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RISS 인기논문

        청소년 범죄의 재범 예방 위한 대책 연구

        이미경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소년 범죄는 더 이상 청소년의 일시적인 과도기적 비행이 아니라 중요한 사회 문제의 하나로 인식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청소년기의 범죄가 반복된 재범행위로 이어져 성인범죄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미리 예방하고 선도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청소년 범죄로 인해 선량한 피해자들이 늘어나고 있고 사회의 안전마저도 침해 받을 우려가 있어, 청소년 범죄는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이며, 범죄와 범죄자에 대하여 다원적인 접근과 예방과 처벌에 있어서 근본적인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대검찰청 범죄분석과 법무연수원의 범죄백서에 의하면, 전체 소년범은 최근 2013년 기준으로 91,633명이고 2004년의 72,770명에 비해 17.6% 가량 증가하였다. 또한 청소년 범죄자의 재범률은 2009년에 32.5%였으나, 2013년에는 41.5%로 매년 증가하고 있어 실제 범죄를 대변하는 청소년 범죄자의 인원수 증가와 청소년 범죄의 증가 추세가 재범 예방을 위한 대책의 필요성과 대책 마련의 시급성을 대변해 주고 있다. 청소년 범죄의 예방을 위하여 검찰, 경찰, 소년원을 비롯한 보호관찰 기관 등의 사법기관과 함께 소년법의 개정으로 설립된 청소년비행예방센터가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실제적인 재범률의 감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한국의 청소년보호위원회 같은 소년사법과 비행예방국(OJJDP)이 있는데 청소년 범죄와 비행의 예방을 위해 종합전략프로그램을 통하여 소년범에 대한 다양한 처우를 실시하고 있다. 영국은 실질적인 재범률의 감소를 목표로 하여 청소년 관련 기관의 철저한 공조체계가 확립되어 소년범죄관리팀(YOT)을 조직하는 등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는 소년사건을 처리하는 기관의 전문성을 중시하여 일정한 자격을 법률로 규정하고 있고 회복적 사법 하에 다양한 소년범 처우를 마련하는 등 소년범의 사회 복귀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도 지역사회와 유관기관의 협력체계가 활성화되어 있고, 지역주민의 경찰 활동과 교정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높으며, 범죄자들의 사회 복귀를 지원하는 갱생지원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각 국의 사례를 통해 분석 결과, 국가 차원의 청소년 범죄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의 의지, 실질적인 청소년 범죄 담당 기관의 중심적인 역할 그리고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는데 이러한 점이 한국의 청소년 범죄의 예방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하겠다. 청소년 범죄의 재범 예방을 위하여 현재 이원화되어 있는 소년 사법체계와 소년 복지체계에 있어서 연계 운영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지역사회를 중심축으로 하여 청소년을 위한 범죄 예방 활동을 운영하도록 하여 근거 규정에 의한 청소년 관련 기관의 협력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청소년 범죄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청소년 범죄자에 대한 단계적 처우를 다양하게 연구·개발하여야 하고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도 적용 순서와 적용 대상이 혼란스러운 현행 체계를 정비하는 것이 시급하며 실질적인 청소년 재범을 예방할 수 있도록 재범률의 산정 체계의 개선과 유관기관의 협조 체계를 명시한 근거 규정의 마련 등의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각론적 재범 예방 대책으로는 청소년이 가장 처음 경험하는 공동체인 가정과 학교에서의 제 기능의 회복에 중점을 두고 건강한 유대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모를 대상으로 한 양육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과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는 등의 대책을 제시하였고, 청소년 복지시설, 보호관찰 기관, 지역 행정기관, 지역 기업체, 종교단체, 경찰, 지역주민, 정부의 순으로 청소년 유관기관들의 역할에 따라 청소년을 위한 개별 프로그램을 제언하여 안정적인 사회 유대를 형성하기 위해 지원 그리고 보호와 선도의 방향의 목적 있는 대책을 제시하였다. 청소년기의 특징적인 성향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결과물이 아니라 청소년기를 지나는 누구나 경험하는 발달 단계의 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청소년들이 경험하게 될 청소년기에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삶을 후회하는 값비싼 비용을 지불하지 않도록, 앞서 이 시기를 경험한 어른들이 사회 안에 안전한 보호 울타리를 조성하여 우리 사회의 청소년들이 청소년의 시기를 가장 청소년답고 건강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어른들의 책임 있는 행동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청소년은 범죄 예방의 대상이 되기에 앞서 범죄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존재이므로 청소년에 대하여 사회적인 보호, 경제적인 보호, 형사사법적인 보호를 바탕으로 한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반복적인 재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Juvenile delinquency must no longer be considered a temporary illegal and offensive behavior demonstrated by juveniles during their transition into adults; it must be perceived as a significant social problem. Most of all, societies must focus on the fact that juvenile delinquency is prone to recidivism and may ultimately lead to criminal behaviors as adults. In addition, juvenile crimes are generating increasingly more innocent victims as well as posing serious risks to the safety of society. Hence, juvenile offending should not be taken lightly; instead, societies must take preemptive measures to prevent it and provide appropriate guidance for juvenile offenders. It is a pressing issue that we must address by approaching the problem from a pluralistic perspective on crimes and criminals and restructuring the fundamental system of prevention and punishment. According to the White Paper of Crimes published by the Leg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of the Department of Crime Analysis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the total number of juvenile offenders in 2013 was 91,633, which is a 17.6% increase from 72,770 in 2004. Moreover, the rate of recidivism for juvenile offenders in 2013 hit 41.5%, also an increase from 32.5% in 2009. These statistics reveal the cold reality of increasing trend of juvenile offenders and delinquency in Korea and urgently call for the development of measures to prevent recidivism in juvenile delinquency.