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적용에 관한 연구

        JI ERIC SEUNG-HOON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1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execution elements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The deducti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marketing mindset in the for-profit sector, which has developed and evolved over time. First, the literature review aims to deriv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specific execution element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is is done by merging social welfare-related activities with types of marketing mindset in the for-profit sector. Th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execution element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re then thoroughly reviewed and verified by a group of selected social welfare field experts. To obtain its validity, the marketing approaches in social welfare and related execution elements are evaluated and revised via two interview methods: ‘the focused group interview(FGI)’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field experts’. After thorough review, the Delphi method is us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each marketing execution element when actually put into practice, and to prioritize them by utiliz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marketing approaches specifically for the social welfare sectors can be deduced: ‘policy and service-oriented approach’, ‘service delivering-oriented approach’, ‘service user(client) oriented approach’, ‘network and cooperation-oriented approach’. Second, nine highly prioritized marketing execution elements among the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can be deduced: ‘developing social welfare-related services based on new paradigms and social issues’, ‘imposing individualized policy and service based on different service areas and demographics’, ‘operat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social worker’s service development and providing skills’, ‘the analysis of needs and wants of service users within local community’, ‘discovering unfound service users’, ‘expanding opportunities by providing various service selections for service users’, ‘building cooperative network and strengthening the roles of the organizations within local community’, ‘sharing an organization’s mission, vision, values and goals between departments in organizations’, and ‘creating environment for harmoni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within the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and its support system in order to apply the four types of the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nine major execution elements deduced from this study. Second, social workers must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types of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gional cooperative network by organizing ‘association’ and ‘practice field’ among social welfare-related service organizations. Fourth, creating an evaluation system for program certif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certify’ organizations by applying marketing executive elements. Fifth, ‘a marketing support center’ must be established as part of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by providing ‘integrated’ servic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pecificall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in regard to establishing the marketing support center: first, it is necessary to adopt ‘integrated’ consulting to strengthe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apability and its management; seco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d disseminate manuals based on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ird, execution elements based on sector, region, industry-type, and demographics need to be classified and implemented to create marketing strategies and plan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분야에 마케팅을 적용하기 위해서 영리부문에서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른 지향성을 갖고 변화되어온 마케팅 사고방식(marketing mindset) 유형들을 토대로 사회복지실천 분야에 적합한 마케팅 접근방식과 이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실행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서 영리를 추구하는 조직에서의 마케팅 사고방식 유형별 실행 요소와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업무와 활동을 접목시켜 사회복지 분야에 적합한 마케팅 접근방식과 구체적인 마케팅 실행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한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접근방식과 구성하는 실행 요소들을 사회복지 현장 전문가들을 통해 검증하였다. 마케팅 사고방식 유형별 실행 요소에 대한 타당성을 갖고자 ‘포커스그룹인터뷰(FGI)’와 ‘전문가 대상 심층 면접’을 통해 이를 검토하고 보완하고자 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델파이(Delphi) 패널조사’를 실시하여 FGI와 심층 면접을 통해 검토한 각 마케팅 실행 요소들을 중요도와 시급도로 조사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마케팅 실행 요소들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접근방식은 네 가지 유형으로써 ‘정책 및 서비스 중심적 접근방식’, ‘서비스 제공 중심적 접근방식’, ‘서비스 이용자(클라이언트) 중심적 접근방식’, ‘네트워크 및 협력 중심적 접근방식’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의 실행 요소들 중 사회복지실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9개의 실행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들은 ‘새로운 패러다임과 사회적 이슈를 고려한 서비스 개발’, ‘사업별, 대상별로 개별화된 정책 및 서비스 도입’, ‘서비스 개발과 제공을 위한 직원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지역사회와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ㆍ욕구조사 및 결과 분석’, ‘사각지대에 놓인 서비스 대상자 발굴’,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선택 기회 확대’, ‘지역사회 내 기관의 역할 강화와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기관 내 부서 간의 미션, 비전, 가치 공유와 목표 제시’, ‘기관 내 부서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유형별 ‘주요 9개 실행 요소’를 활용하여 사회복지 서비스 현장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와 제도적 차원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유형에 기반을 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 기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의 기관 간에 ‘연계망’ 및 ‘실천의 장’을 구성하여 지역별 협력적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마케팅 실행 요소의 반영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평가 사업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중앙정부 혹은 지자체의 부속으로 ‘통합적인(integrated)’ 사회복지시설 운영 지원을 위한 마케팅 지원센터를 설립해야 한다. 해당 마케팅 지원센터를 통해 수행해야 할 주요 업무들은 다음과 같이 보다 세부적으로 제안해 볼 수 있다. 하나, 사회복지 기관의 역량강화를 위한 ‘통합적인’ 컨설팅 지원 사업을 마련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매뉴얼을 개발하여 각 사회복지 시설들에 보급하는 일이 시급하다. 셋, 부문별, 분야별, 지역별, 사업별, 대상별 실행 요소들로 구분하여 마케팅 적용 방안에 도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지역복지공동체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문제 예방을 위한 가족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신주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51727

