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r Begriff Verantwortung und seine Verwendung in der Unternehmensethik im Hinblick auf Max Weber, Hans Jonas und Karl-Otto Apel

        Min, Byeong-Wook 한독사회과학회 201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9 No.4

        오늘날 현대문명의 기술로 인한 자연파괴와 그런 행동의 결과에 대한 제한된 지식은 우리 인간들에게 책임에 대한 문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책임 윤리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모든 인간은 그의 행동의 예측 가능한 결과에 대해 답해야 한다. 책임은 모든 형태의 행동에서 고려되어야하고 삶의 실천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실천 철학의 기본 범주이다. 독일에서 책임윤리는 오랜 전통을 자랑하고 있고 막스 베버, 한스 요나스, 칼 오토 아펠이 제시한 다양한 책임 개념들은 독일 기업들의 기업윤리로 나타나고 있다. 막스 베버는 행동의 결과에 관계없이 ‘순결한 의지’ 또는 ‘동기’를 행동의 내재적 가치로 간주하는 신념윤리와는 구분되는 행동의 결과에 책임을 지는 책임윤리를 강조한다. 이러한 책임윤리를 통해 인간의 야만적인 본성이 성숙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요나스는 인간과 자연의 보존에 중점을 둔 미래에의 책임윤리를 강조한다. 그는 과학 기술의 발달과 그것을 따라가지 못하는 윤리의 차이를 '윤리적 공백'이라 부르면서, 전통적인 윤리로는 이러한 새로운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윤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아펠의 책임윤리는 연대적 책임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책임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논증적인 담론윤리를 제안한다. 그리고 그의 주장에 따르면 논증적 담론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논증적인 것은 만인이 동등한 권리를 가진 파트너로 참가하고 있는 이상적인 의사소통 공동체를 전제한다. 기업의 책임 문제는 종종 회사의 활동에 관련된 사람들, 즉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에 대해 논의된다. 회사는 이러한 모든 이해 관계자에 대해 단순한 법적 규정 준수 이상의 구체적인 책임을 지고 있다. 그러므로 책임 개념이 기업 윤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책임윤리 담론이 기업실무에서 실제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책임경영을 위한 포괄적 기업윤리가 도입되어야 한다. 이는 책임 개념이 기업의 전략적 목표와 실행 계획에 통합되어야 하며, 적절한 가치, 구조 및 프로세스에 의해 운영 구현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resent work shows the content of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and its application in corporate ethics using the example of Max Weber, Hans Jonas and Karl-Otto Apel. The various concepts of responsibility put forward by Max Weber, Hans Jonas and Karl-Otto Apel have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conceptual economy in Germany and they find their validity in the traditional anchoring of the sense of responsibility in German companies. Corporate governance requires that ethical considerations and stakeholder expectations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business decisions. It is questionable how realistic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can actually be in everyday business life. From this, an integrity approach of corporate ethics is derived. From an integrative-ethical point of view, the legitimacy and accountability of doing business can not be achieved by outside activities, but must extend to the management in all its dimensions.

      • KCI등재

        공기업의 책임과 윤리의 문제

        김천영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09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5 No.2

        본 연구는 관계적 접근으로 공기업의 책임과 윤리의 새로운 방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행위의 책임과 윤리의 지평을 구성하고, 그 속에서 행위의 근거와 범위를 중심으로 자기책임윤리와 타자책임윤리, 유한책임윤리와 무한책임윤리에 기반 하는 실체적 책임윤리와 관계적 책임윤리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공기업의 새로운 방향성을 위하여 실체적 책임윤리를 넘어 관계적 책임윤리가 요청됨을 밝히는 동시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 책임윤리 관점에서 본 위험사회 윤리 : 책임주체인 직업인의 책무를 중심으로