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ived to implement policies to prevent youth delinquency by operating several law enforcement institutions for youth care, such as the prosecutors’ office, police stations, youth detention center, and probation centers and amending the juvenile law to establish the Youth delinquency prevention center. However, these systems have not been effective in reducing recidivism. In the United States, there are two major youth care institutions such as the Juvenile justice system, which is similar to Korea’s Juvenile Protection Committee, and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OJJDP). These institutions are implementing a variety of measures for juvenile offenders through a comprehensive strategical program to prevent youth delinquency and crimes. The United Kingdom has established a strict cooperative system among juvenile institutions to reduce recidivism in juvenile offending. It founded the Youth Offending Team(YOT) to address the fundamental problem of juvenile delinquency. Germany strives to smoothly transition juvenile offenders back to society by mandating a list of qualifications for juvenile institutions to buttress professionalism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regarding the treatment of juvenile offenders. Similarly, Japan has implemented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local commun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It has seen a high participation from local communities in operating police and correction programs to facilitate and aid juvenile offenders to return to society. The examples of juvenile correction programs in several advanced countries imply that measures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require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government’s strong will to prevent youth offending, juvenile crime institutions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 preventive efforts,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local communities. There may be several general measures to prevent juvenile crimes and recidivism, including promoting a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Juvenile justice system and Juvenile welfare system, which are currently operated in separation, implementing crime prevention programs that center around local communities, and developing and introducing regulations to promote cooperation among youth-related institutions. In terms of program contents, stepwise treatment guides for youth offenders should be developed, unorganized systems of juvenile-related laws should be restructured, actual recidivism in juvenile delinquency should be measured to develop practical measures to prevent juvenile offending, and cooperative efforts by related institutions should be promoted. In individual terms, the government should propose preventive measures to help youth to form a healthy bond with members of their family and schools-the first community that teenagers experience in their lives,-suggest youth programs for each youth-related institutions for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assistance, such as the youth welfare facilities, probation institution, local administrative institution, local companies, religious organizations, police, local community residents, and government, and finally, develop measures with purpose of supporting, protecting, and guiding youth offenders to form a stable social bond.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typical trends and behaviors demonstrated by teenagers are one stage of development that everyone in the age group experiences, not a result of changes in time. Against this backdrop, adults-who have already lived through the trial and error stage of their lives-help form a safety net for all teenagers so that they can emerge from the trial stage of their lives with valuable experiences and lessons that will prepare them for a healthier adult life. It is important that societies first perceive teenagers as objects for protection, rather than subjects of crime, then bring about measures to prevent crimes and recidivism through providing social, financial, and criminal justice protection.

