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여성의 노후소득보장과 노동에 관한 연구

        이정화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복지국가와 여성 간의 관계는, 복지국가가 여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물음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복지국가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선진화된 수준에 속하는 복지국가에서도 여전히 여성에 대한 제약과 불평등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Mandel, 2009; Mandel and Semyonov, 2006). 그렇다면 오늘날 공적연금제도과 여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공적연금제도의 효과는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무엇으로부터 이 같은 역할의 차이가 발생하는가? ‘노동시장의 프리즘’(Meenaghan and Washington, 1980)을 통하여 정책대상을 규정하는 공적연금제도의 구조에서, 동 제도와 노동과의 교차점은 여성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특성을 형성하고, 또 어떠한 차이를 발생시키는가? 이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공적연금제도에 대한 가입 및 수급의 두 차원에서 동 제도와 여성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공적연금제도는 복지국가를 대리하는 변인으로서, 우리나라 복지국가에 대한 젠더 과제와도 관련을 맺는다. 또한 노후소득보장제도에 관한 연구이자, 사회보험의 운영방식을 적용하는 복지제도에 관한 연구로서도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을 사용하였으며, 50대의 중년여성과 60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정의하는 ‘공적연금제도’의 범위는 ‘국민연금제도’로 규정하였다. 이 논문은 총 3가지의 분석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연금제도에 대한 가입의 상태는 개인의 생애 노동경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행된 노동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드러낸다. 이에 <연구 1>(제4장)에서는 중년여성(50세-59세)과 공적연금의 적용(가입) 간의 관계를 분석하되, 노동 경력의 특징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조방정식(SEM)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생애적 관점의 노동변인을 생성하여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둘째, 공적연금제도는 여성의 노년기에 소득보장의 기능을 수행하는가? 또한 이 같은 역할은 어떠한 조건에서 차이를 드러내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연구 2>(제5장)에서는 여성노인(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공적연금소득제도의 소득보장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는 ‘빈곤발생확률’과 ‘가구소득(가구균등화지수)’를 통하여 측정되었으며, 성향점수매칭(PSM)을 결합한 이중차분(DD) 및 삼중차분(DDD) 방법을 적용하였다. 셋째, 여성노인의 노동은 근본적으로 세대에 걸친 공통적인 경험과 그로 인한 인적·가구적 특성, 그리고 사회적 변화와 복지제도의 도입·성숙기라는 총체적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우리나라 현 세대 노인, 특히 여성노인의 빈곤화는 과거보다 오히려 심화되는 양상인 바, 이들의 불가피한 노동공급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공적연금제도는 이들의 노동공급(감소)에 대하여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 <연구 3>(제6장)에서는 여성노인(60세 이상)의 노동공급 행태에 대한 공적연금제도의 기여도(노동공급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는 ‘경제활동 발생확률’과 ‘노동공급량(시간)’으로 측정하였으며, 성향점수매칭(PSM)을 결합한 이중차분(DD) 및 삼중차분(DDD)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성 인지적 관점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국민연금의 개혁에도 불구하고, 현 중년세대 및 노인세대의 여성은 여전히 남성생계부양자 모델(male breadwinner model)의 영향을 받는다. 이들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동안 노인인구를 구성하는 바, 사회보험 방식의 공적연금제도가 해당 세대가 지니는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중년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발생하더라도 사회보험 적용으로 연결되는 양질의 일자리인 경우에만 공적연금 가입 및 납부행위가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이들의 공적연금 가입은, 노후소득대비 상태에 매우 높은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개별 여성이 갖는 노동자로서의 지위와 노동의 조건에 의하여, 여성 간 공적연금제도와의 관계와 독립적인 경제력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여성노인이 수급하는 공적연금 급여는, 복합적으로 구성된 ‘빈곤발생률’보다는 ‘가구소득’에 보다 기여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공적연금제도의 소득보장 기능은 현금소득을 보완하는 다소 소극적인 수준으로 해석되며, 여성노인이라는 집단에 점철된 열위한 특성들을 보완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공적연금은 여성노인의 ‘경제활동 참여확률’ 감소에 기여하지만, 실제로 이루어지는 ‘노동공급량’에 대해서는 배출효과를 발생시키는 정도가 낮은 편이다. 표본에서 경제적 유인으로 인한 노동공급의 개연성이 유추되지만, 임금소득을 대체함으로써 노동공급을 감소시키는 역할은 소극적인 편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공적연금제도의 사회보험 속성이 비교적 완화된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는 곧 국민연금제도의 임의가입유형(voluntary contribu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도 공적연금제도의 지형을 확장시킴으로써 동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는 수단으로서도 의미를 갖는다. 임의가입유형 활성화를 통하여 유급노동 중심의 제도적 구조를 극복하게 되면, 국민연금제도 내부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정적 위험의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소납부기간’과 관련한 문제와, 남성배우자의 가입상태에 의하여 가입 지위가 변동되는 규정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후소득보장체계에서 제공되는 현금급여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안이 재정비되어야 한다. 현금급여만으로 노인의 경제적 안정성에 대한 보장 기능을 확보하기는 어려우므로, 국가?시장?