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 결핵관리 장애요인 분석 : 탈북 결핵환자·간병자·의사 면담자료를 중심으로

        이신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34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analyze the barriers for the management of tuberculosis in North Korea by reviewing the interviews with 22 North Korean defectors. Specifically, 9 patients with history of tuberculosis, 3 caregivers and 10 physicians were selected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snowball and intensive sampling methods followed by the analysis using the Cough to Cure Path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Barriers for recognition of the disease and access to care for patients and community were confirm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9 patients and 3 caregivers, lack of knowledge and passive attitude for the disease were identified among patients and the community. Regarding the knowledge about tuberculosis, 5 subjects out of 12 were more or less aware of the dangers of the disease while 9 subjects out of 10 were acknowledging its infectious characteristics. In contrast, 4 subjects out of 7 were less aware of the amount of the time required for the treatment, 3 subjects out of 4 were little aware of the chance of being treated, and all subjects (8) knew that their diseases could be treated through medication. Moreover, the tuberculosis patients were found to be stigmatized in their community. Seven subjects reported that support from family was important. The majority (6 subjects) answered that the physicians in charge of their families had never educated them about the disease. Regarding the barriers to access care, problems such as delay in visit to the health facility, difficulties in receiving treatment, and inequality for availability of medical services were reported. Burden of the cost (5 subjects), utilization of the private clinic(4 subjects), negative perception for the public health service (3 subjects), utilization of the traditional folklore therapy (2 subjects), and etc were reported as The reasons for delay in visit to the health facility. In case of visiting the health facilities, they preferred county (3 subjects) or provincial hospitals (3 subjects) over the community clinics (1 subject). Other reasons for the poor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service were long distance, high cost, difficulties in receiving the certificate for referral while 7 subjects had perception that the level of the health service varied depend on the patients' social status and network. Specific groups such as those in the military camps or prisons were reported that they are marginalized from the tuberculosis management while often suffering from malnutrition. 2. In perspective of the public health and health system, North Korean people suffer from insufficient health service, both in diagnosis and treatment as well as inadequate follow-up and closing of the cases. North Korean public health and medical services were not properly functioning in terms of health human resources, quality of medical service delivered, long waiting time, etc. In particular, due to the severe economic challenges, more medical personnel were neglecting their job obligations, only pursuing private interests, while not rigorously communicating with their patients. The lack of incentives toward the activities for tuberculosis management activities is also one of the problems.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challenges, an active case finding was suspended due to the barriers to the diagnosis; in most cases, passive case finding that patients had visited the health facilities were identified. Moreover, the primary diagnosis tools were X-rays and sputum smear examination. While the former examination had continued, the latter had been limited during the economic challenges although it was reinstated now thanks to the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High cost of health services along with the shortage in medicine and health service were confirmed as these barriers. Plenty of tuberculosis patients in North Korea were paying unofficial fees to the public medical institutions or buying the medicines at the black markets. As a result, the North Korean’s unique type of health services was activated causing the increased cost of health services. The standard medicines for the treatment for tuberculosis were not produced sufficiently in the country, thus depended on the imports. However, from the continuous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accessibility to medicines was enhanced, even though there still remained problems such as the inpatients not being supported for meals and suffering much from the poor medical environment. If they become outpatients, they would be less motivated to medicate themselves on a continual basis; in such cases, they should be more responsible for having their disease treated. The subjects 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suggested that in view of managing tuberculosis at an global dimens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continue to support the medicines to North Korea, while providing North Korea human resources for nutritional management, reinforcement of the diagnostic equipment and health services. It was found through the study that 6subjects had been treated in the third country after their defection. Tuberculosis is an essential health issue in both Koreas, requiring various interventions and cooperation between them to prepare the unification: the bilateral cooperation on the issue would be conducive to the national unification. In particular, North Korea will be continuously concerned with the disease, making efforts to garner the support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astly, it is the author’s sincere hope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useful insights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s about North Korea's problems regarding tuberculosis. There is going to be followed up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북한 결핵관리 장애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탈북자 22명에 대한 면담자료를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눈덩이 및 집충추출 방법으로 선정된 탈북 결핵환자(이하 결핵수진자) 9명, 탈북 결핵간병자 3명, 탈북 의사 10명의 면담 자료를 Cough to Cure Pathway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북한 결핵관리의 장애요소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자 및 지역사회 장애로 인식장애와 접근장애가 확인되었다. 인식장애를 결핵수진·간병자 12명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결핵 지식 부족, 지역사회 태도 부족이 나타났다. 결핵 지식 중 결핵 위험성(응답자 7명 중 5명 양호)과 감염성(응답자 10명 중 9명 양호) 지식은 양호하였으나, 6개월 치료기간(응답자 7명 중 4명 미인식), 결핵의 치료 가능성(응답자 4명 중 3명 미인식), 직접 복약확인 치료(응답자 8명 전원 미인식)에 대한 지식은 다소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사회 태도 관련하여 결핵환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낙인과 중요한 진단 및 치료 영향요인으로 가족의 지지(7명)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로 호담당의사의 결핵 교육은 실시되지 않는다(6명)는 의견이 다수로 확인되었다. 접근장애로 각 방문지연 사유와 낮은 접근성, 의료 이용 불평등이 확인되었다. 의료기관 방문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비용에 대한 부담감(5명), 사적시장 방문(4명), 공식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3명), 민간의료 이용(2명)이 보고되었으며, 의료기관 방문 시 리/동 진료소(1명)보다 군급 병원(3명) 혹은 도급 병원(3명)에 방문 비중이 높았다. 이 밖에 이동거리 및 비용, 파송증이 북한 내 의료이용에 대한 접근성을 저하시키며, 사회 지위와 인맥에 따라 의료이용 불평등(7명)이 나타났다. 기타 취약집단 및 요인으로 군대 및 교화소와 같은 특수집단이 결핵관리에 취약하였으며 영양부족 영향이 크다고 보고되었다. 2. 보건의료체계 장애로 보건의료 서비스의 낮은 질 장애, 진단 장애, 치료 장애, 추구·종료 검사 장애가 각각 확인되었다. 북한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적 장애로 의료 인적자원 및 서비스 제공 불충분, 대기시간 불편이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자원 분야는 경제난 이후 생계 지속을 위한 의료인 유출 및 의료인의 개인적 이익 추구경향 증가, 환자-의료인 의사소통 부족, 의료인 결핵 관리에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이 확인되었다. 진단 장애로 환자발견은 경제난 이후 능동적 환자발견이 실질적으로 중단되었으며, 환자가 증상을 느끼고 방문하여 진단 받는 수동적 환자발견 위주로 확인된다. 폐결핵의 주요 진단검사인 X-선 및 객담검사 중, X-선 검사(투시방식)는 비교적 이상 없이 지속되어 왔으나 객담검사는 경제난 시기 제한되었다가 외부지원을 통해 상당히 회복되었다. 치료 장애로 치료비, 결핵약, 서비스 장애가 확인되었다. 의료기관에서 비공식 비용을 1차로 납부하고 장마당에서 약제를 구입을 2차로 시행하는 현재 북한식 의약분업 구조와 영양보충비로 치료비는 부담이 된다. 결핵약은 북한 자체 생산역량이 부족하나 지속적 외부지원을 통해 표준약제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입원치료 환경이 열악하고 식사지원이 제한되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고, 외래치료는 의료인이 지속적인 복약관리에 동기부여가 적어 환자들의 적극적인 태도가 요구된다. 국제적 결핵관리 관점에서 북한 결핵지원 의견 및 제3국에서의 결핵관리경험을 확인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에 대해 현재의 약제지원을 지속하는 동시에 영양관리, 진단장비 강화, 의료인력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으며, 다수의 탈북 결핵수진·간병자(6명)가 탈북 시 제3국에서 결핵을 치료한 경험이 확인되었다. 결핵은 남북한 공통의 문제로 각종 중재 및 통일 전 협력이 필수적인 분야이며 동시에 통일 계기로 이끌 수 있어 지속적 관심과 협력이 필요한 분야이다. 북한의 결핵은 보건안보 관점에서 국제사회와 남한의 지속적 공조를 통해 취약계층에 중재가 필요하다. 북한 결핵관리 장애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양적연구와 남한에서도 본 연구와 같은 환자중심 관점의 결핵문제 파악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근로자의 건강관리경험