        조용훈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현대사회는 위험이 일상화되고 구조화되었다는 의미에서 위험사회라 불린다. 그런데 위험사회의 등장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회 복잡성에 따른 결과이므로 위험과 재난을 운명이 아닌 윤리의 실패로 보아야 하며, 변화된 현실에 따라 전통적인 책임윤리도 새롭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도전에 부응하여 한스 요나스는 전통적인 책임의 개념을 시간적으로는 현세대에서 미래세대로, 공간적으로는 인간관계에서 자연생태계로 확장했다. 윌리엄 슈바이커는 하나님 앞에서 자아와 인간사회 그리고 자연생태계에 대한 책임까지 포함하는 통전적 책임을 강조했다. 기독교는 인간을 관계적 존재로 보며 하나님과 인간 앞에서 책임적 존재로 파악한다. 막스 베버나 디트리히 본회퍼는 인간의 책임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장소를 직업으로 보았으며 직업활동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책무를 강조하였다. 종교개혁 전통에서 볼 때 그리스도인에게 직업이란 단순한 생계수단이 아니라 하나님의 소명이다. 이는 직업을 통해 이웃을 섬기고 사랑함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기독교가 위험사회를 극복하고 안전사회를 구축하는데 기여하려면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위험사회에서 중요한 공적 가치 가치인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국가권력을 비판하고 기업의 힘을 견제하며 시민사회와 더불어 생명존중과 안전제일 문화를 창조하는 공적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그리스도인의 공적 책임이 구체화되는 장소는 바로 일상의 직업활동이다. 따라서 교회는 그리스도인의 각종 직업 활동에서 안전을 지키기 위한 직업윤리 의식과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 과학기술시대에 그리스도인 전문가는 위험을 예방하고 소통하며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해야 한다. 국민의 공복인 그리스도인 공직자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권력에 대해 비판적 사고력을 지니고 재난 당한 사람에 대한 공감능력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기독교 기업은 안전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경영이나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 같은 사회적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 Modern society can be characterized as “risk society” in the sense that various risks and disasters have come to be prevalent and are structured. Given that the risk society is caused by modern technology and social complexity, so we have to regard disaster as the failure of ethics not as fortune. So we can argue that 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require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sponsibility”. To face this challenge Hans Jonas expande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from present generation to future generation in terms of time, and from human relationship to natural ecosystem with respect to space. William Schweiker emphasized on the integrative responsibility for the self, human society and natural ecosystem before God. Human beings exis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other persons. As Dietrich Bonhoeffer claim, one can be a responsible being before God and Others only through response to demand of Others and to suffering of the weak. Especially, Weber and Bonhoeffer points out that a Christian’s responsibility have take shape in own vocational life. In the tradition of the Reformation, the vocational life is not a means of making a living but a calling from God. To cope with the risk society, firstly, the Christian churches have to criticize the government's incapacity and to check the irresponsible power of the corporations for protection of the public value "safety". Secondly, the churches have to develop the culture of life-respect and safety-first in the fields of vocations-professional service, public office and business ethics.