        본 연구는 참여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지역복지공동체 형성 과정을 탐색적으로 밝히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약 3년간 경기도 수원시 P구 W동 지역으로 들어가 의도적 개입을 함으로써 청소년 문제 예방 가족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지역복지공동체 형성에 대한 과정 단계를 제시하고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실시 및 참여과정일지를 기록하였고 기노시다(木下康仁)의 수정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에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지역복지공동체 형성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촉진 및 방해요소를 살펴보았다. 참여 주체를 가정, 학교, 지역사회로 구분하여 변화 과정을 밝히고 전문가를 포함한 이들의 역할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형성과정은 크게 4개의 상위구조와 11개의 하위구조로 설명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잠재적 참여자의 수준과 준비’ 단계는 외부 기관이 개입하기 전으로 사회참여에 대한 개인의 소극적 성향과 부모의 과도한 관여, 학교의 사회참여 의지 미약, 청소년문제에 대한 소극적 태도와 지역사회의 무관심으로 사회참여 인식이 부재한 상태였다. 이후 외부 전문기관이 개입하면서 구성원들의 사회 참여 기회가 제공되었고 각자의 목적에 따라 가족봉사단으로 가입하였다. 또한 잠재성 있는 리더를 발굴하기 위해 실천가는 적극성을 띄는 구성원과 접촉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단계이다. 둘째, ‘초기 참여와 역할 부여’ 단계는 가족봉사단 활동의 적극성이 미흡하고 외부 협력기관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며 청소년 문제에 대한 이기적인 태도를 보였다.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미비하였으며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이 과정 속에서 탈퇴자가 발생하고 구성원을 확충하는 구성원의 재정립 과정을 겪은 후 소극적 태도를 전환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구성원 간 친밀을 위해 노력 하였고 각자 역할을 부여하여 책임감을 갖게 되었다. 이후 자발적으로 규범이 생성되고 가족봉사단 대표는 더욱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다. 구성원들은 전문기관의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의식을 생성시켜 나갔고 청소년 문제에 관심을 보였다.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진단을 하였으며 지역사회 내 청소년 문제를 이슈로 선정하고 가족봉사단 활동 계획을 수립한 시기이다. 셋째, ‘활동전개와 네트워크 확장’ 단계에서는 다양한 청소년문제 예방을 위한 봉사 활동을 하는 가운데 학교 내ㆍ외 갈등이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통을 통해 갈등을 조정하였다. 이러한 갈등은 타 기관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고 의욕이 저하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나 이를 계기로 가족봉사단은 내적으로 성숙되고 단합할 수 있게 되는 긍정적 영향도 있었다. 활동을 하면서 갈등도 전개되었지만 공동체 의식 역시 생성 되었다. 연대의식과 유대관계, 신뢰가 생겨나고 소속감과 배려심, 애정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공동체의식 생성은 위기를 극복해 낼 수 있는 요인이었다. 가족봉사단 활동을 지속함에 따라 구성원들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으며 자발성이 형성되고 협력기관에 대한 의존성을 탈피하였다. 또한 가족봉사단은 외부 기관 및 단체와 협력 사업을 추진하며 네트워크를 확장시켰다. 넷째, ‘변화와 유지’ 단계에서는 가족봉사단 활동을 통한 성장이 있었다. 가정은 상호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하였으며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학교 구성원은 주인의식이 생기고 적극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지역사회는 청소년 문제 예방 사업에 협력하며 상부상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가족봉사단의 자부심과 특수성에 따른 만족, 성취감, 외부의 인정을 통해 긍정적인 평가가 도출된 반면 활동 참여의 한계와 예산의 미흡에 따른 한계성도 드러났다. 그러나 한계 극복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시민단체 및 공공기관을 찾아가 기금을 마련하였고 구성원을 D중학교에 한정짓지 않고 지역사회로 더욱 확대하기로 하였다. 이로써 가족봉사단 구성원은 지역사회를 향한 비전이 생성되었고 자체 소모임을 형성 하면서 가족봉사단 확장 및 유지를 희망하였다. 또한 지역복지공동체의 참여주체를 가정, 학교, 지역사회로 구분하고 이들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의도적 개입으로 비롯된 bottom-up 방식의 지역복지공동체이므로 전문가가 수행해나가야 할 전략 역시 중요하다. 가정은 지역문제에 관심을 갖고 청소년이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가족 구성원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경험이 없다하여 이기적인 태도로 문제를 방관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가정은 전문가에 의해 교육되어져야 하며 개방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 학교는 지역사회와 소통해야 하며 교사와 책임자는 학생들이 지역복지공동체 형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함께 참여해야 한다. 또한 폐쇄적인 모습을 탈피하여 학부모, 지역 내 시민단체, 종교단체 등과 연합하여 마을 전체에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 This study is to examine in a exploratory method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family-school-community local welfare community based on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The data of this research is from the researcher's intentional intervention as a family volunteer worker in W-dong, P-gu, Suwon City, Gyeonggi Province for about three years. It tried to suggest the stages of the process focusing on prevention of juvenile problems, and the changing proces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this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participants, kept the diary of participatory process,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Ginosida (木下康仁).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family-school-community local welfare community stage by stage, and examined elements promoting or blocking the process. It divided participatory subjects into family, school, and neighborhood, and examined the changing process, and suggested the role each subject should play, and the strategy each subject may adop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uch a community can be explained by clasifiying it into four upper structures and 11 lower structur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level of potential participants and their preparation' is the stage before external institution is involved in. Potential participants lack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due to passive attitude of each individual on spcial participation, excessive involvement of parents, insufficient desire of schools for social participation, passive attitude on juvenile problem, and indifference on such problems of local residents. Then, an external professional organization intervened, and they were given opportunitie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joined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To find and grow leaders, the social worker approaches active members and share values with them. The second stage is that of 'initial participation and allocation of roles'. In this stage,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was not sufficiently active, tended to be dependent on the external organization, and was egoistic to juvenile problem. There were not sufficient neighborhood networks, and they were passive. Some members withdrew from the team, and other people newly joined the team. Then, many members began to become active. Team members became familiar to each other, the roles of members were allocated, and they became to have sense of responsibility. Some rules were made naturally, and the leader of the family service team began to exercise the leadership. Receiving education provided by the special organization, team members developed sense of neighborhood, and showed interest in juvenile problem. The team visited districts, diagnosed problems, chose as issue juvenile problem in the neighborhood, and established action plans for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The third is the stage of 'activity start and network expansion'. In this stage, while members did volunteer services to prevent various juvenile problems, some conflicts with schools took place, and solved the conflicts through communication. Such a conflict had negative effect on team members such as reduction on trust in other institution and lowering of their willingness. But, it also had positive effects in the sense that the team could grow and became and consolidated through the experience. In its activities, some conflicts took place among members, but a sense of community developed as well. The team spirit, closeness, and trust to each other, sense of belonging, consideration on others, and affection to each other were generated. The birth and growth of the sense of community served as the element to overcome crises. Their continuous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increased their attention to family, school, and neighborhood, and tey developed spontaneity, and escaped from dependency on a cooperativ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expanded its networks with external institutions and groups, while promoting cooperative projects with them. The forth is the stage of 'change and maintenance'. In this stage,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eam grew with various activities. The family did mutually positive communications, and developed consensus. School members developed sense of ownership, and local residents cooperated in the project to prevent juvenile problems, and helped one another. The team members developed pride as a member of the team, satisfaction with their service, sense of achievement, and pride from recognition of their activities by the outside people. But, some limits of the team activities such as limits in participation and not sufficient budget were also revealed.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s, the team prepared the fund by asking some NGOs and public organizations to donate, and the team membership was expanded from D Middle School to the local residents. such an expansion of membership helped members to develop a vision on neighborhood, and form small meetings. They wanted to enlarge the family voluntary service team. In addition,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participatory subjects of the local welfare community into family, school, and neighborhood, and examined their roles. Since the community this research deals with is bottom-up style local welfare community which was initiated by intentional intervention of a specialist, it is also important to devise strategies the specialist should act on. Family must be interested in the neighborhood, and be aware of the fact that adolescen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neighborhood. family members should not assume the attitude of onlookers for juvenile problems because they have not been damaged. Family members should be educated by specialists and they should be open to those problems. School should communicate with neighborhood, and teachers and scho

