼 수 있었다. 기술수용의도는 개인적 특성과 기술적 특성으로 나뉘었으며, 이 중 기술적 특성은 혜택 요인으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심리적 요인’, ‘경제적 혜택’이, 희생 요인으로 ‘예술성 저하’, ‘불신’, ‘지각된 비용’, ‘기술의 복잡성’이 나타났다. 둘째, 기술에 대한 인식은 기술로 인해 예술가의 입지 및 역할에 변화가 있을 것인지의 대체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통해 탐색하였으며 ‘불안감의 인식 및 전개’, ‘기술이 대체 불가한 영역에 대한 믿음’, ‘도구로서의 기술’, ‘새로운 기회에 대한 기대감’이라는 네 가지 범주를 도출하였다. 기술에 대한 인식은 대체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인식 및 전개되는 과정에서 기술의 대체 가능 지점과 불가능 지점을 구분하게 되고 기술을 예술가를 보조하는 도구로서 인식하게 되면서 불안감을 해소하고 결과적으로는 새로운 기회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되는 인식의 연속적인 흐름을 확인하였다. 셋째, 예술가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대응 전략은 MZ세대 예술가의 특징, 예술가의 정체성, 예술가에게 필요한 자질로 살펴보았다. 신진예술가들이 생각하는 예술가는 인플루언서, 합리적 연구자, 사회의 자극제로서의 정체성을 갖는다. 이는 전통적으로 인식되어온 예술가의 역할과 기대가 시대와 세대의 변화에 따라 달라졌음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 기술로 인해 변화하는 미술계에서 프레카리아트의 지위를 벗어나 예술가로서의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예술가 스스로가 하나의 소기업으로서 기회를 포착하고 자원을 재조합하여 예술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예술기업가적 실천이 요구된다.

      • 한국의 방과후강사 노동자지위 인정투쟁

        윤희만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7

        Abstract Recognition Struggle for Status of Workers of After-School Instructor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YunHeeMan Department of Sociology The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collective resistance of after-school instructors, one of the precarious workers who started the recognition struggle toward improving the status of workers in the crisis of COVID-19, was possible and what the social meaning of their demands for legitimate worker status is. To do this, Standing’s Precariat theory, which is the most widely known in the theory of precarious labor, was reviewed, and Honneth's Struggle for Recognition theory and Tilly's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were analyzed. Through this, five conditions were identified for the ‘exposed resistance’ of after-school instructors as follows: first, overcoming ideological recognition, second, alternative prospects, third, overcoming the cost of resistance, fourth,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fifth, securing solidarity and support through empathy. The resistance of after-school instructors started from them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precarious work in the crisis of COVID-19 and being ignored while socially alienat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sis and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collective solidarity and resistance obtained through the empathy of colleagues and the sympathy expressed in the form of ‘support’ from outside. Meanwhile, the reason that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after-school instructors appeared as a demand for recognition of worker status is due to the realization that the neglect experienced in COVID-19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but is the essential limitations of precarious work. Recently, although employment insurance has begun to be applied to after-school instructors to build a social safety net against precarious work, it is not expected to be of much help to after-school instructors whose unemployment concept is ambiguou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net for precarious labor should have its meaning when it is reviewed in an effort to improve labor status, which is more fundamental problem related to precarious work. The resistance of after-school lecturers is not an exceptional or accidental phenomenon within the precarious labor group, but a universal phenomenon as a resistance to protect human dignity in the midst of life crises, and such resistance from precarious workers will continue to appear. In this regard, the practical and academic interest should go beyond merely observing precarious labor, as being developed in the context of critically analyzing the unreasonable recognition relationship that