        이현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3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사업장 제조업 근로자 중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건강관리경험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도 소재 L 사업장 근로자 중 22년 건강검진결과 Framingham Risk Score (FRS) 점수 10%이상인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근로자 11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7월 1일부터 09월 11일까지이다. 연구대상자와 직접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Elo와 Kyngas (2008)가 제시한 질적 내용분석 절차 중 귀납적 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참여자들의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심혈관 질환에 대한 낮은 지식수준, 건강행위를 함에 있어 이점보다 장애요인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건강관리를 해야 함을 깨닫고 실천하는 과정과 방식도 달랐다. 질적 내용분석결과 42개의 의미단위, 12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근로자의 건강관리경험은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수준’, ‘건강관리 행위의 장애요인’, ‘건강관리 실천과정’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혈관 고위험군 근로자의 건강관리경험을 깊게 이해하여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고,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근로자의 대부분이 회사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근로자의 건강관리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근로자가 처한 다양한 사회 맥락적 상황의 이해가 기반이 되어야 하므로 근로자들이 근무하는 현장을 직접 관찰하는 참여 관찰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며, 건강행위를 변화시키기 위해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근로자의 입장에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health care experience of the high-risk group of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large-scale industrial manufacturing workers.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workers at high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with a Framingham Risk Score (FRS) score of 10% or more among workers at large-scale workplace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July 1 to September 11, 2022. The interview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used by Elo and Kyngas (2008). Result :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ir own health status and knowledge of cardiovascular disease were low, and there were more obstacles than benefits to health behavior. The process and method of realizing and practicing health care were also different. As a result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42 semantic units, 12 subcategories, and 3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The health care experience of workers at high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was categorized into ‘Awareness of health conditions’, ‘Obstacles to health care behavior’, ‘Health care practice proces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deeply understand the health care experience of workers in the high-risk group of cardiovascular disease, instill a correct perception of their own health condition, and provide necessary data to help them manage their own health. Since most of the workers spend a lot of time at work,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ealth care of high-risk worker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so a qualitative study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s to observe workers' work sites is recommended.