      •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일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727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대상자에게 사회복지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사회복지서비스를 계획함으로써 인간 또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 내지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람이다. 사회복지서비스는 일상적이고 복잡한 것이 특징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있어 사전 규정된 절차나 규정에 의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사회복지사들의 가치와 지식, 기술 등에 의해 판단하여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됨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중요한 자원인 사회복지사들의 교육훈련의 실시현황과 교육훈련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적용하고 사용하는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학습동기, 성과기대, 자기효능성)과 교육훈련 특성(직무관련성, 교육방법, 강사의 자질), 조직상황적 특성(상사의 지원, 조직풍토)의 변수가 교육훈련 전이성과(가치, 지식, 기술,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에서 일반적 특성(전이기간, 경력, 교육 분야, 직위, 자격, 근무분야)을 통제 했을 때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지역의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참가자와 직무교육 참가자 각각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응답자료 총 328부가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for Windows 12.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의 성과기대, 학습동기, 자기효능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훈련 특성에서도 직무관련성, 강사의 자질, 교육방법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조직상황적 특성에서도 상사의 지원, 조직풍토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과 교육훈련 특성, 조직상황적 특성은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특성에서는 자기효능성, 학습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훈련 특성에서도 직무 관련성과 강사의 자질이, 조직상황적 특성에서는 상사의 지원, 조직풍토가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는데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과 교육훈련 특성, 조직상황적 특성을 각각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기전과 다르지 않았으며, 단지 교육방법만이 다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여 개인적 특성과 교육훈련 특성을 함께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는 자기효능성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며, 교육훈련특성은 교육방법을 제외한 직무관련성, 강사의 자질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특성과 조직상황적 특성을 함께 분석한 결과 두 특성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훈련 특성과 조직상황적 특성을 함께 분석한 결과를 보면 상사의 지원이 무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직무관련성과 강사의 자질, 조직풍토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과 교육훈련 특성, 조직상황적 특성을 모두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성과 직무관련성, 강사의 자질 그리고 조직풍토가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사의 교육훈련 전이에 자기효능성과 직무관련성, 강사의 자질, 조직풍토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학습동기와 성과기대, 상사의 지원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증진 및 전문 교육훈련 개발을 위해 기여 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개인적 특성 및 사회적 특성, 교육훈련 특성, 조직상황적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적 특성 및 사회적 특성 관점에서의 실천방안으로는 첫째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사회복지시설(기관)에서 운영하는 각종 프로그램의 내용과 같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들의 능력과 자질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개선과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 제정과 사회복지보수교육의 체계적 실시를 위한 다양한 노력과 각종 국내․외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이를 통한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사회복지사들의 교육훈련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사회복지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re people who provides welfare service directly or solves human or social problem by planing welfare service. Welfare service is ordinary and complex, so welfare service is made a decision not by going through the necessary formalities but value or knowledge or skill of social workers. Therefore advancements in profession of social workers is very important. Purpose of a study is influential factors on the transferred outcome of training of social workers. Therefore a study is going to look into three aspect. First, A study is going to look into Influential factors on the transferred outcome of training of social workers in the resp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Second, A study is going to look into influence of transferred outcome of training in the respect of value and skill and knowledge and action. Third, A study is going to look into transferred outcome of training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when a study regulate social characteristics. A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250 examinee received social worker education and job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is used SPSS for Windows 12.0 for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Description Analysis. Analysis consequence is following. First, Self efficiency and instructor qualification,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on transferred outcome of training of social workers. Second, Learning motivation and outcome expectation, superior support have a positive effect partly on transferred outcome of training of social workers. Practice plan for advancements in profession of social workers and development of specific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is following. Above all, Practice plan according to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is following. First, Ability and qualification of social workers is very important. Action for advancements in profession of social workers have been carrying out various ways. The ways are enact a law for social workers' betterment of labor conditions and betterment in status labor conditions and a systematic approach in conducting social worker education, training in domestic and foreign. Knowledge and skill acquired in training of social workers have to be applied in the community welfare practice. Second, a systematic job analysis and division of task is necessary for social workers' capability. Third, Development of various training programs for social workers' capability is necessary according to function, position, carrier. Besides human resources management is necessary for social workers' capability. Practice plan according to training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is following. First, Supportive center for training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various training programs, continuous evaluation of training is necessary. Second, Gyeonggi Supportive Center is necessary. It's role is secure of specific instructor, continious promotion of instructor's specific and support for training plan, setting up supportive system of special instructor. Third, Close coope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s necessary. And multilateral effort between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s necessary, too. Social worker's value and ethics, common issues have training in the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And Specific training according to types of job, position, task have training in each council on social welfare, association. Fourth, training for social worker is necessary cooperation and connection among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university(college) and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association. Universities(colleges) have training about social worker's value and ethics, skill.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association have training about a pending issue of community, various training program in social work skill and practice. Community welfare centers have training about direct social work program. Practice plan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is following. Community welfare centers make regulations of training for advancements in profession of social workers.