      • 靑少年非行 豫防을 위한 警察의 役割 硏究

        김태곤 京畿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람들은 "청소년은 그야말로 미래의 꿈나무이다."라고 흔히들 이야기 한다. 쉽게 이야기하면 이 말은 잘 가꾸고 보호하고 사랑해서 밝고 희망에 찬 튼튼한 나무로 키우라는 뜻임에 분명하다. 즉 청소년은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으로 성인이 되기 이전의 미성숙한 과도기적 단계로서 자신의 미래에 대한 가치와 현실과의 괴리로 갈등하고 힘들어 한다. 사람은 부모로부터 태어나서 유아기를 거쳐 아동기 그리고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이 되지만 이렇게 되기까지 수많은 고통을 견뎌야하고 또한 다양한 환경과 많은 사람들 그리고 다변하는 사회체제 등을 만나고 겪어야 한다. 청소년은 신체적으로는 성장되어 있으나 정서적, 심리적으로는 미성숙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여기서 오는 부조화로 역시 정신적 고통을 겪게 된다. 이러한 청소년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청소년비행의 가능성을 우선 전제하고 갖가지 요소를 다루어 이번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비행원인을 이론적으로 분석해 보고 현재의 청소년비행 실태를 확인하여 접근해 보겠다. 이것을 토대로 외국의 청소년 비행예방대책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청소년비행예방대책을 강구하고자 한다.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서 생물학적 이론과 사회학습이론, 정신분석이론 등의 심리학적 이론 그리고 낙인이론, 통제이론 등의 사회학적 이론 등을 살펴보고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심리적, 신체적요인, 가정적요인, 학교와 교육제도, 사회적요인, 사후조치에 의한 요인 등의 청소년 비행요인을 분석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비행예방을 강구하고자 한다. 최근에 각종 매스컴의 발달과 정보화물결로 청소년들의 정보기기 등의 접근 채널이 다양해 졌으며 그로인해서 부모와 학교 등의 통제를 쉽게 벗어나서 음란, 퇴폐, 폭력 등의 비행환경으로 빠져들고 있다. 이런 다양한 비행요인들이 계속 증가하리라는 예상이 충분히 가능한 현실에서 단순한 사법기관의 비행단속등으로는 청소년비행예방에 큰 무리가 있다고 본다. 즉 학교, 가정, 사법기관 등의 노력 외 에도 지역사회 유해환경 정화와 매스컴, 인터넷 등의 다양한 매스컴채널의 차별적 접근과 비행예방시스템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청소년비행 예방과 선도보호활동을 확보하기위해 실질적인 방안을 고안해야 한다고 본다. 일선현장에서 직접 청소년비행관련 업무를 집행하고 있는 현직 경찰관과 청소년들의 의견을 다각도로 접하여 이를 철저히 분석하고 파악하여 효율적인 예방 및 선도 보호하고자 설문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합의점을 도출해 내는 것이 우선 중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현직경찰관과 청소년을 직접 상대하여 설문조사하고 이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경찰 등의 사법기관과 학교 등의 교육기관 그리고 가정, 지역사회 등의 역할을 재검토하고 청소년 비행예방에 일조하고자 한다. 최근 각종 신문과 방송을 통해서 청소년비행에 관한 뉴스를 자주 접하고 있다. 심지어는 성인범죄에 버금가는 비행도 주저 없이 저지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본적으로 청소년비행예방을 위한 마인드의 형성을 위해 교육학, 심리학, 교정학, 경찰행정학, 사회복지학, 의학, 생물학 등의 유관학문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실제로 현장에서 뛰고 있는 경찰, 검찰, 교도소, 교육청, 각급학교, 청소년선도보호단체, 기타 사회단체 등이 서로 협력하여 청소년범죄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하겠다. They often say that adolescents are the trees of dream, and it definitely means that they should be well raised, protected and loved to become splendid, promising and robust trees. Adolescents who are yet immature in physically, mentally and psychologically transitional period suffer conflicts and have a hard time, as there is a far distance between their future vision and reality. Since being born, people go through early childhood,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in which they have to be subjected to numerous pains. And they need to be exposed to a wide variety of environments, people and changing social system. Despite physical growth, teenagers are yet immature emotionally or psychologically, and such an imbalance put them into another mental pain. The special features of adolescents are likely to trigger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caused their juvenile delinquency and to examine the state of juvenile delinquency among teenagers. And it's also attempted to check foreign measures against juvenile delinquency and to seek ways to prevent it.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psychological theories were reviewed including theories of biology, social learning and psycho-analysis. In addition, sociological theories, like libeling and control theories,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what sorts of psychological, physical, family-related and social elements resulted in sparking juvenile delinquency, to determine what factors related to school, educational system and post-measures contributed to triggering it as well, and to seek more efficient ways to prevent it. Lately, the advance in mas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llow teenagers to gain easier access to more diverse media, and that makes them soak up indecent and violent culture beyond the control of parents and school. They are prone to go astray more easily than ever, being spurred on by multiple harmful environments, and it seems that crackdown by the government isn't powerful enough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School, famil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join forces in leading adolescents in the right direction, and it's equally important to take actions to cleanse hazardous local environments and to take a differentiated approach toward mass media and the Internet. More practical, down-to-earth countermeasures should be prepared from diverse angles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and guide the youth in the right direction. Besides, a survey should be conducted on police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juvenile delinquency, and it's also necessary to gather extensive opinions from adolescents themselves to find the best solution. After a survey is taken on police officers and teenagers, the collected data should be analyzed in detail to define what roles should be performed by the police, school, family and local community separately in order to root out juvenile delinquency. In recent days, newspapers and TV present frequent news about juvenile delinquency, which is even as serious as adult crimes in many cases. To raise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gainst this issue, it's needed to make a comprehensive study of all the relevant fields including pedagogy, psychology, correction service, police administration, social welfare, medicine and biology, and every party concerned, involving the police, the prosecution, correction institutions, educational authorities, schools, youth guidance bodies and other social organizations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eliminate it.