      • 정부부처의 자원봉사 관할 중복이 사회복지사의 업무 및 인간관계 부담에 미치는 영향

        박보람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5

        최근 자원봉사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교육부에서 독립적인 자원봉사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유사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정부부처의 자원봉사 관할 중복 현상은 담당 사회복지사의 불필요한 업무를 과중시키고 업무상의 인간관계를 복잡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자원봉사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자원봉사 사업의 관할 중복과 담당 사회복지사의 업무 및 인간관계 부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부처의 자원봉사 관리 시스템을 중복으로 활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기관의 담당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업무 및 인간관계 부담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원봉사 관리 수행기구, 정보시스템, 업무내용의 중복에 따라 담당 사회복지사의 업무 및 인간관계 부담이 어떻게 발생하고 있는지 기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 관리 수행기구의 중복은 중복 관리 체계, 외부 수행기관의 직무 자율성 침해, 외부 수행기관의 역할 대행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담당 사회복지사의 업무부담을 증가시켰다. 둘째, 자원봉사 정보시스템의 중복은 담당 사회복지사에게 정보시스템 활용에 필요한 높은 직무 기술을 요구하여 업무부담을 증가시켰다. 셋째, 자원봉사 관리 업무내용의 중복은 동일한 사업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문제를 발생시켜 담당 사회복지사의 업무부담을 증가시켰다. 넷째, 자원봉사 관리 수행기구의 중복은 각 수행기구별 업무 충돌로 인한 갈등을 발생시켜 담당 사회복지사의 인간관계 부담을 증가시켰다. 다섯째, 자원봉사 정보시스템의 중복은 담당 사회복지사에게 높은 직무 기술을 요구하여 동료 및 상사 간 업무 공유를 차단하는 것으로 인간관계 부담을 증가시켰다. 여섯째, 자원봉사 관리 업무내용의 중복은 업무량을 증가시켜 조직 내에서 업무를 분담하는 과정에서 갈등을 일으켜서 담당 사회복지사의 인간관계 부담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기본법을 근거로 하는 통합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단일기구에서 사업운영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시스템 간에 원활한 정보연계, 담당 사회복지사의 활용권한 확대 등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기관차원에서 자원봉사 업무의 이해를 높이고 자원봉사자 활동, 정보 관리 등을 분담하여 담당 사회복지사의 업무량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 관리 체계의 중복 실태에 대한 사전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후 후속연구를 통해 한계를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갈 것을 기대한다.

      • 외국인 유학생 실태 분석과 효과적 지원 방안 연구 : 서울대학교 실태를 중심으로

        이인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300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관리를 질적으로 제고함으로써 지속적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뿐만 아니라 우수 외국 인력을 고급 인적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업무 담당자와의 면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조사·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관심 분야인 입학, 교육, 시설 및 환경, 장학금, 상담 등의 분야별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체제와 유학생들의 요청 사항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 부문에서 보면, 서울대학교에서는 입학 시 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로 안내하고 제출서류 간소화 등을 통해 입학 시 편의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리고 합격 후에도 친절한 정보제공을 통하여 조기에 한국생활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으며, 영문판 학사행정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외국인 교수 및 학생들에게 학사행정 서비스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부문에서 보면, 입학 전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외국어 진행강좌의 확대를 통하여 수요자 중심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 및 환경 부문에서 보면 통합지원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통합행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지금보다 훨씬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려고 추진 중에 있었다. 그리고 도서관과 기숙사 등 각종 편의시설은 확충되고 개선되고 있었다. 넷째, 장학금 부문에서 보면, 현행 신입생 외국인의 일반장학금은 없으나, 향후 신입생 우수 장학금의 신설을 추진하고 있었다. 다섯째, 상담 부문에서 보면, 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하여 24시간 상담전화인 SNU Call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요구사항 중에는 유학생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장학금 제도 개선 및 확충이며,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차별 제도 및 차별 의식 철폐 또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적별 외국인 등록생 현황의 경우 2010년도는 전년 대비 70개국에서 86개국으로 22.9%의 국가수가 대폭 증가하였고, 인원 또한 22.6%나 대폭 증가하였다. 양년도 주요 국가의 유학생 현황을 보면, 전년 대비 중국은 3.9%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일본 0.9%, 몽골 0,1% 감소하였다. 이에 반해 미국은 3.4%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캐나다가 0.5%, 기타 국가가 1.0%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유학 국가수가 대폭 증가하여 유학 국가의 다변화를 보이고 있고, 미국, 캐나다의 유학생이 대폭 증가하는 추세는 긍정적으로 보인다.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유학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입국하여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유학생활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외국에 거주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나라의 문화 등을 이해하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개연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결과가 초래된 것으로 볼 때,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외국인 유학생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점이 대두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부터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 생활에서 불편하지 않고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각종 제도를 개선하여 질적 관리가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한국에서 공부하면서 느끼는 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도서관 시설이고, 그 다음으로 연구실 시설 수준, 관리 직원의 친절도, 강의실 시설 수준, 교육의 질(수준)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상담(카운셀링)이고, 그 다음으로 장학금 지원, 교내 식사, 신입생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한국어 프로그램 순이었다. 이상과 같이 외국인 유학생의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 사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질적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를 정책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장학금 제도를 개선하고 확충하여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한다. 자비 유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지원을 위해 국내 주요 기업과 우수한 자비 유학생과의 연결을 추진한다. 둘째, 외국인에 대한 규제를 풀고 차별을 철폐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통합하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셋째, 각 부처에 산재하여 있는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업무를 일원화하여 종합적으로 안내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 기관(국립국제교육원)을 설치한다. 넷째, 대학별로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하여 ‘언어권별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한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지속적인 질적 관리를 위해 가칭 ‘외국인 유학생 평가 및 지원 위원회‘를 설치하여 학업성취도, 취업 등을 지원한다.