      • KCI등재

        실천신학의 규범적 과제에서 책임 개념의 함의 : 신학윤리와 정치철학의 매개를 중심으로

        정용택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이 글은 실천신학의 규범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윤리학적 기여를 목 표로 한다. 실천신학의 규범적 과제는 신학적 성찰과 윤리적인 원칙을 찾아내는 단계 로 구성된다. 이 글은 우선 책임에 관한 신학적 성찰을 위해 본회퍼의 신학윤리를 검 토한다. 이어서 책임에 관한 윤리적 원칙 설정을 위하여 아렌트의 정치철학을 분석한 다. 그리고 두 학자 간의 쟁점 및 접점을 도출한다. 본회퍼의 신학적·윤리학적 이론 체계에서 책임 개념은 인간 존재의 상호주관적 차 원에서 규정되지만, 그것은 또한 언제나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매개된다. 즉, 본회퍼 의 책임 개념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으로부터 유래하는 신학적·윤리학적 개념이다. 이 러한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은 고통당하는 이들의 견지에서 그러한 고통을 강제하는 이 세계의 모순적인 사회구조를 비판적으로 사유할 것을 요구한다. 반면에, 아렌트의 논의는 본회퍼의 책임윤리가 도달한 최종 지점에서 출발하고 있 기 때문에 본회퍼와 비교가 불가피하다. 본회퍼와 달리, 아렌트는 주로 집단적 차원의 책임을 정치적 책임으로 개념화하였다. 아렌트에 따르면, 인간의 행동에 관한 도덕적 고려의 중심부에 자아가 존재한다면, 정치적 고려의 중심부에는 세계가 존재한다. 개 인적·도덕적 차원의 죄와 정치적·집단적 차원의 책임을 구별하는 아렌트의 접근은 본 회퍼의 신학적 책임윤리학을 실천신학적 방향에서 구체화시키는 하나의 방법론적 사 례가 될 수 있다. 신학과 철학이라는 접근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학자의 책임 개념은 사회구 조라는 문제설정을 매개로 하여 상보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본회퍼의 신학윤리와 아 렌트의 정치철학은 실천신학의 규범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사회윤리학적 구상에 사 회구조적 차원이 도입되어야만 하는 이유를 공통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결론적으 로, 이러한 매개 가능성을 통하여 기독교사회윤리학은 실천신학의 규범적 과제에서 책임윤리의 원칙을 정교화하고 확장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make ethical contributions to successfully perform the normative tasks of practical theology. The normative task of practical theology consists of theological reflection and the steps of finding ethical principles. This article first Bonhoeffer’s theological ethics for theological reflection on responsibility, and then analyzes Arendt’s political philosophy to establish ethical principles on responsibility. Through this, the controversial issue and point of agreement between the two scholars are drawn.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in Bonhoeffer’s theological and ethical system is not merely defined on the intersubjective dimension of human beings, but also it must always be emphasized that responsibility is mediated through Jesus Christ.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for Bonhoeffer is a theological and ethical concept derived from the incarnation of Christ. This event of Christ’s incarnation requires critical thought of the contradictory social structure of this world that enforces such suffering from the standpoint of those who are suffering. On the other hand, Arendt’s discussion is inevitable to compare with Bonhoeffer because it starts at the final point where Bonhoeffer’s responsibility ethics has reached. Unlike Bonhoeffer, Arendt conceptualized collective responsibility as politic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rendt, while in the center of moral considerations of human conduct stands the self, in the center of political considerations of conduct stands the world. Arendt’s approach, which distinguishes personal and moral sins from political and collective responsibilities, can be a methodological example of embodying Bonhoeffer’s theological responsibility ethics in the practical theological direction. Despite the difference in approaches of theology and philosophy,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of the two scholars can be complementarily related by means of the problematic of social structure. This is because Bonhoeffer’s theological ethics and Arendt’s political philosophy show common reasons why social structural dimensions should be introduced into social ethical ideas to perform normative tasks of practical theology. Conclusionally, through this mediating possibility, Christian social ethics can substantially contribute to elaborating and expanding the principles of ethics of responsibility in the normative task of practical theology.