      • 치료레크리에이션이 비행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준일 韓南大學校 社會文化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비행청소년은 비행행위를 하는 청소년을 일컫는 말인데, 대부분은 법률적인 개념보다 넓은 의미에서 비행청소년을 정의한다. 우선 법률적인 개념에서 비행청소년은 상기에서 언급한 범죄행위, 촉범행위, 우범행위를 한 소년을 일컫는 말이다. 일탈행동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하는 가치규범을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침해하는 모든 행동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비행보다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비행이란 용어는 법률적 사회적 용어로 심리학에서 사용될 경우 청소년에게만 국한시켜 사용하고 성인에게는 범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청소년들은 본인들의 여가를 활용하는 방법에 많은 제약들이 있다. 개인적,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서 결국 일탈행동을 하게 되는 결론에 이르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레크리에이션적 접근방법을 통해서 제대로된 여가활동이 된다면 비행청소년들이 건전한 방향으로 여가를 하여 결국 일탈행동이 감소될 것이다. 치료레크리에이션의 목적은 적합한 여가생활양식의 개발, 유지, 표현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레크리에이션 서비스를 활용하는 의도적 개입과정인 것이다. 특히, 여가교육 서비스를 통해 치료레크리에이션 전문가가 교사, 조언자, 상담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여가 교육은 광범위한 서비스 영역으로서 다양한 여가 관련 기술, 태도, 지식의 습득과 발전에 중요한 초점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보호관찰소에 있는 비행청소년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5년 4월 27일 ~ 5월 27일 까지 모보호관찰소에서 비행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직접 설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일탈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함으로써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일탈행동 감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탈행동 감소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감소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주로 관찰기법을 사용했는데 관찰도구로는 사회적 상호작용, 분노, 프로그램 참여의 적극성, 표정, 협동심을 관찰도구로 하고자 하였다. 본 관찰도구를 사용해서 매 회기별 변화를 측정하고 행동에 변화가 생기면 건전한 여가기술을 습득하여 일탈행동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하였다. 연구대상 비행 청소년들에게 치료레크리에이션 ‘실시전’과 ‘실시후’에 측정한 전체대상자의 행동관찰결과 사회적 상호작용, 분노, 프로그램 참여의 적극성, 표정, 협동심등 다양한 부분에서 향상되게 나왔다. 이상은 본 연구자뿐 아니라 보조 진행자 그리고 시설관계자의 의견을 종합해본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로서 치료레크리에이션이 비행청소년의 일탈행동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사회적 상호작용과 대인관계에서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비행청소년 문제는 사회적으로도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정책들이 나오고 있는 추세다. 이런 실정에서 치료레크리에이션 전문가가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구체적인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서 일탈행동을 감소 시킬수 있는 것이다.

      • 청소년 소비자의 합리적 소비생활과 상표지향성에 관한 연구

        최수영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글초록: 최근 청소년들은 성장 과정에서부터 과거 어느 시대보다도 자유롭게 물품을 소비해 왔으며 다양한 상표를 선택하는 폭도 넓어졌으며, 외제품 및 유명상표, 고급제품 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심지어 친구들과 비슷한 제품을 소유하지 않으면 소외감을 느끼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소비자의 합리적 소비생활의 수준과 상표지향성 수준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관련변수들의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밝혀내고자 한다. 그러므로 청소년 소비자들의 비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자제하고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소비생활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방향과 교육내용을 제공 할 뿐만 아니라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소비생활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소비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소비자사회화, 소비자교육, 소비자 능력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 소비자의 합리적 소비생활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 소비자의 합리적 소비생활은 사회경제적 특성 및 소비자사회화, 소비자교육, 소비자 능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청소년 소비자의 상표지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다섯째, 청소년 소비자의 상표지향성은 사회경제적 특성 및 소비자사회화, 소비자교육, 소비자 능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여섯째, 청소년 소비자의 상표지향성은 합리적 소비생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일곱째, 청소년 소비자의 상표지향성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다. 2005년 3월 27일부터 30일까지 예비조사를 거쳐 2005년 4월 4일부터 4월16일까지 총 580부를 배부하여 52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 Program 이용하여 신뢰도,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자 사회화에서는 친구의 영향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친구의 영향을 보면, 학년이 높을수록 용돈을 많이 받을수록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자교육의 가정소비자교육과 학교소비자교육의 평균은 2.61의 수준으로 대체적으로 보통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소비자교육의 차이에서는 가정소비자교육은 주관적 생활수준, 소비자교육 접한 장소, 성적이 가정소비자교육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소비자교육은 학년, 소비자교육을 접한 장소, 성적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자능력의 소비자기능이 가장 높은 수준이며,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소비자기능을 보면 월평균 가계소득, 대중매체에서 소비자교육을 많이 접할 때, 성적이 상위권일 때 소비자기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비자태도에서는 고등학생이, 대중매체를 통해 소비자교육을 접했을 때 소비자태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소비자지식을 보면 학년, 월평균 가계소득, 성적에서 소비자지식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자교육에 따른 소비자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정 소비자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소비자기능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교 소비자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소비자기능과 소비자지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청소년 소비자의 합리적 소비생활은 용돈, 주관적 생활수준이 합리적 소비생활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사회화의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교육을 살펴보면 가정소비자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학교소비자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소비자교육에 따른 합리적 소비생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능력을 살펴보면 소비자기능, 소비자태도가 높은 집단에서 합리적 소비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소년 소비자의 상표지향성은 고등학생, 용돈에서 청소년 소비자의 상표지향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사회화는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상표지향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교육을 살펴보면 가정소비자교육을 많이 받은 집단일수록 상표지향성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소비자교육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비자능력을 살펴보면 소비자태도 상표지향성을 나타냈으며 소비자태도가 높을수록 상표지향성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청소년 소비자의 합리적 소비생활이 상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합리적 소비생활이 높은 집단일수록 상표지향성 수준도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소비자의 상표지향성에 대한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성적이 높을수록, 친구의 영향과 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소비태도가 높을수록 상표지향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6.4%이다