      • 사회복지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김용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1727

        사회복지조직의 경우처럼 전문직의 특성이 부각되는 곳에서는 전문기술의 축적구조를 어떻게 마련하는가에 따라 조직의 목적달성이나 효과성 및 효율성 증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조직구성원의 이직이 빈발하게 되면 이러한 구조를 제대로 구축하기가 힘들다.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가 높다는 것은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과 전문성에 영향을 주고, 서비스의 질과 전문성의 문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직접적 수혜자인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면밀히 분석하여 사회복지사의 조직관리와 인력관리에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경기도 18개시에 소재한 45개 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2005년 9월 26일부터 2005년 10월 25일까지 415부의 설문지를 직접 배포하고 384부를 우편으로 회수하여 369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정을 거쳐 SPSS 11.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적 특성 과 조직배경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기술통계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Cronbach's Alpha를 내었고, 요인들의 묶음에 관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도 하였다.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t-test,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개인적 특성은 369명 중 여성이 260명(70.5%)으로 남성 109명(29.5%)보다 2배 이상 많았고, 나이는 20-30대 사회복지사가 247명(67%)을 차지하였으며, 학력은 4년제 대졸 이상이 325명(88.1%)이다. 그리고 1급 사회복지사는 290명(78.6%)이며, 미혼 사회복지사가 237명(64.2%), 종교를 가진 사회복지사는 290명(78.6%)이다. 또한 연간 수입 2000만원 이하가 274명(74.3%)에 달하며, 근무기간 1-2년 사이가 193명(52.3%), 5년 이하 근무한 사회복지사가 309명(83.7%)으로 대부분의 사회복지사가 단기 근속자임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전체 평균을 살펴보면, 평균연령은 29.18세, 평균 월수입은 약 156만원이고 평균 근무 개월은 35.06개월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차이에서는 개인적 특성에서는 연령, 연봉, 근무기간, 종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조직의 배경요인에서는 사회복지사수와 운영주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 조직특성, 직무특성, 이직용이성에서는 이직의도 영향변수 모두가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상관관계 순위는 직업탐색행동, 보상부적절, 조직체계, 직업불안정 순이었다. 셋째,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조직특성 요인에서는 보상부적절, 관계갈등, 조직체계, 직무특성 요인에서는 직무요구, 직업불안정, 이직용이성 요인에서는 직업탐색행동, 직무대안지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직장문화와 직무자율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은 직업탐색행동, 직업불안정, 보상부적절의 순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직업탐색행동과 보상부적절에 관련된 사회복지사들의 열악한 근무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나아가 기본급 외에 연월차 휴가와 주 5일제근무, 초과근무수당, 휴일근무수당 등의 혜택을 주어야 한다. 둘째, 이직의도에 중요한 변수인 직업불안정의 해소방안이 필요하다. 이는 사회복지시설은 대부분 위탁운영을 하고 있고, 위탁제도로 인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신분보장은 위탁기간에 따라 보통 3년 정도이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들의 고용승계가 필요하다. 셋째, 관계갈등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퍼비전과 수퍼바이져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직무요구와 관련하여 사회복지사들의 능력 강화를 위한 전문성 함양 교육기회의 제공과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다섯째, 조직체계의 안정을 위하여 근로기준법을 위시한 노동 관련법들을 사회복지시설에도 적용시켜야 한다. 여섯째, 시. 도와 기초자치 단체, 민간기관들의 적절한 역할 분담과 상호 협조가 절실하다. 왜냐하면 사회복지법 개정으로 기존 국고보조금 제도가 분권교부세로 일괄 처리되면서 사회복지사업 분야의 축소와 지역 간 재정격차에 따른 복지수준의 불균형이 심화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 사회는 사회복지사를 자선사업가나 자원봉사자로의 잘못된 인식을 전환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 사회복지사로 생각해야 한다. 즉 자선패러다임에서 복지패러다임으로의 사고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도 전문직업인으로 정당한 근무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이직을 감소시켜야만 전체적인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In work fields that require high levels of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such as social welfare, the organization’s achievement of objectives and enhancement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s largely dictated by the structure used for accumulating the necessary professional skills, and such structure suffers strength if there is a high employment separation rate of the members. The high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of social workers has adverse effects on the quality and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uch problems of quality and professionalism of the services directly impact the clients who are the direct recipient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hus,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of social workers and to propose strategies for securing efficiency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social workers. In this study, 415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rectly distributed to social workers working in 45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18 cities around Gyeonggi-do from September 26, 2005 through October 25, 2005, 384 copies of which where recollected by mail for analy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employment separation, personal attributes and organizational background attributes, organizational attribute factor, occupational attribute factor, and proximity to employment separation factor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n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were analyzed. The study employed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Stress (2004) for measuring occupational attribute and organizational attribute factors, Yi Giri’s (2002) research tool for researching proximity to employment separation factor, and Kim Seonghee’s (2000) research tool for researching intension for employment separa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data coded and analyzed with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1.0 for Window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used for examining personal attribute factor and organizational background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verifying the questionnaires. In addition, t-test analysis,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differences in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of social work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y age, salary, employment period, and religion for personal property factors, and by number of social workers, and management for organizational property factors. All the variables affecting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except personal property factors?i.e., organizational property factors, occupational property factors, and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variables?were seen to have statistically high correlation with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Second, differences in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of social work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y age, salary, employment period, and religion for personal attribute factors, and by number of social workers, and management for organizational attribute factors. All the variables affecting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except personal attribute factors?i.e., organizational attributes, occupational attributes, and proximity to employment separation?were seen to have statistically high correlation with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specifically in the order of job searching activities, inadequate compensation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job instability. Third, inadequate compensations, interpersonal conflict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organizational attribute factors, occupational demands and job instability for occupational attribute factors, and job searching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alternative jobs for proximity to employment separation factors were seen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autonomy we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were, in the order of importance, job searching activities, job instability, and inadequate compensations. Drawing from the study findings above, the following policies and practical measures could be suggested. First,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poor work conditions of social workers in regards to the job searching activities and inadequate wages. Compensations must be granted in forms of monthly and annual leaves, 5-day week, overtime allowance, and holiday allowance in addition to the basic salary. Second, job instability, which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employment separation intension, must be resolved. Most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run by contracts and status of social workers are generally guaranteed for three years in line with the terms of contracts. Therefore employment succession of social workers must be looked after. Third, supervision and roles of supervisors must be given emphasis in order to minimize interpersonal conflicts. Fourth, education opportunities for nurturing professional skills must be provided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must be activated in order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social workers in tandem with the work requirements. Fifth, the Labor Standards Act and other labor-related laws must be applied to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standardized organizational systems. Sixth, as the existing central government financing system shifts to the new decentralized financing system along with the amendment of the Social Welfare Law, social welfare services are expected to scale down substantially, and imbalance of social welfare levels is forecasted to emerge from region to region.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dequate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and mutual collaboration between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ment institutions and private institutions. The general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as charity workers or voluntary workers must be changed so that social workers can be well accepted as professional workers. In other words, perception and paradigm of social welfare must shift from charity to welfare. It must be remembered that reducing employment separation of social workers through providing them work conditions that allow them to work and live as rightful professionals i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improving the overall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 예비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이해