exists in their labor, and moving toward 'empathy' so that their legitimate demands for recognition can be revealed. keywords : after-school instructors, precarious labor, precariat, struggle for recognition, COVID-19,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이 연구는 코로나19의 위기 상황에서 노동자지위를 향한 인정투쟁을 시작한 불안정노동자인 방과후강사의 집단적 저항이 어떻게 가능하였으며, 이들의 노동자지위에 대한 요구가 갖는 사회적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불안정노동에 관한 이론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스탠딩의 프레카리아트 이론을 검토하였고, 호네트의 인정투쟁이론과 틸리의 자원동원이론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밝혀낸 방과후강사의 강사의 ‘드러나는 저항’이 가능한 조건은 다섯 가지이다. 첫째 이데올로기적 인정의 극복, 둘째 대안적 전망, 셋째 저항의 비용의 극복, 넷째 인정투쟁의 정당성 확보, 다섯째 공감으로 통한 연대와 지원의 확보이다. 방과후강사의 저항은 코로나19라는 위기 속에서 불안정노동의 한계의 인식과 위기의 극복과정에서 사회적 소외라는 무시를 경험에서 출발하고 이에 대한 동료의 공감, 그리고 외부의 ‘지원’이라는 공감을 통해 집단적 연대와 저항을 통해 가능하였다. 한편, 방과후강사의 인정투쟁이 노동자지위의 인정요구로 나타난 것은 코로나19에서 무시의 경험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고 불안정노동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 때문이라는 자각 때문이다. 최근에 불안정노동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의 구축을 위해 고용보험이 방과후강사에게도 적용되기 시작했지만 실업개념이 모호한 방과후강사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기 때문에 불안정노동에 대한 안정망 구축은 불안정노동에 관한 노동지위 문제라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하려는 노력 속에서 검토되어야 의미를 갖는다. 방과후강사의 저항은 불안정노동집단 내 예외적이거나 우발적인 현상이 아니라, 삶의 위기 속에서 인간의 존엄을 지키기 위한 저항으로 보편적인 현상이며, 이와 같은 불안정노동자들의 저항은 계속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천적, 학문적 관심은 불안정노동을 관찰하는 것을 넘어, 이들의 노동에 존재하는 불합리한 인정관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이들의 정당한 인정요구가 드러날 수 있는 ‘공감’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불안정 노동 : 마르크스주의적 설명

        정진영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3

        이 논문은 마르크스가 그의 1867년 저작 『자본』1의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23장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을 논하는 가운데 특별히 제4절 “상대적 과잉인구의 여러 존재형태.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법칙”에서 개별 노동자들의 존재형태(Existenzformen; existence form)를 다루는 데서 출발하고 있다. 그것은 마르크스가 자본의 축적과정을 논하는 가운데 왜 노동자들의 존재형태를 논하고 있는가, 왜 노동자들의 실존 즉 생활세계 속의 개별 노동자들의 삶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논하고 있을까라는 물음이다. 이 물음은 1970-80년대 이후 현재까지 유럽과 미국 및 남한과 여타 자본주의 사회경제 체제에서 불안정노동을 논하기 시작한 것과 어떠한 동일성·차별성이 있는가를 따져 묻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는 논쟁적 성격을 담고 있다. 마르크스는 자본의 축적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끊임없는 노동착취, 자본가와 자본운동 일반의 은폐된 가면적 공작에 의한 노동자들의 경제적 예속, 그리고 그 은폐 공작을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일시적 임금 인상과 복지 개선으로 이어지는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 속에서의 사회복지 정책 집행으로도 결코 노동자들의 삶의 불안정성(precarity)을 해소시킬 수 없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설명의 이론적-실천적 정당성을 논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마르크스가 노동자계급의 항상적 불안정성을 논한 것과는 다르게, 현단계 21세기에 세계 자본주의의 사회-경제 체제에서의 노동자계급 불안정성을 왜 우리가 새삼스럽게 논하고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마르크스의 관점을 배제 혹은 거부하는 가이 스탠딩의 프레카리아트(The Precariat, 2011)론을 비롯한 비마르크스주의적 (및 이에 추수하는) 논의들이 논리적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마르크스주의 연구자들의 비판적 접근을 살펴볼 것이다. 첫째, 프롤레타리아트 계급 개념의 오해, 둘째, 산업예비군론의 오해, 셋째, 자본에 의한 노동의 형식적 포섭론의 오해, 넷째, 자본주의적 생산관계 분석의 결여, 다섯째, 노동자계급의 분열을 조장하는 반노동조합주의, 여섯째, 유럽중심주의와 글로벌 남반구 불안정 노동 현실의 무시이다. 이 논문은 마르크스의 자본축적-산업예비군-자본의 이윤율 저하 경향-노동의 종속[포섭]론을 적용하여 자본주의에서 노동계급의 항상적 불안정성 현상을 설명할 것이다. 또한 21세기 현대자본주의의 ‘노동유연화 축적체제’에서 노동의 유연화가 노동자들의 불안정노동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것을 논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노동의 유연화는 플랫폼 기반 노동에서 노동자들의 불안정노동을 구체적으로 더욱 가속화시키고 21세기 노동예비군을 확대재생산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문제는 자본에 의한 노동의 형식적 포섭과 실질적 포섭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다. 결론에서 필자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지배체제 구조를 변혁하는 체제혁명과 사회해방 없이는 불안정노동의 가속화-전면화를 끊어낼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노동자계급은 불안한 삶과 불안정한 노동조건을 숙명처럼 어찌할 수 없이 수동적으로 부여안고 살아가야 하는 것은 아니다. 노동자계급은 불안정한 사회적 관계의 자본주의적 가치 사슬을 끊어버리고 변혁을 추동하며 사회해방을 향한 계급투쟁의 주체적 혁명 세력이다. 