      • 흡연청소년을 위한 집단사회사업개입에 관한연구 : 인지행동 접근 中心으로

        유은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우리나라의 청소년 흡연율은 조금씩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청소년의 흡연은 신체적 발달이나 정신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다른 비행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청소년 금연 교육이 필요한 때이다. 본 연구는 흡연청소년들에게 집단사회사업을 실시함으로써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변화 시키고 나아가 흡연량을 줄이는 목적을 두고, 서울 K구내에 소재한 H중학교와 지역사회복지관이 연계하여 실험집단청소년 10명, 비교집단 5명을 대상으로 집단사회사업프로그램을 실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과정기록을 통하여 집단과정을 기술하고 프로그램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사후-8주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과정기록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으로 구성원 집단 성원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의 적용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둘째, 흡연에 대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흡연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흡연에 대한 태도도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집단성원들간의 집단역동은 역할극과 집단성원들의 토의와 자신들의 생각나누기를 통해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청소년들의 흡연행동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 과정에서 집단구성원들 스스로가 서로를 지지해주고, 집단과정속에서 흡연을 거절할 수 있는 방법을 동료를 통해 찾고, 금단증상에 대처하는 행동방법 등을 찾을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집단 구성에 있어서 동료집단의 성원들로 구성하는 것이 집단 응집력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사전 조사와 프로그램직후의 조사 그리고 프로그램 8주후의 조사를 통해 흡연에 대한 지식, 흡연에 대한 태도, 흡연량의 차이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사회사업에 참여한 집단은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조사에서 흡연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사후-8주후의 조사에서도 지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인지 행동적 집단사회사업이 성원들의 흡연지식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단사회사업에 참여한 집단의 흡연태도에 사전-사후 조사에서 흡연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사후-8주후조사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것은 집단사회사업 개입이 성원들의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이 8주후에도 지속된 것이다. 셋째,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프로그램 후 흡연량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사후-8주후의 조사를 살펴보면 사후-8주후 간에도 흡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에 흡연 청소년을 위한 집단사회사업 개입에 있어서 인지 행동적 집단사회사업이 흡연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흡연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구성성원들의 흡연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t present, the rate of youth smoking is still high though it reduces gradually. The antismoking education is needed because smoking has negative influence on youths'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and can lead to other bad behavior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whether it is possible to change youths' knowledge and attitude on smoking and reduce the amount of their smoking by the social group work intervention in youths. The subjects are 10 youth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five youths of the control group, who are affiliated to H middle school and a local social welfare institute in K-Gu, Seoul. The procedure of the experiment consists of the description of group procedures and the examination of changes of the two groups eight weeks ago and eight weeks la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rocedure recor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social group work program is effective to the motivation for youth groups Second, it is observed that learning things about smoking, the youths has had their knowledge extended and has changed their attitude to smoking. Third, the group members have been motivated by role-playing and discussions between themselves, which have great influence on changes of their smoking behaviors. Fourth, the group members have supported each other, have found ways to reject smoking from their colleagues, and have sought ways to dry out. Thus, the grouping of youths of an age causes collective cohesion and vivid interac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the knowledge of smoking, the attitude on smoking, and the differences of smoking amount through the pre-investigation, the investigation right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investigation eight weeks after the experiment between the two groups. First,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social group work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knowledge of smoking in the pre- and post-investigations.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the same result in the investigation eight weeks after the experiment. Thus, we can conclude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social group work has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the youths' knowledge of smoking. Second,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social group work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f attitude to smoking in the pre- and post-investigations.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doesn't show another change in their attitude in the investigation eight weeks after the experiment. This means that the social group work intervention has influence on their negative attitude to smoking, and this influence has kept up for eight weeks. Third,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social group work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f smoking amount in the pre- and post-investigations.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s the same result in the investigation eight weeks after the experiment. Thus, we can conclude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social group work is effective to smoking youths' changes in that it extends the knowledge of smoking, changes the attitude to smoking, and reduces the amount of smoking.