      • KCI등재

        기독교사회윤리로서 책임윤리에 대한 성찰

        박원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What is responsibility in an ethical sense? What does it mean that Christian should be responsible? This article aims at evaluating ethic of responsibility as Christian social ethics in the Korean context. For this task, I explore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by bridging Emmanuel Levinas’s ethic of the Other. According to Levinas, responsibility is the very nature of subjectivity. He asserts that “I” am responsible for the other because “my” being as an individualized subject is perfectly bonded with my relation to the other. Levinas describes this relationship as obsession, since it totally controls the I. This is what is meant by Levinas’s famous phrase, “I am a hostage” of the other. The subject is persecuted because it cannot avoid the Other’s sovereignty over the I. It is an abandonment of subjectivity in a radical way. Ethic of the other and responsibility can be equally translated into the doctrine of Kenosis. Jesus’ self-gift to the other and for the other is his ethical representation of Levinas’s famous slogan, “Here am I.” This total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as employed in the cross, makes the cross the central component of Jesus’ story. Jesus is the representative being for the other until death, a death that takes the sin and the punishment of the other and expiates it. The cross is then a revelation of the glory of the Infinite in Jesus. In this manner, Levinas has given us another language to express the expiatory death of Jesus in a manner which can also honor other substitutional selves who were obsessed for and by the other. As Jesus has shown to us what responsibility is for the other, Levinas awakens us that we have an infinit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Notwithstanding, it is not an easy task to do this ethic. However, when we humbly confess that we are so weak to execute ethic of the other, grace of God pours his strength. This is why R. Niebhur defines Christian ethic as “impossible possibility.” 본 논문은 한국적 맥락에서 지식사회의 위상을 기독교 신학적 입장에서 고찰해 보고 전체 한국 지식사회 속에서 기독교 사회윤리의 나아가야 할 바를 모색하는 논문이다. 먼저 지식인의 위상을 점검해 보고 기독지식인의 사명과 역할을 윤리적 책임이란 측면에서 조명해 보았다. 이러한 책임성은 우리가 기독교인이기에 주어지는 책임 일 뿐만 아니라 사회와 세상에 대한 책임적 존재로서 우리에게 주어진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윤리적 책임의 근원은 물론 그리스도께서 이 세상을 향해 지신 십자가와 성육신 사건에서 시작된다. 필자는 이러한 기독교 윤리의 독특성을 케노시스 이론에서 고찰하였고 이를 레비나스의 타자윤리와 접목시킴으로써 기독교 윤리적 차원에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였다. 기독교 지식인의 책임이 요청된다는 말은 그렇다고 해서 기독인들이 모든 윤리적 책임의 영역에서 뛰어나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기독 지식인 또한 인간의 처한 여러 가지 실존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매우 모순적인 존재임을 인정하고 이러한 모순성 속에서 위로부터 오시는 힘으로 책임적 삶을 감당해야 함이 바로 기독교 윤리의 핵심이며 한국의 지식사회에서 이런 책임의 역할을 감당함을 통해 기독교 윤리의 독특성과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무원리성의 신과 레비나스

        심상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1 기독교사회윤리 Vol.2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히브리 세계의 관점으로 레비나스에게 초래되는 신의 무원리성을 이해하는데 있다. 레비나스는 히브리 정신을 통해 서구의 동일성의 폭력의 문제를 해결하고자했다. 여기서 레비나스의 독창성은 성서 구절의 해석의 다양한 암시적 내용들을 포기함 없는 들어내는데 있다. 그는‘신을 다르게 말함’으로서 존재론적 서구신학과의 차별을 꾀한다. 이러한 혁신은 하나님에 대한 개념화된 주제로 언급하지 않을 신학을 향해 장을 열어다. 다만 해석학은 주체의 윤리적 책임안에서 초월의 무원리의 상태를 보존하는 것이다. 유대 전통은 끊임없이 타자에 대한 책임을 져야만 한다. 또한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지키는 것과 해야 할 의무와 연계된다. 주체의 자기됨은 자신의 이웃을 버리고의 불가능을 강조한다. 이러한 윤리는 의식 이전에 명령된 선근원적 타자를 위한 책임감을 가진다. 즉, 타인을 위한 책임은 인간이 기억할 수 없는 과거로부터 강요된 것이다. 그것은 다른 사람을 향한 사람의 책임적 정황을 묘사한다. 전적으로 강요된 책임은 다른 사람을 위한 자기의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의무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비나스에게 인간은 자유보다 책임이 선행한다. 주체가 자기됨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가 되며, 주체는 마치 죄를 벗어날 수 없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타인들에 전적인 책임이 있다. 이것은 다른 사람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인간은 상대방의 불림에 "나 여기있어요"라는 대답할 을 때 참 인간이 된다. 즉 인간의 책임은 마음의 신중함으로서 시작되는데 인본주의는 “나 여기있어요”라는 것으로서 시작된다. 이처럼 신학적 관계는 다른 사람들과의 윤리적 관계로서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신은 인간에게 언제나 우리의 이웃을 사랑하라는 명령함으로서 명백하게 존재한다. 이 책임은 이웃과 가까움으로 모두에게 우리의 무한책임으로 있다. 우리가 져야할 무한책임은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사람과 우리 이웃에 접근을 허용함을 통해 공동체의 무한한 책임을 가지게 된다. 책임의 영향력하에, 우리는 유대인 커뮤니티의 사유처럼 기독교 공동체 우리의 세계를 만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s the anarchy of God in the thought of Levinas that come form the Hebrew's world view. After the advent of the post-modern era of Western culture, Levinas wants to explain this contemporary with the spirit of Hebrew. And he tried to solve the violence of totality. Where the originality of Levinas's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passages do not rule out a variety of information. He is an distinction of ontological theology thought "Spoken differently, God". This innovation opened a door to the theology that would not be themed speech about God, but a testimonial hermeneutics of speech preserving the anarchy of transcendence in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the subject. Also, the Jewish tradition constantly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and the feeling that one has to be liable for what one does or does not do. It stresses the impossibility of forsaking one's neighbor. Ethics has responsibility pre-anteriority for the orther. In other words, responsibility is an obsession that come from a past that a man does not remember. It describes the situation of a man facing another man. Responsibility in obsession is a responsibility of the ego for what the ego has not wished, that is for the others. Here, man is not only responsible for himself but also for his acts before others, he is responsible for others in such a way that he loses his innocence when he looks at them. He really becomes human when he is ready to answer, "Here I am" to the call of the other. "Here I am" is also the beginning of humanity, since humanity begins in the alertness of mind that helps man understand that the calling is indeed. The theological relation leads directly to the ethics of relations with another person. This is clearest message that God's love for us commands us to love our neighbor. We have to the infinite responsibility and it commits us to approach the one nearest us, the neighbor. Through good influence of responsibility, we can make our world as Christian community like the idea of ??the Jewish community.