자원 및 비공식분야의 복지혼합(welfare mix)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현 세대 여성노인이 내재하는 노동자로서의 취약성에 대한 제도적 보호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국가가 양호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노인에 대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법과 노동시장정책 측면에서 노인의 안정적인 고용을 추구하는 방향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여성노인의 노동시장 참여가 이들의 경제적 안정성을 확보하기에는 제한적이므로, 앞서 지적한 복지혼합의 활성화를 통하여 공적연금제도의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 중소기업 관점에서 기업간 동반성장 활동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정화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Recently, as the polariz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is deepening in terms of enterprise productivity,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merger and network between enterprises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the win-win growth that encompasses adapting to changes in the new industrial ecosystem, harmonizing export and domestic demand, and fostering SMEs to create job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240 cooperating companies to verify whether win-win growth activities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cooperative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win-win cooper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capacity building and trust building but also cooperation performance. Second, transactional fairness directly affects innovation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but it does not affect trust construc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rd, the partn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the capacity building and performance of partner firms, but there is no direct effect on trust building.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variables, the effect of perfect mediating was showed in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n-win cooperation activities and innovation,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hip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case of trust building variables, as same conclusion was showed not only in relation to social performance, bu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ship and innovation performance. Most other parameter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based on the 5-year win-win cooperation perio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adjustment effect mainly on the effect of capacity building and trust building on cooper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when sales size is used, it shows that there is no adjustment effect of technical capacity and financial capacity on cooperation performance.

      • 조직의 역량과 성과의 관계에 리더의 네트워킹 능력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공동훈련센터(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를 중심으로

        이정화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nd its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networking ability of the institution's leader on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systemic performance management for the joint training centers, and to propose recommendations for correcting 'mismatch' problems experienced in most joint training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networking ability of institutions' leaders on 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s' competencies and their performanc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logical relationships among the training program planning, trainee management, training quality management capacity, student employment rate, and the networking competency of the leader are proposed as a series of hypotheses. To test the hypotheses, 94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the institutions located in 16 metropolitan cities, of which a new joint training center participated in 2016, six responses with unclear performance parameters, and unfair 9 responses removed so as 79 copi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n addition to the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face-to-face and phone interviews are conduct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show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ader's networking activities are confirmed partially. Both the size and frequency of the leader's networking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of the joint training center and its performance. The interviews also support this test result. In addition, the managers of joint training centers suggest that the cent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rainee management, and the leader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training program with business organizations. Training center leaders contacted in the interview also suggest that a new set of criteria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training institutions be presented, and the weights of the criteria be renewed accordingly to the economic situations.