이것은 마르크스의 “자유로운 인간들의 연합체”로서의 새로운 사회 테제와도 일치한다. 주요용어: 계급투쟁, 노동유연화 축적체제, 노동의 종속, 노동해방, 마르크스주의, 불안정 노동, 사회해방, 산업예비군, 자본축적, 자유로운 인간들의 연합체, 프레카리아트, 프롤레타리아트. This thesis discusses Marx’s 1867 book Capital, Part 7, the Process of Accumulation of Capital, and Chapter 23, the General Laws of Capitalist Accumulation, especially in Section 4, “Different Forms of Existence of the Relative Surplus Population. It starts by dealing with the existing form of individual workers in the “General Law of Capitalist Accumulation.” It is a question of why Marx is discussing the form of existence of workers while discussing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why he is discussing the existence of workers, that is, the precarious lives of individual workers in the life world. This question contains a controversial nature that it is necessary to ask what kind of identity-differentiation there is from the discussion of precarious labor in Europe,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other capitalist socio-economic regimes since the 1970s and 1980s. Marx describes the continuous exploitation of labor in capital accumulation, the economic subjugation of workers through the concealed and masked operation of capitalists and the capital movement in general, and the cover-up operation. It raises the problem that eve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welfare policies in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system leads to temporary wage increases and welfare improvements: the precarity of workers’ lives. This thesis focuses on discussing the theoretical-practical justification of the Marxist explanation. Furthermore, just as Marx discussed the constant precariousness of the working class, it is inevitable to examine why we are talking about the instability of the working class in the social-economic system of global capitalism in the present 21st century. It is because non-Marxists and subsequent discussions, including Guy Standing’s The Precariat (2011) theory of Eurocentrism that exclude or reject Marx’s point of view, claim logical justificat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ritical approach of Marxist researchers as follows. Firs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proletariat; second, the mis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the industrial reserve army; third, the misunderstanding of the formal subsumption theory of labor by capital; fourth, the lack of analysis of capitalist relations of production; fifth, the anti-labor that promotes division of the working class Unionism; sixth, Eurocentrism and the global South’s disregard of precarious labor realities. It explains Marx’s logical justification that the constant precariousness of the working class occurs through the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capital accumulation - industrial reserve army – capital’s tendency to decrease the rate of profit - labor subordination [subsumption]. It also discusses that labor flexibility accelerates workers’ precarious labor in the ‘labor flexibility accumulation regime’ of contemporary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 It leads us to how to interpret the formal and actual subsumption of labor by capital. In addition, this labor flexibilization specifically accelerates workers’ precariousness in platform-based work and attempts to confirm that the 21st-century reserve army of labor is being expanded and reproduced. It leads us to discuss how to interpret the formal and actual subsumption of labor by capital. The conclusion asserts that without structural system revolution and social emancipation of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domination system, it is impossible to lay the groundwork for cutting off the acceleration-totalization of precarious labor. In other words, it is because the working class is not forced to passively live such an unstable life and unsafe working conditions as if it were fate. Instead, the working class is a revolutionary force in the class struggle for social liberation by breaking the capitalist value chain of precarious social relations and driving change. It is also consistent with Marx's thesis of establishing a new society as an “association of free humans,” a socialist society.Key Terms: the association of free humans. capital accumulation, class struggle, industrial reserve army, labor emancipation, labor flexibility accumulation regime, labor subordination, Marxism, precarious labor, precariat, precarious labor, proletariat, social emancipation,