      • 畜産經營의 成果 및 質的分析에 관한 硏究

        유점석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korean livestock industry has enlarged through the increase of livestock product consumption and magnification of the means of livestock production. But with the starting of WTO, We have faced with the problem of livestock production market opening and needed to consider a counter-plan for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livestock management. So very important problems for us to solve are improvement of livestock product quality and waste water (made from the process of livestock) disposal which can protect environment and ensuring the price competition from imports. For the obtain of the competition against the livestock production market opening. It's essential to bring up the scale of specialized livestock business. But most of all we must have a long term plan to support for the domestic livestock industry. For example improvement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livestock product, improving the circulating structure and reforming the system. To achieve the competition, we have to carry out performance analysis and quality analysis exactly. The study of performance analysis for the livestock management, I discovered something. At first it's necessary to improve productivity and efficient investment through the scale and facility expansion and input specialized raising technology for each livestock. Second we have to do our best for improving profitability. For that, it's necessary for us to manage with recording everything systemically. And through the quality analysis, we have to remove the cause of hindrance in the specialized livestock business and enterprise business, and equip the relative laws and regulations. Also, it's necessary for us to make a plan for developing technology about livestock and perform financial valuation considered the character of financial structure in livestock management.

      • 특수학교 보건교사의 경험

        김인영 경상국립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22

        Purpose :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health care for disabled student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care performance by exploring subjective experiences of health teachers in special school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people who have worked as health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more than one year in the last three year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January 2021,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 unstructured and open form for data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Elo & Kyngäs(2008). Result : The experience of health teachers at special schools were derived as 18 topical word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6 themes through categorization work. 'Attachment after special school work', 'Health C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eed of Careful and Various Care', 'Pity for lack of legal basis', 'Ambivalence felt by taking car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ealth teachers competence needed to care for disabled students', and 'Unmet Needs for Health C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health teachers at special schools carry out various health care tasks. This includes providing, managing and consulting direct health care services related to the health care of disabled students, linking and supporting, and health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performance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parents, school managers, and other faculty members should be involved along with teachers who actually perform the care.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listen to the needs of school workers and seek to find solution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health care for disabled students.

      • 저장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최옥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076