      • 일본 프레카리아트 문학 연구 :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이정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일본 프레카리아트 문학 연구 -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 이정화 본 연구는 프리터(フリーター)와 니트(ニート)로 잘 알려진 2000년대 일본 청년문제의 담론을 중심으로 현대 일본문학의 청년문제 수용에 관해 분석하였다. 먼저 일본문화영역에 프리터, 니트의 캐릭터가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사실과 함께, 프리터 표상의 변화에 관해 살펴보았고 이토야마 아키코(絲山秋子)의 소설 『NEET(ニート)』를 통해 다양한 니트의 유형이 묘사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편 「니트」와 「2+1」에 등장하는 주인공 두 사람을 통해 사회가 니트를 바라보는 비판적 관점이 아닌 동일한 니트간의 자기인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일본 사회의 경제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청년들의 비정규노동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기성세대와 젊은이세대 간에 발생하는 갈등이 소설의 주제로 등장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작가가 청년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자기책임론’과 ‘사회구조문제론’의 입장으로 나뉘고 있다는 사실을 『하류의 연회(下流の宴)』와 『8월의 길 위에 버리다(8月の路上に捨てる)』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발표된 지 80여년 후인 2008년에 다시 큰 인기를 얻은 『게공선(蟹工船)』 붐을 분석하였다. 게공선 붐의 원인과 과정을 고찰해 본 결과 일본의 젊은세대가 내몰리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의 현실이 근대소설 『게공선』의 노동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게공선』을 통해 일본의 청년들은 서로 연대함으로써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해가는 방향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또한 프레카리아트 운동을 문화의 영역에까지 확장하고 있는 아마미야 가린(雨宮処凛)이, 프레카리아트 문학에는 프레카리아트 문제에 관한 이념과 문제해결 의식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사실을 살펴봄으로써 프레카리아트 문학이 현대 문학의 새로운 시도로 발전될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日文抄録> 日本プレカリアート文学研究 -2000年代日本の若者問題の談論を中心に- 李貞和 本研究はフリーター、ニートでよく知られた2000年代日本の青年問題の談論を中心に、現代日本文学の青年問題受容について分析した。 まず、日本文化領域にフリーター、ニートのキャラクターが登場し始めたことと、作品に描写されるフリーター、ニートの表象の変化を確認した。そして絲山秋子の小説『ニート』に多様なニートの類型が描写され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そして短編「ニート」と「2+1」に登場する「私」と「キミ」2人の関係を通じて、ニートに対する社会の批判的な観点を排除し、ニート同士の関係性と自己認識について考察した。 次に、日本社会の経気低迷が続いたことにより、若者の非正規労働が社会問題に台頭し、既成世代と若者世代間に発生する葛藤が小説のテーマとして登場し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そして、作家が若者問題を見る観点によって「自己責任論」と「社会構造問題論」の立場に分かれていることを『下流の宴』と『8月の路上に捨てる』を通じて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最後に、発表されてから80余年後の2008年に再び大きな人気を得た『蟹工船』ブームを分析した。蟹工船ブームの原因と過程を考察した結果、日本の若い世代が追い込まれている非正規職労働の現実が近代小説『蟹工船』の現実と変わらないことが分かった。そして『蟹工船』を通じて日本の若者たちは互いに連帯することで、ともに社会問題を解決していく方向に目を向けるようになった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た。また、プレカリアート運動を文化の領域にまで拡張している雨宮処凛が、プレカリアート文学にはプレカリアート問題に関する理念と問題解決意識が伴な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主張したことから、プレカリアート文学が現代文学の新たな試みと発展する可能性を持っ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

      • 초등학생이 지각한 독서 양, 시간 및 능력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읽기 구성요인의 차이 연구

        이정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ill develop a standard of self-regulated reading for fifth-grade elementary students, investigate it along with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and examine the results. It will further examine whether the ability of self-regulated reading can become a prediction variant for amount, time, and ability of reading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various factors of self-regulated reading depending on amount of reading, time, and ability level among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sirable methods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First, what is the result of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ed reading? Second, what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of that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self-regulated reading according to the perceived levels of reading quantity, time and ability level among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7 fifth-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For the method of measurement, a standard of self-regulated reading tha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fter reviewing preceding research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 questionnaire on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were used. A descriptive statistics estimation,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gainst variables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of .530 to .805(p<.01) between the subvariants of self-regulated reading. The Cronbach's Alpha showed a range of .876 to .888 between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 factors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 factors were confirmed.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self-regulated reading revealed that the subvariants of motivational regulation had similar scores, and both 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s showed similar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based analysis, the difference in score between intermediate and high levels was smaller than that between low and intermediate level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of self-regulated reading variants in the result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hievement value, cognition strategy, time regulation, and reading behavior regulation, and the scor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Secondly,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that fifth-grad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rate