      • 청년 불안정 노동자 운동과 담론정치 : 청년유니온이 최저임금 담론과 정책에 미친 영향

        정보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4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movements on minimum wage system and its public discourse. Youth Community Union (YU), which only specific age group can join, changed the discourse and policies of the minimum wage by framing youths as the minimum wage earners and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minimum wage decision process. In order to analyze this process, this study examines from when and how young people have emerged as one of the major party groups in the media discourse on minimum wage in Korea First, it was analyzed how the media have been describing the subject of the minimum wage in order to find what changes have actually occurred in the institutional discourse. As a result, the minimum wage was recognized as the wage that is not guaranteed but should be guaranteed to low wage laborers in the society at large when the institution is introduced. Since the 2000s, when irregular labor has increased in society as a whole, the minimum wage has been suggested as a way to reduce the gap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It was from the late 2000s that young people began to be mentioned as parties to the minimum wage. However, until the advent of YU, young people's labor was not recognized as labor which labor rights are guaranteed rather part-time jobs for university tuition or pocket money.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 YU movement provided a decisive moment in order for the minimum wage to become a severe problem for youths based on the following two grounds. Firstly, ‘youth’ and ‘minimum wage’ are articulated with each other not in 2007 when the discourse upon youth was increasing drastically but in 2009 when the YU started their movement. Secondly, after YU’s establishment, the languages used in the discourse are changed from ‘College students’, ‘Alba Students’, and ‘Pocket money’ into ‘Youth’, ‘Labor (including part-time job, irregular work, and internship)’, and ‘Minimum wage’. Second, the strategies that the YU used to change the minimum wage discourse and their results were investigated. The YU conducted surveys of the non-compliance with the minimum wage in convenience stores nationwide and street campaigns informing about the minimum wage to the public, through which the YU obtained an image of youth as ‘the laborers at below the minimum wage’. In 2012, the slogan “Minimum wage is the youth’s wage” was put forward. Utilizing creative contents and various media channels, YU aimed at making its minimum wage movement a youth precariat’s movement. Therefore YU succeeded in articulating minimum wage earners with youth generation. After recognized as concerned parties to minimum wage based on this movement, YU began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minimum wage and in formulating policies for compliance with minimum wages. First of all, mobilizing the progressive Seoul metropolitan city mayor as a political opportunity, YU conducted a social bargaining for minimum wage compliance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spread it. Furthermore, YU claimed that a youth representative should be included in 9 labor commissioners. Accordingly, a YU official became one of the minimum wage committee members in 201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hanges in the discourse and