        As recently the hoarder are emerged as social problem, the case management is pointed out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solve the difficulties that hoarder are suffering. To help the hoarder, not only the welfare but also the comprehensive case management including housing is required. However, the case manager who carries out the case management has difficulties in intervening in the complex desires of the hoarder. In the case management practicing area for the hoarder, the domestic research on the case manager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area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the theory by understanding the practicing experience of the case managers and by clarifying its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 of inquiry was set to 'What is the practicing experience of the case manager who is working with the hoarder?' and analyzed utiliz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1998).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12 integrated case managers and 12 case managers of the welfare center who hav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for the hoarder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people who have working experience of social worker more than 10 year or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performing case management for the hoarder out of the people who have worked as case manager more than 3 years were selected. The average social worker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ere 12 years and 5 months and the average case management experience were 7 years and 2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one-to-one in-depth interview from November, 2020 to March, 2021. The interview contents were written after recording an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n the interview results were made at the same time. Open coding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method of Strauss & Corbin (1998) and the category analysis and the process analysis by paradigm were made through the axial coding. In the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discovered and the story outline was written and suggested as a situation model. As a result, 138 concepts, 52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were drawn. The central phenomenon appeared in the axial coding was 'Incomplete intervention by the recurrence of behavior'. The causal conditions of such phenomenon were 'Confusion for hoarding disorder', 'Burden of resources', ‘Facing with life-threatening situation' and 'Most difficult process of agreement'. The contextual conditions, which is the situation having influence on the central phenomenon and played the role of intensifying the central phenomenon, were 'Overloaded workload', 'Dangerous job without compensation', 'Poor support system', ‘Ambiguous conclusion criteria' and 'Difficult private-public cooperation'. The arbitration conditions, which was played the role of amplifying the action/interaction, were 'The maintenance of attitude for overcoming in the hard practice' and 'Concentration of supports for one goal'.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of the participants amplified by such arbitration conditions were 'Perform the cooperative treatment through private-public cooperation' and 'Re-approach utilizing the practice wisdom'. As a result of action/interaction, 'Struggle alone having trauma inside' and 'Resurrection of case manager's passion' were drawn. The experiencing process of the case manager who is working with the hoarder was analyzed as 5 stages of <Confusion and hardship stage>, <Disappointment and trouble stage>, <Leap and foothold stage>, <Strategy reorganization stage> and <Reflective challenge stage>. The situation model to develop the substance theory of the participant was classifi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organization, local community and country. The theoretical,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xperience of the case manager who is working with the hoarder are as follow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theorization on the hoarding disorder case management by clarifying the process of case management experience of the case managers who are working with the hoarder into 5 stages. Second, this study provided the basis on the specific strategies when the case managers intervene subsequently in the practice field of social welfare presenting the paradigm model for the practicing experience of the case manager who carries out the case management for the hoarder. Third, this study has a meaning in preparing the theoretical application framework that can establish the case manager's in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arder at the level of individual, organization, local community and country by presenting the experience of the case manager who is working with the hoarder as the situation model.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tributed to building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residential-welfare service agents to support the hoarder. Second, this study showed the needs of preparing the criteria to intervene with case management to the hoarder. Third, this study prepared the evaluation framework fit to the cas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hoarder and the basis for proper compensation. Fourth, this study showed the needs of protection system for the safety of case managers who carry out when performing the case management of the hoarder. Fifth, this study has a meaning in suggesting that to do many things aforementioned, securing the substantial budget is required and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prepare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tributed to developing and distributing the case management manual for the hoarder. Second, it presented the basis of preparing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hoarder. Third, it showed the needs of diverse programs such psychological s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 technique, self-reliance, etc. for the hoarder. Fourth, it has a meaning in suggesting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for the case manager so that the/she can overcome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fficulties suffered in the process of intervention. Fifth, it has implication in suggesting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understands and supports the case manager in order to overcome the poor situation in the case management site for the hoarder.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the follow-up research were mentioned. Keyword: hoarder, hoarding disorder, case management, qualitative study, grounded theory. 최근 들어 잡동사니를 쌓아놓는 사람들이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저장하는 사람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례관리를 꼽고 있다. 저장하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서는 복지뿐만 아니라 주거를 포함한 포괄적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사례관리자는 저장하는 사람들의 복합적 욕구에 개입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저장하는 사람들을 위한 사례관리실천 현장에서 사례관리자의 경험에 관한 국내연구는 타 영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장하는 사람들의 사례관리 수행에서 사례관리자들의 실천 경험을 이해하고 그 과정을 밝혀 이론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저장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은 어떠한가?’로,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저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례관리 경험이 있는 통합사례관리사 12명, 복지관 사례관리자 12명으로 선정하였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10년 이상 사회복지사로 근무한 경험이 있거나, 3년 이상 사례관리자로 근무한 사람 중 저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례관리 수행 경험이 있는 자를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참여자들의 사회복지 근무경력 평균은 12년 5개월, 사례관리 경력은 평균 7년 2개월이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1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초점집단인터뷰와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 내용은 녹음 뒤 내용을 녹취하고, 자료수집과 면담 결과에 대한 분석작업을 동시에 하였다. Strauss & Corbin(1998)의 자료분석 방법에 따라 개방코딩을 하였고, 축코딩을 통해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을 기술하였으며 상황모형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138개의 개념과 52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 나타난 중심현상은 ‘행동 재발로 인한 미완의 개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저장장애 판단에 대한 혼란’, ‘자원에 대한 부담’, ‘신변 위협적 상황에 직면’, ‘지난한 동의과정’이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상황이며, 중심현상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하는 맥락적 조건은 ‘업무 과부하’, ‘보상 없는 위험 업무’, ‘빈약한 지원체계’, ‘종결기준의 모호함’, ‘민관협력의 난항’이었다. 작용/ 상호작용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 중재적 조건은 ‘고된 실천 속 극복을 위한 태세정비’, ‘하나의 목표를 위한 지지의 결집’이었다. 이러한 중재적 조건으로 증폭된 참여자들의 작용/상호작용의 전략은 ‘민관협력을 통한 협치 수행’, ‘실천지혜를 활용한 재접근’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 ‘트라우마를 간직한 채 고군분투’, ‘사례관리자의 열정 부활’로 도출되었다. 저장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사례관리자의 경험 과정은 <혼란과 고난 단계>, <낙담과 낭패 단계>, <도약과 발판 단계>, <전략재구성 단계>, <반성적 도전 단계>의 5단계로 분석되었다. 참여자들의 실체이론 개발을 위한 상황모형은 개인, 조직, 지역사회, 국가 수준에서 분류되었다. 저장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사례관리자의 경험에 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함의는 첫째, 저장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사례관리자들의 사례관리수행 경험 과정을 5단계로 밝힘으로써 저장장애 사례관리에 관한 이론화에 기여하였다. 둘째, 저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면서 이후 사례관리자들이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례관리 개입시 구체적인 전략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셋째, 저장하는 사람들 사례관리 실천 경험에 대해 사례관리자들이 경험을 상황 모형으로 제시하여 개인, 조직, 지역사회, 국가 수준에서 상호작용하여 저장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례관리자들의 개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이론적인 준거 틀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정책적 함의는 첫째, 저장하는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한 주거-복지서비스 주체 간 협력체계 구축을 마련하도록 기여하였다. 둘째, 저장하는 사람들에게 사례개입을 할 수 있는 기준마련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저장하는 사람들의 사례관리 특성에 맞는 평가틀 마련과 적절한 보상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넷째, 저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례관리시 이를 수행하고 있는 사례관리자들의 안전에 대한 보호체계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이 많은 것들을 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예산확보와 법·행정적 지원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천적 함의는 첫째, 저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례관리 매뉴얼 개발 및 확대 보급하도록 기여하였다. 둘째, 저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체계 마련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셋째, 저장하는 당사자에 대하여 심리적 안정, 대인관계 기술, 자립, 등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넷째, 사례관리자가 개입과정에서 겪는 정신적, 신체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전문가의 심리상담서비스를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섯째, 저장하는 사람들의 사례관리 실천현장의 열악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사례관리자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조직문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데 함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사회복지사의 근무지속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휴정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044