        김혜진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2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 of social welfare majors in their senior year who have decided to pursue a career in line with their major, and reconstruct the significance. The study also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discovering an effective and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the nurturing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Sch?tze's Narrative Interview in which 5 prospective social workers participated, and analyzed the data according to Sch?tze's 4-step Analytical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uld-be social workers have been accumulating knowledge and skills as important tools in realizing employment, thereby having lost the true identity and value of being in the profession. Next, would-be social workers' understanding of their identity and rol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ir understanding of clients. This was, in turn,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understanding client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reflected on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nurture social workers and on the existing system of social welfare certification, and raised the necessity of an educational process that fosters value.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practicing example analysis as an alternative for properly understanding clien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discovering an effective and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or the nurturing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본 연구는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4학년 학생 중 사회복지직으로의 진로를 결정한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는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이해 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문적인 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이고 대안적인 교육방안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직으로의 진로를 결정한 예비사회복지사 5명으로 대상으로 Sch?tze의 이야기식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를 통해 자료를 수집, 다시 슛제의 4단계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사회복지사들은 취업을 위한 조건을 완성하는 의미로써 지식과 기술을 축적하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가치가 빠져있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예비사회복지사들이 가지는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이해는 그들이 클라이언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다시 클라이언트를 이해하는 방법의 부재라는 문제점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의 교과과정과 현행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제도에 대하여 반성하여 보고, 가치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예비사회복지사들이 클라이언트를 바르게 이해하는 방법으로써 교육과정 중 사례분석 연습의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해 전문적인 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한 대안적인 교육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현장실습경험이 사회복지 전문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충청지역 학부생을 중심으로