of the students who were positively cognizant of their reading ability or degree of enjoying, was much higher. On the contrary, the high, intermediate, and low levels showed similar distribution rates in terms of amount of reading. Regarding the amount of reading, the low level had a higher distribution rate than the high level and the intermediate level had the lowest distribution rate. When judging only from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n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bility, degree of enjoying, number of genres of preference, and actual amount of reading or variation in time of reading. Thirdly, after performing a one-way ANOVA to confirm whether there is some difference in self-regulated reading factors depending on amount of reading, time, and ability level among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it is confirmed that as the amount of reading, time, and ability level increase, the diagnosis result of self-regulated reading factors also increases at a meaningful level. The result of Scheffe post hoc test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relatively confirmed at a meaningful level. The variant that showed the closest result to the level-based result of the self-regulated reading investigation, was the degree of enjoying reading. Consequently, the self-regulated reading ability can become a prediction variant for amount, time, and ability of reading, and degree of enjoying. Particularly, it is assumed that the ability can be of considerable help in improving the degree of enjoying reading.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ssumes that diagnosing the ability of self-regulated reading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establishing a concrete plan for reading education to improve th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Efficient reading education can be achieved if an appropriate goal for reading education is established and an education plan is devised and implemented after diagnosing subvariants such as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 abilities, and the reasons of negative actual conditions of reading. For desirable read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firstly, it is necessary to set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ed reading ability as the basic goal and implement it. Reading education that can provide a constant condition where the self-regulated reading ability can be acquired and exerted, is required. Secondly, rather than forcing level, it will be helpful to provide a list of recommended books that students can freely select and read and to help them improve the self-regulated reading ability through voluntary reading activity. Thirdly, reading education that can encourage students to consider reading activity as leisure, should be implemented. Fourthly, reading education needs to escape from the education that focuses on cognition areas. It is hopeful that reading education would be implemented with the focus on the basic goal of improving the self-regulated reading ability and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the read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is the basis for being voluntary life-time readers.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읽기 척도를 개발, 독서 실태와 함께 검사하여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독서 실태 중 독서 양, 시간 및 능력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읽기 구성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자기조절읽기 능력이 독서량, 독서 시간, 독서 능력의 예측 변인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서교육의 방안을 탐색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조절읽기 결과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독서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독서 실태 중 독서 양, 시간 및 능력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 읽기 구성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2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자기조절학습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개발한 자기조절읽기 척도와 독서 실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량 산출,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읽기 하위 변인 간 .530~.805(p<.01)의 정적상관을 보였다. 동기&#8228;인지&#8228;행동조절 요인 간에 Cronbach α계수 .876~.888의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 구성 요인들의 단일차원성이 지지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자기조절읽기 검사 결과 동기조절의 하위 변인들이 서로 비슷한 점수를 보였으며, 인지조절과 행동조절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수준별 분석 결과 낮은 수준과 중간 수준 간 차이보다 중간 수준과 높은 수준 간 점수 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자기조절읽기 하위 변인의 결과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취가치, 인지 전략, 시간 조절, 읽기행동 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여학생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지각한 독서 실태를 분석한 결과 자신의 독서 능력이나 즐김 정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학생의 분포율이 월등히 높았다. 반면, 독서량은 상중하 수준이 비슷한 분포율을 보였으며, 독서 시간은 낮은 수준이 높은 수준보다 더 높은 분포율을 보였고, 중간 수준이 가장 낮은 분포율을 보였다. 독서 실태 결과만을 볼 때 독서 능력이나 즐김 정도, 선호 장르 수와 실제 독서량이나 독서 시간의 증감은 정비례 관계는 아니라고 예측할 수 있다. 셋째, 독서 실태 중 독서 양, 시간 및 능력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읽기 구성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서 양, 독서 시간, 독서 능력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자기조절읽기 구성 요인의 진단 결과도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Scheffe 사후검증 결과 집단 간 차이도 대체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확인되었다. 