      • KCI등재후보

        책임 있는 연구수행에서 연구자의 역할

        이인재(Injae Lee)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0 생명, 윤리와 정책 Vol.4 No.1

        연구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21세기 제4차 산업사회에서 한 연구의 성과가 아무리 새롭고 누구보다도 앞서 달성되었다고 하더라도 연구윤리를 담보하지 않았다면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를 하는 다른 연구자와 연구 공동체 더 나아가 국가에 커다란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연구윤리란 연구자가 연구를 수행하는 전 과정에서 반드시 알고 지켜야 할 규칙이나 규범으로 이것의 핵심은 책임 있는 연구수행(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RCR)이라고 할 수 있다. 책임 있는 연구수행이라는 용어는 연구자의 바람직한 연구에 대한 인식과 태도, 지켜야 할 규칙이나 규범, 추구해야 할 가치 및 원칙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연구윤리(research ethics), 연구진실성(research integrity)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연구자에게 요구되는 역할 내지 책임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활동의 3가지 유형을 구분하고, 이 중 책임 있는 연구수행의 의미와 특성을 연구윤리, 연구진실성과의 비교를 통해 탐구하고 연구자가 연구수행 전 과정에서 반드시 알고 지켜야 할 바람직한 연구수행의 가치나 원칙을 개관해 보았다. 둘째, 이 원칙을 연구의 기획, 수행, 결과 보고 등 연구의 진행 단계별로 적용하여 연구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에 따른 책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연구자의 높은 연구윤리 의식 제고를 위한 연구윤리 교육이 지속적이고 내실 있게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연구자가 속한 대학 등 연구기관의 연구윤리 지원 시스템의 구축과 책임 있는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가 정당하게 인정받는 연구윤리 문화가 정립되어 연구 생태계가 건강하게 순환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For 21st century societies at the forefro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the competitiveness of research is directly linked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no matter how new and advanced the achievements of the research enterprise, the value of the research cannot be recognized if it is not supported by research ethics. In addition to its effects on other researchers and research communities, unethical conducts can have a huge negative impact on nations as a whole. Research ethics includes rules and norms that a researcher must understand and follow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The core of this practice can be called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RCR). The concept of responsible research conduct is closely related to the resear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desirable research, the rules or norms to be followed, and the values and principles that underpin the process. All of these components serve as an umbrella that encompasses research ethics and integrity.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required for researchers engaged in responsible research. The main conten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research into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I outline the values or principles of desirable research performance that must be understood and followed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Second, these principles are applied to each stage of the research, including planning, implement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ults, with specific attention to the responsibilities inherent in different researcher roles. Third, to facilitate the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education in research ethics should be continuously promoted to raise researchers’ awareness of relevant standards and guidelines. Such ongoing programs require institutional support to assure that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which researchers operate provide the resources necessary for compliance with responsible research requirements. I als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culture of research ethics in which the responsible researcher is justly acknowledged within a research ecosystem that is robust and healthy.