      • 청소년 범죄에 대한 경찰의 예방활동 전략

        김상열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 나라의 장래는 그 나라의 청소년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청소년은 국가장래를 짊어질 기둥이며, 미래의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청소년의 범죄나 그 비행에 있어 양적인 증가보다는 질적인 면에서 날이 갈수록 조직화, 집단화, 흉포화, 누범화, 저연령화 할 뿐 아니라 그 양상이 매우 정황적(情況的)이고 비도덕적이어서 사회에 불안감까지 조성하여 국가적으로 위기감까지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그만큼 청소년에 대한 문제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중대한 문제이다. 특히 다양성과 복잡성이 상존하는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기성세대의 윤리문제와 더불어 청소년의 비행이나 범죄가 커다란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청소년의 비행이나 범죄의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는 가정, 학교, 사회, 국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광범위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복합적 문제이기 때문이다.그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산업화는 청소년의 삶은 물론 그들을 둘러싼 사회구조적 환경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1960년대부터 추진되기 시작한 산업화는 사회적으로 가용한 자원과 개개인의 부를 확대시켜 주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에 반드시 이로운 기회구조와 조건들만을 가져온 것은 아니었다. 경제가 급격하게 성장하고 물질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배금주의적인 가치관이 팽배하게 되었고, 급기야 황금만능주의와 퇴폐향락주의는 사회도처에서 유흥업소, 숙박업소, 컴퓨터 게임장, 노래방, 비디오방 등 청소년들의 탈선을 조장하는 유해업소들의 성장을 자극하였다.또한 우리사회의 산업화가 가져온 풍요로움은 청소년의 체격과 체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 밀접하게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청소년기의 심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들은 청소년층에게 새로움을 향한 역동성을 가져다주는 반면, 저항적인 문화양식으로도 나타나고, 여기에 입시위주의 학교교육문화, 공부에 대한 부모와 교사 그리고 사회로부터의 압력은 청소년층에게 반항과 일탈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처럼 청소년의 비행이나 범죄는 우리 사회의 산업화, 문명화, 현대화의 큰 줄기를 따라 같이 변화해 왔던 것이다.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청소년 범죄는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 학교, 경찰, 사회전체가 다함께 참여하여 고민하고 대처해야만 그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청소년들을 건전하게 육성시키는 것이 사회 안정의 시발점이 된다는 데에 그 뜻을 두고 청소년 범죄의 실태를 짚어보고, 특히 청소년의 비행과 범죄를 제일 가까이에서 처리하고 있는 경찰의 예방전략 및 성과를 중심으로 문제점과 개선책을 논하고자 한다.

      • 생태체계적 요인이 학교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은영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세계 1위’, ‘인구대비 인터넷 이용비율 세계 1위’, ‘인터넷 인구 3천만 명 돌파’라는 경이로운 결과들을 기록하는 등,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률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02년 현재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가능한 학교청소년의 비율은 99.6%로 청소년에게 인터넷은 이제 일상생활이자 문화가 되고 있다. 그런데 긍정적인 측면 못지않게 청소년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각종 사회적 문제 또한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통해 각 체계요인들이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개인체계에서는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이, 가족체계에서는 부모의 인터넷 사용통제가, 사회체계에서는 인터넷 중심 친구관계와 청소년 여가공간의 활성수준이 인터넷 중독의 발생과 유지에 기여하는 요인이라고 가정하고 크게 세 가지의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지방 중소도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생태체계적 요인(개인체계요인, 가족체계요인, 사회체계요인)과 인터넷 중독간의 관련성 여부를 살펴보며, 셋째, 생태체계적 요인(개인체계요인, 가족체계요인, 사회체계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목포시의 중ㆍ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4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총 358부의 유효응답자료를 선별, 통계패키지를 이용해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로 인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인터넷 중독집단 비율은 전체 대비 31%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전체 중독집단 중 13.5%의 학생은 당장 전문가의 치료를 받아야 하는 ‘심각한 중독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중독은 자기통제력, 현실세계에서의 개인적 효능감, 현실세계에서의 대인관계효능감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상공간에서의 개인적 효능감, 부모의 인터넷 사용통제, 인터넷 중심 친구관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중독에 가장 큰 설명력을 보인 변수는 인터넷 중심 친구관계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범죄 및 비행에 있어 준거집단 기능을 하는 또래집단의 중요성이 인터넷 중독문제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그 다음으로 자기통제력, 부모의 인터넷 사용통제, 가상공간에서의 대인관계효능감, 현실세계에서의 대인관계효능감, 가상공간에서의 개인적 효능감 순으로 인터넷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친구관계가 인터넷 중심적일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부모의 인터넷 사용통제수준이 높을수록, 가상공간에서의 대인관계효능감이 높을수록, 현실세계에서의 대인관계효능감이 낮을수록, 가상공간에서의 개인적 효능감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은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해서는 각 체계별 특성에 근거한 통합적인 접근방안이 중요하며 보다 근본적으로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문제를 전담할 수 있는 기관의 마련 및 관련 전문가의 양성, 인터넷 중독의 개념 및 측정기준에 대한 사회복지계의 합의가 시급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how various systemic factors within ecological system affect on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 systemic factors selected by the researcher after reviewing the former literature and research were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related to personal system, parents' control on internet use related to family system, and conformity to peer group on internet use and students' activation level of leisure space related to society system.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followings; First, to find general trends of internet addiction of local middle-sized city area, Second,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systemic factors and internet addction, Thir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ose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The research has been administered with 411 middle and high school adolescents in Mokpo city area and 358 case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1% of the respondents was internet-addicted. 13.5% of the addicted group was found in severe conditions which mean they need to be intervened by professionals immediately. Second, with correlational analysis, the significant negative variables affecting on the internet addiction were self-control, person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self-efficacy in the real life. Meanwhile, the variables affected on internet addiction in positive way were personal self-efficacy in the cyberspace, parents' control on internet use, and conformity to peer group on internet use. Third,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conformity to peer group on internet use. The other factors that has statistical meaning came self-control, interpersonal self-efficacy in the real life, person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self-efficacy in the cyberspace, and parents' control on internet use. The bottom line is that integrated approach based on each system's features is essential for preventing from and resolving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raining internet addiction specialists and establishing social welfare agency focused only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re also recommended.