자기조절읽기 검사의 수준별 결과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인 변인은 독서 즐김 정도였다. 따라서 자기조절읽기 능력은 독서 양, 시간, 능력 및 즐김 정도의 예측 변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독서 즐김 정도 향상에는 중대한 도움이 될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자기조절읽기 능력 진단이 독서 실태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독서교육 방안을 설정하는 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하위 변인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 능력 정도와 독서 실태 부진 원인을 진단하여 적절한 독서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 방안을 구안하고 진행한다면 효과적인 독서교육이 될 것이다. 바람직한 초등학생 독서교육에 대해 제안하자면, 첫째, 자기조절읽기 능력 개발을 독서교육의 기본 목표로 설정하여 구성하고 진행할 필요가 있다. 자기조절읽기 능력 습득과 더불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독서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수준을 강요하지 말고 자유롭게 선택하여 읽을 수 있는 권장도서 목록을 제공하고, 자발적인 독서 활동을 통해 자기조절읽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독서활동이 여가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도록 독서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독서 교육이 인지영역 중심 교육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자기조절읽기 능력 향상이라는 기본적인 목표를 중심으로 독서교육이 진행되어 자기주도적인 평생독자의 삶을 영위하는 데 기반이 되는 초등학생 독서교육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생체활성물질들을 이용한 성체줄기세포의 특성연구

        이정화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chapter 2,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use of polyethyleneimine (PEI) as a carrier for gene delivery in human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hADSCs). These multipotent cells can form bone, cartilage, adipose, and other connective tissues. In primary culture, hADSCs are fibroblastic in appearance in primary culture, and they show a high rate of proliferation for at least five passages. Immunophenotyping showed that these cells are positive for the mesenchymal stem cell markers CD44 but negative for the hematopoietic cell surface markers CD45, and also we examined the use of polyethyleneimine (PEI) as a non-viral gene carrier and lipofectamine 2000 as control for rat pheochromocytoma PC-12 cells. The complex formation of PEI and DNA or lipofectamine and DNA was characterized by gel electrophoresis and measurement of particle size and surface charge. A gradual increase in surface charge (from 0.7 to 43 mV) and a gradual decrease in particle size (from 900 to 130 nm) was observed in the PEI?DNA complex with higher PEI concentrations. The cytotoxicity of PC-12 cells for lipofectamine?-DNA complex was similar to PEI?-DNA complex at N: P charge ratios of 4 and 8. Transfection efficiency was 14% for lipofectamine and 15% for PEI. At low N: P ratio, DNA condenses poorly, so the particle size tends to be large and polydispersed, resulting in poor transfection efficiency. Meanwhile, a high N: P ratio results in high transfection efficiency and cytotoxicity. Transfected PC-12 cells showed the generation of neurites from transfected PC-12 cells in the presence of NGF, indicating the differentiation of PC-12 cells. NGF-differentiated PC-12 cells were transfected by PEI?-DNA complex of N: P charge ratio 8. From real-time imaging for transfection, the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 started to localize in the nuclei of PC-12 cells at 5 h and localized in the cytoplasm from 15 h. Our study demonstrates that PEI or lipofectamine may be applied as an effective gene carrier for PC-12 cells. In chapter 3, To screen for small molecules inducers of neuronal differentiation, rat muscle-derived stem cells (rMDSCs) isolated from adult female Fischer rat were used. Neuronal differentiation were analyzed with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of Tuj1, immunofluorescence staining of NSE and CNPase.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gene expression of neuronal specific marker such as Tuj1 and NSE by RT-PCR. It has been shown that rMDSCs can differentiate into neuron and oligodendrocyte in vitro by small molecules as small molecules A and B. 줄기세포란 적절한 신호에 따라서 자기재생과 특정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전구세포이다. 이러한 줄기세포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원하는 세포로 분화를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이는 분화 메커니즘을 밝히는 과학적 의미분 아니라 특정 질환에 대한 신약으로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하여 배아줄기세포를 운동뉴런으로 분화시키는 연구는 Jessell 등에 의해 수행되었다.1-7 또한 최근에 이러한 중배엽성 줄기세포가 외배엽성인 신경세포로 분화되었다는 연구와 이 세포를 이용하여 신경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노력이 끊이지 않고 있다.17-19 외배엽세포는 BMP, FGF와 Wnt의 신호전달을 조절함으로서 초기 선단신경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 선단신경 전구체는 레티노익 산(RA)과 같은 저분자 화합물에 의해서 척수위치특성을 가지게 된다. 앞서 연구된 RA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전구세포들을 분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물질이지만 다면발현성을 띄기 때문에 줄기세포를 좀더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합성신약물질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신약후보물질들을 이용하여 골격근유래 간엽줄기세포를 신경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후보물질을 처리하여 골격근유래간엽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유도되어져 신경세포에 특이적 단백질인 NSE와 희돌기아교세포에 특이적인 CNPases가 모두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이는 전형적인 신경세포의 형태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현재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다양한 화합물을 스크리닝 중에 있으며 신경, 골, 연골로의 분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