      • KCI우수등재

        생태계의 위기와 책임윤리의 도전

        양해림 한국철학회 2000 철학 Vol.65 No.-

        위 논문의 목적은 한스 요나스(Hans Jonas)가 『책임의 원칙』에서 주장한바와 같이, 이제까지의 전통윤리학에서 인간과 인간사이의 문제만 다루어 온것에 대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의 항들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질문을 설정하고, 인간 행위의 변화된 본질을 새로운 책임윤리로 정립하여 미래윤리의 대안을 찾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20세기말~21세기에 들어와 과학기술의 급속한 전개로 인해서 삶의 여러 방식들이 바뀌어 왔기에, 그로 인해서 환경문제에 부담을 주는 많은 부정적 현상이 발생하였다. 지금까지의 가장 큰 변화는 인간의 기술적 간섭으로 인해 인간은 자연을 무참히 훼손시켜왔기에, 앞으로 21세기에 전개될 환경연구는 엄청나게 성장한 기술적 힘에 대해 윤리적인 책임의식을 심사숙고해야만 하고, 아울러 변화된 인간 본질 속에서 기술의 힘에 대해 인간은 책임을 느껴야만 한다는 점이다. 인간이 자연에 귀를 기울이는 이유는 기술문명에서 드러난 기술행위의 부정적 현상을 진단하는 것이다. 물론 인간은 이제껏 자연을 정복한 결과로 인해서 오히려 자연을 훼손시켜 왔기에 인간의 자연에 대한 책임을 환기시키고 구원의 예언보다 불행의 예언에 더 귀를 기울이는 이른바 공포의 발견술이라 부르는 것에 주의를 모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더욱 더 인간은 미래세대에게 불행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인간의 이념, 책임의 개념, 존재와 당위의 문제 등을 세심히 분석하여, 현세대뿐만 아니라 미래세대의 인간과 자연에 대한 도덕관을 우리의 삶 속에서 구체화시켜서 정립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에게서 삶의 구체화된 청사진은 어느 한 영역에서 한정하여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연계하여 실천적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힘을 기울여야 한다.

      • KCI우수등재

        정보윤리에서 책임의 성격과 유형

        노영란 한국철학회 2006 철학 Vol.86 No.-

        정보사회의 주요 덕목이나 원리들 중의 하나로서, 정보전문가의 직업윤리의 일환으로서, 혹은 정보기술에 대한 권리에 상응하는 것으로서 책임을 다루어온 기존의 정보윤리논의와 달리, 본 연구는 책임을 근간으로 하여 정보윤리를 정립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해 먼저 책임개념이 실천적으로 접근되면서 자유에 상관되는 부차적인 개념에서 도덕이론의 중심개념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는 과정을 검토한다. 이러한 확장된 책임개념에 근거하여 정보사회에서 책임주체는 어떤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어떤 유형의 책임이 어떤 영역에서 발생하는지를 고찰한다. 반성적 자기통제와 자기결정의 능력이 책임의 조건으로 제시됨으로써 집단이나 컴퓨터시스템은 책임주체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정보사회에서는 예상적 책임이 소급적 책임보다 우선하고 보다 강조되며, 개인적 차원으로 환원되지 않고 남아있는 집단적 차원의 책임은 행위보다 행위자에 책임을 관련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책임개념을 근간으로 정보윤리를 접근하는 것은 특정한 윤리이론에 근거한 접근이나 원리론적 접근이 직면하는 난점들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에 주목하는 책임의 속성으로 인해 예방윤리로서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하나의 自省的 提案