        본 연구는 한 조직에서 오랫동안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근무지속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근무 지속의 경험을 탐색해 봄으로써 근무지속을 하는데 있어 어려움은 무엇이었으며 그것들을 어떻게 극복해 갔고 근무지속을 해 나가는데 유용한 내적 태도와 더불어 근무지속이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가진 특성을 고려하여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방법은 근무지속이라는 현상을 유연하고 통찰력 있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복지 조직들이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연구방법이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사회복지 학부를 전공하고 현재 재직 중인 조직에서 10년 이상을 지속적으로 근무를 해 오고 있는 사회복지사 10명이었으며 2019년 5월부터 2019년 9월에 걸쳐 자료수집이 이루어 졌다. 연구의 자료분석은 사례 내, 사례 간 연구로 접근했다. 연구의 엄격성은 다양한 자료간의 검증, 전문가로부터 검증, 그리고 참여자들로부터 검증을 거쳤다. 분석결과 먼저 연구 참여자들의 근무지속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총 43개의 개념화와 8개의 공통 범주가 도출되었고, 근무지속의 어려움으로 나타난 공통 범주는 ‘정체성 딜레마·열정 소진·영혼 없는 실천·산 같은 낙담·현상 유지 유혹·성과주의 침습·복지 헤게모니 쟁탈·조직구조의 한계’였다. 근무지속 어려움에 따른 극복 경험에서는 총 84개의 개념화를 통해 14개의 공통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정체성의 재구성·클라이언트의 변화·새로운 힘의 원천 현장·역설적 긍정·의미 있는 타자와의 만남·롤 모델로서의 책임감·주체적 역량강화·동료 간 상호지지 및 동료애·가족의 지지·본질에 대한 성찰·대승적 관점·나의 길이 새로운 길·합리적 개선 시도·승진의 길 열림’이라는 전략이 사용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근무지속 경험에 유용한 내적 태도는 47개의 개념화를 통해 ‘직업적 소명의식·긍정적 마인드·초심자의 열정지키기·당당하게 맞설 수 있는 용기·클라이언트와 존재론적 한 몸·반성적 성찰·위기지학 차원의 전문성 강화’8개의 공통 범주로 정리되었다. 이 과정에서 근무지속 경험과 관련한 3가지 유형화가 가능했으며 근무지속 경험에 따른 유형화는 ‘성찰과 성장을 중요시하는 통합자 유형·변화와 열정 그리고 목표의식을 중요시하는 개척자 유형·신뢰와 인정을 중요시하는 수호자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에게 있어 근무지속의 의미로 28개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최종 3개의 공통 범주로 정리되었으며, ‘자기 일의 향유·뿌리 깊은 나무되기·천직의식’으로 의미 지어지고 있었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양적 연구 중심의 이직과 관련된 연구였다면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사회복지사의 근무지속에 대한 개인이 경험하는 현상을 알아봄으로써 초기단계인 사회복지사의 근무지속에 대한 연구와 관련한 이론을 확장시켰다. 둘째, 실천적 측면에서 근무지속의 경험과 그것이 주는 의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회복지 실천 과정이 조직 안에서 사회복지사로서 어떻게 성장해 가는지에 대한 경험적 통찰을 제공해 주었다. 이와 이울러 사회복지 조직도 사회복지사들을 이탈 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직업생활을 유지하게 하는 데 무엇이 중요한지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근무지속을 도울 수 있고 사회복지조직은 인적자원관리와 관련하여 어떤 노력들을 해 나가야 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 셋째, 제도적 측면과 관련하여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기꺼이 조직에 머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어떤 제도적 노력들이 뒷받침되어야 하는지 인식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러한 의미에도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 선정 시 예외적 사례가 선택이 되지 못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또한 한 조직에서 근무지속 한다는 것에 대한 논의가 올드 패러다임이라는 한계를 가질 수 있으며, 근무지속의 경험이 조직에 반드시 긍정적인 면만 줄 수 없다는 것에 대한 점도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조직 내 사회복지사의 근무지속은 매우 중요하다. 직장은 비교적 긴 시간동안 동료들과 관계를 쌓으며 사회적 관계를 이어갈 수 있는 곳이다. 업무경력의 단기화는 넓게는 지역사회, 좁게는 클라이언트와 관계를 피상적 수준에 머무르게 할 위험이 높고, 집단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동료의식과 사회적 귀속감의 가능성 까지도 침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얻어진 경험과 사회복지 지식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오랫동안 관계를 맺어온 숙련된 사회복지사의 근무지속은 실천의 지속성, 지역사회와 조직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의 초기 근무지속 경험과 사회복지 실천 현장 유형별 근무지속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근무지속과 관련하여 개인차원을 넘어 근무지속이 가능한 조직문화를 어떻게 만들어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사회복지 현장에 필요한 인재상에 대한 후속 연구도 사회복지 조직의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사회복지사, 근무지속, 근무지속 경험, 사회복지 조직, 인적자원관리, 질적 사례연구 This study deals with the experience of work retention of social workers who have worked in an organization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into experience of their work retention, what difficulties they have in retaining their work, how to come over the difficulties, what it means for them to retain their work, and what inner attitudes can be helpful in doing it. This study adopt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which was because it was thought to help me comprehend the features of their work retention in flexible and insightful analysis manners, and I thought that it was useful method for us to look for suggestions about practical way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aspect of social work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e participators of this study were 10 social workers who had majored in social welfare and have been working for over 10 years in each organization.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y 2019 to September 2019. Data analysis was based on Creswell’s intra-case and inter-case approach, and the verification of data analysis was done by various inter-data check, experts, and participators. As result of analysis, 43 classes of conceptualization and 8 classes of common category were deduced in terms of the difficulties of their work retention. The common category includes ‘Identity dilemma·Exhaustion of passion·Tremendous disappointment·Temptation into status quo maintenance·Infiltration of meritocracy·Scramble for welfare hegemony·Limitation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oncerning the experience of getting over difficulties in work retention, 14 classes of common category was deduced from 84 classes of conceptualization, which include ‘Reconstruction of identity·Change of clients·A source of new strength – Work site·Meaningful encounter into others·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role model·Independent strengthening of capabilities·Mutual support of peers and fellowship·Family support·Introspection on essence·Broad point of view·My path is a new one·Attempt into reasonable improvement·Openness of the door to promotion’ The inner attitudes helpful for them to retain their work worked out into 8 classes of common category from 47 classes of conceptualization, which include ‘Professional vocation·Positive mind·Keeping passionate as a novice·Courage of standing up to difficulties·Strengthening of professionalism from a viewpoint of character-building and self-discipline learning’. From this process, 3 classes of categorization were drawn in terms of experience of work retention, which include ‘A type of integrator valuing