        김효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27

        사회복지 교육에 있어서 사회복지 현장실습은 학생들이 정체성을 가지고 사회복지의 가치, 지식 및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전문적 실천 능력을 배울 수 있는 전문적인 훈련과정이다. 더 나아가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사로서의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탐구하고 발견하도록 하여 사회복지 전문직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지, 장래직업으로 적절한지 평가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현장실습이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인 사회복지 전문 직업의식에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질문으로는 첫째, 학생들이 경험하는 현장실습의 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학생들이 경험한 현장실습은 사회복지 전문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등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사전조사를 거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서울·경기·충청지역 6개 학교의 사회복지학부(학과, 전공) 3, 4학년 학부생들 151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들이 경험하는 현장실습 내용을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조사하고자 한 실습내용, 즉 전문적 발달을 위한 학습내용, 서비스전달체계, 기관 및 지역사회에 대한 내용, 클라이언트 체계에 대한 내용 중에서 전문적 발달을 위한 실습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클라이언트 체계에 대한 실습내용, 그리고 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실습내용, 마지막으로 기관 및 지역사회에 대한 내용 순이었다. 실습 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41점으로 보통수준 이상이었다. 학생들의 수퍼비전 순위는 지지적 수퍼비전, 교육적 수퍼비전, 행정적 수퍼비전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기관 수퍼바이저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5점 척도에서 3.56점이었다. 실습기관의 실습생을 위한 지원에 있어서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53점이었고, 타직원 및 동료실습생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5점 척도에서 3.93점으로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자신이 전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직에 대해 갖고 있는 소명의식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58점이었고, 실습을 통해 전문 지식 및 기술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3.26점인 것으로 소명의식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습관련요인들이 학부생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 특성요인과 관련하여서는 실습 전 정기적인 자원봉사 경험과 실습지 선정이유에 따라서 직업의식에 차이가 났다. 그러나 실습횟수와 실습 전 실습목적을 세우는지와 관련하여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실습생 특성요인 중 자원봉사경험과 실습지를 선정하는 이유를 분명히 하도록 지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실습 전 실습 목적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나 대다수의 학교·기관이 실습교육에서 이러한 내용을 학생들을 위해 교육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실습내용 관련요인이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실습내용 중 전문적 발달을 위한 실습내용과 클라이언트 체계에 대한 실습내용은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의식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퍼비전과 관련해서는 지지적 수퍼비전이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수퍼비전은 사회복지 전문 직업의식 하위변인 중 전문 지식 및 기술 습득에 있어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퍼바이저와의 관계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실습기관요인과 관련하여서는 기관의 실습생을 위한 지원과 타직원 및 동료 실습생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사회복지 전문 직업의식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조사한 실습관련 모든 요인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살펴 본 결과는 실습만족도가 사회복지 전문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이 만족하는 실습경험을 갖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있어 현장실습의 중요 요인이었던 수퍼비전과 실습내용, 수퍼바이저와의 관계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수퍼비전 및 실습내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어떤 수퍼바이저에게 지도 받는지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체계적인 지도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현장실습경험이 학부생들의 사회복지 전문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현장실습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둘째, 연구결과를 근거로 사회복지실습기관에서 학부생인 전문적 예비 사회복지사를 교육시키는데 필요한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실습교육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Social welfare field experience in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is a professional training course where students can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y to apply the value, knowledge and technology of social welfare into practical life. Field experience also helps students to assess their own strong points and weak points and vocational fitness to be a social welfare work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worker of students who would serve as social welfare worker after graduation. Also to present answers to such questions like; first, what's the contents of field-experience program?; and second, does field-experience have influence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of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urveyed 151 junior and senior students at 6 universiti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using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SPSS 10.0 Analysis. In terms of contents of field-experience, conten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art of the whole contents we studied followed by contents of service delivery system, of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and of client system in that ord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3.41 for a five point scale. The ranking of supervise of students were educational supervision, administrational supervi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institutional supervisor was 3.56 for a five point scale. supports from field-experience institution for students was averaged at 3.53, and the relationships with fellow students was 3.93 for a five point scale. Consciousness of a royal summons of students as a social welfare worker was averaged at 3.58 and the degree of perceived improvement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s was 3.26 for a five point scale. We found factors of field-experience which influence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students. First, as for the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eir experience of regular volunteering activities and the place of field-experience affected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them. The number of field-experience, however, and whether or not they set goals of field-experience before they participate in it, does not affect their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refore, volunteering activities and the place of field-experience should be stressed in instructing students. Setting goals of field-experience is very important before participation, but the majority of schools seem to fail to educate students on this subject. Second, factor related to the contents of field-experience are as following. Conten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lients systems proved to influence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students. The degree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is high wh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field-experience is high. In terms of supervision, supportive supervision affects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supervision is limited only to the sub-factor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to the acquiring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s.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has no influence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ird, factors related to the institutions of field-experience, the support from the institution, and relationship with employees in the institution and with fellow students affect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students. Finally, the study shows that when all factors, we mentioned before,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field-experience i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student to have satisfactory field-experience. Supervision, the contents of field-experience and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which seem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previous studies, do not proved to be influential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needed to investigate how supervision is conducted and how a supervisor instructs students to develop systematic supervision. Based on above results,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field-experience of social welfare on professional consciousness, this study reaffirms the importance of field-experience. Second, by investigating important factors in educating students who hope to be social welfare workers,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to be considered in field-experience.

      • 사회복지사의 농문화 인식 정도에 관한 연구

        김주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장애인의 병리학적인 특성을 넘어 언어적, 문화적 소수민족의 특성을 가진 농인(Deaf)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천 서비스의 기본이 됨을 전제로 밝히고 있다. 현재 농인은 복지의 사각지대에 속해 있으며, 이는 사회복지 내에서 농문화(Deaf culture)의 이해가 뒷받침 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문제제기 하고,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이 농문화를 인식하는 정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일반 사회복지기관과, 장애인 복지관, 농인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농문화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가 농문화를 바르게 인식하고 사회복지 실천적 서비스에서의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68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배포 및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체적인 사회복지사는 농과 농인을 전통적이고 병리학적인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농문화의 요소 중 족내혼, 즉 농인사회 내에서의 결혼 및 출산에 관한 부분에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농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네트워크를 제외한 모둔 부분에서 농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장애인복지관과 기타 일반사회복지기간을 비교한 결과 이 두 집단에서는 농문화 인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농인과 장애인과 같은 장애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증명한다. 농문화의 차이를 보이는 요인 중에는 단순한 수화학습의 유무가 아닌 수화실력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형식적인 수화학습이 아닌 하나의 언어와 문화로서 접근하는 수화학습이 농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몇 가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수화를 습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수화 학습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수화통역사 제도 및 수화강사 제도를 마련하고, 체계적인 수화학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농인복지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농인기관 종시자들의 전문성이 더욱 요구되어야 한다. This study has premised that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eaf who have the traits of linguistic and cultural minority beyond the pathological trait of the handicapped is the foundation for practical service of effective social welfare.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al workers recognize Deaf culture. Especially, the study aims to help social workers understand Deaf culture right and offer the reserved meaning in practical service of social welfar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cognizing Deaf culture among social workers at general social welfare agencies, welfare centers for the handicapped, and institutions for the Deaf.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ntire social workers looked at deafness and the Deaf from the traditional and path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y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endogamy among the elements of Deaf culture, that is, marriage and childbirth within the deaf society. The social workers at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eaf were recognizing Deaf culture positively in every part except network. However, when the social workers at welfare centers for the handicapped and general social welfare agencies were compar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Deaf cultur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proves that the Deaf and the handicapped don’t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isability. Among the elements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Deaf culture, sign language proficiency, not the simple existence of sign language learning, showed a meaningful outcome. This can mean that sign language learning approached as a language and culture instead of conventional sign language learning is helpful to understand Deaf culture. Accordingly,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irst, an institutional devise should be arranged for social workers to acquire sign language. Second, the quality of sign language learning should be improved. For this, a sign language interpreter system and a sign language instructor system should be prepared and systematic sign language learning should be supplied. Third, welfare professionalism for the Deaf should be ensured. Fourth, professionalism of those working at institutions for the Deaf should be required more.