        문시영(MOON Si-Young) 한국생명윤리학회 2009 생명윤리 Vol.10 No.2

        이 글은 생명윤리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하나의 자성적 제안이다. 특히 필자의 교육현장의 경험에 대한 자성을 기초로 삼되, 현대기독교윤리학자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기독교적 ‘덕의 윤리’가 제안하는 관점 및 슈바이커(William Schweiker)의 기독교적 ‘책임윤리’ 등을 토대로 삼는다. 이러한 배경에서, 필자는 세 가지 과제를 생명윤리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생명윤리교육은 ‘사람 됨됨이’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제안이다. 생명윤리교육은 교과과정의 개발이나 과목의 설강여부에 그칠 것이 아니라 생명존엄과 그 윤리적 과제에 대한 바른 인식으로부터 시작해야 하며 ‘인성교육’의 문제와 맞물린 것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필자는 생명윤리교육의 대상을 직접적으로 생명윤리를 다루는 연구자와 생명윤리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으로 상정하고 연구자와 대학생 모두에게 ‘사람 됨됨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교육이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덕 윤리’의 관점에서 현대영미철학자 맥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와 현대기독교윤리학자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통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둘째, 생명윤리교육의 핵심은 ‘책임의 윤리’를 세우는 것이어야 한다는 제안이다. 필자는 특히 테크놀로지 시대의 윤리적 책임(responsibility)에 주목하였다. 현대인의 존재조건이 되어버린 테크놀로지에 내재된 ‘힘’(power)에 대한 ‘책임’의 윤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요나스(Hans Jonas)를 비롯한 윤리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였던 테크놀로지 시대의 ‘책임’ 문제는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가 다루어야 할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또한 ‘책임’의 문제를 더욱 바람직하고 균형잡힌 관점에서 교육하기 위해 요나스의 철학적 관심에 추가하여 기독교윤리학자 슈바이커(William Schweiker)의 이론을 보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다루었다. 책임에 관한 기독교윤리학적 접근은 인간의 책임을 절대자와의 관계에서 조명한다는 점에서, 생명윤리교육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으리라 기대되기 때문이다. 셋째, 생명윤리교육은 죽음의 문제까지 포괄하는 통전적 가치관의 확립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제안이다. 존엄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과 자살의 증가라는 사회현상들은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있다. 이러한 뜻에서, 생명윤리교육은 생명현상을 의료적 데이터로 환원하거나 그와 관련된 설명으로 제한하려는 관점을 넘어서 생명의 신비와 경외심을 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하며 죽음에 대한 바른 이해는 물론 수목장을 비롯한 장묘의 문제에 이르는 주제들을 바르게 결정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oral view for bio-ethics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n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of bio-ethics, there are some tendency to lecture guiding con or pro selections for socially and morally concerned issues. But, it is merely interesting centered approach to ethical problems of bio-technology and contemporary medical issu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virtue-ethics or community oriented ethics which follows Christian ethicist Stanley Hauerwas. Of course, this paper is not a theological introducing for Hauerwas but an applied understanding from his theolog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bio-ethics in university’s education. This paper proposes three elements to understand the essential tasks of bio-medical as follows; (1) Recognizing of bio-medical issues as a human character connected problems. According to S. Hauerwas, the core of morality is not act (duty) but agent (character) This means that morality is from one’s moral character, that is, virtue. In this meaning,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bio-ethics education is human personality. (2) Enhancement of responsibility in technological era. The core value in age of technology is responsibility. In this context, H. Jonas’ philosophical view of responsibility in technological age, W. Schweiker’s theological perspective of responsibility in Christian ethics would deepen university education for bio-ethics. (3) Wholistic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Bio-medical ethics in university education must understand the value of life as a whole including problem of death. Reverence for life is not simply health and cure concern. And death is not a simple concept which ends the life. Now, bio-ethics in university education m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