introspection and growth·A type of pioneer valuing change, passion and a sense of purpose·A type of guardian valuing trust and recognition’. Lastly, in terms of the significance of work retention, 28 classes of concepts were drawn and 3 classes of common category were sorted out, which include ‘Relishing one’s own job·Becoming a deep-rooted tree·A sense of vocation’. Based on results from this study, theoretical, practical, and institutional significance of social welfare are as follows: First, from a theoretical aspect, the existing studies relevant to social workers’ duties have dealt with quantitative research-centered job change, while this study gets out of the trend so as to look into individual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work retention and to make theoretical expansion in regard to their work retention at its initial stage. Second, from a practical aspect, individual experience of work retention and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it gives to them could provide an empirical insight on how practical process of social work has contributed to social workers’ growth in an organization.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it was important for social work organization to recognize key elements to prevent social workers from leaving their work places and retain their work, by which to promote their work retention and suggest ways on what efforts should be made in connection with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ird, from an institutional aspect, this study made an occasion to recognize what kinds of institutional or systematic efforts should be backed up in order to create environment where social workers could be willing to remain at each organization in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Stil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of all, in terms of choosing participators, exceptional cases could not be selected in this study, and it is likely to face criticism that discussion of retain their work in one organization could be an old paradigm and that the experience of work retention could not necessarily provide only the positives to the organization. Despite these critical viewpoints,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for social workers to retain their work in an organization. A workplace is where they can build up a social relationship with coworkers and maintain it. A short term of career is likely to make both a relationship with community, in a broad sense, and a relationship with clients, in a narrow sense, remain at superficial level. Also, the tendency of short term of career could have implications on fellowship and sense of social belonging. Skilled social workers have been equipped with social work expertise and field experience, and have built up a long lasting relationship with community. So, it is highly important for them to retain work in the aspects of practical sustainability and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organization. Accordingly, it is seen that follow-up studies need to make further research into social workers’ initial work retention experience and their work retention by social work practice types. Also, it is necessary to do further follow-up research on how to create organizational culture, beyond just a personal level, to enable work retention, and on what types of people are required in social work practice from a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for social work organization. Key words : Social worker, work retention, Experience of work retention, Social work organizati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 노인요양시설 중간관리자의 근무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박미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15982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examines the overall work experienced by middle managers working in nursing homes. It was recruited through a survey to find research participant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Qualitativ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collected data, after conduct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participant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voluntarily from May to June 2021. In this study,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es were performed. Within case analysis, the overall issues related to the experiences of middle manage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manag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such as the operating subject, location, number of employees, the number of admissions and current staff, the presence of an affiliated institution, and the operation of a dementia-only system looked at them. Cross-case analysis, four core topics, nine top-categories, and twenty-six sub-categories were derived by analyzing common issues mentioned by the study participants. Four core themes were derived: 'Building trust with the elderly and their guardians', 'Practice the core task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Balance in the midst of value confusion', and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system and environment' Under the theme of 'Building trust with the elderly and their guardians', 'Communicating closely with the elders'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guardians who exert absolute weight and influence' appeared. In the subject of 'Practice core task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Maintain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facility manager', 'Becoming a person that facility workers can trust and rely on', 'Utilizing community networks and resources', and 'Value confusion In the topic of 'balancing within,' 'establishing a standard in the confusion of operational values' and 'settling the mind in the confusion of values of life' In the last topic,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system and environment', 'Bridging the gap between policies and systems and reality' and 'Responding to disaster crises caused by COVID-19' was derived. In this study, among the work experiences of middle managers, the benefits and difficulties of