      • 교정사회복지를 위한 도덕딜레마 교육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보호관찰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미경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 비행문제를 그들의 도덕성 발달에 초점을 두어 교정사회복지 측면에서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장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도덕성을 언급한 콜버그(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을 이용하여 그들을 조명하고자 하였으며, 특별히 그의 도덕딜레마교육을 비행청소년들을 위한 교정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그들의 도덕발달수준 및 특성을 파악하고 도덕적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호작용의 장으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기도 S시에서 2005년 2월 현재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남·여 비행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총 8주에 걸쳐 도덕딜레마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인터뷰 내용은 사회과학적 해석학의 방법인 위버만(Oevermann)의 객관적 해석학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비행청소년들의 도덕발달수준은 도덕발달 2단계에 해당하는 전인습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도덕딜레마교육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대상자들의 경우 도덕발달 2단계에서 3단계로의 변화를 점차 보여 주었으며, 제시된 딜레마 유형에 따라 도덕발달수준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연령별로 도덕발달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현재 성인기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고등학생 대상자들의 도덕발달 수준이 주로 2단계에 머물러 있어 이에 대한 접근이 시급함을 제시해 주고 있었다. 그리고 도덕발달 수준에 따라 비행성향의 차이를 보였으며, 주로 2단계의 도덕발달 수준을 보이고 있는 대상자들은 자신의 이익과 욕구 충족을 목적으로 비행을 저지르는 것에 비해 3단계의 도덕발달 수준을 보이는 대상자들은 비행집단문화의 영향으로 친애주의적 입장에서 비행을 저지르게 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비행청소년들의 도덕성 발달은 다음의 세 가지, 즉 ‘자기중심적 성향’, ‘역할채택능력의 부족’. ‘권리와 의무의 왜곡된 인식’이라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상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비행청소년들의 자기중심성은 타인을 이해하는 역할채택능력의 부족을 가져오고 그것은 결국 자신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하게 함으로써 악순환 되었다. 그러나 도덕딜레마교육을 통한 대상자들의 도덕발달수준의 변화는 인지자극과 역할채택의 기회가 그들에게 지속적으로 주어진다면 현재의 전인습적 도덕발달 수준에서 인습수준의 도덕발달 수준으로 향상될 가능성을 제공해 주었으며, 이는 도덕딜레마 교육을 통한 교정사회복지 실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 대상자들의 도덕적 판단 능력의 향상이 반드시 도덕적 행위를 유발시키는 충분조건은 될 수 없으며, 도덕적 사고의 향상과 함께 그것을 도덕적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 실천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하여 교정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개인뿐만 아니라 그 개인의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의 도덕적인 분위기 형성을 위해서도 접근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to realize correctional welfare related to delinquency with a focus on juvenile delinquents' moral development. This study is of relevance because this topic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oday's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we illuminated juvenile delinquency using Kohlberg'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that embraces morality in a most positive and systematic manner. Particularly his moral dilemma education was utilized as a correctional welfare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in order to analyze their moral development level and as a basis to improve their moral judg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juvenile delinquents under protective supervision in S City, Gyeonggi-do moral dilemma education was applied for eight weeks.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the help of Oevermann's objective hermeneutics, a qualitative-reconstructive method of social sc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uvenile delinquents' moral development was on the pre-conventional level, which is equivalent to stage two of moral development. However,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moral dilemma education continuously showed gradual transition from stage two to stage three and sometimes showed changes in moral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dilemmas presented. In addition, when the participants' moral development level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ir age, the moral development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transition into adulthood generally remained in stage two, which suggests the urgency of approaching the problem. In addition,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endency of delinquency according to moral development level. Those who were in stage two of moral development committed misdeeds for their own interests and desires while those who were in stage three acted for fidel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culture of delinquent (peer) groups. Second, juvenile delinquents' moral development was characterized by 'self-centered tendency,' 'lack of role-taking ability' and 'distorted consciousness of rights and obligations.' These characteristics affected their interaction with others. Juvenile delinquents' self-centeredness lowered their role-taking ability, which, in turn, made them to have wrong ideas on their rights and obligations. However, changes in subjects' moral development brought forward by moral dilemma education provided the possibility of transition from the pre-conventional level to the conventional level as long as opportunities for cognitive stimulation and role taking were given to them continuously. This suggests that moral dilemma education is applicable to the implementation of correctional welfare. However, the improvement of moral judgment in the subjects cannot always be a sufficient condition for causing moral deeds.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moral thinking, the implementation of correctional welfare is required for the practice of moral deeds. For this, approaches should be made in the field of correctional welfare not only for individuals but also for the creation of moral atmosphere ('just community') in the society that affects the individuals' moral development.