the institution, which have been changed by YU movement, were strengthened through the mutual interaction. YU has laid the foundation for youth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 process of the minimum wage by introducing youth in the discourse on the minimum wage. Also, the social bargai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minimum wage commission brought the YU's position as an important precariat’s movement. Thus, the reports that minimum wage is so much important to youth kept increasing. In summary, it was revealed that the frame of youth as the minimum wage earner is not only explained by the social structural change. Rather, the social movement which identified the minimum wage issue actively argued that the minimum wage is important for youth precariat, courtesy of which the agenda-setting of the institution has changed. When the strategies are successful, a social movement can hav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institutions, as well as change the agenda-setting in discourse. 이 연구는 국민의 기본적인 소득보장을 위해 도입된 최저임금 제도와 이를 둘러싼 공공담론에 사회운동이 미친 영향에 대해 다룬다. 한국 최초의 세대별 노동조합 청년유니온은 최저임금 당사자로서 청년을 부각하고 이를 공론화시킨 다음 최저임금 결정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면서 최저임금 담론과 정책을 변화시켰다. 이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이 연구는 한국에서 최저임금에 관한 미디어 담론 내에서 청년이 어느 시기부터 어떤 과정을 거쳐 주요 당사자 집단으로서 등장했으며, 그와 같은 최저임금 담론 변화 과정에 청년 불안정 노동운동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실제로 제도담론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디어에서 최저임금 제도의 주체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최저임금은 제도 도입 시기에는 사회 전반의 저임금 노동자가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혹은 보장받아야 할 최소한의 임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후 2000년대 사회에 전반적으로 비정규 노동이 증가하면서 최저임금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시되었다. 청년은 2000년대 후반에 들어 비로소 최저임금의 당사자로서 언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청년유니온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청년의 노동은 ‘대학생의 용돈벌이’쯤으로 인식되었고 아르바이트는 노동권을 보장받아야 할 ‘노동’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최저임금제도와 청년이 만난 것이 2007년 이후 청년 담론이 폭증하던 시기가 아닌 청년유니온이 운동을 시작한 2009년부터라는 점, 청년유니온 등장 이후 담론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대학생’, ‘알바생’, ‘용돈벌이’에서 ‘청년’,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인턴 등을 포함한 ‘노동’과 ‘최저임금’으로 변화하였다는 점을 바탕으로 최저임금이 청년의 문제로 자리잡게 하는데 청년유니온의 운동이 결정적 계기를 제공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청년유니온이 최저임금 담론을 변화시키기 위해 활용한 전략과 그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청년유니온은 거리 캠페인과 함께 편의점 아르바이트 실태조사를 통해 편의점에서 노동하는 청년들이 최저시급에 준하는 임금을 받고 있는지, 최저임금액을 정확히 알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여 ‘최저임금도 못 받고 있는 청년 노동자들’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2012년 본격적으로 당사자운동을 시작하면서는 “최저임금은 청년임금”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청년유니온은 다양한 콘텐츠와 채널을 통해 최저임금이 곧 임금이 될 수 밖에 없는 노동자의 이미지를 청년에 부여함으로써 최저임금을 청년의 문제로, 최저임금 운동을 청년 노동자의 운동으로 만들어 나가고자 했다. 이러한 운동을 바탕으로 담론장 내에서 청년 또한 최저임금의 당사자임을 인정받은 뒤에는 최저임금 결정하는 과정과 최저임금 준수를 위한 정책을 만드는 데에도 직접 참여하기 시작했다. 먼저 진보적 서울시장을 정치적 기회로 활용하여 사회적 교섭을 맺고, 지역자치단체 차원에서 최저임금 준수를 위한 조례 등을 만들고 이를 확산시켰다. 최저임금위원회 노동계 위원에도 청년이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하여 2015년부터는 청년 당사자 대표로서 청년유니온 간부가 최저임금위원회 노동계위원 중 한 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하여, 청년유니온 운동의 전략으로 인한 담론과 제도 두 영역에서의 변화는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강화된다는 점도 발견되었다. 청년유니온은 최저임금 담론에서 청년 당사자를 등장시킴으로써 최저임금의 결정과정에 참여하게 되는 기반을 다졌으며, 최저임금위원회 활동과 지방정부와의 거버넌스 활동 또한 청년 불안정 노동자 운동으로서 청년유니온의 입지를 다지는 계기가 되어 미디어 노출을 다시 높이며 최저임금이 청년에게 중요한 문제라는 보도가 계속 증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최저임금 담론의 변화과정에서 청년도 최저임금의 당사자라는 문제의식이 사회구조적 변화로만 설명되지 않음이 밝혀졌다. 오히려 최저임금 문제를 포착한 운동주체가 청년에게 최저임금이 중요하며 그렇기 때문에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을 적극적으로 펼침으로써 담론장 내에서 제도의 의제설정이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운동은 이러한 변화를 만들기 위해 전략적인 행위를 하고 그 전략이 성공적일 때 의제설정 변화와 더불어 제도의 결정과정에까지 직ㆍ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