performing duties as managers and operating practitioners were examined in-depth,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incerity of being a middle manager of a nursing home without stopping despite struggling in various fields. Seco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iculty in attracting residents and hiring personnel. Thir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need to improv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nd realistic conditions in the field. Fourth,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esire of local community private organizations to play their roles in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nursing homes. Fifth,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widespread distrust of policy and the need to enhance trust in policy changes. Sixth,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treatment of all care workers including middle managers. Finall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necessity of preparing disaster emergency countermeasure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was able to in-depth confirmation of the work experience faced by the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of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an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in performing core tasks and practices as middle managers.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of support were presented by identifying the grievances and difficulties of the position in responding to changes in external factors. First,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middle managers for human management, a continuous and systematic competency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Second, wages should be realized by improving the salary system of workers in nursing homes, including middle managers. Thir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needs to be realistically improved in areas that are different from field conditions. Fourth, support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private network of the community can play a role in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nursing homes. Fifth, efforts must be made to resolve the widespread distrust of policy by changing government policies. Sixth, difficulties in attracting residents can be overcome by establishing a system of conditions for admission that complements the current long-term care rating system. Finally, support for disaster crisis response is needed in nursing home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to conduct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ir working experience and working environment by selecting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s facility worke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diator.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중간관리자가 업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근무 전반에 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핵심업무 및 어려움과 보람에 대해 자세히 파악하고자 진행된 질적 사례연구이다. 전국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연구 목적에 맞는 연구참여자를 의도적 표집을 통해 모집하였다. 2021년 5월부터 6월까지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참여자 8명과 개별적인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중간관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나이, 학력, 직책, 경력, 그리고 시설의 특성인 운영주체, 소재지, 종사자 수, 입소정원과 현원, 병설기관의 유무, 치매전담형제도 운영 여부 등에 따라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에 관한 전반적인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이 언급한 공통의 이슈를 분석하여 4개의 핵심주제와 9개의 상위범주, 2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핵심주제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인 ‘어르신 및 보호자와 신뢰 형성하기’, ‘조직관리의 핵심업무 실천하기’, ‘가치 혼란 속 균형잡기’, ‘제도환경 변화에 대응하기’로 도출되었다. ‘어르신 및 보호자와 신뢰 형성하기’ 주제에서는 ‘어르신과 긴밀히 소통하기’, ‘절대적 비중과 영향력을 발휘하는 보호자와 관계 형성하기’를 통해 나타났다. ‘조직관리의 핵심업무 실천하기’ 주제에서는 ‘시설장과 협력적인 관계 유지하기’, ‘시설 종사자들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존재되기’, ‘지역사회 네트워크와 자원 활용하기’로 확인되었으며, ‘가치 혼란 속 균형잡기’ 주제에서는 ‘운영 가치의 혼란 속 기준 정립하기’, ‘삶의 가치 혼란 속 마음잡기’로 나타났다. 마지막 주제인 ‘제도·환경 변화에 대응하기’에서는 ‘정책 및 제도와 현실의 괴리 좁히기’,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위기 대응하기’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관리자의 근무경험 중 관리자이자 운영실무자로서 업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보람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특성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방면으로 고군분투하면서 멈추지 않고 노인요양시설 중간관리자의 길을 가고 있는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중간관리자에게 가중되는 입소자 유치와 인력 채용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천하기 위한 현장의 여건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노인요양시설의 합리적 운영과 권익 신장을 위해 지역사회 민간조직의 실질적 역할 수행에 대한 바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변화하는 정책에 대한 혼란이 가져오는 낮은 신뢰를 회복할 필요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여섯째, 중간관리자를 포함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처우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재난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중간관리자의 근무 전반에 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중간관리자의 핵심업무와 정체성에 대한 고민, 제도·환경의 변화에 대응해나가는 고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간관리자를 지원할 수 있는 개인적, 조직적, 제도적 차원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중간관리자의 역량 개발을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둘째, 중간관리자를 포함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급여체계 개선, 자기개발 기회 제공, 원활한 휴무·병가·휴직을 위한 대체인력 제공 시스템 구축 등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셋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현장의 여건과 괴리가 있는 부분으로 평가제도, 수가체계, 배상책임보험 등이 현실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 민간조직이 노인요양시설의 합리적 운영과 권익 신장을 위한 역할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변화하는 정책에 대한 혼란에 따른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여섯째, 돌봄의 실질적인 난이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장기요양등급체계를 보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노인요양시설에 재난 위기 대응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관리자이자 운영실무자로서 이중적인 역할에 따른 업무부담, 정체성 혼란 등의 고충을 겪고 있지만, 조직의 목표와 성과 달성을 위해 실천자·중재자 역할을 해내는 노인요양시설 중간관리자의 근무경험에 대해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