      • 노인복지관 사회활동프로그램의 우울증관리에 대한 유효성 연구 : 수도권 노인 및 실무인력의 견해를 중심으로

        원순래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what kind of social activity programs are useful for preventing and for relieving symptoms of depression seniors registered at senior welfare centers, and knowing whether the program operated by senior welfare centers helps the service personnels were surveyed to see how those suggest to a social worker how to manage the aged who have depression through the program made by a special expert on the aged. The survey were sampled by those seniors selected among the seniors who are taking advantages of the service provided by a social welfare center and who are the members of three senior welfare centers and associa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09, and the questionnaire, with classifying seniors and staff, consisted of the questions that were asking about seniors' general attribute, health and finances conditions, subjective opinions about depression, frequency of using programs, and so on; this was analyzed through SPSS 18.0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 showed following facts. Firstly, in the degree of senior depression, as the past research finding showed before, the lower one's finances conditions were and the more one thought his/her health was bad, the more severely 67.1% of the women experienced slight depression. In fact, however, 74.6% of the respondents had been already suffering from the slight depression. Secondly, in the respondents' subjective opinions, there were only 39 out of the total 213 persons, who thought they had depression themselves. Based on this result, it is fine to say most of the seniors were in ignorance of the depression. Among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healing program for the depression, nevertheless, active programs are thought to be more effective than inactive ones; the class for sing(65.1%) was the best program, followed by yoga(40.9%), Korean dancing gymnastic(28.9%), sports dance(26.8%), and so on. However, it is said by experts that affective support(37.8%), periodical medical examination for depression(13.5%) are the effective way to prevent depression. Based on foundation of these research findings, developing a program, which meets subjects' demand through affective support from experts and which can be available through group activities, is recommended. For instance, volunteer activities which make community participation more viable, programs which make it available that one can get financial aid through job development and alleviate a sense of social alienation. In addition, in an attempt to deal with the senior depression, participation in and change of the programs through periodical medical examination for depression are needed.

      • 아동·청소년복지서비스 조직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우정자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51711

        이 연구는 조직간 협력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조직간 협력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면 조직간 협력도 발전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아동·청소년복지서비스 조직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서비스 조직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개인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조직간 협력에는 전문성과 인맥과 같은 개인의 특성, 조직외부 자원의존과 같은 환경특성, 조직의 규모나 기능과 같은 조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났다. 한편, 최근에 조직간 협력관리가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관점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회복지 조직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연구에서는 관리를 통하여 조직간 협력도 발전될 수 있다는 관점이 간과되어 왔다. 이 관점은 이론 및 실천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가치를 인식하고, 협력관리요인, 개인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복지서비스 조직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존 요인과 관련 개념으로부터 협력관리라는 개념을 세분화하고 그 의미를 정확하게 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조직간 협력관리정책 수립과 실천에 힘써야 할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실천대안을 확장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아동·청소년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론 검토를 통하여 공식·비공식 만남, 계약, 협력담당자 선정과 같은 협력관리는 조직의 주체적 인식과 노력에 따라 발생하는 가변적인 부분이고 서비스 질의 향상을 꾀하는 관리기술로서 기존의 조직요인과는 성격이 다르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간 협력관리는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서 협력결과와도 구분되는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첫째, 협력관리 변인인 계약, 공식·비공식만남, 협력담당자는 아동·청소년복지서비스 조직간 협력의 여러 가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 조직기능 및 구조 변인, 환경변인을 통제할 경우에도 협력관리 변인은 아동·청소년복지서비스 조직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변인 중에서 인맥이 아동·청소년복지서비스 조직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변인이 투입되었을 때, 개인변인은 의뢰받은 클라이언트 수라는 하나의 종속변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인맥은 다양한 서비스를 확보하기 위한 프로그램 교환과 공동사업운영, 그리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공동대응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기능 및 구조요인 중에서는 서비스 수, 상담기관이라는 조직기능, 상근직원수와 조직의 법인화 여부가 여러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 수와 상담기관이라는 조직의 기능은 다른 변인이 통제하여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클라이언트 속성과 전문치료 상담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방 청소년상담센터의 기능에서 연유한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 무엇보다도 협력관리와 같은 조직의 노력이 아동·청소년복지서비스 조직간 협력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의뢰를 받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조직 간의 공동대응을 하는데 조직의 주체적 노력, 투자,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하여 관련기관 실무자와 자주 만나고 협력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 모든 활동을 담당하는 협력담당자 선정과 같은 내부시스템을 만드는 조직의 정책이 조직간 협력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직간 협력관리의 기술과 노하우, 이론의 개발을 주장하며, 조직간 협력을 위한 여러 가지 기술과 도구라는 관리활동을 서비스 조직 및 정부의 정책차원에서 제도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the collaboration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for children and youth in Korea. The previous research,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ollaboration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have focused on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m, the individual factor like specialty and personal tie, the organizational factor like size and function, and environmental factor like resource dependency were key determinants in the collaboration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However, recently it was raised a point of view that management influences the collaboration among organizations. Till now, this view has been overlooked.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In terms of theory, it differentiates the definition of collaboration management and provides the different angle to find collaboration determinants. In terms of practice, stress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d practicing the plan for collaboration management, it suggests us that promising strategies of management for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n korean children and youth social service arena should be prepar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rough examining the theories, it is found that collaboration management like formal and informal meeting, contract, appointing the staff for collaboration is a changeable area by the awareness and effort and a technique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being different from the former organizational factors. Collaboration management is found to be a factor accelerating the collaboration and differentiating from collaboration result itself. Second, the sub-variables of collaboration management affect several types of the collaboration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for children and youth. Controlling the sub-variables of the individual ,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 the sub-variables of collaboration management do affect the collaboration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for children and youth. Third, the personal tie among the individual sub-variables affects the collaboration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for children and youth, but it does a sub - dependent variables only. It does not affect the sub-variables of service exchanges and joint programs for providing more programs, and coping with the changing circumstances together. Fourth, the number of services, the organizational function of counseling, the number of staffs, and incorporating among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 several types of the collaboration. Controlling the other sub-variables, the organizational function of counseling does strongly. This results from the function youth counseling center providing the professional counseling and program. Above al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ffort of organization like collaboration management does affect strongly the collaboration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for children and youth, which suggests that the effort, the investment, and the management are important in the clients being refereed, providing some kinds of programs, and coping with the changing circumstances together. It means that the policy of organization which makes the staffs to participate at meetings to obtain various programs that other organizations provide, draws the agreement for collaboration, and arranges internal system for collaboration like appointing special staff activates the collaboration among organiz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us some recommendations. The efforts to develop technique, know-how, and management theory should be made in the Korean society.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should encourage organizations to manage the collaboration among them and make an effort to initiate policies and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