      •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박윤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가하고 있는 탈북청소년들의 개인적 배경과 사회적 지지 특성이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보다 실효성있는 정착지원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상정한 문제는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수준과 사회적 지지 특성은 어떠한가, 그리고 개인적 배경과 사회적 지지 특성 및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사회적 지지특성이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를 거쳤다. 첫째,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유형을 파악하였다. 둘째, ‘탈북청소년용 일상생활 적응척도’를 개발하여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셋째,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국내 탈북청소년으로 서울 ·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4세부터 24세까지의 탈북청소년이며 최종적으로 197부의 설문 조사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는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이며 하위변수는 심리사회적 적응(우울, 소극적 일탈행동, 적극적 일탈행동)과 일상생활 적응(문화적응, 가족적응, 정서적 적응)으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수는 개인배경 변수로 성별, 연령, 남한거주 기간, 보호자 유형, 사회적 역할, 경제생활 수준을 상정하였고, 사회적 지지 특성으로는 공식적 지지망 크기와 비공식적 지지망 크기,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물질적 지지를 상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요인분석(foctor analysi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유형을 파악한 결과 교사와 가족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미있는 지지제공자의 수는 평균 2.1명으로 나타나 매우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북청소년들은 높은 수준의 우울과 낮은 수준의 정서적 적응을 보여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배경과 남한사회 적응수준과의 관계에서는 남한거주 기간이 길수록 문화적응수준이 높았으며, 부모 보호 집단이 문화적응과 가족적응이 높았으며 우울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적 적응수준은 후견인 보호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 보호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역할에 따른 적응에서는 검정고시 및 취업준비 집단에서 우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무것도 하지 않는 집단에서 일탈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적 배경과 사회적 지지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남자집단보다 여자집단이, 연령이 낮을수록, 남한거주 기간이 길수록, 사회적 역할을 가질수록, 부모 보호 집단이 비공식적 지지망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 특성이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평가적 지지가 우울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정보적 지지는 소극적 일탈행동이나 적극적 일탈행동에는 부적 영향을, 가족적응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다. 비공식 지지망 크기는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리고 보호자가 있을 때, 비공식적 지지망 크기가 클 때, 평가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높을수록 정서적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에는 개인적 배경 변인과 사회적 지지 특성 변인이 고루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회사업적 개입은 첫째, 탈북청소년 개인 및 가족의 역량강화로 사회적 지지망을 개발하고 적극 활용하도록 지원하고 둘째, 다양한 소그룹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하고 지지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제도권 학교 내에 탈북청소년을 위한 지원제공자 배치 및 체계적인 진로지도 제도화, 무연고 청소년에 대한 법적 후견인 지정 등의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이와 같은 사회사업적 개입을 통해 탈북청소년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relevant data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settlement support programs and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djustment to South Korea by studying how the individual factors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nd the social support program provided for them influence their adjustment to South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is purpose,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questions such as at what level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have been adjusted to South Korea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upport for them,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dividual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program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dividual factors and adjustment to South Korea, and how the support programs affect adjustment to South Korea,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data collection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researcher identified the type of social support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Second, 'Daily life adjustment scale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was developed and used for this research.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actors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nd adjustment to South Korea was analyz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ged from 14 to 24, living in Seoul · Kyengki. Researcher analyzed 197 questionnaires presented to them. Dependent variation used in this research model is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djustment to South Korea, and sub-variation is mental-social adjustment(gloominess, negative irregular behavior, and positive irregular behavior) and daily life adjustment(cultural adjustment, family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Independent variation is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Individual factors consist of sex, age, a period of residence in South Korea, a type of protector, social role, level of economic life, and social support factors are the level of formal support, informal suppor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material support. SPSS/WIN 12.0 statistics package is used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Scheffe post assessm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as analysis methodolog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found that those who provide social support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re mainly their teachers and family members. The number of meaningful support providers turns out to be only on average 2.1.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seem to be suffering from a serious level of gloominess and great difficulty in adjusting themselves to the new societal environment.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factors and level of adjustment to South Korea, the longer they live in South Korea, the higher level of cultural adjustment and the lower level of gloominess they have, However, the level of emotional adjustment is the highest among those belonging to the guardian-protected class, and the lowest in parents-protect class. In social role and adjustment, the class studying for diplomas and preparing for jobs shows the highest gloominess level and the class of no preparations shows the highest irregular behavior level.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women, the young, the class having social roles, and parents-protected class have bigger range of informal support. However, as they get older, they have higher social support level. Fourth, i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actors on adjustment to South Korea, evaluative support tend to effect more gloominess. Informational support effects negative and positive irregular behavior, and family adjustment. The range of informal support influences cultural adjustment, and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have a high emotional adjustment level when they have protectors, more informal support, and higher evaluative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In conclusion, both of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affect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djustment to South Korea. Therefore, future support measures have to: First, develop more social support networks and more actively use them so that the beneficiaries become more competitive in the society. Second, establish social support and secure support resources by offering many small group activities. Third, at schools wher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ttend, deploy relevant experts, provide systematic career consulting, and appoint legal guardians for adolescents with no family members. These intervention of social work can help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better adjust to South Korea.

      • 청소년수련시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자연권수련시설 중심으로

        김학춘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speculates management of young people training facilities which are designed to meet purposes of training activities of young people, and analyse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it prepares effective methods to improve management and specifically, it analyse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raining facilities for young people in natural zone and finds out activations plans of their management. The training facilities for young people in natural zone prepar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training according to organized activities plans led by instructors. They are categorized into young people training center, young people camp and youth hostel. Subjects of foundation include the government, municipal governments,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and private training facilities. When this study identifie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ir management, it finds some factors that affect management of facilities as follows: difficulty of facility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grams, problems of instructors, problems on schools and organizations, financial problems according to decrease of young population, problems on equality of policy and systems, poor communication, poor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environmental changes and financial support, Private facilities have financial problems unlike public ones which are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Activation plans for proper management of such facilitie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e have to activate macro- system of training facilities for young people in natural zone. For the purpose, we have to prepare reasonable communication systems, laws and regulations on them and management standards, which can facilitat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s. The training facilities for young people in natural zone managed by private sectors have to expand regulations on financial supports, consider compatibility of complementary policies between councils for young peopl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supports from the federal and local administration offices, abd reasonable communication systems for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each sector. Second, mediatory systems of training facilities in natural zone should be actively prepared. Private facilities should secure improved commission systems and professional facility management plans on proper capacity, upgraded facilities, professional management and appropriate locations through securement of minimum publicity and financial support and supply of human resources. To dal with financial deficit, they have to prepare institutional improvement, compulsory restrictions, inspection and supervision systems to reinforce administrative power and cultivate groups of young people. Third, through micro-system of training facilities for young people in natural zone, they have to develop specialized programs, secure space for field adventure and effectiv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which contribute to attraction of external resources. Now, we work for five days a week and have long weekend. So they have to prepare improve management systems to secure creativity and potential of future development. They have to be continuously managed through guaranty of various opportunities of activities and improved promotion programs. To achieve the purpose of healthy young people cultivation, the facilities should have established status and identify and provide comprehensive services for young students. They should hav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functions and prepare effective and comprehensive activation plans for happy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본 연구는 청소년복지를 위한 청소년수련시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건전 청소년육성을 위한 청소년수련활동의 목적을 충족하고자 하는 청소년수련시설의 관리와 운영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고 운영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개선의 방안을 찿고, 특히 자연권청소년시설의 실태와 문제점, 원인을 연구 분석하여 운영에 활성화 방안을 찿고자 하였다. 자연권수련시설은 수련활동을 위한 시설과 설비, 프로그램등을 갖추고 청소년지도자에 의해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활동을 실시하는 시설로 청소년수련원,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로 분류한다. 설립주체별로 국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민간수련시설이 있다. 운영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결과 시설관리의 어려움, 특성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청소년지도자의 문제, 학교와 단체의 유치와 관리, 청소년 인구 감소등에 따른 재정난 가중, 정책과 제도의 형평성, 전달체계 미흡, 인력관리 미흡, 관리운영의 전문성 결여, 주5일근무등 환경변화 대처 미흡, 운영재원 부족, 가동율 감소 등이 시설운영에 어려움을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국가와 지방재정의 적자가 보장되는 공공수련시설과 달리 민간수련시설은 대부분 운영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자연권수련시설은 설립목적과 취지에 맞는 건실한 운영이 되도록 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권수련시설의 거시체계 활성화로 수련시설 전달체계의 합리화 및 법과 제도 정비와 수련시설의 합리적인 운영기준을 마련하고 수련시설의 설치에 대한 보다 세밀한 무기준에 대한 설정과 민간의 참여를 촉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민간이 운영하는 자연권수련시설의 경우에도 적자에 대한 운영비 및 인건비등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규정을 확대해 나가며, 청소년위원회 정책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상호보완적인 정책의 호완성이 고려되고, 중앙과 지방행정기관과의 지원, 협조체제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전달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자연권수련시설의 중간체계 활성화로 민간위탁시설도 최소한의 공공성확보와 재정적 인적지원이 따르는 형태의 위탁제도개선과 시설관리 전문화로 수용인원 적정규모, 수준확보, 객실의 수용규모 적절, 관리의 전문성, 위치 등이 좋아야 한다. 재정의 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 마련과 강제적인 규제와 감시. 감독체계를 수립하고 자치단체 행정력 강화와 청소년단체등을 육성해 나가야 한다. 셋째 자연권수련시설의 미시체계 활성화로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보급과 야외 모험 수련체험 공간확보, 인력관리의 효율화로 청소년지도자의 충분한배치, 직원들의 근무여건 향상 외부인력을 적극적으로 유치 활용하여야 한다. 주5일근무(수업)제 전면 및 단계적 시행에 따른 운영시스템 개선과 지식 정보화시대에 대응한 창의성, 잠재력 개발등 다양한 활동기회 보장과 홍보활동을 위한 개선으로 학교 및 청소년단체의 지속적인 관리와 청소년 수련시설 안전성 확보다. 건전한 청소년육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자성과 정체성을 갖고 지역사회 청소년육성의 거점으로서 위상 정립과 협력 및 파트너십 형성, 청소년들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점으로 기능전환 모색과 자연권 수련시설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고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하여 행복한 청소년세상을 펼쳐 나가는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수련시설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